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862Y1 -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862Y1
KR930006862Y1 KR2019910006316U KR910006316U KR930006862Y1 KR 930006862 Y1 KR930006862 Y1 KR 930006862Y1 KR 2019910006316 U KR2019910006316 U KR 2019910006316U KR 910006316 U KR910006316 U KR 910006316U KR 930006862 Y1 KR930006862 Y1 KR 930006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ody
holder
beverage container
opening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6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305U (ko
Inventor
도시오 미야지마
Original Assignee
황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태진 filed Critical 황태진
Priority to KR2019910006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862Y1/ko
Publication of KR9200213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3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8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용기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동상의 측면도.
제3도는 동상의 종단면도.
제4도는 동상의 분해 사시도.
제5a,b,c도는 본 고안 음료수용기 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a도는 제한부편이 눕혀진 홀더 본체의 개구부내에 직경이 작은 용기가 삽입 지지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b도는 제한부편이 세워진 홀더본체의 개구부내에 직경이 큰 용기가 삽입 지지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c도는 개폐부재를 세워 공기방출구를 개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홀더본체 2 : 제한부편
3 : 취부부재 4 : 주부재
5 : 개폐부재 6 : 밑판
7 : 주벽 8 : 공기취입구
9 : 공기방출구 12 : 걸어맞춤홈
13 : 끼워맞춤요부 14 : 상부편
21 : 좌우측편 22 : 후부연결편
23 : 하부연결편 24 : 걸어맞춤돌기
26 : 클립
본 고안은 자동차의 냉, 난기 분출구에 취부하여 그 분출구에서 방출되는 냉기 내지 난기에 의하여 음료수용기를 냉각 내지 가온시키는 경우에 사용하는 차량용 음료수용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를 마시는 경우에 동기(冬期)에는 이것을 데운 상태로 또 하기(夏期)에는 이것을 차게한 상태로 마시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며, 차량내에서 이와같은 상태로 음료수를 마시고저 할 때에는 예컨데, 쿨러등의 특별한 냉, 난방용 박스를 준비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차내의 공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자동차에 비치되어있는 공기조절장치에서 분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음료수를 냉각 내지 가온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후면에 공기 취입구를 가지며 상면이 개구(開口)되고 밑판을 갖고 있는 홀더본체와, 그 홀더본체를 보지함과 아울러 상기 공기취입구를 막지 않토록 설치한 후면 연결편에 자동차의 냉난방 공기분출구의 루버(Louver)에 착탈할 수 있는 클립을 취부한 취부부재로 이루워진 음료수 용기 홀더를 제공하고져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음료수용기 홀더는 음료수를 냉각 내지 가온을 하지 않는 경우 냉,난기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냉기 또는 난기를 홀더본체의 전면에서 차내에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 본체는 후면에 공기 취입구를 가지고 전면에 공기방출구를 형성한 주부재와, 이 주부재에 대하여 세워지거나 눕혀 질수 있게 취부되어 상기 공기방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직경의 크기가 다른 원통형 음료수용기를 선택적으로 집어 넣을수 있게 하기 위하여 홀더본체의 상면 후부위치에는 음료수용기가 끼워지는 홀더본체의 상면 개구부의 크기를 부분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는 제한부편이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도록 취부되어 있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홀더본체는 좌우측면의 방하부의 하향 절곡된 "ㄱ"자형상의 단턱부를 설치하여 패인부분이 형성되게 하고, 그 패인부분의 후방 아래부분에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걸어맞춤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취부부재는 "ㄱ"자모양으로 굴곡되어 그의 가장자리가 홀더본체의 단턱부에 끼워지며, 또한 내면에 상기 걸어맞춤홈에 끼워지는 세로방향의 걸어맞춤돌기가 형성된 좌우 1쌍의 측편과, 그 1쌍의 측면의 후방끝을 연결하여 클립이 취부된 후부 연결편과, 상기 양 측편의 전방끝을 연결한 하부 연결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홀더본체는 좌우측면의 후방하부 위치에 세로방향으로 연결된 걸어맞춤홈이 성되고, 상기 취부부재는 "ㄱ"자모양으로 굴곡되어 상기 홀더본체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보유하고, 상기 좌우측편 내면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가 상기 홀더본체의 걸어맞춤홈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양 측편 후부끝에는 클립이 취부되는 후부연결편이 연결 형성되고, 그 1쌍의 측편 앞끄타에 상기 흘더본체의 하면을 받치는 하부연결부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있다.
한편, 냉,난기 분출구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걸어맞춤홈이 전후방에 걸쳐 병렬로 밸설되어 있다.
