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927A - 덕트용 행거 및 이 행거를 이용한 덕트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덕트용 행거 및 이 행거를 이용한 덕트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927A
KR20010101927A KR1020017009729A KR20017009729A KR20010101927A KR 20010101927 A KR20010101927 A KR 20010101927A KR 1020017009729 A KR1020017009729 A KR 1020017009729A KR 20017009729 A KR20017009729 A KR 20017009729A KR 20010101927 A KR20010101927 A KR 20010101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hanger
guide rail
tongu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3489B1 (ko
Inventor
쇼죠 이이주카
Original Assignee
에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1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Abstract

행거는 일면에 면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선단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연결수단인 설편과, 상기 설편과의 사이에 가이드레일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접촉부로부터 덕트로부터 이격된 쪽에 굴곡되어 연결된 베이스부와, 설편과의 사이에서 가이드레일을 협지하도록 상기 일면에 인접하는 면을 설편의 선단방향으로 압압하도록 베이스부에 연접하여 형성한 압압부와, 베이스부에 설치부재를 장착하는 장착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덕트의 설치방법은 덕트의 홈형상의 스페이스에 행거의 설편을 삽입하고, 다음에 압압부재가 덕트의 상기 일면에 인접하는 면을 압압하도록 압압부재를 가이드레일측으로 절곡하여 행거를 덕트에 고정한다.

Description

덕트용 행거 및 이 행거를 이용한 덕트설치방법{Lifting Lug and Method of Suspending Duct Using the Lifting Lug}
본 출원인은 평성 8년(1996년)에 신규한 공조용 덕트에 관한 발명에 관하여 출원하고, 그 후 그 출원에 기초하여 평성 9년 5월 9일부로 그 개량발명에 대하여 다시 출원하였다(특개평 10-47741호).
상기 신규한 덕트는 종래의 덕트에 비하여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덕트설치현장에서도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획기적인 것이었다. 게다가 종래의 조립작업에 비하여 덕트조립시 소음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우수한 구성을 가진 덕트였다. 따라서, 주택지 등에 인접한 지역에서, 또는 다른 건설작업 이나 설비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는 건설현장에서도 인근주민이나 타 작업자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덕트를 조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덕트는 상기 출원에 포함된 행거를 사용하여 간단하고 확실하게 덕트를 유지하여 매달아 설치할 수 있다. 게다가, 이 행거는 앵글부재를 수평으로배치하고 그 위에 덕트를 설치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항상 좌우로 한 쌍의 설치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즉 이 행거에 의하면, 도 15a, 도 15b,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독립되게 별개의 부재로 설치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해서 덕트의 설치위치를 높은 자유도로 선택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행거의 경우, 간단히 덕트의 중력을 이용하여 연결하기 때문에, 역방향의 가속도가 작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빠질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상기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행거의 경우, 2개의 부재를 설치부재(이 경우, 설치봉)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설치작업 동안에 다른 작업자가 하방으로부터 떠받치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작업을 할 수 있으며 덕트에 상방으로의 외력(가속도)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덕트가 빠질 염려가 없는 행거 및 그 행거를 이용한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설설비의 일종인 공조용 또는 흡배기용 등에 사용되는 박스 단면형태의 덕트(이하 간단히 "덕트" 또는 "공조용 덕트"라 함)를 매다는 행거와, 이 행거를 이용하여 덕트의 매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덕트용 행거의 구성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덕트용 행거를 덕트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행거를 이용한 설치부재에 의해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 4는 덕트의 하단부를 도 1의 실시예와 다르게 구성한 행거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행거를 이용하여 설치부재에 의해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행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덕트용 행거를 덕트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행거를 이용하여 설치부재에 의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 7의 IIⅩ-IIⅩ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행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덕트용 행거를 덕트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행거를 이용하여 설치부재에 의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 10의 ⅩI-ⅩI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행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덕트용 행거를 덕트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행거를 이용하여 설치부재에 의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 13의 ⅩIIII-ⅩIIII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 15는 종래의 본 출원인에 의한 종래의 행거 구성 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5a는 행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b는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출원인에 의한 종래의 행거로서, 도 9와는 다른 행거의 구성 등을 나타낸 도면인데 도 16a는 