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2252A - 비닐시클로헥산 기재 중합체 - Google Patents

비닐시클로헥산 기재 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2252A
KR20010102252A KR1020017010520A KR20017010520A KR20010102252A KR 20010102252 A KR20010102252 A KR 20010102252A KR 1020017010520 A KR1020017010520 A KR 1020017010520A KR 20017010520 A KR20017010520 A KR 20017010520A KR 20010102252 A KR20010102252 A KR 20010102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vinylcyclohexane
polymers
isotactic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커 베제
윤 첸
프리드리히 브루더
랄프 듀자르딘
Original Assignee
빌프리더 하이더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이타가키 히로시
테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프리더 하이더,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이타가키 히로시, 테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빌프리더 하이더
Publication of KR20010102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25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0/00Hom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10/14Monomers containing five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12/06Hydrocarbons
    • C08F12/12Monomers containing a branched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or a ring substituted by an alk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8/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 C08F218/02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F218/04Vinyl esters
    • C08F218/08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42Nitriles
    • C08F220/44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04Anhydrides, e.g. cyclic anhydrides
    • C08F222/06Maleic anhyd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045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conjugated hydrocarbons other than butadiene or isop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04Reduction, e.g. hydroge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이소탁틱 입체배치를 갖는 비닐시클로헥산(VCH) 기재 중합체 및 공중합체, 및 광재료, 사출물 및 필름으로서의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닐시클로헥산 기재 중합체{Polymers based on Vinylcyclohexane}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주로 이소탁틱(isotactic) 입체배치를 갖는 비닐시클로헥산(VCH) 기재 중합체 및 공중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재료로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압출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가공될 수 있고, 광학 재료, 프리즘, 렌즈 및 콤팩트 디스크를 위한 기재(substrate)로서 특히 적합하다.
투명한 플라스틱, 예를 들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스티렌은 광학 재료용 기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노로보르넨 또는 테트라시클로도데센의 개환된 메타테시스(methathesis) 중합체의 수소화 생성물외에, 에틸렌 및 노르보르넨 유도체 또는 테트라시클로도데센 유도체로부터 형성된 부가 공중합체도 상기 목적에 적합하다.
방향족 알케닐 탄화수소 화합물의 중합체 또는 그의 공중합체의 수소화 생성물을 포함하는 광학 재료는 GB 제933,596호(= DE-AS 1 131 885), EP-A 제317,263호, US 제4,911,966호 및 US 제5,178,926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입체배치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폴리스티렌의 수소화 반응에 대해서는 1929년 헤르만 스타우딘저(HermannStaudinger)가 최초로 언급한 바 있다. 더욱 최근의 특허 문헌은 폴리비닐시클로헥산 또는 수소화 폴리스티렌의 기초적인 미세구조에 관계된 것이다. 현재 알려진 바로는, 무정형 비닐시클로헥산 중합체는 어택틱 입체배치를 가지며, 결정성 VCH(비닐시클로헥산) 중합체는 이소탁틱 또는 신디오탁틱(syndiotactic) 입체 배치를 갖는다(EP-A 0 322 731, EP-A 0 423 100, US-A 5,654,253; US-A 5,612,422, WO 96/34896). 이소탁틱 PVCH(폴리비닐시클로헥산)은 지에글러 촉매의 존재하에서 제조되고, 높은 융점을 갖는다[J. Polym. Sci., A2, 5029(1964)]. EP-A 제0 322 731호에는, 신디오탁틱 입체배치를 가지며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의 수소화반응에 의해 제조된 비닐시클로헥산 중합체는 결정성이며, 이 때 디아드(dyad)의 양은 75% 이상이고 펜타드(pentad)의 양은 30% 이상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국제특허출원(WO 제94/21694호)은 수소화 방향족 폴리알케닐 중합체 및 방향족 폴리알케닐폴리디엔 블럭 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는 일반적인 의미의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이 언급되어 있다.
