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451A -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451A
KR20010106451A KR1020017002172A KR20017002172A KR20010106451A KR 20010106451 A KR20010106451 A KR 20010106451A KR 1020017002172 A KR1020017002172 A KR 1020017002172A KR 20017002172 A KR20017002172 A KR 20017002172A KR 20010106451 A KR20010106451 A KR 20010106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core
main body
conductor
information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나오시게루
하타케야먀요시히로
구이타니다카시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10106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45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74Means for adjust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device will function to provid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28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having provisions for interchangeable or replaceabl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01H71/125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characterised by sensing elements, e.g. current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062Testing or measuring non-electrical properties of switches, e.g. contact velocity
    • H01H2011/0068Testing or measuring non-electrical properties of switches, e.g. contact velocit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switch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회로차단기 본체(1)의 단자부(33)에 체결부재(35)에 의해 도체(34)를 체결고정하는 동시에, 도체(34)에 흐르는 전류에서 발생한 자속을 검출하고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홀소자(38), 도체(34)에 접촉하고 상전압을 검출하는 접촉용구(41), 이 접촉용구(41)로 검출한 전압신호와 홀소자(38)의 전기신호를 연산처리 하는 전자회로부(43), 연산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수단(40)을 구비한 통전정보 계측장치(30)를 회로차단기 본체(1)의 단자부(33)에 착탈할 수 있도록 해, 계기용변류기(18)를 내장하고 있지 않은 회로차단기에서도 회로차단기 본체(1)가 보호를 하는 부하에 공급하는 통전정보를 표시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CIRCUIT BREAKER WITH LIVE-STATE INFORMATION MEASURING INSTRUMENT}
도 15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11-8936 호 공보에 표시하는 종래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회로구성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1은 회로차단기 본체, 2는 부하에 통전하는 통전주도체, 3은 통전주도체(2)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입절하는 개폐접점, 4는 각 통전주도체(2)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검출하는 변류기이다.
5는 변류기(4)의 출력을 정류하는 정류회로, 6은 정류회로로부터의 출력을 전압변환해서 A/D변환처리후, 통전주도체(2)에 흐르는 부하전류의 순시최대치를 검출하는 피크치 변환회로, 7은 피크치 변환회로(6)의 출력이 소정치를 초과했을때의 신호를 출력하는 순시시한회로, 8은 순시시한회로(7)의 동작출력 이하의 레벨로 피크치 변환회로(6)의 출력의 크기에 따라 반시한 동작을 해서 신호출력하는 단시한회로이다.
9는 정류회로(5)에서의 출력을 전압변환 A/D변환처리를 한후 통전주도체(2)에 흐르는 부하전류의 실효치에 상당하는 실효치를 얻는 실효치 변환회로, 10은 장시한회로이고 실효치 변환회로(9)의 출력의 크기에 의해 정격전류에서는 회로차단기 본체(1)의 차단동작을 시키지 않고 정격전류 이상에서 반한시 동작을 해서 신호를 출력한다. 11은 트리거회로이고, 순시시한회로(7)와 단시한회로(8) 및 장시한회로(10)의 어느한 신호를 받아서, 전자코일(12)을 통해서 개폐접점(3)을 절(切)로 해서 부하의 통전을 차단한다.
13은 사전경보 검지회로이고 정격전류보다 약간 낮은 소정의 전류치로 사전경보 출력회로(14)에 출력을 보내고 사전경보 표시램프(15)를 점등시켜 부하전류가 회로차단기 본체(1)의 차단동작에 임박해 있는 것을 알려서 회로차단기 본체(1)의 차단동작에 의한 정전을 예고하고 돌연의 정전을 방지한다. 16은 사전경보 표시램프(15)의 제어전원을 외부전원(17)에서 변환하는 전원회로이다.
