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175B1 - 화면크기를 절환할 수 있는 카메라 및 화면크기절환장치 - Google Patents

화면크기를 절환할 수 있는 카메라 및 화면크기절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175B1
KR0134175B1 KR1019930006644A KR930006644A KR0134175B1 KR 0134175 B1 KR0134175 B1 KR 0134175B1 KR 1019930006644 A KR1019930006644 A KR 1019930006644A KR 930006644 A KR930006644 A KR 930006644A KR 0134175 B1 KR0134175 B1 KR 0134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anoramic
panorama
stat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140A (ko
Inventor
야스히로 토요다
료지 오쿠노
Original Assignee
미타하라 하지메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타하라 하지메,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타하라 하지메
Publication of KR930022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1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8Locating light-sensitive material within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6Holders for containing light-sensitive material and adapted to be inserted within the camera
    • G03B2217/265Details of light-proof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카메라는 한 개이상의 촬영광로에서 이동가능한 차광부재가 촬영광속의 일부를 차단하게하는 상이한 촬영화면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카메라는 차광부재에 가압력을 부여하고, 차광부재가 이동과정에서 특정의 위치에 위치할 때에 가압력의 방향이 변경되는 가압부재와 차광부재가 최소량의 광속이 차단되는 최대후퇴위치로부터 특정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시의 점에서 절환부재의 상태를 절환하도록 배치된 절환부재와, 절환부재의 상태에 따라서 차광부재의 이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예를 들면 촬영화면프레임 중 어느하나를 형성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촬영화면프레임절환작동시에 차광부재가 특정의 위치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정지하여 불완전한 화면프레임을 형성하여도, 형성된 바와 같은 촬영화면프레임은 적어도 차광부재가 최대 후퇴위치에 위치할 때에 얻을 수 있는 촬영화면프레임상태에 대응하지 않는다는 것을 촬영자에게 알릴 수 있다.

Description

화면크기를 절환할 수 있는 카메라 및 화면크기절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파노라마블레이드(panorama blade)를 촬영렌즈광로로부터 후퇴시킨 통상촬영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파노라마블레이드를 촬영렌즈광로에 진입시켜서 화면의 상,하부분에서 광을 차단하는 파노라마 촬영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상태에 있어서의 카메라의 중앙부분을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상태에 있어서의 카메라의 중앙부분을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5도는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제3도에 도시된 촬영렌즈를 생략한 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절환조작시에 클릭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중앙부분을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6도는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제3도에 도시된 촬영렌즈를 생략한 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절환조작시에 클릭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중앙부분을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파노라마 블레이드를 촬영렌즈광로에 진입시켜서 화면의 상,하 부분에서 근소하게 광을 차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제8도는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제7도에 도시된 촬영렌즈를 생략한 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절환조작시에 클릭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중앙부분을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9도는 파노라마촬영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외관을 도시한 배면도.
제10도는 카메라의 파인더(viewfinder)내에서 관측된 파인더화면을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로부터 후퇴한 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절환조작시에 클릭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중앙부분중에서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에 진입하여 화면의 상,하부분에서 광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절환조작시에 클릭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중앙부분을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에 진입하여 화면의 상,하부분에서 광을 근소하게 차단시킨 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절환조작시에 클릭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중앙부분을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로부터 후퇴한 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정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에 진입하여 화면의 상,하부분에서 광을 차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를 도시한 정면도.
제16도는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제14도에 도시된 촬영렌즈를 생략한 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시에 클릭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중앙부분을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17도는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제15도에 도시된 촬영렌즈를 생략한 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시에 클릭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중앙부분을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를 촬영렌즈광로에 진입시켜서 화면의 상, 하부분에서 광을 근소하게 차단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제19도는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제18도에 도시된 촬영렌즈를 생략한 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시에 클릭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중앙부분을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를 촬영렌즈광로에 후퇴시킨 통상 촬영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에 진입하여 화면의 상하부에서 광로를 차단한 파노라마촬영상태를 도시한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를 촬영렌즈광로부터 후퇴시킨 통상 촬영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에 진입되어 화면의 상하부에서 광을 차단한 파노라마촬영상태를 도시한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를 촬영렌즈광로부터 후퇴시킨 통상 촬영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6가 촬영렌즈광로로 진입하여 화면의 상하부분에서 광을 차단하는 파노라마촬영상태를 도시한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26도는 일본국 특원평 4-3186호에서 제안된 카메라의 제1실시예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6가 촬영렌즈광로로 진입하여 화면의 상,하부분에서 광을 차단하는 파노라마촬영상태를 도시한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27도는 제26도의 파노라마블레이드를 촬영렌즈광로로부터 후퇴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28도는 제26도의 도시된 상태시의 파노라마블레이드의 이동에 직접 관련되는 부분을 도시한 개략도.
제29도는 제27도에 도시된 상태시의 파노라마블레이드의 이동에 직접 관련되는 부분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30도는 제26도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를 제28도의 상태로부터 촬영렌즈광로의 외부측으로 후퇴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31도는 일본국 특원평 4-3186호에서 제안된 카메라의 제2실시예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에 진입하여 화면의 상,하부분에서 광을 차단하는 파노라마촬영상태를 도시한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32도는 제31도의 파노라마블레이드를 촬영렌즈광로로부터 후퇴시킨 통상 촬영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33도는 제31도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를 제31도의 상태로부터 촬영렌즈광로의 외부로 후퇴시킨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34도는 일본국 특원평 4-3186호에서 제안된 카메라의 제3실시예로서,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에 진입하여 화면의 상,하부에서 광을 차단하는 파노라마촬영상태를 도시한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35도는 제31도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를 촬영렌즈광로로부터 후퇴시킨 통상 촬영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01, 301, 401 : 카메라 본체
2, 3, 102, 103, 202, 203, 302, 303, 402, 403 : 파노라마블레이드
4, 104, 204, 304, 404 : 구동레버 5, 6, 7, 406, 407 : 축
8 : 핀 9, 109, 209, 309, 409 : 절환레버
10, 110, 210, 310, 410 : 손잡이 11 : 차광시트
12 : 로글베이스판 13, 113 : 토글레버
14 : 축 15, 11, 215 : 토글스프링
16, 116, 216 : 검출스위치 17 : 필립압착판
18 : 가압스프링 19 : 뒤뚜겅
20 : 베리에이터 21 : 컴펜세이터
22, 23 : 홀더 24, 25 : 롤러
26 : 고정통 27 : 캠링
28 : 초점렌즈 29 : 뚜껑
30 : 파인더접안창 31 : 액정표시
33 : 데이터표시 34 : 촬영모드표시
35 : 지표 37 : 파노라마모드표시
410, 411, 412 : 안내벽
본 발명은 절환가능한 쵤영화면프레임을 가지는 카메라 또는 광학기기에 관한 것이다. 파노라마촬영기능을 가지는 다소의 종류의 카메라가 이전에 공지되어 있다. 어댑터식의 카메라는 촬영화면프레임에 부착가능한 파노라마화면프레임을 장착하고 있다. 다른 종류의 카메라는, 렌즈베럴과 카메라 본체사이의 공간에서 촬영광측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개폐작동하는 방식의 파노라마 화면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카메라는 많은 불편한 점을 가지고 있다. 어댑터식의 카메라는 통상의 촬영화면프레임을 파노라마화면프레임으로 절환하기 위해 복잡한 작동을 필요로하고, 후자의 카메라는 대형의 본체를 필요로한다.
상기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광수단을 설치한 카메라의 각 실시예가 일본국 특원평 4-3186호에 제안되어 있다. 차광수단은 카메라본체에 형성된 촬영화면 프레임의 근처에 배치되고, 촬영광학계의 광측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진퇴(進退)가 가능하게 이동해서 촬영화면프레임의 광을 차단함으로써, 파노라마화면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인용한 일본국 특원평 4-3186에 개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제26도 내지 제35도를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제26도 내지 제30도는 상기 인용한 일본국 특원평 4-3186호의 제 1실시예로서 제안되었다.
