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692A - 안정화된 텔레콤뮤니케이션 케이블 절연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정화된 텔레콤뮤니케이션 케이블 절연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692A
KR20010110692A KR1020017012231A KR20017012231A KR20010110692A KR 20010110692 A KR20010110692 A KR 20010110692A KR 1020017012231 A KR1020017012231 A KR 1020017012231A KR 20017012231 A KR20017012231 A KR 20017012231A KR 20010110692 A KR20010110692 A KR 20010110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t
butyl
polyolefin
componen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6078B1 (ko
Inventor
루피아요셉안토니
페이요셉제임스
Original Assignee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110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0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38Coating on discrete and individual rods, strands or fila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상호 연결 상자내에서 실질적으로 노출된 탄화수소 그리스 충전 텔레컴뮤니케이션 케이블에서의 폴리올레핀 와이어 절연체는 열, 산소 및 습기의 악조건에 대하여 특히 취약하다. N,N'-헥산-1,6-디일비스-(3-(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드)), 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및 트리스(2-(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로 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요 페놀성 산화방지제와 알킬히드록시페닐알카노일 히드라진 금속 탈활성화제의 조합은 이러한 조건에서 폴리올레핀 와이어에 대하여 산화안정성을 부여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안정화된 텔레콤뮤니케이션 케이블 절연체 조성물 {Stabilized Telecommunication Cable Insulation Composition}
전형적인 텔레콤 케이블은 꼬여진 폴리올레핀-절연 구리 와이어 쌍들로 이루어지며, 이는 묶음을 이루고 있고, 케이블 외장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케이블 외장은 금속 호일 및/또는 폴리머 피복 재료와 조합된 외장재료로 이루어진다. 전체 시스템을 "텔레콤 케이블"이라 한다.
케이블 시스템에 대한 침수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폴리올레핀 절연체에서의 습기의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시스템은 케이블내의 공간을 소수성 그리스로 충전시켜 방수성을 가지게 한다. 이러한 유형의 케이블 시스템은 참고문헌[미국 특허 제3,888,709호, 제4,044,200호, 제4,218,577호, 제5,502,288호 및 유럽 특허 출원 제565,868 A2호 및 그 참고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케이블 충전 그리스는 와이어 절연체에 혼입된 안정화제를 추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예컨대, 참고문헌["Plastics Additives Handbook", 3rd Edition, R. Gachter, H. Muller,Eds., Hanser Publishers, pages 116-119 (1990)]에 기재되어 있다.
흔히, 두개 이상의 텔레콤 케이블의 접합이 필요하며, 이는 받침대(pedestal) 또는 상호 연결 상자(interconnection box)로 알려진 외부 부착물에서 행해진다. 받침대 안에서, 케이블 외장이 제거되고, 케이블 충전 그리스가 벗겨지며, 필요에 따라 전송 와이어가 결합된다. 이제 노출된 절연 와이어는 열, 산소 및 습기의 악조건하에 놓여진다. 충전 그리스에 의해 추출되어 안정화제 일부가 유실된 폴리올레핀 절연체는 이러한 외부 환경에 특히 취약하며, 조기 산화 결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결함은 절연체 자체의 물리적 특성을 잃게 하고, 궁극적으로는 전기 전도성에 손상을 주게 된다.
입체장애된 페놀성 산화방지제를 가지는 텔레콤 분야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와이어 절연체의 안정화가 알려져 있다. 당해 기술 수준의 안정화제 시스템은 IrganoxRMD 1024, 1,2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히드라진 또는 NaugardRXL-1, 2,2-옥살일디아미도-비스[에틸 3-(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금속 탈활성화제와 함께, 입체장애된 페놀의 사용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안정화제 패키지는 주요 산화방지제로서, IrganoxR1010,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 [3-(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금속 탈활성화제로서, IrganoxRMD 1024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참고문헌[유럽 특허 출원 제565,868 A2호 및 미국 특허 제4,044,200호, 제5,380,591호 및제5,575,952호]에 기재되어 있다. IrganoxR는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의 상표명이며, NaugardR는 Uniroyal의 상표명이다.
미국 특허 제4,044,200호는 고분자량 입체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와 함께, 알킬히드록시페닐알카노일 히드라지드 및/또는 치환된 아미도 트리아졸의 조합에 의한 습기 배리어 충전재의 존재하에서 폴리에틸렌 와이어 절연체의 안정화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IrganoxRMD 1024 및 IrganoxR1010의 조합이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812,500호는 고온 산화수, 염화수, 및 UV 방사에 노출되는 경우, 악조건에 대한 개선된 내성을 가지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조성물은 입체장애된 아민 UV 안정화제, 입체장애된 페놀성 열 안정화제 및 킬레이트(금속 탈활성화)제를 포함한다. 입체장애된 페놀물질은 IrganoxR1010,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 [3-(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네이트], 및 IrganoxR3114, 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로 이루어진 특정 군에서 선택된다. 킬레이트제는 IrganoxRMD 1024, 1,2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히드라진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다. IrganoxR는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의 상표이다. 본 발명은 와이어 및 케이블 코팅을 포함하여, 물 또는 습기가 존재하는 다양한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주목된다. 첨가제의 추출 가능성이 존재하는 그리스 충전 케이블 시스템에 대하여는 언급하지 않는다.
