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216A - 통기성을 가진 액체 불투과성 복합 시트 - Google Patents

통기성을 가진 액체 불투과성 복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216A
KR20010106216A KR1020010024791A KR20010024791A KR20010106216A KR 20010106216 A KR20010106216 A KR 20010106216A KR 1020010024791 A KR1020010024791 A KR 1020010024791A KR 20010024791 A KR20010024791 A KR 20010024791A KR 20010106216 A KR20010106216 A KR 20010106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composite sheet
synthetic resin
resin film
sea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츠시타미치요
아츠다야스시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10106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21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5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 A61F13/51462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being defined by a value or par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6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stretchable or elastome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 A61F13/514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having an impervious inner layer and a cloth-like oute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4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with heat sealable or heat releasable adhesiv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13Heat or solvent activated or sealable
    • Y10T428/2817Heat seal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74Non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 Y10T442/678Olefin polymer or copolymer sheet or film [e.g., polypropylene, polyethylene, ethylene-butylene copolymer, et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탄력성과 유연성을 갖는 통기 액체 불투과성 복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트는 가요성이면서 통기 액체 불투과성인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2)과 필름(2)의 양면에 겹쳐지는 열융착성 부직포(3A, 3B)로 구성되고, 필름(2)과 부직포(3A, 3B)가 열융착된 통기 액체 불투과성 복합 시트(1)이며, 필름(2)은 평량이 0.098∼0.392 N/㎡, 60℃ 열분위기 내의 열수축률이 3∼18%, 부직포(3A, 3B)는 평량이 0.049∼0.294 N/㎡의 범위에 있고, 시트(1)에는 시트(1)의 폭 방향(Y)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Y)과 교차하는 길이 방향(X)으로 이격되는 열융착부(4)가 형성되며, 열융착부(4) 사이에 연장되는 부직포(3A, 3B) 각각이, 필름(2)의 양면으로부터 시트(1)의 두께 방향 바깥쪽으로 볼록이 되도록 호를 그리고 있다.

Description

통기성을 가진 액체 불투과성 복합 시트{AIR-PERMEABLE AND WATER-IMPERMEABLE COMPOSITE SHEET}
본 발명은 수술용 외의(外衣)나 환자용 외의, 환자용 잠옷 등의 일회용 착용 물품에 사용하는 데 적합한 통기 액체 불투과성 복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10-295724호는, 멜트 블론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3 섬유층과, 스펀 본드 부직포 또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제3 섬유층의 양면에 겹쳐지는 제1 및 제2 섬유층으로 형성된 3층의 통기 액체 불투과성 복합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복합 시트에는 열 엠보스 롤에 의한 엠보스 처리가 실시되고, 제1 및 제2 섬유층과 제3 섬유층이 열융착부에 있어 간헐적으로 융착되어 있다. 복합 시트는 유연성과 높은 표면 마찰 강도를 갖는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복합 시트는, 시트면이 거의 편평하여, 시트의 두께 방향 안쪽으로 압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시트가 두께 방향 안쪽으로 조금 압축 변형할 수 있는 데에 불과하므로 탄력성이 부족하다. 시트의 탄력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는, 제1 및 제2 섬유층에 시트의 두께 방향 바깥쪽으로 융기하는 다수의 고밀도 융기부를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제1 및 제2 섬유층의 고밀도 융기부에서는, 이들 섬유층의 평량이 증가하고, 복합 시트의 유연성이 저하해버린다.
본 발명의 과제는, 우수한 탄력성과 유연성을 갖는 통기 액체 불투과성 복합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복합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시트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복합 시트에 있어서의 열융착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시트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공정도.
