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810A - 터미널 퓨징장치 - Google Patents

터미널 퓨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810A
KR20010109810A KR1020000030459A KR20000030459A KR20010109810A KR 20010109810 A KR20010109810 A KR 20010109810A KR 1020000030459 A KR1020000030459 A KR 1020000030459A KR 20000030459 A KR20000030459 A KR 20000030459A KR 20010109810 A KR20010109810 A KR 20010109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terminal
pair
transfer member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성
박영균
Original Assignee
김찬용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용,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filed Critical 김찬용
Priority to KR1020000030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9810A/ko
Publication of KR20010109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810A/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열부재 양측에 전극을 밀착통전시켜 이들 접촉부에서 발생되는 전기적인 저항열이 전열부재를 통해 터미널에 간접열전달 방식으로 전달되게 하여 터미널에 감싸여진 코일 피복층을 용융탈피시켜 상기 터미널을 코일 심선에 접합되도록 하는 터미널 퓨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한 쌍이 대향되게 배치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통전될 때 저항열을 발생시키는 전극; 도체의 성질을 가지고 상기 각 전극 내측에서 한 쌍이 대향되게 배치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사이로 공급되는 터미널을 파지하는 전열부재; 상기 각 전열부재가 상기 터미널을 양외측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전열부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전열부재 이동수단; 및 상기 전극이 그와 대응되는 상기 각 전열부재 외측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전극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전극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전열부재 이동수단에 의해 한 쌍의 전열부재가 코일을 감싸고 있는 터미널 양측면을 밀착파지할 때 상기 전극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전극이 각 전열부재에 밀착통전되어 이들 통전부에서 발생되는 저항열이 전열부재를 통해 터미널에 전도되어 코일을 감싸는 용가제를 용융시키고 용융된 용가제가 코일 피복층이 탈피시켜 코일 심선에 터미널을 접합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터미널 퓨징장치{Terminal fusing device}
본 발명은 각종 코일의 피복층을 용융탈피시켜 코일 심선에 터미널을 접합시키는 터미널 퓨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과 별도로 작동되는 한 쌍의 전열부재가 터미널 양측을 먼저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전열부재 양측에 전극을 밀착통전시켜 이들 접촉부에서 발생되는 전기적인 저항열이 전열부재를 통해 터미널에 전달되게 하여 용가제가 용융되면서 코일피복층을 탈피시키고 코일 심선에 접합도록 하므로써, 터미널에 열응력 집중현상을 억제시켜 터미널 손상을 방지하고, 코일 피복층의 탈피로 인해 코일의 두께가 순간적으로 줄어들 때 이와 동시에 전열부재가 이를 추종토록 하여 터미널을 안정되고 견고하게 접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원이 공급될 때 소정공간에 자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은 각종 전기,전자제품 그리고 그외 다른 장치 등에서 여러 가지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데, 상기 코일의 도선은 동재로 이루어진 심선 외부에 피복층이 도포되어 있다.
이러한 코일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코일뭉치에서 인출된 인출부에 터미널을 연결하게 되는 데, 이는 코일 인출부를 감싸고 있는 터미널에 전기적인 저항열을 가하여 용가제를 용융시키고 이 용가제에 의해 코일의 피복층이 탈피되어 용가제가 코일과 터미널을 접합시키게 된다.
종래에도 이와 같이 코일의 인출부를 용융시켜 터미널을 열융착방식으로 퓨징하는 터미널 퓨징장치가 있었으나, 종래 터미널 퓨징장치는 도 1 과 같이 코일(60)의 인출부를 용융시키는 양측 전극(61a)(61b)이 구비되어, 상기 전극(61a)(61b)들이 그 사이에 위치한 U형상으로 절곡된 터미널(62) 외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터미널(62)을 직접 가열시켜 코일(60)을 감싸고 있는 용가제(W)를 용융시킴으로써 이 용가제(W)가 코일(60) 피복층을 탈피시켜서 코일(60) 심선에 터미널(62)을 접합시켰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퓨징장치는 1a 의 상태에서 양측 전극(61a)(61b)이 실린더에 의한 이동으로 도 1b 와 같이 터미널(62) 양외측면에 접촉되어 통전되면서 상기 터미널(62)을 전기적인 저항열로 가열하고, 가열된 용가제(W)가 코일(60)의 피복층을 용융시켜 터미널(62)을 코일(60)의 심선에 접합시킨다.
