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141A - 마찰맞물림장치 및 마찰맞물림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마찰맞물림장치 및 마찰맞물림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141A
KR20010101141A KR1020017007085A KR20017007085A KR20010101141A KR 20010101141 A KR20010101141 A KR 20010101141A KR 1020017007085 A KR1020017007085 A KR 1020017007085A KR 20017007085 A KR20017007085 A KR 20017007085A KR 20010101141 A KR20010101141 A KR 20010101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al engagement
friction
electric field
force
fri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7433B1 (ko
Inventor
스즈키아츠시
가와바타마사타카
Original Assignee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아끼히로
Publication of KR20010101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7/00Liquid-resistance brakes; Brakes using the internal friction of fluids or fluid-like media, e.g. powders
    • F16D57/002Liquid-resistance brakes; Brakes using the internal friction of fluids or fluid-like media, e.g. powders comprising a medium with electrically or magnetically controlled internal friction, e.g. electrorheological fluid, magnetic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8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electro-magneti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6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 F16D25/062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 F16D25/063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 F16D25/0635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16D25/0638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with more than two discs, e.g. multip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8/00Electrically-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064Control of electrically or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2Actuator
    • F16D2500/1021Electrica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43Clutch type
    • F16D2500/1045Friction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4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 F16D2500/30402Clutch friction coeffic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4Output parameters from the control unit; Target parameters to be controlled
    • F16D2500/70402Actuator parameters
    • F16D2500/7042Voltage

Abstract

마찰맞물림장치의 마찰면에 전장을 부여하면 마찰면의 마찰계수가 변화하는 것에 착안하여 이 현상을 이용하여 전달력을 제어한다. 푸시력의 작용으로 마찰맞물림부재 끼리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마찰맞물린다. 마찰맞물림부재의 사이에 전장을 부여하면 마찰면의 마찰계수가 변화하여, 전달력을 변화할 수 있다. 마찰맞물림장치는 예를 들면 클러치장치(10)이다. 입력디스크(6)에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마찰부재(20)가 설치되고, 마찰부재(20)가 출력디스크(22)와 맞물린 마찰면은 윤활되고 있다. 제어장치(30)는 전압인가장치(28)를 제어하여 전극(26)에 전압을 인가하여 원하는 전달력을 얻는다.

Description

마찰맞물림장치 및 마찰맞물림제어방법{FRICTIONAL ENGAGING DEVICE AND FRICTIONAL ENGAGEMENT CONTROL METHOD}
마찰맞물림장치는 주지와 같이 마찰력을 이용하여 힘을 전달하는 것으로, 각종 장치에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는 클러치가 자동변속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차륜에 설치되는 마찰브레이크도, 마찰맞물림장치의 하나라고 생각할 수 있다.
종래, 마찰맞물림장치의 전달력을 임의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마찰면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변화시키는 기계적인 유압제어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계적 제어 이외의 방법으로 마찰맞물림장치의 전달력을 제어할 수 있으면, 장치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참고기술로서, 일본국 특개평8-135688호 공보는 전기점성유체를 사용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전기점성유체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점도가 변하는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전압제어에 의해 전달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점도변화만으로 전달력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발생 가능한 전달력이 작다. 또 유체로 유닛내가 채워져 있기 때문에 교반저항이 크다.