도 5는 도 1의 시트의 제조 방법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기 액체 불투과성 복합 시트
2 :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
3A, 3B : 부직포
4 : 융착부
4A, 4B : 융착부
5 : 간극
5A, 5B : 간극
10, 20 : 엠보스 롤
L1 : 열융착부의 길이
L2 : 간극의 길이
L3 : 이격 치수
X : 길이 방향
Y : 폭 방향
Z1 : 두께 방향 바깥쪽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제는, 가요성이면서 통기 액체 불투과성인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과 상기 합성 수지 필름의 양면에 겹쳐지는 열융착성 섬유 부직포로 구성되고, 상기 합성 수지 필름과 상기 섬유 부직포가 엠보스 롤을 포함하는 열처리 공정을 거쳐 서로 열융착된 통기 액체 불투과성 복합 시트이다.
이러한 전제에 있어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상기 합성 수지 필름은 평량이 0.098∼0.392 N/㎡, 60℃(±5℃) 열분위기 내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 열수축률이 3∼18%의 범위, 상기 부직포는 평량이 0.049∼0.294 N/㎡의 범위에 있고, 상기 복합 시트에는 상기 복합 시트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폭 방향과 교차하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하여 나열되는 다수의 열융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열융착부 사이에 연장되는 상기 섬유 부직포 각각이 상기 합성 수지 필름의 양면으로부터 상기 복합 시트의 두께 방향 바깥쪽으로 볼록이 되도록 호를 그리고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로는, 상기 열융착부 각각이 소정 길이의 간극을가지고 상기 폭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열융착부의 폭 방향의 길이와 상기 간극의 폭 방향의 길이가, 열융착부 길이 > 간극 길이의 관계에 있고, 한 쪽의 상기 열융착부에 있어서의 간극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쪽의 상기 열융착부와 병렬하도록, 인접하는 상기 열융착부에서는 상기 열융착부와 상기 간극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로는, 캔틸레버법에 의한 상기 복합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강연도(bending resistance)가 40∼70 mm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로는, 상기 융착부를 제외한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복합 시트의 압축 탄성율이 70∼95%의 범위에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기 액체 불투과성 복합 시트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복합 시트(1)의 사시도와, 도 1의 복합 시트(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복합 시트(1)에 있어서의 열융착부(4)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복합 시트(1)는 가요성이면서 통기 액체 불투과성인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2)과,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3A, 3B)로 구성되고, 합성 수지 필름(2)의 양면에 부직포(3A, 3B) 각각이 겹쳐지는 3층의 것이다.
복합 시트(1)는 엠보스 롤(10, 20)을 포함하는 열처리 공정(도 4, 도 5 참조)에 있어서, 합성 수지 필름(2)과 부직포(3A, 3B)가 부분적으로 열융착되어 이들 2, 3A, 3B가 일체가 된 것이다. 합성 수지 필름(2)은 복합 시트(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X)과 폭 방향(Y) 중의 적어도 길이 방향(X)으로 열수축을 일으키는 열수축성의 것이다. 여기서, 길이 방향(X)이란 후술하는 엠보스 롤(10, 20) 둘레면의 둘레 방향과 평행하는 방향에 상당하고, 폭 방향(Y)이란 엠보스 롤(10, 20) 둘레면의 둘레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상당한다.
복합 시트(1)에는 소정 길이(L2)의 간극(5)을 가지고 복합 시트(1)의 폭 방향(Y)으로 간헐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열융착부(4)가 형성되어 있다. 열융착부(4) 각각은 복합 시트(1)의 길이 방향(X)으로 이격해서 나열되어 있다.
