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3698A - 가요성기판용 단자접속장치 - Google Patents

가요성기판용 단자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3698A
KR20010103698A KR1020010025472A KR20010025472A KR20010103698A KR 20010103698 A KR20010103698 A KR 20010103698A KR 1020010025472 A KR1020010025472 A KR 1020010025472A KR 20010025472 A KR20010025472 A KR 20010025472A KR 20010103698 A KR20010103698 A KR 20010103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connecting device
flexible substrate
substrat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2211B1 (ko
Inventor
사토쿠니히로
Original Assignee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찌다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20010103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2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5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bstract

가요성기판은, 단자접속장치의 고정핀을 가요성기판의 관련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단자접속장치에 부착된다. 단자접속장치는 고정 본체에 의해 외부기판의 홈에 부착됨과 동시에,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는 외부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단자접속장치에는,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가 외부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에 눌려 신호 입출력단자들간의 접속을 형성하도록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를 외부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에 압압하는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수지스프링이 제공된다. 상기 구성으로, 외부기판과 가요성기판간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가요성기판용 단자접속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를 제거함으로써 외부기판의 크기와 무게 및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가요성기판용 단자접속장치{TERMINAL CONNECTING DEVICE FOR FLEXIBLE SUBSTRATE}
본 발명은,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를 외부기판의 신호입출력단자에 용이하고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한 단자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점점 더 소형화 및 경량화되는 휴대전화, 비디오 카메라 및 다른 전자기기에는 많은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대부분의 부품은 기판에 설치된다. 기판간에 전기 신호용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복잡한 배선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가볍기 때문에 가요성기판이 대부분 사용된다. 가요성기판을 외부기판에 접속하는 종래의 일부 방법들을 이하 설명한다.
(1) 가요성기판은, 가요성기판의 단부 또는 내부에, 납땜으로 외부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에 고정된 신호 입출력단자를 포함한다.
(2)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입출력단자(52)는 가요성기판(51)의 단부에 제공된다. 단자(52)들은 외부기판(54)상의 커넥터(55)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97-22760호(공개일; 1997.1.21)는, 가요성기판(61)의 신호입출력단자(62)가 도6에 도시된 외부기판(65)에 콘택트 핀(contact pin)(64)을 갖는 커넥터(63)에 접촉하여 전기적인 도전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가요성기판(61)에는, 커넥터(63)의 결합편(engagement claw)(63a)이 가요성기판(61)과 커넥터(63)에서 맞물려 고정되는 결합구멍(61a)이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다음과 문제를 수반한다.
방법(1)에서, 납땜은 필수적이다. 또한, 납땜 전에, 가요성기판은 외부기판에 대해 정확히 위치되어야 한다. 최근에 널리 사용되는 가요성기판에서, 신호 입출력단자들은 이들간에 너무 좁은 간격을 가지므로 약간의 위치변동으로도 인접 단자와 단락 회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위치설정에 극도의 신중함이 요구되며, 이로 인해 작업효율이 감소된다. 또한, 납땜 작업을 위한 공간과 함께 땜납 및 납땜인두가 필요하다. 가요성기판은,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고 불량부분을 교체하기 위해 제거되어야만 한다. 최악의 경우, 가요성기판은 물론, 외부기판도 재사용될 수 없다.
방법(2)에 의하면, 납땜이 필요 없다. 이에 대한 준비도 작업 공간도 필요하지 않다. 외부기판과 상기 기판은 재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55)는 외부기판(54)에 미리 설치되어야만 하며 외부기판(54)의 일부는 커넥터(55)를 부착하기 위해 미리 비워두어야 한다. 또한, 전형적으로, 가요성기판용 커넥터(55)는 가요성기판(51)이 신호입출력단자(52)의 배면에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요구한다; 가요성기판을 보강하기 위해, 예컨대, 수지 판재(53)가 부착될 필요가 있다. 판재(53)를 부착하기 위한 위치설정과 결합 작업에 필요한 부가적인 노동과 재료에 의해 비용은 증가한다.
