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0602A - 생약 성분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 성분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0602A
KR20010100602A KR1020000023919A KR20000023919A KR20010100602A KR 20010100602 A KR20010100602 A KR 20010100602A KR 1020000023919 A KR1020000023919 A KR 1020000023919A KR 20000023919 A KR20000023919 A KR 20000023919A KR 20010100602 A KR20010100602 A KR 20010100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alopecia
weight
composition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4944B1 (ko
Inventor
정태호
정종찬
Original Assignee
정태호
정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호, 정종찬 filed Critical 정태호
Priority to KR1020000023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944B1/ko
Publication of KR20010100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Cosme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천궁, 당귀, 작약, 지황, 우방, 천화분, 시호, 황금, 치자, 연교, 길경, 감초, 방풍, 백지, 황백, 형개 및 지각의 수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탈모증 치료제 조성물은 항암제 투여로 인한 탈모증 및 피부 손상에 효과가 있으며, 남성형 탈모증 및 여성의 탈모증에 투여하였을 때 탈모수가 감소할 뿐 아니라 새로운 성장기 상태의 모가 발생한다거나 탈모와 관련된 다른 증상들도 완화시킬 수 있고, 무엇보다도 부작용이 전혀 없다는 점에서 그 이용 가능성이 높다.

Description

생약 성분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MENT OF ALOPECIA CONTAINING HERB MEDICINE}
본 발명은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남성형 탈모증이나 원형 탈모증 뿐 아니라 항암제 치료의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탈모증에 대하여 외용 또는 경구용으로 부작용 없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생약 성분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과 관련된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탈모증은 크게 두 종류로 분류될 수 있는데, 첫번째는 남성형 탈모증(male pattern baldness), 장년형 탈모증(alopecia seniles) 또는 남성호르몬성 탈모증(androgenic alopecia)으로 불리우는 것으로 중년 남성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전두부와 두정부에서 시작되는 탈모증이 있고, 둘째로는 원형 탈모증(alopecia areata)으로 불리우는 것으로 주로 후두부에서 시작되어 원형 내지는 타원형의 비교적 경계가 명확한 탈모를 보이며 청소년기에 발생할 수 있는 탈모증이 있다. 탈모증은 남성에만 있는 질병이 아니고 여성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두정부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고, 원형 탈모증 역시 존재하는데 남성에 비하여 발생 빈도가 낮을 뿐이다(M. Inaba 등, AndrogeneticAlopecia, Springer-Berlag, Tokyo, Japan, 1996).
이러한 탈모증의 원인이나 발생 기전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은 부분이 많은데, 주요 원인으로는 남성호르몬과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선, 현대 피부과학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남성형 탈모증의 원인은 남성호르몬 밸런스 부전으로, 남성형 탈모증 유발의 주원인이 남성호르몬 (androgen)에 있다는 것은 이미 기초의학적으로 확인된 바 있다(J. Shapiro 등, Hair regrowth. Therapeutic agents,Dermatol. Clin.16(2), 341-356, 1998). 남성호르몬 수용체 분포의 차이도 탈모증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 남성호르몬 수용체 (androgen receptor protein)는 두모의 외모근초(outer root sheath)와 모유두 (dermal papilla)의 결합조직형성세포(섬유아세포, fibroblast)에 분포되어 있으며, 탈모증을 일으킨 남성이나 여성에서는 탈모가 나타난 전두부와 두정부에서 30 이상 분포량이 많았다. 이는, 남성호르몬 수용체와의 결합에 따라 유발되는 세포핵으로의 신호 전달 과정이 간엽조직에서 유래된 모유두와 상피조직 유래인 모낭세포(follicular cell) 간에 차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전달계의 혼선이 성장기의 두모를 퇴축기, 나아가서 휴식기의 모포 상태로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남성호르몬과 그 수용체가 구비되었다고 대사가 진행되는 것은 아니고, 여기에는 효소작용이 연쇄하여 화학반응이 유도되어야 한다. 현재 탈모와 관련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대사효소로 문제가 되는 것은 환원효소(5-α-reductase)와 아로마타제(aromatase)이다. 먼저, 환원효소는 테스토스테론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으로 환원시키는데, DHT는 남성호르몬(androgen)적 효력이 강화된 형태이다. 탈모와 연관되는 장기 분포로는 피지선(sebaceous gland), 표피와 모낭의 각화세포(keratinocytes), 진피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 한선(sweat gland), 모근초(root sheath of the scalp hair follicle) 등이 있는데, 특히 피지선이 주목되고 있다. 대머리가 있는 부위의 조직은 보통의 머리가 있는 부위의 조직보다 효소의 활성도가 높다고 보고되어 있다. 다음의 아로마타제는 남성호르몬(androgen)을 에스트라디올 등의 여성호르몬으로 전환시키는, 즉 남성호르몬 작용을 약화시키는 효소인데, 탈모 경향이 있는 사람의 전두부에서는 그 활성이 낮다고 알려져 있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면, 현재 임상에서 경험하는 남성형 탈모증의 주된 원인은 남성호르몬의 존재와 이를 수용하는 모포의 수용체 간의 상호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는 것, 남성호르몬을 DHT로 환원시켜 그 작용을 강화시키는 환원효소(5-α-reductast)는 피지선 등에 분포하고 있고 성인의 모포의 상태를 퇴축기 내지는 휴식기로 유도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테스토스테론을 에스트라디올 등으로 전환시키는 효소인 아로마타제(aromatase)의 작용은 대머리 부위에서 오히려 낮다는 것이다.