복합 시트(1)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융착부(4)의 폭 방향(Y)의 길이(L1)와 간극(5)의 폭 방향(Y)의 길이(L2)가, 열융착부 길이 > 간극 길이의 관계에 있다. 한 쪽의 열융착부(4A)에 있어서의 간극(5A)은 길이 방향(X)으로 인접하는 다른 쪽의 열융착부(4B)에 있어서의 간극(5B)과 병렬하는 일이 없고, 간극(5A)이 다른 쪽의 열융착부(4B)와 병렬하도록, 인접하는 열융착부(4A, 4B)에 있어서 열융착부(4A, 4B)와 간극(5A, 5B)이 길이 방향(X)으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쪽의 열융착부(4A)와 길이 방향(X)으로 인접하는 다른 쪽의 열융착부(4B)는,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열융착부(4A)의 폭 방향 양단부(4A1)와 열융착부(4B) 각각의 폭 방향 양단부(4B1)가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열융착부(4)의 사이에 연장되는 부직포(3A, 3B) 각각은, 합성 수지 필름(2)의 양면으로부터 복합 시트(1)의 두께 방향 바깥쪽(Z1)으로 볼록이 되도록 호를 그리고 있다. 간극(5)에서는, 부직포(3A, 3B) 각각이 합성 수지 필름(2)으로부터 두께 방향 바깥쪽(Z1)으로 조금 이격되고, 합성 수지 필름(2)과 병행하여 거의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복합 시트(1)에서는, 그 두께 방향 안쪽(Z2)을 향하여 압력이 가해졌을 때, 열융착부(4) 사이에 연장되는 부직포(3A, 3B) 각각이 압력에 대항하면서 두께 방향 안쪽(Z2)으로 압축 변형한다. 압력이 해제되면, 부직포(3A, 3B) 각각이 다시 합성 수지 필름(2)의 양면으로부터 복합 시트(1)의 두께 방향 바깥쪽(Z1)으로 볼록이 되도록 호를 그린다.
복합 시트(1)에서는, 캔틸레버법에 의한 길이 방향의 강연도가 40∼70 mm의 범위, 융착부(4)를 제외한 부위에 있어서의 압축 탄성율이 70∼95%의 범위에 있다. 복합 시트의 강연도와 압축 탄성율은 JIS:L1096에 기초하여 측정한 것이다. 강연도가 70 mm을 초과하면서, 압축 탄성율이 9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복합 시트(1)의 유연성이 현저히 저하한다. 강연도가 40 mm 미만이면서, 압축 탄성율이 70% 미만인 경우에는 복합 시트(1)의 탄력성이 불충분해진다.
길이 방향(X)으로 인접하는 열융착부(4) 각각의 이격 치수(L3)는 1.5∼7.0 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융착부(4) 각각의 이격 치수(L3)가 1.5 mm 미만인 경우에는, 복합 시트(1)에 필요 이상의 열융착부(4)가 형성되기 때문에, 복합 시트(1)의 강연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고, 복합 시트(1)의 유연성이 저하해 버린다. 열융착부(4) 각각의 이격 치수(L3)가 7.0 m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융착부(4)의 비율이 감소하고, 복합 시트(1)의 박리 강도와 형태 안정성이 저하해 버린다.
합성 수지 필름(2)은 그 평량이 0.098∼0.392 N/㎡, 그 두께 치수가 20∼3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3A, 3B)는 그 평량이 0.049∼0.294 N/㎡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 수지 필름(2)의 평량이 0.098 N/㎡ 미만으로서 두께 치수가 20 ㎛ 미만이면서, 부직포(3A, 3B)의 평량이 0.049 N/㎡ 미만인 경우에는, 합성 수지 필름(2)과 부직포(3A, 3B)의 강도가 저하하고, 합성 수지 필름(2)과 부직포(3A, 3B) 각각을 서로 융착할 때에, 열융착부(4)에 있어서 핀 홀이나 파단 등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합성 수지 필름(2)의 평량이 0.392 N/㎡를, 두께 치수가 30 ㎛을 초과하면서, 부직포(3A, 3B)의 평량이 0.294 N/㎡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복합 시트(1)의 강연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복합 시트(1)의 유연성이 저하해버린다.
열융착부(4)의 폭 방향(Y)의 길이(L1)는 1.50∼3.00 mm의 범위, 간극(5)의 폭 방향(Y)의 길이(L2)는 1.00∼1.20 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융착부(4)의 폭 방향(Y)의 길이(L1)가 1.50 mm 미만이면서, 간극(5)의 폭 방향(Y)의 길이(L2)가 1.20 m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복합 시트(1)의 박리 강도와 형태 안정성이 저하해버린다.