제26도는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 광로로부터 후퇴한 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정면도이다. 제27도는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로 진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정면도이다. 제26도와 제27도에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카메라본체(501),카메라본체화면프레임(501a),카메라본체(501)위에 설치된 파노라마블레이드안내핀(501b),(501c), 카메라본체(501)위에 형성된 파노라마블레이드스토퍼(501d),(501e), 셔터블레이드와 같이 차광기능을 가지는 박판으로 형성되고, 또한 촬영렌즈의 광측에 수직방향으로 카메라본체(501)의 벽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가능한 파노라마블레이드(502),(503)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파노라마블레이드(502),(503)가 서로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회전제한안내슬롯(502a),(503a), 차광기능을 가지는 박막으로 형성된 파노라마블레이드 구동레버(504),(505)는 각각 축(506),(507)의 주위를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파노라마블레이드 구동레버(504),(505)의 연장단부에 슬롯(504b),(505b)이 각각 형성된다. 파노라마블레이드(502),(503)에 각각 고정되고 얇은 플렌지를 가지는 축(508),(509)이 이에 대응하는 슬롯(504b),(505b)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는 통상/파노라마 절환판(510)위에 설치된 핀(512)과 접촉하고, 통상/파노라마절환판(510)이 상하로 미끄럼이동할 때마다 작동력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암(504a)과, 통상파노라마 절환판(510)위에 설치된 핀(512)으로부터 작동력을 수용하도록 암(504a)과 접촉하는 직립부(505a)를 포함하고 있다. 통상/파노라마절환판(510)은 상부와 하부에 미끄럼이동안내슬롯(510a)를 가지고, 이 미끄럼이동안내슬롯(510a)은 카메라본체(501)위에 형성된 안내판(501f)과 결합하기 때문에, 통상/파노라마 절환판(510)은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유지된다. 클릭수단(도시되지 않음), 마찰수단(도시되지 않음)등이 작동스트로크의 상단과 하단에서 통상/파노라마절환판에 작용되기 때문에, 통상/파노라마절환판(510)은 상단과 하단중 어느 쪽에서 확실하게 유지된다. 인장스프링(511)은 한쪽 하단부에서 카메라본체(501)에 고정되고, 다른쪽단부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 구동렐버(505)의 압에 걸리기 때문에, 파노라마블레이드구동레버(505)가 반시계방향으로 축(507)의 주위를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력을 발생한다.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은 직립부(505a)를 개재하여 파노라마 블레이드 구동레버(504)의 압(504a)에 작용해서, 파노라마블레이드 구동레버(504)에 시계방향으로 축(506)의 주위를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력이 작용하고, 따라서 파노라마블레이드(502),(503)는 파노라마촬영상태의 방향으로 항상 가압된다. 접속레버(513)는 카메라 본체(501)위에 형성된 핀(501g)의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압(513a)의 연장단부에 구멍(513c)을 가진다. 통상/파노라마절환판(510)에 고정되고 얇은 플렌지를 가지는 축(514)은 구멍(513c)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핀(515)은 접속레버(513)의 암의 연장단부위에 설치된다. 카메라본체(501)위에 설치된 가이드핀(510h)에 각각 결합된 미끄럼이동안내구멍(516a)을 따라서 좌우방향중 어느 한방향으로 통상/파노라마절환레버(516)가 직선 이동될 수 잇다. 통상/파노라마절환레버(516)의 좌단부는 핀(515)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슬롯(516b)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통상/파노라마절환레버(516)의 직선운동을 접속레버(513)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상/파노라마절환레버(516)는 촬영자가 카메라의 외부바닥면에서 통상/파노라마 절환작동을 임의로 행할 수 있도록 카메라의 바닥부로 연장되는 암(516c)을 가진다. 통상/파노라마 절환외부손잡이(517)는 암(516c)에 고정된다.
제26도와 제27도의 각각에서는, 2점쇄선은 카메라의 외형을 나타낸다.
파노라마촬영을 행하면, 상기한 구성은 이하와 같이 작동한다. 우선,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517)을 카메라의 바닥을 따라서 왼쪽으로 수동으로 미끄럼이동시킨다. 이때에, 통상/파노라마절환레버(516)는 왼쪽의 방향으로 미끄럼이동되고, 슬롯(516b)에 결합된 핀(515)에 의해 통상/파노라마절환레버(516)에 접속된 접속레버(513)는 시계방향으로 측(501g)의 주위를 회전한다. 접속레버(5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암(513a)의 연장단부에 접속한 통상/파노라마절환판(510)은 안내핀(501f)과 각각의 미끄럼이동안내슬롯(501a)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똑바로 밀려진다. 이때에 핀(512)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핀(512)과 접촉하여 유지되는 방향으로(시계방향으로)인장스프링(511)에 의해 회전가압되는 파노라마블레이드구동레버(504)는 시계방향으로 축(506)의 주위를 회전한다. 동시에, 인장스프링(511)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당겨지고, 직립부(505a)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 구동레버(504)의 암(504a)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는 파노라마블레이드 구동레버(505)는 반시계방향으로 축(507)의 주위를 회전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파노라마블레이드(502)는 카메라본체(501)의 대향하는 벽을 따라서 촬영화면내로 진입되고, 파노라마블레이드(502),(503)의 각각의 단부면이 파노라마 블레이드스토퍼(501d),(501e)와 접촉되는 위치에서 정지되기 때문에, 파노라마화면을 형성하기 위해 촬영화면의 상하부에서 광을 차단한다.
파노라마촬영을 해제하고 통상화면프레임에 대응하는 촬영을 행하는 경우에는,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517)를, 제26도에 도시된 상태를 얻을때까지 오른쪽으로 수동으로 미끄럼이동시키면 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은, 파노라마블레이드(502),(503)의 절환작동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같이 작동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불리한 점을 가진다.
파노라마블레이드구동레버(504),(505), 통상/파노라마절환판(510), 접속레버(513), 또한 각 레버의 접속부에 설치된 다우얼(dowel) 또는 핀 등의 다수개의 부품과 복잡한 구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한 인용예에서는 카메라본체내에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카메라의 소형화하기가 어렵다.
또한, 복잡한 구성과 다수개의 접속부가 요구되기 때문에, 상기한 인용예는 작동의 신뢰성과 내구성뿐만 아니라 작동의 효율성도 나쁘다.
또한, 복잡한 구성과 다수개의 부품은 조립의 조악한 효율성을 초래하고, 또한 상당히 많은 제조공정과 부품의 상승가격을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상당한 경제적인 단점을 초래한다.
제28도 내지 제30도는, 파노라마블레이드의 이동을 한층더 이해하기 쉽게하기 위해, 제26도와 제26도에 도시된 구성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의 이동에 직접관계되는 부분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28도는 파노라마촬영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제29도는 통상의 촬여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제30도는 파노라마촬영상태와 통상의 촬영상태사이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를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각각의 상기 도면에서는, 제26도와 제27도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제28도 내지 제30도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파노라마블레이드(502),(503)는 이에 관련되는 파노라마블레이드 구동레버(504),(505)의 회전이동에 의해 카메라의 높이방향으로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한다. 상기한 이유로 연결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축(508),(509)의 주위에 틈새를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슬롯(504b),(505b)을 레버 (504),(505)에 각각 형성한다.
그러나, 슬롯 (504b),(505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노라마블레이드(502),(503)는 카메라본체(501)위에 형성된 각각의 파노라마블레이드 안내핀(501b),(501c)의 주위에서 좌 또는 우방향으로 용이하게 요동한다. 이와같은 위치요동은, 특히 파노라마 블레이드스토퍼(501d),(501e)가 이에 대응하는 파노라마블레이드(502),(503)에 작용하지 않는 통상의 촬영상태시에, 즉 파노라마블레이드스토퍼(501d),(501e)가 이에 대응하는 파노라마블레이드(502),(503)의 단부와 접촉하지 않는 통상촬영상태시에(제29도 참조) 또는 파노라마블레이드(502),(503)의 이동시에(제30도 참조)커진다. (제29도와 제30도에서, 각각의 파노라마블레이드(502),(503)의 위치요동의 상태는 2점쇄선으로 나타낸다.)위치요동이 통상의 촬영상태시에 발생하는 경우, 파노라마블레이드(502),(503)의 일부는 촬영렌즈의 광로의 일부에서 광을 차단하여 부적당한 화면을 형성한다. 요동이 파노라마블레이드(502),(503)가 이동하는 동안 발생하는 경우에는, 카메라작동의 신뢰성 또는 특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내구성도 열화된다.
