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3973A - 향상된 역경로 자동 이득 제어 - Google Patents

향상된 역경로 자동 이득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3973A
KR20010113973A KR1020017014785A KR20017014785A KR20010113973A KR 20010113973 A KR20010113973 A KR 20010113973A KR 1020017014785 A KR1020017014785 A KR 1020017014785A KR 20017014785 A KR20017014785 A KR 20017014785A KR 20010113973 A KR20010113973 A KR 20010113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microcell
tone
amplitude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지. 허버트
조셉 엘. 3세 리가지오
클리포드 엠. 로베르메
스티븐 제이. 그레벌린
글렌 티. 플레봇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트랜셉트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트랜셉트 인크.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113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97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9Arrangements for range control, e.g. by using remote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선 마이크로셀 분배 시스템에서는 전화 통화와의 간섭을 최소로 하기 위해 단축된 이득 톤이 사용되는 마이크로셀로부터의 신호를 레벨 조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마이크로셀로부터의 1차 및 다이버시티 수신 경로를 위한 이득 톤은 동시에 발생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발생되어 전화 통화와의 간섭을 최소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이득 톤은 각각 120㎳로 제한된다. 이득 톤 측정은 독립 기반으로 행해져, 양쪽의 이득 톤이 전체 측정 기간 동안 동시에 온되지 않고, 1차 수신 경로 또는 다이버시티 수신 경로에 대한 이득 톤의 측정에 대응하는 측정 기간 부분 동안만 각각의 이득 톤이 온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득 톤의 절대 진폭은 시스템 상의 자동 이득 제어의 충격을 최소로 하기 위해 감소된다. 더욱이, 일 실시예에서, 단축된 이득 톤은 1차 및 다이버시티 수신 안테나에 접속된 1차 및 다이버시티 서큘레이터에 삽입되지 않고 제1 다운-변환 스테이지 이후에 삽입되며, 이에 의해 이득 톤이 삽입되는 파워 레벨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잡음에 대한 취약성이 감소된다.

Description

향상된 역경로 자동 이득 제어{IMPROVED REVERSE PATH AUTOGAIN CONTROL}
시멀캐스트 모드(simulcast mode)에서 합산 지점(summation point)에 동시에 송신되는 다수의 마이크로셀로부터의 신호의 수신을 수반하는 무선 마이크로셀 분배 시스템에서는, 마이크로셀로부터의 역경로 신호가 동일 레벨로 레벨 조정되어 비균형 상황이 발생할 때 여러 마이크로셀의 통신 가능 구역이 축소되지 않도록 요구된다. 하나의 마이크로셀로부터의 신호가 또 다른 마이크로셀로부터의 신호보다 현저히 높은 경우, 마이크로셀의 통신 가능 구역의 축소가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소정 마이크로셀의 통신 가능 구역의 외곽 지역에 있는 무선 핸드셋이 무선 핸드셋의 신호가 검출될 수 있도록 마이크로셀에 근접해야 할 것이다.
더 낮은 출력을 갖는 마이크로셀의 통신 가능 구역이 축소되는 이유는, 시스템이 비조정 마이크로셀로부터의 더 높은 레벨의 신호를 검출하고, 이에 동반하여 이 레벨 이하에 있는 마이크로셀로부터의 신호를 거부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외곽 지역에서는 통화가 두절된다. 따라서, 무선 마이크로셀 신호 분배 시스템에서는 역경로 상의 마이크로셀로부터의 신호 모두가 동일 레벨로 존재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무선 마이크로셀 분배 시스템에서, 각각의 마이크로셀은 송수신기와,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cable microcell integrator)로 지칭되는 기타 회로를 갖는다.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로부터의 신호는 합산되어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head end interface converter)에 접속되며, 이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는 다른 신호들 중에서 복귀 경로 신호(return path signal)를 처리하여 이 신호를 기지국으로 보낸다.
종래에는, 본 특허 출원에 참조되고 본 특허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John Sabat, Jr.에 의해 1997년 12월 24일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번호 제08/998,87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에서 이득 톤(gain tone)을 발생하고 이 이득 톤을 역으로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 전송하여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서 그 진폭이 측정되도록 함으로써 자동 이득 조정이 달성되었다. 소정 이득 톤에 대한 진폭을 측정한 후,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는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에 메시지를 보내어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측의 감쇠기를 조정함으로써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 도달하는 신호를 표준 레벨로 만들도록 한다.