행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b는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발명에 따른 덕트용 행거는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덕트의 둘레면의 어느 한 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홈형상(groove-shape)의 스페이스에 연결수단을 삽입하여 체결하고, 상기 덕트를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매달아 설치하는 덕트용 행거에 있어서, 상기 행거가 상기 일면에 면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선단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설편(tongue piece)과; 상기 설편과의 사이에 가이드레일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덕트로부터 이격된 측면에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속적으로 굴곡되어 연결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설편과의 사이에서 가이드레일을 협지하도록 상기 덕트의 상기 일면에 인접하는 면을 상기 설편의 선단쪽으로 압압하는 압압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부재를 장착하는 장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덕트용 행거에 의하면, 접촉부를 덕트의 상기 일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설편을 가이드레일과 이 일면과의 사이에 좁은 홈형상의 스페이스에 삽입하여 체결하면, 덕트의 상기 일면에 인접하는 면이 행거의 압압부로 압압되고, 이 상태에서 가이드레일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레일을 가이드레일 수납공간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설편과 상기 일면에 인접하는 면을 끼운 압압부로 협지하도록 하여 이 일면에 인접하는 면을 압압한 상태에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상기 장착수단을 끼워 설치부재에 장착하는 것으로도 덕트를 설치부재로 천정면 등의 소망의 부위로부터 설치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덕트는 행거에 의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고, 그래서 이와 같이 설치된 덕트는 상기 압압부와 설편으로 협지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방으로 가속도가 작용하여도 빠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1발명에 따른 덕트 행거에 있어서, 압압부가 상기 베이스부와 동일 평면에 형성되고, 덕트를 설치할 때에 가이드레일측으로 절곡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로 되고, 상기 설편과의 사이에서 협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가이드레일을 상기 설편의 선단사이에서 대부분 극간이 없는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덕트에 분리되는 방향으로 압압하도록 외력이 작용해도 "요동"이 전혀 없는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덕트용 행거에 있어서, 베이스부와 압압부의 사이에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곡 도움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판되고 있는 공구(예를 들면, 프라이어, 펜치, 또는 몽키스패너 등)를 이용하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간단히 압압부를 절곡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행거에 있어서, 상기 절곡 도움수단은 절곡부위의 중앙에 관통공으로 형성하면, 간단한 가공에 의해 절곡 도움수단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에 있어서, 설편과 접촉부가 1개의 평판상에 플랫한 상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가 이 설편 및 접촉부와 평행한 평판상에 설편의 덕트 반대측 위치에 굴곡되어 연접되어 있으므로, 구성이 단순하며, 설편의 내좌굴하중을 증강시켜 결과적으로 덕트로부터의 응력에 대한 내력을 증가시킨다는 점 및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덕트에 대한 충격하중 등의 영향을 경감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행거에 있어서, 장착수단이 베이스부의 선단쪽으로부터 가이드레일측의 반대쪽으로 약 90°의 각도로 절곡된 연설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행거에 있어서, 장착수단이 베이스의 선단쪽으로부터 동일 평판상에서 되도록 연설된 연설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행거에 있어서, 관통공이 연설부의 일측단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된 긴 관통공이면, 덕트에 행거를 연결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부터 삽입하여 설치부재에 간단히 장착 가능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발명에 의한 설치방법은,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덕트의 둘레면의 일면과의 사이에 홈형상의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 가이드레일을 좌우에 구비한 박스형 단면의 덕트를, 상기 가이드레일을 이용하여 상기 제1발명에 따른 덕트의 행거로 설치하는 덕트의 설치방법으로서, 상기 덕트의 홈형상의 스페이스에 행거의 설편을 삽입하고, 그 다음에 덕트의 상기 일면에 인접하는 면을 압압하도록 압압부재를 가이드레일측으로 절곡하여 행거를 덕트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설치방법에 의하면, 간단하고 신속하게 덕트를 설치부재를 끼워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덕트의 하방으로부터 외력이 작용하여도 "요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행거 및 이 행거를 이용한 설치방법에 의하면,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 작업이 행해짐과 동시에, 덕트에 상방에서의 가속도(외력)가 작용한 경우에도 덕트가 빠지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한 행거, 특히 청구항 2 기재의 행거에 의하면, 프레스가공에 의해 간단하게 원료에 대한 제품의 비율이 양호하게 생산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하여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와 이 행거를 이용한 설치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부재번호 1은 덕트(D)의 일면(D1)(도 3 참조)에 접촉하는 접촉면(접촉부)(1A)을 내면(접촉부의 한쪽면)에 가지는 접촉부로서, 상기 접촉부(1)의 선단쪽에는 상기 선단쪽으로 향하는 설편(tongue piece)(2)이 형성되어 있다.또한, 상기 접촉부(1)의 하단부(1a)의 양측에는 덕트에 고착하기 위한 원형구멍(1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1)와 설편(2)은 하나의 평판상에 플랫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양자의 표면과 이면이 각각 동일 평면 내에 존재한다.
