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6858A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6858A
KR20230156858A KR1020220056013A KR20220056013A KR20230156858A KR 20230156858 A KR20230156858 A KR 20230156858A KR 1020220056013 A KR1020220056013 A KR 1020220056013A KR 20220056013 A KR20220056013 A KR 20220056013A KR 20230156858 A KR20230156858 A KR 20230156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ion
insulating
connector assembly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웅규
백용일
김용태
김준규
강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콘텍
티에스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콘텍, 티에스텍(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콘텍
Priority to KR1020220056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6858A/ko
Publication of KR20230156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6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에서 각 부품의 조립 편차에 의해 편심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케이스 내부에 하우징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중심부에 센터핀이 형성되는 플러그부; 상기 센터핀과 접촉하는 내부접속단자, 상기 하우징 내측과 접촉하는 외부접지단자, 상기 내부접속단자와 외부접지단자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소켓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접지단자는 접지몸체가 상기 절연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지몸체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접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접지부는 제1 접촉부가 상기 절연부로부터 점점 멀어지도록 상기 접지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접촉부의 단부에 상기 하우징 내측과 접촉하는 제2 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촉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 접촉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2 접촉부를 외측으로 지탱하는 지지부가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에서 각 부품의 조립 편차에 의해 편심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각종 모듈의 구성 요소들 간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어셈블리는 카메라 모듈에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이란, 카메라를 구성하는 각종 렌즈 및 전자 부품을 실장하고 있는 모듈이다. 각각의 부품들의 공차 및 조립 공정상 오차 등으로 인해, 인쇄회로기판(PCB)에 부착된 헤드 어셈블리가 하우징 어셈블리에 정확하게 결합하지 못하여, 커넥터 어셈블리의 성능이 감소하거나 부품들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3240호(2019.06.2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에서 각 부품의 조립 편차에 의해 편심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케이스 내부에 하우징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중심부에 센터핀이 형성되는 플러그부; 상기 센터핀과 접촉하는 내부접속단자, 상기 하우징 내측과 접촉하는 외부접지단자, 상기 내부접속단자와 외부접지단자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소켓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접지단자는 접지몸체가 상기 절연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지몸체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접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접지부는 제1 접촉부가 상기 절연부로부터 점점 멀어지도록 상기 접지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접촉부의 단부에 상기 하우징 내측과 접촉하는 제2 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촉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 접촉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2 접촉부를 외측으로 지탱하는 지지부가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절연부에는 상기 절연부와 외부접지단자의 결합방향과 나란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홈과 연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홈과 연통되는 분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몸체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삽입돌기와 내측으로 절곡되어 양방향으로 분기되는 티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절연부와 외부접지단자의 상호 결합시 상기 결합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고, 상기 티형돌기는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분기홈으로 삽입된다.
상기 접지몸체는 금속 판재를 원형으로 형성하고, 금속 판재의 양측에 각각 상기 삽입돌기 및 티형돌기가 형성되며, 두 개의 삽입돌기가 하나의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고, 두 개의 티형돌기가 하나의 상기 분기홈으로 삽입된다.
상기 절연부에는 외부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몸체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부고정홈으로 삽입되는 고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접속단자는 상기 절연부 내부에 위치하는 접속몸체와 상기 접속몸체로부터 상기 접속몸체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접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접속몸체의 상부에서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 접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속부는 그 폭이 상기 제1 접속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조립과정에서 각 부품의 조립 편차에 의해 편심이 발생하더라도 전기적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 없이 구조적으로 외부접지단자의 원형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소켓부의 조립이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부와 소켓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접속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켓부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부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A-A선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접지단자의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B-B선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부와 소켓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플러그부와 소켓부가 결합함에 따라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소켓부를 별도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방향에서 절연부를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내부접속부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소켓부의 평면도로, U홈이 형성된 제2 접속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선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8의 B-B선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외부접지단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되는 플러그부(100)와 소켓부(200)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100)는 케이스(110), 하우징(120) 및 센터핀(130)을 포함한다. 하우징(120)은 케이스(110) 내부에 결합되고, 하우징(120) 중심부에 센터핀(130)이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200)는 회로기판(PCB)에 장착된다. 이러한 소켓부(200)는 절연부(201), 내부접속단자(202) 및 외부접지단자(203)로 이루어진다.
절연부(201)는 내부접속단자(202)와 외부접지단자(203) 사이에 위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201)는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절연부(201) 내부에는 내부접속단자(202)가 결합되고, 절연부(201) 외부에는 외부접지단자(203)가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201) 내측에는 제1 내부고정홈(211)과 제2 내부고정홈(212)이 형성된다. 제1 내부고정홈(211)은 절연부(201)의 내측 하단에서부터 길게 형성되고, 절연부(201)와 내부접속단자(202)의 결합방향과 나란하다.