이밖에 탈모증의 부차적인 원인으로는 첫째로 식사 인자가 있는데, 예를 들어 탈모증에는 지방식이 좋지 않으며 적당한 단백질이 함유되고 적절한 무기질이 함유된 균형 있는 식사가 필요하다. 둘째로는 혈액 순환 부전, 즉 수술 등 인공적으로 두피 내부의 조직에 교란을 발생시켰을 경우에 탈모가 일어날 수 있으며, 세째로 환경 오염도 탈모를 유발할 수 있는데, 도시 환경에는 먼지의 형태로 여러 가지 화학물질이 존재하여 머리 뿐 아니라 피부 또는 호흡으로 흡수되는 물질 중에는발암물질, 환경호르몬 등도 포함되어 있고 탈모촉진물질도 있을 수 있다. 또한, 나이가 들어 세포수가 줄고 뇌와 간의 중량이 감소하고 백발이 생기는 등의 노쇠 현상으로 인해서도 탈모가 생길 수 있다. 이밖에 유전설도 있는데, 남성형 탈모증은 상염색체성 우성유전(autosomal dominant)식 유전 형식이므로 양친 어느 쪽에서나 탈모 유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남성형 탈모증의 원인으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 것은 남성호르몬의 두피와 두모포에 있어서의 대사 양식이 되겠으나, 실제 남성호르몬 수용체의 분포는 탈모 호발 부위와 비호발 부위 사이에 불과 30 정도의 차이밖에 없다는 점에서 이러한 호르몬설의 모순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트레스가 남성형 탈모증의 주요인으로 등장하게 되었는데, 스트레스는 남성호르몬의 균형을 깨뜨릴 수 있다는 것으로(H. Selye, Stress and the adaptation syndrome, ⅩⅢ-365, 363-366, 1963), 이하에서는 스트레스가 남성형 탈모증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포와 피지선은 자율신경계와 척추신경계의 신경섬유로서 거미줄처럼 둘러싸여져 있으며 모포의 주변에는 특수감각신경기관인 마이스너 소체(Meissner's corpuscles), 메켈 세포(Merkel cells) 등이 분포되어 있다. 신경세포로부터는 30여 종의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고 있는데, 이 물질들은 직접 표적 세포의 수용체에 부착됨으로써 여러 가지 생리작용을 유도하게 되고, 간접적으로는 인접한 면역적격세포(임파구와 대식세포 등 면역에 관계되는 세포)도 자극하여 이들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트레스는 뇌신경에 가해지는 일종의 정신적 긴장 부하 상태로, 이처럼 뇌세포에 가해지는 신호는 말초신경에서 몇가지의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할 것이지만 스트레스의 종류 및 이에 대한 개인의 반응에 따라 신경전달물질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몇가지 동물 실험에서 밝혀지고 있다. 또, 스트레스 상태에서 유발된 물질들이 모포나 피지선에 도달하였을 때 두모의 성장기 시간을 연장시키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보다 단축시키는 쪽으로 유도할 확률이 높다는 것은 병리학적으로 증명된 바 있으며, 모포의 배양 실험에서도 일부가 해명되고 있다(J. Furkertetal,Biochemica et Biophysica Acta,1336: 315-322, 1997). 신경전달물질의 어떤 종류는 면역적격세포에 결합하여 이들로 하여금 사이토킨(cytokin 또는 interleukin)을 생산하게 할 수 있는데, 이들 사이토킨의 어떤 종류는 결정적으로 모포의 대사 억제 내지는 휴지기(catagen) 유도를 촉매하기도 한다. 사이토킨은 각종 세포에서 생산되며 면역기구와 조혈기구의 작용을 조절하는 분자량 1∼4만 정도의 폴리펩티드로 이들의 작용은 분비되는 장소에 한정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D. N. Khansari 등,Immunol. Today, 11:5, 1990).
탈모의 원인 인자는 복잡하지만, 하나는 남성호르몬이고 다른 하나는 스트레스라고 하겠다. 그러나, 남성호르몬 자체가 일종의 스트레스 유발 인자임을 고려한다면 스트레스가 없으면 탈모도 없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트레스와 관련되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호르몬계, 신경전달물질, 면역전달물질 및 각종 내분비계의 상호연관성이 탈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일단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가 부하되면 신경세포성 내분비 효과(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성), 면역계세포 효과 등으로 각종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고 뇌하수체 및 부신피질계 호르몬과 이에 따른 성호르몬 등도 분비되고 각종 면역적격세포로부터 사이토키닌이 분비될 것이며, 이들은 위장관 내피세포 발육을 나쁘게 하고 모포세포를 파괴하거나 발육을 억제한다. 지금까지 연구된 바로는 남성호르몬과 스트레스로 유발되는 각종 스테로이드 호르몬, 면역전달물질, 신경전달물질 등은 모포에 작용하여 모의 성장기 단축, 그리고 수축기 내지는 휴식기의 연장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일부 신경전달물질의 저해제(antagonist)와 면역전달물질의 저해제를 사용함으로써 모포를 보호하였다는 보고도 나오고 있다. 또한, 신경전달물질 중에서 교감신경 말초에서 분비되는 뉴로톡신 등은 발모와 모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것이 증명되었으며, 면역억제제인 사이클로스포린 A를 사용하여 탈모를 방지할 수 있다는 실험도 나와 있다(M. A. Kubota, Inhibition of hair growth by subcutaneous injection of asympathetic neurotoxin, 6-hydroxydopamine in neonatal mice,Anat. Embryol. 191, 407-414, 1995).