미국 특허 제5,380,591호, 제5,453,322호, 제5,575,952호, 제5,766,761호 및 제5,807,635호는 알킬히드록시페닐아카노일 히드라진 혼합물과 작용성 입체 장애 아민의 조합에 의한 탄화수소 그리스 충전된 전화 케이블의 안정성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각 경우, 히드라진으로서 IrganoxRMD 1024를 구체적으로 기재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474,847호는 입체장애된 페놀 또는 입체장애된 아민의 히드라진 유도체 또는 입체장애된 아민의 아미노 유도체와 퀴논의 반응 생성물에 의한 그리스 충전 전화 케이블에서의 폴리올레핀 와이어 절연체의 안정성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502,288호는 IrganoxRMD 1024 또는 NaugardRXL-1 또는 이들의 선택된 산화방지제와의 혼합물을 사용한, 전화기 케이블에서의 폴리올레핀 와이어 절연체의 안정화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유럽 특허 출원 제565,868 A2호는 금속 탈활성화제와 함께, 페놀성 카르복실 또는 포스폰산의 이가 금속염의 조합에 의한, 방수 케이블에 노출된 폴리올레핀 와이어 절연체 조성물의 안정화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구체적인 금속 탈활성화제로는 IrganoxRMD 1024 및 NaugardRXL-1이 있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IrganoxR1010을 사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국제특허출원 제93/24935호는 그리스 충전 전화 케이블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와이어 절연체의 안정화를 위하여, 불포화 지방족 이산과 하나 이상의 작용기성 입체장애 아민 및/또는 작용기성 입체장애 페놀의 반응 생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국제 특허 출원 제93/24938호는 폴리올레핀 와이어 절연체가, 지방족 이산의 무수물, 하나 이상의 작용기성 입체장애 아민 및/또는 작용기성 입체장애 페놀을 통하여 결합되는 그리스 충전 케이블 구조물을 기재하고 있다.
상호 연결 상자내에서 환경적 조건에 노출된 폴리올레핀 와이어 절연체를 보호하고, 케이블 충전 그리스에 의한 안정화제의 추출을 막기 위하여, 안정화제를 다량 적재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안정화제 사용량과 관련한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 보다 더 효율적인 주요 산화방지제/금속 탈활성화제의 조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안정화제의 효율성이란 안정화제 시스템이 폴리올레핀 와이어 절연체로 부터 케이블 충전 그리스로의 추출을 저지하고, 열, 산소 및 습기의 악영향에 대한 내성을 제공하는 복합적 능력을 의미한다.
놀랍게도, 하나 이상의 알킬히드록시페닐알카노일 히드라진 금속 탈활성화제와 함께, IrganoxR1098, N,N'-헥산-1,6-디일비스-(3-(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드)), IrganoxR3114, 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및 IrganoxR3125, 트리스(2-(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로 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요 페놀성 산화방지제의 조합이 그리스 충전 텔레콤 케이블내의 폴리올레핀 와이어 절연체에 산화 안정성을 제공하는 데 특히 효과적인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열, 산소 및 습기의 악영향에 대하여 개선된 내성을 지니는 와이어 및 케이블용 절연체로서 사용되기 위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안정화된 조성물은 텔레콤뮤니케이션(텔레콤) 케이블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와이어 절연체가 개선된 산화 안정성을 가지는 신규한 탄화수소 그리스 충전 케이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구조물은 (i) 절연체가
(a)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 및
(b) N,N'-헥산-1,6-디일비스-(3-(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드)), 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및 트리스(2-(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1차 산화방지제, 및
(c) 알킬히드록시페닐알카노일 히드라진으로 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탈활성화제를 포함하며, 사이에 틈새가 있는 다수의 절연된 전기 도전체,
(ii) 틈새내의 탄화수소 케이블 충전 그리스, 및
(iii) 성분(i) 및 (ii)을 둘러싸는 외장을 포함한다.
성분 (a)의 폴리올레핀은 일반적으로 가교 결합성 열가소성 수지이다. 이들은 필름, 시이트 및 튜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며, 와이어 및 케이블 분야에 있어서 재킷 및/또는 절연 물질로서 사용되는, 동종 중합체 또는 2 이상의 공단량체로 부터 제조되는 공중합체, 또는 이들 중합체 2 이상의 블렌드이다. 이러한 동종 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제조에 적합한 단량체는 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의 탄소원자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의 예에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4-메틸-펜텐 및 1-옥텐과 같은 α-올레핀;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다른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불포화 에스테르; 1,4-펜타디엔, 1,3-헥사디엔, 1,5-헥사디엔, 1,4-옥타디엔, 및 에틸리덴 노르보넨과 같은 디올레핀, 삼차 중합체에서의 통상의 제 3 단량체; 스티렌, p-메틸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비닐 나프탈렌 및 유사 아릴 올레핀과 같은 다른 단량체; 아트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니트릴; 비닐 메틸 케톤, 비닐 메틸 에테르,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말레인 무수물,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알코올,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및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다른 유사 불포화산이 있다.
상기의 동종 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비-할로겐화되거나, 종래의 방식에 따라 염소 또는 브롬에 의해 할로겐화될 수 있다. 할로겐화된 중합체의 예로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있다. 비-할로겐화 및 할로겐화된 경우 모두 동종 중합체 및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 고무와 같은 삼차 중합체이다.
에틸렌 중합체의 다른 예로는 다음과 같다: 에틸렌의 고압 동종 중합체;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3 내지 12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α-올레핀의 공중합체; 그 골격에 그래프트된 가수분해성 실란을 가지는 에틸렌의 동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에틸렌과 트리메톡시 비닐 실란과 같은 알케닐 트리알킬옥시 실란의 공중합체; 또는 2 내지 12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α-올레핀과 4 내지 20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불포화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예컨대,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가수분해성 실란 삼차 중합체; 및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골격에 그래프트된 가수분해성 실란을 가지는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에 대하여: 프로필렌과, 프로필렌을 기재로 한 공중합체 부분이 중합체 중량에 기초하여 적어도 약 60 중량% 프로필렌인 하나 이상의 다른 α-올레핀의 동종 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프로필렌 α-올레핀 공단량체는 2 또는 4 내지 12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폴리올레핀 즉, 상기 단락에 예시한 모노올레핀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다양한 방법, 특히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i) 라디칼 중합반응(일반적으로, 고압 및 고온 조건)
ii) 일반적으로 주기율표의 IVb, Vb, VIb 또는 VIII의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촉매를 사용하는 촉매 중합반응. 이들 금속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리간드를 가지며, 전형적으로는 산화물, 할로겐화물, 알콜화물, 에스테르, 에테르,아민, 알킬, 알케닐, 및/또는 p- 또는 s-배위 될 수 있는 아릴을 포함한다. 이러한 금속 착화합물은 유리된 형태이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활성화 염화마그네슘, 염화티타늄(III), 알루미나, 또는 산화실리콘과 같은 물질에 고정된 형태이다. 이러한 촉매는 중합매질에 가용성이거나 불용성이다. 촉매는 그 자체만으로 중합반응에 사용되거나, 또는 다른 활성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금속알킬, 금속 수소화물, 금속 알킬 할로겐화물, 금속 알킬 산화물, 또는 금속 알킬옥산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금속은 주기율표의 Ia, IIa 및/또는 IIIa족 원소일 수 있다. 활성화제는 다른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또는 실릴 에테르기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촉매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메탈로신(metallocene) 또는 단일 사이트 촉매(SSC)라 칭한다[Phillps, Standard Oil Indiana, Ziegler(-Natta), TNZ(DuPont)].