그리고, 베이스부(3)가 굴곡되어 상기 접촉부(1) 및 설편(2)에 연속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베이스부(3)는 덕트(D)의 상기 일면(D1)으로부터 이격되어 즉, 설편(2)에 대하여 덕트(D)의 반대측을 향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3)가 접촉부(1)와 설편(2)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평판에 대하여 평행한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3)에는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덕트(D)측으로부터 볼 때, "긴 원통형상"의 오목부(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3)와 상기 설편(2) 사이에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가이드레일 수납공간(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1개의 평판으로부터 설편(2)의 외형에 맞추어 상기 설편(2)의 3가지 측면을 잘라내고 상기 베이스부(3)에 대하여 설편(2) 및 접촉부(1)가 평행한 평판형으로 되도록 설편(2) 및 접촉부(1)와, 베이스부(3)의 연속부분을 프레스성형으로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부(3)의 양단부에는 각각 압압부(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상기 베이스부(3)에 대하여 압압부(5)를 덕트(D) 측으로 용이하게 절곡시키기 위한 "절곡 도움수단"인 관통공(6)이 상기 베이스부(3)와 상기 압압부(5)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도 2의 절곡상태 참조). 상기 관통공(6)은 개구가 대략 알파벳D자형(도 1에 있어서 우측의 관통공(6)은 대략 D형상, 좌측의 관통공(6)은 대략 역D자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베이스부(3)와 각 압압부(5)는 상기 관통공(6)의 상부와 하부의 연접부분(7a)(7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압부(5)는 덕트(D)의 상기 일면과 인접하는 면(D2)에 면접촉하도록 하단부(5a)가 도 1에 있어서 덕트(D)의 반대쪽으로 약 90도의 각도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하단부(5a)의 양측에는 덕트(D)측에 고정하기 위한 원형구멍(5A)이 뚫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3)의 상단쪽에는 장착용 연설부(8)가 상기 베이스부(3)에 대하여 덕트의 반대쪽으로 약 9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설부(8)에는 장착수단인 장공(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8A)의 일단(연설부(8)의 선단측 일단)은 단면이 개구되어(개방되어)있는데, 상기 장공(8A)의 구멍폭(w)은 천정면 등에 매달려 설치되는 설치부재, 예를 들면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둥근 봉부재(13)(도 3 참조)"의 직경보다 약간 큰 치수이며, 적어도 상기 나사에 장착되는 너트의 외경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장공(8A)의 개방되어 있는 단부에는, 상기 장공(8A)의 개방되어 있는 단부를 폐쇄하는 폐쇄편(8B)이 베이스부(3)의 길이방향을 따라 약 90도의 각도로 절곡되어 구비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베이스부(3)와 연설부(8)의 절곡부분에는 V자형상의 변형부(노치형성부)(9)가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분의 강성을 높이도록 즉, 절곡부분의 단면계수를 증가시켜 베이스부(3)에 대하여 연설부(8)의 각도변형이 어렵도록 구성되어있다.