각각의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는 마이크로셀에서의 페이딩 또는 위상 상쇄(phase cancellation)의 영향을 보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1차 및 다이버시티안테나(a primary and diversity antenna)를 갖는다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종래에는, 각각의 수신기의 제1 다운-변환 스테이지 이전에 이득 제어 신호를 삽입하여 1차 및 다이버시티 경로를 따라 이득 톤을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측으로 역으로 삽입하기 위해 이득 톤 발생기가 제공되었다. 이와 같이 제1 다운-변환 스테이지 이전에 삽입된 톤은 제어가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전술된 시스템이 상당히 원할히 작동하기는 하지만, 이득 톤의 지속기간이 800㎳를 초과하여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측으로 역으로 송신된 전화 신호와 간섭할 가능성을 갖는다. 특정의 경우에는 이득 톤의 지속기간이 전화 신호에 필적할 정도이다. 이득 톤의 지속기간이 길수록 전화 신호와 간섭할 확률이 더 높게 된다.
더욱이, 이득 톤의 진폭이 높을수록 전화 신호와 간섭할 확률이 높으므로, 이득 톤 진폭이 감소되는 시스템의 제공이 요망된다.
또한, 전술된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가 적분기의 각각의 이득 톤 발생기를 동시에 턴온하도록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 의해 지시를 받는다.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는 충분한 양의 이득 톤을 수신한 후에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에게 이득 톤의 송신을 중지하도록 명령한다. 그 결과, 이득 톤의 발생을 위한 타이밍 모두가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측에서와는 전혀 다르게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서 결정되므로, 이득 톤의 지속기간이 연장되고 전체적인 시스템의 효율이 다소 저하된다.
본 명세서에는 청구의 범위 앞에 컴퓨터 프로그램 부록이 후속되어 있다.
본 발명은 무선 마이크로셀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축된 감소 진폭 이득 톤을 발생하는 역경로 자동 이득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다수의 마이크로셀의 통신 가능 구역과, 마이크로셀간의 불균형으로 인한 통신 가능 구역의 축소를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다수의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로부터의 신호가 합산되어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는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 제공되는 무선 마이크로셀 분배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서 검출 및 측정되는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의 1차 및 다이버시티 안테나로부터의 신호 상에 이득 톤을 삽입하는 동작과, 도 2의 합산 지점에서의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로부터의 역경로 신호의 진폭이 레벨 조정되어 동일하게 될 수 있도록 1차 및 다이버시티 경로내의 감쇠기를 조정하기 위해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가 역으로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에 메시지를 제공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4는 1차 및 다이버시티 경로에 대한 이득 톤의 지속시간이 총 800㎳인 종래의 시스템에서의 이득 톤의 발생을 도시하는 파형도.
도 5는 도 4의 시스템의 캐리어 및 이득 톤에 대한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 각각의 역경로 캐리어에 대해 설정된 대역내에서의 이득 톤의 위치설정(positioning)과,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가 1차 경로에 대응하는 제1 주파수와 다이버시티 경로에 대응하는 제2 주파수의 이득 톤을 샘플링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6은 이득 톤이 독립적으로 그리고 순차적으로 발생되고 이득 톤의 지속기간이 제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이득 톤의 발생에 대한 파형도.
도 7은 1차 및 다이버시티 경로에 대한 이득 톤의 발생에 대한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각각의 톤의 독립적인 측정과, 각각의 캐리어에 대해 허용된 최대 진폭으로 설정되는 진폭을 갖는 톤을 나타내고 있는 파형도.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이득 톤이 최대 레벨의 아래, 일 실시예에서는 최대레벨의 10㏈ 아래로 되어 관련 전화 신호와의 잠재적인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6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로부터의 캐리어의 합성 진폭에 대한 모식적 도면.
도 9는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가 각각의 1차 및 다이버시티 경로에 대한 이득 톤을 턴온시키기 위해 메시지를 소정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에 제공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블로도로, 이득 톤의 개시 및 종료에 대한 타이밍이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내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나타냄.
도 10은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 이득 톤이 정확한 진폭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지점에 정착되도록 하기 위해 기지의 고정 지연이 제공되는 단축된 이득 톤을 검출하기 위한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서의 측정 윈도를 예시하는 파형도.
도 11은 그 출력이 역경로를 통해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 송신되는 온도 센서를 각각의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에 이용하고,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내의 감쇠기에 전송된 메시지를 변경하기 위해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가 온도 보상 테이블을 가져 이들 감쇠기가 마이크로셀에서 감지된 온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는 경우를 예시하는 블록도.
도 12는 이득 톤을 발생하고 이 이득 톤을 역으로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 제공하기 위한 회로를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에 이용한 경우의 블록도.