다른 참고기술로서, 일본국 특개평10-26150호 공보의 전기제어운동전달장치에서는 구동물체와 피구동물체의 대향면이 간극을 개방하여 배치되고, 이 간극에 전자전도성을 가지는 섬유가 개재하고 있다. 양 물체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섬유가 정전인력의 작용으로 털이 일어나 양 대향면의 사이에 전단력이 발생한다. 이 전단력에 의해 전달력이 얻어진다. 또한 인가전압의 제어에 의해서 전달력을 조절할 수 있다. 유사한 참고기술은, 일본국 특개평9-53663호 공보 및 특개평10-9643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참고기술은, 기본적으로 섬유의 정전인력에 의해 전달력을 얻는 것으로, 매우 한정된 범위의 작은 전달력밖에 발생할 수 없다. 전압인가에 의해서 얻어지는 정전인력은 미소하기 때문이다. 또 매체로서의 전기점성유체로 구동물체와 피구동물체의 간극을 채우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발생가능한 전달력은 마찬가지로 작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달력제어는, 주로 기계적인 유압제어기구에 의해 행하여지고 있다. 전압인가에 의해 유체점도나 정전인력을 제어하는 기술도 있으나, 기계적인 마찰맞물림은 중단되고, 그리고 작은 전달력밖에 얻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배경기술하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망의 전달력이 얻어지는 적합한 마찰맞물림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마찰맞물림에 의한 전달력을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는 마찰맞물림장치 및 마찰맞물림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찰맞물림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단판식 클러치장치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인가전압과 마찰면의 마찰계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인가전압과 마찰면의 마찰계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판식 클러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마찰맞물림장치의 마찰면에 전장(電場)을 부여하면 마찰면의 마찰계수가 변화하는 것에 착안하고, 그리고 이 현상을 이용하여 전달력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마찰맞물림장치는, 서로 마찰맞물리는 복수의 마찰맞물림부재와, 상기 복수의 마찰맞물림부재를 마찰맞물리게 하기 위한 푸시력을 발생하는 푸시력 발생장치와, 상기 복수의 마찰맞물림부재의 사이에 전장을 부여하여 마찰면의 마찰계수를 변화시키는 전장부여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찰맞물림장치에 의하면 푸시력의 작용으로 복수의 마찰맞물림부재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마찰맞물린다. 전장부여장치가 복수의 마찰맞물림부재의 사이에 전장을 가한다. 전장을 가함으로써 마찰맞물림부재 사이의 마찰면의 마찰계수가 변화된다. 전달력은 푸시력과, 마찰면의 마찰계수에 따른다. 따라서 전장의 부여에 의해 마찰맞물림장치의 전달력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장부여장치에 의해 주어지는 전장의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설치된다. 전장의 세기에 따라 마찰면의 마찰계수가 증감하여 전달력이 변화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마찰맞물림부재의 마찰면이 윤활제에 의해 윤활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윤활제가 유극성 첨가물질을 포함한다. 전장의 영향으로 유극성의 첨가물질은 마찰면에 흡착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첨가물질의 흡착에 의해 마찰면의 마찰계수가 변화된다고 생각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마찰맞물림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마찰부재가 설치된다. 이 마찰부재를 거쳐 입력측과 출력측이 접촉한다. 따라서 소망의 전장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다. 전기소비량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마찰맞물림장치는 예를 들면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장치이다.
마찰맞물림장치는 푸시력를 증감시키는 푸시력 제어장치를 포함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마찰맞물림제어방법에 의하면, 서로 마찰접촉하는 복수의 마찰맞물림부재의 사이에 전장을 가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마찰맞물림부재 사이의 전달력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찰맞물림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마찰맞물림부재(1a, 1b)는 서로 마찰맞물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푸시력 발생장치(3)는 마찰맞물림부재(1a, 1b)를 마찰맞물리게 하기 위한 푸시력을 발생한다. 윤활기구(5)는 마찰맞물림부재(1a, 1b)의 마찰면을 윤활한다. 전장부여장치 (7)는 마찰맞물림부재(1a, 1b)의 사이에 전장을 가한다. 전장의 부여에 의해 마찰면의 마찰계수가 변화되어 전달력이 변화된다.
제어장치(9)는 푸시력 발생장치(3) 및 전장부여장치(7)를 제어한다. 제어장치(9)는 푸시력 발생장치(3)에 푸시력를 발생시키고, 또 전장부여장치(7)가 발생하는 전장의 세기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마찰맞물림부재(1a, 1b)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것이 적합하다. 전장의 세기에 따라 마찰면의 마찰계수가 변하기때문에 소망의 크기의 전달력을 얻을 수 있다.
