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9845A -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통신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통신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9845A
KR20010099845A KR1020017007777A KR20017007777A KR20010099845A KR 20010099845 A KR20010099845 A KR 20010099845A KR 1020017007777 A KR1020017007777 A KR 1020017007777A KR 20017007777 A KR20017007777 A KR 20017007777A KR 20010099845 A KR20010099845 A KR 20010099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communication terminal
update
terminal device
checks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이토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9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84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동일한 구성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101)와 통신 단말 장치(102)를 접속하여, 한쪽을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로 하고, 다른쪽을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로 하여, 프로그램의 갱신을 실행한다.

Description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통신 단말 장치{METHOD OF UPDATING PROGRAM AND COMMUNICATION TERMINAL}
종래, 통신 단말 장치와 같이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플래쉬 ROM이 회로 기판상에 부착되어 있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플래쉬 ROM을 회로 기판상에 부착한 채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갱신은, 퍼스널 컴퓨터 장치나 범용 컴퓨터 장치(이하, 통합하여「컴퓨터 장치」라고 함.)에, 프로그램의 갱신이 필요한 통신 단말 장치가 1대, 또는 복수대 접속되어, 컴퓨터 장치의 제어 하에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컴퓨터 장치는 시리얼 신호 단자를 거쳐서, 컴퓨터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통신 단말 장치에 전송하여, 프로그램을 통신 단말 장치의 플래쉬 ROM에 기입한다.
이하, 컴퓨터 장치와 통신 단말 장치를 접속하여 프로그램을 통신 단말 장치에 전송할 때의 장치 구성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1대의 통신 단말 장치에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도 1은 1대의 통신 단말 장치에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l에서, 컴퓨터 장치(11)는 접속 케이블(12)을 거쳐서, 프로그램을 신호 레벨 변환 장치(13)로 시리얼 전송한다. 신호 레벨 변환 장치(13)는 컴퓨터 장치(11)와 통신 단말 장치(14) 사이에서 시리얼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여, 컴퓨터 장치(11)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을, 접속 케이블(15)을 거쳐서 접속된 통신 단말 장치(14)에 전송한다. 또한, 신호 레벨 변환 장치(13)는 접속 케이블(16)을 거쳐서 전원 공급 장치(17)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접속 케이블(l5)을 거쳐서, 통신 단말 장치(14)에 공급한다.
통신 단말 장치(14)는 컴퓨터 장치(11)로부터 전송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전부 수신하여 프로그램의 기입을 종료한 경우에는, 기입 내용에 오류가 없는 것을 체크섬 연산에 의해 확인하고, 그 결과를 접속 케이블(15) 및 접속 케이블(12)을 거쳐서, 컴퓨터 장치(11)에 알린다. 이에 의해, 컴퓨터 장치(11)로부터의 프로그램 전송이 정지된다.
다음에, 복수의 통신 단말 장치에 동시에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복수의 통신 단말 장치에 동시에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단, 도 1과 동일한 장치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서, 신호 제어 장치(21)는 컴퓨터 장치(11)와 복수의 통신 단말 장치(14) 사이에서 시리얼 신호 전압 레벨을 변환하여, 복수의 통신 단말 장치(14)에 동시에 프로그램을 전송한다. 또한, 신호 제어 장치(21)는 복수의 통신 단말 장치(14)에, 동시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2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전송 방법에서는, 접속 케이블(15)을 병렬로 늘리는 것에 의해, 동시에 프로그램을 기입할 수 있는 통신 단말 장치(14)의 수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한번에 대량의 통신 단말 장치(14)에 대해 프로그램의 갱신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장치 구성을 동시에 다수 사용하면 좋다.