18은 과전류검출의 변류기(4)와는 별도로 각 통전주도체(2)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검출하는 계측용 변류기, 19는 통전주도체(2)간의 전압을 검출하는 변압기이다. 계측용 변류기(18) 및 변압기(19)는 회로차단기 본체(1)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20은 통전정보 계측장치, 21은 계측용 변류기(18)로부터의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털 출력으로 변환하는 전류 A/D변환회로, 22는 변압기(19)로부터의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털 출력으로 변환하는 전압 A/D변환회로이고, 이 출력신호는 승산회로,적산회로에 의해 처리된후 회로차단기 본체(1)의 상면에 장착한 표시부(23)에 케이블(24)을 통해서 신호가 보내지고 부하에 공급하는 통전정보가 표시된다.
또, 일본국 특개평 9-198989 호 공보에는 홀소자에 의해 부하전류를 검출하는 회로차단기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에서는 부하전류를 계측하기 위해서는 미리 계측용 변류기(18)를 회로차단기 본체(1)의 내부에 장착해둘 필요가 있다. 또, 통전정보 계측장치(20)를 회로차단기 본체(1)의 상면이나 측면에 장착할 필요가 있고 회로차단기 본체(1)와 통전정보 계측장치(20)를 접속하는 케이블(24)을 필요로 한다. 이때문에 외형치수가 커지는 동시에, 코스트적으로도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위해 된것으로 계측용 변류기를 미리 회로차단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해둘 필요가 없고 계측용 변류기를 내장하고 있지 않은 회로차단기에 통전정보 계측장치를 후에 부착할 수 있는 동시에 회로차단기와 통전정보 계측장치간의 접속에 케이블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회로차단기가 보호하고 있는 부하에 공급하는 전압, 전류, 전력, 전력량, 조임나사부의 온도, 차단회수등을 표시할 수 있는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에 장착해서 이 회로차단기가 보호하는 부하에 공급하는 통전 정보를 표시, 또는 수집하는 통전정보 계측장치를 구비한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표시하는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표시하는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 도 2와 같은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도 3와 같은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 통전정보 계측장치 및 도체를 제거하고 부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 도체, 제 1의 코어, 제 2의 코어, 제 1의 프린트판, 홀소자의 관계위치를 표시하는 부분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 제 1의 코어, 제 2의 코어, 제 1의 프린트판 및 홀소자의 관계위치를 표시하는 부분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서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 체결나사 부근의 부분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서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 도 2와 같은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서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 케이스부, 제 1의 코어 및 제 2의 코어의 관계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서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 제 1의 코어와 제 2의 코어의 접합부의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서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 도 2와 같은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15는 종래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회로구성 블록도.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관한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는 부하전류를 개폐하는 회로차단기 본체와, 이 회로차단기 본체의 단자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고정된 도체와 상기 부하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속을 검출해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홀소자와 이 홀소자의 전기신호를 연산처리하는 전자회로부와 상기 연산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수납하는 케이스부를 갖는 통전정보 계측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통전정보 계측장치를 상기 회로차단기 본체 근방에 착탈가능하게 배치 또는 구성한 것이다.
또, 도체 또는 체결부재에 접촉하고 상전압을 검출하는 접촉용구를 구비하고, 이 접촉용구로 검출한 전압신호와 홀소자의 전기신호를 전자회로부에서 연산처리 하는 것이다.
또, 부하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속을 홀소자로 유도하는 제 1의 코어와, 이 제 1의 코어와 공동해서 자속을 유도하는 제 2의 코어를 구비한 것이다.
또, 부하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속을 유도하는 제 1의 코어를 회로차단기 본체에 설치하고 이 제 1의 코어와 공동해서 자속을 유도하는 제 2의 코어를 케이스부에 수납한 것이다.
또, 제 1의 코어를 대략 ㄷ자형상으로 하고, 제 2의 코어를 상기 제 1의 코어의 양단면에 공극을 두고 배치하고, 이 공극에 홀소자가 배치된 것이다.
또, 제 1의 코어 및 제 2의 코어를 대략 ㄷ자형상으로 하고 상기 제 1의 코어와, 상기 제 2의 코어의 접합부의 어느한쪽에 공극을 갖게해 이 공극에 홀소자를 배치한 것이다.
또, 제 1의 코어 및 제 2의 코어는 회로차단기 본체의 외측에서 도체를 포위하도록 해서 접합한 것이다. 또, 제 1의 코어를 분할케이스에 수납하고 제 2의 코어를 케이스부에 수납하고 이 케이스부에 배치한 감합구멍에 상기 분할케이스를 삽입한 것이다.