신경전달물질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T-임파구, B-임파구, 마크로파지 등의 면역적격세포들에 작용하여 사이토킨 생산에 관여할 수 있는 물질이 있으며, 인터류킨-1 등은 모발의 발육을 조절한다. 문헌상 탈모증에 관여한다고 기재되어 있는 신경전달물질과 면역전달물질은 다음 표에 나타낸 바와 같다(J. Shapiro 등, Hair regrowth, Therapeutic agents,Dermatol. Clin.16(2), 341-356, 1998; S. Shimaoka 등,J. of Cellular Physiology,165:333, 1995).
모발의발육 및 성장저해 신경전달물질 뉴로톡신(neurotoxin)뉴로텐션(neurotension)substance P칼시토닌(calcitonin)세로토닌(serotonin)카테콜아민(catecholamine)히스타민(histamine)
면역전달물질 IL-2IFNγIL-10TGF-β1TNFαTGF-β
호르몬 남성호르몬1. 테스토스테론2. 5-히드록시테스토스테론
모발의발육 및 성장도움 신경전달물질 베타-엔돌핀(β-endorphine)
면역전달물질 ?
내분비물질 간세포 성장인자(HGF)
한편, 원형 탈모증은 병명 그대로 경계가 명확한 원형의 탈모를 주증상으로 하여 남성형 탈모증과 달리 후두부에 호발하며, 단발 또는 다발이 될 수도 있고, 한 편은 발생하고 다른 편은 호전되는 경우도 있고, 직경 수 ㎝에서 시작하여 단발들이 연결되어서 크게 되어 두발 전부에 이르는 것도 있고, 심지어 눈썹까지 빠지는 경우도 있다(범발성 탈모증). 단발성인 것들은 특별한 치료 없이 치유되기도 하지만 범위가 넓은 것들은 재발할 수 있다(40 정도). 원형 탈모증의 원인으로는 일찍부터 (1) 알러지, (2) 자율신경 이상, 그리고 (3) 영양 장애 등이 제시되었는데, 최근의 세포생물학적 해설로는 원형탈모증이 일종의 자가면역질환인 것으로 정리되고 있다. 즉, 모포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임파구(CD4+)가 모포의 주변에 집결하여 있고 그 중점적 표적세포는 멜라닌세포(melanocyte), 각화세포(keratinocyte), 모유두(dermal papilla), 그리고 혈관내피세포(vascular endothelium)로, 치료는 자연히 임파구의 작용을 조절할 목적으로 면역조절체를 선택할 수 밖에 없는데, 이전에는 임상적 경험으로 부신피질호르몬 등을 사용하고 있었다. 원형 탈모증 역시 남성형 탈모증에서와 같이 정신적 긴장 부하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범발성 탈모증, 사행성(蛇行性) 탈모증, 전두(全頭) 탈모증 등은 자가면역질환으로 규정지어진다. 이같은 자가면역반응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스트레스가 의심되며, 바이러스의 감염(내부적 스트레스) 등도 생각해 볼 수 있다(M. Inaba 등, Androgenetic Alopesia, Springer-Berlag, 1996)
남녀를 불문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모발의 역할이 부수적인 것으로 되고, 그 자체가 하나의 장식적 의미를 갖게 된지는 이미 오래 전의 일이다. 이에 따라 앞서 언급된 탈모증에 대해서는 기원 전의 의서들에서도 치료법이 기술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각종 식물, 해초, 광물 성분 함유 식품들, 마늘이나 양파 등의 자극제, 동식물의 기름, 그리고 알콜을 주로 한 처방 등을 들 수 있다.
현대의 피부과학에서는 남성형 탈모증의 원인을 남성호르몬의 모포에서의 조절 이상으로 파악하고 있으므로 그 치료에 있어서도 우선 남성호르몬 변형체 (androgen modifier)로서 5-α환원효소 저해제(5-αreductase inhibitor)가 경구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시판되는 것으로는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가 있는데, 이것은 4-아자스테로이드 구조를 갖는 것으로 테스토스테론이 보다 역가가 강한 DHT로 환원되지 못하게 하여 남성호르몬의 역가를 저하시킨다. 이것은 미국 FDA로부터 인가를 받았지만 투약을 중단하면 재발한다는 것과, 가임 여성이나 임산부는사용할 수 없고 장기 투여는 남성의 성기능을 마비시킨다는 부작용이 있다. 다른 치료제로서는 남성호르몬 수용체 마비제가 있는데, 이것은 여성에게만 사용될 수 있다. 이 밖에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cyproterone acetate), 스피로노락톤 (spironolactone) 등이 여성의 탈모방지제로서 사용되기도 하고, 에스트로겐을 연고 내지 경구용으로 여성 탈모증에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J. Shapiro 등, Hair regrowth, Therapeutic agents,Dermatol. Clin.16(2), 1998). 남성형 탈모증의 다른 치료제로서는 세포분열 촉진제, 혈관 확장제, 모세혈관 발생 촉진제, 면역 억제제, cAMP 조절제, 상피세포 생장인자(EGF), 세포발생과정 조절제 등 많은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가 문헌에 열거되어 있으며, 시판되는 것으로는 미녹시딜 (Minoxidil)이 있다. 미녹시딜은 원래 혈관 확장제로서 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던 것으로 탈모 부위에 적용하여 유효성을 나타내기는 하지만, 사용을 중단하면 재발하며 혈압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부작용이 있어 의사의 감시 하에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레티노이드(retinoid) 제제로 트레티노인(Tretinoin)이 소개되어 있는데, 사람에게 1∼2년 계속 사용하였을 때 약간의 효과를 관찰할 수 있다는 정도이다.
