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7715A -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7715A
KR20010107715A KR1020010028606A KR20010028606A KR20010107715A KR 20010107715 A KR20010107715 A KR 20010107715A KR 1020010028606 A KR1020010028606 A KR 1020010028606A KR 20010028606 A KR20010028606 A KR 20010028606A KR 20010107715 A KR20010107715 A KR 20010107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ential
signal
source signal
source
gra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4208B1 (ko
Inventor
나카니시쿠니후미
테라가키토모야
Original Assignee
히로 산쥬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스트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 산쥬,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스트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히로 산쥬
Publication of KR20010107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2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55Details of drivers for counter electrodes, e.g. common electrodes for pixel capacitors or supplementary storage capaci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4Compensation of DC component across the pixel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19Reducing feedthrough effects in active matrix panels, i.e. voltage changes on the scan electrode influencing the pixel voltage due to capacitive coup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mplitud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시간 동일한 화상을 표시한 경우라도 스티킹 현상이 생기지 않고, 깜박거림의 발생도 없는, 화질이 뛰어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서 하고 있고, 오프셋 보상 구동법을 적용하여, 소스 신호의 진폭이 큰 계조에서는,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도록 공통신호의 전위 및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를 설정하여, 소스 신호의 진폭이 작은 계조에 있어서는,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를,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는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보다도, 더욱 높은 전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METHOD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TFT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TFT 방식의 액정표시장치(LCD)의 구성을 나타낸다. 유리기판(6)상에, TFT 소자(1), 소스 배선(2), 게이트 배선(3), 드레인(4), 화소전극(5)이 형성되어, TFT 기판으로 된다. 유리기판(8)상에는 대향전극(7)이 형성되어, 대향기판으로 된다. TFT 기판과 대향기판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양 기판 사이에 액정이 끼워져 있다.
도 2는 도 1의 일 화소에 관한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도 2중에서, 9는 소스 배선(2)에 인가되는 소스 신호를, 10은 게이트 배선(3)에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를 나타낸다. Cgd는 게이트-드레인 사이의 결합용량을 나타내고, Cds는 소스-드레인 사이의 결합용량을, Clc은 화소전극과 대향전극 사이에 끼워진 액정에 의한 결합용량을 각각 나타낸다. Cs는 화소 유지 특성을 향상시켜, 화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형성된 유지용량이다.
도 3은 화소에 인가되는 신호 파형을 나타낸다.
소스 신호(9)는, 중심전위 Vso를 중앙값으로 하는 진폭 Vsa의 교류전압이다. 진폭 Vsa는, 화소에 표시시키고자 하는 계조에 대응하고 있다. 게이트 신호(10)는, 1 주사기간 동안만 Hi 레벨이 되고, 그 이외의 기간은 Lo 레벨이 된다. 11은 화소전극(5)의 전위를 나타낸 파형이다.
먼저, 도 3의 홀수 프레임(101)에 있어서, 게이트 신호(10)가 Hi 레벨로 되면, 화소전극(5)의 전위(11)는 소스 신호(9)의 레벨이 된다. 여기서, 게이트 신호(10)가 Lo 레벨이 되면, 게이트-드레인 사이의 결합용량 Cgd의 영향으로, 화소전극(5)의 전위(11)에 △Vgd의 전압강하가 생긴다. 이 전압 강하량 △Vgd는 피드스루(Feed-through)전압이라고 불리고, 다음 수학식 1,
로 나타내어진다. 여기서, △Vg는 게이트 신호(10)의 전압 변화량이다.
그 후, 1 프레임 동안, 화소전극(5)의 전위(11)는 주로 유지용량 Cs에 의해서 유지된다.