또, 도체는 대략 ㄷ자 형상부를 갖고 있고, 이 대략 ㄷ자 형상부가 홀소자를 둘러싸도록 배치한 것이다.
또, 제 1의 코어와 제 2의 코어의 접합부를 凹凸형상으로 한것이다.
또, 접촉용구에 의해 접촉부의 온도를 계측하고,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하는 것이다.
또, 케이스내에 진동센서를 배치하고 회로차단기의 개폐동작 회수를 계수하고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표시하는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표시하는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1은 회로차단기 본체, 30은 통전정보 계측장치, 31은 통전정보 계측장치(30)를 회로차단기 본체 1에 장착하고 고정하기위한 부착나사이다. 도 2 및 도 3에서 32는 통전정보 계측장치(30)를 형성하는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부로, 절연성을 갖는 몰드케이스(32a) 및 커버(32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33은 단자부로 회로차단기 본체(1)에 부하측 배선을 접속하는 부분, 34는 도체로 체결부재인 도전성재료로 형성된 체결나사(35)에 의해, 단자부(33)에 체결고정 되어 있다.
38은 홀소자로 제 1의 프린트판(39a)에 납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39b는 제 2의 프린트판으로 그 표면(도 3의 상면)에 출력수단인 표시기(40) 및 그 반대측 표면(도 2의 우면)에 도체(34)의 표면에 선단이 접촉하는 접촉용구 (41)가 실장되어 있고, 케이스부(32)내에 배치되어 있다.
39c는 제 3의 프린트판으로, 접촉용구(4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후술하는 전자회로부에서 처리하기위한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전압변환기(42)가 실장되어 있다.
39d는 제 4의 프린트판으로 전류 A/D변환회로(도시않음), 전압 A/D변환회로(도시않음)등을 형성하는 전자회로부(43)가 표면에 실장되어 있다. 또, 제 1의 프린트판(39a), 제 2의 프린트판(39b), 제 3의 프린트판(39c) 및 제 4의 프린트판 (39d)은 점퍼선(44)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자회로부(43)를 형성하는 회로부품은 제 4의 프린트판(39d) 이외의 제 1의 프린트판(39a), 제 2의 프린트판 (39b) 및 제 3의 프린트판(39c)에 실장시켜도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통전정보 계측장치(30)는 부착나서(31)에 의해 회로차단기 본체(1)에 쉽게 장착할 수 있고 아래의 순서에 의해 통전정보가 계측된다.
단자부(33)에서 도체(34)에 부하전류가 통전되면 도체(34)의 원주방향에는 앙페르의 법칙에 따라, 자속이 발생(도 3의 A에 표시함)하고, 홀소자(38)를 쇄교한다. 홀소자(38)는 쇄교한 자속에 비례한 전압을 발생하고 제 1의 프린트기판(39a)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전류 A/D변환회로에 입력된다. 한편 각 도체(34)의 표면에 선단이 접촉해 있는 접촉용구(41)는 각 도체(34)간에 발생한 전압(상전압)을 검출하고, 도시하지 않은 전압 A/D변환회로에 입력된다.
이결과, 전류 A/D변환회로 및 전압 A/D변환회로는 상술한 종래의 기술과 같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고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 전류, 전력, 전력량, 전압의 인가회수등의 통전정보를 표시기(40)에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에 의하면, 계측용 변류기(18)를 미리 회로차단기 본체(1)의 내부에 장착해둘 필요가 없고 케이블을 요하지 않는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통전정보 계측장치(30)를 회로차단기 본체(1)의 표면(도 2의 좌측방향)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단자부(33)에 배치하였으므로 회로차단기 본체(1)의 표면측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고 외관상, 凹凸이 없다.
또, 케이스부(32)를 단면 L자로 형성하였으므로 케이스부(32)내에 제 1의 프린트기판(39a) 및 제 2의 프린트판(39b)을 효율좋게 수납할 수 있다. 또, 케이스부 (32)는 회로차단기 본체(1)와 도체 (34)의 양쪽에 당접하므로 안정성이 좋다.