또한, 홀더본체의 바람직한 형상으로서는 홀더본체의 밑판이 직선형의 뒷부분과 반원형상의 앞부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를 사용할때에는 취부부재의 클립을 자동차의 냉, 난기 분출구의 루버에 끼워 홀더본체를 수평으로 취부하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음료수용기를 홀더본체내에 집어넣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함으로써 자동차의 냉, 난기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냉기 또는 난기가 공기취입구를 통하여 홀더본체내에 유입되고 이로인하여 홀더본체내에 지지된 음료수용기는 냉각 내지 가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본체는 후면에 공기취입구를 가지며 전면에 공기방출구를 갖고 있는 주부재와 그 주부재에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게 취부되어 상기 기방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음료수용기를 홀더본체내에 집어넣어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개폐부재를 세워 공기를 방출구를 개방함으로써 냉, 난기분구로부터 분출되는 냉기나 난기를 홀더본체를 통해 그대로 차내에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음료수용기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제한부편을 세움으로써 홀더본체의 상면 개구부를 넓게 만들 수 있다.
또한, 홀더본체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걸어맞춤홈을 전후방향으로 배설하였기 때문에 취부부재에 설치된 걸어맞춤돌기를 상기 걸어맞춤홈중 적당한 홈을 선택해서 맞춤으로써 냉, 난기 분출구에 대한 전후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냉, 난기 분출구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도 무난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음료수가 담긴 캔이나 병등의 용기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된 몸체의 후면에 공기 취입구(8)가 설치된 홀더본체(1)와, 상기 홀더본체(1)의 후부 상면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취부되어 원형으로 개구된 홀더본체 (1)의 상측 개구부의 크기를 부분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한부편(2)과, 상기 홀더본체(1)를 지지하도록 홀더본체(1)와 결합되어 자동차의 냉, 난기 분출구에 취부되는 취부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본체(1)는 주부재(4)와 개폐부재(5)로 이루워지고, 상기 주부재(4)는 평면으로 보아 앞부위가 반원형상을 이루고 뒷부위가 직선형을 이루는 반원반각모양의 밑판(6)을 가지며 그 밑판(6)의 측방 및 후방주위를 따라 일정 높이의 주벽(7)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주벽(7)의 후면에 상기 공기취입구(8)가 형성되어 있으며, 반원형상으로된 주벽(7)의 전면부 상측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공기방출구(9)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주벽(7)의 외면 양측에는 "ㄱ"자형으로 절곡된 단턱부(10)를 돌출 형성하여 그 단턱부(10)로 둘러싸인 주벽(7)의 후방 하측에 패인부(11)가 형성되고, 그 패인부(11)의 후부 아래에는 복수개의 걸맞춤홈(12)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주벽(7)의 상단 후부에는 앞쪽가장자리가 밑판(6)의 만곡 원호면 (6a)과 같은 곡율반경을 가지는 원호면(14a)이 형성되고 그 상면 중간부에 끼워맞춤요부(13)가 형성된 상부편(14)이 설치되어 있며, 상기 주벽(7)의 양측 상단부와 상기 상부편(14a)에 형성된 끼워맞춤요부(13)의 대향된 양측면에는 좌우 한쌍의 걸어 맞춤구멍(15)(15), (16)(1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5)는 상기 주부재(4)의 공기방출구(9)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반원형상으로 만곡형성되어 예컨데 투명한 합성수지판으로 이룽지며, 그 만곡된 개폐부재(5)의 양단부에 걸어맞축(17)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이들 어맞춤축(17)이 상기 걸어맞춤구멍(15)에 끼워짐으로써 개폐부재(5)가 상기 주부재(4)에 대하여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작관계상 홀더본체(1)를 상부재(1a)와 하부재(1b)로 나누워서 구성하고 이들을 나사(38)로 연결해서 조립하는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한부편(2)은 몸체의 안쪽 가장자리에 상기 홀더본체(1)의 밑판 (6)에 형성된 원호면(6a)보다 작은 곡율반경으로 만곡된 원호면(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몸체의 후부 중간부위에 후방으로 절결된 절결부(18)가 구비된 평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평판상 몸체의 후부 좌우측에는 측편(19)이 각각 형성되어 그 측편(19)의 외측면에 형성된 맞춤돌기(20)가 상기 상부편(14)의 걸어맞춤구멍(16)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제한부편(2)이 상부편(14)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거나 또는 상부편(14)과 같은 수평방향으로 눕혀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한부편(2)이 상부편(14)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본체(1)의 상부에 상부편(14)의 원호면(14a)과 상기 개폐부재(5)의 원호면(5a)으로 이루어 지는 대략 정원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므로, 그 개구부를 통하여 그에 알맞는 보다 큰 음료수 용기등의 하부를 집어 넣을 수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제한부편(2)이 제1도, 제3도 및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요부(13)에 끼워지도록 수평방향으로 높혀지게 되며, 그 제한부편(2)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원호면(2a)부가 상기 상부편(14)의 원호면(14a)부 보다 안쪽으로 돌출되어 홀더본체(1)의 상측 개구부의 크기를 부분적으로 제한, 축소시키게 되므로 그 상부편(2)의 원호면(2a)과 개폐부재(5)의 원호면(5a)으로 이루어지는 개구부 사이에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음료수 용기를 집어 넣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취부부재(3)는 수평부분과 수직부분으로 이루워진 "ㄱ"자형의 좌우측편(21)(21)의 후단과 선단부를 서로 연결한 수직상의 후부연결편(22)과 수평상의 하부연결편(23)으로 형성된 틀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편(21)(21)의 내면상에는 상기 홀더본체(1)의 걸어맞춤홈 (12)중의 하나의 홈과 선택적으로 끼워맞춰지는 걸어맞춤돌기(24)가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있고, 상기 후부연결편(22)의 좌우에는 2개의 장공(25)이 가로방향으로 뚫여있다.
