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7643A - 자동차 외부백미러용 발광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외부백미러용 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7643A
KR20010107643A KR1020010028045A KR20010028045A KR20010107643A KR 20010107643 A KR20010107643 A KR 20010107643A KR 1020010028045 A KR1020010028045 A KR 1020010028045A KR 20010028045 A KR20010028045 A KR 20010028045A KR 20010107643 A KR20010107643 A KR 20010107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s
series
emitting device
di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3509B1 (ko
Inventor
베버크리스티네
에버슈패커헬무트
클레트토마스
압펠베크로베르트
Original Assignee
옌스 메르텐스
라이터 운트 쉐페나커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옌스 메르텐스, 라이터 운트 쉐페나커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옌스 메르텐스
Publication of KR2001010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60Q1/0094Arrangement of electronic circuits separated from the light source, e.g. mounting of housings for starter circuits for discharge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using immovably-mounted light sources, e.g. fixed flash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자동차의 외부백미러용 발광장치에 있어서, 최소 1개 이상의 높은 전류강도용 제1 발광다이오드(11)가 최소 2개 이상의 낮은 전류강도용 제2 발광다이오드(8)들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발광다이오드(8)들 자체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외부백미러용 발광장치{LIGHTING UNIT FOR EXTERNAL REAR 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상위개념에 따른 차량, 특히 자동차의 외부백미러용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자동차 외부백미러에 장치되어 보조방향 지시등(補助方向指示燈)으로서 사용되는 발광장치(發光裝置)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발광장치는 도광(導光)물질로 제조하여 가장자리에 발광다이오드(LED)들이 장치된 발광판(發光板)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LED들로부터 발산된 빛은 상기 도광물질을 통하여 전달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최상의 발광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동종의 발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동종의 발광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는 최소한 2개의 상이한 전류세기에 사용하도록 되어있는 발광다이오드들을 장치한다. 높은 전류강도에 사용되는 제1발광다이오드는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광도를 나타낸다. 보다 작은 전류강도에 적용하기 위하여 설계된 제2발광다이오드들은 균일한 조명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에 보조방향지시등으로서 편리하게 장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광도(高光度) 발광다이오드는 깜박이 광도에 관한 법률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저광도(低光度) 발광다이오드들은 발광장치 또는 발광창(發光窓)의 균일한 조명을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적은 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을 가지고 전술한 상이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들의 사용 때문에 발광장치의 발열(發熱)이 매우 작다. 또한 열열화(熱劣化)도 매우 작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은 그밖에 높은 수명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들이 기타 청구범위들과 설명서 및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백미러에 장착된 발광장치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 받침대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21은 상기 발광장치회로의 각종 실시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자동차 진행방향(F) 거울본체(1)
거울케이싱(2) 발광장치(3)
발광판(4) 요와부(5)
받침대(6) 대판(7)
발광다이오드(8) 소켓(9)
반사기(10) 발광다이오드(11)
발광판 부위(12) 발광판 부위(13)
저항(14) 분기회로(15, 16)
도선(17, 18, 19) 분기회로(20)
저항(21, 22, 23) 분기회로(24)
저항(25, 26, 27) 도선(28)
본 발명을 첨부도면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외부백미러는 공지된 방법으로 거울다리(도시하지 않았음)를 이용하여 차량, 특히 자동차에 고정된다. 상기 거울다리에는 거울본체(1)가 지지되어 자동차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거울본체(1)에는 하나의 거울지지대(도시하지 않았음)를 가지고 있으며, 그 거울지지대에는 거울유리받침을 위한 구동장치가 장착/고정되어 있다. 상기 거울지지대는 거울케이싱(2)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상기 거울본체(1) 안에는 거울다리로부터 간격을 두고 발광장치(3)가 장치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발광장치(3)가 하나의 깜박이장치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발광장치(3)는 하나의 발광판(4)을 가지고 있으며,이를 통하여 발광장치(3)의 빛이 외부로 발산된다. 