전술된 시스템과는 반대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1차 경로에 대한 이득 톤이 턴온되고 나서 턴오프된 다음에 다이버시티 경로에 대한 이득 톤이 턴온 및 턴오프되도록, 1차 경로와 다이버시티 경로에 대한 이득 톤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면, 전체 측정 기간 동안 이득 톤이 지속적으로 온이 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이득 톤의 지속기간이 급격하게 단축되어 간섭을 감소시키면서 여전히 시스템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1차 경로와 다이버시티 경로에 대한 이득 톤의 지속기간은 각각 400㎳가 아니라 100㎳로 단축된다. 이것은 이득 톤이 합계 800㎳ 이상의 시간 동안 동시에 온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경로에 대해 불과 120㎳ 동안만 독립적으로 온되므로 마이크로셀로부터 역으로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로 유입되는 전화 신호와의 간섭을 최소로 한다.
또한, 이득 톤의 진폭이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로부터의 역경로 신호에 대한 누적 레벨(cumulative level) 이하로 미리 설정된다. 이것은 이득 톤 진폭을 캐리어에 대한 최대 허용 누적 진폭으로 설정하는 것과 대조된다. 6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의 경우, 누적 허용가능 레벨은 -93㏈이다. 일 실시예에서의 이득 톤의 레벨은 -93㏈ 레벨로부터 10㏈ 아래로 설정된다. 주된 용도로는 6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로부터의 신호가 설명되지만, 역경로 신호의 수는 소정 지점에서 합산된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의 수에 좌우된다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차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득 톤 진폭은 감소되어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이득 톤의 지속기간도 단축되어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에는 각각의 이득 톤의 개시와 종료의 시간을 맞추는 타이머가 제공되며,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는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에 각각의 톤을 개시할 시점과 종료할 시점에 관한 메시지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로부터의 메시지의 수신시 이득 제어 톤에 대한 타이밍이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에서 제어되어, 더욱 효율적인 자동 이득 제어 시스템이 구성된다.
또한,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는 이득 톤의 진폭 측정을 위한 윈도우가 이득 톤의 기대된 착수 시점으로부터 오측정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양만큼 지연되도록, 이득 톤의 진폭 측정을 위한 윈도우를 설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제공된다.
그 결과,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서 신호의 불균형으로 인한 소정 마이크로셀의 통신 가능 구역의 축소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로부터의 역경로 전송을 레벨 조정할 수 있는 확실한 자동 역경로 이득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1차 및 다이버시티 수신 안테나에 접속된 1차 및 다이버시티 서큘레이터(circulator)에 이득 제어 톤을 삽입하지 않고, 단축된 이득 톤이 1차 및 다이버시티 경로에 대한 제1 다운-변환 스테이지 이후에 삽입되며, 이에 의해 이득 톤 진폭 이상의 더 우수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무선 마이크로셀 분배 시스템에서는 전화 통화와의 간섭을 최소로 하기 위해 단축된 이득 톤이 사용되는 마이크로셀로부터의 신호를 레벨 조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더욱이, 마이크로셀로부터의 1차 및 다이버시티 수신 경로를 위한 이득 톤은 동시에 발생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발생되어 전화 통화와의 간섭을 최소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이득 톤은 각각 120㎳로 제한되며, 이와 같이 하여 1차 또는 다이버시티 경로에서의 이득 톤의 총 지속기간은 120㎳로 제한된다. 이득 톤 측정은 독립 기반으로 행해져, 양쪽의 이득 톤이 전체 측정 기간 동안 동시에 온되지 않고, 1차 수신 경로 또는 다이버시티 수신 경로에 대한 이득 톤의 측정에 대응하는 측정 기간 부분 동안만 각각의 이득 톤이 온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득 톤의 절대 진폭은 시스템 상의 자동 이득 제어의 충격을 최소로 하기 위해 감소된다. 더욱이, 일 실시예에서, 단축된 이득 톤은 1차 및 다이버시티 수신 안테나에 접속된 1차 및 다이버시티 서큘레이터에 삽입되지 않고 제1 다운-변환 스테이지 이후에 삽입되며, 이에 의해 이득 톤이 삽입되는 파워 레벨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잡음에 대한 취약성이 감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 및 기타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연관하여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대표적인 무선 마이크로셀 분배 시스템에서는, 셀 사이트로서 기능하는 다수의 마이크로셀(10, 12, 14)이 역경로를 통해 신호를 역으로 합산 유닛(16)에 제공하며, 이 합산 유닛(16)은 핸드셋(20)으로부터 수신된 전화 신호를 역으로 기지국에 제공하기 위해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18)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셀로부터의 신호는 일시적인 경우 경로(22, 24, 26)를 따른 각각의 마이크로셀로부터의 신호의 진폭이 주로 마이크로셀에서의 온도차로 인해 진폭 변화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마이크로셀은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를 포함한다. 