그리고, 이들 2개의 장공(25)에 자동차의 냉, 난기 분출구의 루버(a)에 취부가능하게 탄편으로 이루워진 2개의 클립(26)이 그 장공(25)의 길이범위내에서 좌우로 이동 조정가능하게 나사(27)로 부착되어있다.
또 도면중 부호 28은 상기 개폐부재(5)를 눕혔을 때 이를 수평상태로 보지하기위하여 홀더본체(1)의 원호면(6a) 중간부 내측에 돌출설치된 접촉편을 도시한 것이고, 29,29'는 개페부재(5)를 세웠을때에 그의 기립상태를 보지하는 돌기부이며, 30은 상기 제한부편(2)을 세웠을때에 그 세운상태를 보지하는 돌기부를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홀더를 조립할 때엔 상기 주부재(4)의 걸어맞춤구멍(15)에 상기 개페부재(5)의 걸어맞춤축(17)을 세우거나 눕힐수 있게 끼워맞춤으로써 홀더본체(1)가 구성되고, 또한 그 주부재(4)의 걸어맞춤구멍(16)에 상기 제한부편(2)의 걸어맞춤돌기(20)를 끼워 넣음으로써 그 제한부편(2)을 홀더본체(1)에 대하여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도록 취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홀더본체(1)를 상기 취부부재(3)의 좌우측편(21)(21)사이에 위로부터 집어넣어 그 좌우측편(21)의 걸어맞춤돌기(24)를 상기 홀더본체(1)의 걸어맞춤홈(12)중 하나에 끼워넣음과 아울러 홀더본체(1)의 양측 단턱부(10)를 취부부재 (3)의 측편(21) 가장자리에 맞춤으로써 홀더본체(1)를 취부부재(3)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취부부재(3)를 상기 클립(26)에 의하여 자동차의 냉, 난기 분출구의 루버(a)에 끼워 맞추어 사용한다.
이 경우 냉, 난기 분출구의 형상이 달라 그 루버(a)에 홀더본체(1)를 수직으로 취부하기가 어려울때에는, 제2도에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홀더본체(1)의 후면과 취부부재(3)의 후부연결편(22)과의 간격이 크게 벌어지도록 걸어맞춤홈(12)에 선택하여, 그 걸어맞춤홈(12)에 걸어맞춤돌기(24)를 끼워 넣으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홀더본체(1) 내에 음료수용기(b1 또는 b2)를 세워 집어 넣고 자동차의 냉방 또는 난방장치를 구동하게 되면 그 냉, 난기 분출구에서 분출하는 냉기 내지 난기는 상기 홀더본체(1)의 공기취입구(8)를 통하여 홀더본체(1)내에 유입된 후 상면 개구부 즉, 음료수용기(b)와 상기 각 원호면(5a)(14a)부 사이의 공간부 및 제한부편(2)의 절결부(18)를 통해서 차내로 방출되므로, 이 과정에서 그 음료수 용기(b1 또는 b2)가 냉각 내지 가온되는 것이다.
이때에, 냉각 또는 보온하고자 하는 용기의 외경이 작은 종류의 것인 경우에는 상기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한부편(2)을 평면상으로 높혀 홀더본체(1)의 개구부 폭을 축소 제한시킨 상태에서, 제5a도에 사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음료수용기(b1)를 집어 넣을 수가 있다.
한편, 냉각 또는 가온하고자 하는 용기의 외경이 큰 종류인 경우에는 제3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부편(2)을 이르켜 세워 홀더본체(1)의 상면 개구부를 확대 개구시킨 상태에서,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다 큰 종류의 음료수용기(b2)를 집어 넣을 수가 있다.