이미 공지된 물질의 특성을 나타내는 이소탁틱, 신디오탁틱 및 어택틱 수소화 폴리스티렌을 제조하는 방법이 WO 제94/21694호 및 US-A 제5,352,744호에 기재되어 있고, 상기 방법에서는 특정 촉매를 사용한다. 특정 촉매를 사용하여 어택틱 수소화 폴리스티렌을 형성하기 위한 어택틱 폴리스티렌의 수소화 방법이 US-A 제5,654,253호, US-A 제5,612,422호 및 WO 제96/34896호에 기재되어 있다.
어택틱 중합체는 입체 규칙성 중합체이다. 국제순수응용화학협회(IUPAC)의 정의에 따르면, 어택틱 중합체는 입체배치 가능한 기본 성분을 동일한 양으로 함유하며, 분자에서 분자까지 이상적인 랜덤 분포를 가진다. 상기 중합체는 동일한 수의 이소탁틱 및 신디오탁틱 디아드에 특징이 있다. 상기 중합체는 오직 하나의 유리상을 가지나 결정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무정형 물질로서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디아드의 양이 50.1% 보다 크고 74% 보다는 작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51-70%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탁틱 입체배치를 갖는 비닐시클로헥산 기재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며, 그의 제조를 위해 올레핀류, 아크릴산 유도체의 알킬에스테르, 말레산 유도체, 비닐 에테르 또는 비닐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고투명도, 낮은 복굴절 및 가열시 높은 치수안정성에 특징이 있고, 이에 따라 광데이타 저장 매체용 기재로 사용가능하다. 지에글러 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이소택틱 디아드를 75% 넘게 함유하는 공지된 이소택틱 PVCH는 그의 결정성으로 인해 광학 분야에 적용하기 부적합하다[J. Polymer Sci, A2, 5029(1964)].
본 발명은 폴리스티렌의 수소화 생성물에 관한 것이며, 이는 과량의 이소탁틱 디아드를 포함하는 무정형 수소화 폴리스티렌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비닐시클로헥산 중합체는 특정 입체구조를 갖는 신규한 무정형 중합체이며, 이는 이소택틱 디아드 입체배치의 우세한 발생에 특징이 있고,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가능하다.
비닐시클로헥산 기재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I)의 반복 구조단위를 포함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을 나타내고,
R3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 특히 메틸 및(또는) 에틸을 나타내거나, 또는 R3및 R4는 함께 알킬렌, 바람직하게는 C3또는 C4알킬렌[축합 부가된(condensed-on) 5원 또는 6원 시클로방향족 고리]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또는 C1-C6알킬,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을 나타내고,
R1, R2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특히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낸다.
입체규칙성 머리-꼬리 결합과는 별도로, 상기 결합은 머리-머리 결합을 일부 포함할 수 있다. 비닐시클로헥산을 기재로 하고, 무정형이며, 이소탁틱 입체배치가 우세한 중합체는 분지 중심을 거쳐 분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예컨대 별모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개시 중합체(경우에 따라서는, 치환된 폴리스티렌)의 중합과정 중 공단량체로 사용가능한 것으로는, 일반적으로 2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올레핀류(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또는 부타디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C1-C8,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 에스테르, 불포화 시클로지방족 탄화수소류(예: 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센, 시클로헥사디엔, 임의 치환된 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디히드로시클로펜타디엔, 임의 치환된 테트라시클로데센), 알킬화 핵을 포함하는 스티렌류, α-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비닐 에스테르, 비닐산, 비닐 에테르,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시아나이드(예, 아세토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 단량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이들 단량체들은 함께 중합체에 도입될 수 있다. 공단량체는 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6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하로 함유될 수 있다. 공단량체를 30 중량% 이하로 함유하는 비닐시클로헥산 중합체(I)이 특히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정형 비닐시클로헥산 중합체는 이소탁틱 디아드를 50.1 내지 74%,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70%의 양으로 함유하며, 상기 디아드의 양은 2차원 NMR 분광법에 의해 결정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합체 골격의 메틸렌 탄소원자의13C-1H 상관 분광법에 의해 미세구조를 밝히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으며, A.M.P.로스(Ros) 및 O. 수드메이저(Sudmeijer)에 의해 기술된다[A.M.P. Ros, O. Sudmeijer, Int. J. Polym. Anal. Charakt. (1997), 4, 39].