또, 통전정보 계측장치(30)는 회로차단기 본체(1)의 전원측의 단자부에 배치해도 되고, 이경우 회로차단기 본체(1)가 차단상태가 되어도, 전압의 검출이 가능하다.
또, 통전정보 계측장치(30)는 홀소자(38)가 부하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속을 검출할 수 있는 위치이면 회로차단기의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와 같은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6은 도 3과 같은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7은 통전정보 계측장치 및 도체를 제거하고 부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도체, 제 1의 코어, 제 2의 코어, 제 1의 프린트판, 홀소자의 관계위치를 표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도면에서 36a는 제 1의 코어로 자성체, 예를들면 철로 형성되고, 회로차단기 본체(1)의 상면측으로 개구하는 개구단(37)(도 7에 표시함)을 갖고,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단자부(33), 도체(34)를 포위해서 회로차단기 본체(1)에 배치되어 있다. 36b는 제 2의 코어로, 자성체, 예를들면 철로 형성되고 제 1의 코어(36a)의 개구단(37)의 중앙위치에 엄밀하게 규정된 공극(37a)을 확보하면서, 제 1의 코어 (36a)에 접합하는 동시에 케이스부(32)내에 배치되어 있다(도 8에 표시함).
이렇게 해서, 제 1의 코어(36a)와 제 2의 코어(36b)는 연속된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또, 상술한 발명의 실시의 형태 1과 동일부품 또,는 상당부품에는 동일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통전정보 계측장치(300)는 부착나사(31)에 의해, 회로차단기 본체(1)에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아래의 순서에 의해 통전정보가 계측된다.
단자부(33)에서 도체(34)에 부하전류가 통전되면 도체(34)의 원주방향에는 앙페르의 법칙에 따라, 자속이 발생하고 자속이 도체(34)의 원주방향으로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제 1의 코어(36a), 제 2의 코어(36b)를 집중해서 쇄교(도 6중의 B에 표시)한다. 이 자속이 공극(37a)에 배치된 홀소자(38)를 쇄교함으로써 홀소자(38)는 쇄교한 자속에 비례한 전압을 발생하고 제 1의 프린트판(39a)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전류 A/D변환회로에 입력되고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순서로 통전정보를 표시기(40)로 표시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에 의하면, 도체(34)의 원주방향으로 발생한 자속이 도체(34)의 원주방향으로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제 1의 코어(36a), 제 2의 코어(36b)에 의해 집중해서 홀소자(38)를 쇄교하므로, 도체(34)를 흐르는 부하전류의 검출이 확실하게 되는 것이다.
또, 제 1의 코어(36a) 및 제 2의 코어(36b)는 대략 C자형상의 일체형으로 형성시켜도 되고, 제 1의 코어(36a) 및 제 2의 코어(36b)는 회로차단기 본체(1) 또는, 케이스부(32)의 어느쪽에 배치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 제 1의 코어, 제 2의 코어, 제 1의 프린트판(139a) 및 홀소자의 관계위치를 표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면에서, 제 1의 코어(136a)와 제 2의 코어(136b)는 직렬접합해서 배치되고 접합부의 한쪽에 공극(137a)이 설치되어 있다. 홀소자(138)는 이 공극(137a)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도록 제 1의 프린트판(139a)에 전기적으로 접속고착되어 있다. 제 1의 코어(136a), 제 2의 코어(136b) 및 제 1의 프린트판(139a)은 상술한 실시의 형태 2와 같은 방법으로 케이스부(32) 및 회로차단기 본체(1)에 배치되어, 같은순서로 동작을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에 의하면, 제 2의 코어(136b)를 분할하지 않고 공극(137a)을 형성시켰으므로 구성이 간단할뿐 아니라 공극(137a)의 치수관리가 용이하다.
