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279U -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2279U
KR20010002279U KR2019980024516U KR19980024516U KR20010002279U KR 20010002279 U KR20010002279 U KR 20010002279U KR 2019980024516 U KR2019980024516 U KR 2019980024516U KR 19980024516 U KR19980024516 U KR 19980024516U KR 20010002279 U KR20010002279 U KR 200100022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air cleaner
dust
ai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 성 유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24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2279U/ko
Publication of KR20010002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279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8Air cleaners with means for removing dust, particles or liquids from cleaners; with means for indicating clogging; with by-pass means; Regeneration of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엔진룸 내에 결합된 에어 클리너 내부에는 에어에 함유된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에어필터 장착되고, 에어필터에는 엔진의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에어필터의 전,후면에 포집된 먼지가 엔진의 진동으로 인해 분리됨에 따라 따라 에어의 통기저항이 감소됨은 물론 엔진의 출력이 향상되고, 특히 에어필터의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에어필터의 교환주기가 길어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필터에 포집된 먼지를 엔진의 진동특성을 이용하여 분리시킴으로써, 에어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킴은 물론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탱크내에 저장된 연료와 에어를 혼합시켜 실린더의 연소실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종래의 흡기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에서 에어를 흡입시키기 위한 에어 클리너(2)와 에어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챔버(4) 및 스로틀 챔버(4)와 에어덕트(6)에 의해 연결된 플리넘 챔버(plenum chamber)(8), 플리넘 챔버(8)와 연결되는 흡기 매니폴드(10)로 구성된다.
에어 클리너(2)는 상부 및 하부하우징(2a)(2b)으로 이루어지며, 그의 내부에는 하부하우징(2b)을 통하여 흡입되는 에어에 함유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에어필터(1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부 하우징(2a)의 출구부에는 흡입 에어량을 측정하는 에어 플로워 메터(14)가 결합된다.
여기에서, 에어턱트(6)는 에어 클리너(2)의 하부하우징(2b)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라디에이터(16)의 상면 일측에 나사 결합되는 제1에어덕트(6a)와, 에어 플로워 메터(14) 및 스로틀 챔버(4)에 일단이 각각 연결된 제2에어덕트(6b)로 구성된다.
스로틀 챔버(4)는 스로틀 바디(4a)와 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연료와 혼합되는 에어의 흡입량의 조절하기 위한 원판상의 플레이트(4b)로 되며, 흡기 매니폴드(10)는 플리넘 챔버(8)로부터 분기되어 실린더(18)의 각 연소실과 연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흡기장치는, 실린더(18)의 흡입행정시 외부 에어는 라디에이터(16)에 결합된 제1에어덕트(6a)를 따라 에어 클리너(2) 내부로 흡입됨과 동시에 제2에어덕트(6b)로 연결된 스로틀 챔버(4)를 통과하면서 연료탱크(도시되지않음)내에 저장된 연료와 혼합되어 플리넘 챔버(8) 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제1에어덕트(6a)를 따라 흡입된 에어는 상부 및 하부하우징(2a)(2b) 내에 장착된 에어필터(12)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집되므로 신선한 에어가 스로틀 챔버(4)로 분사된다.
그 후, 플리넘 챔버(8) 측으로 공급된 혼합연료는 이에 대해 분기된 각각의 흡기 매니폴드(10)를 통하여 실린더(18)의 연소실 내부로 흡입됨과 동시에 각각의 행정을 거쳐 연소된 후 배기 매니폴드(도시되지않음)를 통하여 외기로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에어 클리너 내에 장착된 에어필터에 있어서는, 차량의 장시간 운행시 에어필터를 통과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에어필터의 전,후면에 포집되어 통기저항 즉, 에어필터를 통과하기 전의 에어압력과 통과 후의 에어압력 차가 심하여 실린더 내부로 흡입되는 에어의 양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엔진의 출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운행시 에어필터에 포집된 먼지를 인위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에어 클리너를 수시로 분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기고, 에어필터의 교환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경제적인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운행시 발생되는 엔진의 진동으로 에어필터의 전,후면에 포집된 먼지를 분리시킴으로써, 에어의 통기저항이 감소됨은 물론 이에 따른 엔진의 출력이 향상되고, 특히 에어필터의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서 에어필터의 교환주기가 길어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먼지 제거장치의 요부를 확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종래의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가 장착된 흡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스로틀 챔버 6 : 에어덕트
8 : 플리넘 챔버 10 : 흡기 매니폴드
14 : 에어 플로워 메터 16 : 라디에이터
18 : 실린더 20 : 에어 클리너
20a : 관통공 22,24 : 상부 및 하부하우징
24a : 배출공 26 : 에어필터
26a : 돌기부 30 : 진동전달부재
32 : 바아 32a : 요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차량의 엔진룸 내에 결합되는 에어 클리너와; 상기 에어 클리너 내에 장착되어 상기 에어 클리너 내부로 흡입된 에어에 함유된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에어필터와; 상기 에어필터 측으로 엔진의 진동을 전달하여 상기 에어필터에 포집된 먼지를 진동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진동전달부재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진동전달부재는 상기 엔진의 실린더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에어필터의 돌기부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요홈이 그의 타단에 형성된 바아로 구비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먼지 제거장치의 구성 중에서 종래의 흡기장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먼지 제거장치의 요부를 확대한 사시도로서, 먼지 제거장치는 차량의 엔진룸 내에 결합되는 에어 클리너(20)와 이의 내부에 장착되어 에어 중에 함유된 먼지를 포집하는 에어필터(26) 그리고, 에어필터(26)를 진동시켜 포집된 먼지를 에어필터(26)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진동전달부재(30)로 구성된다.