이 때, 양측 전극(61a)(61b)은 상기 터미널(62)의 절곡부(63)를 연결매개체로 하여 통전되므로, 전류는 화살표방향과 같이 터미널(62)의 절곡부(63)를 통해 흐르게 되는 데, 상기 터미널(62) 절곡부(63)에 열이 집중되어 이 부분에 열응력(Thermal stress) 집중현상이 발생되어 취약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이 열응력 집중현상이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63)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그 부분이 파단되어 터미널(62)이 코일(60)의 심선에 견고하게 용융접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박판형상의 터미널(62)은 양측 전극(61a)(61b)에 직접접촉되어 저항열이 발생되므로, 그 자체가 저항역할을 하여 전류가 통전되는 순간 갑작스럽게 가열되어 표면에 도금된 주석성분이 종종 제거되는 데, 이렇게 주석성분이 제거된 터미널(62)은 후공정, 즉 코일뭉치를 인쇄회로기판에 조립하는 공정에 사용할 수 없어 다시 새로운 터미널을 퓨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 뿐만 아니라, 상기 터미널(62)의 가열로 인해 코일(60)의 각 도선들의 피복층이 용융되어 코일(60)의 전체적인 두께가 순간적으로 줄어들 때 상기 줄어든 코일(60)에 터미널(62)을 밀착시키는 구동장치(통상 실린더)의 반응속도(추종속도)가 느려 코일(60) 피복층이 어느 정도 응고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62)이 융착접합되므로 융착층의 격자상태가 달라져 터미널이 견고하게 접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 퓨징장치는 터미널(62)과 전극(61a)(61b)이 직접접촉되어 코일(60) 피복층이 탈피될 때 발생되는 끄으름이 과도하게 발생되어전극(61a)(61b)이 심하게 오염되고, 이러한 상태로 장시간 전극(61a)(61b)을 사용할 때는 전극(61a)(61b)에 이물질이 쌓여 전도성이 극히 저하되어 이후 터미널(62)의 접합상태가 좋지 않게 되어 불량품을 양산하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오염물질을 제거시키기 위한 청소작업 등을 정기적으로 자주 해야 하므로 퓨징장치를 관리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극과 별도로 작동되는 한 쌍의 전열부재가 터미널 양측을 먼저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전열부재 양측에 전극을 밀착통전시켜 이들 접촉부에서 발생되는 전기적인 저항열이 전열부재를 통해 터미널에 전도되어 용융된 용가제가 코일 피복층을 탈피시켜 상기 터미널을 코일 심선에 접합되도록 하므로써, 터미널에 열응력 집중현상을 억제하여 터미널 손상을 방지하고, 저항열이 전열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터미널에 전달되어 전극에 달라붙는 이물질을 줄일 수 있는 터미널 퓨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일 피복층의 탈피로 인해 코일의 두께가 순간적으로 줄어들 때 이와 동시에 전열부재가 이를 추종토록 하여 터미널을 안정되고 견고하게 접합시킬 수 있는 터미널 퓨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터미널 퓨징장치는 한 쌍이 대향되게 배치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통전될 때 저항열을 발생시키는 전극; 도체의 성질을 가지고 상기 각 전극 내측에서 한 쌍이 대향되게 배치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사이로 공급되는 터미널을 파지하는 전열부재; 상기 각 전열부재가 상기 터미널을 양외측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전열부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전열부재 이동수단; 및 상기 전극이 그와 대응되는 상기 각 전열부재 외측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전극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전극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전열부재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전열부재가 코일을 감싸고 있는 터미널 양측면을 밀착파지할 때 상기 전극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상기 각 전열부재에 밀착통전되어 이들 통전부에서 전기적인 저항열이 발생되고 이 저항열이 상기 전열부재를 통해 터미널에 전도되어 코일 피복층을 탈피시켜 코일 심선에 터미널을 접합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전열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전열부재가 대응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블록; 상기 한 쌍의 블록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각 블록에 장착된 전열부재가 터미널을 양측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극 이동수단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한 쌍이 대향되게 배치되고 몸체 중앙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레버; 상기 전극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각 레버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홀더; 및 상기 홀더의 수용부에 장착된 각 전극이 터미널을 파지하는 상기 전열부재에 밀착/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레버의 일단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레버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구동수단은 상기 한 쌍의 레버 사이에 설치되어 그의 구동부가 상기 레버 길이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 구동부에 고정되는 하부블록; 상기 구동장치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하부블록 양측에 평행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 상기 하부블록 상부 일정장소의 상기 가이드샤프트에 고정되는 상부블록; 소정직경을 가지고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에 따라 상기 홀더와 대향되는 각 레버 양단부와 구름접촉되어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각 레버의 양단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각 전열부재가 상기 터미널에 접촉될 때 전극이 상기 각 전열부재에 밀착/분리되게 구동시키는 두 쌍의 롤러; 몸체의 양측에 상기 두 쌍의 롤러들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이 롤러들이 상기 각 홀더와 대향되는 레버들의 양단부와 구를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샤프트상에 왕복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는 롤러블록; 상기 하부블록과 상기 롤러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극들이 상기 각 전열부재와 접촉되어 코일 인출부의 직경이 갑자기 줄어들 때 상기 롤러블록을 밀착시켜 상기 터미널이 줄어든 코일 인출부를 밀착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탄성부재; 상기 레버 각 단부 소정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들이 상기 레버들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이동할 때 이와 동시에 상기 레버들을 끌어당겨 상기 홀더에 장착된 전극이 상기 전열부재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구동수단은 상기 제 1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블록에 체결고정되는 가압조절보울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는 상기 구동장치 구동부의 인입으로 롤러들이 이동할 때 상기 구동장치 구동부와 같이 이동하면서 상기 각 레버 경사부의 외측면과접촉하여 상기 경사부를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소정위치에 레버조작핀이 더 돌출된다.