상기 거울케이싱(2)에는 상기 발광판(4)이 장착될 적절한 요와부(凹窩部)(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와부(5)는 자동차 진행방향으로 거울케이싱의 1/2-높이에 위치하며, 거울케이싱의 1/2-길이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거울다리로부터 반대쪽으로 발광판(4)의 바깥쪽 단부를 상기 거울다리로부터 반대쪽으로 거울케이싱(2)의 단부에서 최대한 감싸줌으로써, 상기 발광판(4)이 외부백미러의 거울유리를 둘러싸는 거울케이싱(2)의 가장자리까지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발광장치(3)는 하나의 받침대(6)를 가지고 있으며(도 2), 그 위에 발광다이오드(8)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발광체들이 착설된 대판(7)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6)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발광판(4)의 가장자리가 부착/고정되어 있다. 그밖에, 상기 받침대(6)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을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가 삽입될 소켓(6)이 장치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은 반사기(1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기(10)는 발광다이오드(8)들로부터 발산된 빛을 앞쪽의 발광판(4)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발광장치(3)의 거울다리 반대편 쪽의 단부에는 다른 발광다이오드(8)들 보다 강한 전류강도용으로 설계된 최소 1개 이상의 발광다이오드(11)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로부터 발사된 빛은 밖으로 자동차 진행방향(F)에 직각으로 지향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는 발광다이오드(8)들 보다 비교적 강한 광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발광다이오드(11)가 발산하는 빛은 운전중인 다른운전자들에 의하여 완벽하게 감지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빛의 세기를 갖는다. 상기 발광장치(3)가 깜박이장치로서 형성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11)로부터 발산되는 깜박이 빛은 똑똑히 감지된다.
보다 약한 광도를 갖는 발광다이오드(8)들은 상기 거울케이싱(2)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판(4)의 뒷부분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로부터 방출된 빛은 본질적으로 자동차 진행방향(F)에서 앞쪽으로 상기 발광판(4)을 통하여 방사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을 전원과 연결하면, 자동차 진행방향(F)에서 앞쪽으로 향한 발광창 부위(12)가 균일하게 조명되도록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을 배치한다. 상기 발광창 부위(12)에 이어서 상기 거울다리 반대쪽으로 발광판(4) 단부까지 이르는 발광판 부위(13)를 상기 발광다이오드(11)에 할당/대응시킴으로써, 이 부위에서 깜박이기능에 필요한 강한 광도가 달성된다.
상기 발광장치(3)는 거울본체(1) 속에 간단히 장착될 수 있는 편리한 조립단위이다. 따라서 상기 발광장치(3)는 예를들어 상기 거울본체(1)에 형성된 장착부 속에 스냅핑(snapping) 결합된다.
도 3은 상기 발광장치(3) 회로의 제1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 앞에 저항(14)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150mA의 전류강도에 적합하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 뒤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70mA의 약한 전류강도에 적합한 2개의 발광다이오드(8)들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은 서로 병렬로, 그리고 발광다이오드(11)에 대하여 각각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은 상기 발광창 부위(12)에서 발광판(4)의 균일한 빛의 조사(照射)를 가능케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므로, 약한 전류강도에 사용될 발광다이오드(8)들로서 충분하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로는 상당한 세기의 광도를 필요로 하는 깜박이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11)는 전술한 방법으로 높은 전류강도에 사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병렬로 연결된 2개의 발광다이오드(8)들과 직렬로 연결된 상기 발광다이오드(11)를 통과하는 전류강도는 상기 병렬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8)들의 전류의 합(合)과 같다.
도 4는 상기 발광장치(3)의 회로의 제2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 앞에 저항(14)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150mA의 전류강도에 사용되도록 설계되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 뒤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70mA의 약한 전류강도에 적합한 발광다이오드(8)들이 연결되어 있다. 각각 2개씩의 발광다이오드(8)들이 길이로 직렬로 연결되고, 이때 양쪽의 발광다이오드(8)들은 서로 쌍으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은 2개의 분기회로(15, 16)들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기회로(15, 16)들은 각각 직렬로 연결된 2개의 발광다이오드(8)들 사이를 서로 도선(17)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은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상기 발광창 부위(12) 내에서(도 2) 상기 발광판(4)의 균일한 빛의 조사를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보다 약한 전류강도에 사용될 발광다이오드(8)로서 충분하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로는 상당한 세기의 광도를 필요로 하는 깜박이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발광다이오드(11)는 전술한 방법으로 높은 전류강도를 위하여 설계되어 있다.