동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유기 과산화물에 의해 가교결합 또는 경화되거나, 또는 가수분해성으로 만들기 위하여, 유리 라디칼 생성자 또는 촉매로서 작용하는 유기 과산화물의 존재하에서, 알케닐 트리알콕시 실란에 의해 그래프트될 수 있다. 유용한 알케닐 트리알콕시 실란은 비닐 트리메톡시 실란, 비닐 트리에톡시 실란, 및 비닐 트리이소프로폭시 실란과 같은 비닐 트리알콕시 실란이다. 알케닐 및 알콕시 라디칼은 1 내지 30의 탄소원자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의 탄소원자를 갖는다. 가수분해성 중합체는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디옥틸 주석 말레이트, 주석 아세테이트, 주석 옥토에이트, 납 나프테네이트, 아연 옥토에이트, 철 2-에틸 헥소에이트, 및 다른 금속 카르복실레이트와 같은 실라놀 축합반응 촉매의 존재하에서, 습식 경화될 수 있다.
에틸렌이 주요 공단량체인 에틸렌의 동종 중합체 및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이 주요 공단량체인 프로필렌의 동종 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서 각각 언급될 수 있다.
성분 (a)의 폴리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성분 (c)의 알킬히드록시페닐알카노일 히드라진은 미국 특허 제3,660,438호 및 제3,773,722호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c)의 화합물은 하기의 구조를 갖는다:
상기 식에서, n은 0 또는 1 내지 5의 정수이며,
R1은 1 내지 6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이며;
R2는 수소 또는 R1이며;
R3는 수소, 2 내지 18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카노일 또는 하기 일반식을가지는 작용기이며;
상기 식에서, n, R1및 R2는 각각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라디칼 R2는 OH-기에 대하여 오르토-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c)의 금속 탈활성화제가 IrganoxRMD 1024, 1,2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히드라진(Ciba Specialty Chemicals Corp.)이다.
성분 (ii)의 탄화수소 케이블 충전 그리스는 사용온도에서 반고체 상태인 탄화수소 혼합물이다. 이는 공업적으로 "케이블 충전 화합물"로서 공지되어 있다. 케이블 충전 화합물로서 전형적으로 필요한 요건은 그리스가 60℃ 이상의 온도 등급에서 케이블의 절단 단부로 부터의 누출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다른 전형적인 요건으로는 그리스가 수압이 단부에 적용될 때 절단 케이블의 짧은 길이를 통한 누수를 저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전형적인 조건들에는, 비용 경쟁성; 신호 전송에 대한 최소한의 악영향; 중합 절연체 및 케이블 덮게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최소한의 악영향; 열적 및 산화적 안정성 및 케이블 제조 가공성이 있다.
케이블 제조는 약 100℃온도까지 케이블 충전 화합물을 가열하여 수행될 수있다. 이는 틈을 완전히 포화시키고, 다른 공기 공간이 없도록 멀티-컨덕터 케이블 코어로 펌프되기 위하여, 충전 화합물을 액화하는 것이다. 또는, 셰어 인듀스 플로우를 이용하여 틱소트로픽 케이블 충전 화합물이 낮은 온도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전형적인 마감 그리스 충전 케이블 전송 코어의 단면은 전체 단면을 기초로 하여, 약 52%의 절연 와이어 및 약 48%의 틈으로 이루어진다. 틈이 케이블 충전화합물로 완전히 채워지기 때문에, 충전된 코어는 전형적으로 약 48 부피%의 케이블 충전 화합물을 포함한다.
케이블 충전 화합물 또는 그의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 구성성분은 틈으로 부터 흡수를 통해 절연체로 들어간다. 일반적으로 절연체는 폴리올레핀 절연체 중량에 기초하여, 약 3 내지 약 30중량%의 케이블 충전 화합물 또는 그의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 구성 성분을 흡수한다. 전형적으로, 폴리올레핀의 중량에 기초하여, 약 5 내지 약 25 중량%의 범위 내에서 흡수가 이루어진다. 케이블 충전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분자량의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폴리올레핀 절연체로의 케이블 충전 화합물의 흡수 또는 융기는 케이블 충전 화합물의 보다 낮은 분자량의 구성성분이 흡수 또는 융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케이블 충전 화합물의 저분자량 구성성분의 융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절연체에서 케이블 충전 화합물로의 첨가제의 이동을 초래한다. 따라서, 케이블 충전 화합물의 존재는 폴리올레핀 절연체의 안정화에 부가적인 장애가 된다.
탄화수소 케이블 충전재 그리스(케이블 충전 화합물)의 예로는 바셀린; 바셀린/폴리올레핀 왁스 혼합물; 오일 변형된 열가소성 고무(ETPR 또는 연장된 열가소성 고무); 파라핀 오일; 나프탈렌 오일; 미네랄 오일; 잔여 오일, 바셀린, 또는 왁스로 농축된 상기 오일; 폴리에틸렌 왁스; 광유/고무 블럭 공중합체 혼합물; 윤활유 그리스; 및 이들의 다양한 혼합물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상기한 바와 같은 공업적 요건에 부합한 것이다.