결정성인 이소탁틱 및 신디오탁틱 폴리비닐시클로헥산의 시그널은 2차원적 NMR 분광법에 의해 결정된다. 이소탁틱 폴리비닐시클로헥산의 메틸렌 탄소원자(중합체 골격에 위치함)는 2 D-CH 상관 스텍트럼에서 2개의 별개의 양자 시그널으로 분리되며, 순수한 이소탁틱 디아드 입체배치를 나타낸다. 반대로, 이소탁틱 폴리비닐시클로헥산은 2D-CH 상관 스펙트럼에서 C 1 탄소에 대해 오직 하나의 시그널만을 나타낸다. 무정형인 이소탁틱 풍부 폴리비닐시클로헥산은 신디오탁틱 디아드 입체배치에 비해 이소탁틱 디아드에 대한 과도한 적분(integral) 시그널 강도를 나타낸다.
위 물질은 가열시 고도의 치수안정성 및 낮은 수분 흡수성을 나타내는 반면, 기계적 특성은 우수하기 때문에 광학 분야에 적용하기에 이상적인 재료이다.
광산란법에 의해 결정되는, 비닐시클로헥산 (공)중합체의 절대 중량평균분자량(Mw)은 일반적으로 1,000 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400,00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380,000이다.
특히 바람직한 저분자량의 비닐시클로헥산 (공)중합체는 절대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 내지 20,000인 것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시클로헥산 기재 단독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DSC로 결정됨)는 일반적으로 90℃ 보다 크며, 바람직하게는 95℃ 보다 크다.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럭 공중합체로 존재한다.
중합체는 선형 사슬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공단위(예,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인해 분지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분지 중심은 예컨대 별모양이거나 가지달린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1차, 2차, 3차 또는 경우에 따라 4차 중합체 구조의 다른 기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예로는 나선형, 이중 나선형, 접힌 라멜라형 또는 이들 구조들의 혼합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블럭 공중합체는 디-블럭, 트리-블럭, 멀티-블럭 및 별모양 블럭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VCH (공)중합체는 라디칼, 음이온 또는 양이온 메카니즘, 또는 금속 착물 개시제, 또는 촉매를 사용하여 스티렌 유도체와 상응하는 단량체를 중합하고, 이어서 불포화 방향족 결합의 완전 또는 부분 수소화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예컨대, WO 제94/02720호 및 EP-A 제322, 731호 참조). 상기 VCH (공)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비닐시클로헥산 단위의 이소탁틱 입체배치가 우세하게 발생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방법은 방향족 단위의 실질적인 완전 수소화를 초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소화 정도는 일반적으로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내지 100%이다. 수소화 정도는 예컨대, NMR 분광법 또는 UV 분광기로 결정가능하다.
사용되는 개시제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이다(예, WO 제94/21,694호).
사용되는 촉매의 양은 예컨대 WO 제96/34896호에 개시되어 있다.
사용되는 촉매의 양은 어떤 방법을 수행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이 방법은 연속식, 또는 반연속적 또는 회분식으로 수행가능하다.
연속식 시스템에서 반응시간은 상당히 단축되고, 반응 용기의 부피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연속식 절차에서는 고정 촉매를 사용하는 살수시스템(trickling system) 또는 액체풀시스템(liquid pool system)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예컨대 재순환가능한 현탁 촉매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촉매는 예컨대 정제 또는 압출 생성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중합체의 농도는 용매와 중합체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80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 중량%, 특히 40 내지 15 중량%이다.