만약 양쪽의 분기회로(15, 16) 중 하나에서 1개의 발광다이오드(8)가 고장인 경우, 당해 분기회로에 온전(穩全)하게 남아있는 발광다이오드의 발광동작이 상기 도선(17)에 의하여 보장된다.
도 5는 상기 양쪽의 분기회로(15, 16)가 서로 연결되지 않은 간단한 회로를 보여준다. 따라서 만약 상기 분기회로(15) 내에서 양쪽의 발광다이오드(8)들 중 하나가 고장나면 다른 쪽의 발광다이오드(8)에도 전류공급이 중단되어 똑같이 발광하지 않게 된다. 그밖에, 도 5에 따른 실시형태는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실시되었다.
도 6은 각각의 분기회로(15, 16) 내에 3개씩의 발광다이오드(8)들이 연결되어 있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 사이 부분에 있어서, 양쪽의 분기회로(15, 16)들은 각각 도선(17, 18)들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쪽의 분기회로(15, 16)들 내에 연결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8)들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와 직렬저항(14)이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 앞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따라서 상기 발광판(4)의 발광창 부위(12) 내에 비교적 다수의 발광다이오드(8)들이 연결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발광창 부위(12) 안에서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보다는 강한 광도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발광창 부위(12)가 도 2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보다 긴 발광장치(3)를 본 실시예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기회로(15, 16)들 사이의 도선(17, 18)들은 또한 한쪽의 분기회로에서 1개 또는 2개의 발광다이오드(8)가 고장이 날 경우에도 나머지 발광다이오드에 계속 전류가 공급되므로 발광동작을 계속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도 7에 따른 실시형태와 도 6에 따른 실시예 사이의 차이는 발광다이오드(8)들 사이의 분기회로(15, 16)들이 도선에 의한 연결 여부에 따라 간단히 구별된다.
도 8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분기회로(15, 16) 내에 4개씩의 발광다이오드(8)들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 앞에 상기 발광다이오드(11)와 저항(14)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 사이에서 상기 분기회로(15, 16)들은 도선(17 내지 19)들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9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분기회로(15, 16)들이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 사이 부분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을 보여준다. 그밖에 본 실시예는 도 8에 따른 실시형태와 똑같이 실시된다.
도 10은 도 4와 같은 회로에서 2개의 발광다이오드(11)들이 상기 양쪽의 분기회로(15, 16)들 내의 발광다이오드(8)들 앞에 직렬로 연결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들 자체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들의 앞에 저항(14)이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양쪽의 발광다이오드(11)들은 둘 다 똑같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기회로(15, 16)들 내의 발광다이오드(8)들 보다 높은 전류강도에 사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 사이 부분에서 상기 분기회로(15, 16)들은 도선(17)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2개의 발광다이오드(11)들은 상기 발광창 부위(13)를 위한 전용으로서 지정됨으로써, 이 발광창 부위(13)로부터 적절한 밝기의 빛이 방사된다. 또한, 발광장치(3)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상기 발광다이오드(11)들이 장치될 수 있다.
도 11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양쪽 분기회로(15, 16)들 사이의 도선(17)이 없다. 그밖에 이 실시형태는 도 10에 따른 실시예와 똑같이 실시된다.