각각의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에 대해, 그늘이 지거나 풍향 변화 상태에 따라 각종 마이크로셀에서의 내부 기기 온도가 현저하게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그 결과, 일부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로부터의 합산 지점 신호가 "뜨거운" 것으로 간주되어 미리 설정된 최대 레벨 보다 10㏈ 이상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경로(24, 26) 상의 신호가 이러한 미리 설정된 최대 레벨보다 10㏈ 더 높은 경우, 경로(22)에 따른 신호는 이들 신호에 의해 파묻혀지게 될 것이다. 그 당연한 결과로, 마이크로셀(10)의 통신 가능 구역은 점선의 원(30, 32, 34)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불균형으로 인해 축소된다. 불균형이 존재하도록 허용된다면, 다수의 통화가 두절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도 2에는 개개의 1차 안테나(48)와 다이버시티 안테나(50)를 각각 갖는 다수의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40, 42, 44, 46)가 역경로를 따라 신호를 역으로 합산 지점(52)에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로셀 분배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 도면 부호 "53"으로 표시된 핸드셋으로부터의 신호를 1차 안테나 및 다이버시티 안테나에서 수신한 결과는 이들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의 각각으로부터의 캐리어가 된다. 이 캐리어를 통한 1차 신호 및 다이버시티 신호는 합산 지점(52)을 통해 역으로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54)를 경유하여 기지국(56)에 전송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40)는 1차 역경로와 다이버시티 역경로에 각각 이득 톤 발생기(60)와 이득 톤 발생기(62)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이들 이득 제어 발생기의 각각의 출력은 CDMA 수신기가 사용되는 각각의 송수신기(64, 66)에 제공되고, 조정 가능한 감쇠기(68, 70)를 통해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54)에 제공된다. 이에 의해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 의해 진폭이 측정되는 이득 톤이 제공된다.
파형(72)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경로 캐리어(74)와 다이버시티 경로 캐리어(76)의 각각은 도면 부호 "78"과 "80"으로 표시된 적합한 이득 톤을 반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들 이득 톤은 1차 채널과 다이버시티 채널의 중심 주파수에서 400㎑ 만큼 오프셋되고, 각각 400㎳의 지속기간을 갖는다.
도 4에는 1차 경로 및 다이버시티 경로에 대한 이득 톤이 사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사선부(82, 84)는 이득 톤의 총 지속기간이 800㎳ 정도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들 이득 톤이 각각 파형(86, 88)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되는 시간 윈도우에 상관없이, 이득 톤은 측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온되어 있다.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서의 측정 윈도우에 상관없이, 이득 톤이 전체 800㎳ 동안 온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파형(90, 92)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차 경로와 다이버시티 경로의 각각에서의 관련 이득 톤의 진폭은 도면 부호 "94"와 "96"으로 도시되어 있다. 1차 역경로에서는 화살표 "98"에 의해 표시된 시각에서 샘플링이 행해지는 반면, 다이버시티 경우에서는 화살표 "100"으로 표시된 시각에서 샘플링이 행해진다. 그러므로, 샘플링이 순차적 방식으로 행해지기는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득 톤의 발생은 양자가 합성 샘플링 윈도우 동안의 모든 시간에 온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이득 톤이 모든 시간에 온되지 않고, 도면 부호 "102"로 표시된 1차 역경로에 대한 이득 톤이 일 실시예에서 100㎳로 제한되는 한편, 도면 부호 "104"로 도시된 다이버시티 경로에 대한 이득 톤도 마찬가지로 100㎳로 된다. 2개의 이득 톤이 동시에 턴온되지 않고 본 시스템에 의해 순차적으로 턴온됨을 명백히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득 톤은 독립적으로 발생된다.
더욱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이득 톤 진폭(106, 108)은 엔벨로프(110, 120)와 관련된 진폭보다 더 적게 되도록 설계된다.
더 구체적으로, 6개의 상이한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로부터의 신호가 합산 지점에 접속되는 것으로 하는 도 8을 참조하면, 캐리어 레벨(12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총진폭은 -93㏈ 이하가 되도록 설정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이득 톤(122)이 캐리어 레벨(120)로부터10㏈ 아래로 설정될 수 있으면서도 여전히 확실하게 수신 및 측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득 톤 진폭의 감소와 더불어 이득 톤의 지속기간을 감소시킨 결과, 실제로 역경로내의 전화 신호와 이득 톤과의 어떠한 간섭 문제도 제거된다.
