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921B1 -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및 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이용한 편향코일 권선기 - Google Patents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및 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이용한 편향코일 권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921B1
KR100483921B1 KR10-2000-0025144A KR20000025144A KR100483921B1 KR 100483921 B1 KR100483921 B1 KR 100483921B1 KR 20000025144 A KR20000025144 A KR 20000025144A KR 100483921 B1 KR100483921 B1 KR 100483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ressing member
electrode
wires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3529A (ko
Inventor
김의식
송승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Priority to KR10-2000-0025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921B1/ko
Publication of KR20010103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 H01J2209/2363Coils
    • H01J2209/2366Machines therefor, e.g. winding, forming, welding,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2Conductor design and distribution
    • H01J2229/7033Winding

Landscapes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Coil Winding Methods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구동장치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가압부재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코일 선재들을 가압,통전 하므로써 용융탈피된 코일 심선들이 수용홈 내부에서 밀접하게 접합되어 별도의 통전용단자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히 통전부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이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 편향코일 권선기에 적용하여 편향코일 제조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및 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 이용한 편향코일 권선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는 프레임과; 상부에 코일 선재들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코일 선재들을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전극 상부의 프레임상에 설치되어 가압부재가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탈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직선왕복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전극의 수용홈에 코일 선재들이 수용되고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수용된 선재들을 가압한 상태에서 콘트롤러가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원이 저항열을 발생하여 코일 선재들의 피복층을 용융탈피시키며, 이와 동시에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탈피된 코일 심선들이 밀접하게 접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및 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 이용한 편향코일 권선기{Coil lead current portion pressing device and a winding machine of a deflection yoke coil using the coil lead current portion pressing device}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에 적용되는 편향코일을 비롯하여 그 이외 자장을 발생시키는 각종 코일의 권선된 코일뭉치에 전원공급을 하기 위해 피복층을 탈피시켜 통전부를 형성하는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및 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 이용한 편향코일 권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구동장치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가압부재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코일 선재들을 가압하므로써 용융탈피된 코일 심선들이 수용홈 내부에서 밀접하게 접합되어 별도의 통전용단자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히 통전부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 편향코일 권선기에 적용하여 편향코일 제조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자장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은 절연피복층을 갖는 도선을 금형을 이용하여 필요한 형태의 형상으로 권선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렇게 권선된 권선뭉치를 전기적인 저항열에 의한 열융합방식으로 형성화공정(고형화)을 거치어 목적하는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코일의 제조과정에서 권선된 코일을 고형화 시키거나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다른 전장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코일로부터 인출된 인출선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통전부를 형성하게 되는 데, 상기 통전부는 권선된 각 선재들의 절연피복층이 탈피되고 이렇게 탈피된 심선들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피복층을 갖는 코일에 통전부를 성형하는 종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는 도 1 과 같이 하부에 제 1 전극(1)이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제 1 전극(1)과 서로 접면하는 제 2 전극(2)이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들 두 전극(1)(2)이 서로 접합통전되고 이 때 이들 접촉부에서 발생되는 저항열로 코일 선재(3)들의 피복층을 용용탈피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는 서로 접합되는 제 1 전극(1) 상면과 제 2 전극(2) 저면이 평면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서 코일 선재(3)들이 용융탈피될 때 탈피된 코일 심선들이 양측방향으로 밀려나게 되어 긴밀히 접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통전용단자(4)를 이용하여 코일의 선재(3)들을 감싸는 방식으로 통전부를 구성하였다. 