제31도 내지 제33도는 상기 인용예인 일본국 특원평 4-3186호의 제2실시예로서 제안된 통상/파노라마화면절환기구를 도시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파노라마블레이드(603)는 카메라의 소정의 스트로크에 의해 상하로 직선운동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회전축을 가지는 파노라마블레이드구동레버(604)는 파노라마블레이드(603)에 접속된다. 파노라마블레이드(602)는, 파노라마블레이드(602)가 카메라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하도록 파노라마블레이드 구동레버(604)에 의해 파노라마블레이드(603)에 연결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카메라의 소정의 스트로크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을 향하기 때문에 하부쪽의 파노라마블레이드(603)는 안정하게 되지만, 상부쪽의 파노라마블레이드(602)의 구성은 제1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파노라마블레이드(502)의 구성과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파노라마블레이드 구동레버(604)의 회전운동에 의해 파노라마블레이드를 카메라에서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연결부를 구성하는 축(608)의 주위에 틈새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슬롯(604b)이 파노라마블레이드구동레버(604)에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파노라마블레이드(602)는 파노라마블레이드 안내핀(601b)의 주위에서 좌 또는 우방향으로 위치내에서 용이하게 요동된다. 이와같은 위치의 요동은, 특히 통상의 촬영상태시에(제32도참조) 또는 파노라마블레이드(602)의 이동시에(제33도 참조) 커지는 경향이 있다(제32도와 제33도에서, 파노라마블레이드(602)의 위치의 요동의 상태는 2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제34도와 제35도는 상기 인용된 일본국 특원평4-3186의 제3실시예로서 제안된 통상/파노라마 화면절환기구를 도시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파노라마블레이드(702),(703)는 공동회전축의 주위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3실시예에서는, 파노라마블레이드(702),(703)는 제34도와 제3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이동되기 때문에, 각각의 파노라마블레이드(702),(703)의 연장단부는 특히 제35도에 도시된 통상의 촬영상태시에, 촬영화면으로부터 상당한 양만큼 후퇴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넓은 2차원(평면)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카메라의 구성에 대한 설계가 극히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상기한 관련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측면에 의하면, 촬영광속의 일부를 차단가능하고 1개이상의 촬영광로에서 이동가능한 차광수단과, 촬영광로에 관계되는 최대 후퇴위치로 부터 최재전진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 차광수단이 중앙점에 도달하는 과정시의 점에서 상태를 절환하도록 배치된 절환수단과, 절환수단의 상태에 의해 표시를 형성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절환가능한 촬영화면프레임을 가지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광수단이 중도위치에서 정지하여 촬영화면의 도중에서 촤광하여도, 촬영자에게 경보를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촬영자가, 차광수단이 최대후퇴위치에 위치할 때에 얻는 촬영화면상태로 의도된 촬영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자가 파사체의 화상을 부분적으로 잃어버린 사진, 즉 실패한 사진을 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촬영광속의 일부를 차단가능하고 한개이상의 촬영광로에서 이동가능한 차광수단과, 차광수단에 가압력을 차광수단의 이동과정시의 위치에서 변화되는 가압력의 방향으로 부여하는 가압수단과, 촬영광로에 관계되는 최대후퇴위치로부터 가압수단에 의해 부여되는 가압력의 방향이 변경되는 위치까지 차광수단이 이동과정시의 위치에서 상태를 절환하도록 배치되는 절환수단과 절환수단의 상태에 의해 표시를 형성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절환가능한 촬영화면프레임을 가지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광수단은 가압수단의 가압력의 방향이 변경되는 위치에서 정지하고 촬영화면의 도중에서 차광하여도, 촬영자에게 경보를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촬영자가, 차광수단이 최대후퇴위치에 위치할때에 얻는 촬영화면상태로 의도된 촬영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때문에, 촬영자가 피사체의 화상을 부분적으로 잃어버린 사진, 즉 실패한 사진을 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촬영광속의 일부를 차단가능하고 촬영광로에서 이동가능하고 단일부재로서 형성하는 2개이상의 차광부재와, 2개이상의 차광부재를 직접적으로 구동하는 2개이상의 작용부를 가지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절환가능한 촬영화면프레임을 가지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의 개수가 저감되는 단순한 구성에 의해 구성부품의 요구되는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한층더 소형화된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같은 절환가능한 촬영화면프레임을 가지는 카메라작동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촬영광속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고 적어도 촬영광로에서 이동가능한 차광부재와, 차광부재를 선회가능하게 지지하고 차광부재를 이동하도록 배치된 이동부재와, 차광부재의 이동궤적에 대응하는 캠변위를 가지는 캠부와, 캡부의 캡변위를 따르는 캠종동자를 포함하고, 캡부와 캠종동자중 어느 하나가 차광부재위에 배치되고, 다른 것은 또다른 부재위에 배치되는 절환가능한 촬영화면프레임을 가지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차광부재는, 상기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카메라의 크기를 증가함없이, 촬영광로에 관계되는 최대후퇴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유지할 때에 또는 촬영화면프레임절환작동시에 발생하는 위치의 요동이 방지된다. 또한, 카메라 작동의 신뢰성 또는 특성이 절환작동시에 위치의 요동에 의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의하면, 촬영광속의 일부를 차단가능하고 한개 이상의 촬영광로에서 이동가능한 차광부재와, 차광부재가 평행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차광부재의 테두리부에 접촉하여 차광부재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절환가능한 촬영화면프레임을 가지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카메라의 크기를 중가함이 없이 촬영광로에 관계되는 최대후퇴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유지될 때에 또는 촬영화면프레임 절환작동시에 발생되는 위치의 요동이 방지된다. 또한, 카메라 동작의 신뢰성 또는 특성이 절환작동시에 위치의 요동에 의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목적과 기타목적, 특징과 장점등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제1실시예)
제1도 내지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도는 파노라마화면프레임을 형성하는 차광부재(이제부터, 파노라마블레이드라 칭함)를 촬영렌즈광로로부터 후퇴시킨 통상촬영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2도는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에 진입하여 화면의 하부와 상부에서 광을 차단하는 상태(파노라마 촬영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상태로 놓여있는 카메라의 중앙부분의 수직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2도의 상태로 놓여있는 카메라의 중앙부분의 수직단면도이다. 제5도는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제3도에 도시된 촬영렌즈를 생략한 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절환조작시에 클릭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중앙의 수직단면도이다. 제6도는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제4도에 도시된 촬영렌즈를 생략한 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절환조작시에 클릭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중앙부분의 수직단면도이다. 제7도는 파노라마 블레이드를 촬영렌즈광로로 진입시켜서 화면의 상,하 부분에서 근소하게 광을 차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카메라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카메라의 중앙부분의 수직단면도로서,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촬영렌즈를 생략한 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절환조작시에 클릭을 발생하는 기구를 도시한다. 제9도는 뒤뚜껑쪽으로부터 본 카메라의 외관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제10도는 카메라의 파인더(viewfinde6r)내에서 관측된 파인더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카메라본체(1), 카메라본체화면프레임(1a), 카메라본체(1) 위에 설치된 파노라마블레이드안내핀(1b),(1c), 카메라본체(1)위에 설치된 파노라마 블레이드스토퍼(1d),(1e), 카메라본체(1)위에 설치된 파노라마레버안내핀(1f)을 포함한다. 슬롯(1g)(제3도 참조)은 카메라본체(1)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통상/파노라마절환레버(9)는 통상/파노라마절환작동을 카메라의 외부바닥면에서 임의로 행할 수 있도록 슬롯(1g)을 개재하여 삽입된다.
또한, 도시된 구성은 파노라마화면프레임을 형성하는 파노라마블레이드(2),(3)를 포함하고, 상기 파노라마블레이드(2),(3)는 각각 셔터블레이드와 같은 차광기능을 가지는 박판으로 형성되고 촬영렌즈의 광측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카메라본체(1)의 대향하는 벽을 따라서 앞뒤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도시된 구성은 파노라마블레이드(2)가 파노라마블레이드(3)에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회전제한 안내슬롯(2a)을 포함하고, 회전제한 안내슬롯(2a)은 파노라마 블레이드(2)의 이동궤적에 대응하는 원호형상을 가지고 파노라마 블레이드안내핀(1b)과 결합한다. 파노라마블레이드(3)는 L형의 형상을 가지고 파노라마블레이드 안내핀(1c)과 결합한 미끄럼이동안내슬롯(3)에 의해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방향으로 직선이이동가능하다.
파노라마구동레버(4)는 대략 T형의 형상을 가지고, 축(5)의 주위를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암(4a)의 연장단부에 구멍을 형성한다. 얇은 플랜지를 가지는 축(6)이 파노라마블레이드(2)에 고정되어 구멍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파노라마블레이드구동레버(4)는 파노라마블레이드(2)에 연결된다. 슬롯은 다른 암(4b)의 연장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얇은 플랜지를 가지는 축(7)은 파노라마블레이드(3)에 고정되어 슬롯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파노라마블레이드구동레버(4)는 파노라마블레이드(3)에 연결된다. 핀(8)은 또다른 암(4c)의 연장단부에 고정된다.