에어 클리너(20)는 상부하우징(22)과 그의 바닥면에 배출공(24a)이 형성된 하부하우징(24)으로 이루어지며, 상부하우징(22)의 일측에는 에어필터(26)를 통과한 에어량을 측정하기 위한 에어 플로워 메터(14)가 결합되고, 하부하우징(24b)에는 라디에이터(16)에 그의 일단이 결합된 제1에어턱트(6a)의 타단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하우징(22)(24)이 결합된 에어 클리너(20)의 경계면에는 사각형상의 관통공(20a)이 형성된다.
또한, 에어 플로워 메터(14)에는 스로틀 챔버(4)가 제2에어턱트(6b)에 의해 연결되며, 스로틀 챔버(4)에는 플리넘 챔버(8) 및 실린더(18)의 연소실에 연결된 흡기 매니폴드(10)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에서, 에어 클리너(20) 및 스로틀 챔버(4)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에어덕트(6a)(6b)는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차체 및 운전석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통상 방진고무가 개재된다.
진동전달부재(30)는 차량의 운행시 발생되는 실린더(18)의 진동을 전달하기 위해 엔진의 실린더(18)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에어 클리너(20)의 관통공(20a)을 관통하는 바아(32)로 되며, 바아(32)의 타단에는 에어필터(26)의 일면에 돌출된 돌기부(26a)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요홈(32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에 대한 작용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차량을 시동하면 엔진은 기동하고, 외부의 에어는 실린더(18)의 흡입행정에 의해서 제1에어덕트(6a)를 따라 에어 클리너(20)의 하부하우징(24) 내부로 흡입됨과 동시에 먼지 등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에어필터(26)를 거쳐 상부하우징(22)의 일측에 결합된 에어 플로워 메터(14)와 제2에어턱트(6b)에 의해 연결된 스로틀 챔버(4)로 공급된다.
이때, 스로틀 챔버(4)로 공급된 에어의 속도는 빨라지고 압력은 낮아짐에 따라 연료탱크내에 저장된 연료가 에어와 혼합되면서 플리넘 챔버(8) 측으로 분사됨과 동시에 플리넘 챔버(8)에 연결된 다수의 흡기 매니폴드(10)를 통하여 연소실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에어필터(26)에 포집된 먼지는 실린더(18)의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부재(30)에 의해 에어필터(26)로부터 분리된다. 즉, 실린더(18)에서 발생된 진동이 바아(32)로 전달되고, 바아(32)의 타단에 형성된 요홈(32a)으로 끼워진 에어필터(26)로 전달된다.
그 후, 에어필터(26)는 진동에 의해 에어 클리너(20) 내부에서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됨에 따라 이의 전,후면에 포집된 먼지를 하부하우징(24)의 바닥면으로 떨어뜨리고, 바닥면에 떨어진 먼지는 배출공(24a)을 통해 제거되는 것이다.
따라서, 에어필터에 포집된 먼지 등의 이물질로 인한 에어의 통기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운행시 발생되는 엔진의 진동이 진동전달부재에 의해 에어필터로 전달됨에 따라서 에어필터의 전,후면에 포집된 먼지가 분리되어 에어의 통기저항이 감소됨은 물론 이에 따른 엔진의 출력이 향상되고, 특히 에어필터의 수명이 연장되므로 교환주기가 길어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차량의 엔진룸 내에 결합되는 에어 클리너와;
    상기 에어 클리너 내에 장착되어 상기 에어 클리너 내부로 흡입된 에어에 함유된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에어필터와;
    상기 에어필터 측으로 실린더의 진동을 전달하여 상기 에어필터에 포집된 먼지를 진동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진동전달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에 대해 결합되어 상기 에어필터로부터 분리된 먼지를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그의 바닥면에 배출공이 형성된 하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재는 상기 실린더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에어필터의 돌기부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요홈이 그의 타단에 형성된 바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
KR2019980024516U 1998-12-09 1998-12-09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 KR200100022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516U KR20010002279U (ko) 1998-12-09 1998-12-09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516U KR20010002279U (ko) 1998-12-09 1998-12-09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279U true KR20010002279U (ko) 2001-10-23

Family

ID=58043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516U KR20010002279U (ko) 1998-12-09 1998-12-09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227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132119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4240431B2 (ja) 自動二輪車のエアクリーナ装置
KR20010047717A (ko) 엔진의 에어 프리클리너
EP0317093B1 (en) Air intake system adapted for motor bicycle engine
KR20010002279U (ko) 차량용 에어 클리너 필터의 먼지 제거장치
CN100460661C (zh) 内燃机的漏气回流装置
KR100470775B1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US2542198A (en) Filter for air motors
JPS6318749Y2 (ko)
TWI634260B (zh) 用於車輛的內燃機進氣系統結構
KR0129307Y1 (ko) 이물질 유입방지용 여과장치가 부착된 차량용 공기흡입파이프
KR100362413B1 (ko) 가변 길이형 튜브가 삽입되는 에어 클리너
KR20010106766A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JP3470563B2 (ja) 内燃機関のエアクリーナ
KR100187402B1 (ko) 연료 주입시 안전 시스템
KR100246142B1 (ko) 소음 저감 방식의 자동차 공기청정기
KR200205826Y1 (ko) 흡기장치
KR200166698Y1 (ko) 차량용 에어크리너의 더스트 제거장치
KR200188076Y1 (ko) 에어클리너구조
KR100280669B1 (ko) 블로우바이가스제거장치
KR200171215Y1 (ko) 소음 저감 구조의 서지탱크 조립체
KR19980037849U (ko) 건습식 에어 클리너
KR19980043180U (ko) 자동차용 엔진의 공명기
KR20010004820A (ko) 리어 엔진 버스의 에어 크리너 장착 구조
KR19980017657U (ko) 자동차의 흡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