도 2에서는 단판타입의 클러치장치(10)에 본 발명이 적용되고 있다. 철제의 입력축(12) 및 출력축(14)은 동일축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들 축(12, 14)은 절연부재를 거쳐 지지되고, 또 절연부재를 거쳐 다른의 축에 연결되어 있다.
입력디스크(16)는 입력축(12)에 설치된 코어판(18)과, 코어판(18)에 설치된 마찰부재(20)를 포함한다. 마찰부재(20)는 종이재료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출력축(14)에는 출력디스크(상대디스크)(22)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16, 22)는 본 발명의 마찰맞물림부재에 상당한다. 그리고 마찰부재(20)와 출력 디스크 (22)의 양 대향면이 마찰면이고, 소정의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양 디스크(16, 22)는 푸시력 발생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푸시력(Fc)으로 서로 가압되어 마찰접촉한다. 푸시력 발생장치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자동변속기 등에 사용하는 주지의 유압기구로 좋다. 유압기구는 푸시력를 임의로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또는 가지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 양 디스크(16, 22)의 마찰면은 윤활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윤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양 디스크(16, 22)를 둘러싸는 하우징이 설치되고, 하우징의 내부가 윤활유로 채워진다. 이에 의하여 양 디스크(16, 22)가 윤활유 속에 침지된다.
단, 양 마찰판 전체가 윤활유로 채워져 있지 않아도 좋다. 마찰표면이 충분히 윤활되는 정도의 최소한의 구성을 설치하는 것도 적합하고, 교반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윤활유는 바람직하게는 유극성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유기첨가제(마모방지제, 청정분산제 등), 도전성입자(카본입자 등), 또는 유전 폴리머입자(폴리아닐린, 폴리α아미노산 등)의 적어도 하나가 매체오일 속에 분산되어 있다. 매체오일으로서는 예를 들면, 식물·동물계 오일, 광유 등의 탄화수소계오일, 실리콘오일, 그 밖의 합성오일, 액정,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도 2로 되돌아가 입력축(12)에는 접지된 제 1 전극(24)이 설치되어 있다. 출력축(4)에는 제 2 전극(26)이 설치되어 있고, 전극(26)은 전압인가장치(28)에 접속되어 있다.
전압인가장치(28)는 본 발명의 전장부여장치의 한 형태이다. 전압인가장치 (28)는 전원부 및 전압변환부를 포함하고, 제어장치(30)에 의한 제어하에서 소망의 전압(Vc)을 전극(24, 26)의 사이에 발생시킨다. 마찰부재(20)로 전극 사이가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전압(Vc)에 대응하는 전장이 마찰면에 부여된다. 푸시력(Fc)으로 가압되어 있는 마찰면은 경계 윤활상태에 있다. 마찰면에 전장이 부여되면 마찰면의 마찰계수(μc)는 전장의 세기에 따른 값이 된다. 그리고 입출력축 사이의 전달력은 이 마찰계수(μc)에 따라 결정된다.
전장을 부여하면 마찰계수(μc)가 변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이 추정된다.강전장하에 있어서는 윤활유속에 있는 첨가제 또는 분산입자의 마찰계면에 대한 흡착력이 변화한다. 그리고 마찰계면에 대한 흡착량이 변화하는 결과, 마찰면 사이의 경계마찰력이 증감한다고 생각된다.
도 3 및 도 4의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윤활유 및 첨가물질의 종류에 따라 전장을 부여하였을 때에 마찰계수가 증대 또는 저감한다. 가로축은 슬라이딩속도이고, 세로축은 마찰계수이다. 도 3 및 도 4는 디스크 전체가 윤활유에 침지된 상태에서의 마찰계수이다.