통상/파노라마 절환레버(9)는 안내핀(1)과 각각 결합되는 미끄럼이동안내구멍(9a)을 따라서 오른쪽 방향과 왼쪽방향중 어느한 쪽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통상/파노라마절환레버(9)의 왼쪽단부는 핀(8)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통상/파노라마 절환레버(9)의 직선이동은 파노라마블레이드구동레버(4)의 회전운동으로 전달된다. 또한, 통상/파노라마절환레버(9)는 촬영자가 카메라의 외부바닥면에서 통상/파노라마절환작동을 임의로 행할 수 있도록 카메라의 바닥부를 개재하여 연장되는 암(9c)을 가진다.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10)는 차광시트(11)가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10)와 통상/파노라마절환레버(9)사이에 클렘프된 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절환레버(9)의 암(9c)에 고정된다. 토굴베이스판(12)는 렌즈배럴장착쪽위에 카메라본체(1)의 측벽을 따르는 위치에 고정되고, 딴 축(14)의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토글레버(13)를 지지한다.
토글스프링(15)는 토글베이스판(12)위에 형성된 직립후크(12a)와 토글레버(13)의 연장부에 형성된 직립후크(13a)사이에 소정의 장력으로 걸려 있다. 토글스프링(15)은 토글레버(13)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절환되는 단방향회전력을 토글레버(13)에 부여하도록 한다(소위 토글작용). 둥근헤드(13b)는 토글레버(13)의 연장단부에 형성되어 파노라마블레이드(3)의 직립부(3b)의 연장단부에 형성된 L형상의 굽힘부(3c)사이의 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춰진다. 토글작용에 의해, 변위력은 파노라마블레이드(3)의 직선이동을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의 각각의 이동단부의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부여된다.
통상/파노라마 검출스위치(16)는 두개의 접촉편(16a),(16b)을 포함한다.(제5도와 제6도 참조). 접촉편(16a)의 연장단부가 토글레버(13)의 한쪽암의 단부에 형성된 직립부(13c)에 의해 가압될 때에, 접촉편(16b)와 접촉편(16a)의 돌기는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인 도전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파노라마촬영상태가 설정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카메라의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전달한다.
필름압착판(17)은 뒤뚜껑(19)(제3도 참조)위에 설치된다. 뒤뚜껑(19)을 닫을때에, 필름압착판(17)은 필름가압스프링(18)에 의해 후부로부터 가압되어, 필름압착판(17)과 카메라 본체(1)에 설치된 레일부사이에서 필름을 유지하고, 따라서 로드된 필름의 편평함을 유지한다. 제3도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촬영렌즈의 일부를 구성하는 주밍렌즈는 다음과 같이 배치한다.
베리에이터(variator)(20)와 컴펜세이터(compensator)(21)는 각각 홀더(22),(23)에 의해 유지된다. 각각의 홀더(22),(23)에 형성된 롤러(24),(25)는 고정통(26)의 직진홈(26a)에 의해 안내되고, 따라서 베리에이터(20)와 컴펜세이터(21)는 촬영렌즈의 광측을 따라서 이동한다. 또한 롤러(24),(25)는 광측의 주위를 회전하는 캠링(27)의 주밍캠홈(27a),(27b)와 각각 결합하고, 또한 배리에이터(20)와 컴펜세이터(21)를 캠링(27)의 회전작용, 예를 들면 주밍작동에 의해, 광측을 따라서 소정의 우치에 이동한다. 제3도와 제4도에서, (28)은 초점렌즈이다.
카메라의 뒤뚜껑측을 도시하는 제9도에서, 카메라는 뚜껑(29), 파인더접안창(30),뒤뚜껑(19)위에 형성된 액정표시(31), 액정표시(31)에 형성된 노출회수표시, 액정표시(31)에 형성된 데어터표시(33) 및 액정표시(31)에 형성된 파노라마촬영모드표시(34)를 포함한다.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16)접촉편(16a),(16b)이 서로 접촉하여 도통(導通)할 때에, 파노라마촬영모드표시(34)는 온되어 P마크를 표시한다.
제10도에서, 지표(35)는 자동초점을 위한 초점검출마크로서 사용되고, 피사체를 상기 마크내에 넣어서 촬영할 때에, 자동초점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초점이 자동으로 조정된다. 파노라마 촬영화면표시라인(36)은 상부점선과 하부점선사이에 형성된 영역을 필름상에 촬영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파노라마 촬영모드표시(37)는 파인더내에 형성되고, 통상/파노라마검출스의치(16)의 접촉편(16a),(16b)이 서로 접촉하여 도통할 때에, 파노라마촬영모드표시(37)는 온되어 P마크를 표시한다.
파노라마촬영을 행하면, 상기 구성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우선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10)를 상기한 토글작동의 변위력에 대항해서 카메라의 바닥을 따라서 오른쪽 방향으로 수동으로 미끄럼이동시킨다. 이때에, 통상/파노라마절환레버(9)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방향으로 수동으로 미끄럼이동시킨다. 이때에, 통상/파노라마절환레버(9)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고, 파노라마블레이드구동레버(4)는 슬롯(9b)과 결합된 핀(8)의 작동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측(5)의 주위를 회전한다. 파노라마블레이드 구동레버(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암(4a)의 연장단부에 연결된 파노라마블레이드(2)는 상부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때에, 파노라마블레이드(2)는, 파노라마블레이드안내핀(1b)과 회전제한안내슬롯(2a)의 상호작용동작에 으해 파노라마블레이드에 평행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요동없이 상부방향으로 (광측에 수직하는 방향으로)이동된다. 동시에, 파노라마블레이드 구동레버(4)의 암(4b)의 연장단부에 연결되는 파노라마블레이드(3)는 아래방향으로 잡아당겨지고, 따라서 파노라마블레이드(3)는, 파노라마블레이드안내핀(1c)과 미끄럼이동안내슬롯(3a)의 상호작동에 의해 파노라마블레이드(2)에 평행한 관걔를 유지하면서 직선이동한다.
각각의 파노라마블레이드(2),(2)미끄럼이동량이 파노라마촬영으로 절환을 행하도록 요구되는 양의 1/2을 초과할때에,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토글레버(13)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즉 파노라마블레이드(3)가 위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토글레버(13)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즉 파노라마블레이드(3)가 아래쪽으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절환된다. 따라서 조작자에게 확실한 클릭감을 주면서 각각의 단부면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노라마블레이드스토퍼(1d),(1e)와 접촉을 유지하는 위치로 파노라마블레이드(2),(3)를 확실하게 변위하여 유지해서, 통상 촬영화면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폐하여 파노라마화면프레임을 형성한다. 이때에,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16)의 접촉편 (16a),(16b)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토글레버(13)의 직립부(13c)에 의해 도전(導電)상태로 되고, 파노라마 촬영상태를 설정한 상태를 카메라의 제어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한다.
파노라마촬영모드를 설정한 것을 나타내는 제9도와 제10도의 P 마크(34),(37)는 각각 파인더내에서와 뒤뚜껑(19)내에 설치된 액정표시(31)위에 표시된다.
제2도의 파노라마촬영상태가 제1도의 통상 촬영상태에 대응하여 촬영하도록 해제되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외부바닥면에 형성된 통상/파노라마 절환외부손잡이(10)를 토글작동의 변위력에 대항해서 카메라의 바닥을 따라서 왼쪽방향으로 수동으로 미끄럼이동시킨다. 다음에 상기한 작동과 반대로 작동을 행하여 제1도에 도시된 상태로 도달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토글작동에 의해 조작자에게 확실한 클릭감을 주면서 파노라마블레이드(2),(3)가 개방되는 위치에 파노라마블레이드(2),(3)가 변위하여 유지된다. 따라서 카메라본체 화면프레임(1a)에 의해 형성되는, 통상 촬영상태에 대응하는 적정한 화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16)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도통상태에 위치하고, 통상 촬영상태로 설정된 사실이 카메라의 제어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된다. 따라서,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P마크는 오프되어 통상 촬영모드로 선택된 것을 나타낸다(파노라마촬영모드는 선택되지 않는다).
파노라마촬영이 해제되어 통상촬영화면으로 절환을 행할때에, 파노라마블레이드(2),(3)중 어느하나 또는 전부를 손가락으로 직접 힘을 가해 개방할 수도 있다.
상기한 파노라마 기구는 한 개의 유닛으로 취급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구성에서, 카메라본체(1)와 파노라마블레이드(2),(3)사이의 공간에 베이스판(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파노라마블레이드안내핀(1b),(1c), 파노라마블레이드스토퍼(1d),(1e), 파노라마레버안내핀(1f) 및 기타 부품이 베이스판위에 형성된다. 필요한 부품이 베이스판위에 장착된 후에, 베이스판은 카메라본체(2)에 고정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토글기구가 통상/파노라마화면절환기구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토글기구는 토글레버(13)의 중립위치에 대응하고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데드(dead)점을 가진다.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10)가 데드점에서 멈추는 경우, 파노라마블레이드(2),(3)는 완전한 파노라마촬영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중도위치에서 멈추기 때문에, 촬영화면에서 광을 부분적으로 차단한다. 촬영화면에서 광이 부분적으로 차단한 상태에 있는 동안 어떤 경고표시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 촬영자는 통상 촬영상태로 의도된 촬영을 행하고, 피사체가 상부와 하부를 잃어버린 상태에서 촬영된 실패한 사진을 얻는다.