덕트(D)의 한쪽만을 나타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행거에 의해 설치되는 덕트(D)는, 그 양측에 가이드레일(10)이 덕트(D)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즉,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0)은 덕트(D)의 상기 일면(D1)의 선단부에 역 J자형의 단면이 되도록 2개 겹친 상태로, 상기 덕트(D)의 일면(D1)과의 사이에 쐐기형(홈형)의 극간(스페이스)(S)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0)의 앞쪽인 일면(D1)의 선단부에서 일면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0)과 이격하여 반대측으로 부재를 V자 형상의 홈을 이루도록 접고 그 선단을 내측으로 접어 "이음매구조"의 암부(female portion)(시임홈:seam groove)(11)를 형성하고, 덕트(D)의 상기 일면(D1)에 인접하는 면을 외면으로 구비한 부재의 선단에 형성되며 상기 "이음매구조"의 숫부(male portion)가 되는 삽입부(12)가 상기 시임홈(11)에 삽입되어 덕트(D)의 이음 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2)의 선단에는 소위「미늘」형태의 리턴 결합편(12A)이 형성되어 상기 시임홈(11)으로부터 삽입부(12)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도 3에서는 상자형 사각 단면을 가지는 1개의 모서리부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사각 단면을 가진 4개의 모서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덕트용 행거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덕트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덕트용 행거의 작용과 함께 상기 덕트용 행거를 이용한 덕트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덕트용 행거를 접촉부(1)의 접촉면(1A)과 설편(2)의 내면측의 접촉면(2A)으로 이루어진 1개의 평면이 덕트(D)의 일면(D1)에 면접촉하는 상태로, 이 설편(2)의 선단을 상기 덕트(D)(도 2, 도 3 참조)의 가이드레일(10)과 상기 일면(D1) 사이에 형성된 쐐기형(홈형)의 극간(S)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도 2 및 도 3(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0)은 베이스부(3)와 설편(2)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 수납공간(4)내에 수납됨과 동시에, 상기 압압부(5)의 하단이 덕트(D)의 상단과 거의 동등한 위치, 정확하게는 덕트(D)의 상단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압압부(5)를 도 1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D)측으로 약 90도의 각도로 절곡한다. 즉 작용효과적인 측면에서, 압압부(5)의 하단(5c)이 덕트(D)의 상면(상기 일면(D1)에 인접한 면(D2))의 위쪽에 놓이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면, 90도 이하의 각도(예를 들면 약 45도)로 절곡되거나 90도 이상의 각도로 절곡되어도 좋다.
이 상태에 있어서, 필요하다면 상기 원형구멍(1d)(5A)을 이용하여 블라인드리벳(blind rivet) 또는 스크류 등으로 상기 덕트용 행거와 덕트(D)를 고정해도 좋다.
그리고, 설치부재, 예를 들면 둥근 봉부재(13)에 상하 한 쌍의 너트(14A)(14B)를 상하로 간격을 두고 나사 장착한 경우, 상기 덕트(D)에 일체로 장착된 행거의 연설부(8)의 장공(8A)을 상기 둥근 봉부재(13)의 너트(14A)(14B) 사이 부분에 횡방향으로 끼우고, 상기 너트(14A)(14B)가 연설부(8)를 고정하도록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너트(14A)(14B)를 체결하고, 상기 장공(8A)의 폐쇄편(8B)을 장공(8A)의 둘레면과 동일하게 되도록 약 90도 각도로 절곡시켜 장공(8A)의 개구되어 있는 부분을 폐쇄한다(도 3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한 행거에 의하면 일련의 설치단계에 따라 간단하게 덕트(D)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대안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설부(8)를 베이스부(3)와 플랫한 상태로 구성한 행거를 이용하여 덕트(D)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10)을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덕트(D)의 이음매부분이 90도 각도로 회전된 위치상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절곡 도움수단"인 관통공은, 상기 관통공(6)(도 1참조) 대신에 원형구멍이어도 좋으며, 절곡할 때의 휨강성을 저하시키는 것이면 다른 형태이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압압부를 행거를 덕트(D)측에 고정할 때에 절곡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것을 대신하여 도 6 내지 도 8, 도 9 내지 도 11,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각 실시예와 같이, 미리 고정적으로 설편과의 사이에서 가이드레일(10)을 협지하도록 구성해도 좋으며,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정도의 탄성을 구비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덕트(D)측에 리벳, 스크류 등으로 고정하도록 구성하여도, 덕트(D)에 대하여 행거의 고정을 안정적으로 하는 데에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또한, 상기 도 6 내지 도 14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3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여 그 구성을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의 것은 물론이고, 도 6 내지 도 14에 도시된 어느 쪽의 행거의 경우에도, 설치부재(둥근 봉부재)로 설치한 상태에서, 만일 덕트(D)에 하방으로부터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압압부(5)의 하단과 덕트(D)의 상면과의 극간(h5)이 설편(2)의 가이드레일(10)부분의 쐐기형 극간(S)에서의 연결길이(h2) 보다 작기 때문에 빠져나가지 않는다.