도 3에 있어서 윤활유는 카본입자를 분산시킨 실리콘오일이다. 전장을 부여하지 않은 상태와 비교하여 전장하에 있어서는 마찰계수가 저하한다. 카본입자가 마찰면에 흡착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도 4에 있어서 윤활유는 폴리머 또는 유기첨가제를 분산시킨 광유이다. 전장하에 있어서는 마찰계수가 증대하고 있다. 폴리머 또는 유기첨가제가 마찰면에 흡착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현하는 경우, 첨가물을 포함한 윤활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의 장치에 사용하는 윤활유는 첨가물을 포함하고 있는 일이 많기 때문에 이 첨가물의 성질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첨가물질을 포함하지 않은 윤활유를 사용한 경우에도 전장에 의해 마찰계수는 변화된다. 따라서 첨가물질을 빼더라도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성질을 이용하여 제어장치(30)는 입출력축 사이의 전달력을 제어한다. 제어장치(30)는 각종 센서(32)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필요한 전달력이얻어지도록 전압(Vc)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이 자동차의 자동변속기에 적용되는 경우, 센서(32)는 차속, 엑셀러레이터개방도, 축레버조작, 오일온도등을 검출한다. 결정된 전압(Vc)이 전극(26)에 주어져 전압(Vc)에 대응하는 전장이 발생한다. 그 결과 소망의 마찰계수 및 전달력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5에서는 다판식의 클러치장치(40)에 본 발명이 적용되고 있다. 클러치장치(40)는 전형적인 자동변속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클러치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2의 클러치장치(10)는 한 쌍의 마찰맞물림부재를 가지나, 도 5의 클러치장치(40)는 교대로 배치된 복수매의 클러치판을 가지고, 즉 마찰맞물림부재의 쌍이 복수 세트있다. 이하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입력축(42) 및 출력축(44)은, 동일축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입력디스크베이스(46) 및 출력디스크베이스(48)는 각각 입력축(42) 및 출력축(44)에 절연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철제의 출력디스크베이스(48)의 스플라인부(48a)에는, 복수매의 코어판(50)이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다. 코어판(50)의 양측에는 마찰부재(5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입력디스크베이스(46)의 스플라인부(46a)에는 복수매의 상대부재(54)가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대부재(54)와 코어판(50)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입력디스크베이스(46)에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피스톤(56)이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절단상태에서는 피스톤(56)은 리턴스프링958)의 작용으로 기준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클러치 접속상태에서는 피스톤(56)이 배면의 유압실에 공급되는 유압의 작용으로 출력축(44)의 방향으로 밀린다. 그 결과 마찰부재(52)가 상대부재(54)에 가압되어 클러치가 맞물린다.
입력디스크베이스(46)는 접지된 전극(60)을 가지고, 출력디스크베이스(48)는 전압인가장치(64)에 접속된 전극(62)을 가진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어장치 (66)가 각종 센서(68)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전압인가장치(64)를 제어하여 전압(Vc)을 전극(62)에 인가한다. 이에 의하여 전압(Vc)에 따른 전달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이 클러치장치에 적용되고 있었으나, 본 발명은 다른 타입의 마찰맞물림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브레이크, 디퍼렌셜 등의 작동제한장치, 토오크전달 커플링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경우, 출력측의 마찰맞물림부재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차량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산업기계용의 각종 유닛을 포함하는 여러가지의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크의 플랫면 끼리가 접촉하여 맞물리나, 다른 타입의 맞물림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축에 배치된 2개의 원통면(바깥쪽 원통면과 안쪽 원통면)이 맞물리는 맞물림장치에도 본 발명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찰맞물림을 위한 푸시력은 유압에 의해 얻어지고 있었으나, 다른 임의의 타입의 푸시력 발생수단도 본 발명의 범위내이다. 예를 들면 스프링이 푸시력를 발생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푸시력 발생수단은 결과적으로 마찰면의 푸시력을 얻을 수 있는 구성이면 좋다. 따라서 인장, 확장, 축소, 또는 다른 동작의 결과으로 푸시력를 얻는 구성도 본 발명의 푸시력 발생장치에 포함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마찰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와 상대 디스크가 윤활유로 윤활된 상태에서 맞물릴 때에 이들 디스크 사이에 임의의 전장을 부여함으로써 마찰면의 마찰계수를 임의로 증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새로운 마찰맞물림유닛이 제공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 하기와 같은 이점이 얻어진다.