더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1차 경로와 다이버시티 경로에 대해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내의 이득 톤 발생기를 제어하는 메시지 발생기(124, 126)가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54)에 제공된다. 이 경우,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40)에는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로부터의 메시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가 제공되며, 디코더(128)는 1차 경로 이득 톤에 대한 메시지를 디코딩하고, 디코더(130)는 다이버시티 경로 이득 톤에 대한 메시지를 디코딩한다. 디코딩된 메시지는 각각의 이득 톤을 요구된 양의 시간 동안 활성화시키기 위한 유닛(132, 134)에 제공되며, 각각의 유닛에는 클록(136)으로부터 클록 신호가 제공된다.
동작시,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는 그들의 각각의 이득 톤을 턴온시키기 위해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에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 후, 유닛(132, 134)은 이득 톤 발생기를 활성화시켜 적합한 시각에 각각의 이득 톤의 개시와 종료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득 톤의 발생은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로부터의 메시지에 응답하여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에서 시각이 정해진다.
도 10을 참조하면,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측에서는 이득 톤의 진폭의 검출과 측정을 위한 윈도우가 각각 파형 "140"과 "14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에 의해 발생된 이득 톤을 수신하기 위한 윈도우는 통상적으로 120㎳로 설정되며,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 측정 윈도우는 통상적으로 88㎳로 설정된다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는 이득 톤을 놓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는 프로그램 가능한 지연(144)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 대한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의 거리에 관련된 지연이 고려될 수 있다. 이득 톤의 수신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온도 변이뿐만 아니라 거리로 인한 지연 또는 손실이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서 직접적으로 보상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을 기반으로 온도를 감지하여 이것을 역채널(151)을 통해 역으로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54)내의 온도 보상 테이블(152)에 제공하는 온도 센서(150)가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40)에 제공된다. 이득 톤은 역경로(154)를 따라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내의 측정 유닛(155)에 송신된다. 이 측정 유닛은 절대 진폭을 측정하고, 메시지 발생기(156)에서 메시지를 발생하도록 하며, 이 메시지는 역으로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내의 감쇠기(158)에 전송된다.
감쇠기(158)에 의해 설정된 그 지점을 미세 조율하기 위해 온도 보상 테이블이 사용되는 경우, 전송된 메시지는 측정 유닛(155)에서 측정된 절대 진폭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부터 변경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로부터의 출력에 걸쳐 매우 세밀한 제어가 이루어져 세밀한 균형이 달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내의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1차 안테나와 다이버시티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는 적합한 대역 통과 필터 및 증폭기(164, 166)에 접속되는 각각의 서큘레이터(160, 162)에 접속된다. 국부 발진기(168)는 신호를 각각의 채널내의 믹서(172, 174)에 제공하는 스플리터(170)에 접속된다. 이러한 홉합 동작의 목적은 1차 및 다이버시티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를 다운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들 믹서의 출력은 톱형 필터(saw filter) 및 증폭기(180, 182)에서 발생된 이득 톤에 가해지는 커플러(176, 178)에 접속된다. 안테나에서와는 전혀 다르게 이러한 다운 변환 스테이지에서 이득 톤을 혼합하는 것은 용이하게 생성된 이득 톤에 대해 대체로 높은 진폭을 제공한다. 이득 톤이 통상적으로 2㎓인 다운 변환 이전에 삽입되면, 고주파의 수반으로 인해 적합한 이득 톤 진폭을 획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제1 다운-변환 스테이지 이후의 삽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커플러(176, 178)의 출력은 각각 톱형 필터 및 증폭기(180, 182)에 인가되며, 이 톱형 필터 및 증폭기는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따라 조정된 감쇠량을 갖는 감쇠기(184, 186)에 접속된다. 감쇠기의 출력은 믹서(190, 192)에 의해 다운 변환되며, 이 믹서에는 각각 국부 발진기(194, 196)의 출력이 공급된다. 이러한 다운 변환 결과는 전력 분배기(198)에 인가되며, 전력 분배기의 출력은 대역 통과 필터/증폭기(200) 및 추가의 감쇠기(202)에 인가되며, 그 출력은 스플리터(204), 증폭기 및 대역 통과 필터(206) 및 변환기 커플러(208)를 차례대로 통과된다.