도 12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8)들을 병렬로 연결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예를들어 각각 2개씩의 발광다이오드(8)들이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요망하는 광도에 따라 추가적인 발광다이오드(8)들을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전체 발광다이오드(8)들의 앞에 저항(14)과 함께 발광다이오드(11)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상기 발광다이오드(11)는 높은 전류강도용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반대로 낮은 전류강도용으로 설계된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은 발광창 부위(12)의 균일한 조명을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8) 부분에서 각각 2개씩의 발광다이오드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분기회로(15, 16, 20)들은 도선(17)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들어 분기회로(15) 내의 발광다이오드(8) 1개가 고장인 경우에도 그 분기회로에 있는 다른 발광다이오드(8)에 계속 전류가 공급되어 발광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12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병렬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8)들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발광다이오드(11)를 통하여 항상 상기 병렬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8)의 전류의 합(合)이 흐르게 된다. 도 13은 1개의 저항(21)이 상기 서로 병렬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8)들과 병렬로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한다.이때, 상기 저항(14) 뒤에 직렬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11)에 상기 양쪽 발광다이오드(8)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저항(21)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23)이 발광다이오드(11)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도 14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저항(21, 22)들이 분기회로(15, 16)들 내에 서로 병렬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8)들과 병렬로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일치하게 저항(14)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11)가 하나의 저항(23)과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는 또한 저항(21, 22)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도선(17)은 발광다이오드(8)들 사이에서 양쪽의 분기회로(15, 16)들을 서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분기회로(15, 16)들은 도선(17)을 통하여 분기회로(24)와 연결되어 있으며, 그 분기회로(24) 내에는 저항(21 내지 23)들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직렬저항(14)은 발광다이오드(11)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저항(21 내지 23)과도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도 15에 따른 실시예가 상기 도 14의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단지 연결도선(17)이 없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기회로(15, 16)들 안에는 각각 2개의 발광다이오드(8)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이 분기회로(15, 16)들은 저항(25)과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는 그 자신 저항(23)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저항(23)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라 저항(25)과 직렬저항(14)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도 15는 분기회로(15, 16)들 내에 각각 3개씩의 발광다이오드(8)들이 직렬로연결되어 있고, 분기회로(24) 내에는 3개의 저항(21, 22, 26)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분기회로(15, 16, 24)들은 발광다이오드(8)들과 저항(21, 22, 26)들 사이의 부분이 도선(17, 18)들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저항(21, 22, 26)들은 저항(23) 뒤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저항(23) 자체는 상기 직렬저항(14)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저항(23)은 또한 발광다이오드(11)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도 17에 따른 실시예는 분기회로(15, 16, 24)들 사이에 단지 연결도선(17, 18)이 없는 점에서 상기 도 16에 따른 실시형태와 다른 것이다.
도 18은 도 10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한 회로를 보여주고 있다. 본 실시예의 회로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2개의 발광다이오드(11)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 발광다이오드(11)들의 앞에 저항(14)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기회로(15, 16) 내에 각각 2개씩 직렬로 연결된 양쪽의 발광다이오드(8)들이 한 쌍으로 상기 직렬로 연결된 2개의 발광다이오드(11)들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양쪽 분기회로(15, 16)들의 발광다이오드(8)들은 서로 병렬을 이루고, 다시 상기 분기회로(24)의 저항(21, 22)들과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2개의 발광다이오드(11)들은 각각 1개씩의 저항(23, 27)과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저항(23, 27)들 자체는 분기회로(24) 내에서 저항(21, 22)들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항(23, 27)들은 저항(14)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2개 발광다이오드(11)들 사이는 상기 분기회로(24)가 도선(28)을 통하여 분기회로(16)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분기회로(16) 내에는 상기 2개의 발광다이오드(11)들과 직렬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8)들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과 저항(21, 22)들 사이에서 상기 분기회로(15, 16, 24)들은 도선(17)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과 발광다이오드(11)들 또는 저항(23, 27, 21, 22)들 중의 하나가 고장이 발생할 때에도 상기 도선(17, 18)에 의하여 해당 분기회로(15, 16, 24)의 나머지 정상적인 요소들은 계속 동작하게 된다.
도 19에 따른 실시형태는 도선(17, 18)들이 없는 것으로서 선행 실시형태와 구별된다. 따라서, 도 15 및 도 17에 따른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발광다이오드(8, 11)들을 위해서는 각각 병렬 연결된 전체저항(25, 29)으로서 충분하다. 도 20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분기회로(15, 16, 24) 내에 각각 4개의 발광다이오드(8)들 및 4개의 저항(21, 22, 26, 30)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 앞에는 저항(14)이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11)는 분기회로(24)의 저항(23)과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저항(23) 자체는 저항(21, 22, 26, 30)들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저항(21, 22, 26, 30)들은 도 14 내지 도 19에 따른 선행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각 분기회로(15, 16)에서 각각 1개씩의 발광다이오드(8)에 부속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과 저항(21, 22, 26, 30)들 사이의 범위에서 상기 분기회로(15, 16, 24)들은 도선(17, 18, 19)들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21에 따른 실시예는 분기회로(15, 16, 24)들 사이에서 단지 도선(17, 18, 19)들이 없는 것으로 선행실시예와 구별된다. 따라서, 분기회로(15, 16)들의 발광다이오드(8)들을 위하여 하나의 공동저항(25)이 연결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21에 따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는 발광다이오드(8, 11)들과 병렬로 연결된 저항들을 통하여 각각의 개별 발광다이오드(8, 11)의 정확한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병렬 연결된 저항들의 값에 따라 이들 저항에 병렬 접속된 발광다이오드(8 및 11)들의 전류강도가 변화한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11)들의 광도는 상기 발광다이오드(8)들의 광도값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저항들을 사용하여 개개의 발광다이오드(8, 11)들의 광도를 발광장치(3)의 용도 및/또는 형상 및/또는 조립위치 및/또는 발광장치의 환경조건 등에 최적하게 적응시킬 수 있다.