원형 탈모증의 경우 병인을 자가면역질환으로 정리하고 있기는 하지만 자가면역유발인자가 아직 미정이므로, 그 치료에는 막연하게 면역 조절제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 먼저, 부신피질호르몬제가 임파구의 작용을 마비시키는 면역억제 목적으로 사용되어 피하주사 및 연고로 적용되지만, 다른 부위에 재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탈모 부위에 일종의 비특이성 면역요법제로서 DNCB(dinitro-chlorobenzene)나 DPCP(diphenylcyclopropenone) 요법이 소개되어 있으나, 기타 피부나 눈에 접촉하면 부작용이 있다. 안티알린(Anthialin)은 20 정도가 유효하다고 하지만 눈에 접촉하면 부작용이 있고 피부 염색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미녹시딜도 사용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남성형 탈모증이나 원형 탈모증, 어느 경우에나 이렇다 할 치료제가 없을 뿐 아니라, 사용되는 약제들도 부작용이 심하다든가 유효성이 낮다든가 하는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남성형 탈모증이나 원형 탈모증 이외에, 각종 항암제를 투여하였을 때 일시적 내지는 장기간 동안 약제로 인한 탈모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항암제는 사람과 동물에 투여하였을 때 분열하는 조직에 가장 먼저 작용하는데 암조직은 물론 조혈 장기, 위장관 내피세포군, 그리고 피부의 피지선과 모낭세포에도 작용하게 되므로 부작용으로 탈모가 유발된다(Chung,New Med. J.41:11∼29, Seoul Korea, 1998). 이처럼 항암제 투여에 의한 부작용으로 발생한 탈모는 투여를 중단하면 서서히 회복되지만 그 동안 환자가 겪어야 하는 정신적 고통은 대단한 것이라 하겠다.
한편, 모발에 관한 동양의학적 견해를 살펴보면, 음양오행설에서는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오행(五行)의 오영(五榮), 즉 사람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부위를 각각 조(爪), 색(色), 진(唇), 모(毛), 발(髮)로 나타내고 있다. 즉, 발(髮, 머리털)은 수(水), 즉 골수나 혈액의 표현 형식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모(毛)와 발(髮)을 구분하고 있는데, 현대의학의 첨단에 와서 수염과 두발의 발생 과정과 남성호르몬의 수용체 분포가 다르다고 밝힌 사실을 한의서에서는 이미 천년 전에 인식하고 있었음에 주목된다(內經素問). 또한, 탈모증, 즉 두발의 탈모증은 유전적이며, 특정 질병예로서 열병과의 연관성도 파악하고 있다. 비교적 유효성이 인정되는 생약제의 처방은 사람의 정신을 조절하는 약제와 유사한 점이 있는데, 이는 남성형 탈모증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생각되는 것이 스트레스라는 것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발과 탈모증에 대한 동양의학적 해석을 참조할 때, 옛부터 한방 처방이나 민간 요법으로 사용되어 그 효과와 안전성이 확보된 생약을 주재로 한 탈모증 치료제가 개발된다면, 부작용의 우려 없이 누구나가 안심하고 투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탈모증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성 신경전달물질을 희석해야 한다는 의도를 가지고,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분비될 수 있는 신경전달물질, 면역조절제, 또는 면역전달물질, 호르몬 등을 희석시키거나 이들에 길항하는 물질들을 함유하는 생약 처방을 연구하여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예로부터 사용되어 그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보된 전통 생약을 주재로 하여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효과가 우수한 생약 성분의 탈모증 치료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모증 치료제 조성물은 천궁, 당귀,작약, 지황, 우방, 천화분, 시호, 황금, 치자, 연교, 길경, 감초, 방풍, 백지, 황백, 형개 및 지각의 수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천궁 4∼8 중량부, 당귀 4∼8 중량부, 작약 4∼8 중량부, 지황 4∼8 중량부, 우방 4∼8 중량부, 천화분 4∼8 중량부, 시호 4∼8 중량부, 황금 4∼8 중량부, 치자 4∼8 중량부, 연교 4∼8 중량부, 길경 4∼8 중량부, 감초 4∼8 중량부, 방풍 4∼8 중량부, 백지 4∼8 중량부, 황백 4∼8 중량부, 형개 4∼8 중량부 및 지각 4∼8 중량부의 혼합물을 20 배의 물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천궁, 당귀, 작약, 지황, 우방, 천화분, 시호, 황금, 치자, 연교, 길경, 감초, 방풍, 백지, 황백, 형개 및 지각의 동량 혼합물을 20 배의 물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증 치료제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구용 제제 또는 외용 도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옛부터 의료용 및 민간요법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그 유효성과 안전성이 확보된 한방 생약 중에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분비될 수 있는 신경전달물질, 면역조절제, 또는 면역전달물질, 호르몬 등을 희석시키거나 이들에 길항하는 물질들을 함유하고, 더 나아가 머리결을 윤기있게 보존하고 건강 증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17 종의 약재를 선정하여 상호간의 조화를 이루도록 혼합하여 물로 추출한 것을 외용 도포제 또는 경구용 약제로 제조함으로써,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탈모증 치료에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들 생약으로서, 우선 천궁(川芎, Cnidii Rhizoma)은 한방에서 중요한 온성 (溫性) 강장제로 진통(鎭痛), 진정(鎭靜), 진경(鎭痙), 거풍(祛風), 행기(行氣), 활혈(活血) 작용이 있어 여러 가지 두통, 복통, 부인병 등에 사용되는 약제이며, 당귀(當歸, Angelicae gigantis Radix) 역시 진정, 온성(溫性) 강장약으로, 주로 피를 생산하고 심장을 보하는 작용을 하여 신체허약, 두통, 어지러움, 복통 등에 사용된다. 