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826Y1 - 흡기장치 - Google Patents

흡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826Y1
KR200205826Y1 KR2019970044977U KR19970044977U KR200205826Y1 KR 200205826 Y1 KR200205826 Y1 KR 200205826Y1 KR 2019970044977 U KR2019970044977 U KR 2019970044977U KR 19970044977 U KR19970044977 U KR 19970044977U KR 200205826 Y1 KR200205826 Y1 KR 200205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throttle body
air
surge tank
ai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223U (ko
Inventor
김규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4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826Y1/ko
Publication of KR199900322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2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8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13Means upstream of the air filter; Connection to the ambien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지탱크의 상부 중심부로 스로틀 바디를 형성시키면서 스로틀 바디의 상부로 에어크리너가 바로 장착되게 하므로서 서지탱크를 통해 흡기 매니폴드로 유동하게 되는 흡기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흡기 충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흡기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외기를 연소실로 유도하는 통상의 흡기구조에 있어서,
서지탱크(10)의 상부면 중심으로는 수직으로 스로틀 바디(4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스로틀 바디(40) 상부로 돌설되는 에어덕트(60)에는 에어 크리너(50)가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흡기 장치
본 고안은 흡입 공기의 저항을 대폭 축소시켜 흡기의 충진 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흡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의 흡기는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에어덕트(6)와 에어크리너(1)와 에어호스(2)와 스로틀 바디(3)와 서지탱크(4)와 흡기 매니폴드(5)로서 연결되는 대단히 긴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에따른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엔진이 구동되면서 역순으로 흡입부압이 작용하면 덕트를 통해 외기가 에어 크리너(1)로 유입되어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와 같은 각종 이물질들이 여과되도록 한 뒤 스로틀 바디(3)로 유도된다. 스로틀 바디(3)에서는 가속 페달 조작량에 따라 스로틀 밸브를 소정의 각도로 개방시키게 되면 흡입부압에 의해 공기가 서지탱크(4)를 통해 흡기 매니폴드(5)를 거쳐서 연소실로 공급된다.
그러나 종전의 흡기구조는 대단히 길게 형성되어 시끄러운 흡기 소음을 유발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에어크리너(1)와 서지탱크(4)에서의 흡기 유동 방향 전환에 의해 흡입 저항이 커져 연소실에서의 흡기 충전율이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서지탱크의 상부 중심부로 스로틀 바디를 형성시키면서 스로틀 바디의 상부로 에어크리너가 바로 장착되게 하므로서 서지탱크를 통해 흡기 매니폴드로 유동하게 되는 흡기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흡기 충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흡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로틀 바디 상부의 에어 크리너 구조 개선으로 흡기 저항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으로는 서지탱크에 연결되는 흡기 매니폴드의 단부로 수분 흡수용 여과지가 마련되도록 하여 흡기내 수분을 제거시키도록 하여 연소실에서의 연소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외기를 연소실로 유도하는 통상의 흡기구조에 있어서,
서지탱크의 상부면 중심으로는 수직으로 스로틀 바디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스로틀 바디 상부의 유입구로부터 돌설되는 에어덕트에는 에어 크리너가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구조도
도 2는 에어 클리너의 다른 실시예 장착 구조도
도 3은 수분 흡수용 여과지의 부착 구조도
도 4는 종래의 흡기 구조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서지탱크
20 : 흡기 매니폴드
40 : 스로틀 바디
50 : 에어 크리너
60 : 에어덕트
70 : 수분 흡수용 여과지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부호 10은 서지탱크이다.
서지탱크(10)에는 저면으로 흡기 매니폴드(20)가 가스켓트(20)를 개입시켜 체결되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은 상기의 흡기 매니폴드(20)가 장착되는 저면과 대응되는 상부면 중앙으로 수직이 되게 스로틀 바디(40)가 일체로 장착되도록 한다.
즉 서지탱크(10)의 상하로 각각 스로틀 바디(40)와 흡기 매니폴드(20)가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스로틀 바디(40)에는 상부측 에어덕트(60)로 에어 크리너(50)가 장착되도록 하여 흡기가 수직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구조에서 에어 크리너(50)는 도 2에서와 같이 에어덕트(60)의 상단부로 나사체결에 의해 삽입되는 박판지(51)의 구조로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특히 서지탱크(10) 저부로 체결되는 흡기 매니폴드(20)의 각 기통(21) 선단의 내주면으로는 도 3에서와 같이 수분 흡수용 여과지(70)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따른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서 살펴보면 우선 흡기 매니폴드(20)와 서지탱크(10)와 스로틀 바디(40)와 에어 크리너(50)가 수직으로 형성되면서 흡기 매니폴드(20)로 유도되는 공기는 별 저항이 없이 매우 빠른 속도로 유도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에어 크리너(50)에서는 종전의 에어 호스를 통해 공기를 빨아들이게 될 때와는 달리 그 직후방의 스로틀 바디(40)와 직접 연통되면서 흡입 부압이 대단히 크게 작용하게 되므로 종전에 비해 흡기 저항이 대폭적으로 저감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스로틀 바디(40)를 통해 서지탱크(10)로 유도되는 흡기는 서지탱크(10)의 중앙에서 흡기 매니폴드(20)의 각 기통(21)으로 균일하게 흡기를 공급할 수가 있게 되어 각 실린더에서의 연소력을 균등하게 수행시키게 된다.
이로서 각 실린더에서의 흡기 충전율을 대단히 증대시키면서 흡기 유동성 증대로 연소력을 더욱 증강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에미션 또한 저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 에어 크리너(50)를 도 2에서와 같이 에어덕트(60)로 삽입되는 간소한 구조로 형성시키게 되면 에어 크리너(50)의 장착이나 교체에 따른 비용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게 되는 동시에 더욱 에어 클리너(50)에 의한 공기의 유동성 저항을 저감시키게 되어 흡기의 충전율 향상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지탱크(10) 저면에 고정 체결되는 흡기 매니폴드(20)의 체결단부에서 각 기통(21) 내주면으로 수분 흡수용 여과지(70)를 부착시키게 되면 연소실로 유도되는 흡기에 포함된 수분을 적절히 제거시킬 수가 있게 되어 더욱 증강된 연소력을 발휘할 수가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흡기구조의 개선으로 엔진으로의 흡기 충전 효율을 상승시키면서 흡기 유동성을 증대시켜 연소력과 출력이 증강되도록 하는 동시에 에미션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최근 연구 개발되고 있는 다이렉트 인젝션 타입의 엔진 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도록 한다.

