KR200144336Y1 -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336Y1
KR200144336Y1 KR2019960066615U KR19960066615U KR200144336Y1 KR 200144336 Y1 KR200144336 Y1 KR 200144336Y1 KR 2019960066615 U KR2019960066615 U KR 2019960066615U KR 19960066615 U KR19960066615 U KR 19960066615U KR 200144336 Y1 KR200144336 Y1 KR 2001443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driving rod
mode determination
rod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3428U (ko
Inventor
민성원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2019960066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336Y1/ko
Publication of KR199800534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4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3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336Y1/ko

Lin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촬영영역을 양옆에서 차단하는 한쌍의 하프사이즈막(12), (14)과, 한쪽 하프사이즈막(12)의 한쪽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구동막대(16)와, 다른쪽 하프사이즈막(14)의 한쪽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구동막대(18)와, 한쪽은 제1구동막대(16)와 연결되고 다른쪽은 제2구동막대(18)에 연결되어 제1구동막대(16)와 제2구동막대(18)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회전막대(40)와, 제1구동막대(16)의 끝부분에 결합되고 위치고정막대(36)가 설치되는 선택손잡이(30)와, 카메라 몸체(2)에 설치되는 중앙처리장치(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접점(2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한 위치고정막대(36)가 삽입되며 카메라 몸체(2)에 형성되는 복수의 모드결정홈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모드결정홈은 일반사이즈 모드결정홈(6)과 하프사이즈 모드결정홈(8) 및 하프사이즈 파노라마 모드결정홈(1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C부 상세도.
제4도는 제1도의 B부 상세도.
제5도는 본 고안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의 일실시예가 하프사이즈모드로 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6도는 본 고안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의 일실시예가 하프사이즈 파노라마모드로 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8, 10 : 모드결정홈 12, 14 : 하프사이즈막
16 : 제1구동막대 18 : 제2구동막대
20 : 신호접점 30 : 선택손잡이
36 : 위치고정막대 40 : 회전막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택손잡이와 카메라 몸체에 설치된 중앙처리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촬영상태를 일반모드 또는 하프사이즈모드로 선택시 기구적인 작동에 의한 촬영영역의 차단 및 전자적인 필름의 이송량이 동시에 조절되도록 한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카메라의 1커트 필름의 사진크기는 24X36mm (세로X가로)(이하 일반사이즈라 한다)로 촬영자가 셔터를 작동시킬때마다 필름이 자동으로 1커트에 해당하는 길이 즉 36mm 이동한다. 상기에서 36mm 는 카메라에 있어서 8콤마(comma) 이동에 해당한다.
그런데 보다 좋은 사진을 얻기 위한 연습용 사진을 촬영하거나 구도나 구상을 잡기 위하여 촬영하는 사무적인 사진에 있어서는 일반사이즈의 사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같은 길이의 필름으로 보다 많은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같은 길이의 필름으로 보다 많은 사진을 촬영하기 위하여 하프사이즈 예를 들면 24X18mm (세로X가로)로 필름을 이송하고 촬영하는 하프사이즈용 카메라가 사용된다. 이 때의 필름 이송량은 4콤마이다.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종래 카메라에 있어서는 일반사이즈와 하프사이즈의 촬영을 하나의 카메라에서 동시에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하프사이즈용 카메라에 있어서도 기구적인 동작에 대응되는 필름의 이송량 등에 대한 전자적인 신호를 별도의 장치로 행하여야 하므로 불편하고, 전자적인 신호를 위한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강구한 수단은 촬영영역을 양옆에서 차단하는 한쌍의 하프사이즈막과, 상기한 한쪽 하프사이즈막의 한쪽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구동막대와, 상기한 다른쪽 하프사이즈막의 한쪽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구동막대와, 한쪽은 상기한 제1구동막대와 연결되고 다른쪽은 상기한 제2구동막대에 연결되어 상기한 제1구동막대와 제2구동막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회전막대와, 상기한 제1구동막대의 끝부분에 결합되고 위치고정막대가 설치되는 선택손잡이와, 카메라 몸체에 설치되는 중앙처리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접점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한 위치고정막대가 삽입되며 카메라 몸체에 형성되는 복수의 모드결정홈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복수의 모드결정홈에 각각 설치되는 신호접점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카메라 몸체에 설치된 중앙처리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스위치가 설치된 접점판과, 상기한 접점판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누름판과, 상기한 누름판과 접점판 사이에 설치되어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상기한 복수의 모드결정홈은 일반사이즈 모드결정홈과 하프사이즈 모드결정홈 및 하프사이즈 파노라마 모드결정홈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에서는 상기한 선택손잡이의 위치고정막대가 상기한 일반사이즈 모드결정홈에 삽입되면, 일반사이즈 모드결정홈에 설치한 신호접점의 누름판에 의하여 접점판의 접점스위치가 접촉하고 상기한 카메라 몸체에 설치된 중앙처리장치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중앙처리장치에 일반사이즈 모드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에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필름의 이송량을 일반사이즈에 해당하는 이송량 즉 8콤마(comma)로 제어한다. 이 때 상기한 한쌍의 하프사이즈막은 촬영영역을 완전히 개방한 상태로 위치한다.