열융착부(4) 사이에 연장되는 부직포(3A, 3B) 각각의 바닥부로부터 정상부까지의 높이(H)는 0.05∼0.20 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H)가 0.05 mm 미만인 경우에는 부직포(3A, 3B)가 두께 방향 안쪽(Z1)으로 조금 압축 변형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하므로, 복합 시트(1)의 압축 탄성율이 상기 범위 미만이 되어 복합 시트(1)의 탄력성이 불충분해진다. 높이(H)가 0.20 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복합 시트(1)의 부피가 커지고, 복합 시트(1) 표면의 마찰 저항이 증가해버린다.
도 4 및 도 5는 복합 시트(1)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공정도와, 복합 시트(1)의 제조 방법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조 공정은 서로 대향하여 회동하는 엠보스 롤(10) 및 크라운 롤(11)과, 이들 롤(10, 11)의 하류에 배치되고, 제조된 복합 시트(1)를 권취하는 권취 롤(12)을 갖는다. 엠보스 롤(10)과 크라운 롤(11)은 동일한 속도로 회동하고 있다. 권취 롤(12)은 엠보스 롤(10) 및 크라운 롤(11)보다도 조금 느린 속도로 회동하고 있다.
엠보스 롤(10)에는 롤(10) 둘레면에 다수의 볼록부(10a)가 형성되어 있다. 크라운 롤(11)은 롤(11) 둘레면이 평평한 것이다. 엠보스 롤(10)과 크라운 롤(11)은 약 80℃∼약 110℃의 온도를 갖는다. 엠보스 롤(10)의 볼록부(10a)는 그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소정 길이의 간극을 가지고 엠보스 롤(10) 둘레면의 둘레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폭 방향(Y))으로 간헐적으로 연장되며, 볼록부(10a)가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볼록부(10a) 사이의 간극과 병렬하도록 둘레 방향(길이 방향(X))으로 번갈아 나열되어 있다.
이들 롤(10, 11)에서는, 엠보스 롤(10)의 볼록부(10a)가 크라운 롤(11)의 둘레면에 당접한다. 엠보스 롤(10)의 볼록부(10a)를 제외한 나머지의 플랫면과 크라운 롤(11)의 플랫면 사이에는 약간의 틈이 형성되어 있다.
제조 공정에서는, 길이 방향(X)으로 연속하는 합성 수지 필름(2)과, 길이 방향(X)으로 연속하는 부직포(3A, 3B)를, 부직포(3A, 3B) 각각이 합성 수지 필름(2)의 양면에 겹쳐지도록, 엠보스 롤(10)과 크라운 롤(11) 사이에 공급한다. 합성 수지 필름(2)과 부직포(3A, 3B) 각각은, 서로 당접하는 엠보스 롤(10)의 볼록부(10a)와 크라운 롤(11)의 둘레면에 의해서 열융착된다.
이들 롤(10, 11)의 플랫면끼리의 사이에서는, 합성 수지 필름(2)과 부직포(3A, 3B) 각각이 융착하는 일은 없지만, 이들 2, 3A, 3B가 롤(10, 11)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고, 합성 수지 필름(2)이 가열 과정에 있어서 상기 수축률로 열수축을 일으킨다.
제조 공정에서는, 합성 수지 필름(2)과 부직포(3A, 3B) 각각이 열융착됨과 동시에, 이들 롤(10, 11) 사이로부터 배출된 직후에 합성 수지 필름(2)의 열수축에 의해서 열융착부(4) 각각이 길이 방향(X)에 있어서 근접한다. 열융착부(4) 사이에 연장되는 부직포(3A, 3B) 각각은 가열되어도 열수축을 일으키는 일은 없지만, 열융착부(4) 사이의 이격 치수(L3)가 줄어듦으로써, 부직포(3A, 3B) 각각이 합성 수지 필름(2)의 양면으로부터 복합 시트(1)의 두께 방향 바깥쪽(Z1)을 향하여 볼록이 되도록 호를 그린다.