잇따르는 짝수 프레임(102)에 있어서, 다시 게이트 신호(10)가 Hi 레벨이 되면, 화소(5)의 전위(11)는 소스 신호(9)의 레벨이 된다. 여기서, 게이트 신호(10)가 Lo 레벨이 되면, 역시 △Vgd의 전압강하가 생긴다. 전압 강하량 △Vgd는, 이미 서술한 것과 같이,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의 일점 쇄선(12)은 대향전극(7)의 전위를 나타내고, 일반적으로 공통신호라고 불린다. 공통신호(12)의 전위는, 통상, 별도로 설정되는 가변 저항기 등에 의해서 조정이 가능하고, 홀수 프레임(101)으로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 Vo과 짝수 프레임으로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 Ve의 절대치가 같게 되도록 설정된다. 이때의 공통신호의 전위를 최적 Vcom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TFT 방식의 LCD에서는, 약 60Hz의 주파수에서 정극과 부극의 기록을 하고 있다. 따라서, 홀수 프레임으로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 Vo과 짝수 프레임으로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 Ve의 절대치가 같지 않은 경우에는, 깜박임(flicker)이라고 불리는 약 30Hz의 깜박거림이 관측된다.
또한, 전압 Vo와 전압 Ve의 절대치가 같게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액정에 인가되는 교류전압의 크기가, 정극성과 부극성에서 같게 되지 않아, 결과로서 DC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액정층에 인가된 DC 전압에 의해서, 전하가 각 전극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LCD에서 동일한 화상을 장시간에 걸치고 표시시킨 후, 다른 화상을 표시시킨 때에, 잔류 DC가 생기기 전의 화상이 잔상으로서 남는 「스티킹」현상을 일으킨다.
따라서, 이 「스티킹」을 막기 위해서, 공통신호(12)의 전위는, 화소전극(5)의 전위(11)의 중심전위에 일치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그러나, 수학식 1의 성분 중, 액정에 의한 결합용량 Clc은, 인가전압에 대한 의존성을 가지고 있다. 도 5는 액정으로의 인가전압과 액정에 의한 결합용량 Clc과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횡축으로, 액정으로의 인가전압으로서 소스 신호(9)의 진폭 Vsa를 취하고, 종축으로 액정에 의한 결합용량 Clc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액정에 인가하는 전압, 요컨대 표시시키는 화상의 계조에 의해서, 액정에 의한 결합용량 Clc의 값은 다르다.
따라서, 수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피드스루전압 △Vgd는, 언제나 일정한 것이 아니라, 소스 신호(9)의 진폭 Vsa, 요컨대 표시시키는 화상의 계조에 의해서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변화된다.
도 6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소스 신호(9)의 진폭 Vsa가 크고, 요컨대 블랙색에 가까운 계조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피드스루전압 △Vgd는 작다. 소스 신호(9)의 진폭 Vsa가 작고, 요컨대 화이트 색에 가까운 계조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피드스루전압 △ Vgd는 크다.
따라서, 홀수 프레임으로써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 Vo과 짝수 프레임으로써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 Ve의 절대치를 같게 하기 위해서는, 피드스루전압 △Vgd가 큰 화이트 표시시는, 공통신호(12)의 전위를 낮추고, 피드스루전압 △Vgd가 작은 블랙표시시는, 공통신호(12)의 전위를 높게 할 필요가 있다. 이 관계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횡축은 소스 신호(9)의 진폭 Vsa, 요컨대 표시시키는 화상의 계조, 종축은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을 나타내고 있다.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각 계조마다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은 다르다. 그렇지만, 공통신호(12)가 인가되는 대향전극(7)은, 화면의 전영역에 걸쳐서 공통이다. 따라서, 화면 내에 다른 계조를 표시시킨 경우에는,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이 되지 않은 화소가 반드시 존재하여, DC 전압이 가해져 「스티킹」이 생겼다.
그래서, 계조에 의해서 다른 피드스루전압 △Vgd를 보상하기 위해서, 오프셋보상 구동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 8과 도 9를 사용하여, 오프셋 보상 구동법의 원리를 설명한다. 이미 서술한 것처럼, 소스 신호(9)의 진폭 Vsa가 작은 경우에는, 피드스루전압 △Vgd는 크다. 그래서,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소스 신호(9)의 중심전위 Vso를 높게 설정한다. 한편, 소스 신호(9)의 진폭 Vsa가 큰 경우에는, 피드스루전압 △Vgd는 작다. 따라서, 소스 신호(9)의 중심전위 Vso는 낮추어서 좋다.