방법(3)에 의하면, 방법(2)과 유사하게, 어떠한 납땜도 필요하지 않다. 이에 대한 준비도 작업 공간도 필요하지 않다. 외부기판과 상기 기판은 재사용될 수 있다. 가요성기판(61)을 보강하기 위한 판재를 부착시킬 필요가 없다. 그러나, (2)와 유사하게, 콘택트 핀(64)을 가진 커넥터(63)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기판(65)에 미리 설치될 필요가 있으며, 외부기판(65)의 일부는 커넥터(63)를 부착하기 위해 미리 비워두어야 한다. 이로 인해, 외부기판(65)의 크기는 증가한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가요성기판의 단자를 외부기판의 단자에 용이하고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한 단자접속장치를 제공하여, 커넥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써 외부기판의 크기를 줄이고 염가로 기판을 제조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기판의 단자접속장치는,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가 제공된 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를 외부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에 압압함으로써, 배선패턴이 제공되는 필름과 같은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를 외부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에 접속하는 압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압압수단은,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가 제공된 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를 눌러,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와 외부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간에 접속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가요성기판과 외부기판간에 전기적인 도전 경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 첨부도면과 결부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자접속장치 및 상기 장치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외부기판과 가요성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단자접속장치의 수지스프링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단자접속장치에 부착되는 가요성기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결합부품에 부가적으로 부착되는 외부기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종래의 가요성기판을 외부기판에 접속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종래의 가요성기판을 외부기판에 접속하는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 내지 4를 참조하여, 이하 액정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자접속장치(4) 및 이와 관련된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액정패널(1)은 가요성기판(2)에 접속된다. 액정모듈을 구동하는 전자부품이 가요성기판(2)에 제공된다.
가요성기판(2)은 필름 형태로 구성되며 배선패턴(도시 안됨)이 제공된다. 신호 입출력단자(3)는 가요성기판(2)에서 전술한 전자 부품들과 동일면에 나란히 제공된다. 구멍(2a,2b)은 단자(3) 주변에 제공된다.
제1 구멍(2a)은 신호 입출력단자(3)보다 가요성기판(2)의 중앙에 보다 가까이 위치한다. 제2 구멍(2b)은 신호 입출력단자(3)보다 가요성기판(2)의 단부에 보다 가까이 위치한다. 각각의 구멍(2a)은 고정핀(4d)(추후 상술함)의 두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지만, 두부가 삽입될 수 있는 노치(notch)(2c)를 가진다.
각각의 구멍(2b)은, 가요성기판(2)이 단자접속장치(4)에 부착될 때 수지스프링(압압수단, 탄성체)(4b)(추후 상술함)의 세로 방향, 즉 수지스프링(4b)의 고정단에서 자유단으로의 방향에 평행인 주축과 함께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외부기판(5)은 각각의 측면에 장방형의 홈(recess)(5a)을 가지며, 가요성기판(2)의 신호 입출력단자(3)의 수와 일치하는 수의 신호 입출력단자(6)가 제공된다.
단자접속장치(4)는 수지로 구성되며, 고정 본체(고정체)(4c)가 제공되지 않는 지지 기부인 기부(base section)(4a)의 단부 근처에 수지스프링(4b)이 제공된다. 각각의 수지스프링(4b)은 가요성기판(2)의 관련된 신호 입출력단자(3)의 배면에 접촉하도록 위치한다. 수지스프링(4b)의 수는 가요성기판(2)의 신호 입출력단자(3) 수와 일치한다. 수지스프링(4b)은 탄성을 가지며, 응력에 의해 스프링처럼 동작한다. 수지스프링(4b)은 상기 형태를 가지므로, 응력이 상부로부터 적용될 때, 탄성에 의해 하방으로 변형된다.
기부(4a)는, 측면을 따라 기부(4a)에 거의 수직으로 서 있는 고정 본체(4c)를 포함한다. 각각의 고정 본체(4c)는 홈(5a)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며 홈(5a)을 밀어내어 외부기판(5) 상면의 홈(5a) 근처에서 정지하는 클로(claw) 구조로 상부를 구성한다. 상기 클로 구조는, 고정 본체(4c)를 홈(5a)에 맞물릴 때 고정 본체의 두부가 홈(5a)에서 부드럽게 미끄러지도록 경사면을 갖는다.
수지스프링(4b)의 근처에는 제1 고정부재(제1 축상부재)(軸狀部材)인 고정핀(4d)과 제2 고정부재(제2 축상부재)인 고정핀(4e)이 제공된다. 축상부재인 각각의 고정핀(4d,4e)은 축상부분과 두부로 구성된다; 두부는 축상부분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예컨대, 구형이다. 고정핀(4d)은 고정단 부근의 수지스프링(4b)의 측면에서 소정의 위치에 있는 반면, 고정핀(4e)은 자유단 부근의 수지스프링(4b) 측면에서 소정의 위치에 있다. 구멍(2a,2b) 및 고정핀(4d,4e)은, 가요성기판(2)을 단자접속장치(4)에 부착시키기 위한 위치설정 목적으로 제공된다.
