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154B1 - 생약 추출물 - Google Patents

생약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154B1
KR100538154B1 KR10-2002-0023675A KR20020023675A KR100538154B1 KR 100538154 B1 KR100538154 B1 KR 100538154B1 KR 20020023675 A KR20020023675 A KR 20020023675A KR 100538154 B1 KR100538154 B1 KR 100538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elicobacter pylori
extracts
gastric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5309A (ko
Inventor
이성훈
박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클로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클로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클로젠
Priority to KR10-2002-002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154B1/ko
Publication of KR2003008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61K36/634Forsyth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8Schizonepe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위염, 위암 및 위궤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연교 추출물 또는 형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추출물이 기재 되어있다. 생약 소재인 연교 추출물 및 형개 추출물은 위염, 위암 및 위궤양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균의 우레아제 생성을 억제한다. 상기 연교 추출물 또는 형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생약 추출물은 위염 및 위궤양 등의 치료 효과를 갖기 때문에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생약 추출물{EXTRA CTS OF CRUDE DRUG}
본 발명은 위염, 위암 및 위궤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생약 추출물 에 관한 것이다.
복잡한 경쟁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불규칙한 식생활과 과중한 스트레스를 받음으로써 위장질환을 얻기가 매우 쉽다. 더구나 한국인은 자극성이 강한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 등에 비해 위궤양, 위염, 위암 등의 위장 질환의 발생 빈도가 매우 높다. 최근 한국인의 암 통계에 의하면 위암(23%), 폐암(12%), 간암(10.5%), 자궁경부암(10%), 대장암(7.5%), 유방암(5.5%)의 순서로 이들 6대 암이 전체 암 발병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고 암환자 4명 중 1명은 위암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사실은 한국 사람들이 위암 발생을 촉진하는 생활환경에서 살고 있으며, 발암 요인이 외국에 비하여 많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위장 내에는 산성도가 높아 세균이 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1983년 워렌 (Warren)과 마샬 (Marshall)이 위 내시경을 통한 생검조직을 검사한 결과 위의 점막을 덮고 있는 점액층에서 헬리코박터 필로리가 살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Lancet, 1983, 1, 1273-1275). 이후, 헬리코박터 필로리는 위염 및 십이지장궤양의 원인균으로 밝혀졌으며(J. infect. Dis., 1990, 161, 626-633 ; Am. J. Med., 1991, 91, 566-572), 현재는 위궤양, 위암 및 위염 발병 인자의 하나로 인정되고 있다.
상기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은 위점막 상피 세포간 접합부에 서식하는 그램 음성의 간균으로서 최적 pH는 7.0 내지 7.4이며 온도는 30 내지 37℃의 미호기적 조건에서 생장한다. 또한, 상기 균은 이러한 생장 조건이 충족되지 못하거나, 환경의 변화가 생기면 바실러리 (bacillary) 형태에서 코코이드 (cocoid) 형태로의 변화가 관찰된다.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의한 감염은 식품 등과 함께 경구적으로 침입한 균이 위, 십이지장 점막에 부착함에 의해 시작되는데,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병독 인자를 살펴보면 위에서 분비되는 강산의 위액에서 생존하기 위해 분비되는 우레아제, 운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있는 편모, 위 상피세포에 쉽게 부착하도록 도와주는 세포 표면의 외막단백질 등이 알려져 있다. 이중 우레아제는 위점막 조직 내의 요소를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로 분해하여 균체 주위를 산성에서 알칼리로 변화시킴으로서 위에서 분비되는 강산의 위액을 중화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현재까지 상기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의 치료는 항생제 또는 백신의 사용에 의존하고 있고 현재에 이르러, 다양한 천연물 소재인 마늘(Antimicrob. Agents and Chemother., 1999, 43, 1811-1812) 및 녹차를 이용해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된 바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한방 소재로부터 활성 식물을 탐색하기 위한 노력이 일본과 한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며, 2001년 12월 18일자로 등록된 대한민국 출원 제 99-0029950호에 의하면,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항균 활성 및 우레아제 생성 억제능을 갖는 생약 소재로서 소목의 추출물을 소개하고 있다.