실시의 형태 4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서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체결나사 근방의 부분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체결나사(135)는 단자부(33)에 체결되는 동시에 절연튜브(237)를 관통해서 돌출해 있고 선단부(135a)에 부하측의 배선이 접속가능한 것이고, 제 1의 코어(236a)는 체결나사(135) 및 절연튜브(237)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부를 체결나사 (135)의 돌출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대략 ㄷ자의 형태로 연장설치할 형상으로 하고 있다. 제 1의 코어(236a), 제 2의 코어(236b) 및 제 1의 프린트판(39a)은 상술한 실시의 형태 2와 같은 방법으로 케이스부(32) 및 회로차단기 본체(1)에 배치되고 같은순서로 동작을 실시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에 의하면, 회로차단기 본체(1)의 저면방향(도 2의 우측방향)에서 부하측의 배선을 실시하는 방식(이면형)에 대응이 가능한 것이다.
실시의 형태 5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서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 전술한 도 2와 같은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12는 케이스부, 제 1의 코어 및 제 2의 코어의 관계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제 1의 코어와, 제 2의 코어의 접합부의 확대도이다.
도면에서 301은 통전정보 계측장치에서 몰드케이스(132a) 및 커버(132b)에 의해 형성된 케이스부(132)내에 홀소자(38), 전압변환기(42) 및 전자회로부(43)를 실장한 제 1의 프린트판(139a), 도시하지 않은 표시기(40), 선단이 체결나사(35)에접촉한 접촉용구(41), 온도센서(45) 및 진동센서(46)를 실장한 제 2의 프린트판 (139b), 홀소자(38)에 자속을 인도하는 제 2의 코어(336b)가 수납되어 있다.
47은 수지성형품으로된 분할케이스이고, 제 1의 코어(336a)는 접합 凸부 (336a,10)를 소유하고, 분할케이스(47)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의 코어(336b)는 접합 凹부(336b,10)를 소유하고 몰드케이스(132a)에 고착되어 있고 몰드케이스(132a)에는 제 1의 코어(336a)의 접합 凸(336a,10)와 제 2의 코어(336b)의 접합 凹부(336b,10)를 감합하기 쉽도록 감합혼(132a,10)이 배치되어 있다.
제 1의 코어(336a)의 양단에 설치된 접합 凸부(336a,10)와, 한쌍의 제 2의 코어(336b)의 접합 凸부(336b,10)가 각각 감합하면, 제 1의 코어(336a)와 제 2의 코어(336b)는 도체(34)를 포위하도록 배치되고 연속한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통전정보 계측장치(301)는 부착나사(31)에 의해, 회로차단기 본체 (1)에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아래의 순서에 의해 통전정보가 계측된다.
단자부(33)로부터 도체(34)에 부하전류가 통전되면, 유도(34)의 원주방향에는 앙페르의 법칙에 따라 자속이 발생하고, 자속이 도체(34)의 원주방향에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제 1의 코어(336a), 제 2의 코어(336b)를 집중해서 쇄교(도 11중의 C에 표시한다. 단 자속은 설명상, 경사시켜 도시하고 있다)한다. 이 자속이 홀소자 (38)를 쇄교함으로써 홀소자(38)는 쇄교한 자속에 비례한 전압을 발생하고, 제 1의 프린트판(139a)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전류 A/D변환회로에 입력되고,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순서에 의해 통전정보를 표시기(40)로 표시한다.
또, 접촉용구(41)가 검출한 온도는 온도센서(45)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표시기(40)에 체결나사(35)의 온도가 표시된다. 또, 제 2의 프린트판(139b)에 배치된 진동센서(46)에 의해 회로차단기 본체(1)에 과전류가 통전되고 차단동작을 했을때의 진동이 검출되고 차단의 회수가 표시된다.
이같이 형성된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는 회로차단기 본체(1)에 미리 제 1의 코어(336a)를 배치해둘 필요가 없고 계기용 변성기(18)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표준의 회로차단기에 통전정보 계측장치를 후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이고, 체결나사(35)부의 온도를 표시함으로써, 나사의 이완으로 의한 불합리성을 사전에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차단회수를 표시함으로써 회로차단기 본체(1)의 보수관리를 쉽게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접촉용구(41)는 체결나사(35)이외의 도전부인 단자부(33) 또는 도체 (34)에 접촉시켜서 온도를 검지해도 된다.
또, 상술한 설명에서는 통전정보를 표시기(40)로 표시시키는 경우에 대해 진술하였으나 표시기(40) 대신에 통신수단을 배치하고 통전정보를 원격지로 송출하고 원격지에서 정보를 수집시켜도 된다.
