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1689Y1 - 차량의 접이식 인사이드미러 - Google Patents

차량의 접이식 인사이드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689Y1
KR200141689Y1 KR2019960050038U KR19960050038U KR200141689Y1 KR 200141689 Y1 KR200141689 Y1 KR 200141689Y1 KR 2019960050038 U KR2019960050038 U KR 2019960050038U KR 19960050038 U KR19960050038 U KR 19960050038U KR 200141689 Y1 KR200141689 Y1 KR 200141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irror
inside mirror
actuator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022U (ko
Inventor
박성민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50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689Y1/ko
Publication of KR199800370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0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6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60R2011/0087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around two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접이식 인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인사이드미러(2)는 고정식으로 차량용 루프트림(1)의 일측 소정부위에 장착됨으로 인해 체구가 큰 탑승자가 차량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탑승할 때 상기 인사이드미러에 머리를 부딪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위해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측 도어를 오픈시키면 자동으로 엑츄에이터(7)가 작동되고 그에 따라 차량의 루프트림(1)측에 고정되는 인사이드미러(2′)가 상측으로 접히게 됨으로써 탑승자가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에 탑승할 때 탑승자의 머리가 상기 인사이드미러(2′)에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접이식 인사이드미러
본 고안은 차량의 접이식 인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위해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측 도어를 오픈시키면 자동으로 엑츄에이터가 작동되고 그에 따라 차량의 루프트림측에 고정되는 인사이드미러가 상측으로 접히게 됨으로써 탑승자가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에 탑승할 때 탑승자의 머리가 상기 인사이드미러에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도록 한 차량의 접이식 인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용 루프트림(1)의 일측 소정부위에는 인사이드미러(2)가 구비되는 바 상기 인사이드미러(2)는 대별하여 후방측 상이 투영되는 미러부(3)와, 상기 미러부(3)를 고정시키는 미러고정부(4)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인사이드미러(2)는 고정식으로 상기 루프트림(1)의 일측 소정부위에 장착됨으로 인해 체구가 큰 탑승자가 차량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탑승할 때 상기 인사이드미러(2)에 머리를 부딪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위해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측 도어를 오픈시키면 자동으로 엑츄에이터가 작동되고 그에 따라 차량의 루프트림측에 고정되는 인사이드미러가 상측으로 접히게 됨으로써 탑승자가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에 탑승할 때 탑승자의 머리가 상기 인사이드미러에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도록 한 차량의 접이식 인사이드미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인사이드미러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접이식 인사이드미러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의한 본 고안의 제어계통을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루프트림 2,2′: 인사이드미러 3,3′: 미러부 4,4′: 미러고정부 5: 제 1힌지핀 6: 고정대 7: 엑츄에이터 8: 컨넥팅로드 9: 제 2힌지핀 10: 접이바 11: 도어접촉스위치 12: 콘트롤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용 인사이드미러를 이루는 미러고정부는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제 1힌지핀을 갖는 고정대에 연결되되, 상기 미러고정부의 일측 소정부위에는 제어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엑츄에이터의 컨넥팅로드에 연결되는 접이바가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후방측 상이 투영되는 미러부(3′)와, 상기 미러부(3′)를 고정시키는 미러고정부(4′)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인사이드미러(2′)에 있어서,
상기 인사이드미러(2′)의 미러고정부(4′)는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제 1힌지핀(5)을 갖는 고정대(6)에 연결되되, 상기 미러고정부(4′)의 일측 소정부위에는 제어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엑츄에이터(7)의 컨넥팅로드(8)에 연결되는 제 2힌지핀(9)을 갖는 접이바(10)가 상측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차량의 탑승자가 차량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측 도어(도시되지 않음)를 오픈시키면 온(ON) 되는 도어접촉스위치(11)와, 상기 도어접촉스위치(11)로부터 소정의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도어가 오픈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상기 엑츄에이터(7)가 소정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엑츄에이터(7)에 제어신호를 보내는 콘트롤러(12)로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체구가 큰 탑승자가 차량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탑승할 때 차량용 인사이드미러에 머리를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접이식 인사이드미러를 적용하게 되면 우선,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운전석 또는 조수석측 도어(도시되지 않음)를 오픈시키게 되면 상기 도어에 상응하여 차량용 B필라(도시되지 않음)의 일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도어접촉스위치(11)가 온(ON)되고 이때, 상기 도어접촉스위치(11)로부터 소정의 전기신호가 콘트롤러(12)에 인가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접촉스위치(11)로부터 소정의 전기신호를 인가받은 상기 콘트롤러(12)는 상기 도어가 오픈되었다고 판단한 후 차량용 루프트림(1)의 일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엑츄에이터(7)에 제어신호를 보내고 그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7)가 작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7)가 작동되어 상기 엑츄에이터(7)의 컨넥팅로드(8)가 내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차량용 인사이드미러(2′)의 미러고정부(4′) 일측 소정부위에 형성되는 접이바(10)가 제 2힌지핀(9)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를 갖고 상측으로 회동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인사이드미러(2′)가 차량용 루프트림(1)의 일측에 장착되는 고정대(6)의 제 1힌지핀(5)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되며 접히게 된다.
한편,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운전석 또는 조수석측 도어를 클로오즈시키게 되면 상기 도어접촉스위치(11)가 오프(OFF)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도어접촉스위치(11)로부터 소정의 전기신호가 콘트롤러(12)에 인가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접촉스위치(11)로부터 소정의 전기신호를 인가받은 상기 콘트롤러(12)는 상기 도어가 클로오즈되었다고 판단한 후 다시 상기 엑츄에이터(7)에 제어신호를 보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7)가 작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7)가 작동되어 상기 엑츄에이터(7)의 컨넥팅로드(8)가 바깥쪽으로 밀려 원위치됨에 따라 상기 접이바(9)의 제 2힌지핀(9)이 하측으로 회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미러고정부(4′)가 상기 제 1힌지핀(5)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동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사이드미러(2′)가 원위치되게 된다.
위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접이식 인사이드미러는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위해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측 도어(도시되지 않음)를 오픈시키면 자동으로 소정의 엑츄에이터(7)가 작동되고 그에 따라 차량의 루프트림(1)측에 고정되는 인사이드미러(2′)가 상측으로 접히게 됨으로써 탑승자가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에 탑승할 때 탑승자의 머리가 상기 인사이드미러(2′)에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후방측 상이 투영되는 미러부(3′)와, 상기 미러부(3′)를 고정시키는 미러고정부(4′)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인사이드미러(2′)에 있어서,
    상기 인사이드미러(2′)의 미러고정부(4′)는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제 1힌지핀(5)을 갖는 고정대(6)에 연결되되, 상기 미러고정부(4′)의 일측 소정부위에는 제어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엑츄에이터(7)의 컨넥팅로드(8)에 연결되는 제 2힌지핀(9)을 갖는 접이바(10)가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접이식 인사이드미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차량의 탑승자가 차량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측 도어(도시되지 않음)를 오픈시키면 온(ON) 되는 도어접촉스위치(11)와, 상기 도어접촉스위치(11)로부터 소정의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도어가 오픈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상기 엑츄에이터(7)가 소정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엑츄에이터(7)에 제어신호를 보내는 콘트롤러(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접이식 인사이드미러.
KR2019960050038U 1996-12-17 1996-12-17 차량의 접이식 인사이드미러 KR200141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038U KR200141689Y1 (ko) 1996-12-17 1996-12-17 차량의 접이식 인사이드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038U KR200141689Y1 (ko) 1996-12-17 1996-12-17 차량의 접이식 인사이드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022U KR19980037022U (ko) 1998-09-15
KR200141689Y1 true KR200141689Y1 (ko) 1999-05-01