더 자세하게는 띠형상을 가지며 양측이 근접되게 절곡된 통전용단자(4) 내부에 코일 선재(3)들을 수용하고, 이 통전용단자(4)을 상기 제 1 전극(1)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전극(1)과 제 2 전극(2)을 밀착통전시키게 되면, 이들 두 전극(1)(2) 사이에 발생되는 저항열에 의해 상기 통전용단자(4)가 가열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각 선재(3)들의 절연피복층을 탈피시킴으로써 상기 탈피된 코일 심선과 통전용단자(4)가 접합되어 통전부를 형성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는 코일에 통전부를 형성할 때 반드시 통전용단자(4)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 통전부 성형공정이 복잡하고 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더불어 통전용단자(4) 사용에 따르는 원가상승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통전용단자(4)를 상기 제 1 전극(1)에 안착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성형 및 공급장치가 더 필요하게 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코일을 제조하는 권선기에 적용될 경우 권선기가 복잡하고 대형화되며 유지보수가 까다로워 권선기 취급 및 관리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극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구동장치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가압부재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코일 선재들을 가압통전 하므로써 용융탈피된 코일 심선들이 수용홈 내부에서 밀접하게 접합되어 별도의 통전용단자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히 통전부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 편향코일 권선기에 적용하여 편향코일 제조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및 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 이용한 편향코일 권선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의 제 1 실시예는 프레임과; 상부에 코일 선재들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코일 선재들을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전극 상부의 프레임상에 설치되어 가압부재가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탈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직선왕복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의 제 2 실시예는 판상의 베이스와; 상부에 코일 선재들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소정위치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코일 선재들을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탈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직선왕복이동시키는 직선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의 제 3 실시예는 판상의 베이스와; 상부에 코일 선재들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소정위치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코일 선재들을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탈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회전왕복이동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2,3 각 실시예의 상기 전극의 수용홈에 코일 선재들이 수용되고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수용된 선재들을 가압한 상태에서 콘트롤러가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원이 저항열을 발생하여 코일 선재들의 피복층을 용융탈피될 때 이와 동시에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탈피된 코일 심선들이 밀접하게 접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각 실시예에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는 권선기에 적용시 코일이 공급되는 임의의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을 더 갖는 것이 좋다.
따라서 권선기 구조상 코일이 공급되는 경로상에 설치가 불가능하여 코일이 공급되지 않는 장소에 설치되어도 상기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코일 공급경로상으로 이동하여 통전부를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에는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입되어 코일 선재들을 가압할 때 완충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장치 소정위치에 완충장치가 더 설치되어, 장치를 보호함과 아울러 선재의 두께가 다른 코일도 별도의 변경없이 통전부를 성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에 통전을 위한 전원공급장치를 더 연결하여, 상기 가압부재가 피복층이 탈피된 코일 심선들을 가압할 때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전극에 동시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가압부재와 탈피된 코일 심선들 사이 접촉부에 저항열이 발생되어 코일 심선들을 용융시키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각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각종 코일의 권선된 코일뭉치에 전원공급하여 권선된 코일뭉치를 고형화 시키고, 이후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다른 전장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코일 인출부에 통전부를 성형하는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정면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측면도이다.
제 1 실시예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5)는 프레임(6)의 하부지지대(7)에 전극(8)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6)의 상부지지대(9)에는 구동장치(10)가 장착되며, 상기 구동장치(10)의 구동부(11)에는 상기 구동부(11)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전극 수용홈(12)에 삽탈되는 가압부재(13)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10)의 구동부(11)와 상기 가압부재(13)와의 사이에는 상기 가압부재(13)가 상기 전극 수용홈(12)에 삽입될 때 완충작용하는 완충장치(14)가 더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5)는 상기 구동장치(10)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13)가 상기 전극 수용홈(12)에 삽입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코일 선재(3)들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 선재(3)들의 피복층이 용융탈피될 때 상기 가압부재(13)가 수용홈(12) 내부에서 탈피된 코일 심선들을 가압하게 되므로 심선들은 서로 밀접하게 접합된다.