또, 용기(b1 또는 b2)를 접어 넣지 아니한 불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부재 (5)를 제3도 및 제5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세워 공기방출구(9)를 개방시킴으로써 공기취입구(8)로 들어오는 공기를 그대로 홀더본체(1)의 앞쪽 즉, 차량의 내부로 방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는 자동차의 냉, 난기 분출구에 취부하여 그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공기 조절용 냉, 난기를 이용해서 음료수를 냉각 내지 가온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며 특히, 그 용기 홀더를 사용하지 않을때에도 그 냉, 난기의 유통방해를 방지할 수 있고, 음료수용기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냉, 난기 분출구의 구성이 다른 차종에도 사용할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6)

  1. 후면에 공기취입구(8)가 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되며 밑판(6)이 형성된 홀더본체 (1)와, 그 홀더본체(1)를 보지함과 아울러 상기 공기취입구(8)를 막지않도록 설치되는 후부연결편(22)에 자동차의 냉, 난기 분출구의 루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립 (26)이 구비된 취부부재(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1)는 후면에 공기취입구(8)가 형성되고 전면에 공기방출구(9)가 형성된 주부재(4)와, 그 주부재(4)에 대하여 세워지거나 혀질수 있도록 취부되어 상기 공기방출구(9)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5)로 이루어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1)는 그 상면후부에 홀더본체(1)의 상면 개구부를 축소시키는 제한부편(2)이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도록 추부되어 이루어진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1)는 그 홀더본체(1)의 좌우측면의 후방상부 및 일측부에 걸쳐 "ㄱ"자형 단턱부(10)를 개재하여 패인부(11)가 형성되고, 그 패인부(11)의 하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걸어맞춤홈(12)이 형성된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3)는 "ㄱ"자형으로 굴곡되어 상기 홀더본체(1)의 좌우폭에 상응하는 간격을 보유하며 그 내면에 상기 홀더본체(1)의 걸어맞춤홈(12)에 끼워지는 세로방향의 걸어맞춤돌기(24)가 형성된 좌우 1쌍의 측편 (21)과, 상기 냉, 난기 분출구의 루버에 설치되는 클립(26)을 보유하고 상기 양 측편(21)의 후단을 연결하는 후부연결편(22) 및 상기 양 측편(21)의 앞끝을 연결하여 상기 홀더본체(1)의 하면을 받치도록 배치되는 하부연결편(23)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1)의 걸어맞춤홈(12)은 복수개의 걸어맞춤홈 (12)이 상기 패인부(11)의 하부 전후에 걸쳐 병렬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1)의 밑판(6)은 직선형상의 뒷부분과 반원형상의 앞부분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
KR2019910006316U 1991-05-03 1991-05-03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 KR9300068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6316U KR930006862Y1 (ko) 1991-05-03 1991-05-03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6316U KR930006862Y1 (ko) 1991-05-03 1991-05-03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305U KR920021305U (ko) 1992-12-18
KR930006862Y1 true KR930006862Y1 (ko) 1993-10-09

Family

ID=19313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6316U KR930006862Y1 (ko) 1991-05-03 1991-05-03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8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305U (ko) 199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5344B1 (ko) 테이블 상부에 쟁반을 가진 음식물용 열전기 냉각기와 보온기
US5165646A (en) Auto dashboard drink conditioner
US6560983B1 (en) Drink cooler
US7766294B2 (en) Beverage/cell phone support container
US4784360A (en) Beverage cooler-carrier for vehicles
US20080245941A1 (en) Support for beverage container and cell phone
US6155063A (en)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KR930006862Y1 (ko)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
US5913452A (en) Container for food or drink attachable to an air conditioner louver
CN113771719B (zh) 一种车载杯托结构
JP2572800Y2 (ja) 自動車用ドリンクホルダ
JPH0640520Y2 (ja) 自動車用ドリンクホルダ
JPH0635786Y2 (ja) 自動車用の飲料水容器ホルダ
JPH086599Y2 (ja) ドリンクホルダー
JPH08216765A (ja) ドリンクホルダ
JP4162778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容器ホルダ
JP3490181B2 (ja) 自動車のカップホルダ
KR0116483Y1 (ko) 차량 문짝용 음료수캔 및 컵 거치대
CN217515047U (zh) 一种多功能汽车杯托
KR950004024Y1 (ko) 차량용 음료홀더
JP2583521Y2 (ja) 車載用飲料容器ホルダ
KR102080990B1 (ko)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
KR960007782Y1 (ko) 컵홀더겸용 벤트노즐
KR100950863B1 (ko) 차량용 컵홀더
CA2157633C (en)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4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