본 발명의 행거는 건설설비의 일종인 공조용 또는 흡배기용 등에 사용되는 박스 단면형태의 덕트를 효과적으로 매다는데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덕트의 둘레면쪽의 일면 사이의 협소한 홈형상의 스페이스에 연결수단을 삽입하여 체결하고, 상기 덕트를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매달아 설치하는 덕트용 행거에 있어서,
    상기 행거가 상기 일면에 면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선단쪽으로 향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설편과,
    상기 설편과의 사이에 가이드레일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덕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속적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설편과의 사이에서 가이드레일을 협지하도록 상기 덕트의 상기 일면에 인접하는 면을 상기 설편의 선단쪽으로 압압하는 압압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부재를 장착하는 장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동일 평면에 형성되고, 덕트를 설치할 때에 가이드레일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설편과의 사이에서 가이드레일을 협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3. 제2항에 있어서,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곡 도움수단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압압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도움수단은 절곡부위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편과 상기 접촉부는 1개의 평면상에 플랫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설편 및 접촉부와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설편의 덕트 반대측 위치에 굴곡되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베이스부의 선단쪽으로부터 가이드레일로부터 반대측으로 약 90°의 각도로 절곡된 연설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베이스부의 선단쪽으로부터 동일 평판상으로 되도록 연설된 연설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이 연설부의 일측단은, 개방된 장공의 관통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9.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덕트의 둘레면의 일면과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 홈형상의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을 좌우에 구비한 박스형 단면형상의 덕트를 상기 가이드레일을 이용하여 청구항 2의 덕트용 행거로 상기 덕트를 설치하는 덕트설치방법으로서,
    상기 덕트의 홈형상의 스페이스에 행거의 설편을 삽입하고, 상기 덕트의 상기 일면에 인접하는 면을 압압하도록 압압부재를 가이드레일측으로 절곡하여 행거를 덕트에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설치방법.