(1) 마찰재측의 디스크와 상대 디스크의 마찰맞물림에 의한 힘의 전달에 있어서, 유압 등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마찰력을 변화시키는 일 없이, 전달력을 임의로 바꿀 수 있다. 기계적으로는 일정한 푸시력이 얻어지면 좋고, 전달력은 전기적으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 의하면 마찰면 사이의 마찰계수의 직접적인 제어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유압제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해칭현상이 생기지 않는다.
또 마찰계수의 직접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전달력제어의 응답이 빨라 전달력을 순간적으로 바꿀 수 있다. 이것을 이용하여 유압 해칭 등에 의한 전달력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전달력의 진동을 검출하여 이 진동이 상쇄되도록 마찰계수를 증감시킴으로써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3-1) 일정한 푸시력를 부여하는 간소한 유압기구가 설치되면 좋고, 유압제어용의 밸브를 삭감하여 유압회로를 간소화할 수 있다.
(3-2) 단, 물론 유압제어기구와 본 발명의 구성을 병존시키는 것도 적합하다. 즉, 마찰맞물림장치에 푸시력 제어장치가 설치된다. 이에 의하여 광범위한 미세한 전달력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단계의 전달력 범위를 설정한다. 전달력 범위의 전환은 유압에 의한 푸시력의 제어에 의해 행한다. 그리고 해당 범위내의 전달력의 조정은 전장의 부여 및 제어에 의해 실현한다.
(4)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마찰부재가 마찰맞물림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다. 마찰부재에 마찰면이 설치되어 있다. 이 마찰부재를 거쳐 전장을 인가하고 있기 때문에 전력소비가 거의 없다. 따라서 전력을 거의 쓰지 않고서 전달력을 제어할 수 있다.
(5) 윤활유는 일반적인 ATF 등의 기어오일, 엔진오일, 그 밖의 각종 유체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저비용으로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6) 전장의 부여에 의해 마찰계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기계적인 마찰력에 의한 전달력을 증대할 수 있다. 따라서 마찰맞물림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다판식 클러치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크매수를 저감할 수 있어 축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유닛의 경량화 및 컴팩트화를 할 수 있다.
(7) 전장의 부여에 의해 마찰계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전달력은 마찰계수와 푸시력의 곱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마찰계수가 증대하는 대신에 푸시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맞물림개시 시의 쇼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인가전압을 미세하게 제어함으로써 맞물림요소의 급맞물림에 의한 쇼크의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맞물림개시로부터 맞물림완료까지의 맞물림 도중의 과정에서(실제로는 극단시간) 마찰계수의 변동이 발생하는 일이 있어, 이것이 맞물림 쇼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맞물림 도중의 마찰계수의 변동이 상쇄되도록 전장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적당한 센서를 사용하여 전달력을 검출하고, 인가전압을 제어하여(피드백제어 등) 전달력 변동을 저감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에 의하여 맞물림과정에서 전달력을 매끄럽게 증대시켜 맞물림 쇼크의 저감이 도모된다.