세계인구의 약 50% 가량이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감염되어 있지만, 그 중에서 10% 정도만이 위궤양 증상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한국인의 경우에도 성인의 약 80% 정도가 상기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감염되어 임상증상을 보이지 않고 있다가 어떠한 발병촉진 인자의 영향으로 인해 만성적인 위, 십이지장 궤양을 유발한다는 연구가 보고되었다. 또한 문헌에서도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의한 감염은 만성 위축성 위염의 위험 인자이고, 상기 위염은 위암으로 발전한다는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활성 및 우레아제 생성 억제능을 갖는 연교 추출물 및 형개 추출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삭제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대한 항균작용 및 우레아제 생성 억제능을 갖는 연교 추출물 및 형개 추출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연교 추출물 및 형개 추출물은 위궤양, 위염, 위암 등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항균작용 능력을 나타내어 위장질환을 방지하고,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의 우레아제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갖기 때문에 건강식품 등에 널리 상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연교는 물푸레나무과 (木犀科, Oleaceae)로 개나리꽃나무, 영춘화라고도 한다. 상기 연교는 중국이 원산지라고 하나 우리나라에는 상당히 옛날부터 전해온 것이다. 상기 연교는 해발고도의 50 내지 800m에서, 지역적으로는 한국 (함경남도,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지역) 및 중국에 분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방에서 쓰이는 연교는 개나리 종류의 열매를 말린 것을 말하는데 한열(寒熱), 발열, 화농성질환, 림프선염, 소변불리, 종기, 신장염, 습진 등의 질환에 처방되는 약용으로 쓰인다. 뿌리를 연교근, 줄기와 잎을 연교지엽이라 하여 모두 약용으로 사용한다.
한편, 형개는 중국 북부가 원산지인 약용식물로서 통상 감기로 열이 나고 두통이 생기거나 목이 아프거나, 종처(腫處)에서 피가 날 때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연교 추출물을 얻어서 이를 건강식품 등에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형개 추출물은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추출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건강식품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교 추출물은 연교를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에 의해 추출된다. 특히, 용매 추출의 경우는 60 내지 80% 알콜을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최종농도 5 내지 15 ㎎/㎖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상기 알콜은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농축된 연교 추출물을 수산화나트륨(NaOH)과 염산(HCl)등을 사용하여 pH가 6 내지 8로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7로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방법으로 추출된 연교 추출물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교 추출물의 함유량은 0.01 내지 0.5 중량%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교 추출물의 함유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 그 효과가 미약하여 치료제 내지는 예방제로서의 효과가 부족하고 0.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위를 상하게 할 우려가 있다.
상기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대한 연교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항균디스크 (disc) 방법을 이용하였고, 상기 연교 추출물이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의 우레아제 생성 억제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우레아제 활성도 측정 (urease activity test)을 이용하였다. 특히 우레아제 생성 측정 방법은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 (Optical Density : O.D)값의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의 O.D 값을 비교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의 O.D 값을 비교한 결과 연교가 수치가 가장 낮아 우레아제 생성 억제능력이 가장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생약인 연교 추출물을 이용하여 위궤양 등의 원인균으로 공지된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활성 및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장에 필수요건인 우레아제의 생성 억제에 뛰어난 효과를 확인하였고, 이러한 효과를 갖는 연교 추출물을 이용하여 위염, 위암 및 위궤양의 예방 및 치료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 식품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용매 추출법에 의한 연교 추출물의 제조
연교를 제분하고 제분된 연교 50 g을 70%의 에탄올(대정 케미칼사 제조) 500 ㎖가 들어있는 교반기에 넣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교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지 (제품명 NO. 1 : Whatman사 제조)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기 (rotary vacuum evaporator : Eyela사 제조)에서 농축하였다. 그 후, 0.2 ㎛의 막여과기 (membrane filter)를 사용하여 상기 연교 추출물의 제균하고, 수산화나트륨(NaOH)과 염산(HCl)을 사용하여 상기 제균된 연교 추출물을 pH 7로 보정하였다. 이때 얻어진 연교 추출물의 최종농도는 10 ㎎/㎖이었다.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
8 ㎜ 크기의 디스크 (disc)를 론 플레이트 (lawned plate)에 올려놓고 디스크 상에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연교 추출물을 20 ㎕ 분주하였다. 이어서, 상기 플레이트(plate)는 10% CO2, 37℃ 조건에서 72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후에, 각 디스크 주위에 나타난 억제환(inhibition zone)의 직경을 측정함으로서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결과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다.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의 우레아제 생성억제 측정
우레아제 (urease)생성 억제는 희석된 균체 (bacterial suspension) 50 ㎕를 멸균수 10 ㎖에 모노포타슘 포스페이트 (monopotassium phosphate : Difco사 제조) 91 ㎎, 디포타슘 포스페이트 (dipotassium phosphate : Difco사 제조) 95 ㎎, 페놀레드 (phenol red : 0.1% : Difco사 제조) 0.1 ㎎, 유일한 탄소원인 우레아 0.2 g 및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연교 추출물 20 ㎕을 함유하는 캡 튜브(cap tube) 10 ㎖에 첨가하였다. 색상 강도는 스펙트로 포토미터(spectrophotometer) 560 ㎚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2b와 같다.