소스 신호(9)의 중심전위 Vso를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설정함으로써, 홀수 프레임으로써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 Vo과 짝수 프레임으로써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 Ve의 절대치를 같게 하기 위한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은,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모든 계조에 걸쳐서 거의 같게 된다. 따라서, 대향전극(7)에 인가하는 공통신호(12)의 전위를, 도 9의 전위 Vcom과 일치시킴으로써, 화면내의 각 영역에 다른 계조를 표시시킨 경우라도, DC 전압이 인가되는 화소는 없고, 「스티킹」이 생기는 경우는 없다.
오프셋 보상 구동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오프셋 보상값은, 화면상의 일정 위치를 선택하여, 그 위치에서 각 계조, 요컨대 소스 신호(9)의 각 진폭 Vsa마다, 최적의 중심전위 Vso를 구하여 설정된다.
그러나, 소스 신호(9)의 각 진폭 Vsa에 대하여 최적의 중심전위 Vso는, 화면내의 위치에 따라서 다르다. 이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1) 게이트 신호(10)의 파형이, 화면내의 위치에 따라서 다르다. 게이트 신호의 입력부 근방에서는, 게이트 신호(10)는 상승, 하강이 급준하여 이상적인 구형파에 가까운 신호 파형이지만, 게이트 신호 입력부로부터의 거리가 커지면, 상승, 하강이 「둔해진」신호 파형이 된다. 따라서, 게이트 신호 입력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는, 수학식 1에서의 △Vg의 값이 외견상 작아진다. 이 때문에, 피드스루전압 △Vgd도 화면내의 각 위치에 있어서 다르게 된다.
(2) 일반적으로, 유지용량 Cs는 화면내의 위치에 의해서 분포를 갖고 있다. 따라서, 수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피드스루전압 △Vgd도, 화면내의 각 위치에서 다르다.
(3) 액정의 특성이, 화면내의 전부에 걸쳐서 균일하지 않다. 이 때문에, 액정에 의한 결합용량 Clc도 화면내의 위치에 의해서 분포를 갖고, 따라서 수학식 1로 나타내어진 피드스루전압 △Vgd도, 화면내의 각 위치에서 다르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부터, 소스 신호(9)의 각 진폭 Vsa에 대하여 최적의 중심전위 Vso, 요컨대 오프셋 보상값은, 화면내의 위치에 따라서 다르다. 따라서, 종래기술과 같이, 화면내의 일정 위치에서 오프셋 보상값을 설정하더라도, 다른 위치에서는 그 설정값이 최적은 아니기 때문에, 「스티킹」이 발생한다.
도 1은 TFT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화소의 등가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화소에 인가되는 신호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스티킹(sticking) 현상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과, 액정에 의한 결합용량 Clc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소스 신호(9)의 진폭 Vsa와, 피드스루전압 △Vgd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오프셋 보상을 하지 않은 경우의, 각 소스 신호(9)의 진폭 Vsa에 대하여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오프셋 보상의 원리를 설명한 도면,
도 9는 오프셋 보상을 한 경우에 관해서, 각 소스 신호(9)의 진폭 Vsa에 대하여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설정을 설명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설정을 설명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설정을 설명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설정을 설명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설정을 설명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한 설정을 설명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정을 설명한 도면,
도 17은 액정에 인가하는 전압과 표시되는 계조(gradation)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TFT 소자 2 : 소스 배선
3 : 게이트 배선 4 : 드레인
5 : 화소전극 6, 8 : 유리기판
7 : 대향전극 9 : 소스 신호
10 : 게이트 신호 11 : 화소전극(5)의 전위
12 : 공통신호
본 발명의 발명자는, 여러 가지 LCD에 관해서, 이 「스티킹」현상을 연구하여, 이하의 결론을 얻었다.
소스 신호의 진폭이 큰 계조에서는,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공통신호의 전위 및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를,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도록 설정하고,
소스 신호의 진폭이 작은 계조에서는,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를,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는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보다도, 높은 전위로 설정함으로써 「스티킹」을 경감할 수 있고, 깜박임도 볼 수 없다.