엠보스 롤(10)과 크라운 롤(11) 사이로부터 배출된 복합 시트(1)는 방열에 의해서 냉각되면서, 권취 롤(12)에 권취된다. 권취 롤(12)의 회동 속도는 엠보스 롤(10)과 크라운 롤(11)의 회동 속도보다도 느리기 때문에, 열수축을 일으킨 합성 수지 필름(2)이 권취 롤(12)에 의해서 길이 방향(X)으로 늘어나게 되는 일이 없다. 합성 수지 필름(1)은 냉각됨으로써 열수축이 끝나고, 수축한 채로의 상태가 유지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다른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조 공정은 소정의 속도로 회동하는 엠보스 롤(20)과 초음파 시일 장치(21)와, 롤(20)의 하류에 배치되고, 복합 시트(1)를 과열하는 과열 장치(227), 가열 장치(22)의 하류에 배치되며, 제조된 복합 시트(1)를 권취하는 권취 롤(23)을 갖는다. 권취 롤(23)은 엠보스 롤(20)보다도 조금 느린 속도로 회동하고 있다.
엠보스 롤(20)에는 롤(20) 둘레면에 다수의 볼록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엠보스 롤(20)의 볼록부(20a)는 소정 길이의 간극을 가지고 엠보스 롤(20) 둘레면의 둘레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폭 방향(Y))으로 간헐적으로 연장되며, 볼록부(20a)가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볼록부(20a) 사이의 간극과 병렬하도록 둘레 방향(길이 방향(X))으로 번갈아 나열되어 있다. 초음파 시일 장치(21)의 앤빌(21a)은 롤(20) 둘레면의 볼록부(20a)에 당접한다.
제조 공정에서는, 길이 방향(X)으로 연속하는 합성 수지 필름(2)과, 길이 방향(X)으로 연속하는 부직포(3A, 3B)를, 부직포(3A, 3B) 각각이 합성 수지 필름(2)의 양면에 겹쳐지도록, 엠보스 롤(20)과 초음파 시일 장치(21) 사이에 공급한다. 합성 수지 필름(2)과 부직포(3A, 3B) 각각은, 서로 당접하는 롤(20)의 볼록부(20a)와 초음파 시일 장치(21)의 앤빌(21a)에 의해서 열융착된다.
합성 수지 필름(2)과 부직포(3A, 3B)가 융착된 복합 시트(1)는 과열 장치(22)에 진입한다. 가열 장치(22)에서는 약 100℃∼약 150℃의 열풍이 복합 시트(1)에 분무되고, 가열된 합성 수지 필름(2)이 상기 수축률로 열수축을 일으킨다.
가열 장치(22)에서는, 합성 수지 필름(2)의 열수축에 의해서 열융착부(4) 각각이 길이 방향(X)에 있어서 근접한다. 열융착부(4) 사이에 연장되는 부직포(3A, 3B) 각각은 가열되어도 열수축을 일으키는 일은 없지만, 열융착부(4) 사이의 이격치수(L3)가 줄어듦으로써, 부직포(3A, 3B) 각각이 합성 수지 필름(2)의 양면으로부터 복합 시트(1)의 두께 방향 바깥쪽(Z1)을 향하여 볼록이 되도록 호를 그린다.
가열 장치(22)로부터 배출된 복합 시트(1)는 방열에 의해서 냉각되면서, 권취 롤(23)에 권취된다. 합성 수지 필름(2)은 냉각됨으로써 열수축이 끝나고, 수축한 채로의 상태가 유지된다.
합성 수지 필름(2)은 60℃(± 5℃) 열분위기 내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 열수축률이 3∼18%의 범위에 있다. 열수축률의 바람직한 범위는 5∼13%이다. 합성 수지 필름(2)의 수축률이 3% 미만인 경우에는 합성 수지 필름(2)이 열수축을 일으켜 열융착부(4) 각각의 이격 치수(L3)가 줄어들었다고 해도, 부직포(3A, 3B)가 합성 수지 필름(2)의 두께 방향 바깥쪽(Z1)으로 조금 볼록이 되는 것에 지나지 않아, 복합 시트(1)에 원하는 탄력성을 부여할 수 없다. 수축률이 18%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합성 수지 필름(2)의 열수축에 의해서 열융착부(4) 각각이 근접해 버리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복합 시트(1)에 필요 이상의 열융착부(4)가 형성되게 되고, 복합 시트(1)의 유연성이 저하해 버린다.