또, 온도센서(45) 및 진동센서(46)는 실시의 형태 1, 실시의 형태 2, 실시의 형태 3 및 실시의 형태 4의 통전정보 계측장치에 배치해도 되고, 접합 凸부(336a, 10) 및 접합 凹부(336b,10)는 실시의 형태 2, 실시의 형태 3 및 실시의 형태 4의 제 1의 코어 및 제 2의 코어에 설치해서 접합시켜도 된다.
실시의 형태 6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서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의 전술한 도 2와 동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302는 통전정보 계측장치에서 몰드케이스(232a) 및 커버(232b)에 의해 형성된 케이스부(232)내에 홀소자(38), 전압변환기(42) 및 전자회로부(43)를 실장한 제 1의 프린트판(239a), 도시하지 않은 표시기(40) 선단을 체결나사(35)에 접촉시킨 접촉용구(41), 온도센서(45) 및 진동센서(46)를 실장한 제 2의 프린트판 (239b)이 수납되어 있다.
134는 도체로, 대략 ㄷ자 형상부(134a)를 소유하고, 회로차단기 본체(1)의 단자부(33)에 체결나사(35)에 의해 체결고정되어 있고, 제 1의 프린트판(239a)에 실장된 홀소자(38)가 대략 ㄷ자 형상부(134a)에 의해 포위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통전정보 계측장치(302)는, 부착나사(31)에 의해 회로차단기 본체(1)에 쉽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래의 순서에 의해 통전정보가 계측된다. 단자부(33)에서 도체(134)에 부하전류가 통전되면, 도체(134)의 원주방향에는 앙페르의 법칙에 따라 자속이 발생한다. 자속은 도체(34)의 대략 ㄷ자 형상부(134a)의 각 직선부에서 발생(D,E 및 F에 표시한다)하고, 이 합성한 자속이 홀소자(38)를 쇄교한다. 홀소자(38)는 쇄교한 자속에 비례한 전압을 발생하고, 제 1의 프린트판(139a)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전류 A/D변환회로에 입력되고,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순서로 통전정보를 표시기(40)로 표시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에 의하면 대략 ㄷ자형상부(134a)의 각 직선부에서 발생한 자속의 합성자속이 홀소자(38)를 쇄교하므로, 도체(134)를 흐르는 부하전류의 검출이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에 의하면 회로차단기 본체의 단자부에 통정종보 계측장치를 착탈가능하게 하였으므로 계측용 변류기를 미리 회로차단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해둘 필요가 없고 케이블도 필요하지 않으므로, 외형치수가 작고 코스트가 싼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표시기로 체결나사부의 온도를 표시함으로써 체결나사의 이완에 의한 불편함을 사전에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과전류 통전에 의해, 차단동작을 했을때의 진동을 검출하고 차단의 회수를 표시함으로써, 차단기 본체의 보수관리를 쉽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통전정보 계측장치는 회로차단기 이외의 부하전류가 통전되는 배전선에 장착되는 기기에도 장착이 가능하다.