상기 프레임(6)은 도 3 과 같이 몸체 하단부에 상기 전극(8)을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지지대(7)가 수평으로 돌출되고, 몸체의 상단부에 상기 구동장치(10)를 장착시키기 위한 상부지지대(9)가 돌출된다. 상기 프레임(6) 배면은 적용되는 권선기에 고정될 수 있도록 평면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8)은 전원이 통전될 때 저항열이 발생될 수 있도록 금속재 재질로 구성되고 상부에는 코일 선재(3)들의 인출부를 수용하는 수용홈(12)이 소정깊이 요입된다. 상기 수용홈(12)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코일 인출부의 두께 또는 직경에 따라 크기가 결정되고, 권선된 코일 형상에 따라 요입된 형상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8)의 수용홈(12)은 코일뭉치의 단면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으로 요입될 수 있다. 그 중 몇 가지를 예를 들면 사각형상이나 반원형상 또는 삼각형 형상으로 요입될 수 있고 이 외에도 다각형 또는 타원이나 곡선형태로도 요입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는 상기 전극의 수용홈(12)과 이 수용홈(12)에 삽입되는 가압부재(13)가 사각형상으로 구성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전극(8)은 상기 수용홈(12) 양측에 상기 프레임(6)의 하부지지대(7)에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15)가 연장되는 데, 상기 각 고정부(15)에는 체결공(16)이 통공된다.
상기 구동장치(10)는 상기 가압부재(13)를 직선왕복이동시켜 전극 수용홈(12)에 가압부재(13)가 삽탈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13)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장치(10)로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린더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는 로드의 형상의 따라 상기 프레임(6)의 적당위치에 고정되는데, 도면에서는 상부지지대(9)에 고정됨을 나나내고 있으며 그 구동부(11) 즉, 로드에는 상기 가압부재(13)가 고정되어 이 가압부재(13)를 상기 로드가 왕복운동하여 상기 전극 수용홈(12)에 삽탈시킨다.
이러한 구동장치(10)는 상기 실린더 외에도 직선왕복할 수 있는 다른 장치들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다른 장치 중에는 볼스크류나 아마추어가 직선운동하는 리니어모터가 있으며 이 외에도 장치들도 있으나 언급은 생략한다.
상기 가압부재(13)는 구동장치(10) 단부에 구비된 연결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전극 수용홈(12)에 삽탈된다.
이러한 가압부재(13)는 봉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전극 수용홈(12)에 삽입되는데, 이 단부는 잦은 삽입으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열처리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3)를 장착하는 고정장치(17)는 실린더 로드, 즉 구동장치(10)의 구동부(11)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압부재(13)를 장착하게 되는데, 도 5 의 단면도와 같이 하단부 일측이 절개되어 그 절개부 중심에 상기 삽입핀(16)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제 1 수용홈(18)이 요입되는 몸체(19)를 가지며, 상기 몸체(19) 일측면에 상기 몸체(19)의 제 1 수용홈(18)과 대응되게 제 2 수용홈(20)이 요입되는 블록(21)이 착탈식으로 조립된다.
상기 몸체(19)에는 상기 블록(21)을 보울트로 체결고정할 수 있도록 그의 제 1 수용홈(18) 양측에 각각 나사공(22)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21)은 상기 몸체(19)의 나사공(22)과 대응되게 체결공(23)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완충장치(14)는 구동장치(10)의 구동부(11)와 상기 가압부재(13)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장치(10)의 구동부(11)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13)가 상기 전극(8)의 수용홈(12)에 삽입되어 상기 피복이 탈피된 코일의 심선을 접합하는 과정에서 삽입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코일들의 심선 직경의 차이를 보상하게 된다.
이러한 완충장치(14)는 구동장치(10) 이동스트로크를 잘못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수용홈(12)에 수용된 코일의 직경차이가 심하게 발생될 때에도 상기 가압부재(13)가 상기 수용홈(12)에 안정되게 삽탈될 수 있게 하며, 또한 코일들의 굵기가 달라지더라도 그 때마다 상기 구동부(11)의 이동 스트로크를 재설정하지 않도록 간편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완충장치(14)의 구성은 내부에 코일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코일스프링이 압축과 팽창되면서 상기 구동부(11)의 이동 스트로크를 탄력적으로 조절하게 되는 것으로, 그 상부에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노브(24)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작동되는 완충장치(14)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5)는 적용되는 권선기에 설치되어 코일이 공급되는 소정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미도시)을 더 갖는다.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5)가 통상 각종 권선기에 사용되어, 권선된 코일에 통전부를 성형하게 될 경우에 이미 제작된 권선기의 코일 공급경로상, 특히 통전부를 성형하기 적당한 장소에 설치가 여의치 않게 된다.