이하, 수지스프링(4b)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지스프링(4b)은 아치모양으로 되어 볼록형을 이룬다. 수지스프링(4b)은 단부의 한 쪽(고정단)에서 기부(4a) 중앙 부근의 기부(4a) 쪽으로 고정되며, 타단(자유단)에서 기부(4a) 위에 떠있다. 상기 구조에 의해, 수지스프링(4b)은 사실상 아치형을 이룬다. 가요성기판(2)은 수지스프링(4b)의 모양에 따라 변형되며 외부기판(5)을 수직으로 밀어 올려, 수지스프링(4b)으로부터의 응력을 외부기판(5)의 신호 입출력단자(6)에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수지스프링(4b)은, 고정단에서 두께가 가장 크고 자유단 쪽으로 끝이 점점 가늘어지며, 상부면에 아치형 프레스 험프(hump)(7)가 제공된다. 프레스 험프(7)가 가요성기판(2)과 접촉하는 면적은 보다 작아지므로, 가요성기판(2)은 점점 더 강한 힘으로 외부기판(5)에 눌리고, 따라서 가요성기판(2)의 신호 입출력단자(3)와 외부기판(5)의 신호 입출력단자(6)간에 전기적인 도전 경로가 보다 확실히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요성기판(2)은 고정핀(4d,4e)에 의해 수지스프링(4b)의 모양에 따라 본래의 위치에서 단자접속장치(4)에 부착된다. 가요성기판(2)에 부착할 때, 고정핀(4d)의 두부는 구멍(2a)의 노치(2c)를 팽창시키며, 따라서 고정핀(4d)은 구멍(2a)을 통과할 수 있다. 두부는, 일단 밀린 후, 고정핀(4d)을 고정시키며, 고정핀(4d)이 구멍(2a)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한다. 구멍(2b)이 타원형이므로, 고정핀(4e)은 노치없이 구멍(2b)을 통과할 수 있다. 고정핀(4e)의 두부는, 고정핀(4d)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요성기판(2)을 고정시킨다.
액정패널(1)은 뒤집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접속장치(4)의 하면에 위치한다. 가요성기판(2)은 수지스프링(4b)에 의해 신호 입출력단자(3)에서 밀어 올려진다. 상기 조건에서, 수지스프링(4b)은, 단자접속장치(4)가 외부기판(5)에 부착될 때 외부기판(5)의 표면을 나타내는 선(31)위로 밀어 올려진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접속장치(4)는 고정 본체(4c)에 의해 외부기판(5)에 부착된다. 상기 조건에서, 수지스프링(4b)은 외부기판(5)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수지스프링(4b)의 탄성변형으로부터 발생하는 반발력으로 인해, 가요성기판(2)의 신호 입출력단자(3)들이 접촉하고, 따라서 외부기판(5)에 제공된 신호 입출력단자(6)에 전기적인 도전 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외부기판(5)으로 또는 외부기판(5)으로부터의 전기적인 신호의 경로가 제공된다.
단자접속장치(4)를 외부기판(5)에 부착시킬 때, 수지스프링(4b)은 외부기판(5)에 의해 눌려 탄성 변형하여 자유단이 고정핀(4e) 쪽으로 이동한다. 구멍(2b)은 타원형이므로, 따라서 상기 구멍(2b)에 의해 가요성기판(2)의 에지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4e)은 구멍(2b)으로부터 빠지지 않으며, 이로써 가요성기판(2)은 외부기판(5)에 눌려진다.
또한, 홈(5a)은 외부기판(5)에 형성되어 위치설정을 돕는다. 이에 의해, 단자접속장치(4)의 위치설정은 보다 용이해지며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한 변동은 거의 없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조립 공정을 설명한다.
우선, 단자접속장치(4)의 고정핀(4d)은 기판(2)의 구멍(2a)에 삽입되며, 단자접속장치(4)의 고정핀(4e)은 가요성기판(2)의 구멍(2b)에 삽입된다.
다음, 가요성기판(2)은 단자접속장치(4)의 저면에 액정패널(1)이 위치하도록 접혀진다. 다음, 고정 본체(4c)는 단자접속장치(4)를 외부기판(5)에 부착시키기 위해 홈(5a)에 결합된다. 따라서, 가요성기판(2)의 신호 입출력단자(3)는 수지스프링(4b)과 프레스 험프(7)에 의해 외부기판(5)의 신호 입출력단자(6)에 눌러진다. 상기 방법으로, 조립공정에서, 가요성기판(2)이 받는 모든 힘은 수직적이다.