각각의 경로에 대한 감쇠기(184, 186)는 감쇠량을 제어하고, 그에 따라 전력 분배기에 제공되는 신호의 크기를 제어한다. 추가의 감쇠량 제어는 감쇠기(202)에 의해 제공된다.
이득 톤의 발생 및 감쇠기의 제어를 위해 C 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이 첨부된 컴퓨터 프로그램 부록에 포함되어 있다.
다음의 컴퓨터 프로그램 부록을 포함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그에 대한 각종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전술한 내용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그러한 것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의 사상내에서 다양한 변형예 및 기타 실시예가 가능하며, 이들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부록>

Claims (10)

  1. 마이크로셀로부터의 합산 지점을 통해 삽입되는 전화 신호를 반송하는 1차 경로 및 다이버시티 경로를 통해 이득 톤이 역으로 이득 톤 진폭 측정 유닛에 송신되는 무선 마이크로셀 분배 시스템에 있어서,
    삽입되는 전화 신호와 상기 이득 톤의 간섭이 최소로 되는 지점까지 상기 이득 톤의 지속기간을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로셀 분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마이크로셀로부터의 상기 합산 지점에서의 전화 신호의 누적 진폭은 소정 최대치로 설정되며, 이득 톤의 진폭은 상기 최대치로부터의 진폭 아래의 소정 거리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로셀 분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상기 이득 톤과 상기 전화 신호간의 간섭을 최소로 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로셀 분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톤의 진폭은 상기 최대치로부터 적어도 10㏈ 아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로셀 분배 시스템.
  5. 무선 마이크로셀 분배 시스템에서, 마이크로셀에서 합산 지점으로 역으로 전화 신호에 대한 레벨 조정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마이크로셀로부터의 이득 톤의 발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각각의 마이크로셀에 송신하는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와;
    각각의 마이크로셀에서 1차 경로와 다이버시티 경로를 형성하는 수단과;
    각각의 마이크로셀에 위치되고, 1차 경로와 다이버시티 경로에의 삽입을 위해 제한된 지속기간의 이득 톤을 독립적으로 발생하며, 상기 이득 톤의 지속기간이 상기 전화 신호와의 간섭을 최소로 할만큼 충분히 짧게 되는 수단과;
    상기 1차 경로와 다이버시티 경로에 상기 이득 톤을 삽입하는 수단과;
    상기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 위치되고, 상기 이득 톤의 진폭을 측정하며, 상기 마이크로셀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합산 지점에서 진폭이 동일하게 되도록 전화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대응하는 마이크로셀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셀로부터 상기 합산 지점까지의 전화 신호의 누적 레벨은 소정의 최대치를 가지며, 상기 이득 톤의 진폭은 상기 최대치보다 소정량 만큼 아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의 각각에 위치된 온도 센서와, 케이블 마이크로셀 적분기에 위치되고 마이크로셀에서의 온도를 상기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헤드엔드 인터페이스 변환기에 위치된 온도 탐색표와, 마이크로셀에서의 온도를 고려하기 위해 마이크로셀에 송신된 레벨 조정 신호를 수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측정 수단은 상기 1차 경로와 다이버시티 경로에서의 이득 톤에 대해 별도의 측정 윈도우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개시는 상기 이특 톤의 검출을 확실히 하기 위해 소정량만큼 지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셀의 각각은 1차 및 다이버시티 안테나와 이들에 접속된 각각의 다운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수단은 삽입된 이득 톤의 진폭에 대한 안정한 제어를 위해 상기 다운 변환 이후에 상기 1차 및 다이버시티 경로에 상기 이득 톤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017014785A 1999-05-20 2000-05-19 향상된 역경로 자동 이득 제어 KR200101139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575399A 1999-05-20 1999-05-20
US09/315,753 1999-05-20
PCT/US2000/013886 WO2000072475A1 (en) 1999-05-20 2000-05-19 Improved reverse path autogain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973A true KR20010113973A (ko) 2001-12-28

Family

ID=23225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785A KR20010113973A (ko) 1999-05-20 2000-05-19 향상된 역경로 자동 이득 제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179234A1 (ko)
JP (1) JP2003500978A (ko)
KR (1) KR20010113973A (ko)
AU (1) AU5148100A (ko)
CA (1) CA2371496A1 (ko)
IL (1) IL146358A0 (ko)
WO (1) WO2000072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3585B2 (en) 2006-12-19 2014-10-28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MIMO technologies
US20100054746A1 (en) 2007-07-24 2010-03-04 Eric Raymond Logan Multi-port accumulator for radio-over-fiber (RoF) wireless picocellular systems
US8175459B2 (en) 2007-10-12 2012-05-08 Corning Cable Systems Llc Hybrid wireless/wired RoF transponder and hybrid RoF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me
US8644844B2 (en) 2007-12-20 2014-02-04 Corning Mobileaccess Ltd. Extending outdoor location based services and applications into enclosed areas
CN102369678B (zh) 2009-02-03 2015-08-19 康宁光缆系统有限责任公司 基于光纤的分布式天线系统、组件和用于校准基于光纤的分布式天线系统、组件的相关方法
WO2010090999A1 (en) 2009-02-03 2010-08-12 Corning Cable Systems Llc Optical fiber-based distributed antenna systems,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figuring thereof
US9673904B2 (en) 2009-02-03 2017-06-06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Optical fiber-based distributed antenna systems,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for calibration thereof
US9590733B2 (en) 2009-07-24 2017-03-07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Location tracking using fiber optic array cabl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8280259B2 (en) 2009-11-13 2012-10-02 Corning Cable Systems Llc Radio-over-fiber (RoF) system for protocol-independent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US8275265B2 (en) 2010-02-15 2012-09-25 Corning Cable Systems Llc Dynamic cell bonding (DCB) for radio-over-fiber (RoF)-based networks and communic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N102845001B (zh) 2010-03-31 2016-07-06 康宁光缆系统有限责任公司 基于光纤的分布式通信组件及系统中的定位服务以及相关方法