Claims (12)

  1. 부하전류를 개폐하는 회로차단기 본체와, 이 회로차단기 본체의 단자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고정된 도체와, 상기 부하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속을 검출해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홀소자와 이 홀소자의 전기신호를 연산처리하는 전자회로부와 상기 연산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수납하는 케이스부를 갖는 통전정보 계측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통전정보 계측장치를 상기 회로차단기 본체 근방에 착탈가능하게 배치 또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도체 또는 체결부재에 접촉하고 상전압을 검출하는 접촉용구를 구비하고 이 접촉용구로 검출한 전압신호와 홀소자의 전기신호를 전자회로부에서 연산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
  3. 제 1항에 있어서, 부하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속을 홀소자에 유도하는 제 1의 코어와, 이 제 1의 코어와 함께 작동하여 자속을 유도하는 제 2의 코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
  4. 제 3항에 있어서, 부하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속을 홀소자에 유도하는 제 1의 코어를 회로차단기 본체에 배치하고, 이 제 1의 코어와 함께 작동하여 자속을 유도하는 제 2의 코어를 케이스부에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
  5. 제 4항에 있어서, 제 1의 코어를 대략 ㄷ자형상으로 하고, 제 2의 코어를 상기 제 1의 코어의 양단면에 공극을 갖고 배치하고 이 공극에 홀소자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
  6. 제 4항에 있어서, 제 1의 코어 및 제 2의 코어를 대략 ㄷ자형상으로 하고, 상기 제 1의 코어와 상기 제 2의 코어의 접합부의 어느한쪽에 공극을 두고, 이 공극에 홀소자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
  7. 제 3항에 있어서, 제 1의 코어 및 제 2의 코어는 회로차단기 본체의 외측에서 도체를 포위하도록 해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
  8. 제 7항에 있어서, 제 1의 코어를 분할케이스에 수납하고, 제 2의 코어를 케이스부에 수납하고, 이 케이스부에 배치한 감합구멍에 상기 분할케이스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
  9. 제 1항에 있어서, 도체는 대략 ㄷ자상의 형상부를 갖고, 이 대략 ㄷ자 형상부가 홀소자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
  10. 제 3항에 있어서, 제 1의 코어와 제 2의 코어의 접합부가 凹凸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
  11. 제 2항에 있어서, 접촉용구에 의해 접촉부의 온도를 계측하고,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케이스내에 진동센서를 배치하고, 회로차단기의 개폐동작회수를 계수하고,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
KR1020017002172A 1999-06-22 1999-06-22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 KR200101064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3322 WO2000079554A1 (fr) 1999-06-22 1999-06-22 Disjoncteur a dispositif de mesure informant sur l'etat sous ten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451A true KR20010106451A (ko) 2001-11-29

Family

ID=14236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172A KR20010106451A (ko) 1999-06-22 1999-06-22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107274A4 (ko)
KR (1) KR20010106451A (ko)
CN (1) CN1312950A (ko)
TW (1) TW421811B (ko)
WO (1) WO200007955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213B1 (ko) * 2001-12-04 2004-12-03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의 부속장치 결합구조
KR100902684B1 (ko) * 2008-10-27 2009-06-15 주식회사 대륙 온도센서가 내장된 전기장치
KR102269380B1 (ko) * 2020-08-03 2021-06-25 (주)메티스 전자접촉기용 온도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7155A (ja) * 2005-02-18 2008-12-25 エアパ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付属センサユニットを備える回路遮断器を含む装置
US7612972B2 (en) * 2005-09-30 2009-11-0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tractor current sensing system and method
MY158119A (en) 2007-08-20 2016-08-30 Ls Ind Systems Co Ltd Circuit breaker with temperature sensor
KR100883042B1 (ko) * 2007-08-20 2009-02-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온도센서를 구비한 기중차단기
US7822578B2 (en) * 2008-06-17 2010-10-2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maintenance of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
CN101459018B (zh) * 2008-06-20 2010-09-29 扬州新菱电器有限公司 控制与保护开关电器
EP2282321B1 (de) * 2009-08-06 2015-10-14 ABB Schweiz AG Modul zum Messen des in einem Leiter eines Niederspannungsverteilers fliessenden Stroms
JP2011185647A (ja) * 2010-03-05 2011-09-22 Keihin Corp 電流センサ
ITMI20121139A1 (it) * 2012-06-28 2013-12-29 Energy Team S P A Dispositivo di misura di correnti di stringa, in particolare in impianti fotovoltaici
BR112014032888A2 (pt) * 2012-07-02 2017-06-27 Siemens Ag conjunto transformador de corrente, e, dispositivo de proteção elétrica