이럴 경우에 별도의 장소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임(6)을 적절한 장소로 이동시켜서 전극(8)의 수용홈(12)에 코일을 수용하여 통전부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동수단을 상기 프레임(6)을 슬라이드 이동안내하는 레일장치나 서보모터를 이용한 로봇팔이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린더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수단을 사용하므로써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 코일 공급경로가 아닌 설치하기 용이한 장소에 설치하여도 코일에 통전부를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사용 중인 권선기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5)는 상기 전극(8)에 +,-전원을 동시에 공급하여 전극(8)에서 발생되는 저항열이 코일 피복층을 용융탈피시킴과 동시에 탈피된 코일 심선들을 상기 가압부재(13)가 가압하여 이들을 긴밀하게 접합시키게 되는 데, 이와 더불어 상기 전극(8)과 가압부재(1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선하여 이들을 통전시킴으로써 탈피된 코일 심선을 저항열로 용융시켜 도 6c 와 같이 일체로 성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코일 심선들이 용융되어 일체로 성형되면 심선 조직격자가 일체로 되고 그 밀접도가 향상되어 전기전도율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8)에는 두 개의 전원케이블(L1)(L2)이 연결되고, 이와 별도로 상기 전극(8)과 가압부재(13)에 각각 전원케이블(L3)(L4)이 연결되며, 전원공급은 콘트롤러(C)에 의해 제어된다.
이 때 상기 가압부재(13)가 코일의 심선을 압착함과 동시에 이들 접합부에 저항열이 발생되어 상기 코일 심선이 용융되어 일체로 성형된다. 이와 같이 코일 심선이 일체로 성형되면 전기전도율이 높아지게 된다.
다음은 도 6 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가 코일에 통전부를 성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6a 와 같이 전극(8)의 수용홈(12)에 코일 선재(3)들이 수용되고, 구동장치(10) 구동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13)가 상기 수용홈(12)에 삽입되어 수용된 코일 선재(3)들을 가압한 상태에서, 콘트롤러(C) 조작에 따라 상기 전극(8) 양측에 케이블(L1)(L2)을 이용하여 전원 +,-를 동시에 공급하면 상기 전극(8)은 저항열을 발생하여 그 수용홈(12)에 수용된 코일 선재(3)들의 피복을 용융시켜 피복탈피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완충장치(14)의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13)가 탈피된 코일 심선들을 가압하여 코일 심선들을 서로 밀접하게 접합시킨 상태로 통전부를 성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압부재(13)에 의해 압착된 코일의 심선들은 상기 수용홈(12)에 수용된 상태이므로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게 되어 도 6b 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서로 긴밀히 밀접한 상태로 접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심선들이 서로 밀착되어 통전부를 성형할 때 성형되는 코일의 통전부는 상기 각각의 수용홈(12)과 가압부재(13)의 형상에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상기 완충장치(14)는 상기 가압부재(13)가 상기 전극 수용홈(12)에 삽입될 때 코일의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압축과 팽창되면서 굵기가 다른 코일들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삽입핀(16)이 수용홈(12)에 삽입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삽입핀(16)과 수용홈(12)을 보호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통전부 성형과정에서 상기 전극(8)과 상기 가압부재(13)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여 이들을 통전시키게 되면, 도 6c 와 같이 탈피된 코일 심선들은 이들 사이에 발생되는 저항열에 의해 용융되어 일체로 성형되어 통전부를 성형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각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5a)는 하부에 베이스(25)가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25) 일단부에 전극(8)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전극(8)의 수용홈(12)에 삽입되는 가압부재(13)는 직선구동수단(26)의 이동플레이트(27) 일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27)는 상기 베이스(25)에 고정된 구동장치(10)의 구동부(11)에 고정되어 직선왕복이동하게 되며, 상기 구동부(11) 사이에는 완충장치(1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10)의 양측 베이스(25)에는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28)가 고정되고 각 자유단부가 상기 이동플레이트(27)에 관통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실시예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5a)도 권선기 등에 설치되어 코일이 공급되는 소정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미도시)을 더 갖는다.