부품을 교환할 필요가 있을 때, 조립 작업의 반대 순서로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부재는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다. 상기 분해작업은 복잡하지 않으며 부품에 손상을 줄 가능성도 거의 없다. 단자접속장치(4)가 외부기판(5)으로부터 제거될 때, 수지스피링(4b)은 본래 형태로 되돌아가며 따라서 재사용될 수 있다. 납땜되거나 커넥터에 삽입되지 않는 가요성기판(2)은, 제거시 손상될 가능성이 거의 없으며, 잘 동작한다면 재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단자접속장치(4)에는, 신호 입출력단자(3)의 배면 상에서 가요성기판(2)을 압압하는 수지스프링(4b)이 제공된다; 따라서, 신호 입출력단자(3)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등이 외부기판(5)상에 제공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외부기판(5)의 크기는 감소한다. 가요성기판(2)을 단자접속장치(4)에 고정하는 고정핀(4d,4e)과 구멍(2a,2b)은 가요성기판(2)이 수지스프링(4b) 상부로 솟아오르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예컨대, 장치내에 가요성기판의 탑재 또는 설치시 기기간의 접촉이 일어날 가능성이 없으므로, 가요성기판(2)은 보호된다.
본 실시예는 액정패널(1)을 가요성기판(2)에 접속하는 단자접속장치(4)를 예로 들어 기술되었다. 그러나, 상기 단자접속장치(4)는 다른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기판은 그 위에 제공되는 전자부품을 가진 기판이었다; 이와 달리, 상기 가요성기판은, 그 위에 제공된 전자부품이 없는 기판 및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s)(TCP)를 포함하여, 다른 종류의 기판일 수도 있다. 고정핀(4d,4e)과 구멍(2a,2b) 수는 가요성기판(2) 및 단자접속장치(4)의 크기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모든 수지스프링(4b)은 기부(4a)상의 단일 어레이로 나란히 배열되었다; 이와 달리, 수지스프링(4b)은 2개의 어레이로 그룹을 이룰 수 있다. 상기의 경우, 가요성기판(2)의 신호 입출력단자(3)와 외부기판(5)의 신호 입출력단자(6)는 수지스프링(4b)에 따라 구성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기판용 단자접속장치는, 배선패턴이 제공된 필름과 같은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를 외부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에 접속하며,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가 제공되는 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를 외부기판의 신호입출력단자에 압압하기 위한 압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압압수단은,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가 제공되는 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를 눌러,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와 외부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간의 접속을 형성한다. 따라서, 가요성기판과 외부기판간에 전기적인 도전 경로가 형성된다. 외부기판상에 상기 신호 입출력단자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등을 더 이상 제공할 필요는 없다. 이에 의해, 외부기판은 소형화 및 경량화된다.
또한, 가요성기판용 단자접속장치에서,
압압수단은 외부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 수에 따라 복수의 부위로 분리되어 스프링으로서 동작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스프링으로서 동작하는 탄성체는 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 수에 따라 복수의 부위로 분리된다. 따라서, 각각 분리된 탄성체 부위는 가요성기판의 관련된 신호 입출력단자를 압압한다. 단일 탄성체와 비교할 때, 분리된 탄성체는 각각의 신호 입출력단자에 보다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압력을 가한다.
또한, 가요성기판용 단자접속장치는,
탄성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기부; 및
상기 지지 기부가 자유롭게 외부기판에 부착되거나 외부기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부를 외부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탄성체의 지지 기부에는, 상기 지지 기부가 자유롭게 외부기판에 부착되거나 외부기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지지 기부를 외부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본체가 제공된다. 따라서, 가요성기판용 단자접속장치는 외부기판에 접속될 수 있음과 동시에,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는 외부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에 접속될 수 있다.
이로써, 가요성기판과 외부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들의 접속이 용이해진다.