도 1 은 종래 퓨징장치의 전극이 코일에 터미널을 퓨징하는 공정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3 는 본 발명의 우측면도,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르는 레버와 홀더가 조립된 상태의 개략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홀더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르는 레버구동수단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르는 레버구동수단의 확대 정면도,
도 8 은 도 1 의 B-B선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이 터미널을 코일에 퓨징하는 공정도로써,
도 9a 는 초기상태의 정면도,
도 9b 는 전열부재가 코일에 감싸여진 터미널을 파지한 상태 정면도,
도 9c 는 레버의 회전으로 홀더에 고정된 전극이 전열부재에 열을 가하여 터미널이 코일에 퓨징된 상태의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퓨징장치에 의해 코일 인출부에 터미널이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극 2 : 전극 이동수단
3 : 홀더 4 : 전열부재
5 : 전열부재 이동수단 8 : 레버
10 : 레버구동수단 13,25 : 구동장치
17 : 롤러 18 : 경사부
26 : 하부블록 27 : 상부블록
28 : 가이드샤프트 29 : 롤러블록
30 : 제 1 탄성부재 31 : 제 2 탄성부재
32 : 가압조절보울트 44 : 상부지지블록
45 : 하부지지블록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및 우측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와 홀더가 조립된 상태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홀더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르는 레버구동수단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및 레버구동수단의 확대 정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이 터미널을 코일 인출부에 퓨징하는 각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적용되는 편향코일 또는 그 이외 각종 자기발생 코일 인출부에 터미널을 접합시키는 터미널 퓨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도 2,3 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전극(1)이 전극 이동수단(2)의 홀더(3)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전극(1) 내측에는 한 쌍의 전열부재(4)가 전열부재 이동수단(5)의 블록(6)에 장착된다. 상기 홀더(3)는 프레임(7)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레버(8)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각 레버(8)는 중앙부분이 상기 프레임(7) 내부에 설치된 힌지핀(9)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그 타단부가 레버구동수단(10)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회전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터미널 퓨징장치는 콘트롤(C)의 제어에 따라 전열부재 이동수단(5)에 의해 한 쌍의 전열부재(4)가 이동하여 그 사이로 공급되는터미널(63)을 파지하게 되면, 전극 이동수단(2)의 구동에 따라 양측 전극(1)이 상기 각 전열부재(4)와 접촉하여 통전된다. 상기 통전으로 각 전열부재(4)와 전극(1)의 접촉부에 전기적인 저항열이 발생되고 이 저항열은 상기 각 전열부재(4)를 통해 터미널(63)로 전도되어 코일(60)을 감싸는 용가제(W)를 용융시키게 되고, 상기 용융된 용가제(W)는 코일(60) 피복층을 용융탈피시켜 터미널(63)을 코일(60)에 접합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전극 이동수단(2)이 상기 양측 전극(1)을 가압하게 되므로 이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전열부재(4)는 터미널(63)을 밀착하여 피복층이 탈피된 코일(60) 심선에 상기 터미널(63)이 접합된다.