US8570914B2 (en) 2010-08-09 2013-10-29 Corning Cable Systems Ll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location of a mobile device(s)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s)
US9252874B2 (en) 2010-10-13 2016-02-02 Ccs Technology, Inc Power management for remote antenna units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US9160449B2 (en) 2010-10-13 2015-10-13 Ccs Technology, Inc. Local power management for remote antenna units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EP2643947B1 (en) 2010-11-24 2018-09-1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Power distribution module(s) capable of hot connection and/or disconnection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s, and related power units, components, and methods
US11296504B2 (en) 2010-11-24 2022-04-0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Power distribution module(s) capable of hot connection and/or disconne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related power units, components, and methods
EP2702710A4 (en) 2011-04-29 2014-10-29 Corning Cable Sys Llc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DELAY OF COMMUNICATIONS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AND CORRESPONDING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CN103609146B (zh) 2011-04-29 2017-05-31 康宁光缆系统有限责任公司 用于增加分布式天线系统中的射频(rf)功率的系统、方法和装置
WO2013148986A1 (en) 2012-03-30 2013-10-03 Corning Cable Systems Llc Reducing location-dependent interference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operating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nfiguration,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US9781553B2 (en) 2012-04-24 2017-10-03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Location based services in a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EP2842245A1 (en) 2012-04-25 2015-03-04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Distributed antenna system architectures
US9154222B2 (en) 2012-07-31 2015-10-06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Cooling system control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WO2014024192A1 (en) 2012-08-07 2014-02-13 Corning Mobile Access Ltd. Distribution of time-division multiplexed (tdm) management services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US9455784B2 (en) 2012-10-31 2016-09-27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Deployable wireless infrastructures and methods of deploying wireless infrastructures
US10257056B2 (en) 2012-11-28 2019-04-0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Power management for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s,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CN105308876B (zh) 2012-11-29 2018-06-22 康宁光电通信有限责任公司 分布式天线系统中的远程单元天线结合
US9647758B2 (en) 2012-11-30 2017-05-0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Cabling connectivity monitoring and verification
US9158864B2 (en) 2012-12-21 2015-10-13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ocumenting a location of installed equipment
US9497706B2 (en) 2013-02-20 2016-11-1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Power management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WO2014199380A1 (en) 2013-06-12 2014-12-18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Time-division duplexing (tdd) in distributed communications systems, including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EP3008515A1 (en) 2013-06-12 2016-04-20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Voltage controlled optical directional coupler
US9247543B2 (en) 2013-07-23 2016-01-26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Monitoring non-supported wireless spectrum within coverage areas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US9661781B2 (en) 2013-07-31 2017-05-23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Remote units for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s and related install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EP3039814B1 (en) 2013-08-28 2018-02-21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Power management for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s,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US9385810B2 (en) 2013-09-30 2016-07-0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Connection mapping in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s
WO2015079435A1 (en) 2013-11-26 2015-06-04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Selective activation of communications services on power-up of a remote unit(s)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based on power consumption
US9178635B2 (en) 2014-01-03 2015-11-03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Separation of communication signal sub-bands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to reduce interference
US9775123B2 (en) 2014-03-28 2017-09-26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Individualized gain control of uplink paths in remote units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based on individual remote unit contribution to combined uplink power