산화방지제의 추출을 방지하는 것에 부가하여, 안정화된 폴리올레핀 와이어 절연체 배합물은 케이블 충전 화합물로 부터 흡수된 구성성분이 가지게 될 임의의 불안정화 작용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안정화 패키지는 폴리올레핀 산화 분해에 대한 촉매로 작용할 수 있는 구리 와이어 도전체에 대하여 조정되어야 하며, 셀 및 셀/고체(포움/스킨) 중합체 포움 절연체 내에 존재하는 잔여 블로잉제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성분 (b) 및 (c)에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구조물 절연체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첨가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1. 산화방지제
1.1. 알킬화 모노페놀,예를 들어 2,6-디-삼차-부틸-4-메틸페놀, 2-삼차-부틸-4,6-디메틸페놀, 2,6-디-삼차-부틸-4-에틸페놀, 2,6-디-삼차-부틸-4-n-부틸페놀, 2,6-디-삼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시클로헥실)-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삼차-부틸-4-메톡시메틸페놀, 직쇄 또는 측쇄에서 분지된 노닐페놀 예컨대, 2,6-디-노닐-4-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운데크-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헵타데크-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데크-1-일)-페놀및 이들의 혼합물.
1.2. 알킬티오메틸페놀, 예를 들어 2,4-디-옥틸티오메틸-6-삼차-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디-도데실티오메틸-4-노닐페놀.
1.3. 히드로퀴논 및 알킬화 히드로퀴논, 예를 들어 2,6-디-삼차-부틸-4-메톡시페놀, 2,5-디-삼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아밀히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삼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아디페이트.
1.4. 토코페롤, 예를 들어 α-토코페놀, β-토코페놀, γ-토코페놀, δ-토코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비타민E)
1.5. 히드록시화 티오디페닐 에테르, 예를들어 2,2'-티오비스(6-삼차-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삼차-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삼차-부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디-이차아밀페놀), 4,4'-비스(2,6-디메틸-4-히드록시페닐)디술피드.
1.6. 알킬리덴 비스페놀, 예를들어 2,2'-메틸렌비스(6-삼차-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삼차-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노닐-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삼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삼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삼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디메틸벤질)-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2,6-디-삼차-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삼차-부틸-2-메틸페놀), 1,1-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삼차-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머캅토부탄, 에틸렌 글리콜 비스[3,3-비스(3-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2-(3'-삼차-부틸-2-히드록시-5-메틸벤질)-6-삼차-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디메틸-2-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머캅토부탄, 1,1,5,5-테트라(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펜탄.
1.7. O-, N- 및 S-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3,5,3',5'-테트라-삼차-부틸-4,4'-디히드록시-디벤질 에테르, 옥타데실-4-히드록시-3,5-디메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데실-4-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아민, 비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술피드, 이소옥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머캅토아세테이트.
1.8. 히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예를 들어 디옥타데실-2,2-비스(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2-(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디-도데실머캅토에틸-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9. 방향족 히드록시벤질 화합물, 예를 들어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4-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3,5,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페놀.
1.10. 트리아진 화합물, 예를 들어 2,4-비스(옥틸머캅토)-6-(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2,3-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11. 벤질 포스포네이트, 예를 들어 디메틸-2,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포스포네이트, 디에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5-삼차-부틸-4-히드록시-3-메틸벤질 포스포네이트,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 모노에틸 에스테르의 칼슘 염.
1.12. 아실아미노페놀, 예를 들어 4-히드록시라우르아닐리드, 4-히드록시스테아르아닐리드, 옥틸 N-(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
1.13.1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β-(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의 에스테르.
1.14.1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β-(5-삼차-부틸-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
1.15.1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β-(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의 에스테르.
1.16.1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 아세트산의 에스테르,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의 에스테르
1.17. β-(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예를 들어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헥사메틸렌디아민,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피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민,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오피오닐)히드라진, N,N'-비스[2-(3-[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오피오닐옥시)에틸]옥사민((NaugardRXL-1, Uniroyal공급).
1.18.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
1.19. 아민 산화방지제, 예컨대 N,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이차-부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디아민, N,N'- 디시클로헥실-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비스(2-나프틸)-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시클로헥실-N'-페닐-p-페닐렌디아민, 4-(p-톨루엔술팜오일)-디페닐아민, N,N'-디메틸-N,N'-디-이차-부틸-p-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N-알릴디페닐아민, 4-이소프로폭시디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4-삼차옥틸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옥틸화 디페닐아민, 예컨대, p,p'-디-삼차옥틸디페닐아민, 4-n-부틸아미노페놀, 4-부티릴아미노페놀, 4-노난오일아미노-페놀, 4-도데칸오일아미노페놀, 4-옥타데칸오일아미노페놀, 비스(4-메톡시페닐)아민, 2,6-디-삼차-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1,2-비스[(2-메틸페닐)아미노]에탄, 1,2-비스(페닐아미노)프로판, (o-톨릴)비구아니드, 비스[4-(1',3'-디메틸부틸)페닐]아민, 삼차옥틸화 N-페닐-1-나프틸아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삼차옥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도데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이소프로필/이소헥실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2,3-디-히드로-3,3-디메틸-4H-1,4-벤조티아진,페노티아진,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삼차옥틸페노타이진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N-알릴페노티아진, N,N,N',N'-테트라페닐-1,4-디아미노부트-2-엔,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헥사메틸렌디아민,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세바케이트,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2. UV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
2.1.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예를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이차-부틸-5-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α-디메틸벤질)-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의 혼합물,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벤조트리아졸-2-일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과 2-[3-삼차-부틸-5-(2-메톡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생성물; R이 3'-삼차-부틸-4'-히드록시-5'-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인
,2-[2-히드록시-3-(α,α-디메틸벤질)-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1,1,3,3-테트라메틸부틸)-5-(α,α-디메틸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
2.2. 2-히드록시벤조페논, 예를들어 4-히드록시, 4-메톡시, 4-옥틸옥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히드록시 및 2'-히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2.3. 비치환 또는 치환된 벤조산의 에스테르, 예를들어 4-삼차-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디벤조일 레조르시놀, 비스(4-삼차-부틸-벤조일)레조르시놀, 벤조일 레조르시놀, 2,4-디-삼차-부틸페닐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삼차-부틸페닐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4. 아크릴레이트, 예를들어 에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N-(β-카르보메톡시-β-시아노비닐)-2-메틸인돌린.