작약(芍藥, Paeoniae Radix)은 양혈(養血), 보간(補肝), 진통, 진경, 완화 작용이 있어 한방에서 두통, 복통, 신경통 등에 진통제로 사용되며, 지황(地黃, Rehmanniae Rhizoma)은 보혈, 강장, 해열약으로 한방에서 빈혈, 하혈, 토혈 또는 허약증 및 결핵성 제질환에 사용되는 약제이다. 우방자(牛蒡子, Arctii Semen)는 해열, 거담, 산풍(散風), 소종(消腫) 작용이 있어 감기, 해소, 인후염, 마진 (痲疹), 풍진(風疹), 소양(搔痒), 습진 등에 사용되며, 천화분(天花粉, Trichosanthis Radix)은 해열, 생진(生津), 배농(排膿), 소종(消腫) 작용이 있어 열병구갈(熱病口渴), 해소, 각혈, 인후종통, 당뇨병 등에 사용된다. 시호(柴胡, Bupleuri Radix)는 해열, 진통, 소염, 항병원(抗病原), 청간(淸肝) 작용이 있어 호흡기병, 늑막염, 간헐열, 말라리아, 황달, 위장병 등에 사용되고, 황금(黃芩, Scutellariae Radix)은 해열, 이담(利膽), 이뇨, 소염, 소종 작용이 있어 발열, 번열, 고혈압, 담낭염, 황달, 위염, 장염, 세균성 이질 등에 사용된다. 치자(梔子, Gardeniae Fructus)는 해열, 이담, 지혈, 소염, 사화(瀉火) 작용이 있어 염증성 질환, 간염, 황달, 토혈, 혈뇨, 타박 손상 등에 사용되고, 연교(連翹, Forsythiae Fructus)는 해열, 산결(散結), 해독, 소종, 소염, 이뇨 작용이 있어 발열, 여러 가지 화농성 질환, 임파선염, 소변 불리, 신장염, 습진 등에 사용된다. 길경(桔梗, Platycodi Radix)은 거담, 소종, 배농약(排膿藥)으로, 한방에서 해소, 기관지염, 인후종통, 농종(膿腫), 폐종(肺腫) 등에 사용되며, 감초(甘草; Glycyrrhizae Radix)는 한방 완화(緩和), 진통약(鎭痛藥)으로 각종 동통 및 급박증상을 완해하고 많은 약에 가미하여 사용되는 교미약(矯味藥), 완화약(緩和藥), 진해거담약(鎭咳祛痰藥)이다. 방풍(防風, Peucedani japonici Radix)은 한방에서 두통을 없애고 발한, 해열, 진통 효과가 있어 감기 발열, 두통, 신경통, 중풍, 안면신경마비, 습진 등에 사용되며, 백지(白芷, Angelicae dahuricae Radix)는 거풍, 진통, 조습(燥濕), 소종 효과가 있어 두통, 편두통, 치통, 각종 신경통, 복통, 대장염 등에 사용된다. 황백(黃柏, Phellodendri Cortex)은 건위, 청간, 소종, 해독, 수렴, 살균 작용이 있어 한방에서는 소화불량, 위염, 장염, 설사, 간염, 황달, 간경화, 뇌막염 등에 고미건위정장약으로, 민간약으로는 외상이나, 충혈, 결막염에 세안료(洗眼料)로 사용되고, 형개(荊芥, Schizonepetae Herba)는 발한, 해열, 거풍, 진통, 진경 작용이 있어 오한발열, 감기, 두통, 사지강직, 중풍, 산후 어지럼증, 임파선염, 인후염, 편도선염, 토혈, 빈혈, 담마진, 풍진, 마진 등에 사용된다. 또한, 지각(枳殼, Aurantii Fructus immaturus)은 건위, 거담, 소종 작용이 있어 소화불량, 흉복부의 팽만감, 복막통, 구토, 장염, 이질 등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은 천궁 4∼8 중량부, 당귀 4∼8 중량부, 작약 4∼8 중량부, 지황 4∼8 중량부, 우방 4∼8 중량부, 천화분 4∼8 중량부, 시호 4∼8 중량부, 황금 4∼8 중량부, 치자 4∼8 중량부, 연교 4∼8 중량부, 길경 4∼8중량부, 감초 4∼8 중량부, 방풍 4∼8 중량부, 백지 4∼8 중량부, 황백 4∼8 중량부, 형개 4∼8 중량부 및 지각 4∼8 중량부의 혼합물에 대하여 약 20 배 중량부의 물을 가하고 약 80∼90 ℃에서 약 6∼8 시간 정도 가열하여 추출한 후, 추출액을 냉동 건조, 또는 가온, 저압, 분무 건조하여(spray dried)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 즉 건조된 추출물의 양은 원료 생약의 비율, 추출액의 양 및 추출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통상적으로는 원료 생약 1000 g에 대하여 약 30 ±5 g의 양으로 얻어진다 (수득률 2.5∼3.5 ).
이와 같이 제조된 추출물을 크림 기재 등에 약 4 중량의 양으로 혼합하여 탈모증 치료용 외용 도포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추출물에 통상의 부형제를 혼합하여 정제, 캅셀제, 액제 등의 경구용 제제로 제조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 즉 추출물은 외용제일 경우 1일 1∼10 ㎎/㎏, 바람직하게는 2∼4 ㎎/㎏의 양을 2∼3 회로 나누어 도포할 수 있고, 경구용 제제일 경우에는 1일 50∼500 ㎎/㎏, 바람직하게는 100∼200 ㎎/㎏의 양을 2∼3 회로 나누어 복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생약 성분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의 효과에 대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약 추출 및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천궁, 당귀, 작약, 지황, 우방, 천화분, 시호, 황금, 치자, 연교, 길경, 감초, 방풍, 백지, 황백, 형개 및 지각은 건재(乾材) 시장에서 한국산으로 주로 구입하여, 수돗물로 세척한 다음 통풍 건조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생약을 세절한 후 59 g 씩 달아 서로 혼합하고, 이 혼합물 1000 g에 대하여 증류수 20 ℓ를 넣어 80∼90 ℃에서 7 시간 정도 가열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원심분리(1000 rpm, 30 분)하여 생약재 잔사는 버리고 상층의 추출액 만을 취한 후 냉동 건조하여 본 발명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 약 30 g을 얻었다.