Claims (1)

  1. 서지탱크(10)의 상부면 중심으로는 수직으로 스로틀 바디(4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스로틀 바디(40) 상부로 돌설되는 에어덕트(60)에는 에어 크리너(50)가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된 흡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에어 크리너(50)는 스로틀 바디(40) 상부로 돌설되는 에어덕트(60)의 상단부에서 내부로 나사체결되어 삽입되는 박판지(51)로 구성하고, 상기 서지탱크(10) 저부로 체결되는 흡기 애니폴드(20)의 체결단부측 각 기통(21)의 내주면으로 요홈이 요설되도록 하되, 그 요홈에는 수분 흡수용 여과지(70)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흡기 장치.
KR2019970044977U 1997-12-31 1997-12-31 흡기장치 KR200205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977U KR200205826Y1 (ko) 1997-12-31 1997-12-31 흡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977U KR200205826Y1 (ko) 1997-12-31 1997-12-31 흡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223U KR19990032223U (ko) 1999-07-26
KR200205826Y1 true KR200205826Y1 (ko) 2001-01-15

Family

ID=53896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977U KR200205826Y1 (ko) 1997-12-31 1997-12-31 흡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8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223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96118103A (ru) У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CN103470413B (zh) 带有内燃机和空气过滤器的手持式工作器械
KR20050021940A (ko) 내연기관의 블로우 바이 가스 환기장치
KR200205826Y1 (ko) 흡기장치
US5546913A (en) Evaporative fuel discharge-preventing device for engine
US4593656A (en) Intak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482858B1 (ko) 필러 넥에 장착되는 캐니스터용 에어 필터
KR100251328B1 (ko) 다습을 이용한 엔진 흡기 촉진장치
KR200171215Y1 (ko) 소음 저감 구조의 서지탱크 조립체
JPS59203860A (ja) 車輛用内燃機関の与圧吸気導入装置
KR100231268B1 (ko) 차량용 엔진의 흡기 공급장치
KR19980050755U (ko) 자동차 엔진의 드로틀 밸브
KR100280669B1 (ko) 블로우바이가스제거장치
KR100204777B1 (ko) 자동차용 엔진의 흡기덕트
KR0138579Y1 (ko) 내연 엔진의 흡기 덕트
JP2603498Y2 (ja) インタンク燃料ポンプ
KR19980034096U (ko) 내연기관의 흡기계통
KR200143929Y1 (ko) 디젤엔진의 브리딩개스 유입장치
JP2004239167A (ja) 船外機の燃料供給装置
KR19980035907U (ko) 블로우바이 가스 환원 장치
KR19980077946A (ko) 엔진성능향상용 압축공기분사장치
KR19980045540U (ko) 자동차 엔진의 백 화이어 제어장치
KR950033054A (ko) 증기공급부가 있는 내연기관의 흡기와류장치
KR19990058253A (ko) 트럭용 에어 크리너의 리어 커버
KR20030087298A (ko) 차량의 에어클리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