합성 수지 필름(2)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3A, 3B)에는 합성 수지 필름(2)과 동일 조성의 폴리에틸렌 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펀 본드, 스펀 레이스, 니들 펀치, 멜트 블론, 서멀 본드, 케미컬 본드 등의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3A, 3B)의 구성 섬유로는, 합성 수지 필름(2)과 동일 조성의 폴리에틸렌이 외장이 되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가 코어가 되는 코어 외장형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합성 수지 필름(2)과 부직포(3A, 3B)에 동일 조성의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들 2, 3A, 3B의 융점이 동일하게 되고, 이들 2, 3A, 3B의 열융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합성 수지 필름(2)으로는 블록 중합 폴리프로필렌, 랜덤 중합 폴리프로필렌, 호모 중합 폴리프로필렌,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합성 수지 필름(2)이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부직포(3A, 3B)로는, 합성 수지 필름(2)과 동일 조성의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복합 시트(1)에서는, 융착부(4)가 복합 시트(1)의 폭 방향(Y)으로 간헐적으로 연장되는 것 외에, 융착부(4)가 복합 시트(1)의 폭 방향(Y)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복합 시트(1)는 수술용 외의나 환자용 외의, 환자용 잠옷 등의 일회용 착용 물품에 사용하는 데 적합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일회용 기저귀나 기저귀 커버, 트레이닝 팬츠, 실금자용 팬츠 등의 이면 시트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 액체 불투과성 복합 시트는 60℃(± 5℃) 열분위기 내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 3∼18%의 열수축률을 갖는 가요성이면서 통기 액체 불투과성인 합성 수지 필름과, 합성 수지 필름의 양면에 겹쳐지는 열융착성 부직포로 형성되고, 열융착부 사이에 연장되는 부직포 각각이 합성 수지 필름의 양면으로부터 복합 시트의 두께 방향 바깥쪽으로 볼록이 되도록 호를 그리고 있다. 복합 시트는그 두께 방향 안쪽을 향하여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열융착부 사이에 연장되는 부직포 각각이 압력에 대항하면서 압축 변형을 일으키지만, 압력이 해제되면 부직포 각각이 다시 합성 수지 필름의 양면으로부터 복합 시트의 두께 방향 바깥쪽으로 볼록이 되는 탄력성을 갖는다
복합 시트는 길이 방향의 강연도가 40∼70 mm의 범위, 융착부를 제외한 부위에 있어서의 압축 탄성율이 70∼95%의 범위에 있고, 복합 시트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 필름의 평량이 0.098∼0.392 N/㎡, 부직포의 평량이 0.049∼0.294 N/㎡의 범위에 있기 때문에, 복합 시트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는 일이 없고, 우수한 탄력성과 유연성을 갖는다.

Claims (4)

  1. 가요성이면서 통기 액체 불투과성인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과 상기 합성 수지 필름의 양면에 겹쳐지는 열융착성 섬유 부직포로 구성되고, 상기 합성 수지 필름과 상기 섬유 부직포가 엠보스 롤을 포함하는 열처리 공정을 거쳐 서로 열융착된 통기 액체 불투과성 복합 시트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 필름은 평량이 0.098∼0.392 N/㎡, 60℃(± 5℃) 열분위기 내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 열수축률이 3∼18%의 범위, 상기 부직포는 평량이 0.049∼0.294 N/㎡의 범위에 있고, 상기 복합 시트에는 상기 복합 시트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폭 방향과 교차하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해서 나열되는 다수의 열융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열융착부 사이에 연장되는 상기 섬유 부직포 각각이, 상기 합성 수지 필름의 양면으로부터 상기 복합 시트의 두께 방향 바깥쪽으로 볼록이 되도록 호를 그리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액체 불투과성 복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부 각각이, 소정 길이의 간극을 가지고 상기 폭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열융착부의 폭 방향의 길이와 상기 간극의 폭 방향의 길이가, 열융착부 길이 > 간극 길이의 관계에 있고, 한 쪽의 상기 열융착부에 있어서의 간극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쪽의 상기 열융착부와 병렬하도록, 인접하는 상기 열융착부에서는 상기 열융착부와 상기 간극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복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캔틸레버법에 의한 상기 복합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강연도가 40∼70 mm의 범위에 있는 복합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를 제외한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복합 시트의 압축 탄성율이 70∼95%의 범위에 있는 복합 시트.