또한,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가 가장 큰 화소에 관해서,
모든 계조에 있어서,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가 보상되 도록, 공통신호의 전위 및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를 설정함으로써,
그 밖의 화소에 있어서는,
소스 신호의 진폭이 작은 계조에 있어서,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가,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는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보다도, 높은 전위가 되어,
결과로서, 화면의 넓은 범위에 걸쳐서 「스티킹」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가 가장 큰 화소에 관해서,
소스 신호의 진폭이 작은 계조에 있어서,
소스 신호의 중심 전위를,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는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보다도, 높은 전위로 설정함으로써,
그 밖의 화소에 있어서는,
소스 신호의 진폭이 작은 계조에 있어서,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가,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는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보다도, 높은 전위가 되어,
결과로서, 화면내의 넓은 범위에 걸쳐서 「스티킹」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나타내어진 모든 계조에 있어서,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가 보상되는 공통신호의 전위와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의 조합과 비교하여,
공통신호의 전위를 낮은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소스 신호의 진폭이 작은 계조에 있어서의 「스티킹」을 감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스 신호의 진폭이 큰 계조에서도, 「스티킹」이 악화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나타내어진 모든 계조에 있어서,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가 보상되는, 공통신호의 전위와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의 조합과 비교하여,
공통신호의 전위를 낮은 값으로 설정하고,
또한, 소스 신호의 진폭이 작은 계조에 있어서의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를, 높은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소스 신호의 진폭이 작은 계조에 있어서의 「스티킹」감소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나타내어진 모든 계조에 있어서,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가 보상되는, 공통신호의 전위와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의 조합과 비교하여,
소스 신호의 진폭이 작은 계조에 있어서의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를, 높은 값으로 설정하고,
또한, 소스 신호의 진폭이 큰 계조에 있어서의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도, 높은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스티킹」현상이 감소되면서 동시에, 화면 깜박거림(플리커)이나 숏(shot) 얼룩 등의 표시불량이 생기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미 서술한 대로, 종래의 기술에서는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피드스루전압△Vgd가, 소스 신호(9)의 진폭 Vsa가 작은 화이트 표시시에는 크고, 소스 신호(9)의 진폭 Vsa가 큰 블랙표시시에는 작아진 것을 고려하여, 소스 신호(9)의 중심전위 Vso를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9에 도시한 것처럼, 각 계조에 관해서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이 거의 같은 값이 되고, 한 장의 대향전극으로 각 계조에 대하여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b에 곡선 S로 도시한 것처럼, 소스 신호(9)의 진폭 Vsa가 작은 영역에서, 소스 신호(9)의 중심전위 Vso를, 도면중의 일점 쇄선 P로 나타낸 종래기술의 설정보다도, 더 높게 설정한다. 이때, 각 계조에 대하여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은, 도 10a에 나타낸 대로이고, 한 장의 대향전극으로 각 계조에 대하여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을 공급하는 것은 할 수 없다. 그래서, 도 10a의 점선 C1에 나타낸 것처럼, 소스 신호(9)의 진폭 Vsa가 큰 영역, 요컨대 블랙표시의 영역에서의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로 나타내어서, 공통신호(12)의 전위를 설정한다.
종래기술의 사고방식에서는, 본 실시예의 설정에서는, 화이트 표시의 영역에서의 「스티킹」 및 깜박거림이 현저해져 실용적이지 않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본 발명의 발명자는, 실제로는 본 실시예의 설정에 의해, 「스티킹」 현상을 경감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이유로서는, LCD의 구성이 대칭형이 아닌 경우를 예로 든다. 예를 들면, 화소전극(5)과 대향전극(7)은 형상이 다르고, 대향하는 양 기판의 표면에 설치된 보호막의 막 두께나 막 질도 다르다. 이 때문에, 전하의 각 전극방향으로의 이동 양상이 다르고, 잔류 DC의 발생이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에 의존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액정의 전압-계조 특성은 도 17에 나타낸 것처럼 되어 있고, 화이트 또는 블랙에 가까운 영역에서는, 인가전압이 변화되더라도 계조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설정으로 하는 것에 의해, 홀수 프레임으로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 Vo과 짝수 프레임으로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 Ve이 다소 다른 것으로 하여도, 깜박거림은 거의 걱정이 되지 않는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면 내에서 가장 피드스루전압 △Vgd가 큰 위치에서, 각 계조에 대해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이 거의 일정, 요컨대 도 11a의 상태가 되도록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 Vso를 설정한다. 이때, 화면내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는, 각 계조에 대하여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은 도 11b에 나타낸 것과 같은 값이된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 서술한 이유에 의해, 화면내의 넓은 영역에서 스티킹이 없는 표시를 얻을 수 있다.
