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766A -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766A
KR20010106766A KR1020000027717A KR20000027717A KR20010106766A KR 20010106766 A KR20010106766 A KR 20010106766A KR 1020000027717 A KR1020000027717 A KR 1020000027717A KR 20000027717 A KR20000027717 A KR 20000027717A KR 20010106766 A KR20010106766 A KR 20010106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engine
inle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청용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20000027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6766A/ko
Publication of KR2001010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76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크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유입구(12)와 토출구(13) 및 수납홈(11)이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수납홈(11)에 내삽지게 설치되는 엘리먼트(40)와, 상기 엘리먼트(40)가 설치된 하우징(10)의 상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커버(20)와, 상기 커버(20)와 하우징(10) 사이의 공간으로 엘리먼트(4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13)로 안내하여 엔진에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가이드(30)로 구성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30)가 설치된 커버(20)와 하우징(10)의 공간에 일측단부가 에어가이드(30)에 결합되는 관타입의 덕트(50)를 설치하여, 엔진을 가동시킴과 동시에 실린더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부압에 의해 하우징(10)의 유입구(1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 수납홈(11)에 설치된 엘리먼트(4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관타입의 덕트(50)로 유입되고, 상기 덕트(50)로 유입된 공기는 에어가이드(30)를 따라 이동되면서 토출구(13)를 통해 여과가 이루어진 공기의 압력이 저하되지 않은 상태로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공기가 충분한 양으로 여유를 두고 공급됨으로서, 엔진축에 토오크가 변화하는 것이 방지 됨은 물론, 엔진의 출력성능이 향상되어 차량의 사용성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Air cleaner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크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에어크리너에서 여과가 이루어진 공기가 충분한 양으로 여유를 두고 엔진으로 공급되도록함으로써, 엔진토크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용 에어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혼합기를 실린더내로 흡입하고, 압축, 착화, 배기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노면을 이동 가능하게 한 장치로 엔진에는 혼합기의 흡입과 연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흡배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흡기장치는 에어크리너와,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는 스로틀보디 및 혼합기를 저장하는 서지탱크, 그리고 각각의 실린더 내로 혼합기를 분배하도록 하는 흡기매니폴트로 구성되어 있다.
에어크리너는 실린더내로 흡입되는 공기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먼지를 제거함과 동시에 부가적으로 흡기계통에서 발생하는 흡기소음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솔린 엔진에서는 스로틀보디 이전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자동차용 에어크리너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유입구(12)와 토출구(13) 및 수납홈(11)이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수납홈(11)에 내삽지게 설치되는 엘리먼트(40)와, 상기 엘리먼트(40)가 설치된 하우징(10)의 상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커버(20)와, 상기 커버(20)와 하우징 사이의 공간으로 엘리먼트(4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13)로 안내하여 엔진에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가이드(3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에어크리너는 엔진을 가동하여 부압이 발생하면 하우징(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12)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수납홈(11)에 설치된 엘리먼트(40)에 의해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커버(20)와 하우징(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며, 상기 커버(20)와 하우징(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유입된 공기는 에어가이드(30)에 의해 토출구(13)로 안내되면서 엔진(미도시)으로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에어크리너는 하우징(10)의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엘리먼트(4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후 에어가이드(30)에 의해 안내되면서 직접 토출구(13)를 통해 엔진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가스에 이상연소가 발생하게 되고, 엔진축에 토오크가 변화하여 서지나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입구와 토출구 및 수납홈이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수납홈에 내삽지게 설치되는 엘리먼트와, 상기 엘리먼트가 설치된 하우징의 상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하우징 사이의 공간으로 엘리먼트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로 안내하여 엔진에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가이드로 구성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가 설치된 커버와 하우징의 공간에 일측단부가 에어가이드에결합되는 관타입의 덕트를 설치하여, 엔진을 가동시킴과 동시에 실린더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부압에 의해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 수납홈에 설치된 엘리먼트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관타입의 덕트로 유입되고, 상기 덕트로 유입된 공기는 에어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면서 토출구를 통해 여과가 이루어진 공기의 압력이 저하되지 않은 상태로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공기가 충분한 양으로 여유를 두고 공급됨으로서, 엔진축에 토오크가 변화하는 것이 방지 됨은 물론, 엔진의 출력성능이 향상되어 차량의 사용성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에어크리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에어크리너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에어크리너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에어크리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1 : 수납홈
12 : 유입구 13 : 토출구
20 : 커버 30 : 에어가이드
40 : 엘리먼트 50 : 덕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에어크리너도 도 2와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유입구(12)와 토출구(13) 및 수납홈(11)이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수납홈(11)에 내삽지게 설치되는 엘리먼트(40)와, 상기 엘리먼트(40)가 설치된 하우징(10)의 상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커버(20)와, 상기 커버(20)와 하우징(10) 사이의 공간으로 엘리먼트(4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13)로 안내하여 엔진에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가이드(30)로 구성되어 지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발명은 상기 에어가이드(30)가 설치된 커버(20)와하우징(10)의 공간에 일측단부가 에어가이드(30)에 결합되는 관타입의 덕트(50)가 설치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엔진을 가동하여 부압이 발생하면 하우징(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12)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수납홈(11)에 설치된 엘리먼트(40)에 의해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커버(20)와 하우징(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며, 상기 커버(20)와 하우징(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유입된 공기는 덕트(50)를 따라 에어가이드(30)로 안내되며, 상기 에어가이드로 안내된 공기는 토출구(13)를 통해 엔진(미도시)으로 적정량의 공기가 일정하게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엔진을 가동시킴과 동시에 실린더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부압에 의해 하우징(10)의 유입구(1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 수납홈(11)에 설치된 엘리먼트(4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관타입의 덕트(50)로 유입되고, 상기 덕트(50)로 유입된 공기는 에어가이드(30)를 따라 이동되면서 토출구(13)를 통해 여과가 이루어진 공기의 압력이 저하되지 않은 상태로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공기가 충분한 양으로 여유를 두고 공급됨으로서, 엔진축에 토오크가 변화하는 것이 방지 됨은 물론, 엔진의 출력성능이 향상되어 차량의 사용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가이드가 설치된 커버와 하우징의공간에 일측단부가 에어가이드에 결합되는 관타입의 덕트를 설치하여, 엔진을 가동시킴과 동시에 실린더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부압에 의해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 수납홈에 설치된 엘리먼트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관타입의 덕트로 유입되고, 상기 덕트로 유입된 공기는 에어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면서 토출구를 통해 여과가 이루어진 공기의 압력이 저하되지 않은 상태로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공기가 충분한 양으로 여유를 두고 공급됨으로서, 엔진축에 토오크가 변화하는 것이 방지 됨은 물론, 엔진의 출력성능이 향상되어 차량의 사용성 향상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 이다.