KR1020010024791A 2000-05-09 2001-05-08 통기성을 가진 액체 불투과성 복합 시트 KR200101062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35981 2000-05-09
JP2000135981A JP2001315268A (ja) 2000-05-09 2000-05-09 通気不透液性複合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216A true KR20010106216A (ko) 2001-11-29

Family

ID=18643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791A KR20010106216A (ko) 2000-05-09 2001-05-08 통기성을 가진 액체 불투과성 복합 시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10041248A1 (ko)
EP (1) EP1153737A3 (ko)
JP (1) JP2001315268A (ko)
KR (1) KR20010106216A (ko)
CN (1) CN1322869A (ko)
AU (1) AU3510901A (ko)
BR (1) BR0101924A (ko)
CA (1) CA2343636A1 (ko)
ID (1) ID30196A (ko)
SG (1) SG852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9169B2 (en) 2001-06-08 2011-04-05 Sca Hygiene Products Ab Laminate made of fibrous layers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SE0102035L (sv) * 2001-06-08 2002-12-09 Sca Hygiene Prod Ab Laminat av fibrösa skikt
JP4443854B2 (ja) * 2003-04-28 2010-03-31 株式会社クラレ 透湿性エラストマーシート
US20040224596A1 (en) * 2003-05-09 2004-11-11 Mathis Michael P. Nonwoven breathable composite barrier fabric
JP4430338B2 (ja) * 2003-05-27 2010-03-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50124242A1 (en) * 2003-12-03 2005-06-09 Jean Norvell Novel polymer films and textile laminates containing such polymer films
DE102004024042A1 (de) * 2004-05-07 2005-11-24 Paul Hartmann Ag Vlies-/Folienlaminat
JP2006263447A (ja) * 2005-02-25 2006-10-05 Toray Ind Inc 移動用シート及び移動用シートセット
JP4517888B2 (ja) * 2005-02-25 2010-08-04 東レ株式会社 移動用シート
US7323072B2 (en) * 2005-04-27 2008-01-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roll bonding and aperturing
FR2893036B1 (fr) * 2005-11-08 2008-03-14 Aplix Sa Stratifie non tisse-elastomere-non tisse
US8603281B2 (en) * 2008-06-30 2013-12-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composite containing a low strength and lightweight nonwoven facing
US8679992B2 (en) * 2008-06-30 2014-03-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composite formed from multiple laminate structures
JP5139193B2 (ja) * 2008-07-31 2013-02-06 弘子 吉本 機能性シート
US20100199406A1 (en) 2009-02-06 2010-08-12 Nike, Inc. Thermoplastic Non-Woven Textile Elements
US20100199520A1 (en) * 2009-02-06 2010-08-12 Nike, Inc. Textured Thermoplastic Non-Woven Elements
US9682512B2 (en) 2009-02-06 2017-06-20 Nike, Inc. Methods of joining textiles and other elements incorporating a thermoplastic polymer material
JP5452949B2 (ja) * 2009-02-24 2014-03-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ロール状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ロール状シートの製造装置
JP5606778B2 (ja) * 2010-04-22 2014-10-15 大倉工業株式会社 手術用資材
CN101983865A (zh) * 2010-08-31 2011-03-09 东莞市挚爱内衣有限公司 一种基于热熔胶无纺布复合的生产工艺
US9179783B2 (en) 2010-12-06 2015-11-10 Snell R&D, Llc Bed bug protection device
US20140144171A1 (en) * 2011-06-30 2014-05-29 Bha Altair, Llc Method of Wetting Evaporative Cooler Media Through a Fabric Distribution Layer
JP5651806B2 (ja) 2012-03-07 2015-01-14 豊田鉄工株式会社 重ね合わせ複合部品
EP2998109B1 (en) 2013-05-15 2018-12-05 Toyoda Iron Works Co., Ltd. Multilayer composite interior component
US9744083B2 (en) * 2013-10-04 2017-08-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ertured outer cover for absorbent articles