피드스루전압 △Vgd가 큰 위치는, 일반적으로는 게이트 신호의 입력부에 가까운 위치이지만, 깜박거림이 관측되어 없어질 때의 공통신호의 전위가 가장 낮은 위치로서,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면 내에서 가장 피드스루전압 △Vgd가 큰 위치에 있어서, 도 12a에 나타낸 것처럼, 소스 신호(9)의 진폭 Vsa가 큰 영역에 관해서는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이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설정하고, 소스 신호(9)의 진폭 Vsa가 작은 영역에 관해서는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이, 소스 신호(9)의 진폭 Vsa가 큰 영역에 관한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보다도 커지도록, 소스 신호(9)의 중심전위 Vso를 설정한다.
이때, 화면내의 다른 위치에서는, 도 12b에 나타낸 것과 같은, 소스 신호(9)의 진폭 Vsa와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의 관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 서술한 이유에 의해, 화면내의 넓은 영역에서 스티킹이 없는 표시를 얻을 수 있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피드스루전압 △Vgd가 큰 위치는, 일반적으로는 게이트 신호의 입력부에 가까운 위치이지만, 깜박거림이 관측되어 없어질 때의 공통신호의 전위가 가장 낮은 위치로서,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계조에 걸쳐서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이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오프셋 보상, 요컨대 소스 신호(9)의 중심전위 Vso를 설정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공통신호의 전위를 이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에 일치시켰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공통신호의 전위를 도면 중 C2에 도시한 것처럼, 이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에 대하여 낮은 값으로 설정한다.
종래 기술의 사고방식에서는, 본 실시예의 설정에서는, 전 계조에 걸쳐 스티킹 및 깜박거림이 생기기 어렵고, 실용적이지 않다고 되어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본 실시예의 설정에 의해, 소스 신호(9)의 진폭 Vsa가 작은 영역, 요컨대 화이트 표시의 영역에서의 스티킹 현상을 경감할 수 있어, 깜박거림도 걱정되지 않는 것은 이미 설명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본 실시예의 설정이라도, 소스 신호(9)의 진폭Vsa가 큰 영역, 요컨대 블랙표시의 영역에서의 스티킹이 악화하지 않은 것을 발견하였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각 계조에 걸쳐서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이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오프셋 보상, 요컨대 소스 신호(9)의 중심전위 Vso를 설정하고 있지만, 도 14에 나타낸 것처럼 소스 신호(9)의 진폭 Vsa가 작은 영역, 요컨대 화이트 표시의 영역에서,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이 높아지도록 소스 신호(9)의 중심전위 Vso를 설정하여도 된다.
소스 신호(9)의 진폭 Vsa가 작은 영역에서의 스티킹 현상을 더욱 경감할 수 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도 1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의 계조에서의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에 대하여, 소스 신호(9)의 진폭 Vsa가 큰 영역 및 소스 신호(9)의 진폭 Vsa가 작은 영역에서의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이 커지도록 설정하였다.
그리고, 공통신호의 전위는, 중간의 계조에서의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 요컨대 도면중의 일점 쇄선 C3으로 설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스 신호(9)의 진폭 Vsa가 큰 영역 및 소스 신호(9)의 진폭 Vsa가 작은 영역에서의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이, 공통신호의 전위 C3보다도 커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 4와 같은 이유에 의해 스티킹이 감소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의 계조 영역에서의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을 공통신호의 전위 C3와 거의 일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화면의 깜박거림(플리커)이나 숏 얼룩짐 등의 표시불량은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6)
본 발명을 적용한 설정의 구체예를, 도 16에 의해 설명한다.