KR10-2001-7009729A 1999-02-22 2000-02-18 덕트용 행거 및 이 행거를 이용한 덕트설치방법 KR100403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27599 1999-02-22
JPJP-P-1999-00043275 1999-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927A true KR20010101927A (ko) 2001-11-15
KR100403489B1 KR100403489B1 (ko) 2003-10-30

Family

ID=1265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729A KR100403489B1 (ko) 1999-02-22 2000-02-18 덕트용 행거 및 이 행거를 이용한 덕트설치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463961B1 (ko)
EP (1) EP1164336A4 (ko)
JP (1) JP3650029B2 (ko)
KR (1) KR100403489B1 (ko)
CN (1) CN1158487C (ko)
AU (1) AU746922B2 (ko)
CA (1) CA2362521C (ko)
HK (1) HK1044187B (ko)
WO (1) WO20000508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3983A1 (en) * 2004-05-27 2005-12-01 Saul Jonathan R Safety cable mount
US7661632B2 (en) * 2006-05-08 2010-02-16 Panduit Corp. Mounting device for studs comprising T-shaped channels
US9347476B2 (en) * 2011-04-22 2016-05-24 Jbt Steel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duct by inserted corner members
US10066763B2 (en) * 2011-04-22 2018-09-04 Jbt Steel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duct by inserted corner members
US9200729B2 (en) * 2013-05-24 2015-12-01 Paul E. HOBBS Combination hanger and reinforcement bracket
WO2015023838A1 (en) * 2013-08-14 2015-02-19 Jeffrey Cars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duct by inserted corner members
CN104455731B (zh) * 2014-11-17 2016-04-27 中国石油天然气第一建设公司 一种快速批量制作t型管托的方法
US11402121B2 (en) * 2015-03-25 2022-08-02 Sterling Custom Sheet Metal, Inc. Insulated register box with boot rail adaptor
USD794435S1 (en) * 2015-12-10 2017-08-15 Justin Ash Clip
US20200049366A1 (en) * 2018-08-10 2020-02-13 Bobby Dewayne Harris Duct Board System and Method
US11539198B2 (en) * 2019-04-09 2022-12-27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able tray isolation pa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6118A (en) * 1941-03-24 1942-06-09 John E Sleeth Pipe hanger
NL299368A (ko) * 1962-10-18 1900-01-01
US4101108A (en) * 1977-06-06 1978-07-18 Lear Siegler, Inc. Shelf clip
US4760981A (en) * 1986-12-04 1988-08-02 Hodges Bonnie E Heating boot hanger assembly
JPS6447741A (en) * 1987-08-18 1989-02-22 Nippon Kayaku Kk Production of 2,4-dichloro-3-ethyl-6-nitrophenol
JPH04186050A (ja) * 1990-11-16 1992-07-02 N K Seisakusho:Kk 空調用矩形ダクトの支持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ダクト受け具
US6056021A (en) 1996-05-14 2000-05-02 Jam Kabushiki Kaisha Duct joint structure, assembly tool, duct assembly method and hanger
JP3108651B2 (ja) * 1996-05-14 2000-11-13 エアシステム株式会社 ダクトの継手構造とその組立工具とダクトの組立方法および該継手構造用吊り金具
US6315489B1 (en) * 1998-11-30 2001-11-13 Nichiha Corporation Fasten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44187A1 (en) 2002-10-11
AU2573400A (en) 2000-09-14
CA2362521C (en) 2006-06-20
EP1164336A1 (en) 2001-12-19
KR100403489B1 (ko) 2003-10-30
US6463961B1 (en) 2002-10-15
WO2000050820A1 (fr) 2000-08-31
CN1352737A (zh) 2002-06-05
JP3650029B2 (ja) 2005-05-18
AU746922B2 (en) 2002-05-02
CA2362521A1 (en) 2000-08-31
HK1044187B (zh) 2005-03-04
EP1164336A4 (en) 2004-08-04
CN1158487C (zh) 200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489B1 (ko) 덕트용 행거 및 이 행거를 이용한 덕트설치방법
US4494350A (en) Aluminum suspension system
CA2984852C (en) Electrical box bar hanger
US4272937A (en) Panel construction
JPH07252906A (ja) 吊り下げ器具
KR920012685A (ko) 현수 천정용 만곡 격자 t형 부재
US5423507A (en) Bracket for holding ceiling suspended fixtures
KR200381958Y1 (ko) 원터치 행거
KR101803723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444230Y1 (ko)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KR20190102549A (ko) 케이블 트레이 결합체
US11342733B2 (en) Bracket system for mounting electrical boxes
KR200436794Y1 (ko) 천장용 패널
JP3077974U (ja) 建築用骨材の吊持装置
KR0124505Y1 (ko) 케이블 배선용 랙
JP2007146394A (ja) 天井点検口における外枠の取付構造
JP3025611U (ja) システムライン型吹出口の取付構造
JPH0318567Y2 (ko)
KR200300960Y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구
JPH082393Y2 (ja) グリルシャッタのカーテンジョイント
EP0266330A1 (en) Ceiling panel suspension frame
JPS6310564Y2 (ko)
JPH0334415Y2 (ko)
JPS61295615A (ja) 取付金具
JP3406471B2 (ja) 天井材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