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745A - 탈지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냉연강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탈지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냉연강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745A
KR20010112745A KR1020000032932A KR20000032932A KR20010112745A KR 20010112745 A KR20010112745 A KR 20010112745A KR 1020000032932 A KR1020000032932 A KR 1020000032932A KR 20000032932 A KR20000032932 A KR 20000032932A KR 20010112745 A KR20010112745 A KR 20010112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degreasing
rolled steel
cold rolled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2708B1 (ko
Inventor
나상묵
김상곤
김행옥
이용진
문만빈
이종훈
Original Assignee
권수식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수식,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수식
Priority to KR1020000032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708B1/ko
Publication of KR20010112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7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21B1/2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by cold-rolling, e.g. Steckel cold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16Control of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2001/22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skin pass rolling or temper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02Transverse dimensions
    • B21B2261/04Thickness, ga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5/00Forming parameters
    • B21B2265/14Reduction 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 Rolling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용 강판에 있어 자동차사에서 탈지시 강판의 탈지불량이 냉연공정상에서 기인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그 해결방법을 제공한다. 즉, 냉연강판은 연속산세 압연설비에서 일정한 조건으로 산세, 압연된 후 연속소둔설비에서 탈지, 열처리, 조질압연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 때, 각 공정에서의 표 1과 같은 조건내에서 작업을 하되, 특히 조질압연에 있어 강판두께 0.6mm이하에서는 압하연신율을 0.7%이상, 0.7∼1.2mm까지는 0.9%이상, 1.3mm이상의 경우는 1.0%이상으로 하여 자동차 탈지공정에서 탈지성이 우수한 냉연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지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냉연강판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Good Degreasing Property for Automobile Us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냉연강판을 제조함에 있어서, 자동차 회사에서 성형공정 전 탈지후 수세시 물 젖음성이 우수한 즉, 탈지성이 우수한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강회사에서 제조되어 자동차회사로 공급되는 냉연강판은 블랭킹, 프레스공정 및 점용접 공정 등을 거친 후 탈지처리를 거치게 된다.
자동차사의 탈지공정은 석유계 화합물을 이용한 와이핑(Wiping) 및 탕세 처리 후 알칼리 탈지를 행한 후 수세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탈지성이 불량한 냉연강판의 경우 수세 공정에서 물젖음성이 안좋아 강판이 물에 젖지 않은 부위가 발생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착도장 불량을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은 표 1과 같은 제조공정중 특히 조질압연 조건을 적절히 해줌으로써 이러한 물젖음성 불량이 없는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 1 도는 PL/TCM(연속산세소둔 라인)의 개략공정배치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 2 도는 CAL(연속소둔설비)의 개략공정배치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 3 도는 스퍼터링 시간에 따른 탈지성이 불량한 강판표면의 원자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 4 도는 스퍼터링 시간에 따른 탈지성이 양호한 강판표면의 원자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통상 자동차용 냉연강판은 연속산세압연설비에서 일정한 조건으로 산세 및 압연을 하여 준 후 연속소둔설비에서 탈지, 연속소둔, 조질압연(skin pass rolling), 방청유 도포 공정 등을 거쳐 제조된 후 자동차회사에 공급된다. 