시험으로 제작한 LCD에 관해서, 오프셋 보상값을 도 16b와 같이 설정하였다. 소스 신호의 진폭 Vsa가 작아짐과 동시에,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 Vso가 높아지도록 설정하였지만, 특히 소스 신호의 진폭 Vsa가 1.0∼1.2V인 영역에서,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 Vso를 더욱 높게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설정한 LCD에 관해서, 피드스루전압 △Vgd의 가장 큰 위치를 실험적으로 구하고, 그 위치에서, 각 소스 신호의 진폭 Vsa에 관해서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을 측정한 바, 도 16a와 같이 되어 있었다. 소스 신호의 진폭 Vsa가 1.2∼2.5V의 영역에서는,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은 1.0V에서 일정하고, 소스신호의 진폭 Vsa가 1.0V일 때의 최적의 공통신호의 전위 Vcom은 1.2V이었다.
그래서, 대향전극에 인가하는 공통신호의 전위를 1.0V로 설정하고, LCD의 전면에 화이트 색을 표시시켰지만, 깜박거림은 관측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LCD의 전면에 체크 무늬를 장시간 표시시켰지만, 스티킹은 생기지 않았다.
이상 서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는, 공통신호가 DC 전위인 경우가 표시되어 있지만, LCD의 구동방식에 따라서는 1 주사 라인마다 극성을 반전시키는 교류신호의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시간 동일한 화상을 표시한 경우라도 스티킹 현상이 생기지 않고, 깜박거림의 발생도 없기 때문에 화질이 뛰어난 액정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액정층을 끼워 대향 배치된 2장의 기판의 한쪽에,
    소스 신호가 공급되는 소스 배선과,
    게이트 신호가 공급되는 게이트 배선과,
    상기 소스 배선 및 상기 게이트 배선에 접속된 TFT 소자와,
    해당 TFT 소자의 드레인에 접속된 화소전극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장의 기판의 다른쪽에는, 교류 또는 직류의 공통신호가 인가되는 대향전극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스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화소전극의 전위를 변화시키고, 화소전극-대향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변화시킴으로써, 양전극 사이의 액정분자의 배향 상태를 변화시켜, 화소에 표시되는 계조가 제어되고,
    게이트 신호의 전위변화에 의해서 유기되는 화소전극의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서, 대향전극에 인가하는 공통신호의 중심전위를 설정할 수 있고,
    각 계조마다 다른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서, 각 계조마다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소스 신호의 진폭이 큰 계조로,
    공통신호의 중심전위 및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가,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도록 설정되고,
    소스 신호의 진폭이 작은 계조에 있어서는,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가,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는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보다도, 높은 전위로 설정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 액정층을 끼워 대향 배치된 2장의 기판의 한쪽에,
    소스 신호가 공급되는 소스 배선과,
    게이트 신호가 공급되는 게이트 배선과,
    상기 소스 배선 및 상기 게이트 배선에 접속된 TFT 소자와,
    해당 TFT 소자의 드레인에 접속된 화소전극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장의 기판의 다른쪽에는, 교류 또는 직류의 공통신호가 인가되는 대향전극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스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화소전극의 전위를 변화시키고, 화소전극-대향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변화시킴으로써, 양전극 사이의 액정분자의 배향 상태를 변화시켜, 화소에 표시되는 계조가 제어되고,
    게이트 신호의 전위변화에 의해서 유기되는 화소전극의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서, 대향전극에 인가하는 공통신호의 중심전위를 설정할 수 있고,
    각 계조마다 다른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서, 각 계조마다 소스 신호의 중심의 전위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가 가장 큰 화소에 관해서,
    소스 신호의 진폭이 큰 계조로부터 소스 신호의 진폭이 작은 계조까지의 모든 계조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가 보상되도록, 공통신호의 중심전위 및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가 설정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3. 액정층을 끼워 대향 배치된 2장의 기판의 한쪽에,
    소스 신호가 공급되는 소스 배선과,
    게이트 신호가 공급되는 게이트 배선과,
    상기 소스 배선 및 상기 게이트 배선에 접속된 TFT 소자와,
    해당 TFT 소자의 드레인에 접속된 화소전극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장의 기판의 다른쪽에는, 교류 또는 직류의 공통신호가 인가되는 대향전극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스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화소전극의 전위를 변화시키고, 화소전극-대향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변화시킴으로써, 양전극 사이의 액정분자의 배향 상태를 변화시켜, 화소에 표시되는 계조가 제어되고,
    게이트 신호의 전위변화에 의해서 유기되는 화소전극의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서, 대향전극에 인가하는 공통신호의 중심전위를 설정할 수 있고,
    각 계조마다 다른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서, 각 계조마다 소스 신호의 중심의 전위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가 가장 큰 화소에 관해서,
    소스 신호의 진폭이 큰 계조로,