실시예 2: 탈모증 치료용 헤어 크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을 다음 외용 크림 기재에 4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헤어 크림을 제조하였다.
외용 크림 기재 처방
경납 4 g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6 g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6 g
폴리에틸렌글리콜 3.5 g
글리세롤 19.2 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90 ㎎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12 ㎎
효과 시험예 1: 항암제에 의해 유발되는 탈모증에 대한 유효성
생후 65일 된 건강한 마우스(ICR Swiss) 암컷을 온도 23 ±1 ℃, 습도 60±5 의 사육 환경에서 12 시간은 밝게, 12 시간은 어둡게 하면서 시판 사료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여 사육하였다. 일주일 동안 예비사육 후 건강한 개체만 실험에 사용하였다. 항암제로서는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와 카머스틴 (carmustine)을 투여하였고 탈모증 치료제로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외용 크림을 사용하였다.
마우스를 대조군, 메토트렉세이트 투여군, 카머스틴 투여군으로 나누어 14 마리씩 할당하고, 각 군마다 7 마리씩은 본 발명의 외용 크림을 함께 도포하여 비교하도록 하였다. 먼저 각 군의 마우스의 등 부위를 약 1.5 ㎠ 정도씩 면도하여 모발을 제거한 후 피크린산으로 그 부위를 표시하였다. 항암제는 1 일 2 회씩 3 일 동안 표시된 부위에 도포하였는데, 3 일 동안 도포된 총량이 마리당 메토트렉세이트는 1.5 ㎎, 카머스틴은 5 ㎎이 되도록 하였다. 항암제는 도포 직전에 연고 기재 0.25 g과 혼합하여 도포하였고, 대조군에는 연고 기재만 도포하였다. 또한, 각각의 동물군 중 일부에는 본 발명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을 4 함유하는 외용 크림을 항암제 투여 30 분 후에 0.25 g 씩 11 일 동안 계속 도포하였다.
항암제 도포가 끝난 날로부터 매일 육안으로 관찰하여 모발의 성장을 확인하고, 본 발명의 외용 크림이 마지막으로 도포된 날로부터 7 일째 되는 날에 실험 동물을 치사시켜 표시된 부위의 피부조직 표본을 얻었다. 예비 사육 기간을 포함하여 총 시험 기간은 28 일이었다.
피부조직 표본은 불규칙한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장을 제거하고 스테인레스 스틸 판에 부착한 후 즉시 피부 절편을 10 포르말린에 고정하였다. 2 일 후에고정액에서 꺼내어 약제를 도포하였던 피부 부위만을 얻고 이것을 얇은 카드보드 판에 고정하여 피부조직이 말리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후 탈수과정을 거쳐 전 피부조직이 편평하게 되도록 주의하면서 파라핀에 매몰하였다. 다음에 이나바 등의 방법(Inaba, M. 등, Androgenetic Alopecia, Springer-Berlag, Tokyo, Japan, 1996)에 따라 두께 7 ㎛의 박절 조직표본과 두께 150 ㎛의 후절 조직표본을 만들고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하여 조직 상태를 관찰하였다.
다음 표는 각 동물군의 피부와 피지선, 그리고 발모 상태를 비교한 것으로, 정상 상태의 조직 소견을 100 로 보고 각 조직의 정상 소견 부위를 비교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동물군 피부 상태 피지선 발모 상태
대조군 정상(100 ) 정상(100 ) 정상(100 )
메토트렉세이트 투여군 일부 위축(60 ) 일부 퇴행(60 ) 전탈모
카머스틴 투여군 일부 위축(60 ) 일부 퇴행(60 정도) 중등도 탈모(60 )
본발명의 외용크림 투여군 정상(100 ) 정상(100 ) 발모 정상(100 )
메토트렉세이트 +본 발명의 크림제 투여군 비교적정상(80 ) 비교적정상(80 ) 비교적발모 정상(80 )
카머스틴 +본 발명의 크림제 투여군 비교적정상(80 ) 비교적정상(80 ) 비교적발모 정상(80 )
메토트렉세이트 투여군에서는 정상 마우스 피부 조직에 비하여 상피 조직이 중등도 파괴를 나타내었고 진피층의 평균 두께도 감소하였을 뿐 아니라 피하지방층도 상당히 얇아졌음을 볼 수 있었다. 모발의 재생은 발견할 수 없었고 특히 피지선의 파괴가 심하였다. 카머스틴을 도포한 군에서는 상피의 탈락이 명확히 나타났으며 상피와 진피의 두께도 얇아졌고 피하지방층도 증등도 얇아진 상태에 있었다. 비록 몇 군데에서 모모세포(hair germ)이 발견되기는 하였으나 모낭은 거의 대부분파괴된 상태였으며 피지선의 위축도 관찰할 수 있었다. 대조군의 피부조직과 피지선의 조직에서는 병리학적 소견을 관찰할 수 없었다. 한편, 메토트렉세이트 도포 후에 본 발명의 외용크림을 사용한 군에서는 메토트렉세이트 단독 사용군에 비하여 상피층의 보존 상태가 대조군에 가까왔으며 피지선도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었다. 카머스틴 도포후 본 발명의 외용크림을 사용한 군에서도 카머스틴 단독 사용군에 비하여 상피층과 피지선 모두 잘 보존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효과 시험예 2: 정상 상태에서 발모 재생 촉진 효과 시험
시험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종류의 8주령 마우스의 등 부위를 면도날로 2∼4 ㎠ 정도의 넓이로 면도하고 24 시간 경과후 잔모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총 14 마리의 마우스를 각각 7 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어 시험군에는 본 발명의 5 외용크림을 매일 3 회 면도 부위에 도포하고, 대조군에는 연고 기재 만을 같은 회수 도포하였다. 총 3 주 동안 도포하면서 발모 상태를 관찰하였다.