CN109023709A (zh) * 2018-07-24 2018-12-18 浙江金三发非织造布有限公司 一种弹性超柔纺粘无纺布
WO2020152863A1 (ja) * 2019-01-25 2020-07-30 三井化学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スパンボンド不織布の製造方法、エンボスロール
JP7257948B2 (ja) * 2019-12-27 2023-04-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積層不織布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5062A (en) * 1971-07-21 1973-08-28 Grace W R & Co Fabric formed by heat sealing, shrinking and foaming backing
US4781966A (en) * 1986-10-15 1988-11-01 Kimberly-Clark Corporation Spunlaced polyester-meltblown polyetherester laminate
EP0327402A3 (en) * 1988-02-05 1990-10-10 Tonen Chemical Corporation Gas-permeable, waterproof composite sheet
CA2116081C (en) * 1993-12-17 2005-07-26 Ann Louise Mccormack Breathable, cloth-like film/nonwoven composite
US5814178A (en) * 1995-06-30 1998-09-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king a bulked fabric laminate
TW343148B (en) * 1996-03-19 1998-10-21 Kao Corp Composite sheet, absorbent 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6037281A (en) * 1996-12-27 2000-03-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oth-like, liquid-impervious, breathable composite barrier fabric
JPH10295724A (ja) * 1997-04-25 1998-11-10 Uni Charm Corp 体液処理用吸収性物品
US5883028A (en) * 1997-05-30 1999-03-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elastic film/nonwoven laminate
US6610163B1 (en) * 1997-12-17 2003-08-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nhanced barrier film and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2869A (zh) 2001-11-21
BR0101924A (pt) 2002-07-16
JP2001315268A (ja) 2001-11-13
EP1153737A2 (en) 2001-11-14
SG85237A1 (en) 2001-12-19
US20010041248A1 (en) 2001-11-15
EP1153737A3 (en) 2002-08-21
AU3510901A (en) 2001-11-15
ID30196A (id) 2001-11-15
CA2343636A1 (en) 200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6216A (ko) 통기성을 가진 액체 불투과성 복합 시트
JP5538943B2 (ja) 不織布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96223B1 (ko) 연속 필라멘트를 갖는 표면층을 이용한 흡수성 물품 및 그제조 방법
JP3625804B2 (ja) 立体シート材料
EP0687757B1 (en) Thermally apertured nonwoven product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KR100249640B1 (ko) 벌크한 신장 필로우형 라미네이트
JP2003507585A (ja) 非対称接合構造を有する改良不織布
JP3865534B2 (ja) 弾性伸縮性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JP3886400B2 (ja)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JPH056508B2 (ko)
JP3794903B2 (ja) 弾性伸縮性複合シート
JP4535771B2 (ja) 複合伸縮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MXPA02006767A (es) Materiales no tejidos de estructura regular, metodo para su produccion y su uso.
JP4322140B2 (ja) 複合伸縮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00460A (ja) 伸縮性複合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14876B2 (ja) 潜在捲縮性繊維
JP4282428B2 (ja) 複合シート
JP3883460B2 (ja) 立体シート
JP2008144321A (ja) 不織布
JP4212526B2 (ja) 立体シート材料
RU2659888C2 (ru) Одн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типа трусов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EP3452281B1 (en) Multilayer material comprising at least a layer of non-woven fabric
JP2003306859A (ja) 立体シート形成用の積層繊維集合体及び立体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7191829A (ja) 伸縮性不織布の製造方法
JP4976953B2 (ja) 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