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9746A -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화 - Google Patents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9746A
KR20010099746A KR1020010022527A KR20010022527A KR20010099746A KR 20010099746 A KR20010099746 A KR 20010099746A KR 1020010022527 A KR1020010022527 A KR 1020010022527A KR 20010022527 A KR20010022527 A KR 20010022527A KR 20010099746 A KR20010099746 A KR 20010099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imaging device
holding
holding means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3417B1 (ko
Inventor
미야께히로유끼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10099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홀더는 기판으로서의 단말 기판(4)의 주표면에 있어서 촬상 장치(1)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제1 부품 보유 지지 수단과, 상기 제1 부품 보유 지지 수단과는 다른 장소에서, 예를 들어 리시버(3)와 같은 다른 부품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제2 부품 보유 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부품 보유 지지 수단과 상기 제2 부품 보유 지지 수단은 일체화되어 있다.

Description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화{Holder and Portable Telephone with the Holder}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등의 통신 기기 내부에 있어서 기판에 각종 장치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화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의 고기능화가 진행되어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전화가 개발되어 있다. 그 외관의 일부를 도10에 도시한다. 하우징(6) 중, 표시 장치(5)의 상방에는 촬상 장치의 렌즈가 노출되기 위한 개구부인 하우징 개구부(10)가 마련되어 있다. 이 하우징(6)을 제거한 상태를 도11에 도시한다. 단말 기판(4)에는 촬상 장치(1), 리시버(3), 표시 장치(5) 등이 각각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중 촬상 장치(1) 및 리시버(3)는 각각 홀더(20)에 보유 지지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촬상 장치(1) 및 리시버(3)를 홀더에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12에 도시한다.
홀더(20)는 수지제이며, 납땜 등의 수단으로 단말 기판(4)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홀더(20)는, 예를 들어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방으로부터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 갈고리(12)를 갖고 있다. 그 위치에 부착해야 할 촬상 장치(1), 리시버(3) 등의 부품은 복수의 갈고리(12)에 둘러싸여진 내측에 끼워 맞춤으로써 홀더(20)에 보유 지지된다. 부품은, 홀더(20)에 대해서는 착탈 가능하다. 따라서, 부품을 이와 같은 홀더(20)를 거쳐서 부착하는 것으로 한 경우, 부품을 직접 단말 기판(4)에 접착 등으로 고정하는 경우와 달리, 부품이 불량품인 경우 등에 부품 교환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 리시버(3) 등의 휴대 전화의 개개의 부품마다 홀더(20)를 준비하고, 각 홀더(20)를 각각 단말 기판(4)에 부착하는 것으로 한 경우, 부품 갯수가 늘어 조립 작업이 번잡해지며, 제조 비용의 증대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휴대 전화의 고기능화가 진행되어 단말 기판(4)에 부착되어야 할 부품의 종류나 갯수가 늘어나고 있는 지금, 이러한 문제는 현저하다.
한편, 휴대 전화는 그 전체의 형상에 있어서,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 요청에 따르기 위해서는 도13a, 도13b에 도시한 단말 기판(4)의 중심과 하우징(6)의 중심 거리(T)에 대해서도 가능한 한 작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홀더(20)는 복수의 갈고리(12)에 의해 부품을 둘러싸는 형상이었으므로, 도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품의 하면과 단말 기판(4) 사이에도 홀더(20)가 끼일 수밖에 없었다. 부품 자체의 높이가 원래 작은 경우는 부품과 단말 기판(4) 사이에 홀더(20)가 끼이는 것은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촬상 장치(1)의 경우는 촬상 장치(1) 내부에서 렌즈와 수광 소자 사이의 촛점 거리를 확보한다고 하는 광학적인 이유에서, 다른 부품에 비해 높이가 커지는 경향이 있어, 그 높이를 작게 하는 데에는 한도가 있었다.
도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 기판(4)에 홀더(20)를 부착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6)에 홀더(20a)를 부착한다고 하는 방법에 따르면, 촬상 장치(1)의 상면의 단차를 이용하여 홀더(20a)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거리(T)를 작게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조립 작업시에 단말 기판(4)에 부착되어 있는 다른 부품과 하우징(6)에 부착되어 있는 촬상 장치(1) 사이에서의 전기적 접속이 곤란해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휴대 전화의 조립이 용이해지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립의 용이화와 동시에 휴대 전화의 박형화가 도모되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거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를 사용하여 촬상 장치 등을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거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를 단말 기판에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거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를 사용하여 촬상 장치 등을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거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를 단말 기판에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의거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의, 도4의 Ⅴ-Ⅴ선에 관한 화살 표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거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에 촬상 장치 등을 부착한 상태의 설명도.