그러나, 종래의 프로그램 갱신 방법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즉, 프로그램 기입의 처리 효율은, 설치 가능한 컴퓨터 장치의 수, 및 신호 레벨 변환 장치 또는 신호 제어 장치의 수에 의존한다. 그러나, 그들의 장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규모인 것으로 되어 설치 장소를 점유하기 때문에, 설치 장소가 한정되게 된다. 따라서, 그들의 장치 수를 늘리는 것에 의해,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1대 당의 통신 단말 장치의 프로그램 기입에 필요한 시간은, 컴퓨터 장치의 성능과 컴퓨터 장치용으로 규격화된 시리얼 신호의 전송 속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즉, 시리얼 신호의 전송 속도는, 통신 단말 장치가 접속되는 컴퓨터 장치의 제약에 의해서 한정되기 때문에, 전송 속도의 선택지가 적을수록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곤란하게 된다.
또한, 동시에 복수의 통신 단말 장치에 프로그램을 기입하는 방법에 의해서 프로그램 기입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경우에도, 동시에 기입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접속을 통합하여 실행하지 않으면 안 되고, 기입을 개시하기까지의 준비 시간이나, 기입 종료 후의 해체 시간이라고 하는 기입 처리 시간이외의 시간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처리 효율의 대폭적인 향상은 기대할 수 없다. 또한, 기입시에도, 복수의 통신 단말 장치로의 기입 처리의 보조를 맞출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입 처리의 대기가 발생하여, 처리 효율은 저하하게 된다.
또한, 신호 레벨 변환 장치 및 신호 제어 장치의 개발에는, 시간과 비용이 걸리게 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그램 갱신 처리의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프로그램 갱신 장치를 저 비용으로 대량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통신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끼리를 접속하고, 한쪽을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 다른쪽을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로 하여, 프로그램의 갱신을 행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통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1대의 통신 단말 장치에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복수의 통신 단말 장치에 동시에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위한 종래의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프로그램 송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프로그램 수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l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일한 구성을 갖는 2개의 통신 단말 장치(101)와 통신 단말 장치(102)는, 접속 커넥터(103) 및 접속 커넥터(104)를 거쳐서 접속 케이블(105)에 의해서 접속된다. 접속 케이블(105)은 신호 송수신선(106) 및 전력 공급선(107)으로 이루어진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101)를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로 하고, 통신 단말 장치(102)를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로 하여 설명한다.
통신 단말 장치(101)는 접속 케이블(109)에 의해서, 전원 공급 장치(108)에 접속된다. 프로그램 갱신시에는, 이 전원 공급 장치(108)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통신 단말 장치(101) 및 통신 단말 장치(102)가 구동한다. 표시등(110) 및 표시등(111)은 프로그램의 갱신 결과 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통신 단말 장치(101) 및 통신 단말 장치(10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블럭도이다. 또, 도 3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단말 장치(101)와 통신 단말 장치(102)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이며, 모두 접속 커넥터 판별부(201), 프로그램 송신 장치(202) 및 프로그램 수신 장치(203)를 갖는다. 접속 커넥터 판별부(201)는 접속 커넥터(103) 및 접속 커넥터(104)의 종류를 판별하여, 통신 단말 장치가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이 될지,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이 될지를 결정한다. 즉, 접속 커넥터 판별부(201)는 통신 단말 장치에 접속된 접속 커넥터의 종류에 의해서, 프로그램 송신 장치(202) 또는 프로그램 수신 장치(203)의 어느 한쪽을 기동한다.
프로그램 송신 장치(202)는,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여기서는, 통신 단말 장치(102))에, 갱신 대상으로 되는 프로그램, 즉 갱신 프로그램을 송신한다. 프로그램 수신 장치(203)는,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여기서는, 통신 단말 장치(10l))로부터 송신된 갱신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프로그램을 갱신한다.