상기 전극(1)은 전기전도율이 우수한 도체의 성질을 갖으며, 여러 가지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1)은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전열부재(4)가 코일(60)을 감싸는 터미널(63)을 밀착파지 할 때 상기 각 전열부재(4) 외측에 접촉되어, 이들 접촉부에 전기적인 저항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저항열이 상기 전열부재(4)를 통해 상기 터미널(63)에 전달되어 그 내부에 감싸여진 코일(60)의 피복층을 용용탈피시켜 터미널(63)을 코일(60) 심선에 접합시키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전열부재(4)는 전극(1)과의 접촉부에서 발생되는 저항열을 터미널(63)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달이 우수한 금속재의 재질을 갖으며, 콘트롤(C)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전열부재(4)는 상기 한 쌍의 전극(1) 내측에서 상기 전열부재 이동수단(5)의 구동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터미널(63)을 파지 및 해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63) 외측을 밀착파지할 때 그 외측면에 전극(1)이 접촉되어 저항열이 발생할 때 상기 저항열을 터미널(63)에 전도시켜 코일(60)에 터미널(63)을 접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코일(60)에 터미널(63)이 접합된 후에는 콘트롤(C)의 제어에 의한 전열부재 이동수단(5)의 구동에 의해 상기 터미널(63)에서 이탈되어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열부재(4)의 형상은 사용하기 편리한 임의의 형상을 갖으며, 소정위치에 상기 터미널(63)을 수용하여 파지하는 파지부(11)가 형성되는 데, 상기 파지부(11)는 터미널(63)의 외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요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일 실시예로써, 본 명세서에서의 파지부(11)는 코일(60)을 감싸는 터미널(63)이 대략 원형상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터미널(63)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반원형상으로 구성됨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열부재(4)는 파지부가 코일(60)의 피복층이 용융되어 탈피될 때 발생되는 이물질이 쌓이고 잦은 사용으로 마모되어 그 형상이 변형되므로 파지부(11)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고 또한 마모될 때 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전열부재 이동수단(5)의 블록(6)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전열부재(4)는 상기 파지부(11)와 대향되는 소정위치에 상기 블록(6)에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체결공(12)이 통공된다.
상기 전열부재(4)를 이동시키는 전열부재 이동수단(5)은 도 3 내지 도 4 와 같이 콘트롤(C)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한 쌍의 구동장치(13)각 단부에 상기 전열부재(4)를 장착하는 블록(6)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13)의 왕복운동에 따라 블록(6)에 고정된 각 전열부재(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터미널(63)을 파지하고 또한 터미널(63)이 코일(60)에 접합된 다음에는 터미널(63)에서 이탈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장치(13)는 콘트롤(C)의 제어에 따라 일정 스크로크를 가지고 직선왕복운동하게 되는 데, 일반적으로 실린더가 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13)는 상기 실린더 외에도 볼스크류 또는 리니어모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구동장치(13)들은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다. 다만, 상기 리니어모터는 통상의 모터와는 달리 아마추어가 직선왕복운동하여 레버(8)를 왕복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전극 이동수단(2)은 소정형상을 갖는 프레임(7) 내부에 레버(8) 한 쌍이 대향되게 배치되어 그 몸체 중앙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7) 외부로 돌출되는 각 레버(8) 일단부에는 상기 전극(1)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홀더(3)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레버(8) 사이 소정위치에는 상기 한 쌍의 레버(8) 타단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회전시키는 레버구동수단(10)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7)은 대략 중공형상의 육면체 형상으로 조립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한 쌍의 레버(8)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핀(9)이 형성된 한 쌍의 브래킷(14)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레버(8) 각각은 도 4 에서와 같이 일정길이를 가지며 그 대략 중앙부분에 상기 힌지핀(9)이 끼움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공(15)이 통공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홀더(3)를 착탈가능하게 체결조립할 수 있도록 체결공(16)이 통공되는 데, 상기 체결공(16)은 조립된 홀더(3)가 유동하지 않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16)과 대향되는 타단부에는 상기 레버구동수단(10)의 롤러(17)와 접촉될 수 있도록 소정각도 경사진 경사부(18)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8)는 한 쌍의 레버(8)가 대향되는 위치에서 서로 근접되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측경사면(18a)과 외측면에 형성되는 외측경사면(18b)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레버(8)는 상기 롤러(17)가 상기 내측경사면(18a)과 접촉되어 왕복이동할 때 상기 힌지핀(9)을 중심으로 몸체 양단부가 왕복회전하여 그 일단부에 조립된 각 홀더(3)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하여 상기 전열부재(4)에 접촉 또는 이탈된다.
