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931Y1 -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931Y1
KR200144931Y1 KR2019960025777U KR19960025777U KR200144931Y1 KR 200144931 Y1 KR200144931 Y1 KR 200144931Y1 KR 2019960025777 U KR2019960025777 U KR 2019960025777U KR 19960025777 U KR19960025777 U KR 19960025777U KR 200144931 Y1 KR200144931 Y1 KR 200144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charging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charg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5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2236U (ko
Inventor
강성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25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931Y1/ko
Publication of KR199800122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22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931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에 관한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과 충전용 접속단자를 결합할 시에 나사의 체결과 더불어 납땜을 하여 불안정요소를 제거함으로서 제품의 충전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충전용 접속단자의 상측으로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에 형성된 동박영역을 형성하여 납땜하여 고정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충전용 접속단자를 상하에서 지지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조립하여 접시머리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가 충격이나 진동등에 의해 나사가 풀린다 할지라도 충전용 접속단자가 인쇄회로기판과 납땜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있어 충전불안정을 해소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충전시에 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에 저항할 수 있는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에 관한것이다.
도 1a, 도 1b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는 구멍을 갖는 보스(31)가 형성된 케이스(30)에 동박영역(A)이 상면에 형성된 인쇄회로기판(20)을 조립하고, 이어서 직각으로 여러번 절곡진 충전용 접속단자(10)의 일측을 상기 동박영역(A)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나사(40:taptite screw)로 전체를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20)과 접속단자(10)의 일측에 결합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40)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구조이다.
상기 나사(40)의 두부와 상기 보스(31)의 구멍내면에 나삿니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20)과 충전용 접속단자(10)를 상하방향에서 견고히 지지함으로서 고정되는 구조이다.
도 2a,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는 구멍을 갖는 보스(31)가 형성된 케이스(30)에 동박영역(A)이 하면에 형성된 인쇄회로기판(20)을 조립한다.
이어서 직각으로 여러번 절곡진 충전용 접속단자(10)의 일측을 상기 동박영역(A)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나사(40:taptite screw)로 전체를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20)과 접속단자(10)의 일측에 결합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40)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구조이다.
상기 나사(40)의 두부와 상기 보스(31)의 구멍내면에 나삿니부를 형성하면서 체결되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20)과 충전용 접속단자를(10) 상하방향에서 견고히 지지함으로서 고정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충전용 접속단자와 동박영역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을 접속시키는 결합구조에 있어서, 충전용 접속단자와 동박영역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의 접촉이 단지 나사에 의해 접촉되는 구조이므로, 제품에 충격이나 낙하 또는 진동등에 의해 나사가 풀릴경우에는 충전용 접속단자의 접촉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심한경우에는 종종 충전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쇄회로기판과 충전용 접속단자를 결합할 시에 나사의 체결과 더불어 납땜을 하여 불안정요소를 제거함으로서 제품의 충전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에 있어서, 충전용 접속단자의 상측으로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에 형성된 동박영역을 형성하여 납땜하여 고정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충전용 접속단자를 상하에서 지지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조립하여 접시머리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그의 조립측단면도
도 2a는 종래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그의 조립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b는 그의 조립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충전용 접속단자1b:가이드 핀
2:인쇄회로기판2b:가이드 홀
3,4:케이스5:접시머리나사
1a,2a,3a,4a:나사체결구멍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들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내지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는 충전용 접속단자(1)의 상면에 인쇄회로기판(2)의 하면에 형성된 동박영역(A)을 형성하여 서로 납땜하여 고정한다.
우선, 상기 충전용 접속단자(1)의 일측과 인쇄회로기판(2)을 납땜을 하여 고정할때, 조립업자의 입장에서 상기 충전용 접속단자(1)가 상기 인쇄회로기판(2)의 동박영역(A)에 정확하게 접촉하여 납땜작업이 이루어 지도록 위치를 잡아주기 위하여 상기 충전용 접속단자(1)의 일측에 마주보게 벤딩작업을 하여 가이드 핀(1b)을 상방으로 향하게 형성한다. 동시에 상기 충전용 접속단자(1b)의 가이드 핀이(1b:guide pin) 상기 인쇄회로기판(2)에 견고히 고정가능하도록 가이드 홀(2b:guide hole)을 마주보게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핀(1b)을 상기 가이드 홀(2b)에 납땜작업을 실시하여 단자(1)가 기판(2)의 동박영역(A)에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고, 견고히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2)과 충전용 접속단자(1)를 상하에서 지지하는 상부케이스(4)와 하부케이스(3)를 조립하여 접시머리나사(5)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접시머리나사(5)의 두부(5a)는 상기 상부케이스(4)에 위치하게 체결되는 바, 상기 상부케이스(4)의 구멍(4a)은 상기 두부(5a)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함으로서, 상방에서 충전용 접속단자(1)를 견고히 지지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결합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조립순서는 첫번째로 충전용 접속단자(1)의 가이드 핀(1b)을 인쇄회로기판(2)의 가이드 홀(2b)에 삽입하여 납땜작업을 하여 고정하고, 이어서 상부케이스(4)와 하부케이스(3)를 조립하고, 마지막으로 접시머리나사(5)로 하부케이스(3)의 보스(31)에 체결함으로서 고정되는 구조이다.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케이스가 상하방향에서 지지하며, 단자와 기판의 결합시에 가이드 핀(1b)과 홀(2b)을 추가적으로 형성하여 고정하여 고정시 위치를 잡기가 용이하고, 견고히 고정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는 무선전화기가 충격이나 진동등에 의해 나사가 풀린다 할지라도 충전용 접속단자가 인쇄회로기판과 납땜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있어 충전불안정을 해소하는 잇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Claims (2)