다음에, 프로그램 송신 장치(202) 및 프로그램 수신 장치(20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프로그램 송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블럭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프로그램 수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블럭도이다. 또, 도 3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프로그램 송신 장치(202)에 있어서, 커맨드 선택부(301)는 입력된 신호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명령을 판단한다. 프로그램 송신부(302)는 기억부(303)에 기억되어 있는 갱신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송신한다. 기억부(303)는 예컨대, 플래쉬 ROM 등으로 구성되어, 갱신 프로그램 및 통신 단말 장치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체크섬 연산부(304)는, 프로그램의 갱신이 정확하게 행해지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소위 체크섬을 계산한다. 체크섬 조합(照合)부(305)는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에서 계산된 체크섬과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에서 계산된 체크섬과의 조합을 행한다.
기동 지시부(306)는 통신 단말 장치(102)를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로서 기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전환부(307)는 출력되는 신호를 전환한다. 전압 측정부(308)는 전원 공급 장치(108)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을 측정하고, 그 전압에 따라서 스위치(309)의 접속/절단을 제어한다.
한편, 도 6에 나타내는 프로그램 수신 장치(203)에 있어서, 커맨드 선택부(401)는 입력된 신호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명령을 판단한다. 프로그램 갱신부(402)는 수신한 갱신 프로그램을 기억부(403)에 기입한다. 기억부(403)는, 예컨대 플래쉬 ROM 등으로 구성되어, 통신 단말 장치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체크섬 연산부(4O4)는 프로그램의 갱신이 정확하게 행해지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소위 체크섬을 계산한다. 전환부(405)는 출력되는 신호를 전환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이하,「ST」라고 생략함.)(501)에서, 통신 단말 장치(101)에서는, 접속 커넥터 판별부(201)가 접속 커넥터(103)의 종류를 판별한다. 그리고, 접속 커넥터(103)의 종류가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에 접속되기 위한 전용의 접속 커넥터(이하,「송신 전용 커넥터」라고 함.)인 경우에는, ST502에서, 접속 커넥터 판별부(20l)가 프로그램 송신 장치(202)를 기동시킨다. 또한, 접속 커넥터(103)가 송신 전용 커넥터 이외의 커넥터인 경우, 또는 접속 커넥터 자체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통신 단말 장치(101)는 ST503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상의 통신 단말 장치로서 기동한다. 이에 의해, 통신 단말 장치는 커넥터 종류의 판별만으로 자동적으로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로서 기동할 수 있다.
다음에, ST504에 있어서, 전압 측정부(308)가 전원 공급 장치(108)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력의 전압을 측정한다. 그리고, 전원 전압이 프로그램 송신 장치(202) 및 프로그램 수신 장치(203)가 가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정의 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전압 측정부(308)가 스위치(309)를 접속한다. 이에 의해, ST505에서, 전원 공급 장치(108)로부터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을 거쳐서,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에도 전력이 공급되게 된다. 한편, ST504에서, 전원 전압이 소정의 가동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프로그램 갱신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한쪽의 통신 단말 장치는 다른쪽의 통신 단말 장치를 전력 공급원으로서 대용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전압이 소정의 가동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프로그램 갱신 처리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가동 전압 부족에 의한 프로그램 갱신의 실패 등에 의한 데이터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ST504에 있어서의 처리를,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이 아니고,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에서 실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에도, 전원 전압이 소정의 가동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프로그램 갱신 처리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가동 전압 부족에 의한 프로그램 갱신의 실패 등에 의한 데이터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ST504에 있어서의 처리를, ST502에 있어서의 처리 전단에서 실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ST504에서 전원 전압이 소정의 가동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프로그램 갱신 처리를 종료하도록 하더라도 좋고, 또한, 통신 단말 장치가 통신을 실행하는 통상의 통신 단말 장치로서 기동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ST506에서, 기동 지시부(306)가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에 대해 기동 요구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전환부(307)는 기동 지시부(306)와 신호 송수신선(106)을 접속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ST601에서,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인 통신 단말 장치(102)의 커맨드 선택부(401)가 기동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커맨드 선택부(401)는 ST602에서, 프로그램 수신 장치(203)를 기동시키고, ST604에서,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인 것을 나타내는 소정의 색으로 표시등(111)을 점등시킨다. 이에 의해,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과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과의 구별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기동 요구 신호가 수신된 것이 프로그램 갱신부(402)에 통지된다.