도7은 본 발명에 의거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를 사용한 휴대 전화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의거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를 사용하여 촬상 장치 등을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에 의거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를 단말 기판에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10은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전화의 외관을 도시한 평면도.
도11은 종래 기술에 의거한 홀더를 사용하여 촬상 장치 등을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12는 종래 기술에 의거한 홀더에 있어서, 촬상 장치 등을 부착하기 전의 상태의 평면도.
도13a, 도13b는 종래 기술에 의거한 홀더를 사용한 휴대 전화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촬상 장치
3 : 리시버
4 : 단말 기판
5 : 표시 장치
6 : 하우징
10 : 하우징 개구부
11 : 관통 구멍
12 : 갈고리
13a, 13b, 13c : 보유 지지부
20, 20a, 21, 22, 23 : 홀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거한 홀더는 기판의 주표면에 있어서 촬상 장치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제1 부품 보유 지지 수단과, 상기 제1 부품 보유 지지 수단과는 다른 장소에서 다른 부품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제2 부품 보유 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부품 보유 지지 수단과 상기 제2 부품 보유 지지 수단은 일체화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부품 갯수를 줄일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해진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품 보유 지지 수단은 상기 촬상 장치를 상기 주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단말 기판과 하우징의 거리를 짧게 하여 휴대 전화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품 보유 지지 수단은 상기 촬상 장치의 외주를 둘러싸 보유 지지하는 프레임 형상이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촬상 장치와 주표면 사이에 끼이는 일 없이 촬상 장치를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품 보유 지지 수단은 상면 및 바닥면이 개방된 프레임 형상이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촬상 장치를 주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부품 보유 지지 수단은 리시버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리시버의 근방에 촬상 장치를 배치하는 타입의 휴대 전화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부품 보유 지지 수단은 표시 장치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표시 장치를 구비한 휴대 전화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홀더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제1 부품 보유 지지 수단과 제2 부품 보유 지지 수단의 상대적인 자세를 정밀도 좋게 해 둠으로써, 조립시에는 특별한 조작 없이 촬상 장치와 표시 장치의 상대적인 자세를 원하는 정밀도로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수지로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홀더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의거한 휴대 전화는 상기 중 어느 하나의 홀더를 구비한 휴대 전화이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한 휴대 전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작업이 용이화되는 만큼, 저렴하게 휴대 전화를 생산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 도2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21)에 대해 설명한다.도1은 홀더(21)에, 촬상 장치(1) 및 리시버(3)를 각각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2는 촬상 장치(1) 및 리시버(3)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21)는 도1,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제1 부품 보유 지지 수단으로서의 보유 지지부(13a)와, 촬상 장치(1)와는 다른 장소에서 다른 부품인 리시버(3)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제2 부품 보유 지지 수단으로서의 보유 지지부(13b)를 구비하고 있다. 보유 지지부(13a) 및 보유 지지부(13b)는 각각 복수의 갈고리(12)를 포함한다. 보유 지지부(13a)와 보유 지지부(13b)는 연결된 형태로 일체화되어 있다. 이 홀더(21)는 수지로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촬상 장치(1)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부(13a)와, 리시버(3)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부(13b)가 일체화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경우는 홀더(20)(도12 참조)가 2개 필요했던 곳에 홀더(21)를 이용하면, 부품 갯수는 1개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부품 갯수를 줄일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 홀더(21)에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부품 보유 지지 수단으로서의 보유 지지부의 수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로 되어 있지만, 2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 이상이면, 몇 개라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도3, 도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22)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은 홀더(22)에, 촬상 장치(1) 및 리시버(3)를 각각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4는 촬상 장치(1) 및 리시버(3)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4에 있어서의 V-V선에 관한 화살 표시 단면도를 도5에 도시한다. 또, 도5, 도6에 있어서는 단말 기판(4)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 홀더(22)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1)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제1 부품 보유 지지 수단인 보유 지지부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형상의 보유 지지부(13c)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유 지지부(13c)는 상면 및 바닥면이 개방된 프레임 형상, 즉 측면만으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관통 구멍(11)을 형성하는 프레임 형상으로 되어 있다. 홀더(22)에 촬상 장치(1)를 부착할 때에는 촬상 장치(1)를 프레임 형상의 내측의 관통 구멍(11)에 끼워 넣음으로써 고정되고, 홀더(22)는 촬상 장치(1)를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의 외주를 둘러싸 보유 지지한다. 촬상 장치(1)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면을 단말 기판(4)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보유 지지된다.