  1.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에 있어서,
    충전용 접속단자(1)의 상측으로 인쇄회로기판(2)의 하면에 형성된 동박영역(A)에 납땜하여 고정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과 충전용 접속단자(2)를 상하에서 지지하는 상부케이스(4)와 하부케이스(3)를 조립하여 접시머리나사(5)를 이용하여 충전용 접속단자(1)를 인쇄회로기판(2)에 고정함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접속단자(1)와 인쇄회로기판(2)을 납땜을 하여 고정할시에 상기 충전용 접속단자(1)가 상기 인쇄회로기판(2)의 동박영역(A)에 정확하게 접촉하여 납땜작업이 이루어 지도록 위치를 잡아줌과 동시에 견고히 고정가능하도록 상기 단자(1)의 일측 양측방으로 가이드 핀((1b)을 상방으로 향하게 형성하고, 상기 기판(2)에 가이드 홀(2b)을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
KR2019960025777U 1996-08-24 1996-08-24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 KR200144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777U KR200144931Y1 (ko) 1996-08-24 1996-08-24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777U KR200144931Y1 (ko) 1996-08-24 1996-08-24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236U KR19980012236U (ko) 1998-05-25
KR200144931Y1 true KR200144931Y1 (ko) 1999-06-15

Family

ID=5397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5777U KR200144931Y1 (ko) 1996-08-24 1996-08-24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9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236U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3178B1 (en) Flexible board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flexible board to circuit board
US4697044A (en) Casing for electronic devices
US5226824A (en) IC socket and contact therein
JP3119612B2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及びその実装構造
JPH09285107A (ja) 電力変換装置
KR200144931Y1 (ko)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
EP0957665B1 (en) Electronic device
US6875055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200102Y1 (ko) 프레임체와프린트기판의접속구조
JP2003051562A (ja) 半導体装置
KR200333728Y1 (ko) 무선전화기용 안테나의 접속구조
KR880003259Y1 (ko) 튜너지지장치
KR100722498B1 (ko) 인쇄회로기판 연결구조
KR0126440Y1 (ko)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안테나 보드의 조립위치 결정기구
KR19980066016U (ko) 메인피시비의 기구물 고정장치
KR20230156858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H1065567A (ja) 無線通信装置
KR0138960Y1 (ko) 카 오디오의 접지구조
JPH07326442A (ja) 表面実装用電気コネクタ
KR0122951Y1 (ko) 단자가 양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판구조
JPH11186745A (ja) 大型部品の取り付け用カバー
US20050064741A1 (en) Connecting device
KR200302451Y1 (ko) 튜너의 핀 헤더
JP2546085Y2 (ja) コネクタ
JP2009099794A (ja) 電子回路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