한편, 기동 요구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접속 커넥터 자체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통신 단말 장치(102)는 ST603에서, 통신을 실행하는 통상의 통신 단말 장치로서 기동한다.
다음에, ST605에서, 프로그램 갱신부(402)가 플래쉬 ROM 등으로 구성된 기억부(403)의 타입을 판정한다.
타입 판정 후, ST606에서, 프로그램 갱신부(402)는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에프로그램 송신 요구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전환부(405)는 프로그램 갱신부(402)와 신호 송수신선(106)을 접속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송신 요구 신호에는 프로그램 송신을 위한 신호의 속도, 송신하는 신호 사이의 공백 시간, 기억부(403)의 어드레스 정보 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부가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파라미터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통신 단말 장치끼리 실행하는 프로그램 갱신 처리이더라도, 사용 용도에 따라 송신 속도나 프로그램 기입 부분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상기 파라미터의 송신을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로부터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에 실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파라미터의 송신은 ST507의 처리 후 내지 ST509의 처리 후의 어느 한 시점, 또는 ST509의 프로그램 송신에 병행하여 행해진다.
다음에, ST507에서, 프로그램 송신 장치(202)의 커맨드 선택부(301)가 프로그램 송신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커맨드 선택부(301)는 ST508에서, 프로그램 송신이 개시된 취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색으로 표시등(110)을 점등시킨다. 한편, 커맨드 선택부(301)가 송신 요구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동안에는, ST506∼ST507의 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진다.
다음에, ST509에서, 커맨드 선택부(301)는 프로그램 송신부(302)에 대해, 갱신 프로그램을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이 지시에 의해, ST509에서, 프로그램 송신부(302)는 기억부(303)로부터 갱신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로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이 때, 전환부(307)는 프로그램 송신부(302)와 신호 송수신선(106)을 접속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ST510에서, 커맨드 선택부(301)는 체크섬 연산부(304)에 대해, 체크섬 연산을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이 지시에 의해, 체크섬 연산부(304)는 갱신 프로그램의 송신이 행해지고 있는 것과 병행하여, 체크섬 연산을 실행한다.
다음에, ST607에서,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의 프로그램 갱신부(402)가 수신한 갱신 프로그램을 ST605에서 판정한 타입에 따라서, 기억부(403)에 기입한다. 또, 기입 이전에는, 기억부(403)에 기억되어 있는 갱신 대상으로 되는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갱신부(402)에 의해서 미리 소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에서 각각의 타입에 따라 프로그램의 기입이 행해지기 때문에,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이 각각 타입이 다른 플래쉬 ROM을 탑재하고 있는 경우에도,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은, 모든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에 대해 동일한 동작에서 프로그램 송신을 실행하면 충분하다.
다음에, 갱신 프로그램의 송신이 전부 종료하면, ST511에서,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의 프로그램 송신부(302)는,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에 대해, 체크섬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ST608에서, 체크섬 요구 신호를 수신한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의 커맨드 선택부(401)가 체크섬 연산부(404)에 대해, 체크섬 연산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의해, 체크섬 연산부(404)는 체크섬 연산을 행한다.
체크섬 연산부(404)는, 체크섬 연산이 종료하면, ST609에서, 그 결과를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에 송신한다. 이 때, 전환부(405)는 체크섬 연산부(404)와 신호송 수신선(106)을 접속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체크섬의 연산 결과를 수신한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의 커맨드 선택부(301)는, ST512에서, 체크섬 조합부(305)에 대해, 체크섬 연산 결과의 조합을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의해, 체크섬 조합부(305)는 체크섬 연산부(304)에서 산출된 체크섬의 연산 결과와 수신한 체크섬의 연산 결과를 조합한다.