상기 홀더(3)는 도 5 에서와 같이 몸체 일단부 양측에 상기 각 레버(8)에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레버(8)의 각 체결공(16)과 대응되게 나사공(19)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19)과 대향되는 몸체 타단부 소정위치에는 상기 전극(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0)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3)의 고정부(20)는 상기 나사공(19)과 대향되는 몸체 타단부에서 내측으로 소정깊이 틈새(L)가 형성되고, 상기 틈새(L)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전극(1)이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끼움공(21)이 통공되며, 상기 틈새(L) 중앙부분에는 상기 끼움공(21)에 조립된 전극(1)을 보울트로 체결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틈새(L)를 관통하는 체결공(22)이 통공되는 데, 상기 체결공(22)에 보울트틀 체결할 때 상기 틈새(L)가 오므라들게 하여 상기 끼움공(21)에 끼워진 전극(1)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22) 중 어느 일측 내측벽에는 나사산(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사산(23)은 상기 체결공(22)에 체결되는 보울트의 단부를 체결하는 너트 대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공(22)에 삽입된 보울트 단부를 너트로 체결고정할 때는 상기 나사산(23)은 필요치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3)는 나사공(19) 외측에 조립되는 레버(8) 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레버(8)가 수용될 때 그 조립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수용부(24)가 요입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레버구동수단(10)은 힌지핀(9)을 중심으로 각 레버(8)의 양단부를 왕복회전시켜 그 일단부에 고정된 홀더(3)에 고정된 각 전극(1)이 상기 전열부재(4)에 접촉 또는 이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레버구동수단(10)은 도 6 에서와 같이 한 쌍의 레버(8) 사이에 구동부가 직선왕복운동하는 구동장치(25)가 상기 레버(8)와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며, 일정간격 이격된 하부블록(26)과 상부블록(27) 각 몸체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28)가 평행하게 고정되고, 상기 하부블록(26)은 상기 구동장치에 체결고정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하부블록(26), 상부블록(27) 그리고 가이드샤프트(28)가 일체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상기 레버구동수단(10)은 한 쌍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2조의 롤러(17)가 상기 각 레버(8) 내측경사면(18a)에 구름접촉되어 레버(8)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롤러블록(29) 양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롤러블록(29)은 상기 상부블록(27) 하부에 위치되고 몸체 양측에 상기 양측 가이드샤프트(28)가 관통되어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샤프트(28)를 따라 왕복운동하게 된다.
상기 하부블록(26)과 상기 롤러블록(29) 사이에 제 1 탄성부재(30)가 개재되어,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압축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전열부재(4)에 의해 파지된 터미널(63) 내부의 코일(60) 피복층이 용융탈피되어 코일(60) 두께가 순간적으로 줄어들 때 이와 동시에 팽창되어 레버(8)단부를 외측으로 벌려 상기 전열부재(4)가 터미널(63)을 밀착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탄성부재(30)의 터미널(63) 밀착으로 상기 터미널(63)은 탈피된 코일(60) 심선에 압착된다.
상기 레버구동수단(10)은 상기 한 쌍의 레버(8) 각 경사부(18) 근접된 소정위치에 제 2 탄성부재(31)가 연결된다. 상기 제 2 탄성부재(31)는 상기 구동장치(27)의 구동부가 원위치로 복귀될 때 압축되어 상기 레버(8) 타단부를 서로 근접되게 회전시켜 상기 이동하는 롤러(17)와 레버(8) 내측경사면(18a)을 접촉되게 한다. 이 때 상기 레버(8)의 회전으로 각 홀더(3)는 서로 멀리 떨어지게 되어 터미널(63)을 밀착한 전열부재(4)에서 이탈된다.
여기서, 상기 제 1,2 탄성부재(30)(31)는 일정 탄성계수를 가진 코일(60)스프링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버구동수단(10)은 제 1 탄성부재(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블록(27)에 가압조절보울트(32)가 체결되어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장치(25)는 구동부가 일정 스트로크를 가지고 직선왕복운동하여 상기 롤러(17)를 왕복운동시켜 양측 레버(8)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실린더를 주로 사용한다. 상기 실린더의 경우 구동부는 왕복운동하는 로드가 될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25)는 상기 실린더 외에도 볼스크류 또는 리니어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들 구동장치의 자세한 설명은 이미 설명하여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부블록(26)은 몸체의 중앙에 상기 구동장치 구동부가 체결되는 나사공(33)이 형성되고, 몸체 일측면 나사공(33) 주연부에는 상기 제 1 탄성부재(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34)가 소정깊이 요입되며, 상기 나사공(33) 양측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28)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구멍(35)들이 통공된다.
상기 상부블록(27)은 상기 하부블록(26)에 고정된 상기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28) 상부를 평행하게 고정하고, 또한 상기 롤러블록(29)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는 상기 롤러블록(29)에 장착된 롤러(17)들이 상기 레버(8)의 내측경사면(18a)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스톱퍼 기능을 겸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블록(27)은 몸체의 중앙에 상기 가압조절보울트(32)가 관통될 수 있도록 통로(36)가 통공되고, 상기 통로(36)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샤프트(28)들이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구멍(37)들이 통공된다.
상기 하부블록(26)과 상부블록(27) 각각의 구멍(35)(37)들에 삽입된 상기 가이드샤프트(28)들은 상기 가이드샤프트(28)들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블록(26)과 상부블록(27)에 삽입고정된 고정핀(38)으로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샤프트(28)는 봉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블록(27)과 하부블록(26) 사이에서 상기 레버(8)와 구름접촉되어 왕복운동하는 롤러(17)들이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롤러(17)들이 장착된 롤러블록(29)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롤러블록(29)에 장착되는 롤러(17)들은 상기 롤러블록(29)에 삽입된 두 개의 샤프트(39) 각 단부에 서로 맞물리게 조립되어 상기 각 레버(8)의 내측경사면(18a)과 구름접촉하게 된다.