이러한 이유로, 제1실시예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은 표시와 토글기구사이의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10)를, 통상 촬영상태로부터 파노라마촬영상태로 절환을 행하는 방향으로 소량만큼 오른쪽으로 수동으로 미끄럼이동시키면,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을 행하고 파노라마블레이드(2),(3)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다소 차단한다. 이때에,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글레버(13)는, 토글레버(13)가 파노라마블레이드(3)위에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중립위치(데드점)에 아직 도달하지 않고, 반시계방향으로 토글레버(13)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즉 파노라마블레이드(3)가 위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따라서, 촬영자가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10)로부터 손가락을 떼는 경우, 파노라마블레이드(2),(3)는 통상 촬영상태로 리세트 된다). 동시에, 접촉편(16a)의 연장단부의 대원호부(16c)는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16)가 서로 접촉하도록 토글레버(13)의 직립부(13c)에 의해 미리 가압되고, 따라서 접촉핀(16a),(16b)은 도통상태로 되고, 파노라마블레이드(2),(3)가 촬영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단한 상태를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한다. 다음에,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P마크는 온되어 촬영자에게 경보를 알린다.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10)가 상기 위치까지 미끄럼이동할 때에, 토글레버(13)는, 토글레버(13)의 직립부(13c)가 뒤쪽으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즉 토글레버(1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16)의 이동측 접촉편의 연장단부의 대원호부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촬영자가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10)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파노라마블레이드(2),(3)는 통상 촬영상태로 용이하게 리세트될 수 있다.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10)를 파노라마촬영을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수동으로 더 미끄럼이동시키면, 파노라마블레이드(2),(3)는 각각의 소정의 스트로크의 대략 중앙위치에 도달하여 이에 대응하는 양만큼 촬영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단하는 상태에 놓인다. 이때에, 토그레버(13)는, 토글레버(13)가 파노라마블레이드(3)에 가압력을 작용시키지 않은 중립점(데드점)에 도달하고, 손가락을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10)로부터 떼면, 파노라마블레이드(2),(3)는 상기 상태에서 정지한다. 그러나,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16a),(16b)이 서로 이미 접촉되어 도전상태에 있기 때문에, P 마크(34),(37)는 파인더와 뒤뚜껑(19)의 액정표시(31)내에서 온되고, 따라서 파노라마블레이드(2),(3)는 촬영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단하는 것을 촬영자에게 알려준다. 따라서, 촬영자가 촬영에 실패하는 것을, 즉 통상촬영상태로 의도된 촬영을 그릇되게 행하여 상부와 하부를 잃어버린 상태에서 피사체의 사진을 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1도 내지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1도는 부분적으로 생략된 카메라의 중앙부의 수직단면도로서,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로부터 후퇴한 상태(통상 촬영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 절환동작시에 클릭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를 도시한다.
제12도는 카메라의 중앙부분의 수직단면도로서,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에 진입하여 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단한상태(파노라마촬영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절환동작시에 클릭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를 도시한다. 제13도는 카메라의 중앙부의 수직단면도이고,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에 진입하여 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다소 차단하는 상태(파노라마절환 도중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시에 클릭력을 발생하는 기구를 도시한다. 즉, 제11도, 제12도, 제13도는 각각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제5도, 제6도, 제8도에 각각 대응한다. 제1도 내지 제13도에서, 제1실시예에 사용된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는 100을 부가한 대응도면부호로 도시한다. 제2실시예는, 통상촬영상태시에는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116)의 접촉편이 서로 접촉되어, 도전상태로 되고, 파노라마촬영상태시에는 접촉편이 서로 분리되어 비도전상태로 되는 스위치배열에 대해서만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제2실시예의 작동은 제1실시예의 작동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16)와 상이한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116)에 대해서만 이하 설명하고, 다른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통상 촬영상태에서 파노라마촬영상태로의 절환작동을 토글작동의 변위력에 대항해서 행하는 경우, 파노라마블레이드(102),(103)는, 촬영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단하기 위해 평행관계를 유지하면서, 직선이동을 한다. 파노라마블레이드(102),(103)의 각각의 미끄럼이동량은 파노라마촬영상태로 절환을 행하는데에 필요한 양의 절반을 초과할때에, 토글레버(13)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즉 파노라마블레이드(103)가 상부쪽으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토글레버(13)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즉 파노라마블레이드(103)가 하부쪽으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절환된다. 따라서, 조작자에게 확실한 클릭감을 주면서 파노라마블레이드(102),(103)를 각각의 스토퍼로 확실하게 변위하여 유지해서, 통상의 촬영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단하여 파노라마화면을 형성한다. 이때에,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116)의 접촉핀(116a),(116b)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글레버(113)의 직립부(113c)에 의해 비도통상태로 이미 놓이게 되고, 파노라마 촬영상태가 설정된 상태를 카메라의 제어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한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P마크(34),(37)는 파인더와 뒤뚜껑(19)의 액정표시(31)에 온되고, 따라서 파노라마촬영모드를 설정한 것을 나타낸다.
파노라마촬영을 해제하여 통상화면에 대응하는 촬영을 행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카메라의 외부바닥면에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110)를 수동으로 토글작동의 변위력에 대항하여 카메라의 바닥을 따라서 왼쪽방향으로 미끄럼이동시킨다.
다음에, 상기한 작동의 반대작동을 행하여 통상 촬영상태에 도달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토글작동에 의해 조작자에게 확실한 클릭감을 주면서 파노라마블레이드(102),(103)는, 파노라마블레이드(102),(103)가 개방하여 유지되는 위치로 확실하게 변위하여 유지된다. 따라서, 카메라화면프레임(101a)에 의해 형성되는 통상촬영상태에 대응하는 적정한 화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116)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통상태로 되고, 통상촬영상태를 설정한 상태를 제어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한다. 따라서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P마크(34),(37)는 통상촬영모드를 선택한 것을 나타내기 위해 오프된다(파노라마촬영모드는 선택되지 않는다).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110)를, 통상촬영상태로부터 파노라마촬영상태로 절환을 행하는 방향으로 적은 양만큼 오른쪽으로 수동으로 미끄럼이동시키면, 상기 한 바와 마찬가지로 작동을 행하고,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파노라마블레이드(102),(103)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촬영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다소 차단한다. 이때에,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글레버(113)는, 토글레버(113)가 파노라마블레이드(103)에 가압력을 작용시키지 않는 중립위치(데드점)에 아직 도달되지 않고, 또한 힘은, 토글레버(11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즉 파노라마블레이드(103)가 상부쪽으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따라서, 촬영자는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110)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파노라마블레이드(102),(103)는 통상 촬영상태로 리세트된다).
동시에, 접촉편(116a)의 연장단부의 대원호부(116c)는,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116)의 접촉편 (116a),(116b)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토글레버(113)의 직립부(113c)에 의해 미리 가압되기 때문에, 접촉편(116a),(116b)는 비도통상태로 되고, 파노라마블레이드(102),(103)가 촬영화면의 상부의 하부에서 광을 차단하는 상태를 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한다. 다음에,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P 마크는 온되어 촬영자에 경보를 알린다.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110)를 상기 위치까지 미끄럼이동시킬때에, 토글레버(113)는, 토글레버(113)의 직립부(113c)를 뒤쪽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즉 토글레버(11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116)의 이동측접촉편의 연장단부의 대원호부(116c)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촬영자가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110)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파노라마블레이드(102),(103)는 통상촬영상태로 용이하게 리세트될 수 있다.
통상/파노라마절환손잡이(110)를 파노라마촬영이 가능한 방향으로 수동으로 더욱 미끄럼이동시키면, 파노라마블레이드(102),(103)는 각각의 소정의 스트로크의 대략 중앙부분에 도달되고 또한 대응하는 양만큼 촬영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단시키는 상태로 된다. 이때에, 토글레버(113)는, 토글레버(113)가 파노라마블레이드(103)에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중립위치(데드점)에 도달되고, 또한 손가락을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110)으로부터 떼면, 파노라마블레이드(102),(103)는 상기한 상태에서 멈춘다. 그러나,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116)의 접촉편(116 a),(116b)은 이미 서로 접촉상태를 벗어나서 비도통상태로 되기 때문에, P마크는 파인더와 뒤뚜껑(19)의 액정표시에서 온되고, 따라서 파노라마블레이드(102),(103)는 촬영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단한 것을 촬영자에게 알린다. 따라서, 촬영자가 촬영을 실패한 것을, 즉 통상촬영상태로 의도한 촬영을 그릇되게 행하여 상부와 하부를 잃어버린 상태에서 피사체의 촬영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제14도 내지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4도는 카메라의 정면도로서,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로부터 후퇴한 상태(통상촬영상태)를 도시한다. 제15도는 카메라의 정면도로서,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에 진입하여 촬영 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단한 상태(파노라마촬영상태)를 도시한다.