여기서, 상기 구동장치(10)와, 이동플레이트(27) 그리고 가이드샤프트(28)는 상기 가압부재(13)를 직선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직선구동수단(26)이 된다.
상기 제 2 실시예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5a)는 상기 구동장치(10)의 구동에 의해 이동플레이트(27)가 왕복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27)에 고정된 가압부재(13)가 상기 전극 수용홈(12)에 삽탈되어 수용홈(12)에 수용된 코일에 통전부를 성형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25)는 권선기에 설치되기 용이하게 판상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플레이트(27)는 몸체가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고, 그 일단부에 상기 가압부재(13)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연결장치(17)가 고정된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가이드샤프트(28)가 관통되는 관통공(29)이 형성되는 데, 상기 관통공(29)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샤프트(28)와 미끄럼접촉되는 부싱(30)이 설치된다.
상기 전극(8), 가압부재(13), 구동장치(10) 그리고 가압부재(13)가 장착되는 연결장치 등은 제 1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여 더 이상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제 2 실시예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5a)는 구동장치(10)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27)가 왕복이동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27)에 고정된 상기 가압부재(13)가 코일 선재(3)들이 수용된 상기 전극 수용홈(12)에 삽입되어 선재(3)들을 가압하여 상기 제 1 실시예서와 같이 상기 전극(8)에 수용된 코일 선재(3)에 통전부를 성형하게 된다.
이 때, 왕복이동하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7)는 상기 가이드샤프트(28)에 의해 안내되어 흔들리지 않게 되므로 상기 가압부재(13)는 상기 전극(8)의 수용홈(12)에 안전하게 수용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도 9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 3 실시예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5b)는 하부에 베이스(25)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25) 일단부에 상기 전극(8)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가압부재(13)는 회전구동수단(31)의 이동플레이트(27) 일단부에 고정되어 이 이동플레이트(27)가 구동장치(10)의 구동력에 의해 힌지축(32)을 중심으로 왕복회전할 때 상기 전극 수용홈(12)에 삽탈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10)의 구동부(11) 사이에는 상기 완충장치(14)가 더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25)와 상기 이동플레이트(27)의 서로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플레이트(27)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힌지부(3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실시예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5b)도 제 1,2 실시예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5)(5a)와 마찬가지로 권선기 등에 설치되어 코일이 공급되는 소정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미도시)을 더 갖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장치(10)와, 이동플레이트(27) 그리고 이를 결합하는 힌지축(32)으로 이루어지는 힌지부(33)는 상기 가압부재(13)를 회전왕복이동시키는 회전구동수단(31)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제 3 실시예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는 구동장치(10)의 구동부(11)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이동플레이트(27)가 상기 힌지축(32)을 중심으로 왕복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27)에 고정된 상기 가압부재(13)가 상기 전극 수용홈(12)에 삽입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선재(3)들을 가압하여 코일 선재(3)에 통전부를 성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3 실시예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5a)(5b)는 제 1 실시와 같이 이동수단을 사용하므로써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 코일 공급경로가 아닌 설치하기 용이한 장소에 설치하여도 코일에 통전부를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사용 중인 권선기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3 실시예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5a)(5b)는 코일에 통전부를 성형할 때 각 전극(8)과 가압부재(1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선하여 이들을 통전시킴으로써 탈피된 코일 심선을 저항열로 용융시켜 탈피된 코일 심선을 일체로 성형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상기 코일 성형장치가 적용되는 편향코일 권선기(36)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은 편향코일 권선기(36)를 나타내고 있는 데, 상기 편향코일 권선기(36)는 하우징(37) 내부에 상,하형으로 이루어진 권형(38)이 설치되어 이들 권형(38)이 맞물려 회전하면서 선재공급수단(39)에서 공급되는 복수의 코일 선재(3)들을 동시에 감아 편향코일을 성형하고, 이렇게 편향코일이 성형된 다음에는 공급되는 선재(3)의 소정위치를 절단수단(미도시)으로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성형된 편향코일 양측 인출부에 형성된 통전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여 통전시킴으로써 권선된 코일 선재(3)들이 저항열에 의해 발열하여 각 피복층이 용융접착되어 풀어지지 않도록 고형화 시키게 된다.