US9357551B2 (en) 2014-05-30 2016-05-31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 sampling of serial digital data streams from multiple analog-to-digital converters (ADCS), including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US9509133B2 (en) 2014-06-27 2016-11-2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Protection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s
US9525472B2 (en) 2014-07-30 2016-12-20 Corning Incorporated Reducing location-dependent destructive interference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operating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nfiguration,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US9730228B2 (en) 2014-08-29 2017-08-08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Individualized gain control of remote uplink band paths in a remote unit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based on combined uplink power level in the remote unit
US9653861B2 (en) 2014-09-17 2017-05-16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Interconnection of hardware components
US9602210B2 (en) 2014-09-24 2017-03-21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Flexible head-end chassis supporting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interconnection of radio interface modules and optical interface modules in an optical fiber-based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US9420542B2 (en) 2014-09-25 2016-08-16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System-wide uplink band gain control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based on per band gain control of remote uplink paths in remote units
US9729267B2 (en) 2014-12-11 2017-08-08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Multiplexing two separate optical links with the same wavelength using asymmetric combining and splitting
US20160249365A1 (en) 2015-02-19 2016-08-2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Offsetting unwanted downlink interference signals in an uplink path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US9785175B2 (en) 2015-03-27 2017-10-10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Combining power from electrically isolated power paths for powering remote units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US9681313B2 (en) 2015-04-15 2017-06-13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Optimizing remote antenna unit performance using an alternative data channel
US9948349B2 (en) 2015-07-17 2018-04-17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IOT automation and data collection system
US10560214B2 (en) 2015-09-28 2020-02-11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Downlink and uplink communication path switching in a time-division duplex (TDD)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US9648580B1 (en) 2016-03-23 2017-05-0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Identifying remote units in a wireless distribution system (WDS) based on assigned unique temporal delay patterns
US10236924B2 (en) 2016-03-31 2019-03-1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Reducing out-of-channel noise in a wireless distribution system (WD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0702B1 (en) * 1996-08-01 2002-11-12 Transcep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wireless communications signals to remote cellular antennas
CA2225901A1 (en) * 1997-12-24 1999-06-24 John Sabat Jr. Remotely controlled gain control of transceiver used to inter-connect wireless telephones to a broadband network
US6122529A (en) * 1998-03-17 2000-09-19 Transcept, Inc. Simulcast with hierarchical cell structure over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71496A1 (en) 2000-11-30
WO2000072475A1 (en) 2000-11-30
WO2000072475A9 (en) 2002-07-04
IL146358A0 (en) 2002-07-25
JP2003500978A (ja) 2003-01-07
EP1179234A1 (en) 2002-02-13
WO2000072475B1 (en) 2001-02-15
AU5148100A (en) 2000-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13973A (ko) 향상된 역경로 자동 이득 제어
USRE37870E1 (en) CDMA/TD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737687A (en) Self-attenuating RF transceiver system using antenna and modem interfaces and cable link
KR100351787B1 (ko) 스프레드스펙트럼통신네트워크에있어서사용자간섭을시뮬레이트하기위한시스템및방법
KR100722215B1 (ko) 고유 cdma 코드와 관련된 통신 신호를 처리하는 모뎀
JP3084065B2 (ja) 受信アンテナの状態を測定する方法及び構成体
FI87287C (fi) Foerstaerkningsreglering av en agc-foerstaerkare i ett pao tidsmultiplexering baserat radiotelefonsystem
CA2154281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base station in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radio communications system
JPH04372234A (ja) 送信電力制御方式
JP4286955B2 (ja) 通信遮断装置および通信遮断方法
KR100467222B1 (ko) 다중 주파수할당 기지국의 수신감도 측정방법
JPH0936764A (ja) 無線中継装置
AU750740B2 (en) Reception method and receiver
JP2001502139A (ja) 非線形変換メトリックを使用する送信器と受信器の改良型同期
Medved et al. Extended range functionality for GSM networks
JP2004048198A (ja) 無線中継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40044240A (ko) 역방향 경로를 이용하여 안테나 분리도를 검출하는 중계기
KR20010010759A (ko) 공간파 유기를 이용한 이동전화망에서의 가상주파수 변환 발생기
JP2001267941A (ja) 無線受信装置および干渉波除去装置
MXPA98001453A (en) Method and system for gain control with non-ortogo noise energy 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