2.5. 니켈 화합물, 예를들어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예 : n-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N-시클로헥실디에탄올아민)가 있는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니켈 착물(예컨대 1:1 또는 1:2 착물), 니켈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4-히드록시-3,5-디-삼차-부틸 벤질 포스폰산 모노알킬 에스테르(예 : 메틸 에스테르 또는 에틸 에스테르)의 니켈 염, 케톡심(예 : 2-히드록시-4-메틸페닐 운데실케톡심)의 니켈 착물,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가 있는 1-페닐-4-라우로일-5-히드록시 피라졸의 니켈 착물.
2.6. 입체 장애 아민, 예를들어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n-부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말로네이트, 1-(2-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과 숙신산의 축합 생성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삼차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지논),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부틸-2-(2-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모르폴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직쇄 또는 고리형 축합 생성물, 2-클로로-4,6-비스(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 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 생성물,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4-헥사데실옥시 및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티렌디아민 및 4-시클로헥실아민-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 및 2,4,6-트리크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뿐만 아니라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CAS Reg.No.[136504-96-6]);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2-운데실-7,7,9,9-테트라메틸-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7,7,9,9-테트라메틸-2-시클로운데실-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및 에피클로로히드린, 프로판디온산(4-메톡시페닐)-메틸렌-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에스테르, N,N'-비스-포르밀-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폴리-[메틸프로필-3-옥시-4-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실옥산, 말레산 α-올레핀과 2,2,6,6-테트라메틸-4-아미노피페리딘 또는 1,2,2,6,6-펜타메틸-4-아미노피페리딘의 반응 생성물.
2.7. 옥사미드, 예를들어 4,4'-디옥틸옥시옥사아닐리드, 2,2'-디에톡시옥사아닐리드, 2,2'-디옥틸옥시-5,5'-디-삼차부톡사아닐리드, 2,2'-디도데실옥시-5,5'-디-삼차부톡사아닐리드, 2-에톡시-2'-에톡사아닐리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사아미드, 2-에톡시-5-삼차-부틸-2'-에톡사아닐리드 및 그와 2-에톡시-2'-에틸-5,4'-디-삼차부톡사닐리드와의 혼합물, o- 및 p-메톡시-이중 치환된 옥사아닐리드의 혼합물 및 o- 및 p-에톡시-이중치환된 옥사아닐리드의 혼합물.
2.8. 2-(2-히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예를들어 2,4,6-트리스(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트리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옥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2-[4-(도데실옥시/트리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3-부톡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페닐)-4-(4-메톡시페닐)-6-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3-(2-에틸헥실-1-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3. 금속 탈활성화제, 예를들어 N,N'-디페닐옥사아미드, N-살리실랄-N'-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3-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비스(벤질리덴)옥살릴 디히드라지드, 옥사아닐리드, 이소프탈오일 디히드라지드, 세바코일 비스페닐히드라지드, N,N'-디아세틸아디포일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오일)옥살릴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오일)티오프로피오닐 디히드라지드.
4.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예를들어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 알킬 포스파이트, 페닐 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삼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삼차-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옥시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스-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삼차-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6-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삼차-부틸-12H-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메틸 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에틸포스파이트, 6-플루오로-2,4,8,10-테트라-삼차-부틸-12-메틸-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2,2',2"-니트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삼차-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2-에틸헥실(3,3',5,5'-테트라-삼차-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5-부틸-5-에틸-2-(2,4,6-트리-삼차-부틸페녹시)-1,3,2-디옥사포스피란.
하기의 포스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트리스 (2,4-디-삼차-부틸페닐) 포스파이트 (IrgafosR168, Ciba-Specialty Chemicals Corp.),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5. 히드록실아민, 예를들어 N,N-디벤질히드록실아민, N,N-디에틸히드록실아민, N,N-디옥틸히드록실아민, N,N-디라우릴히드록실아민, N,N-디테트라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헥사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헥사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헵타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수소화 수지 아민으로 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 N,N-디(수소화 수지)아민으로 부터 제조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 .
6. 니트론, 예를들어 N-벤질-알파-페닐-니트론, N-에틸-알파-메틸-니트론, N-옥틸-알파-헵틸-니트론, N-라우릴-알파-운데실-니트론, N-테트라데실-알파-트리데실-니트론, N-헥사데실-알파-펜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헥사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페타데실-니트론, N-헵타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헥사데실-니트론, 수소화 수지아민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으로부터 유도된 니트론.
7. 벤조푸라논 및 인돌리논,예를들어 US-A-4 325 863호, US-A-4 338 244호, US-A-5 175 312호, US-A-5 216 052호, US-A-5 252 643호, DE-A-4 316 611호, DE-A-4 316 622호, DE-A-4 316 876호, EP-A-0 589 839호 또는 EP-A-0 591 102호에 개시된 것 또는 3-[4-(2-아세톡시에톡시)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5,7-디-삼차-부틸-3-[4-(2-스테아로일옥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3'-비스[5,7-디-삼차-부틸-3-(4-[2-히드록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5,7-디-삼차-부틸-3-(4-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4-아세톡시-3,5-디메틸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3-(3,5-디메틸-4-피발로일옥시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8. 티오상승제, 예를들어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온에이트 또는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온에이트.
9. 과산화물분해 화합물, 예를들어 β-티오디프로핀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라우릴, 스테아릴, 미리스틸 또는 트리데실 에스테르, 머캅토벤즈이미다졸 또는 2-머캅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염, 디부틸디티오카밤산 아연, 디옥타데실 디술피드, 펜다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β-도데실메르캅토)프로피온에이트.