상기 롤러(17)들이 장착되는 롤러블록(29)은 도 8 에서와 같이 몸체가 상기 각 레버(8)들 이격된 몸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샤프트(28)를 지지하는 베어링(40)이 삽입되는 수용공(41)들이 통공되고, 상기 수용공(41) 사이에는 상기 가압조절보울트(32)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공(42)이 통공된다. 따라서 상기 나사공(42)에 체결된 가압조절보울트(32)를 좌우로 회전시켜 상기 제 1 탄성부재(30)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블록(29)은 상기 몸체의 양측면 양단부에는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부가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각 홀더(3)와 대향되는 각각의 레버(8) 외측경사면(18b)에 밀착되어 상기 각 홀더(3)의 전극(1)를 상기 각 전열부재(4)에서 이탈시키는 레버조작핀(43)이 돌출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구동수단(10)은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가이드샤프트(28)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프레임(7)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지지블록(44)과, 상기 하부블록(26)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지지블록(45)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지지블록(44)은 몸체의 양측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28) 상부를 지지하는 베어링(45a)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46)들이 통공된다. 이러한 상부지지블록(44)은 프레임(7) 상부에 조립되므로 프레임(7) 상부커버 기능을 겸하게 된다.
상기 하부지지블록(45)은 몸체의 양측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28) 하부를 지지하는 베어링(47)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48)들이 통공되고, 상기 수용공(48) 사이, 즉 몸체 중앙에는 상기 구동장치(25) 구동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49)이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이 코일(60)에 터미널(63)을 퓨징하는 공정을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각 구동장치는 실린더를 사용함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9a 상태는 실린더 로드가 하강하여 롤러블록(29)에 장착된 상기 롤러(17)들이 상기 레버(8)의 내측경사면(18a)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레버(8)들은 상부가 근접되고 하부가 벌어지고, 이와 함께 전열부재(4)는 서로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콘트롤(C)의 명령에 따라 별도의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전열부재(4) 사이에 공급된 코일(60) 인출부에 터미널(63)이 이송되어 상기 인출부의코일(60)을 감싸게 된다. 이후 전열부재 이동수단(5)의 양측 실린더가 구동되어 양측 블록(23)에 고정된 상기 전열부재(4)가 상기 터미널(63)을 밀착한 상태로 파지하여 도 9b 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상기 터미널(63)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저항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콘트롤(C)의 명령에 의해 상기 레버구동수단(10)의 실린더가 구동되어 그의 로드(28)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로드(28)와 일체로 고정된 상기 하부블록(26), 상부블록(27) 그리고 가이드샤프트(28)가 동시에 승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1 탄성부재(30)는 압축되면서 상기 롤러블록(29)을 밀어올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롤러블록(29)에 장착된 각 롤러(17)들은 상기 레버(8)의 내측경사면(18a)과 구름접촉되어 상기 레버(8)는 힌지핀(9)을 중심으로 상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하단부는 상단부와는 반대로 이동하여 그 단부의 홀더(3)에 장착된 전극(1)이 상기 전열부재(4)와 접촉되어 도 9c 와 같이 된다. 이 때 상기 제 2 탄성부재(31)는 팽창되어 탄성력이 축적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극(1)이 상기 전열부재(4)에 접촉됨과 동시에 그 접촉부에 전기적인 저항열이 발생하여 전열부재(4)를 통해 터미널(63)에 전도되어 터미널(63)을 가열하게 되고, 이 열에 의해 코일(60)을 감싸는 용가제가 용융되면서 코일(60) 피복층을 탈피시켜 코일(60) 심선에 터미널(63)을 접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터미널(63)이 코일(60) 인출부에 접합된 다음에 콘트롤(C)의 명령에 따라 실린더 로드가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블록(26), 상부블록(27) 그리고 가이드샤프트(28)도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강하는 상부블록(27)이 상기 롤러블록(29)을 강제로 하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 2 탄성부재(31)가 복원되면서 상기 각 레버(8)의 상단부를 서로 밀착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롤러(17)들이 상기 레버(8) 내측경사면(18a)과 구름접촉되어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레버(8) 상부는 서로 가까워지고 하부는 멀어져 전극(1)들이 상기 전열부재(4)에서 이탈되고, 이후에 콘트롤(C)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전열부재(4)도 코일(60) 인출부에 접합된 터미널(63)에서 벗어나 도 9a 의 초기상태와 같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린더가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각 레버(8) 상단부가 가까워지게 밀착시키는 힘은 상기 제 2 탄성부재(31)의 축적된 탄성력인데, 상기 제 2 탄성부재(31)의 탄성력이 감소될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레버조작핀(43)이 상기 롤러블록(29)이 하강할 때 상기 레버(8) 상단부의 외측경사면(18b)에 접촉되어 상기 각 레버(8) 상단부를 근접되게 이동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한 쌍의 전열부재들이 콘트롤의 조작에 의해 먼저 이동하여 상기 파지부 