이러한 편향코일 권선기(36)에 있어서, 상기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5)(5a)(5b)는 상기 권형(38) 일측에 설치되어, 복수의 코일을 동시에 감아 제조된 편향코일의 양측 인출부 소정위치의 피복층을 탈피시켜 통전부를 성형하므로써 편향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편향코일을 고형화시키게 된다.
더 자세하게는, 상기 권형(38) 일측에 설치된 상기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5)(5a)(5b)는 그의 전극 수용홈(12)에 제조된 편향코일 인출부 선재(3)들이 공급되면, 구동장치(10)에 의해 상기 선재(3)들이 전극 수용홈(12)에 삽입되어 수용된 선재(3)들을 가압한 상태에서 전원공급에 의해 상기 선재(3)들의 피복층이 탈피됨과 동시에 가압부재(13)가 상기 용융탈피된 코일심선들을 밀접하게 접합시켜 통전부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통전부 형성과정에서 상기 전극(8)과 상기 가압부재(13)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여 이들 사이에 발생되는 저항열로 탈피된 코일심선들을 용융시켜 일체로 성형되게 통전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편향코일 권선기(36)는 상기 편향코일 통전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편향코일을 고형화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전극 자체가 저항열을 발생시켜 복수의 코일의 피복을 탈피시킴과 동시에 가압부재가 피복층이 탈피된 코일 심선들을 가압하게 되는 데, 이 때 상기 가압된 코일 심선들은 전극 수용홈 내부에 수용되어 서로 밀접하게 접합된 상태로 통전부를 성형하여 통전용단자를 사용하지 않고도 통전부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원을 상기 가압부재에도 연결하여 코일 심선들을 용융시켜 통전부를 성형하게 되면 통전부는 일체로 성형되어 전기전도율이 더 좋아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 통전용단자를 공급하고 성형하기 위한 장치들을 제거할 수 있어 편향코일 권선기의 장치의 구성을 간편화 및 경량화 할 수 있으며, 통전부 성형에 따른 공수가 절감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 편향코일 권선기의 설치하기 용이한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여도 이동수단으로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 상,하권형 근처의 코일 공급경로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미 사용 중인 권선기에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통전부 성형장치가 코일 통전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2 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정면도,
도 3 은 도 2 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과 가압부재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 은 도 3 의 A-A선을 따라 단면하여 가압부재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이 코일에 통전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정면도,
도 8 는 도 7 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측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가 적용된 편향코일 권선기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5a,5b :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6 : 프레임
8 : 전극 10 : 구동장치
12 : 수용홈 13 : 가압부재
14 : 완충장치 25 : 베이스
26 : 직선구동수단 27 : 이동플레이트
28 : 가이드샤프트 31 : 회전구동수단
32 : 힌지핀 33 : 힌지부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판상의 베이스;
    상부에 코일 선재들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소정위치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전극;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코일 선재들을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탈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직선왕복이동시키는 직선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전극의 수용홈에 코일 선재들이 수용되고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수용된 선재들을 가압한 상태에서 콘트롤러가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원이 저항열을 발생하여 코일 선재들의 피복층을 용융탈피될 때 이와 동시에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탈피된 코일 심선들이 밀접하게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는 적용되는 권선기에 코일이 공급되는 임의의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부재에 케이블을 더 연결하여, 상기 가압부재가 피복층이 탈피된 코일 심선들을 가압할 때 콘트롤러 제어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전극에 동시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가압부재와 탈피된 코일심선들 사이 접촉부에 저항열이 발생되어 코일 심선들을 용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그의 구동부가 직선왕복운동하는 구동장치;
    판상의 몸체가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부에 고정되고 상기 전극과 대응되는 내측면에 상기 가압부재가 고정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전극수용홈에 삽탈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는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구동수단은 봉형상의 몸체 일단부가 상기 구동장치와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상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직선왕복운동할 때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입되어 코일 선재들을 가압할 때 완충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장치 소정위치에 완충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11. 판상의 베이스;