10. 폴리아미드 안정화제, 예를들어 요오드화물 및/또는 인 화합물과 결합한 구리 염 및 2가 망간 염.
11. 염기성 공안정화제, 예를들어 멜라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시안디아미드,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우레아 유도체, 히드라진 유도체, 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 염, 예컨대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베헨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리시놀레산 나트륨, 팔미트산 칼륨, 피로카테콜산 안티몬 또는 피로카테콜산 아연.
12. 핵 생성제, 예를들어 무기물질(예;활석), 금속 산화물(예; 이산화 티탄 또는 산화마그네슘),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인산염, 탄산염 또는 황산염; 유기 화합물(모노- 또는 폴리카르복시산) 및 이들의 염, 예컨대, 4-삼차-부틸벤조산, 아디프산, 디페닐아세트산, 숙신산 나트륨 또는 벤조산 나트륨; 중합성 화합물, 예컨대 이온성 공중합체(이오노머).
13. 충전재 및 강화제, 예를들어 탄산칼슘, 실리케이트, 유리 섬유, 유리 구, 석면, 활석, 카올린, 운모, 황산바륨, 금속 산화물 및 수산화물, 카본 블랙, 흑연, 나무 분말 및 기타 천연 생성물의 분말 또는 섬유, 합성 섬유.
14. 다른 첨가제, 예를들어 가소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염료, 광학 표백제, 유동학제 첨가제, 촉매, 유동-조절제, 슬립제, 가교제, 가교결합 촉진제, 할로겐 분해자, 발연 억제제, 내염제, 정전기 방제제, 정화제 및 발포제.
충전재(리스트에서, 13)로는 예컨대, 금속 수산화물, 특히 수산화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 수산화물이 있다. 이들은 폴리올레핀 중량을 기초로 하여, 약 0.01중량% 내지 약 60중량%의 농도로 가해질 수 있다.
아조디카본아미드와 같은 블로잉제(리스트에서, 14)가 고체 절연체 보다 포움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성분(b)의 주요 산화방지제, 성분(c)의 금속 탈활성화제 및 선택적인 첨가제들이 예컨대, 사전 또는 사후 몰딩과 같은 공지의 방법 또는 용해 또는 분산된 안정화제 혼합물을 폴리올레핀에 적용하고, 선택적으로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성분 (a)의 폴리올레핀에 가해질 수 있다. 성분 (b) 및 (c) 및 선택적인 다른 첨가제는 예컨대, 약 2.5중량% 내지 약 25중량%의 농도로 이들 성분을 포함하는 마스터배치의 형태로 폴리올레핀에 가해질 수도 있다.
성분(b)의 산화방지제는 폴리올레핀(a)의 중량을 기초로 하여, 전체적으로 예컨대, 약 0.01 내지 1.5 중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성분(b)과 화합물은 폴리올레핀(a)의 중량을 기초로 하여, 전체적으로 예컨대, 약 0.05 내지 1.0 중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성분 (c)의 금속 탈활성화제는 폴리올레핀(a)의 중량을 기초로 하여, 전체적으로 예컨대, 약 0.1 내지 2.5 중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성분(c)의 화합물은 폴리올레핀(a)의 중량을 기초로 하여, 전체적으로 예컨대, 약 0.1 내지2.0 중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b)의 산화방지제에 대한 성분(c)의 금속 탈활성화제의 중량비는 예컨대, 약 0.5:1 내지 약 20:1이다. 바람직하게는, 성분(b)의 산화방지제에 대한 성분(c)의 금속 탈활성화제의 중량비는 약 1:1 내지 약 10:1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그리스 충전 케이블에서의 폴리올레핀의 안정화
100부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0.4부의 IrganoxRMD 1024 (1,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히드라진) 및 0.2 부의 이하의 표 1에 나열된 주요 산화방지제 중 하나와 블렌드한다. 혼합물을 230℃에서 60 rpm의 매독 혼합 헤드(Maddock mixing head)를 가진 24:1 L/D 나사를 사용하는 장치(Superior/MPM extruder)내에서 펠릿으로 용융 화합시킨다.
안정화제 혼합물을 포함하는 펠릿화된 폴리에틸렌을 204℃(400F)에서 마일러 베이킹(Mylar backing)에 의해 0.254 mm (0.01 inch) 두께의 필름으로 압축 몰딩한다. 이러한 테스트 필름에서 초기 산화 유도 시간(OIT)이 측정된다.
샘플 필름을 WitcogelR(Witco, 텔레콤 케이블내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탄화수소 케이블 충전재 그리스) 내에 침수시킨다. Witco 충전 화합물은 0.6 % IrganoxR1035, 티오디에틸렌 비스[3-(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한다. 충전 화합물에 침수된 샘플 필름을 70℃의 공기 오븐에서 14일간 방치한다. 샘플을 케이블 충전 그리스의 와이프 세정한다. 이러한 샘플에서 시효 산화 유도 시간이 측정된다.
OIT 시험은 미분 스캐닝 칼로리미터(ASTM standard test method D3895)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시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크림프되지 않은 알루미늄 팬; 스크린 없음; 질소 조건 하에서 200℃ 까지 가열하고, 100 밀리리터/분 산소 유동으로 스위치한다. 산화 유도 시간(OIT)은 산소 유동의 개시와 시험편의 발열 분해 사이의 시간 간격이다. OIT는 분으로 기록된다; OIT가 더 길 수록, 안정화제 혼합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산화분해를 억제한다. 그리스 충전 케이블 적용에 있어 안정화제 혼합물의 상대적 성능은 초기 OIT치와 시효 OIT치를 비교함으로써 예측할 수 있다.