또한, 가요성기판용 단자접속장치에서,
상기 탄성체는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는 자유단과 지지 기부에 고정된 고정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탄성체는 자유단과 고정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외부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와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의 접촉점에서 탄성체의 신호 입출력단자로부터 외부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로 응력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따라서, 가요성기판에 보다 효율적으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가요성기판용 단자접속장치에서,
상기 탄성체는 가요성기판과 접촉하는 험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스프링으로서 동작하는 탄성체는 가요성기판과 접촉하기 위한 험프를 가진다. 이로써, 탄성체는 감소된 면적으로 가요성기판과 접촉한다. 험프를 가진 탄성체는, 험프가 없는 탄성체와 비교할 때, 보다 강한 힘으로 가요성기판을 외부기판에 압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신호 입출력단자들간의 접속을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기판용 단자접속장치는, 고정단 부근의 소정의 위치에 가요성기판을 지지 기부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부재; 및
자유단 부근의 소정의 위치에 가요성기판을 지지 기부에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가요성기판은, 고정단 근처의 제1 고정부재 및 자유단 근처의 제2 고정부재에 의해 지지 기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가요성기판이 고정단과 자유단 근처에서 솟아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예컨대, 장치내에 가요성기판의 탑재 또는 설치시 기기간의 접촉이 일어날 가능성이 없으므로, 가요성기판은 보호된다. 또한, 가요성기판이 하우징(housing)에 대해 조금이라도 이동하면, 단자들은 인접한 것과 단락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 가요성기판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므로 더 이상 위치설정의 필요성이 없으며, 작업효율은 개선된다.
가요성기판용 단자접속장치에서,
제2 고정부재는, 가요성기판이 고정단에서 자유단 방향으로 평행한 종축 측에 위치하도록 가요성기판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축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축상부재를 포함하는 제2 고정부재는 가요성기판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한다. 따라서, 자유단 부근에서 탄성체의 변형에 의한 가요성기판의 운동은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으며, 이로써 가요성기판은 제 자리에 확실히 고정된다. 따라서, 위치조정이 필요 없으므로, 작업효율은 개선된다.
가요성기판용 단자접속장치에서,
탄성체는 탄성체 지지용 지지 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탄성체는 지지 기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와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의 접촉점에서 응력이 효율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를 지지 기부에 결합시키에 위해 용접재와 같은 재료 및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재료 및 부품 비용이 절감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동일한 방식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며,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모든 변경은 청구항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3)

  1.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가 제공된 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를 외부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에 압압함으로써, 배선패턴이 제공되는 필름형 가요성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를 외부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압압수단을 포함하는, 가요성기판용 단자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수단은 스프링으로서 동작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외부기판의 신호 입출력단자 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단자접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기부; 및
    상기 지지 기부가 자유롭게 외부기판에 부착되거나 외부기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부를 외부기판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고정 본체를 더 포함하는, 단자접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본체는 그의 단부에 경사면을 갖는, 단자접속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는 자유단과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기부에 고정된 고정단을 포함하는, 단자접속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 부근의 소정의 위치에 가요성기판을 지지 기부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자유단 부근의 소정의 위치에 가요성기판을 지지 기부에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단자접속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가요성기판의 노치를 따라 형성된 제1 구멍을 관통하는 제1 축상부재를 포함하는, 단자접속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상부재는 원통형의 축상부분 및 상기 축상부분보다 큰 직경을 갖는 두부를 포함하는, 단자접속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는 제1 구멍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단자접속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가요성기판이 고정단에서 자유단으로의 방향에 대해 평행한 그의 길이방향 측에 위치하도록 가요성기판내에 형성된 제2 구멍을 관통하는 제2 축상부재를 포함하는, 단자접속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상부재는 원통형의 축상부분과 상기 축상부분보다 큰 직경을 갖는 두부를 포함하는, 단자접속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가요성기판과 접촉하는 험프를 포함하는, 단자접속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단자접속장치.