조합한 결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체크섬 조합부(305)는 ST513에서, 표시등(110)을 소등시켜, 프로그램 갱신이 성공한 취지를 통신 단말 장치 사용자에 알린다. 그리고, ST516에서, 체크섬 조합부(305)는 스위치(309)를 절단한다. 이에 의해,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되게 되어, 프로그램 갱신 처리가 종료한다.
또, ST5l3에서, 체크섬 조합부(305)는, 프로그램 갱신이 성공한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통신 단말 장치에 접속된 외부 장치에 대해 출력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해, 프로그램 갱신 처리의 성능 판단을 통신 단말 장치의 외부에 접속된 컴퓨터 등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대량의 통신 단말 장치에 대해 프로그램 갱신을 할 때에, 그 공정 관리를 외부에 접속된 컴퓨터 등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체크섬 연산 결과의 조합에 의한 프로그램 갱신의 성부 판정을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이 아니라,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에서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ST512에서 조합한 결과, 불일치인 경우, 즉 프로그램의 갱신이 실패한 경우에는, 체크섬 조합부(305)는 ST514에서, 갱신 프로그램의 송신 개시시로부터 누적하고 있는 과거의 불일치 회수(실패 회수)를 조사한다. 그리고, 이번의 프로그램 갱신 처리의 실패가 첫번째의 실패인 경우에는, 체크섬 조합부(305)는 프로그램 송신부(302)에 대해, 갱신 프로그램의 재송 요구를 행한다. 이에 의해, ST509 내지 ST512의 처리가 재차 실행되어,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에 갱신 프로그램의 재송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갱신 처리의 실패시에는, 자동적으로 갱신 프로그램의 재송이 행해지기 때문에, 갱신 처리가 성공하는 비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ST514에서, 불일치 회수(실패 회수)가 소정의 회수(현재, 여기서는 2회)에 도달한 경우에는, 체크섬 조합부(305)는 ST515에서, 프로그램 갱신이 실패한 취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색으로 표시등(1l0)을 점멸시킨다. 이에 의해, 프로그램의 갱신이 성공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ST516에서, 체크섬 조합부(305)는 스위치(309)를 절단한다. 이에 의해,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되게 되어, 프로그램 갱신 처리가 종료한다. 또, 여기서는, 불일치 회수(실패 회수)가 2회에 도달한 경우에 프로그램 갱신 처리를 종료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소정의 회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갱신 프로그램의 재송 회수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에 의하면, 동일한 구성을 갖는 2개의 통신 단말 장치를, 한쪽을 프로그램 송신측, 다른쪽을 프로그램 수신측으로 하여, 프로그램의 갱신을 행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갱신에 필요한 장치를 용이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프로그램 갱신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통신 단말 장치의 프로그램을 갱신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갱신 장치의 설치 장소를 선택하지 않고 프로그램 갱신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송신측과 프로그램 수신측의 단말이 동일한 구성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이기 때문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전압 변환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송수신 신호의 종류에 대해, 시리얼 신호에 한정되지 않고, 신호의 종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가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와 상이한 점은,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에 접속되는 접속 커넥터의 종류가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에 접속되기 위한 전용의 접속 커넥터(이하,「수신 전용 커넥터」라고 함.)인 점이다.
실시예 1에서는,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에 접속되는 접속 커넥터의 종류만이 송신 전용 커넥터이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에 접속되는 접속 커넥터의 종류도, 수신 전용 커넥터로 된다. 따라서, 통신 단말 장치(102)에 접속되는 접속 커넥터(104)가 수신 전용 커넥터로 된다.
이하, 도 9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한 동작으로 되는 단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T701에서, 통신 단말 장치(102)에서는, 접속 커넥터 판별부(201)가 접속 커넥터(104)의 종류를 판별한다. 그리고, 접속 커넥터(104)의 종류가 수신 전용 커넥터인 경우에는, ST602에서, 접속 커넥터 판별부(201)가 프로그램 수신 장치(203)를 기동시킨다.