절연부(201)의 외측에는 상하로 긴 결합홈(213), 삽입공(214), 분기홈(215) 및 외부고정홈(216)이 각각 형성된다. 결합홈(213)은 절연부(201)와 외부접지단자(203)의 결합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삽입공(214)은 절연부(201)의 상부에 형성되고 결합홈(213)과 연통된다. 분기홈(215)은 절연부(201)의 하부에 형성되고 결합홈(213)과 연통된다. 즉 절연부(201)의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공(214)은 결합홈(213)의 상단과 연결되고, 절연부(201)의 하부에 형성되는 분기홈(215)은 결합홈(213)의 하단과 연결된다.
내부접속단자(202)는 센터핀(130)과 접촉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접속단자(202)는 절연부(201) 내부에 위치하는 접속몸체(220)와 접속몸체(220)로부터 접속몸체(220)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접속부(230)로 이루어진다.
접속몸체(220)의 외측 상부에는 제1 내부고정홈(211)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2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접속몸체(220)의 외측에는 제2 내부고정홈(212)에 삽입되는 쐐기형돌기(222)가 형성된다. 고정돌기(221)는 절연부(201)와 내부접속단자(202)의 결합시에 제1 내부고정홈(211)을 따라 상승이동하고, 고정돌기(221)가 제1 내부고정홈(211)의 상단에 도달하기 전에 쐐기형돌기(222)가 제2 내부고정홈(212)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고정돌기(221)와 쐐기형돌기(222)에 의해 내부접속단자(202)가 절연부(201) 내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접속부(230)는 제1 접속부(231)와 제2 접속부(232)로 이루어진다. 제1 접속부(231)는 접속몸체(220)의 상부에서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제2 접속부(232)는 제1 접속부(231)의 하단에 형성된다. 제2 접속부(232)는 센터핀(130)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제2 접속부(232)의 폭은 제1 접속부(231)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접속부(232)가 센터핀(130)과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을 증가시켜 센터핀(130)과의 접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속부(230)는 탄성체로서 4개가 내부접속단자(20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속부(232)에는 센터핀(130)과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하여 U홈(233)이 형성될 수 있다. U홈(233)은 센터핀(130)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센터핀(130)이 제2 접속부(232)의 중심부와 접촉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외부접지단자(203)는 하우징(120) 내측과 접촉한다. 즉 플러그부(100)와 소켓부(200)가 결합할 때, 외부접지단자(203) 일부가 하우징(120) 내측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접지단자(203)는 접지몸체(240) 및 접지부(250)로 이루어진다. 접지몸체(240)는 절연부(20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접지몸체(240)에는 복수의 접지부(250)가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접지부(250)는 제1 접촉부(251), 제2 접촉부(252) 및 지지부(253)로 이루어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부(251)는 절연부(201)로부터 점점 멀어지도록 접지몸체(240)로부터 돌출된다. 즉 제1 접촉부(251)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이다. 제2 접촉부(252)는 제1 접촉부(251)의 단부에 형성되어 하우징(120) 내측과 접촉한다. 지지부(253)는 제1 접촉부(251)를 중심으로 제2 접촉부(252)의 양측에 형성되어 제2 접촉부(252)를 외측으로 지탱한다. 지지부(253)는 탄성체로서 제2 접촉부(252)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단부가 절연부(201)와 접촉함으로써 제2 접촉부(252)를 외측으로 지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접촉부(252)는 하우징(120)의 내측과 접촉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부접지단자(203)는 5개의 접지부(250)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접지부(250)는 조립편차에 의해 플러그부(100)와 소켓부(200)가 편심 조립되더라도 하우징(120) 내측과 안정적으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몸체(240)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삽입돌기(241)와 내측으로 절곡되어 양방향으로 분기되는 티형돌기(242)가 형성된다. 삽입돌기(241)는 절연부(201)와 외부접지단자(203)의 상호 결합시 결합홈(213)을 따라 이동하여 삽입공(214)으로 삽입된다. 티형돌기(242)는 삽입돌기(241)가 삽입공(214)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분기홈(215)으로 삽입된다. 접지몸체(240)는 원형 판재로 제작되며, 판재를 원형으로 형성할 때 서로 만난는 부분에 각각 삽입돌기(241)와 티형돌기(242)를 형성하여, 두 개의 삽입돌기(241)를 하나의 삽입공(214)으로 삽입하고, 두 개의 티형돌기(242)를 하나의 분기홈(215)으로 삽입함으로써, 용접 없이 접지몸체(240)의 원형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금속소재의 원형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용접을 실시하지만, 이 경우 용접 열에 의해 부품이 손상될 수 있고, 용접 작업으로 인하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본 발명은 용접 없이 접지몸체(240)의 원형 형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접 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몸체(240)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외부고정홈(216)으로 삽입되는 고정부(243)가 형성된다. 고정부(243)는 외부고정홈(216)으로 삽입되어 접지몸체(240)와 접촉하고, 접지몸체(240)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외부접지단자(203)는 삽입돌기(241), 티형돌기(242) 및 고정부(243)에 의해 절연부(201)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플러그부,
110 : 케이스,
120 : 하우징,
130 : 센터핀,
140 : 실러,
200 : 소켓부,
201 : 절연부,
211 : 제1 내부고정홈,
212 : 제2 내부고정홈,
213 : 결함홈,
214 : 삽입공,
215 : 분기홈,
216 : 외부고정홈,
202 : 내부접속단자,
220 : 접속몸체,
221 : 고정돌기,
222 : 쐐기형돌기,
230 : 접속부,
231 : 제1 접속부,
232 : 제2 접속부,
233 : U홈,
203 : 외부접지단자,