표 1은 각 공정별 제조조건을 나타낸 것이며 도 1, 2는 연속산세압연설비 및 연속소둔설비의 배치도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자동차용 강판에 있어 탈지불량은 각 공정에 있어 미세한 조업조건의 변화 즉, 표준 미준수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특히, 자동차용 외판재의 경우는 이러한 탈지불량의 흔적이 전착 도장 후 판표면에도 남게 되기 때문에 더 큰 불량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산세를 비롯한 여러 공정 조건은 물론 특히 조질압연조건이 이러한 자동차용강판의 탈지 불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고 탈지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지금부터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냉연강판은 원료인 열연강판(Hot Coil)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열연강판은 표면에 두꺼운 산화피막으로 덮여져 있기 때문에 연속산세압연설비의 산세공정에서 산화피막을 제거해야 한다. 당사의 경우 도 1에서와 같이 산세설비는 3개의 탱크로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우선 평탄기(Tension levelling) 공정을 통하여 롤 방향에 수직으로 산화막 표면을 크렉킹(cracking)하여 떨어져 나가기 쉽게 하여 준 후 3개의 염산 탱크(Tank)를 통하면서 염산농도 4~20%, 온도 75℃~90℃, 침지시간 25~200초로 하여 산세처리를 하여 준다. 주어진 범위의 하한치를 벗어나면 미산세로 인해 산화 스케일이 잔류하여 나중에 압연시 불량요인이 되며 상한치를 벗어나면 과산세로 인해 표면 요철이 심해져서 국부적으로 깊이 과산세된 부분이 압연시 미세 홈으로 잔존하여 압연유 등이 스며들어 나중에 탈지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 이리하여 산세가 완료된 산세 강판은 연속적으로 5단 탠덤(Tandem)압연기에서 압하율 65%~ 85%의 범위로 냉간압연을 하여 준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강판을 일명 풀하드 (Full hard)라 한다. 풀하드는 말그대로 너무 딱딱하여 바로 사용하는데 제약이 많기 때문에 다음 공정인 연속소둔설비에서 탈지 및 열처리, 조질압연, 텐션레벨링, 도유공정 등을 거쳐 일반적으로 불리우는 냉연강판으로 제조된다. 탈지공정에서는 냉간압연시 표면에 묻어있는 압연유와 미세 불순물 등을 제거한다. 본 공정에서는 탈지액 농도 NaOH 4~5%, 온도 75℃~85℃로 알카리 탈지를 행하여 준 후 브러쉬 처리 및 전해 탈지를 행하여 기름기를 제거한다. 여기서 탈지액중 NaOH의 농도가 4%이하이면 탈지력이 충분치 않으며 5%이상이면 용액의 거품 발생이 심해지고 원단위가 상승하며 더 이상의 탈지력 향상을 기대 할 수 없다. 탈지온도의 경우는 75℃보다 낮을 경우 탈지력이 나빠지고 85℃ 이상은 설비상의 부식 등 정비 보수에 이상이 생기고 흄(Fume)발생 등의 우려가 있다. 탈지가 완료된 강판은 연속적으로 연속소둔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환원성 분위기에서 750℃~850℃로 연속열처리를 하여 압연으로 인해 딱딱해진 강판의 재질을 목표로 하는 재질로 연질화 시켜준다. 일반적으로 750℃ 이하는 재결정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연질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850℃ 이상은 과재결정으로 인해 오렌지 필(Orange peel)등의 결함을 발생시키키 때문에 바람직 하지 않다. 연속 소둔이 끝난 강판은 항복점 연신을 미연에 제거하고 표면 조도를 제어하기 위해 일정한 압하 연신율로 습식(Wet) 조질압연을 하여 준다. 이때 압하 연신율이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한 해결 인자로써 작용 한다. 즉, 압하 연신율을 강판 두께 0.6mm이하에서는 0.7% 이상, 0.7mm~1.2mm까지는 0.9% 이상, 1.3mm 이상은 1.0% 이상의 압하 연신율로 조질압연을 하면 탈지 불량 현상이 없는 냉연강판의 제조가 가능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 3은 탈지불량을 일으킨 냉연강판의 표면을 오제전자분석기(AES: Auger Electron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깊이 방향으로 깍아내면서 존재 원소들의 프로파일 (profile)을 조사한 결과이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정상재의 경우 스퍼터링 (sputtering) 수분내에 산소, 탄소등 불순물 원소가 없어지는 반면, 탈지성이 불량한 강판의 경우 탄소는 5분가량 산소는 20분 가량 스퍼터링시까지도 존재하는 사실로부터 이러한 불순물이 강판 표면에 농화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위의 조건으로 조질압연한 결과 탈지성이 매우 우수한 냉연강판의 경우는 도 4와 같이 수분내에 오염원소가 없어져 표면에 탄소나 산소의 오염이 매우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조질압연을 더 가혹하게 하여 이러한 표면의 미세 오염막을 깨어 준 후 조질압연시 강판표면에 분사되는 습식분사(wet)유로 씻어냄으로써 표면을 정화시켜 탈지성이 향상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하여 조질압연이 끝난 강판은 텐션레벨링공정에서 형상교정을 거친 후, 방청유를 도포하여 제조된다.
실시예
표 2는 강판 두께별 조질압연 압하연신에 따른 탈지성을 평가한 것이다. 탈지조건은 45℃, 알칼리 복합탈지제 농도 3%, 침지시간 2분, 침지후 흐르는 물에 30초간 수세한 후, 15초 후 수막성을 평가하였으며, 10%이상 물이 안묻는 부분이 발생하면 탈지불량으로 간주하였다.
표 2
본 발명으로 연속소둔 설비에서 조질 압연공정이 압하연신율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자동차사의 탈지공정시 불량발생이 없는 탈지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이 제공되었다.