내부에 터미널을 감싼상태로 수용하여 터미널을 파지하게 되고, 이후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 전열부재 외측에서 전극이 접촉되는 순간 상기 전극과 전열부재 사이의 접점에서 저항열이 발생되어 이 저항열이 상기 전열부재를 통해 터미널에 전도되어 코일 피복층을 용용탈피시켜 코일 심선에 터미널을 접합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전열부재의 파지부에 터미널이 감싸이게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저항열은 상기 파지부에 감싸인 터미널에 고르게 전달되므로 터미널은 균형있게 가열되어 열응력 집중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손상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터미널이 균형있게 가열된 원인은 상기 전열부재가 터미널을 파지하여 저항열이 상기 전열부재를 통해 터미널에 간접적으로 전달되므로 전열부재가 먼저 가열된 상태에서 그 가열된 열을 터미널에 고르게 전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터미널은 열응력 발생이 현저히 줄어들어 손상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안정된 상태에서 코일의 피복층을 용융탈피시켜 코일 심선에 견고하게 융착되고, 이 과정에서 저항열이 간접적으로 터미널에 전도되므로 용융된 코일의 피복층이 과도하게 용융되지 않게 되어 터미널의 접합상태가 비교적 깨끗하게 된다.
그리고, 전극의 저항열에 의해 인출선의 각 도선들이 용융되어 코일 인출부의 두께가 갑자기 줄어들 때 제 1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는 롤러가 상기 레버 상단부를 외측방향으로 벌리므로써, 상기 전열부재가 코일 인출선의 두께가 줄어듬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을 밀착파지 하므로써 터미널을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코일 인출선의 두께가 줄어드는 순간 상기 줄어든 인출선의 두께를 밀착하는 터미널의 추종속도가 동시동작으로 이루어지므로 터미널 융착성이 향상되어 터미널이 견고하게 접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열부재의 간접열전달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퓨징이 진행되어 터미널 표면에 도금된 주석성분이 제거되지 않으므로 퓨징 후 곧바로 다음 공정, 즉 코일뭉치를 상기 터미널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조립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9)

  1. 한 쌍이 대향되게 배치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통전될 때 저항열을 발생시키는 전극;
    도체의 성질을 가지고 상기 각 전극 내측에서 한 쌍이 대향되게 배치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사이로 공급되는 터미널을 파지하는 전열부재;
    상기 각 전열부재가 상기 터미널을 양외측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전열부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전열부재 이동수단; 및
    상기 전극이 그와 대응되는 상기 각 전열부재 외측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전극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전극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전열부재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전열부재가 코일을 감싸고 있는 터미널 양측면을 밀착파지할 때 상기 전극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상기 각 전열부재에 밀착통전되어 이들 통전부에서 전기적인 저항열이 발생되어 상기 전열부재를 통해 터미널에 전도되어 코일의 피복층을 용융탈피시켜 코일 심선에 터미널을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퓨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전열부재가 대응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블록;
    상기 각 블록를 고정하여 이들 블록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각 블록에 장착된 전열부재가 터미널을 양측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퓨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이동수단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한 쌍이 대향되게 배치되고 몸체 중앙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레버;
    상기 전극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각 레버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홀더; 및
    상기 홀더의 수용부에 장착된 각 전극이 터미널을 파지하는 상기 전열부재에 밀착/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레버의 일단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레버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퓨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구동수단은 상기 한 쌍의 레버 사이에 설치되어 그의 구동부가 상기 레버 길이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 구동부에 고정되는 하부블록;
    상기 구동장치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하부블록 양측에 평행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
    상기 하부블록 상부 일정장소의 상기 가이드샤프트에 고정되는 상부블록;
    소정직경을 가지고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에 따라 상기 홀더와 대향되는 각 레버 양단부와 구름접촉되어 왕복이동하면서상기 각 레버의 양단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터미널파지수단의 각 전열부재가 상기 터미널에 접촉될 때 상기 홀더에 장착된 각 전극이 상기 각 전열부재에 밀착/분리되게 구동시키는 두 쌍의 롤러들;
    몸체의 양측에 상기 두 쌍의 롤러들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이 롤러들이 상기 각 홀더와 대향되는 레버들의 양단부와 구를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샤프트상에 왕복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는 롤러블록;