또 상기한 선택손잡이를 상기한 위치고정막대가 카메라 몸체에 형성된 상기한 하프사이즈 모드결정홈에 삽입되도록 이동시키면, 상기한 하프사이즈 모드결정홈에 설치된 신호접점의 누름판에 의하여 접점판의 접점스위치가 접촉하고 하프사이즈 모드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중앙처리장치에 전송하게되고, 중앙처리장치에서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필름의 이송량을 하프사이즈에 대한 이송량 즉 4콤마로 제어한다. 이 때 상기한 한쌍의 하프사이즈막은 상기한 제1구동막대가 상기한 선택손잡이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선택손잡이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한 한쪽의 하프사이즈막이 이동하고, 상기한 제2구동막대가 상기한 회전막대에 의해 상기한 제1구동막대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연결되므로 상기한 다른쪽의 하프사이즈막이 이동하여 상기한 양쪽의 하프사이즈막이 촬영영역을 양쪽에서 일정하게 차단하여 촬영영역이 하프사이즈로 된다.
그리고 상기한 선택손잡이를 상기한 위치고정막대가 카메라 몸체에 형성된 상기한 하프사이즈 파노라마 모드결정홈에 삽입되도록 이동시키면, 상기한 하프사이즈 파노라마 모드결정홈에 설치된 신호접점의 누름판에 의하여 접점판의 접점스위치가 접촉하고 하프사이즈 파노라마 모드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중앙처리장치에 전송하게 되고, 중앙처리장치에서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필름의 이송량을 하프사이즈 파노라마에 대한 이송량 즉 2콤마로 제어한다. 이 때 상기한 한쌍의 하프사이즈막은 상기한 제1구동막대가 상기한 선택손잡이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선택손잡이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한 한쪽의 하프사이즈막이 더 이동하고, 상기한 제2구동막대가 상기한 회전막대에 의해 상기한 제1구동막대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연결되므로 상기한 다른쪽의 하프사이즈막이 더 이동하여 상기한 양쪽의 하프사이즈막이 촬영영역을 양쪽에서 일정하게 더 차단하여 촬영영역이 하프사이즈 파노라마로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에 의하면, 기구적인 작동을 함과 동시에 전기적인 제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고안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도~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의 일시예는 촬영영역을 양옆에서 차단하는 한쌍의 하프사이즈막(12), (14)과, 상기한 한쪽 도면에서 오른쪽 하프사이즈막(12)의 한쪽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구동막대(16)와, 상기한 다른쪽 도면에서 왼쪽 하프사이즈막(14)의 한쪽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구동막대(18)와, 한쪽은 제1구동막대(16)와 연결되고 다른쪽은 상기한 제2구동막대(18)에 연결되어 상기한 제1구동막대(16)와 제2구동막대(18)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회전막대(40)와, 상기한 제1구동막대(16)의 끝부분에 결합되고 위치고정막대(36)가 설치되는 선택손잡이(30)와, 카메라 몸체(2)에 설치되는 중앙처리장치(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접점(2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한 위치고정막대(36)가 삽입되며 카메라 몸체(2)에 형성되는 복수의 모드결정홈(6), (8), (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복수의 모드결정홈(6), (8), (10)에 설치되는 신호접점(20)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각각 카메라 몸체(2)에 설치된 중앙처리장치(4)와 전선(25)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스위치(24)가 설치되는 접점판(22)과, 상기한 접점판(22)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누름판(26)과, 상기한 접점판(22)과 누름판(26)사이에 설치되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28)로 구성된다.