개시 중합체의 수소화반응은 일반적으로 공지된(예, WO 제94/21,694호, WO 제96/34,895호, EP-A 제322,731호)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공지된 다수의 수소화 촉매가 촉매로 사용가능하다. 금속 촉매로서 바람직한 것은 예컨대 WO 제94/21,694호 또는 WO 제96/34,896호에 개시되어 있다. 수소화 반응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촉매를 촉매로 사용할 수 있다. 비표면이 크고(예, 100 내지 600 m2/g) 평균 공극 직경이 작은(예, 20 내지 500Å) 촉매가 적합하다. 기타 적합한 촉매로는 비표면이 작고(예, ≥10 m2/g) 평균 공극직경이 크며, 공극 부피의 98%가 600Å 보다 큰(예, 약 1,000 내지 4,000Å) 공극직경을 갖는 공극을 포함하는데 특징이 있는 촉매를 들 수 있다(예컨대, US-A 제5,654,253호, US-A 제5,612,422호, JP-A 제3,076,706호 참조). 지지체로서 라니 니켈, 실리카상 니켈 또는 실리카/알루미늄상 니켈, 또는 탄소상 니켈, 및(또는)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및 알루미나상 귀금속촉매, 특히 Pt, Ru, Rb 또는 Pd가 특히 사용된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0℃, 특히 6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수소화 반응에 통상적인 용매는 예컨대 DE-AS 제,1,131,885호에 기재되어 있다(상기 참조).
반응은 일반적으로 1 내지 1,000 bar,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 bar, 특히 40 내지 200 bar의 압력에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시클로헥산 기재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광학 재료, 예컨대 렌즈, 프리즘 및 광디스크의 제조에 매우 적합하다.
광데이타 저장 매체로는 광자기디스크(MO 디스크), 미니-디스크(MD), ASMO(MO-7)("개선된 저장용 광자기"), DVR(12 Gbyte 디스크), MAMMOS("자기증폭광자기시스템"), SIL("입체집중렌즈") 및 MSR("자기적 초해상") 및 CD-ROM(독출전용메모리), CD, CD-R(recordable), CD-RW(재기록가능), CD-I(interactive) 및 포토(photo)-CD, 수퍼-오디오 CD, DVD, DVD-R(recordable), DVD-RAM(랜덤억세스메모리), DVD(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RW(재기록가능), PC RW(위상 변화 및 재기록가능), MMVF(멀티미디어 비디오 파일 시스템)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는 광학 성질이 우수하기 때문에 광재료, 예컨대 렌즈, 프리즘, 반사경(mirror), 칼러 필터(colour filter) 등의 제조에 특히 적합하며, 또한 홀로그래픽 영상(예, 수표, 크레디트 카드, 패스, 3차원 홀로그래픽 영상)용 매체로서 적합하다. 상기 물질은 예컨대 초점화 간섭성 방사선(focused coherent radiation)(레이저)으로부터 3차원 구조를 새기기 위한 투명한 매체로서사용가능하고, 특히 물체의 3차원 영상용 3차원 데이타 저장 매체로 사용가능하다.
상기 물질은 유리 대용으로 또는 유리와 함께 145℃의 사용 온도 이하에서 사용가능한 것이 보통이다. 투명 재료의 외부 용도로는 루프 클래드(roof cladding), 창틀(window pane), 시트(sheeting)을 포함할 수 있고, 온실의 유리끼우기(glazing) 용으로는 이중 립드 패널(double-ribbed panel)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응용예로는 예컨대, 광기전구(photovoltaic sphere), 특히 태양 전지 또는 집열판에서 기계적 감광시스템의 보호를 위한 투명도가 높은 덮개(covering)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은 다른 물질로 코팅가능하며, 특히 표면마모 저항을 위해 나노입자로 코팅하거나 또는 금속 또는 다른 중합체로 코팅가능하다.
가정용 응용예로는 낮은 수분 침투성을 나타내는 투명한 포장재, 압출 성형 또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는 가정용 제품(예, 텀블러 및 용기) 및 가정용 기구 및투명한 램프 커버(lamp cover)를 들 수 있다.
플라스틱은 건물 및 공업용 섹터(engineering sector)(집 및 기구, 예컨대 냉장고)에서 단열용으로 사용되는 내열성 경질 발포에로 사용가능하고, 예컨대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대체할 수 있다. 이들 물질은 고온에서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하나의 장점이다.