또한, 접속 커넥터(104)가 수신 전용 커넥터 이외의 커넥터인 경우, 또는 접속 커넥터 자체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통신 단말 장치(102)는 ST603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상의 통신 단말 장치로서 기동한다. 이에 의해, 통신 단말 장치는 커넥터 종류의 판별만으로 자동적으로 프로그램 수신 장치로서 기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에 접속되는 접속 커넥터의 종류가 수신 전용 커넥터이기 때문에,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은,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지 않고 프로그램 수신 장치로서 기동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에 비해, 프로그램 갱신 순서가 간단하게 되어, 프로그램 갱신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프로그램 송신 장치와 프로그램 수신 장치를 나누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동일한 통신 단말 장치내에 탑재되는 것이기 때문에, 프로그램 송신 장치와 프로그램 수신 장치에서, 동일 명칭의 각 구성부를 공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과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을 1 : 1로서 프로그램의 갱신을 했지만, 이것을 1 : N(N은 복수)으로 하여, 복수의 통신 단말에 대해 동시에 프로그램의 갱신 처리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 2개를 접속하여 프로그램 갱신이 행해지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상기 프로그램 갱신 방법은 통신 단말 장치 이외의 다른 전자 기기에 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표시등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갱신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면상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통신 단말 장치의 외부에 접속된 표시등, 컴퓨터 장치 등에 의해서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접속하여 통신 단말 장치가 가동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통신 단말 장치 내장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갱신 처리가 행해지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접속 커넥터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통신 단말 장치를 프로그램 송신 장치 또는 프로그램 수신 장치의 어느 한쪽으로서 기동시키도록 했다. 그러나, 통신 단말 장치 사용자가 실행하는 버튼 조작 등의 수동 조작에 의해서, 통신 단말 장치를 프로그램 송신 장치 또는 프로그램 수신 장치의 어느 한쪽으로 하여 기동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그램 갱신 처리의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프로그램 갱신 장치를 저 비용으로 대량 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명세서는, 1999년 10월 21일 출원의 특허 공개 평성 제 11-299052 호에 근거하는 것이다. 이 내용을 모두 여기에 포함시켜 놓는다.
본 발명은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통신 단말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9)

  1. 동일한 구성을 갖는 2개 이상의 통신 단말끼리를 접속하여, 하나의 통신 단말을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로 하고, 상기 하나의 통신 단말 이외의 통신 단말을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로 하여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프로그램 갱신 방법.
  2.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갱신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기와,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로부터 수신한 갱신 프로그램에 의해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갱신기
    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통신 단말 장치에 접속된 커넥터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기를 구비하며,
    상기 판별기는 상기 종류에 따라서 통신 단말 장치를 프로그램 송신측 단말 또는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 중 어느 한쪽으로서 결정하여, 송신기 또는 갱신기의 어느 한쪽을 동작시키는 통신 단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송신기는, 프로그램 갱신 처리가 실패한 경우에, 갱신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수신측 단말로 재송하는 통신 단말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갱신기는, 메모리 형태에 따른 기입 방식에 의해서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통신 단말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전원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전원 전압이 소정의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프로그램 갱신 처리를 중지하는 전압 측정기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갱신 처리의 각 처리 단계에 따라 각 처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기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접속된 다른 통신 단말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상기 다른 통신 단말 장치로 공급하는 전력 공급기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갱신 처리에서 필요하게 되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정보를 접속된 다른 통신 단말 장치로 통지하는 통지기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 장치.