(8) 목적에 따라 마찰재료 및 유체의 조합을 바꿈으로써,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장을 부여하여 마찰계수를 내리거나, 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장을 부여하여 마찰계수를 올릴 수 있다. 따라서 전달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행하여 소망의 전달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장의 부여에 의해 마찰면의 마찰계수를 변화시켜 전달력을 제어하기 때문에 마찰맞물림장치의 간소화 및 진동억제 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마찰맞물림장치는 예를 들면 클러치장치에 적용가능하고, 또는 브레이크장치에 적용가능하고, 또 다른 맞물림장치 및 전달장치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11)

  1. 서로 마찰맞물리는 복수의 마찰맞물림부재와,
    상기 복수의 마찰맞물림부재를 마찰맞물리게 하기 위한 푸시력을 발생하는 푸시력 발생장치와,
    상기 복수의 마찰맞물림부재의 사이에 전장을 부여하여 마찰면의 마찰계수를 변화시키는 전장부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맞물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여장치에 의해 부여되는 전장의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맞물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찰맞물림부재의 마찰면이 윤활제에 의해 윤활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맞물림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가 유극성의 첨가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맞물림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질이 상기 전장부여장치에 의해 전장이 부여되었을 때에 상기 복수의 마찰맞물림부재 사이의 마찰계수를 증대시키는 성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맞물림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질이 상기 전장부여장치에 의해 전장이 부여되었을 때에 상기 복수의 마찰맞물림부재 사이의 마찰계수를 저하시키는 성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맞물림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찰맞물림부재의 적어도 하나가 절연재료로 만들어진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맞물림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력 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푸시력를 제어하는 푸시력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맞물림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이 마찰맞물림장치는 클러치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맞물림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이 마찰맞물림장치는 브레이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맞물림장치.
  11. 서로 마찰접촉하는 복수의 마찰맞물림부재의 사이에 전장을 가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마찰맞물림부재 사이의 전달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맞물림제어방법.
KR10-2001-7007085A 1998-12-08 1999-11-05 마찰맞물림장치 및 마찰맞물림제어방법 KR100427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49041 1998-12-08
JP34904198A JP3712877B2 (ja) 1998-12-08 1998-12-08 摩擦係合装置および摩擦係合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141A true KR20010101141A (ko) 2001-11-14
KR100427433B1 KR100427433B1 (ko) 2004-04-14

Family

ID=1840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085A KR100427433B1 (ko) 1998-12-08 1999-11-05 마찰맞물림장치 및 마찰맞물림제어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64916B1 (ko)
EP (1) EP1164306B1 (ko)
JP (1) JP3712877B2 (ko)
KR (1) KR100427433B1 (ko)
CN (1) CN1180326C (ko)
BR (1) BR9916093A (ko)
DE (1) DE69917334T2 (ko)
WO (1) WO20000346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8817A1 (en) * 1999-07-19 2002-08-15 Sieber Paul Ray Drive axle assembly with rheological fluid retarder
EP1948952B1 (de) * 2005-11-11 2009-03-25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erfahren zum ermitteln einer motorspannungsgrenze eines kupplungsstellmotors
US8550222B2 (en) * 2007-08-16 2013-10-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tive material based bodies for varying frictional force levels at the interface between two surfaces
JP5603217B2 (ja) * 2010-12-02 2014-10-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車両の制動方法及び制動装置
JP5948981B2 (ja) * 2012-03-07 2016-07-06 藤倉化成株式会社 クラッチ装置
US10355624B2 (en) * 2014-10-09 2019-07-16 Carnegie Mellon University Electrostatic clutch
US10138953B1 (en) * 2015-07-23 2018-11-27 Sri International Electrostatic clutch and transmissions