상기 물질은 저밀도(d<1) 및 그로 인한 저중량으로 인해 자동차, 항공우주 여행 산업에서, 예컨대 계기 시스템을 위한 계기 패널 및 투명 덮개용, 및 광원용, 비이클 글레이징(vehicle glazing)용 및 단열재로 응용가능하다.
상기 물질은 절연체이고, 따라서 콘덴서(예, 유전체), 전자 스위칭 회로 및 기구 하우징(appliance housing)의 제조에 적합하다. 특히, 높은 광투명도와 가열시의 높은 치수안정성의 조합 및 적합한 방출원으로부터의 빛과 관련된 낮은 수분흡수성으로 인해 전자산업에서 응용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물질은 광방출 다이오드, 레이저 다이오드, 유기, 무기 및 중합체성 전자발광 물질용 매트릭스, 광전신호기록장치(opto-electric signal recording device), 데이타 전송 시스템에서의 유리섬유의 대체물(예, 중합체성 도파관) 및 전자 디스플레이 매체(스크린, 디스플레이, 투영 장치)용 투명재(예컨대, 액정 기판을 포함하는 것들)의 제조에 적합하다.
상기 물질은 의학 분야에서 예컨대 살균 및 비살균 분석 용기, 페트리(Petri) 접시, 마이크로필터 플레이트, 오브젝트 서포트(object support), 가요성 튜브, 기체투과성(breathing) 튜브, 콘텍트 렌즈, 안경 및 용기(예컨대, 약물의 주입 용액 또는 용액용)용 투명한 압출 또는 사출 성형 제품, 혈액과 접촉하는 응용제품용 압축 및 사출 성형 제품, 특히 시린지, 캐뉼라, 카테테르, 단기적 및 장기적 이식체(예, 인공 렌즈), 혈액 튜브, 혈액 세척용 멤브레인, 투석기, 산소공급기, 상처용 투명 붕대, 혈액 저장 용기(blood bottle) 및 봉합재의 제조에 적합하다.
실시예
실시예 1
오토클레이브를 불활성 기체(아르곤)로 가득채웠다. 중합체 용액 및 촉매를가하였다(표 1). 오토클레이브를 밀폐시킨 후, 보호 기체, 이어서 수소를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가압하였다. 압력을 낮춘 후, 각각의 수소압을 조절하고 배치(batch)를 교반하면서 상응하는 반응 온도로 가열하였다. 수소 소비가 시작한 된, 반응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반응 완료후, 중합체 용액을 여과하였다. 생성물을 메탄올 중에서 침전시키고, 120℃에서 건조시켰다. 단리된 생성물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냈다.
비교 실시예 A
신디오탁틱 폴리비닐시클로헥산
환류응축기가 장착되고 아르곤하에서 유지되는 구운(baked-out) 입구가 3개인 플라스크(250 ml)에 순수한 톨루엔 50 ml, 메틸알루미녹산 20 ml(톨루엔 중 10% 용액), 티타늄 시클로펜타디에닐트리클로라이드 16.5 mg(0.075 mmol) 및 스티렌 10.4 g(0.1 mol)을 순서대로 채웠다.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산성 메탄올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메탄올 200 ml를 사용하여 중합체를 반복적으로 씻고, 80℃에서 건조시켰다.
수소를 사용하여 황산바륨상 팔라듐 12.5 g을 환원시키고, 보호 기체를 사용하여 불활성으로 만들었다. 가압 용기 1 L를 불활성 기체로 가득채웠다. 시클로헥산 중에 용해된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 2.5 g을 촉매와 함께 오토클레이브에 도입하였다(표 1). 수소압을 50 bar로 조정하고, 배치를 200℃로 가열하였다. 24 시간이 지난 후 반응을 멈추고 , 오토클레이브를 감압시키고, 중합체 용액을 여과시켰다. 여과물을 메탄올 중에 침전시키고, 생성물을 120℃ 및 진공하에서 건조시켰다. 단리된 생성물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냈다.
비교 실시예 B
이소탁틱 폴리비닐시클로헥산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목이 3개인 구워진 플라스크(1L)에 순수한 톨루엔 100ml, 비닐시클로헥산 12.5 g(0.11 mol) 밑 트리에틸알루미늄 5 mmol을 실온에서 도입하였다.