JP6056014B2 (ja) * 2012-07-24 2017-01-11 日東工業株式会社 配電機器
JP6019423B2 (ja) * 2012-07-24 2016-11-02 日東工業株式会社 電流計測用アダプタ
JP2014229413A (ja) * 2013-05-21 2014-12-08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回路遮断器、又は分電盤
US9852851B2 (en) * 2014-10-21 2017-12-26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current sensing unit
US9658264B2 (en) 2014-12-30 2017-05-23 Energybox Ltd. Energy metering system with self-powered sensors
US9995815B2 (en) * 2014-12-30 2018-06-12 Energybox Ltd. Energy metering system and method for its calibration
US10467354B2 (en) 2014-12-30 2019-11-05 Energybox Ltd. Visualization of electrical loads
US10177542B2 (en) * 2017-02-10 2019-01-08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Contactor health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CN108802467B (zh) * 2018-05-04 2023-12-29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宁波市奉化区供电公司 一种检测精度高的铁芯线圈式电流互感器及漏电检测装置
US11129237B1 (en) * 2019-10-29 2021-09-21 Nodesimple Llc System for controlling assets via smart power switch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1146A (en) * 1977-03-31 1978-10-23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Over current protective relay
JPS5438573A (en) * 1977-08-31 1979-03-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Terminal device in circuit breaker
JPH0526683Y2 (ko) * 1987-03-03 1993-07-06
JPH0216460A (ja) * 1988-07-04 1990-01-19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電子式電力量計
JPH02121224A (ja) * 1988-10-31 1990-05-09 Energy Support Corp 過電流、地絡検出機能付開閉器
US5107396A (en) * 1991-06-03 1992-04-21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combined terminal lug and connector
US5162766A (en) * 1991-10-07 1992-11-10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interchangeable trip circuits
DE9113081U1 (ko) * 1991-10-21 1991-12-12 Siemens Ag, 8000 Muenchen, De
JP2600339Y2 (ja) * 1993-05-10 1999-10-12 大崎電気工業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および回路遮断器装着型電力量計
FI932122A (fi) * 1993-05-11 1994-11-12 Abb Stroemberg Kojeet Oy Vuontiheyden mittaukseen perustuva sähkövirranmittausanturi ja menetelmä sen virittämiseksi
JPH08194016A (ja) * 1995-01-19 1996-07-30 Fuji Electric Co Ltd 電流センシング装置
JP3106977B2 (ja) * 1995-11-14 2000-11-06 富士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213B1 (ko) * 2001-12-04 2004-12-03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의 부속장치 결합구조
KR100902684B1 (ko) * 2008-10-27 2009-06-15 주식회사 대륙 온도센서가 내장된 전기장치
KR102269380B1 (ko) * 2020-08-03 2021-06-25 (주)메티스 전자접촉기용 온도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79554A1 (fr) 2000-12-28
EP1107274A4 (en) 2004-03-03
TW421811B (en) 2001-02-11
EP1107274A1 (en) 2001-06-13
CN1312950A (zh) 2001-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6451A (ko) 통전정보 계측장치부 회로차단기
US6515468B1 (en) Current sensor and electric circuit using the same
US6472878B1 (en) Current measuring element with a hall sensor
JP5341587B2 (ja) バスバ装置及び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EP1306677B1 (en) Current sensor
WO1999036928A1 (en) Circuit breaker having hall effect sensors
JP6957222B2 (ja) 電圧センサを備える電気アセンブリの回路遮断器と接触器との相互接続モジュール
US10368451B2 (en) Module for the interconnection of a circuit breaker and a contactor for an electrical assembly
JPH118930A (ja) 回路遮断器の通電情報計測装置
JP4830814B2 (ja) 分電盤
US7974794B2 (en) Electric energy meter
JP5150432B2 (ja) ブレーカの電流検出器
US5864276A (en) Current transformer assemblies
US8081491B2 (en) External neutral current sensor matched to a circuit breaker
US4675598A (en) Current measuring device in an electrical distribution switchboard or enclosure
JP2006092913A (ja) 電流検出器内蔵プラグユニット
JPH07122260A (ja) 電流センサ付バッテリポスト用端子
RU2166766C2 (ru) Счетчик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EP3964842A1 (en) Arrangement and switching device with contactless current measuring capability
JPH0682572U (ja) 回路遮断器および回路遮断器装着型電力量計
CN217238186U (zh) 一种开启式自供电霍尔大电流传感器
JP7233355B2 (ja) 回路遮断器用の取付端子台
JPH0545384A (ja) 変流器
CA2613811C (en) Electric energy meter
JP2005300364A (ja) 計測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