240 : 접지몸체,
241 : 삽입돌기,
242 : 티형돌기,
243 : 고정부,
250 : 접지부,
251 : 제1 접촉부,
252 : 제2 접촉부,
253 : 지지부,

Claims (5)

  1. 케이스 내부에 하우징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중심부에 센터핀이 형성되는 플러그부;
    상기 센터핀과 접촉하는 내부접속단자, 상기 하우징 내측과 접촉하는 외부접지단자, 상기 내부접속단자와 외부접지단자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소켓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접지단자는 접지몸체가 상기 절연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지몸체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접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접지부는 제1 접촉부가 상기 절연부로부터 점점 멀어지도록 상기 접지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접촉부의 단부에 상기 하우징 내측과 접촉하는 제2 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촉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 접촉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2 접촉부를 외측으로 지탱하는 지지부가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에는 상기 절연부와 외부접지단자의 결합방향과 나란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홈과 연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홈과 연통되는 분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몸체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삽입돌기와 내측으로 절곡되어 양방향으로 분기되는 티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절연부와 외부접지단자의 상호 결합시 상기 결합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고,
    상기 티형돌기는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분기홈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지몸체는 금속 판재를 원형으로 형성하고, 금속 판재의 양측에 각각 상기 삽입돌기 및 티형돌기가 형성되며, 두 개의 삽입돌기가 하나의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고, 두 개의 티형돌기가 하나의 상기 분기홈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에는 외부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몸체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부고정홈으로 삽입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접속단자는 상기 절연부 내부에 위치하는 접속몸체와 상기 접속몸체로부터 상기 접속몸체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접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접속몸체의 상부에서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 접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속부는 그 폭이 상기 제1 접속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220056013A 2022-05-06 2022-05-06 커넥터 어셈블리 KR20230156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013A KR20230156858A (ko) 2022-05-06 2022-05-06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013A KR20230156858A (ko) 2022-05-06 2022-05-06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6858A true KR20230156858A (ko) 2023-11-15

Family

ID=8874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013A KR20230156858A (ko) 2022-05-06 2022-05-06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68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240A (ko) 2017-12-18 2019-06-2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커넥터 어셈블리용 소켓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240A (ko) 2017-12-18 2019-06-2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커넥터 어셈블리용 소켓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892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695289B1 (en) Connector
KR100665417B1 (ko) 직접 장착식 커넥터 결합 구조물
US7179095B1 (en) Matrix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JPH08124637A (ja) 表面実装型電気コネクタ
US6402567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pring contact member
JP2011014365A (ja) 水平基板間接続コネクタ
US20050266722A1 (en) Board attachment type electrical connector
KR20230156858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309404B1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US11289855B2 (en) Shield connector having improved bonding strength to a substrate
US20090053913A1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JP5736227B2 (ja)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
US7037116B1 (en) Socket connector having multi-piece housing
JP2767537B2 (ja) 可動型電気コネクタ
CN114243387A (zh) 电连接器
CN109193222B (zh) 电连接器
US20050079745A1 (en) Socket connector
US706674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pacer
KR102496373B1 (ko) 고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CN218940219U (zh) 电连接器
CN215681138U (zh) 板对板桥接连接器及连接器组件
CN210957093U (zh) 端子和连接器
KR102283488B1 (ko)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US7314381B2 (en) Electric component having connector attached to case via seal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