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1331Y1 - 차량용에어벤트노즐 - Google Patents

차량용에어벤트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331Y1
KR200141331Y1 KR2019940020187U KR19940020187U KR200141331Y1 KR 200141331 Y1 KR200141331 Y1 KR 200141331Y1 KR 2019940020187 U KR2019940020187 U KR 2019940020187U KR 19940020187 U KR19940020187 U KR 19940020187U KR 200141331 Y1 KR200141331 Y1 KR 2001413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air vent
vehicle
duct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0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405U (ko
Inventor
이종용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20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331Y1/ko
Publication of KR960007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4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3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35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a pivoting frame
    • B60H1/3442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a pivoting frame the frame being sphe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차량 실내의 냉난방 조절용 시스템으로서 음료의 온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별도의 음료용기 보관장소를 마련하지 않음으로서 차량 실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인스투르먼트 패널의 내측으로 설치되며 에어벤트 호스(32)와 연통하는 닥트(24)와,
상기한 닥트(24)의 입구 내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 음료용기(C)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탄성부재(12,14)를 각각 보유하는 회전판(3,4)과,
상기한 회전판(3,4)의 사이에 다수개 설치되는 그릴(8)과,
또한 상기한 회선관(3,4)과 일제로 연결되며 음료용기(C)를 받쳐주는 리브판(6)과,
상기한 리브판(6)에 고정되어 음료용기의 전후면을 각각 지지하는 후방 받침부(18) 및 전방 받침부(20)를 보유하는 탄성부재(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에어 벤트 노즐.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벤트(VENT) 노즐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벤트 노즐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노즐이 장착된 상태의 인스트루 먼트 패널의 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벤트 노즐로 부터 음료용기를 커낼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4 : 회전판 6 : 리브판
8 : 그릴 10 : 홈부
12,14 : 탄성부재 18 : 후반받침부
20 : 전방받침부
본 고안은 차량용 에어 벤트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절기에는 음료를 따뜻하게 하고, 하절기에는 시원하게 할 수 있는 에어벤트 노즐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에어 벤트 노즐은 인스트루 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차량의 실내로 더운 공기나 시원한 공기를 불어 넣을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에어 벤트 노즐은 다수개의 격판이 일정한 각도로 설치되어 회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는데, 이러한 노즐은 단지 에어 벤트 닥트에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할 수 있는 각도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에어 벤트 노즐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는 실질적으로 넓은 영역을 갖지만, 그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다.
즉 이러한 노즐을 통하여 나오는 냉기나 온기는, 차량 실내의 공기를 조절할 뿐 필요한 경우 음료를 시원하게 하거나 따뜻하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불가능하다.
이것은 에어 벤트 노즐을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공급된 공기는 차량 실내의 공기와 섞이면서 열평형이 이루이지기 때문에 하절기에는 에어 벤트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고, 동절기에는 낮아지기 때문에 음료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거의 효과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자에 이르러 차량용 냉, 온장고가 제안되어 있으나, 이러한 냉,온장고는 차량의 동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연료소비율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히터 유닛트나, 에어콘 유닛으로 부터 발생되어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 통로에 음료용기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음료의 온도조절을 어떠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행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 벤트 노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인스투르먼트 패널의 내측으로 설치되며 에어벤트 호스와 연통하는 닥트와,
상기한 닥트의 입구 내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 음료용기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각각 보유하는 회전판과,
상기한 회전판의 사이에 다수개 설치되는 그릴과,
또한 상기한 회전판과 일체로 연결되며 음료용기를 받쳐주는 리브판과,
상기한 리브판에 고정되어 음료용기의 전후면을 각각 지지하는 후방 받침부 및 전방 받침부를 보유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에어 벤트 노즐를 제공한다.
상기한 회전판은 각각 원주면상에 홈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노즐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에어 벤트 노즐의 사시도로서, 양측으로 돌기(2)가 형성된 회전판(3,4)이 대향하는 자세로 위치하며 리브 판(6)(7)에 의해 서로 고정된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한 회전판(4)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그릴(8)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러한 그릴은 통상적으로 차량의 에어벤트 노즐에 사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회전판(4)은 원판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일측 부위가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의 홈부(10)를 갖는다.
상기한 회전판(3, 4)의 사이에 온도조절을 필요로 하는 음료용기가 위치되는데, 이 음료용기를 안전하게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리브 판(6)은 중앙부가 윈호상으로 굴곡된 형상의 판재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한 회전판(3,4)의 내측면에는 이들 회전판 사이에 위치하는 음료용기의 측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12,14)가 고정되고있는데,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탄성부재(12,14)는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내측을 향하여 윈호상으로 굽어진 접촉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한 리브 판(6)에는 이곳에 위치하는 음료용기의 전후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부재(16)가 설치된다.
이 탄성부재(16)는 중앙부가 고정되어 양측단이 각각 상측으로 휘어진 후방받침부(18)와 전방받침부(20)를 보유한다.
상기한 회전판(2, 3)의 외측면에 돌출된 돌기(2)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스투르먼트 패널(22)에 고정되는 닥트(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상기한 닥트(24)의 내측면과 회전판(3,4) 사이는 도면에 표현한 바와는 달리 면접촉으로 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리브 판(6)에 설치된 탄성부재(16)의 후방 받침부(18)는 닥트(24)의 외측으로 위치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닥트(24)의 상하부에 구멍(26,28)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구멍(28)으로 탄성부재(16)의 후방 받침부(18)가 위치하여 리브판(6)에 올려지는 음료용기(C)의 뒤쪽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방 받침부(20)는 음료용기(C)의 앞쪽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한 닥트(24)의 구멍(26) 외측으로는 스톱퍼(30)가 설치되어 있는테,이 스톱퍼(30)는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6)의 후방 받침부(18)가 걸려질 수 있도륵 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2는 송풍수단으로 부터 이어지는 에어 닥트 호스를 지칭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차량용 에어 벤트 노즐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판(3,4)을 돌려서 홈부(10)가 앞쪽으로 위치되도록 하게되면, 탄성부재(16)의 후방 받침부(18)가 닥트의 구멍(26)을 통하여 스톱퍼(30)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회전판(3,4)은 외력이 가하여지지 않는 한 제4도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판(3,4)의 내측으로 음료용기(C)를 넣고 이 회전판을 돌리게 되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제3도의 상태는 음료용기(C)가 닥트(24)내측을 향하여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이 에어콘을 가동시킬 때에는 시원한 공기가 음료용기에 먼저 닺게 되고, 또 히터를 가동시킬 때에는 더운 공기가 음료용기에 닺게 된다.
이와 같이 시원한 공기나 더운 공기는 차량의 실내로 빠져 나오기 이전에 닥트(24)내에서 음료용기와 접촉하게 되므로 음료용기는 에어콘 가동시 시원하게 되고 히터가동시 더워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16)의 후방받침부(18)와 전방 받침부(20)가 음료용기의 전후면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차량이 주행을 하는 동안에도 음료용기의 전후유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회전판(3, 4)의 내측에 설치된 탄성부재(12, 14)가 음료용기의 양측면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음료용기(C)의 좌우유동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닥트 노즐을 360도 회전식 구조로 하여 그 내측으로 음료용기를 넣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음료의 온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공간을 차량의 실내에 별도로 마련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차량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공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차량용 냉온장고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Claims (2)