다음 표는 대조군과 시험군에서 모발의 재생 상태를 3 주 동안 매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동물군 모발의 재생 상태 ()
1 주 후 2 주 후 3 주 후
대조군 10 18 30
시험군 15 35 50
상기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용 크림 도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1 주 후에 5 , 2 주 후에 17 , 그리고 3 주 후에는 20 정도 모발 재생 상태가 우수하였다. 4 주 후에는 모든 동물군에서 발모 상태가원상복귀되었다.
효과 시험예 3: 사람에서의 성인형 탈모증 치료 효과 시험
환자는 20 세 내지 65 세까지의 대머리를 갖는 남성으로, 전두부 내지는 두정부에 성인성 탈모증이 발생한 50 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중 60 세 이상은 3 명이었다. 원형 탈모증이나, 기타 이미 피부과학적으로 성인성 탈모증 이외의 탈모증으로 진단된 예들은 제외하였으며, 성인성 탈모증의 정도는 중등도에서 그 이하의 증례들을 선정하였다. 이들은 본 시험 이전, 짧게는 2 년 내지 길게는 10 년 이상 탈모증을 갖고 있었으며, 여러 가지 탈모 방지용 제제로도 효과를 보지 못한 사람들이었다.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을 4 농도로 함유하는 외용 크림을 1 일 3 회(아침에 세수와 동시, 점심 식사 1∼2 시간 후, 취침 전) 탈모 부위와 그 주변에 약간 마찰시키면서 도포하였다. 또한, 이 조성물을 1 회 2∼4 g(2 g/체중 50 ㎏) 씩 1 일 2∼3 회 공복시에 물과 함께 복용하도록 하였다.
치료 시작 2 주 전부터 매일 아침 세수할 때 탈모의 대략적인 개수를 관찰하였으며, 주관적으로 비듬의 양도 관찰하였다. 치료 중에는 4 주에 1 회 발모 상태를 관찰하였다(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간 연구소).
다음 표는 본 발명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용 크림을 도포하고 본 조성물을 복용하면서 비듬, 탈모 및 모발 생장 상태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모발의 발생(육안적 관찰) 환자수(명) 백분율()
1. 새로운 모발의 발생(성장기 모의 수적 증가가 많음)2. 성장기 모가 20개 이상 발생, 곤모 상태의 모발 관찰3. 많은 곤모의 발생4. 원상 유지5. 탈모의 진행합계 10151510050 203030200100
치료 전과 치료 후의 탈모 상태
1. 탈모수 현저히 감소2. 탈모수 서서히 감소3. 탈모수가 감소하지 않음4. 탈모수가 오히려 증가5. 잘 모르겠음.합계 351220150 7024402100
치료 전후의 비듬의 상태
1. 없어졌음2. 감소3. 변동 없음4. 오히려 증가5. 잘 모르겠음합계 311251150 62241022100
일반적으로, 모발의 발생 상태는 50 세 이상에서는 활발하지 못하므로 (Hattori, M 등,The J. of Dermatology, 10:45-54, 1983), 성장기(anagen) 상태 보다 퇴행기(catagen)나 휴식기(telogen) 상태에 머물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 투여시 60 세 이상의 환자 3 명은 모두 탈모수가 감소하였고 곤모의 발생도 관찰되었다.
이밖에 탈모와 관련된 몇 가지 증상, 즉 가려움증, 모발 색깔의 변동, 그리고 두피의 부피 등은 치료 전후에 별다른 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단, 가려움증은 치료 시작 후 3 개월까지 70 이상의 환자에서 사라졌다고 하였다.
효과 시험예 4: 여성에서의 탈모증 치료 효과 시험
스트레스성 탈모증으로 1 일 100 개 이상의 탈모를 호소하는 40 세 이상의 여성 20 명을 대상으로 효과 시험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에 나타낸다.
탈모 상태 환자수(명) 백분율()
탈모수가 100 개 이상에서 20 개 정도로 되었음탈모수가 100 개 이상에서 50 개 정도로 되었음탈모가 감소잘 모르겠음 3773 15353515
합계 20 100
이상의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은 항대사물질계 (antimetabolite) 항암제인 메토트렉세이트와 알킬화제인 카머스틴으로 유발된 피부 손상과 탈모를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남성 내지 여성의 탈모증에 대하여 국소 도포 및 경구 투여를 병용하였을 때, 남성의 80 와 여성의 85 에서 1 일 탈모수가 감소하였으며, 남성 탈모증에서는 탈모의 수도 감소하고 탈모 부위에 새로이 성장기 상태의 모가 발생(신생)한 경우가 50 이상 되었으며 30 의 환자에서는 곤모가 발생하였고, 또한 남성의 경우 치료 후에 비듬이 없어진 경우가 62 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성분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은 항암제 투여로 인한 탈모증 및 피부 손상에 효과가 있으며, 남성형 탈모증 및 여성의 탈모증에 투여하였을 때 탈모수가 감소하였을 뿐 아니라 새로운 성장기 상태의 모가 발생한다거나 탈모와 관련된 다른 증상들도 완화시키는데, 무엇보다도 부작용이 전혀 없다는 점에서 그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Claims (5)

  1. 천궁, 당귀, 작약, 지황, 우방, 천화분, 시호, 황금, 치자, 연교, 길경, 감초, 방풍, 백지, 황백, 형개 및 지각의 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증 치료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천궁 4∼8 중량부, 당귀 4∼8 중량부, 작약 4∼8 중량부, 지황 4∼8 중량부, 우방 4∼8 중량부, 천화분 4∼8 중량부, 시호 4∼8 중량부, 황금 4∼8 중량부, 치자 4∼8 중량부, 연교 4∼8 중량부, 길경 4∼8 중량부, 감초 4∼8 중량부, 방풍 4∼8 중량부, 백지 4∼8 중량부, 황백 4∼8 중량부, 형개 4∼8 중량부 및 지각 4∼8 중량부의 혼합물을 20 배의 물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천궁, 당귀, 작약, 지황, 우방, 천화분, 시호, 황금, 치자, 연교, 길경, 감초, 방풍, 백지, 황백, 형개 및 지각의 동량 혼합물을 20 배의 물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청구항 1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구용 탈모증 치료제.