톨루엔 12.5 ml 중의 트리에틸알루미늄(1M) 1ml 및 염화티탄(IV)(1M) 2 ml를 80℃에서 30분간 교반하고, 상기 단량체 용액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50분간 교반하고, 이어서 85℃에서 90분간 유지시켰다. 메탄올을 가하여 중합을 정지시켰다. 생성물을 환류하에서 메탄올 중에 비등시키고, 여과하고, 이어서 메탄올 및 아세톤으로 씻었다. 중합체를 60℃에서 진공 건조시켰다. 생성물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냈다.
비교 실시예 C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으로부터의 폴리카보네이트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Makrolon CD 2005, 바이엘아게)을 기재로 하고 두께가 150㎛인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용융가압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이 필름에 대해 측정된 유리전이온도는 142℃였고, 유변광학상수는 +5.4 GPa-1였다(표 2 참조).
입체규칙성이 서로 다른 폴리스티렌들의 수소화
실시예번호 중합체의중량(g) 용매(ml) 촉매의중량(g) 반응 온도(℃) 수소압(bar) 반응 시간(시간) 수소화1)정도(%)
I 2.52) 300 ml시클로헥산 12.53) 200 50 6 100
A 2.5 300 ml시클로헥산 12.54) 200 85 24 100
1)1H NMR 분광법에 의해 결정됨2) 폴리스티렌 스탠다드, Mw = 2,500, 알드리치(Aldrich)3) Ni/SiO2/Ala2O3, 64-67%의 니켈, 알드리치4) 황산바륨상 팔라듐 5%, 알드리치
상이한 비닐시클로헥산 단독중합체간의 열특성 및 광특성
실싱예번호 이소탁틱 디아드2(%) 신디오탁틱 디아드2(%) 유리전이온도Tg (℃) 융점, Tm(℃) 용액 필름의투명도(+/-)
I 55 45 98 - +
A < 2 > 98 126 295 -
B > 98 < 2 -1) 369 -
C - - 142 - +
1) DSC 측정에 의해 탐지되지 않음2) 2차원 핵자기공명분광법(2D NMR)로 결정됨
본 발명에 따른 무정형 폴리비닐시클로헥산(실시예 1)은 이소탁틱 디아드의 우세한 발생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카보네이트와 비교시, 본 발명의 물질은 높은 투명도 및 가열시(유리전이온도) 높은 치수안정성을 또한 나타낸다. 여태까지 기술된 신디오탁틱 및 이소탁틱 물질은 결정성 및 낮은 투명성으로 인해 광학 응용분야에서 부적합하다.

Claims (6)

  1. 올레핀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 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센, 시클로헥사디엔, 임의 치환된 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디히드로시클로펜타디엔, 임의 치환된 테트라시클로데센, 알킬화 핵을 포함하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비닐 에스테르, 비닐산, 비닐 에테르,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말레산 무수물을 포함하는 군의 1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선택되는 공단량체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디아드의 양이 50% 보다 크고 74% 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탁틱 입체배치를 갖는 비닐시클로헥산 기재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드의 양이 51 내지 70%인 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헥산 기재 중합체가 하기 화학식(I)의 반복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중합체
    상기 식에서,
    R3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을 나타내거나, 또는 R3및 R4는 함께 알킬렌을 나타내고,
    R1, R2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을 나타낸다.
  4. 광 데이타 저장 매체, 성형물 및 시트(sheeting)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3항에 따른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용도.
  5. 제1항에 따른 비닐시클로헥산 기재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부터 제조가능한 광 데이타 저장 매체.
  6. 제1항에 따른 비닐시클로헥산 기재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부터 제조가능한 성형물 및 시트(sheeting).