Claims (4)

  1. 자동차용 냉연강판을 제조함에 있어 연속소둔 설비에서 조질압연시 강판 두께 0.6mm인 경우 압하 연신율을 0.7%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사 탈지공정시 탈지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강판 두께 0.7mm∼1.2mm까지 두께를 갖는 강판의 경우 압하 연신율 0.9%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사 탈지공정시 탈지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강판 두께 1.3mm이상의 두께를 갖는 강판의 경우 압하 연신율 1.0%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사 탈지공정시 탈지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연속산세 압연설비에서의 산세조건을 염산농도 4∼20%, 온도 75℃∼90℃, 침지시간 25∼200초로 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사 탈지공정에서 탈지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20000032932A 2000-06-15 2000-06-15 탈지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냉연강판 제조방법 KR100332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932A KR100332708B1 (ko) 2000-06-15 2000-06-15 탈지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냉연강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932A KR100332708B1 (ko) 2000-06-15 2000-06-15 탈지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냉연강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745A true KR20010112745A (ko) 2001-12-22
KR100332708B1 KR100332708B1 (ko) 2002-04-15

Family

ID=1967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932A KR100332708B1 (ko) 2000-06-15 2000-06-15 탈지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냉연강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7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392B1 (ko) * 2005-10-28 2007-04-30 주식회사 포스코 항복강도가 우수한 인장강도 40㎏/㎟ 급 고장력강 제조방법
WO2009154596A1 (en) * 2008-06-20 2009-12-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video processing
CN115386703A (zh) * 2022-08-12 2022-11-25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改善冷轧淬火延性钢汽车涂装前处理质量的工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0289B2 (ja) * 1994-04-08 2001-03-0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成形加工性に優れ、塗装焼付け硬化性を有し、かつ幅方向の塗装焼付け硬化性の変動の少ない自動車用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KR100256371B1 (ko) * 1995-12-30 2000-05-15 이구택 성형성과 소부경화성이 우수한 유기피복형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JP3377155B2 (ja) * 1996-02-26 2003-02-17 日本鋼管株式会社 極低炭素缶用鋼板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392B1 (ko) * 2005-10-28 2007-04-30 주식회사 포스코 항복강도가 우수한 인장강도 40㎏/㎟ 급 고장력강 제조방법
WO2009154596A1 (en) * 2008-06-20 2009-12-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video processing
CN115386703A (zh) * 2022-08-12 2022-11-25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改善冷轧淬火延性钢汽车涂装前处理质量的工艺方法
CN115386703B (zh) * 2022-08-12 2023-10-27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改善冷轧淬火延性钢汽车涂装前处理质量的工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2708B1 (ko) 200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2123B1 (ko) 표면의성상이우수한오스테나이트계스테인레스강의제조방법
WO2017017905A1 (ja) 熱間プレス部材の製造方法
KR100237526B1 (ko) 열연 스테인레스 강 스트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32708B1 (ko) 탈지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냉연강판 제조방법
JP2008266685A (ja) 外観に優れた高張力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2003286592A (ja) ステンレス鋼帯の酸洗方法
JP2005307283A (ja) 易酸化性成分を含む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2007291445A (ja) 濡れ性、ふくれ性に優れた高張力溶融亜鉛めっき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4523878B2 (ja) 外観に優れた表面処理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6045659A (ja) ステンレス鋼およびステンレス鋼管の製造方法
JP4221984B2 (ja) 極めて良好な表面光沢度を有する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冷間圧延‐焼鈍‐酸洗鋼帯
KR102031463B1 (ko) 표면외관이 우수한 열연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3370618B2 (ja) ステンレス鋼冷間圧延鋼帯の酸洗方法
JP2696684B2 (ja) ねじ部品及びねじ部品の製造方法
KR20020047423A (ko) 탈지성이 우수한 자동차 외판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3411442B2 (ja) 表面品質の優れた鋼板の製造方法
KR100358287B1 (ko) 표면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냉연강판 제조방법
JP2002348700A (ja) Cr系ステンレス冷延焼鈍鋼板の脱スケール方法
KR100358288B1 (ko) 표면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35킬로그램급 고장력 냉연강판제조방법
JP3059376B2 (ja) 光沢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る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29640B2 (ja) ステンレス鋼管の製造方法
KR20230155517A (ko)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JPH1150281A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帯の平滑酸洗方法
JPH11323567A (ja) 無電解めっき方法
KR0162719B1 (ko) 자동차 심가공용 합금화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연속적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