    상기 하부블록과 상기 롤러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극들이 상기 각 전열부재와 접촉되어 코일 인출부가 용융되어 그 직경이 갑자기 줄어들 때 상기 롤러블록을 밀착시켜 상기 터미널이 줄어든 코일 인출부를 밀착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탄성부재; 및
    상기 레버 각 단부 소정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으로 상기 롤러들이 상기 레버들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이동할 때 이와 동시에 상기 레버들을 끌어당겨 전극이 상기 전열부재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퓨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구동수단은 상기 제 1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블록에 체결고정되는 가압조절보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퓨징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레버들은 힌지핀을 중심으로 양단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들이 구름접촉되는 단부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퓨징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는 상기 구동장치 구동부의 인입으로 롤러들이 이동할 때 상기 구동장치 구동부와 같이 이동하면서 상기 각 레버 경사부의 외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경사부를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소정위치에 레버조작핀이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징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에 따라 왕복이동하는 상기 가이드샤프트들 양측을 지지하여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수단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퓨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몸체의 양측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 상부를 수용지지하는 베어링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들이 통공되어, 상기 프레임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지지블록과;
    몸체의 양측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 하부를 수용지지하는 베어링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들이 통공되어, 상기 하부블록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지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퓨징장치.
KR1020000030459A 2000-06-02 2000-06-02 터미널 퓨징장치 KR20010109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459A KR20010109810A (ko) 2000-06-02 2000-06-02 터미널 퓨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459A KR20010109810A (ko) 2000-06-02 2000-06-02 터미널 퓨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810A true KR20010109810A (ko) 2001-12-12

Family

ID=45926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459A KR20010109810A (ko) 2000-06-02 2000-06-02 터미널 퓨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981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4263A (ja) * 1995-11-29 1997-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小型直流モータの結線方法
JPH11186023A (ja) * 1997-12-25 1999-07-09 Honda Lock Mfg Co Ltd コイル装置
JPH11215636A (ja) * 1998-01-21 1999-08-06 Miyaden:Kk 熱溶融部材の熱溶着方法及び熱溶着用加熱コイル
KR20000010097A (ko) * 1998-07-30 2000-02-15 김찬용 코일 및 그 코일의 인출선에 전원공급을 위한 접속부재의 접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4263A (ja) * 1995-11-29 1997-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小型直流モータの結線方法
JPH11186023A (ja) * 1997-12-25 1999-07-09 Honda Lock Mfg Co Ltd コイル装置
JPH11215636A (ja) * 1998-01-21 1999-08-06 Miyaden:Kk 熱溶融部材の熱溶着方法及び熱溶着用加熱コイル
KR20000010097A (ko) * 1998-07-30 2000-02-15 김찬용 코일 및 그 코일의 인출선에 전원공급을 위한 접속부재의 접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5361B2 (ja) 二つの電気伝導性部材を互いに連結する方法
JP3823076B2 (ja) 誘導加熱用コイル
JP3908588B2 (ja) 小型モータの回転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40202148A1 (en) Actuator
KR20010109810A (ko) 터미널 퓨징장치
JP5406608B2 (ja) 抵抗溶接機および抵抗溶接方法
JP2016213039A (ja) 熱収縮チューブの収縮加工用治具及び熱収縮チューブ付電線の製造方法
JP3869353B2 (ja) 半田付け装置、電極及び半田付け方法
CN2727778Y (zh) 恒温式热压接装置
CN100515643C (zh) 恒温式热压接装置和热压接方法
JP3710742B2 (ja) 絶縁被覆導線と導電部材の接続構造およびその接続方法
KR100483921B1 (ko)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및 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이용한 편향코일 권선기
JP2011096769A (ja) 半田付け方法および装置
CN1075235C (zh) 机电继电器及其制造方法
US5130509A (en) Apparatus for reflow soldering
JPH11274701A (ja) 熱圧着装置
KR200150050Y1 (ko) 코일단말의 피막 박리장치
JP3792658B2 (ja) 導電性微細外径の細線の接合方法
JP2006315043A (ja) リフロー溶接装置
JP3683247B2 (ja) 微小ジョイントメタル接合方法及び導電性テープ
JP2002134246A (ja) 絶縁皮膜電線の通電熱カシメ接合方法と装置
JP2004050236A (ja) 加熱圧接方法
JP2014209412A (ja) 絶縁皮膜除去方法及び絶縁皮膜除去装置
JP2002063980A (ja) 絶縁皮膜電線の溶接方法と装置
JPH08340176A (ja) リード線の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