전술한 회로들은 외부백미러의 거울다리로부터 반대쪽으로 발광창 부위(12) 보다는 발광창 부위(13)를 위하여 보다 높은 광도가 요구되는 발광장치(3)에 유리하게 사용된다. 외부백미러에서 발광장치는 깜박이장치로서 선호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는 전술한 회로들을 기초로 하여 교통안전에 필요로 하는 높은 광도를 제공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 보다 약한 전류강도에 사용하기 위하여 설계되는 발광다이오드(8)들은 자동차 진행방향(F)에서 앞쪽으로 지향되는 발광창 부위(12)를 균일하게 비추어 주는데 충분하다. 상기 발광창 부위(12)는 깜박이 기능을 위하여 중요하지 않다.
전술한 회로들은 또한 차량의 내부조명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회로들에 있어서는, 상이한 강도를 갖는 광도를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

Claims (12)

  1. 발광체로서 발광다이오드들을 착설할 최소 1개 이상의 받침대를 갖고 있는 차량, 특히 자동차의 외부백미러용 발광장치에 있어서,
    높은 전류강도용의 최소 1개 이상의 제1 발광다이오드(11)가 낮은 전류강도용의 최소 2개 이상의 제2 발광다이오드(8)들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발광다이오드(8)들 자체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용 발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11)의 앞에 최소 1개 이상의 저항(14)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용 발광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분기회로(15, 16, 20) 내에 상기 제2 발광다이오드(8)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분기회로(15, 16, 20)들 안에는 각각 최소 2개 이상의 제2 발광다이오드(8)들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용 발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2 발광다이오드(8)들 사이의 분기회로(15, 16, 20)들은 도선(17, 18, 19)들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용 발광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11)들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용 발광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11)는 저항(23)과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용 발광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다이오드(8)들은 각각 1개씩의 저항(21, 22, 26, 30)과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용 발광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8, 11)들의 저항(21, 22, 23, 26, 30)들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용 발광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하나에 있어서, 저항(21, 22, 23, 26, 30)들을 포함하는 분기회로(24)는 도선(17, 18, 19)들을 통하여 제2 발광다이오드(8)들의 분기회로(15, 16, 20)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용 발광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다이오드(8)들은 동일한전류강도를 위하여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용 발광장치.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11)들은 동일한 전류강도를 위하여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용 발광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11)는 제2 발광다이오드(8)들 보다 약 2배의 강도를 위하여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용 발광장치.