    상부에 코일 선재들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소정위치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전극;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코일 선재들을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탈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회전왕복이동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전극의 수용홈에 코일 선재들이 수용되고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수용된 선재들을 가압한 상태에서 콘트롤러가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원이 저항열을 발생하여 코일 선재들의 피복층을 용융탈피될 때 이와 동시에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탈피된 코일 심선들이 밀접하게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는 적용되는 권선기에서 코일이 공급되는 임의의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에 케이블을 더 연결하여, 상기 가압부재가 피복층이 탈피된 코일 심선들을 가압할 때 콘트롤러 제어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전극에 동시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가압부재와 탈피된 코일 심선들 사이 접촉부에 저항열이 발생되어 코일 심선들을 용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서로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플레이트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힌지부;
    상기 베이스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그의 구동부 단부에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고정되어 상기 구동부가 직선왕복운동할 때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왕복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전극 수용홈에 삽입되어 코일 선재들을 가압할 때 완충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장치 소정위치에 완충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16. 삭제
KR10-2000-0025144A 2000-05-10 2000-05-10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및 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이용한 편향코일 권선기 KR100483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144A KR100483921B1 (ko) 2000-05-10 2000-05-10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및 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이용한 편향코일 권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144A KR100483921B1 (ko) 2000-05-10 2000-05-10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및 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이용한 편향코일 권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529A KR20010103529A (ko) 2001-11-23
KR100483921B1 true KR100483921B1 (ko) 2005-04-19

Family

ID=4366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144A KR100483921B1 (ko) 2000-05-10 2000-05-10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및 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이용한 편향코일 권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9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6464A (ja) * 1994-03-18 1995-10-09 Honda Motor Co Ltd 電導線と接続端子の結合方法及び装置並びに接続構造
JPH0982378A (ja) * 1995-09-14 1997-03-28 Hitachi Media Electron:Kk 端子とコイル線材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US5660742A (en) * 1995-03-31 1997-08-26 Joyal Products, Inc. Insulated wire termination, method, and machine
KR19990018855U (ko) * 1997-11-14 1999-06-05 왕중일 편향코일의 피복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6464A (ja) * 1994-03-18 1995-10-09 Honda Motor Co Ltd 電導線と接続端子の結合方法及び装置並びに接続構造
US5660742A (en) * 1995-03-31 1997-08-26 Joyal Products, Inc. Insulated wire termination, method, and machine
JPH0982378A (ja) * 1995-09-14 1997-03-28 Hitachi Media Electron:Kk 端子とコイル線材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KR19990018855U (ko) * 1997-11-14 1999-06-05 왕중일 편향코일의 피복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529A (ko) 200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84493B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066133B1 (ko) 모터, 및 모터의 제조 방법
US511101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using wire
KR20020001843A (ko) 액추에이터
CA3011112A1 (en) Assembly procedure for a long-stator linear motor
EP2482292B1 (en) Magnetic coil assembly
KR100483921B1 (ko)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 및 그 코일 통전부 성형장치를이용한 편향코일 권선기
US5931403A (en) Winding form and lead guide assembly
JP2001521272A (ja) リレーの製造法
US20030161252A1 (en) Objective lens driving unit
JP4327298B2 (ja) リニアモーター用駆動コイル
KR101276408B1 (ko) 초음파 융착 방식을 적용한 모터의 pcb 조립 장치
KR100281835B1 (ko) 플라이 백 트랜스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1035719A (ja) ソレノイドの結線構造、ソレノイド装置および鍵盤楽器の自動演奏装置
JP2000311568A (ja) 電磁継電器、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454406A (zh) 无刷电机及其制造方法
JP2001078420A (ja) 可動電機子型リニアモータとその電機子及びその電機子の組立方法
EP0566303B1 (en) Fabrication method of a deflection coil
US8503152B2 (en) Circuit board mountable solenoid actuator
CN113380536A (zh) 线圈自动拔线机构
CN219164414U (zh) 线性致动器和电动剪切装置
JP4077527B2 (ja) 電磁継電器とその製造方法
JPH0750218A (ja) コイルの製造方法
WO2023119801A1 (ja) 電動機及び端子
JPH0834079B2 (ja) 電磁リ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