    공통신호의 중심전위 및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가,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도록 설정되고,
    소스 신호의 진폭이 작은 계조에 있어서는,
    소스 신호의 중심의 전위가,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는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보다도, 높은 전위로 설정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4. 액정층을 끼워 대향 배치된 2장의 기판의 한쪽에,
    소스 신호가 공급되는 소스 배선과,
    게이트 신호가 공급되는 게이트 배선과,
    상기 소스 배선 및 상기 게이트 배선에 접속된 TFT 소자와,
    해당 TFT 소자의 드레인에 접속된 화소전극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장의 기판의 다른쪽에는, 직류 또는 교류의 공통신호가 인가되는 대향전극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스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화소전극의 전위를 변화시키고, 화소전극-대향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변화시킴으로써, 양전극 사이의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를 변화시켜, 화소에 표시되는 계조가 제어되고,
    게이트 신호의 전위변화에 의해서 유기되는 화소전극의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서 대향전극에 인가하는 공통신호의 중심전위를 설정할 수 있고,
    각 계조마다 다른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서, 각 계조마다 소스 신호의 중심의 전위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소스 신호의 진폭이 큰 계조로부터 소스 신호의 진폭이 작은 계조까지의 모든 계조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가 보상되는, 공통신호의 중심전위와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의 조합과 비교하여,
    공통신호의 중심전위가 낮은 값으로 설정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5. 액정층을 끼워 대향 배치된 2장의 기판의 한쪽에,
    소스 신호가 공급되는 소스 배선과,
    게이트 신호가 공급되는 게이트 배선과,
    상기 소스 배선 및 상기 게이트 배선에 접속된 TFT 소자와,
    해당 TFT 소자의 드레인에 접속된 화소전극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장의 기판의 다른쪽에는, 교류 또는 직류의 공통신호가 인가되는 대향전극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스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화소전극의 전위를 변화시키고, 화소전극-대향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변화시킴으로써, 양전극 사이의 액정분자의 배향 상태를 변화시켜, 화소에 표시되는 계조가 제어되고,
    게이트 신호의 전위변화에 의해서 유기되는 화소전극의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서, 대향전극에 인가하는 공통신호의 중심전위를 설정할 수 있고,
    각 계조마다 다른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서, 각 계조마다 소스 신호의 중심의 전위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소스 신호의 진폭이 큰 계조로부터 소스 신호의 진폭이 작은 계조까지의 모든 계조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가 보상되는, 공통신호의 중심전위와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의 조합과 비교하여,
    공통신호의 중심전위는 낮은 값으로 설정되고,
    소스 신호의 진폭이 작은 계조에 있어서의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는, 높은 값으로 설정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6. 액정층을 끼워 대향 배치된 2장의 기판의 한쪽에,
    소스 신호가 공급되는 소스 배선과,
    게이트 신호가 공급되는 게이트 배선과,
    상기 소스 배선 및 상기 게이트 배선에 접속된 TFT 소자와,
    해당 TFT 소자의 드레인에 접속된 화소전극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2장의 기판의 다른쪽에는, 교류 또는 직류의 공통신호가 인가되는 대향전극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스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화소전극의 전위를 변화시키고, 화소전극-대향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변화시킴으로써, 양 전극 사이의 액정분자의 배향 상태를 변화시켜, 화소에 표시되는 계조가 제어되고,
    게이트 신호의 전위변화에 의해서 유기되는 화소전극의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서, 대향전극에 인가하는 공통신호의 중심전위를 설정할 수 있고,
    각 계조마다 다른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서, 각 계조마다 소스 신호의 중심의 전위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소스 신호의 진폭이 큰 계조로부터 소스 신호의 진폭이 작은 계조까지의 모든 계조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유기되는 전위의 저하가 보상되는, 공통신호의 중심전위와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의 조합과 비교하여,
    소스 신호의 진폭이 작은 계조에 있어서의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가, 높은 값으로 설정되고,
    소스 신호의 진폭이 큰 계조에 있어서의 소스 신호의 중심전위가, 높은 값으로 설정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10028606A 2000-05-26 2001-05-24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0714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56515A JP3579766B2 (ja) 2000-05-26 2000-05-26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0-156515 2000-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715A true KR20010107715A (ko) 2001-12-07
KR100714208B1 KR100714208B1 (ko) 2007-05-02