[실시예 2]
용매 추출법에 의한 형개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연교 대신 형개 추출물을 얻었다. 이때 얻어진 형개 추출물의 최종농도는 10 ㎎/㎖이었다.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
실시예 1의 항균활성 측정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연교 추출물 대신 형개추출물에 대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도 1b에 나타내었다.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의 우레아제 생성억제 측정
실시예 1의 우레아제 생성억제 측정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연교 추출물이 아닌 대신 형개 추출물에 대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대한 우레아제 생성억제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도 1b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용매 추출법에 의한 한약재 추출물의 제조
먼저, 전통 동양약물 데이터베이스(Tradimed : 서울대학교 천연물 과학연구소의 데이타베이스)와 참고문헌(한국의 자원식물 : 서울대학교 출판부 발행)을 통하여 위에 효과가 있는 약재, 항균효과가 있는 약재, 위에 좋으며 항균효과가 있는 약재 등의 세 가지 기준으로 46종을 1차 선별하였다. 1차 선별된 한약재들 중에서 한의사의 처방을 근거로 하여 감초, 건강, 계피, 대황, 백출, 소목, 소엽, 양강, 오수유, 근피, 정향, 창출, 치자, 황금 및 황련의 한약재 15 종을 최종 선별하였다.
이어서, 최종 선별된 한약재 15 종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가공하여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얻어진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의 최종농도는 10 ㎎/㎖이었다.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와 같이 8mm 크기의 디스크를 각각의 론 플레이트(lawned plate)에 올려놓고 디스크(disc)상에 상기의 비교예의 방법으로 제조된 15종의 한약재의 추출물을 20 ㎕씩 분주하고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이때, 결과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었다.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의 우레아제 생성억제 측정
우레아제 (urease)생성 억제는 희석된 균체 (bacterial suspension) 50 ㎕를 멸균수 10 ㎖에 모노포타슘 포스페이트 (monopotassium phosphate : Difco사 제조) 91 ㎎, 디포타슘 포스페이트 (dipotassium phosphate : Difco사 제조) 95 ㎎, 페놀레드(phenol red 0.1% : Difco사 제조) 0.1 ㎎, 유일한 탄소원인 우레아 0.2 g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 중 12종 (양강, 건강, 계피, 백출, 소목, 소엽, 오수유, 정향, 창출, 치자, 황금 및 황련)을 각 20 ㎕씩을 함유하는 캡 튜브 10 ㎖에 첨가하였다. 이 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색상 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대조예]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에 대한 대조군으로는 한약재 추출물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그 결과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었다.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의 우레아제 생성억제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의 우레아제 생성억제 측정에 대한 대조군으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되 한약재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시료를 대상으로 실험·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및 대조예의 결과를 나타낸 도 1a 및 도 1b에 의하면 연교 및 형개는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대한 활성 억제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도 2a 및 2b에 의하면, 14종의 한약재 추출물 중에서 연교 추출물 및 형개 추출물이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병원인자인 우레아제 생성 억제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연교 추출물 및 형개 추출물은 헬리코박터 필로리가 강한 산성인 위내에서 생존하기 위해 필수적인 우레아제의 생성을 억제하여 결국,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의 생존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교 추출물 및 형개 추출물은 위궤양, 위염, 위암등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낼 뿐 만 아니라,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병독인자의 하나인 우레아제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추출물을 건강식품 등에 첨가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위궤양, 위염 및 위암 등의 예방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1a 및 1b는 실시예, 비교예 및 대조예의 방법으로 측정된 한약재 추출물의 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에 대한 항균 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 및 2b는 실시예, 비교예 및 대조예의 방법으로 측정된 한약재 추출물의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에 대한 우레아제 생성 억제능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5)

  1. 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 및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우레아제 생성 억제능을 갖는 연교 추출물 및 형개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연교 추출물 및 형개 추출물은 제분된 연교 및 형개를 60 내지 80%의 알콜로 용매추출한 후, 5 내지 15 mg/ml의 농도로 농축하고, pH 6 내지 8로 보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추출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2-0023675A 2002-04-30 2002-04-30 생약 추출물 KR100538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675A KR100538154B1 (ko) 2002-04-30 2002-04-30 생약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675A KR100538154B1 (ko) 2002-04-30 2002-04-30 생약 추출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309A KR20030085309A (ko) 2003-11-05
KR100538154B1 true KR100538154B1 (ko) 2005-12-21

Family