CA3150252A1 (en) * 2019-09-06 2021-03-11 Hussein Dourra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CLUTCH PARAMETERS
JP2022062423A (ja) * 2020-10-08 2022-04-20 昭和電工株式会社 湿式クラッチ装置及び湿式ブレー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8044A (en) * 1951-01-18 1956-03-13 Eaton Mfg Co Electromagnetic plate clutch
US2955692A (en) * 1958-11-24 1960-10-11 Albert G Thomas Magnetic clutch
GB8615874D0 (en) * 1986-06-28 1986-08-06 Automotive Prod Plc Friction material & carrier plate assembly
GB2217401A (en) * 1988-04-15 1989-10-25 Donald William White Gear selector device
US4896754A (en) * 1988-08-25 1990-01-30 Lord Corporation Electrorheological fluid force transmission and conversion device
US5090531A (en) * 1990-01-10 1992-02-25 Lord Corporation Electrophoretic fluid differential
JPH06288418A (ja) * 1993-03-31 1994-10-11 Tonen Corp 摩擦制御方法
JP3109394B2 (ja) 1994-11-04 2000-11-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制御運動伝達装置
JPH08135688A (ja) 1994-11-04 1996-05-31 Nissan Motor Co Ltd 運動伝達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H08312523A (ja) 1995-05-16 1996-11-26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力発電装置
JP3307180B2 (ja) 1995-08-14 2002-07-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制御運動伝達方法及び運動伝達装置
JPH1025150A (ja) 1996-07-10 1998-01-27 Alpha Kaken Kk セラミック成形材料および成形方法
JPH1026150A (ja) 1996-07-12 1998-01-27 Nissan Motor Co Ltd 電気制御運動伝達装置
JPH1096435A (ja) 1996-09-24 1998-04-14 Akebono Brake Res & Dev Center Ltd 動力伝達装置
DE19735897A1 (de) * 1997-08-19 1999-02-25 Bayer Ag Kupplung
US6122130A (en) * 1997-10-27 2000-09-19 Seagate Technology, Inc. Intelligent lubricant for ramp load/unload
JP3893214B2 (ja) * 1998-03-31 2007-03-14 株式会社日本触媒 機械の制御方法及び機械の制御装置
CN1085855C (zh) * 1998-12-25 2002-05-29 清华大学 对金属/陶瓷摩擦副的摩擦系数进行主动控制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17334D1 (de) 2004-06-17
EP1164306A4 (en) 2003-03-05
JP3712877B2 (ja) 2005-11-02
DE69917334T2 (de) 2005-05-12
EP1164306B1 (en) 2004-05-12
CN1180326C (zh) 2004-12-15
CN1329703A (zh) 2002-01-02
WO2000034676A1 (fr) 2000-06-15
US6564916B1 (en) 2003-05-20
BR9916093A (pt) 2001-11-13
EP1164306A1 (en) 2001-12-19
JP2000170794A (ja) 2000-06-20
KR100427433B1 (ko) 200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5753A (en) Torque transfer apparatus using magnetorheological fluids
KR100427433B1 (ko) 마찰맞물림장치 및 마찰맞물림제어방법
KR100484212B1 (ko) 반력회로를구비한클러치조립체
KR20010020252A (ko) 작동 및 감쇠 장치
US6412618B1 (en) Ball-ramp-actuated friction clutch controlled by a particle-clutch
US6745879B1 (en) Hydromechanical coupling with clutch assembly and magnetorheological clutch actuator
RU2561431C2 (ru) Двойное сцепление с дифференциатором
US8127907B1 (en) Marine transmission using rheological fluids
US6988602B2 (en) Torque transfer coupling with magnetorheological clutch actuator
US6755290B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four-wheel drive vehicle
US3144921A (en) Electrofluid coupling
US20110143872A1 (en) Electronic control v-bel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mechanism
Iqbal et al.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 of drag torque in open multi-disks wet clutches
KR20010007400A (ko) 마찰 연결부와 상호 접촉을 통하여 운동을 전달하는 두구성 성분 사이의 미끄러짐을 결정하는 방법
JPH11117952A (ja) 変速機
KR100369415B1 (ko) 제어 가능한 점성 커플링
EP0225389B1 (en)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utilizing viscous fluid
KR100820204B1 (ko)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클러치 디스크의 가변식 댐핑 장치
US6729996B2 (en) Field responsive fluids for lubrication and power transmission
CN1040421A (zh) 线性响应式限制空转差速器
CN206918123U (zh) 一种离合器及使用该离合器的变速器
JP2007051672A (ja) 回転伝達装置
SU832158A1 (ru) Муфта
JPH02176230A (ja) 流体ダンパ
CN104863989A (zh) 新型汽车用电流变自动离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