상기한 모드결정홈은 일반사이즈 모드결정홈(6)과 하프사이즈 모드결정홈(8) 및 하프사이즈 파노라마 모드결정홈(1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회전막대(40)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제1구동막대(16)에 이동방향과 대략 수직하게 길게 형성한 제1안내홈(17)을 따라 이동하는 제1회전핀(44)과, 상기한 제2구동막대(18)에 이동방향과 대략 수직하게 길게 형성한 제2안내홈(19)을 따라 이동하는 제2회전핀(46)과, 상기한 제1회전핀(44)과 제2회전핀(46)에 양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몸체(42)로 구성된다.
상기한 제1구동막대(16)의 끝부분은 상기한 선택손잡이(30)의 몸체(32)에 형성된 고정부(34)에 일체로 고정되어 선택손잡이(30)와 함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한 선택손잡이(30)에 형성되는 위치결정막대(36)는 끝부분에 상기한 모드결정홈(6), (8), (10)에 삽입되는 돌기(37)가 형성되고 일정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위치결정막대(36)의 돌기(37)가 상기한 모드결정홈(6), (8), (10)에 삽입되면 상기한 누름판(26)이 접점스위치(24)쪽으로 밀리게 되어 접점스위치(24)가 작동하고, 상기한 위치결정막대(36)의 돌기(37)가 상기한 모드결정홈(6), (8), (10)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한 탄성부재(28)에 의하여 누름판이(26)이 접점스위치(24)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접점스위치(24)는 비작동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한 선택손잡이(30)의 위치고정막대(36)가 상기한 일반사이즈 모드결정홈(6)에 삽입되면, 일반사이즈 모드결정홈(6)에 설치한 신호접점(20)의 누름판(26)에 의하여 접점판(22)의 접점스위치(24)가 접촉하고 상기한 카메라 몸체(2)에 설치된 중앙처리장치(4)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중앙처리장치(4)에 일반사이즈 모드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4)에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필름의 이송량을 일반사이즈에 해당하는 이송량 즉 8콤마(comma)로 제어한다. 이 때 상기한 한쌍의 하프사이즈막(12), (14)은 촬영영역을 완전히 개방한 상태로 위치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선택손잡이(30)를 상기한 위치고정막대(36)가 카메라 몸체(2)에 형성된 상기한 하프사이즈 모드결정홈(8)에 삽입되도록 도면에서 보아서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한 하프사이즈 모드결정홈(8)에 설치된 신호접점(20)의 누름판(26)에 의하여 접점판(22)의 접점스위치(24)가 접촉하고 하프사이즈 모드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중앙처리장치(4)에 전송하게되고, 중앙처리장치(4)에서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필름의 이송량을 하프사이즈에 대한 이송량 즉 4콤마로 제어한다. 이 때 상기한 한쌍의 하프사이즈막(12), (14)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제1구동막대(16)가 상기한 선택손잡이(3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선택손잡이(30)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한 한쪽의 하프사이즈막(12)이 이동하고, 상기한 제2구동막대(18)가 상기한 회전막대(40)에 의해 상기한 제1구동막대(16)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연결되므로 상기한 다른쪽의 하프사이즈막(14)이 이동하여 상기한 양쪽의 하프사이즈막(12), (14)이 촬영영역을 양쪽에서 일정하게 차단하여 촬영영역이 하프사이즈로 된다.