Claims (1)

  1. 유입구(12)와 토출구(13) 및 수납홈(11)이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수납홈(11)에 내삽지게 설치되는 엘리먼트(40)와, 상기 엘리먼트(40)가 설치된 하우징(10)의 상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커버(20)와, 상기 커버(20)와 하우징(10) 사이의 공간으로 엘리먼트(4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13)로 안내하여 엔진에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가이드(30)로 구성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30)가 설치된 커버(20)와 하우징(10)의 공간에 일측단부가 에어가이드(30)에 결합되는 관타입의 덕트(5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1020000027717A 2000-05-23 2000-05-23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20010106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717A KR20010106766A (ko) 2000-05-23 2000-05-23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717A KR20010106766A (ko) 2000-05-23 2000-05-23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766A true KR20010106766A (ko) 2001-12-07

Family

ID=1966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717A KR20010106766A (ko) 2000-05-23 2000-05-23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67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3811A (zh) * 2013-05-06 2013-08-28 东风汽车公司 一种集成式排气滤清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3811A (zh) * 2013-05-06 2013-08-28 东风汽车公司 一种集成式排气滤清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3981B1 (en) Arrangement of an air filter and a membrane carburetor
CN1236198C (zh) 车辆用空气滤清器的结构
KR20010106766A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CN1523219A (zh) 机动二轮车的空气滤清器装置
KR100262089B1 (ko) 용적 가변형 에어클리너
KR100276248B1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100482858B1 (ko) 필러 넥에 장착되는 캐니스터용 에어 필터
KR20030041265A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100245645B1 (ko) 자동차용 가변형 에어크리너
KR100264277B1 (ko) 자동차용 흡기매니폴드
CN1376858A (zh) 内燃机的漏气回流装置
KR100304278B1 (ko) 자동차용스로틀바디
KR20070002276A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의 베큐에이터의 구조
KR100590966B1 (ko) 자동차용 에어 휠터
KR19980043180U (ko) 자동차용 엔진의 공명기
KR200198628Y1 (ko) 흡기부압 보상장치
KR100471311B1 (ko) 자동차용 캐니스터의 에어필터
KR19980084943A (ko) 공명기가 일체로 제공되는 자동차의 에어 덕트
KR100246142B1 (ko) 소음 저감 방식의 자동차 공기청정기
KR19980035041U (ko) 자동차의 흡기소음 감소장치
KR200437851Y1 (ko) 자동차용 공기 흡입장치
KR100280660B1 (ko) 스쿠터형이륜자동차의흡기장치
KR19990058253A (ko) 트럭용 에어 크리너의 리어 커버
KR19980043181U (ko) 자동차용 엔진의 공명기
KR20010002279U (ko)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