KR1020010028045A 2000-05-24 2001-05-22 자동차 외부백미러용 발광장치 KR100783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25810.7A DE10025810B4 (de) 2000-05-24 2000-05-24 Leuchteneinheit, insbesondere für Außenrückblickspiegel von Fahrzeugen, vorzugsweise von Kraftfahrzeugen
DE10025810.7 2000-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643A true KR20010107643A (ko) 2001-12-07
KR100783509B1 KR100783509B1 (ko) 2007-12-11

Family

ID=764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045A KR100783509B1 (ko) 2000-05-24 2001-05-22 자동차 외부백미러용 발광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61685B2 (ko)
JP (1) JP2002019519A (ko)
KR (1) KR100783509B1 (ko)
AU (1) AU779535B2 (ko)
BR (1) BR0102103A (ko)
DE (1) DE1002581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9609A1 (de) * 1999-12-10 2001-06-28 Volkswagen Ag Außenrückspiegel mit integriertem Fahrtrichtungsanzeiger
FI117303B (fi) * 2002-02-12 2006-08-31 Teknoware Oy Valaisin
JP3500612B2 (ja) * 2002-02-20 2004-02-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発光回路及び点灯装置
DE10211189A1 (de) * 2002-03-14 2003-10-09 Schefenacker Vision Systems Leuchteinheit, insbesondere als Zusatzeinheit in Außenrückblickspiegeln von Kraftfahrzeugen
JP2004039466A (ja) * 2002-07-04 2004-02-05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04047256A (ja) * 2002-07-11 2004-02-12 Honda Motor Co Ltd 点灯装置
JP2004090858A (ja) * 2002-09-03 2004-03-25 Toyoda Gosei Co Ltd ストップランプ
DE10251380A1 (de) * 2002-11-01 2004-05-13 Volkswagen Ag Außenspiegel mit optischem Signalgeber
DE20219483U1 (de) * 2002-12-16 2003-05-08 Fer Fahrzeugelektrik Gmbh Fahrzeugleuchte
JP4110989B2 (ja) 2003-02-03 2008-07-02 市光工業株式会社 ランプ付き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US20040183458A1 (en) * 2003-03-17 2004-09-23 Chun-Teng Lee Uninterruptible led bulb string structure
JP4262502B2 (ja) * 2003-03-25 2009-05-13 株式会社ミツバ サイドウインカー付きのドアミラー
US7036965B2 (en) * 2003-04-16 2006-05-02 Star Headlight And Lantern Co., Inc. Light bar providing illumination from inside a vehicle
JP2004352073A (ja) * 2003-05-29 2004-12-16 Altia Co Ltd 車両用ドアミラーカバー
JP2005190716A (ja) 2003-12-24 2005-07-14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4433789B2 (ja) 2003-12-24 2010-03-17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4286674B2 (ja) * 2004-01-14 2009-07-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体制御装置
ES2215486B1 (es) * 2004-03-01 2005-06-16 Fico Mirrors, S.A Conjunto de espejo retrovisor de vehiculos automovil con un dispositivo intermitente.
JP4317067B2 (ja) 2004-04-02 2009-08-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US7513664B2 (en) * 2004-05-10 2009-04-07 Ichikoh Industries, Ltd. Outside mirror apparatus including lighting device for vehicle
EP1768884A1 (en) * 2004-06-29 2007-04-04 Innovative Technologies (Australia) Ptd. Limited Portable signalling lantern
US20060087866A1 (en) * 2004-10-22 2006-04-27 Ng Kee Y LED backlight
CN101133284A (zh) * 2005-03-07 2008-02-27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Led灯具
CN101278223B (zh) * 2005-08-29 2011-08-31 宋太善 光源模块以及使用该光源模块的光学扫描设备
US7835038B2 (en) * 2005-10-31 2010-11-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llumination source comprising more light emitting diodes than terminals
US7852530B2 (en) * 2005-10-31 2010-12-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llumination source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 groups
CN100462811C (zh) * 2006-02-10 2009-02-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箱式光源模组和背光系统
DE102006025070A1 (de) * 2006-05-23 2007-11-29 Schefenacker Vision Systems Germany Gmbh Außenspiegel eines Fahrzeugs
JP4688738B2 (ja) * 2006-06-15 2011-05-25 サカエ理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及びその車両用灯具を備えた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DE102007001716B4 (de) * 2007-01-11 2015-11-05 Hella Kgaa Hueck & Co. Leuchtdioden-Schaltungsanordnun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euchtdioden-Schaltungsanordnung
DE102007007250A1 (de) 2007-02-14 2008-08-21 Volkswagen Ag Leuchte für ein Fahrzeug mit einer eine Leuchtdiode umfassenden Lichtquelle
WO2008137634A1 (en) 2007-05-03 2008-11-13 Donnelly Corporation Illumination module for a vehicle
FR2928110B1 (fr) * 2008-03-03 2010-06-11 Valeo Vision Systeme optique avec fonction principale pour vehicule automobile