제16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상태로 놓여있는 카메라의 중앙부의 수직단면도로서, 간략하게 도시하기 위해 촬영렌즈를 생략한 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절환작동시에 클릭력을 발생하는 기구를 도시한다. 제17도는 제15도에 도시한 상태로 놓여있는 카메라의 중앙부의 수직단면도로서, 간략하게 도시하기 위해 촬영렌즈를 생략한 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시에 클릭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를 도시한다. 제18도는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정면도로서, 파노라마블레이드를 촬영렌즈광로에 진입하도록 하여 화면의 상부와 하부분에서 광을 다소 차단시키는 상태를 도시한다. 제19도는 제18도에 도시된 상태로 놓인 카메라의 중앙부의 수직단면도로서, 간략하게 도시하기 위해 촬영렌즈를 생략한 상태에서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절환동작시에 클릭력을 발생하는 기구를 도시한다. 제14도 내지 제19도에서, 제1실시예에서 사용된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는 이에 대응하는 도면부호에 각각200을 부가하여 표시한다. 제3실시예는, 통상/파노라마촬영상태절환동작시에 클릭력을 발생하는 기구의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의 구성에 대해서만 제1실시예와 상이하고, 또한 이에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만 이하 설명한다. 토글스프링(215)은 양쪽암이 내부로 구부러진 Ω형상을 가지고, 암(215a)은 파노라마블레이드(203), 직립부(203b)에 설치된 핀(23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또한 암(215b)은 카메라본체(201)에 설치된 핀(23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토글스프링(215)은 항상 암(215a),(215b)을 외부방향으로 개방하도록 하는 힘을 발생하여, 토글스프링(215)의 회전위치에 따라 절환하는 단방향의 가입력이 핀(238)을 개재하여 파노라마블레이드(203)에 부여된다(소위 토글작동).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216)는 두개의 접촉편(216a),(216b)을 포함한다. 접촉편(216a)의 연장단부는 핀(238)위에 형성된 직립부(238a)에 의해 가압되고, 접촉편(216b)의 돌기와 접촉편(216a)은 서로 접촉하여 도통상태로 되기 때문에, 파노라마촬영상태가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통상의 촬영상태가 파노라마촬영상태롤 절환하는 작동을 토글작동의 변위력에 대항하여 행하면, 파노라마블레이드(202),(203)는 촬영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단하도록 평행관계를 유지하면서 직선이동을 행한다. 파노라마블레이드(202),(203)의 각각의 미끄럼이동량이 파노라마상태로 절환을 행하도록 요구되는 양의 절반을 초과할때에, 파노라마블레이드(203)가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토글스프링(215)에 의해 상부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파노라마블레이드(203)가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토글스프링(215)에 의해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절환된다. 따라서, 조작자에게 확실한 클릭감을 주면서, 파노라마블레이드(202),(203)가 파노라마(202),(203)의 각각의 단면이 파노라마블레이드스토퍼(201d),(201e)와 접촉되는 위치로 확실하게 변위하여 유지되므로 촬영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단해서 파노라마화면을 형성한다. 이때에,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216)의 접촉편(216a),(216b)은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핀(238)위에 형성된 (238a)에 의해 도통상태로 되고, 파노라마촬영상태가 설정된 상태를 제어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한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는 p마크(34),(37)은 파인더와 뒤뚜겅(19)의 액정표시(31)에서 온되고, 따라서 파노라마촬영모드를 설정한 것을 나타낸다.
파노라마촬영을 해제하여 통상 촬영화면에 대응하는 촬영을 행하면, 카메라의 외부바닥면에 설치된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210)를, 토글작동의 변위력에 대항하여 카메라의 바닥을 따라서 왼쪽방향으로 수동으로 미끄럼이동시킨다. 다음에, 상기한 작동에 반대되는 작동을 행하여 제14도에 도시한 상태에 도달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토글작동에 의해 조작자에게 확실한 클릭감을 주면서, 파노라마블레이드(202),(203)는 개방한 위치로 확실하게 변위하여 유지된다.
따라서, 카메라본체화면프레임(201a)에 의해 형성되는 통상촬영상태에 대응하는 적정한 화면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216)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도통상태로 되고, 통상 촬영상태로 설정된 사실을 제어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된다. 따라서,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P 마크는 오프되어 통상 촬영모드를 선택한 것을 나타낸다(파노라마촬영모드는 선택되지 않는다).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210)를 통상촬영상태로부터 파노라마촬영상태로 절환을 행하는 방향으로 작은 양만큼 오른쪽으로 수동으로 미끄럼이동시키고,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을 행하고 파노라마블레이드(202),(203)가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촬영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다소 차단하는 상태로 된다. 이때에,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글스프링(215)은, 이 토글스프링(216)이 파노라마블레이드(203)에 가압력을 작용시키지 않는 중립위치(데드점)에 아직 도달하지 않고, 파노라마블레이드(203)가 상부쪽으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힘이 아직 작용된다(따라서, 촬영자가 통상/파노라마촬영외부손잡이(210)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파노라마블레이드(202),(203)는 통상촬영상태로 리세트된다). 동시에, 접촉편(216a)의 연장단부는 핀(238)위에 형성된 돌기(238a)에의해 미리 가압되고, 따라서 접촉편(216a),(216b)은 도통상태로 되고, 파노라마블레이드(202),(203) 가 촬영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단하는 상태를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한다.
다음에,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P 마크(34),(37)는 온되어 촬영자에게 경보를 알린다.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210)를 상기 위치까지 미끄럼이동시킬때에, 핀(238)에 형성된 돌기(238a)는 상부쪽으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216)의 이동접촉편(216a)의 연장단부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촬영자가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210)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파노라마블레이드(202),(203)는, 통상 촬영상태로 용이하게 리세트될 수 있다.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210)를 파노라마촬영이 가능한 방향으로 수동으로 더욱 미끄럼이동시키는 경우, 파노라마블레이드(202),(203)는 각각의 소정의 스트로크의 대략 중앙위치에 도달하고 이에 대응하는 양만큼 화상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광하는 상태에 놓인다. 이때에, 토글스프링(215)은 토글스프링(215)이 파노라마블레이드(203)에 가압력을 작용시키지 않는 중립위치(데드점)에 도달되고, 손가락을 통상/파노라마절환외부손잡이(210)로부터 떼면, 파노라마블레이드(202),(203)는 상기 상태에서 멈춘다. 그러나, 통상/파노라마검출스위치(216)의 접촉편(216a),(216b)은 서로 이미 접촉되어 도통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P 마크(34),(37)는 파인더와 뒤뚜껑(19)의 액정표시(31)에서 온되고, 따라서 파노라마블레이드(202),(203)는 촬영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단하는 것을 촬영자에게 알린다. 따라서, 촬영자가 촬영에 실패하는 것을, 예를 들면 통상 촬영상태로 의도한 촬영을 그릇되게 행하여 상부와 하부를 잃어버린 상태에서 피사체의 촬영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비해서, 제3실시예는 토글레버와 이에 관련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토글스프링의 형상으로부터 토글작용을 직접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극히 간단한 구조를 채택할 수 있고 필요한 공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3실시예는 카메라의 소형화하기에 알맞고, 또한 경제적인 큰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에 의하면 절환조작에 의해 진퇴가능하게 이동해서 상기 촬영화면프레임의 일부를 차단함으로써 새로운 촬영화면프레임을 형성하는 차광수단을 설치한 카메라에 있어서, 차광수단이 최대후퇴위치로부터 최대전진위치까지 이동하는 스토로크의 제 1 절반의 점에서 상태를 절환하는 절환수단과, 상기 절환수단의 상태에 의거하여 외관표시를 형성하는 표시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파노라마블레이드가 도중의 위치에서 정지하여 촬영화면의 도중에서 광을 차단하여도, 촬영자에게 경고를 알려준다.