KR1020017007777A 1999-10-21 2000-10-19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통신 단말 장치 KR200100998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905299A JP3545659B2 (ja) 1999-10-21 1999-10-21 プログラム更新方法および通信端末装置
JP99-299052 1999-10-21
PCT/JP2000/007264 WO2001029657A1 (fr) 1999-10-21 2000-10-19 Procede d'actualisation d'un programme et terminal de commun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845A true KR20010099845A (ko) 2001-11-09

Family

ID=1786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777A KR20010099845A (ko) 1999-10-21 2000-10-19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통신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164470A1 (ko)
JP (1) JP3545659B2 (ko)
KR (1) KR20010099845A (ko)
CN (1) CN1327556A (ko)
AU (1) AU7949300A (ko)
WO (1) WO2001029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2191A (ja) * 2001-07-09 2003-01-24 Topcon Corp 測定装置
JP2005122557A (ja) * 2003-10-17 2005-05-12 Yaskawa Electric Corp マルチcpuシステムおよびその転送データ比較方法
US7779409B2 (en) * 2004-08-24 2010-08-17 Nokia Corporation Device-to-device software distribution
JP4929726B2 (ja) * 2005-03-07 2012-05-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
JP5095241B2 (ja) * 2007-03-07 2012-12-1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起動方法
JP5516149B2 (ja) * 2010-06-30 2014-06-11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更新方法及び端末装置
CN104428751A (zh) * 2014-06-27 2015-03-18 华为技术有限公司 程序数据的更新方法及设备
JP2015109109A (ja) * 2015-02-12 2015-06-11 グリー株式会社 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配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5560B2 (ja) * 1993-08-05 1998-03-11 日本電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H07303130A (ja) * 1994-03-09 1995-11-14 Toshiba Corp メモリ転送用アダプタおよびメモリ転送方法
FI955188A (fi) * 1995-10-30 1997-06-24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atkaviestimen ohjelmiston ylläpito
GB2310110B (en) * 1996-02-09 2000-05-10 Nokia Mobile Phones Ltd Transferring information
JPH09238184A (ja) * 1996-02-29 1997-09-09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装置
KR100247951B1 (ko) * 1997-04-11 2000-03-15 윤종용 휴대형정보단말장치의프로그램갱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17781A (ja) 2001-04-27
CN1327556A (zh) 2001-12-19
WO2001029657A1 (fr) 2001-04-26
AU7949300A (en) 2001-04-30
EP1164470A1 (en) 2001-12-19
JP3545659B2 (ja) 200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30146A (zh) 低功耗嵌入式设备远程无线升级方法
CA21049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er diagnostics
KR20010099845A (ko)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통신 단말 장치
JPH0252281B2 (ko)
KR20000053266A (ko) 동적 시스템 구성 및 진단을 허용하는 자체-부팅 메카니즘
US5610593A (en)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3496601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動作状態出力方法
CN112767722B (zh) 交通信号机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1261022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이의 프로그램 데이터 셋팅 방법
JP3565005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用の設定器
US7647442B2 (en) Series-connected control system
CN212181459U (zh) Fpga升级系统
KR2002000616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장 진단 방법
JP3335016B2 (ja) ワイヤレス式アドレス設定器
CN117060581A (zh) 一种电能表参数一键配置的方法及装置
KR100345597B1 (ko) 휴대단말기의 외장 키보드 접속 방법
KR100257674B1 (ko) 이중화 프로세서 보드를 이용한 플레쉬 메모리 복사방법
KR100527140B1 (ko) 차량의 무선리모콘 코드입력장치
CN116988881A (zh) 一种双燃料发动机运行状态指示方法及系统
KR100454185B1 (ko) 버스제어 시스템의 카드자동인식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778919A (zh) 一种基于虚拟控制的usb共享装置
JP2002112369A (ja) 端末網制御装置
CN117097359A (zh) 基于gsmr网络的铁路fsk信号接收系统及其高可靠传输方法
CN117873520A (zh) 基于基板管理控制器的主板固件升级方法、装置及设备
JPS61179633A (ja) 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