Family

ID=1947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038U KR200141689Y1 (ko) 1996-12-17 1996-12-17 차량의 접이식 인사이드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6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022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46668B1 (en) Glove compartment
EP1270339B1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6283531B1 (en) Vehicle including electric folding roof
WO2003016090A2 (en) Pivoting seating system
JP2003081052A (ja) 自動車のフード構造
JP2966023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200141689Y1 (ko) 차량의 접이식 인사이드미러
JPH09183331A (ja) 車両用シート
JP2003127731A (ja) 車両の乗降補助シート
JPS6340375Y2 (ko)
JPH05213130A (ja) 転覆時保護装置
JPH06135270A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JP3773710B2 (ja) 電動折畳み屋根を備えた車両
JP2756823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0136942Y1 (ko) 승용차 뒷좌석용 암 레스트
KR200163100Y1 (ko) 승합차용 보조 시트 체결장치
JP4087752B2 (ja) 車両用フロアリフト装置
KR200142402Y1 (ko) 승합차량의 코트걸이 구조
JP2004155265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装置
KR100547183B1 (ko) 자동차 리어시트 암레스트 회전 장치
JPH0767887B2 (ja) 自動車のオ−プンル−フの駆動装置
KR200233378Y1 (ko) 차량용 빗물받이
KR0131632Y1 (ko) 안전띠 체결소켓의 압력감응식 돌출장치
JPH0764242B2 (ja) 自動車用格納式ドアミラーの姿勢制御装置
KR20230109439A (ko) 차량의 도어 암레스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