Family

ID=1866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606A KR100714208B1 (ko) 2000-05-26 2001-05-24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70549B2 (ko)
JP (1) JP3579766B2 (ko)
KR (1) KR100714208B1 (ko)
TW (1) TWI2309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1157B2 (ja) * 2000-10-13 2006-04-26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4330871B2 (ja) * 2002-11-28 2009-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駆動装置
JP4326242B2 (ja) * 2003-03-13 2009-09-02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4112415B2 (ja) 2003-04-01 2008-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20060187160A1 (en) * 2005-02-24 2006-08-24 Lai Chih C Method for solving feed-through effect
JP5020944B2 (ja) * 2006-04-28 2012-09-0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TWI339369B (en) * 2006-06-14 2011-03-21 Au Optronics Corp Method of dri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JP2008216363A (ja) * 2007-02-28 2008-09-18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
JP5079594B2 (ja) * 2008-05-16 2012-11-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接触検出方法
JP2013011849A (ja) * 2011-05-31 2013-01-17 Sony Corp 表示装置、バリア装置、バリア駆動回路、およびバリア装置の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25105T2 (de) * 1991-10-04 1999-01-07 Toshiba Kawasaki Kk Flüssigkristallanzeigegerät
JP2806098B2 (ja) * 1991-10-09 1998-09-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798538B2 (ja) * 1992-01-10 1998-09-17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液晶表示装置
JP2989952B2 (ja) * 1992-01-13 1999-12-13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液晶表示装置
US5402141A (en) * 1992-03-11 1995-03-28 Honeywell Inc. Multigap liquid crystal color display with reduced image retention and flicker
JPH0792937A (ja) * 1993-07-29 1995-04-07 Hitachi Ltd 液晶駆動方法と液晶表示装置
JP2643100B2 (ja) * 1994-12-26 1997-08-2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装置
TW354380B (en) * 1995-03-17 1999-03-11 Hitachi Ltd A liquid crystal device with a wide visual angle
JPH1062741A (ja) * 1996-06-06 1998-03-06 Toshiba Corp 表示装置
JPH11212520A (ja) * 1998-01-23 1999-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素子
JP3406508B2 (ja) * 1998-03-27 2003-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48412A1 (en) 2001-12-06
KR100714208B1 (ko) 2007-05-02
JP3579766B2 (ja) 2004-10-20
US6570549B2 (en) 2003-05-27
JP2001337310A (ja) 2001-12-07
TWI230917B (en) 2005-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32029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944482B1 (ko) 표시 패널 및 이의 구동 방법
WO2006049245A1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4467334B2 (ja) 液晶表示装置
JP5020944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2005012230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device thereof
KR100714208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JP4178977B2 (ja) 表示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並びに、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1065647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212180B2 (en) Method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218041B1 (ko) 액정표시소자 및 액정표시소자의 구동방법
JPH04107525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1996339B1 (ko) 표시 패널 및 이의 구동 방법
US796116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321166B1 (ko) 시야각 제어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036687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20071995A (ko) 킥백 전압을 보상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097697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30056526A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0879214B1 (ko) 액정표시소자
KR20110074035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S62262028A (ja) 液晶表示装置
JP2012177734A (ja) 液晶表示装置の調整方法、その調整方法を適用して調整することにより製造した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調整方法を含む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