JP5207871B2 (ja) * 2008-08-07 2013-06-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灯火装置一体式バックミラー
WO2011016521A1 (ja) * 2009-08-07 2011-02-10 昭和電工株式会社 植物育成用の多色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照明装置および植物育成方法
EP2340967B2 (en) 2009-12-29 2016-09-14 SMR Patents S.à.r.l. Turn-indicator light module for a vehicle mirror assembly and vehicle mirror assembly comprising a turn-indicator light module
US10576896B2 (en) 2010-10-01 2020-03-03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le exterior mirror system with light module
US8764256B2 (en) * 2010-10-01 2014-07-01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le exterior mirror system with light module
US10137823B2 (en) 2011-06-29 2018-11-27 SMR Patents S.à.r.l. Exterior rearview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s
DE102011105983A1 (de) * 2011-06-29 2013-01-03 SMR Patents S.à.r.l. Nahbereich-Kurvenlicht im Außenspiegel
US10787177B2 (en) 2011-06-29 2020-09-29 SMR Patents S.à.r.l. Exterior rearview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s and autonomous vehicles using same
EP3139711B1 (de) * 2015-09-03 2020-05-06 SMR Patents S.à.r.l. Elektronikvorrichtung und rückblickvorrichtung
CN105527524B (zh) * 2016-01-21 2018-03-27 广州金升阳科技有限公司 一种开关电源用指示电路及其使用方法
DE102016212527B4 (de) 2016-07-08 2019-08-08 Magna Mirrors Holding Gmbh Blinkeinheit für einen Außenspiege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7819A (en) * 1979-07-03 1981-07-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Blackout lighting for vehicles
JPH069029Y2 (ja) * 1989-10-04 1994-03-09 村田機械株式会社 整流板
US5497306A (en) * 1993-02-01 1996-03-05 Donnelly Corporation Exterior vehicle security light
JP2729899B2 (ja) * 1993-03-08 1998-03-1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led灯具
FR2707223B1 (fr) * 1993-07-07 1995-09-29 Valeo Vision Feu de signalisation perfectionné à diodes électroluminescentes.
FR2745458B1 (fr) * 1996-02-28 1998-04-10 Valeo Electronique Perfectionnement aux circuits d'illumination a diodes electroluminescentes, notam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feu de signalisation et tableau de commande l'incorporant
JPH10129557A (ja) * 1996-10-31 1998-05-19 Chikage Nomura 自転車用補助表示燈
WO1998021917A1 (en) * 1996-11-12 1998-05-22 L.F.D. Limited Lamp
DE19732828C2 (de) * 1997-07-30 2001-01-18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zur Ansteuerung eines Leuchtdioden-Arrays
AU9465498A (en) * 1997-10-10 1999-05-03 Se Kang Electric Co., Ltd. Electric lamp circuit and structure using light emitting diodes
US6371636B1 (en) * 1999-05-24 2002-04-16 Jam Strait, Inc. LED light module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509B1 (ko) 2007-12-11
AU4374401A (en) 2001-11-29
US6561685B2 (en) 2003-05-13
JP2002019519A (ja) 2002-01-23
AU779535B2 (en) 2005-01-27
US20010046136A1 (en) 2001-11-29
DE10025810A1 (de) 2001-11-29
BR0102103A (pt) 2001-12-26
DE10025810B4 (de)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509B1 (ko) 자동차 외부백미러용 발광장치
US6715909B2 (en) Vehicle lamp
US6786625B2 (en) LED light module for vehicles
US6371636B1 (en) LED light module for vehicles
US20050265039A1 (en) Two circuit led light bulb
KR200458501Y1 (ko) 차량용 시그널 램프
US9187026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for vehicle lamp
US7854538B2 (en) High intensity tactical vehicle infrared and white headlight system
US7345433B2 (en) Reversible polarity LED lamp module using current regulator and method therefor
US8446047B2 (en) Vehicle interior light
US20090200496A1 (en) Headlamp system including HID and IR illuminators
US11262029B2 (en) Lighting device having semiconductor light source and at least one incandescent filament
JP4165331B2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装置
CA2477613A1 (en) Multi-conductor led bulb assembly
JP2008103086A (ja) 車両用灯具
KR101683624B1 (ko) 차량용 led 램프
JP2007076511A (ja) 車両用灯具
KR200308418Y1 (ko) 차량용시그널램프
JP3574614B2 (ja) 発光体及び灯器
KR0148644B1 (ko)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조명 표시장치
JP3973717B2 (ja) 車両用灯具
KR200319467Y1 (ko) 차량용 시그널 램프
CN220582270U (zh) 一种车前照灯
JPH0371721B2 (ko)
JP3109132U (ja) 車室内用照明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車室内用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