KR10-2001-0025472A 2000-05-10 2001-05-10 가요성기판용 단자접속장치 KR100402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37715A JP3741934B2 (ja) 2000-05-10 2000-05-10 フレキシブル基板の端子接続装置
JP2000-137715 2000-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698A true KR20010103698A (ko) 2001-11-23
KR100402211B1 KR100402211B1 (ko) 2003-10-17

Family

ID=18645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472A KR100402211B1 (ko) 2000-05-10 2001-05-10 가요성기판용 단자접속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14089B2 (ko)
EP (1) EP1154524B1 (ko)
JP (1) JP3741934B2 (ko)
KR (1) KR100402211B1 (ko)
DE (1) DE60131114T2 (ko)
TW (1) TW48811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619B1 (ko) * 2006-02-27 2008-03-24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기판에 장착되는 단자 구조
KR101014175B1 (ko) * 2003-11-04 2011-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전송유닛, 이를 갖는 신호처리모듈 및 이를 갖는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3717A1 (en) * 2002-08-13 2004-02-19 Fred Peng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electrically a flexible printed board to a circuit board
DE10250933B3 (de) 2002-10-31 2004-08-12 Fci Verbinderanordnung zwischen einem Flex-Flachbandkabel und einer elektrischen Leiterplatte
JP2005011533A (ja) * 2003-04-24 2005-01-13 D D K Ltd コネクタ
US7238032B2 (en) 2003-10-29 2007-07-03 Fci Connector arrangement between a flat flex cable and a component
US6926537B1 (en) 2004-06-21 2005-08-09 Amphenol Corporation Interposer assembly
JP2007207300A (ja) * 2006-01-31 2007-08-16 Toshiba Corp ディスク装置
JP4690224B2 (ja) * 2006-02-28 2011-06-01 アイコム株式会社 回路基板
JP4767762B2 (ja) * 2006-06-06 2011-09-0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263872B2 (en) * 2008-02-21 2012-09-11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flex circuit to a printed circuit board
US7544066B1 (en) * 2008-03-10 2009-06-09 Apple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flexible interconnect
US8430684B1 (en) * 2011-08-04 2013-04-30 George F. Glatts, III Ribbon cable connector
DE102013009309A1 (de) * 2013-06-04 2014-12-04 Johnson Electric Germany GmbH & Co. KG Elektrische Schaltungsanordnung mit zumindest einem flexiblen Flächenelement
US9357654B2 (en) * 2014-03-03 2016-05-31 Apple Inc. Low-profile plug with cam and flexible circuit board
FR3020723B1 (fr) * 2014-05-02 2017-12-15 Krier Dispositif de connexion electrique par pression et procede d'assemblage d'un tel dispositif
US9692147B1 (en) 2015-12-22 2017-06-27 Intel Corporation Small form factor sockets and connecto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3800A (en) * 1984-08-20 1986-04-22 Advanced Circuit Technology, Inc. Self-aligning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JPH0597063U (ja) 1991-04-15 1993-12-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2913151B2 (ja) * 1995-03-30 1999-06-28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端子部接続構造
JPH0922760A (ja) 1995-07-04 1997-01-21 Oki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におけるfpcと基板の接続構造
EP0979542B1 (en) 1996-06-28 2003-03-26 Synapse Technologies, INC. Button and dovetail connector actuation mechanism
US5707241A (en) * 1996-07-01 1998-01-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Slide locking connector
US5730619A (en) 1996-07-01 1998-03-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Externally locked connector
JP2000277885A (ja) * 1999-03-25 2000-10-06 Berg Technol Inc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175B1 (ko) * 2003-11-04 2011-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전송유닛, 이를 갖는 신호처리모듈 및 이를 갖는표시장치
KR100816619B1 (ko) * 2006-02-27 2008-03-24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기판에 장착되는 단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54524A1 (en) 2001-11-14
US20010041464A1 (en) 2001-11-15
DE60131114T2 (de) 2008-08-07
TW488113B (en) 2002-05-21
JP2001320143A (ja) 2001-11-16
DE60131114D1 (de) 2007-12-13
US6514089B2 (en) 2003-02-04
EP1154524B1 (en) 2007-10-31
JP3741934B2 (ja) 2006-02-01
KR100402211B1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211B1 (ko) 가요성기판용 단자접속장치
KR20020018082A (ko) 표시 모듈과 프린트 기판의 접속 구조 및 반도체 장치,표시 모듈 및 전자 부품
JP2006310140A (ja) コネクタ
US5066235A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US6835071B2 (en) Elastomeric connector interconnecting flexible circuits an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973874B2 (en) Flat panel display and backlight module thereof
US7361060B2 (en) Connector with bifurcated conductor
US7153144B2 (en) Module connector
US689956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holddown for ground connection
EP1385233B1 (en) Press-contact type connector for cellular phones and connecting structure therefor
US6969263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050148238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303874B1 (en) Electronic parts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EP0409640B1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JP2003051562A (ja) 半導体装置
JP4600141B2 (ja) コネクタを備えたfpcの製造方法
KR20040017319A (ko) 전자 구성 요소 어셈블리
JP6511101B2 (ja) 電子機器
US6798721B2 (en) Electronic timepiece
KR20220057412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 및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20050105637A (ko) 이종 기판으로 이루어진 모듈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0144931Y1 (ko)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
JP2001068183A (ja) 端子間接続構造
JPH0870193A (ja) 電子機器の電気的接続構造
KR20050019750A (ko) 전기 접속 장치 및 전기 접속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