  1. 인스투르먼트 패널의 내측으로 설치되며 에어벤트 호스(32)와 연통하는 닥트(24)와,
    상기한 닥트(24)의 입구 내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 음료용기(C)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탄성부재(12,14)를 각각 보유하는 회전판(3,4)과,
    상기한 회전판(3,4)의 사이에 다수개 설치되는 그릴(8)과,
    또한 상기한 회전관(3,4)과 일체로 연결되며 음료용기(C)를 받쳐주는 리브판(6)과,
    상기한 리브판(6)에 고정되이 음료용기의 전후면을 각각 지지하는 후방 받침부(18) 및 전방 받침부(20)를 보유하는 탄성부재(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에어 벤트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판(3,4)은 각각 원주면상에 홈부(1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노즐.
KR2019940020187U 1994-08-10 1994-08-10 차량용에어벤트노즐 KR2001413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187U KR200141331Y1 (ko) 1994-08-10 1994-08-10 차량용에어벤트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187U KR200141331Y1 (ko) 1994-08-10 1994-08-10 차량용에어벤트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405U KR960007405U (ko) 1996-03-13
KR200141331Y1 true KR200141331Y1 (ko) 1999-05-15

Family

ID=1939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0187U KR200141331Y1 (ko) 1994-08-10 1994-08-10 차량용에어벤트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3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230A (ko) * 2001-12-18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다기능 에어클리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405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1331Y1 (ko) 차량용에어벤트노즐
JP2001047845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3252041A (ja) 温調装置
JPH0585374B2 (ko)
KR100284145B1 (ko) 자동 선회조절 가능한 블레이드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천장 그릴
JP3521121B2 (ja) 温度切替機能付き収納ボックス及び温度切替弁機構
KR102657841B1 (ko) 차량용 러기지룸 냉난방장치
KR0111196Y1 (ko)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KR0134649Y1 (ko) 차량용 가습기
KR200263461Y1 (ko) 제어부 지지수단을 구비한 에어컨
KR960007776Y1 (ko) 자동차용 방석
KR960006430Y1 (ko) 자동차의 전면창 습기 및 성에제거장치
KR100475299B1 (ko) 자동차 공조기의 밸브구동 레버고정용 보스어셈블리
JPH053365Y2 (ko)
KR930006862Y1 (ko)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
KR200364956Y1 (ko) 증발기 유닛
KR890003821Y1 (ko) 열전소자를 내장한 냉,온풍기
KR100391323B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구조
KR200234052Y1 (ko) 차량용 방석
KR0113926Y1 (ko) 자동차 에어벤트루버노즐(Air vent Louver Nozzle)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KR20010019970A (ko) 가습기가 부착된 차량용 냉난방장치
KR950006619Y1 (ko) 팬히터의 열풍안내구조
KR20200050024A (ko) 자동차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
JPH0631948Y2 (ja) 空調機能を具えた机
JPH09215518A (ja) 車の冷、暖房用の空気吹き出しを利用したヘアードライヤ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