표 1
주요 산화방지제 초기 OIT (분) 시효 OIT (분)
IrganoxR1010 77 25
IrganoxR1098 161 90
IrganoxR3114 91 44
IrganoxR3125 126 51
IrganoxR1098, IrganoxR3114, IrganoxR3125, 각각과 금속 탈활성화제IrganoxRMD 1024 (1,2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히드라진)의 안정화제 혼합물은 초기 및 시효 OIT에 있어서, 종래의 IrganoxR1010/IrganoxRMD 1024 안정화제 혼합물 보다 성능이 좋다. IrganoxR1098은 N,N-헥산-1,6-디일비스-(3-(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드))이며, IrganoxR3114는 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이소시아누레이트이며,IrganoxR3125는 트리스(2-(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옥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이다. IrganoxR는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의 상표명이다.

Claims (8)

  1. (i) 절연체가
    (a)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 및
    (b) N,N'-헥산-1,6-디일비스-(3-(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드)), 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및 트리스(2-(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1차 산화방지제, 및
    (c) 알킬히드록시페닐알카노일 히드라진으로 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탈활성화제를 포함하며, 사이에 틈새가 있는 다수의 절연된 전기 도전체,
    (ii) 틈새내의 탄화수소 케이블 충전 그리스, 및
    (iii) 성분(i) 및 (ii)을 둘러싸는 외장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케이블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의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c)의 금속 탈활성화제가, 하기의 일반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구조물:
    상기 식에서, n은 0 또는 1 내지 5의 정수이며,
    R1은 1 내지 6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이며;
    R2는 수소 또는 R1이며;
    R3는 수소, 2 내지 18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카노일 또는 하기 일반식을 가지는 작용기이며;
    상기 식에서, n, R1및 R2 는 각각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c)의 금속 탈활성화제가, 1,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히드라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b)의 산화방지제가, 성분 (a)의 폴리올레핀의 중량에 기초하여 전체 약 0.05중량% 내지 약 1.0중량% 범위 내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c)의 금속 탈활성화제가, 성분 (a)의 폴리올레핀의 중량에 기초하여 전체 약 0.1중량% 내지 약 2.0중량% 범위 내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구조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ii)의 탄화수소 케이블 충전 그리스 또는 그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 구성성분이, 성분 (a)의 폴리올레핀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구조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ii)의 탄화수소 케이블 충전 그리스 또는 그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 구성성분이, 성분 (a)의 폴리올레핀의 중량에 기초하여 전체 약 3중량% 내지 약 30중량% 범위 내로 폴리올레핀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구조물.
KR1020017012231A 1999-03-25 2000-02-21 안정화된 텔레콤뮤니케이션 케이블 절연체 조성물 KR100596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10099P 1999-03-25 1999-03-25
US60/126,100 1999-03-25
US09/370,293 1999-08-09
US09/370,293 US6228495B1 (en) 1999-03-25 1999-08-09 Stabilized telecommunication cable insulation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692A true KR20010110692A (ko) 2001-12-13
KR100596078B1 KR100596078B1 (ko) 2006-07-03

Family

ID=26824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231A KR100596078B1 (ko) 1999-03-25 2000-02-21 안정화된 텔레콤뮤니케이션 케이블 절연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228495B1 (ko)
EP (1) EP1171890B1 (ko)
KR (1) KR100596078B1 (ko)
CN (1) CN1175431C (ko)
AT (1) ATE391995T1 (ko)
AU (1) AU752917B2 (ko)
CA (1) CA2363375C (ko)
DE (1) DE60038549T2 (ko)
ES (1) ES2302688T3 (ko)
NO (1) NO328133B1 (ko)
WO (1) WO20000589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4092263A1 (ja) * 2003-04-16 2006-07-06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樹脂成形体の組み合わせ
US7247796B2 (en) * 2003-10-28 2007-07-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ling materials
AU2003283313A1 (en) * 2003-10-29 2005-06-08 Prysmian Cavi E Sistemi Energia S.R.L. Process for manufacturing a water-resistant telecommunication cable
US7557301B2 (en) * 2004-09-28 2009-07-07 Southwire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cable having reduced required force for installation
US7749024B2 (en) 2004-09-28 2010-07-06 Southwire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THHN electrical cable, and resulting product, with reduced required installation pulling force
US10763008B2 (en) 2004-09-28 2020-09-01 Southwire Company, Llc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cable, and resulting product, with reduced required installation pulling force
EP1849824A1 (en) * 2006-04-26 2007-10-31 Borealis Technology Oy Polymer composition with improved ageing resistance
US8800967B2 (en) * 2009-03-23 2014-08-12 Southwire Company, Llc Integrated systems facilitating wire and cable installations
ATE536387T1 (de) * 2007-12-20 2011-12-15 Borealis Tech Oy Uv-stabilisierung einer vernetzbaren polyolefinzusammensetzung mit einem sauren silanol-kondensationskatalysator
US8206825B2 (en) * 2008-01-03 2012-06-26 Equistar Chemicals, Lp Preparation of wires and cables
CN101540219B (zh) * 2008-03-19 2012-04-18 上海金友电线电缆有限公司 125℃辐照交联电力电缆的制造方法
US8986586B2 (en) 2009-03-18 2015-03-24 Southwire Company, Llc Electrical cable having crosslinked insulation with internal pulling lubricant
US8912253B2 (en) * 2009-04-02 2014-12-16 Conductores Monterrey, S.A. De C.V. Easy-to-install electrical cable
US8658576B1 (en) 2009-10-21 2014-02-25 Encore Wire Corporation System, composition and method of application of same for reducing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nd required pulling force during installation of wire or cable
US10325696B2 (en) 2010-06-02 2019-06-18 Southwire Company, Llc Flexible cable with structurally enhanced conductors
EP2985765B1 (en) * 2010-12-01 2020-03-18 Fujikura Ltd. Insulated wire and cable
ES2530869T3 (es) * 2011-12-22 2015-03-06 Borealis Ag Composición de poliolefina con resistencia incrementada a la degradación causada por el dióxido de cloro