KR1020017010520A 1999-02-19 2000-02-09 비닐시클로헥산 기재 중합체 KR200101022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06984.0 1999-02-19
DE19906984A DE19906984A1 (de) 1999-02-19 1999-02-19 Vinylcyclohexan basierende Polymere
PCT/EP2000/001027 WO2000049057A1 (de) 1999-02-19 2000-02-09 Vinylcyclohexan basierende polyme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252A true KR20010102252A (ko) 2001-11-15

Family

ID=789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520A KR20010102252A (ko) 1999-02-19 2000-02-09 비닐시클로헥산 기재 중합체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1163275B1 (ko)
JP (1) JP2002537421A (ko)
KR (1) KR20010102252A (ko)
CN (1) CN1140541C (ko)
AT (1) ATE282644T1 (ko)
AU (1) AU769875B2 (ko)
BR (1) BR0009132A (ko)
CA (1) CA2362829A1 (ko)
DE (2) DE19906984A1 (ko)
ES (1) ES2232419T3 (ko)
HK (1) HK1044958B (ko)
RU (1) RU2248375C2 (ko)
TW (1) TW548287B (ko)
WO (1) WO2000049057A1 (ko)
ZA (1) ZA2001059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2019A1 (de) * 1999-12-22 2001-06-28 Bayer Ag Thermoformbare Mehrschichtfolie mit einer Schicht aus Vinylcyclohexan basierendem Polymer
FR2884253B1 (fr) * 2005-04-08 2007-06-22 Univ Lille Sciences Tech Materiaux monolithiques fonctionnalisables
DE102008002599A1 (de) 2008-06-24 2009-12-31 Evonik Degussa Gmbh Bauteil mit Deckschicht aus einer PA613-Formmasse
DE102011084269A1 (de) 2011-10-11 2013-04-11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mer-Nanopartikel-Compounds mittels einerNanopartikel-Dispersion
CN106311150A (zh) * 2016-08-21 2017-01-11 王金桢 一种三羟甲基丙烷油酸酯提纯用吸附剂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7375B2 (ja) * 1987-12-29 1997-04-02 出光興産株式会社 ビニルシクロヘキサン系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352744A (en) * 1993-03-15 1994-10-04 University Of Minnesota Method for hydrogenating polymers and products therefrom
DE19756368A1 (de) * 1997-12-18 1999-07-01 Bayer Ag Vinylcyclohexan basierende Polyme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48287B (en) 2003-08-21
AU2442000A (en) 2000-09-04
DE50008674D1 (de) 2004-12-23
ATE282644T1 (de) 2004-12-15
ZA200105917B (en) 2002-07-18
BR0009132A (pt) 2001-11-27
CA2362829A1 (en) 2000-08-24
WO2000049057A1 (de) 2000-08-24
CN1340066A (zh) 2002-03-13
ES2232419T3 (es) 2005-06-01
HK1044958A1 (en) 2002-11-08
EP1163275B1 (de) 2004-11-17
CN1140541C (zh) 2004-03-03
AU769875B2 (en) 2004-02-05
JP2002537421A (ja) 2002-11-05
HK1044958B (zh) 2004-12-24
DE19906984A1 (de) 2000-08-31
EP1163275A1 (de) 2001-12-19
RU2248375C2 (ru) 200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32164C2 (ru) Блоксополимеры на основе винилциклогексана
US5498677A (en) Process for pr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material of a cycloolefin copolymer
US5681900A (en) Hydrogenated norbornene ring-opening polymerization product, a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s thereof
EP1006134B1 (en) Norbornene polymer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6365694B1 (en) Amorphous vinyl cyclohexane polymers
KR20010102252A (ko) 비닐시클로헥산 기재 중합체
TW201000503A (en) Hydrogenated β-pinene-based polymer and molded product made therefrom
JP3248310B2 (ja) 新規な樹脂、その水素添加物、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それらの用途
JP2003535418A (ja) 高データ密度光媒体ディスク
JPH04170425A (ja) ノルボルネン系開環重合体水素添加物、その製造方法、それで作られたデイスク基板、及びディスク
JP3519373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
AU4560100A (en) Substrates for optical storage media
KR20010114257A (ko) 비닐시클로헥산 기재의 중합체
KR20010102253A (ko) 비닐시클로헥산 기재 중합체/공중합체 및 안정제 시스템의혼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