또한, 가압력이 토글스프링기구에 의해 차광수단에 부여되는 구성에서는, 최대후퇴위치로부터 토글스프링기구에 의해 가압력이 역으로 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사이에서 상기 상태를 절환하는 절환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토글스프링기구에 의한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고 차광수단이 데드점에서 정지하여도, 촬영화면의 일부에서 광을 차단하는 것을 표시하는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자가 통상 촬영상태로 의도한 촬영을 그릇되게 행하고 파사체가 상부와 하부를 잃은 상태로 실패한 촬영을 행할 확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제4실시예)
제20도 내지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0도는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의 정면도로서,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로부터 후퇴한 상태(통상촬영상태)를 도시한다. 제21도는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의 정면도이고, 파노라마블레이드가 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단하기 위해 촬영렌즈광로에 진입한 상태(파노라마촬영상태)를 도시한다.
제20도는 제21도에서, 제1실시예에서 사용된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는 이에 대응하는 도면부호에 각각 300을 부가하여 표시한다. 제4실시예는, 카메라 본체(301)에 파노라마블레이드(303)와 평행관계로 파노라마(302)가 이동되도록 하는 원호형상의 회전제한 안내홈(301b)이 설치되고 파노라마블레이드(302)에 회전제한 안내홈(301b)과 결합한 파노라마블레이드안내핀(302a)을 설치하는 점만이 제 1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대응하는 안내홈과 안내핀 사이의 관계를 역으로 하고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에 사용된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통상 화면프레임으로부터 파노라마화면프레임으로 절환을 행하는 작동과 파노라마화면프레임으로부터 통상화면프레임으로 절환을 행하는 작동은 제1실시예에 관련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상기한 파노라마기구는 1개의 유닛으로서 취급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구조에서는, 베이스판(도시되지 않음)은 카메라본체(301)와 파노라마블레이드(302),(303)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회전제한 안내홈(301b), 파노라마블레이드(301c), 파노라마블레이드스토퍼(301d),(301e), 파노라마레버안내핀(301f) 및 이에 관련된 부품이 베이스판위에 형성된다. 필요한 부품을 베이스판위에 장착한 후에, 베이스판을 카메라본체(301)에 고정한다.
(제5실시예)
제22도와 제2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2도는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도의 정면도이고,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로부터 후퇴한 상태(통상촬영상태)를 도시한다. 제23도는 카메라의 주요부분의 구성의 정면도이고,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로 진입하여 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단하는 상태(파노라마촬영상태)를 도시한다.
제22도는 제23도에서, 도시된 실시예는, 카메라본체(401), 카메라본체화면프레임(401a), 카메라본체(401)에 설치된 파노라마블레이드안내핀(401b), 카메라본체(401)에 형성한 파노라마블레이드스토퍼(401d),(401e)를 포함한다.
또, 도시된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셔터블레이드와 같은 차광기능을 가지는 박판으로 형성되고, 또한 촬영렌즈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카메라본체(401)의 벽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가능한 파노라마블레이드(402),(403)를 포함한다. 각각의 파노라마블레이드(402),(403)는 상기 인용한 일본극 특원평 4-3186호의 제2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노라마블레이드(402)는 파노라마안내판(401b)과 결합한 안내슬롯(402a)을 가지기 때문에, 파노라마블레이드(402)는 촬영렌즈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파노라마블레이드(403)와 평행관계로 이동될 수 있다. 얇은 플랜지를 가지는 축(406)은 파노라마블레이드(402)에 고정됨으로써, 파노라마블레이드구동레버(404)의 회전력은 축(406)을 개재하여 파노라마블레이드(402)에 전달될 수 있다. 파노라마블레이드(403)는 연결기구를 사용함이 없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또한 핀에 의해 통상/파노라마절환손잡이(209)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근접부가 L형상을 가진다.
파노라마블레이드구동레버(404)는 마찬가지로 박판으로 형성되고 축(405)의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축(406)은 암(404a)의 연장단부에 형성된 슬롯(404c)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얇은 플랜지를 가지는 축(407)은 암(404b)의 연장단부에 형성된 슬롯(404d)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접속레버(408)는 박판으로 제조되고 통상/파노라마절환손잡이(410)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축(407)은 접속레버(408)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클릭스프링(408a)은 접속레버(408)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접속레버(408)는 상부위치 또는 하부위치로 미끄럼 이동할때에, 클릭스프링(408a)은 그 위치에서 접속레버(408)를 확실하게 고정한다. 접속레버(408)는 통상/파노라마절환손잡이(409)의 미끄럼이동량을 파노라마블레이드구동레버(404)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클릭스프링(408)에 작동하는 클릭돌기(401f)는 카메라본체(401)위에 형성된다.
안내벽(410)은, 다소의 갭이 안내벽(410)과 단부직면(402b)사이에 형성된 상태에서, 카메라본체(401)로부터 돌출하여, 안내슬롯(402a)을 형성하는 파노라마블레이드(402)의 돌기의 단부직면(402a)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안내벽(410)은 단부직면(402b)과 접촉을 대략 유지하면서 파노라마블레이드(402)의 상하직선운동을 안내한다.
안내벽(411),(412)은, 다소의 갭이 안내벽(411)과 단부직면(402c)사이와 안내벽(412)과 단부직면(402d)사이에 형성된 상태에서 카메라본체(401)로부터 돌출하여 파노라마블레이드(402)의 단부직면(402c),(402d)을 따라서 가각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안내벽(411),(412)은 단부직면(402c),(402d)과 대략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파노라마블레이드(402)의 상하직선이동을 안내한다.
제5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중앙부의 수직단면도는 생략되었지만, 통상/파노라마화면절환기구와 주밍렌즈사이의 관계와 촬영렌즈의 일부를 구성하는 기타관련된 부품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파노라마촬영을 행하면, 뒤뚜껑은 개방되고, 또한 통상/파노라마화면절환손잡이(409)는 필름을 장전하기전에 상부방향으로 수동으로 미끄럼이동된다. 따라서, 파노라마블레이드(403)와, 통상/파노라마절환손잡이(409)에 고정된 접속레버(408)는 카메라본체(401)의 벽을 따라서 일체적으로 미끄럼이동된다.
다음에, 파노라마블레이드(403)에 의해 통상촬영화면프레임의 하부의 일부에서 광을 차단한다. 그 사이에, 축(407)에 의해 접속레버(408)에 접속된 파노라마블레이드구동레버(404)는 축(405)의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축(406)에 접속된 파노라마블레이드(402)는 카메라본체(401)의 벽을 따라서 파노라마블레이드(403)에 평행하게(직선으로) 아래로 이동된다. 따라서, 광은 파노라마블레이드(402)에 의해 통상 촬영화면프레임의 상부의 일부에서 차단된다. 상기한 작동에서는 파노라마블레이드(402)는 직선이동시와 직선이동후에 3개의 안내벽(410),(411),(412)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파노라마블레이드(402)는 안정한 상태로 계속하여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파노라마블레이드(402),(403)는 각각의 단면이 제23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파노라마블레이드스토퍼(401d),(401e)와 접촉하여 유지되는 위치에서 정지되기 때문에, 통상 촬영화면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단하여 파노라마화면프레임을 형성한다.
파노라마촬영이 해제되어 통상촬영상태에 대응하는 촬영을 행하면, 통상/파노라마절환손잡이(409)를 필름을 장전하기전에 아래쪽으로 수동으로 미끄럼이동시킴으로써, 제22도에 도시된 상태에 도달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파노라마블레이드(402)가 직선이동시와 직선이동후에 3개의 안내벽(410),(411),(412)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파노라마블레이드(402)는 안정한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파노라마블레이드(402)는 통상 촬영상태시에도 위치의 요동없이 유지됨으로써, 파노라마블레이드(402)의 일부가 촬영렌즈의 광로의 테두리부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제1실시예와 제 4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본체에 형성된 촬영화면프레임의 근처에 배치되고, 촬영광학계의 광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후퇴가능하게 이동하여 촬영화면프레임의 일부에서 광을 차단함으로써 파노라마화면프레임을 형성하는 파노라마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형식의 개선된 카메라를 제공한다. 개선된 카메라에서는, 파노라마블레이드안내레버는, 파노라마블레이드를, 상기 인용한 일본국 특원평 4-3148호에 제안된 실시예에서 사용된 슬롯과 상이한 슬롯을 가지는 회전가능결합부에 의해 이동시켜 파노라마레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하는 파노라마블레이드에 접속되고, 안내핀은 파노라마블레이드의 이동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회전제한 안내구멍과 결합한다. 따라서, 파노라마블레이드를 통상촬영상태로 유지할때에 또는 프레임절환을 위한 이동시에 단순한 구성에 의해 카메라의 크기를 증가함이 없이(카메라의 크기를 소형으로 유지하면서)파노라마블레이드를 이에 부여되는 위치의 요동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시에 카메라작동의 신뢰성 또는 특성이 위치의 요동에 의해 현저하게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5실시예에 의하면, 파노라마블레이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파노라마블레이드의 일부와 접촉하는 복수의 안내부재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파노라마블레이드를 통상 촬영상태로 유지할 때에 또는 프레임절환을 위한 이동시에 단순한 구성에 의해 카메라의 키기를 증가함이 없이(카메라의 크기를 소형으로 유지하면서)파노라마블레이드를 이에 부여되는 위치의 요동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시에 카메라작동의 신뢰성 또는 특성이 위치의 요동에 의해 현저하게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기구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6실시예)
제24도와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4도는 카메라의 주요부의 구성의 정면도로서,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로부터 후퇴한 상태(통상촬영상태)를 도시한다. 제25도는 카메라의 주요부의 구성의 정면도로서, 파노라마블레이드가 촬영렌즈광로로 진입하여 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광을 차단하는 상태(파노라마촬영상태)를 도시한다.