ID=3238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675A KR100538154B1 (ko) 2002-04-30 2002-04-30 생약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1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667B1 (ko) * 2007-02-20 2009-01-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육두구, 육계 및 양강 혼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항균 활성 분획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577B1 (ko) * 2007-11-09 2008-07-09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한약재 발효조성물을 함유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생육억제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483B1 (ko) * 1992-10-07 1998-10-15 최근선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구상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9990020092A (ko) * 1997-08-30 1999-03-25 김화태 변비제거용 건강식품 제조방법
KR100334944B1 (ko) * 2000-05-04 2002-05-04 정태호 생약 성분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
KR20020037218A (ko) * 2000-11-13 2002-05-18 황성연 한약재 증류수를 이용한 다이어트 음료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483B1 (ko) * 1992-10-07 1998-10-15 최근선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구상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9990020092A (ko) * 1997-08-30 1999-03-25 김화태 변비제거용 건강식품 제조방법
KR100334944B1 (ko) * 2000-05-04 2002-05-04 정태호 생약 성분의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
KR20020037218A (ko) * 2000-11-13 2002-05-18 황성연 한약재 증류수를 이용한 다이어트 음료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667B1 (ko) * 2007-02-20 2009-01-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육두구, 육계 및 양강 혼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항균 활성 분획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309A (ko) 200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tić et al. Cotinus coggygria Scop.: An overview of its chemical constituents, pharmacological and toxicological potential
Evbuomwan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Vernonia amygdalina leaf extracts against multidrug resistant bacterial isolates
Perera et al. Gastric antiulcer effect of Rhizophora mangle L
Bouyahya et al. Phytochemistry and ethnopharmacology of Ficus carica
CA2182917C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and preventing helicobactor pylori-associated stomach gastritis, ulcers and cancer
KR100538154B1 (ko) 생약 추출물
Wang et al. In vitro activity of Impatiens balsamina L. against multiple antibiotic-resistant Helicobacter pylori
KR101019733B1 (ko) 구절초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3423415A (zh) 用于预防或治疗幽门螺杆菌感染的包含忍冬花水提取物的药物组合物
Adeyemi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extracts of Alchornea cordifolia (Schum and Thonn) Mull. Arg., Boerhavia diffusa (L) and Bridellia micranthaI (Hoscht) Baill.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in Nigeria on Helicobacter pylori and four diarrhoeagenic bacterial pathoge
CN110354010A (zh) 一种具有抗幽门螺杆菌功效的漱口水
Edgar Analysis of phenolics from Centella asiatica and Vernonia amygdalina and their role as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compounds
KR100578665B1 (ko) 위장질환 환자를 위한 생약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Kim et al. Effects of pine bark extract administered to immunosuppressed adult mice infected with Cryptosporidium parvum
CN112516232A (zh) 抗菌、抗炎、抗氧化的乌拉草提取物及制备方法和应用
Kryvtsova et al.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some biochemical properties of Arnica montana L.
Samie et al.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challenges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and emergence of alternative treatments
CN100363056C (zh) 治疗上呼吸道感染的药物
Rasve et al. Evaluation of Antiulcer activity of Aconitum heterophyllum on experimental animal
Yamuna et al. CYCLEA PELTATA (LAM.) HOOK. F. & THOMSON: A PHARMACOLOGICAL REVIEW
Lawal et al. A study of the phytochemical properties and synergistic antibacterial activity of Annona comosus (Linn) Merr. peel and citrus senensis peel extracts on Aeromonas hydrophila and Salmonella species.
Mugwena A synopsis of medicinally important indigenous species of the genus Scabiosa (Caprifoliaceae), an evaluation of their biological activity and synergistic properties of Scabiosa columbaria
Bahadeen Aref et al. Evaluating the Protective Effects of Aqueous and Hydroalcoholic Extracts of Plantago Major Leaf in a Rat Model of Ethanol-induced Peptic Ulcer
KR100422094B1 (ko) 수영의 염화메틸렌 추출물을 함유하는 암 치료 및 예방용약제학적 조성물
KR20110080184A (ko) 천련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세균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