그리고 상기한 선택손잡이(30)를 상기한 위치고정막대(36)가 카메라 몸체(2)에 형성된 상기한 하프사이즈 파노라마 모드결정홈(10)에 삽입되도록 이동시키면, 상기한 하프사이즈 파노라마 모드결정홈(10)에 설치된 신호접점(20)의 누름판(26)에 의하여 접점판(22)의 접점스위치(24)가 접촉하고 하프사이즈 파노라마 모드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중앙처리장치(4)에 전송하게 되고, 중앙처리장치(4)에서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필름의 이송량을 하프사이즈 파노라마에 대한 이송량 즉 2콤마로 제어한다. 이 때 상기한 한쌍의 하프사이즈막(12), (14)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제1구동막대(16)가 상기한 선택손잡이(3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선택손잡이(30)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한 한쪽의 하프사이즈막(12)이 더 이동하고, 상기한 제2구동막대(18)가 상기한 회전막대(40)에 의해 상기한 제1구동막대(16)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연결되므로 상기한 다른쪽의 하프사이즈막(14)이 더 이동하여 상기한 양쪽의 하프사이즈막(12), (14)이 촬영영역을 양쪽에서 일정하게 더 차단하여 촬영영역이 하프사이즈 파노라마 예를 들면 24X9mm (세로X가로)로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고안의 효과]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하는 본 고안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에 의하면, 선택손잡이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전기적인 제어와 기구적인 작동을 동시에 행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또 전기적인 제어를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 없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다.
더욱이 하나의 카메라로 일반사이즈와 하프사이즈 및 하프사이즈 파노라마 촬영을 행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촬영영역을 양옆에서 차단하는 한쌍의 하프사이즈막(12), (14)과, 상기한 한쪽 하프사이즈막(12)의 한쪽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구동막대(16)와, 상기한 다른쪽 하프사이즈막(14)의 한쪽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구동막대(18)와, 한쪽은 상기한 제1구동막대(16)와 연결되고 다른쪽은 상기한 제2구동막대(18)에 연결되어 상기한 제1구동막대(16)와 제2구동막대(18)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회전막대(40)와, 상기한 제1구동막대(16)의 끝부분에 결합되고 위치고정막대(36)가 설치되는 선택손잡이(30)와, 카메라 몸체(2)에 설치되는 중앙처리장치(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접점(2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한 위치고정막대(36)가 삽입되며 카메라 몸체(2)에 형성되는 복수의 모드결정홈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복수의 모드결정홈은 일반사이즈 모드결정홈(6)과 하프사이즈 모드결정홈(8) 및 하프사이즈 파노라마 모드결정홈(10)으로 구성되는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
KR2019960066615U 1996-12-31 1996-12-31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 KR2001443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615U KR200144336Y1 (ko) 1996-12-31 1996-12-31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615U KR200144336Y1 (ko) 1996-12-31 1996-12-31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428U KR19980053428U (ko) 1998-10-07
KR200144336Y1 true KR200144336Y1 (ko) 1999-06-15

Family

ID=5400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615U KR200144336Y1 (ko) 1996-12-31 1996-12-31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3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428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0450B2 (en) Document camera
JPH0581967A (ja) 操作部機構
KR200144336Y1 (ko) 카메라의 하프사이즈 구동장치
US4801960A (en) Mode selector member and finger recess in a camera
JP3441673B2 (ja) 像振れ補正装置の配線構造
JP2580828Y2 (ja) カメラの撮影画面および視野枠サイズの切換連動機構
KR100260245B1 (ko) 광학장치
JPS5955735U (ja) 電動合焦可能な写真レンズ鏡筒
EP0363851B1 (en) Camera view finder
US20020054761A1 (en) Photographic camera having lens movement control with pivotable grip surfaces and adjacent shutter release
KR200150460Y1 (ko) 카메라 파인더용 파노라마 시야 조정장치
US5732301A (en) Camera having variable-sized image plane and image plane size indicator
KR970006277B1 (ko)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JPH0438334Y2 (ko)
JPS5822171Y2 (ja) 撮影機
JP2572729Y2 (ja) カメラ
KR970011119B1 (ko) 카메라의 파인더 출몰장치
JPS6319639A (ja) フイルタ−の挿脱装置
JP2864740B2 (ja) テレビカメラ用レンズのエクステンダ操作装置
KR970006541B1 (ko) 캠코더
KR0134612Y1 (ko) 옵티컬 뷰 파인더의 화각표시장치
KR0134175B1 (ko) 화면크기를 절환할 수 있는 카메라 및 화면크기절환장치
JP2724911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
KR970006879Y1 (ko) 줌 카메라의 다기능 스위치
KR890005759Y1 (ko)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한 렌즈의 접안거리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