제6실시예의 구성은 상기한 제5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24도와 제25도에서, 제22도와 제23도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제6실시예는 통상/파노라마절환을 위한 수동작동부에 대해서만 제5실시예와 상이하므로, 수동작동부에 대해서만 이하 설명한다. 파노라마블레이드구동레버(404)는 암(404a),(404b)에 부가하여 암(404e)을 가진다. 암(404e)은 카메라본체(401)의 상부에서 카메라의 뒤쪽으로 구부러지고 통상/파노라마절환손잡이(413)는 암(404e)의 굽힘부의 연장부에 고정된다. 다른 구성은 제5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의 각각에 대하여는, 파노라마화면프레임이 2개의 파노라마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되지만, 파노라마블레이드의 개수는 두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파노라마화면프레임은 한개의 파노라마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의 각각의 상기 설명에서는, 파노라마촬영화면프레임과 통상촬영호면프레임사이의 절환가능한 카메라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절환가능한 화상표면프레임을 가지는 카메라와 같은 광학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광수단은 상대위치가 불변한 축에 의해 유지되고, 또한 촬영광학계의 광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차광수단을 후퇴가능하게 이동시키는 레버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광수단의 이동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안내캠홈과 이 안내캠홈과 결합되는 안내핀이 설치되고, 차광수단에는 안내캠홈과 인내핀중 어느하나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가 고정부재에 형성된다. 차광수단의 이동은 차광수단의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안내캠홈과 이 안내캠홈에 결합된 안내핀에 의해 안내된다.
차광수단이 촬영광학계의 광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후퇴가능하게 이동되도록 차광수단을 유지하는 레부부재와, 후퇴가능한 이동방향으로 차광수단 중 어느하나를 안내하기 위해 설치된 복수의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다른 구성을 제공한다. 차광수단의 이동은 복수의 안내부재에 의해 안내된다.
따라서, 차광수단은, 차광수단이 통상촬영상태로 유지될때에, 또는 프레임절환을 위한 이동시에 단순한 구성에 의해 카메라의 크기를 증가함이 없이 차광수단에 부여되는 위치의 요동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작동의 신뢰성과 특성이 이동시에 위치의 요동에 의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기구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에 의하면, 촬영 광학계의 광로에 후퇴가능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2개 이상의 차광수단이 촬영광속의 일부를 차단하기 위해 광로에 진입함으로써, 절환가능한 촬영화면프레임을 가지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에서, 2개이상의 차광부재를 이동시키는 레버부재가 설치되고, 2개이상의 차광부재를 직접 구동하는 2개이상의 작동부품이 상기 레버부재위에 설치된다. 따라서, 단순한 구성과 저감된 개수의 구성부품을 가지고 또한 카메라를 소형화하기에 편리한 촬영화면프레임절환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촬영화면프레임절환기구의 접속부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카메라작동의 효율, 신뢰성, 내구성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조립능률을 개선할 수 있고, 제조공정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부분적인 결함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부품단가의 제조단가를 저감하여 경제적인 큰 이익을 제공한다.

Claims (12)

  1. 화면크기를 제 1화면크기(Fig 1, 5)에서 이 제 1화면크기보다 작은 제 2화면크기(Fig 2, 6)로 상호절환해서, 차광상태를 변화시키는 화면 크기절환수단(2,3)과; 상기 화면크기절환수단에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가압수단(15)과; 상기 화면크기절환수단이 제 1,제 2화면크기의 어느쪽에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16)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화면 크기절환수단이 절환을 위한 이동과정의 소정의 위치에 있는 상태(Fig 7, 8)에 있어서 작용방향이 절환되도록 가압력을 작용시키며; 그리고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화면크기절환수단이 상기 소정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 2화면크기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를 절환할 수 있는 카메라.
  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스프링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력의 방향이 상기 화면크기절환수단의 이동과정의 소정의 위치에서 반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를 절환할 수 있는 카메라.
  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크기절환수단을 이동하도록 절환작동을 행하는 절환작동부재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를 절환할 수 있는 카메라.
  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작동부재는 미끄럼이동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를 절환할 수 있는 카메라.
  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작동부재는 상기 카메라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를 절환할 수 있는 카메라.
  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부여된 가압력은 상기 절환작동부재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를 절환할 수 있는 카메라.
  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작동부재에 작용하는 가압력의 방향은 상기 절환작동부재의 이동과정의 소정의 위치에서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를 절환할 수 있는 카메라.
  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크기절환수단의 상태에 따라서 표시를 행하는 표시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카메라의 시계내에서 시각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를 절환할 수 있는 카메라.
  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카메라의 뒤뚜껑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를 절환할 수 있는 카메라.
  1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데이터임프린팅표시수단의 근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를 절환할 수 있는 카메라.
  1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과데이터임프린팅표시수단은 한 개의 유닛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를 절환할 수 있는 카메라.
  12. 카메라에 적용되는 화면크기절환장치에 있어서, 화면크기를 제 1화면크기(Fig 1, 5)에서 이 제 1화면크기보다 작은 제 2화면크기(Fig 2, 6)로 상호절환해서, 차광상태를 변화시키는 화면크기절환수단(2,3)과; 상기 화면크기절환수단에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가압수단(15)과; 상기 화면크기절환수단이 제1, 제2 화면크기의 어느쪽에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16)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화면크기절환수단이 절환을 위한 이동과정의 소정의 위치에 있는 상태(Fig 7,8)에 있어서 작용방향이 절환되도록 가압력을 작용시키며; 그리고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화면크기절환수단이 상기 소정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 2 화면크기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절환장치.
KR1019930006644A 1992-04-20 1993-04-20 화면크기를 절환할 수 있는 카메라 및 화면크기절환장치 KR0134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125374A JPH05297446A (ja) 1992-04-20 1992-04-20 パノラマ撮影機能付カメラ
JP92-125374 1992-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140A KR930022140A (ko) 1993-11-23
KR0134175B1 true KR0134175B1 (ko) 1998-04-20

Family

ID=1490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644A KR0134175B1 (ko) 1992-04-20 1993-04-20 화면크기를 절환할 수 있는 카메라 및 화면크기절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297446A (ko)
KR (1) KR01341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140A (ko) 1993-11-23
JPH05297446A (ja) 199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7387A (en) Optical system for a single-lens reflex type video still camera
US4129369A (en) Parallax compensating device for the view finder in a camera
JP2580828Y2 (ja) カメラの撮影画面および視野枠サイズの切換連動機構
US5732298A (en) Picture frame switching mechanism
KR0134175B1 (ko) 화면크기를 절환할 수 있는 카메라 및 화면크기절환장치
US5732301A (en) Camera having variable-sized image plane and image plane size indicator
US20020071669A1 (en) Interconnection device of zoom camera
JP2001051322A (ja) トリミング撮影可能なカメラ
US7013083B2 (en) Camera of flash built-in type
JP3118082B2 (ja) 撮影画面枠切換可能カメラ
US6408139B1 (en) Zoom finder
JP2000231141A (ja) 変倍ファインダ装置
JP2672149B2 (ja) ビデオカメラ
JPH11282055A (ja) ズームファインダ
US5610676A (en) Camera permitting change-over of photographic image plane frame
US6314245B1 (en) Camera having picture size switching function and/or to data projecting function
JP3081721B2 (ja) 画面サイズ切換え可能なカメラ
JPH0622831Y2 (ja) パララックス切換えファインダ
JP3145192B2 (ja) 光路切換え装置
JP2984613B2 (ja) 光学装置
KR970004394B1 (ko) 소형 카메라의 표준모드와 파노라마모드 전환장치
JPH0229725A (ja) カメラの焦点距離切換え装置
JPH05303140A (ja) 撮影画面枠切換可能カメラ
JPH1062841A (ja) 画面サイズ切換カメラのファインダ装置
JPH1184477A (ja) ファインダー視野切換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