  5. 청구항 1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외용 탈모증 치료제.
KR1020000023919A 2000-05-04 2000-05-04 생약 성분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 KR100334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919A KR100334944B1 (ko) 2000-05-04 2000-05-04 생약 성분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919A KR100334944B1 (ko) 2000-05-04 2000-05-04 생약 성분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602A true KR20010100602A (ko) 2001-11-14
KR100334944B1 KR100334944B1 (ko) 2002-05-04

Family

ID=4578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919A KR100334944B1 (ko) 2000-05-04 2000-05-04 생약 성분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494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220A (ko) * 2002-07-25 2002-09-05 노재숙 한방팩을 이용한 대머리 찜질
KR100609210B1 (ko) * 2002-10-05 2006-08-02 김철정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조성물
KR100928378B1 (ko) * 2007-11-13 2009-11-2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랑하늘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100928377B1 (ko) * 2007-11-02 2009-11-2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랑하늘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7838048B2 (en) * 2009-01-06 2010-11-23 Brion Research Institute Of Taiwan Medical herb composition for inhibiting shedding of a mammal's hai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432873B1 (ko) * 2011-10-11 2014-08-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 및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JP2015036375A (ja) * 2013-08-14 2015-02-23 リプロバイオ株式会社 ボタンボウフウ又はその抽出物を含む精子改善剤及び精液改善剤
WO2022220458A1 (ko) * 2021-04-16 2022-10-2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지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154B1 (ko) * 2002-04-30 2005-12-21 주식회사 싸이클로젠 생약 추출물
KR100773411B1 (ko) 2005-10-17 2007-11-05 안봉전 항산화, 항암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nh 생약 조성물
KR100720655B1 (ko) 2005-11-01 2007-05-21 (주) 이지함 항산화 및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yk 생약 조성물
KR100657380B1 (ko) 2005-11-22 2006-12-14 주식회사 세화 피앤씨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개선을 위한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54387B1 (ko) 2008-12-28 2010-04-26 안태만 두피 보호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26319B1 (ko) 2014-07-15 2016-06-01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동백오일 발효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220A (ko) * 2002-07-25 2002-09-05 노재숙 한방팩을 이용한 대머리 찜질
KR100609210B1 (ko) * 2002-10-05 2006-08-02 김철정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 조성물
KR100928377B1 (ko) * 2007-11-02 2009-11-2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랑하늘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28378B1 (ko) * 2007-11-13 2009-11-2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랑하늘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US7838048B2 (en) * 2009-01-06 2010-11-23 Brion Research Institute Of Taiwan Medical herb composition for inhibiting shedding of a mammal's hai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432873B1 (ko) * 2011-10-11 2014-08-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 및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JP2015036375A (ja) * 2013-08-14 2015-02-23 リプロバイオ株式会社 ボタンボウフウ又はその抽出物を含む精子改善剤及び精液改善剤
WO2022220458A1 (ko) * 2021-04-16 2022-10-2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지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4944B1 (ko) 200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4944B1 (ko) 생약 성분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
US20070036742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ulating hair growth or regrowth
US8197865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ulating hair growth or regrowth
KR101263181B1 (ko) 발모촉진 양모 및 탈모방지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
JPH0536407B2 (ko)
KR101141779B1 (ko)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 사포닌 분획을 포함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Jain et al. Drug that causes hair loss and promotes hair growth-A review
WO2013180358A1 (ko) 발모촉진제 및 그 제조방법
CN112870333A (zh) 一种改善人脱发生发的组合物、制剂及制备方法和应用
KR100780577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천연 복합 조성물
KR100970126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7412709A (zh) 一种具有止脱生发的中草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101776A (zh) 一种生发防脱发的藏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664400B1 (ko)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KR100834108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An et al. In vitro cytotoxicity, skin regeneration, anti-wrinkle, whitening and in vivo skin moisturizing effects of Oncheongeum
KR101977456B1 (ko) 모발의 육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82694B1 (ko) 발모 촉진용 리포좀 베이스, 그를 포함한 발모 촉진용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생약 성분의 흡수율 향상방법
KR950006061B1 (ko)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
KR101724870B1 (ko) 두피 염증 완화와 Wnt/β-catenin 신호전달 활성을 갖는 모발성장 촉진 조성물
KR20220107653A (ko)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KR100603122B1 (ko)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CN112972536A (zh) 一种具有生发、乌发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20008268A (ko)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저해제
RU2799324C2 (ru) Экстракт леспедецы головчатой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области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