US9352371B1 (en) 2012-02-13 2016-05-31 Encore Wire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e of electrical wire and cable having a reduced coefficient of friction and required pulling force
US11328843B1 (en) 2012-09-10 2022-05-10 Encore Wire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e of electrical wire and cable having a reduced coefficient of friction and required pulling force
US10056742B1 (en) 2013-03-15 2018-08-21 Encore Wire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pray-on application of a wire pulling lubricant
CN103198903B (zh) * 2013-04-12 2016-12-28 常州市新东方电缆有限公司 一种光伏电缆的生产工艺
US10431350B1 (en) 2015-02-12 2019-10-01 Southwire Company, Llc Non-circular electrical cable having a reduced pulling force
CN105670148A (zh) * 2016-02-03 2016-06-15 安徽华海特种电缆集团有限公司 一种防火抗拖拽井下电缆
CN105609194A (zh) * 2016-02-03 2016-05-25 安徽南洋电缆有限公司 一种抗拖拽抗干扰电缆
EP3421529A1 (en) * 2017-06-29 2019-01-02 Songwon Industrial Co., Ltd. Polyolefin articles with improved resistance against chlorine dioxide
US10593441B1 (en) * 2018-07-13 2020-03-17 Superior Essex International LP Hybrid cable with low density filling compound
US10388429B1 (en) * 2018-07-13 2019-08-20 Superior Essex International LP Hybrid cable with low density filling compound
RU2732282C1 (ru) * 2020-03-26 2020-09-1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ПП "Спецкабель" Симметричный высокочастотный герметичный кабель пониженной пожароопасности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3722A (en) 1969-03-28 1973-11-20 Ciba Geigy Corp Synthetic organic polymeric substances stabilized with alkylhydroxyphenyl-alkanoyl-hydrazines
US3660438A (en) 1969-03-28 1972-05-02 Ciba Geigy Corp Alkylhydroxyphenylalkanoyl hydrazines
CA988642A (en) 1972-12-04 1976-05-04 Robert J. Turbett Primary insulation for filled cable
US4044200A (en) 1972-12-04 1977-08-23 Union Carbide Corporation Insulated wire or cable
US3888709A (en) 1974-05-10 1975-06-10 Dow Chemical Co Cable filling compounds
EP0002616B1 (en) 1977-12-21 1983-03-30 Uniroyal, Inc. Oxamide derivatives, their use in stabilizing organic materials and stabilized organic materials containing the said oxamide derivatives
US4233470A (en) 1979-07-06 1980-11-11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Restorative material for antioxidant depleted polyolefin insulation
US4218577A (en) 1979-07-20 1980-08-19 General Cable Corporation Telephone service wire with ester-based filling compound
US4812500A (en) 1987-09-30 1989-03-14 Shell Oil Company Polyolefin compositions for water pipes and for wire and cable coatings
TW238328B (ko) 1992-03-19 1995-01-11 Quantum Chem Corp
WO1993024935A1 (en) 1992-05-26 1993-12-09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Telephone cables
WO1993024938A1 (en) 1992-05-26 1993-12-09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Telephone cables
US5380591A (en) 1992-12-30 1995-01-10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Telephone cables
US5474847A (en) 1994-03-29 1995-12-12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Telephone cables
US5502288A (en) 1994-03-30 1996-03-26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Telephone cables
US5453322A (en) 1994-06-03 1995-09-26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Telephone cables
US5766761A (en) 1996-12-11 1998-06-16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Telephone cables
US5807635A (en) 1997-01-24 1998-09-15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Telephone c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58975A1 (en) 2000-10-05
EP1171890A1 (en) 2002-01-16
KR100596078B1 (ko) 2006-07-03
NO328133B1 (no) 2009-12-14
DE60038549D1 (de) 2008-05-21
EP1171890B1 (en) 2008-04-09
ES2302688T3 (es) 2008-08-01
AU3157900A (en) 2000-10-16
ATE391995T1 (de) 2008-04-15
CA2363375C (en) 2007-12-04
US6228495B1 (en) 2001-05-08
NO20014321L (no) 2001-09-05
CN1175431C (zh) 2004-11-10
NO20014321D0 (no) 2001-09-05
CN1344418A (zh) 2002-04-10
DE60038549T2 (de) 2009-06-10
CA2363375A1 (en) 2000-10-05
AU752917B2 (en) 200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6078B1 (ko) 안정화된 텔레콤뮤니케이션 케이블 절연체 조성물
KR101468482B1 (ko) 안정화된 중압 및 고압 절연 조성물
EP2898002B1 (en) Production of blend of polyolefin and organopolysiloxane
US6610765B1 (en) Synthetic polymers comprising additive blends with enhanced effect
EP1470183B1 (en) Stabilization of polyolefins in permanent contact with chlorinated water
US20110086190A1 (en) Antistatic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KR20100108554A (ko) 입체 장애 아민을 포함하는 난연제 조성물
EP1848768A1 (en) Cross-linked polyethylene having excellent inhibition of sweat-out and insulation properties
JP5546629B2 (ja) 永続的帯電防止添加剤組成物
JP5371757B2 (ja) 帯電防止組成物の製造方法
CA2236638A1 (en) Vitamin e formulations for stabilising polymeric organic materials
KR20060128832A (ko) 열적 산화에 대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안정화
EP0946632B1 (en) Light-stabilised flameproof styrene homopolymers and copolymers
US6495622B1 (en) Dimeric light stabilizers for polyolefines and polyolefine copolymers
RU2251170C2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золяции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го кабеля
US5763512A (en) Stabilization of polyamide, polyester and polyketone
WO2000026286A1 (en) Multifunctional epoxides for modifying the molecular weight of polyolefins
SK279851B6 (sk) Polyétery, kompozícia s ich obsahom, a ich použiti
MXPA01008863A (es) Composicion de aislamiento para cable de telecomunicaciones, estabilizada
CA2249892A1 (en) Antistatically finished polymers
EP0405982A1 (en) Filler-incorporat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unteanu Moisture-crosslinkable silane-grafted polyolefins
WO1996019507A1 (en) Pyrrolidinone-containing compatibilisers
EP4166609A1 (en)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