리시버(3) 등의 다른 부품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갈고리(12)를 갖는 보유 지지부(13b)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그 밖의 요건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하다.
촬상 장치(1)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부(13c)는 상면 및 바닥면이 개방된 프레임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촬상 장치(1)의 하면과 단말 기판(4) 사이에 홀더(22)가 끼이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촬상 장치(1)는 하면을 단말 기판(4)에 접촉시켜 보유 지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도13a 참조]에 비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리(T)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휴대 전화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보유 지지부(13c)를 이러한 형상으로 할 수 있었던 것은 보유 지지부(13b)와 일체화되어 있었던 점에 따른 것이다. 종래와 같이 각 보유 지지부가 각각 단말 기판(4)에 부착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보유 지지부(13c)와 같은 형상의 보유 지지부는 단말 기판(4)으로의 접합에 필요한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워 단말 기판(4)으로의 접합이 곤란했지만, 홀더(22)에 있어서는 보유 지지부(13c)는 다른 보유 지지부인 보유 지지부(13b) 등과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보유 지지부(13b)의 단말 기판(4)으로의 접합을 충분히 행함으로써, 보유 지지부(13c)도 원하는 위치에 고정 해 둘 수 있다.
또, 보유 지지부(13c)는 상면 및 바닥면이 개방된 프레임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면 또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프레임 형상이라도 촬상 장치(1)의 하면을 단말 기판(4)에 접촉시켜 보유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좋다. 또, 프레임 형상이 아닌 경우라도, 촬상 장치(1)의 하면을 단말 기판(4)에 접촉시켜 보유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좋다.
<제3 실시 형태>
도8, 도9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23)에 대해 설명한다. 도8은 홀더(23)에 촬상 장치(1), 리시버(3) 및 표시 장치(5)를 각각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9는 촬상 장치(1), 리시버(3) 및 표시 장치(5)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홀더(23)는 제2 부품 보유 지지 수단으로서 복수의 갈고리(14)를 갖는 보유 지지부(13d)를 구비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있어서의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지지부(13b)는 제2 부품 보유 지지 수단으로는 간주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하다. 보유 지지부(13b, 13c, 13d)는 서로 연결된 형태로 일체화되어 있다. 그 밖의 요건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하다.
휴대 전화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영한 영상을 표시 장치(5)에 그대로 표시하는 사용 방법도 취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촬상 장치(1)와 표시 장치(5)가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영상이 기울어져 비치는 등,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준다. 따라서, 촬상 장치(1)와 표시 장치(5)의 평행도 및 상대 위치(이하, 이들을 묶어서「상대 자세 관계」라 함)는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홀더(23)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1)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부(13c)와 표시 장치(5)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부(13d)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촬상 장치(1)와 표시 장치(5)의 상대 자세 관계가 원하는 정밀도로 실현되는 형상 및 정밀도로 홀더(23)가 제작되도록 해 두면, 촬상 장치(1)와 표시 장치(5)의 상대 자세 관계는 항상 원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종래, 표시 장치(5)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와 촬상 장치(1)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가 각각의 부품인 경우에는, 홀더를 각각 단말 기판(4)에 부착할 때의 홀더 끼리의 상대 자세 관계에 의해 촬상 장치(1)와 표시 장치(5)의 상대 자세 관계가 결정되어 버리므로, 각 홀더의 단말 기판(4)으로의 부착은 고정밀도로 행해야만 해 조립이 곤란하였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홀더(23)를 이용하면, 홀더(23) 전체를 단말 기판(4)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촬상 장치(1)와 표시 장치(5)의 상대 자세 관계는 항상 소망의 것이 되므로, 휴대 전화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홀더(23)에서는 촬상 장치(1)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22)와 마찬가지인 보유 지지부(13c)로서 설명했지만,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홀더(21)와 마찬가지로 보유 지지부(13a)라도 좋다.
홀더(23)는, 보유 지지부(13b)를 포함하지 않는 보유 지지부(13c, 13d)만이 일체화되어 있는 구조라 하더라도 일정한 효과는 있지만, 보유 지지부(13c, 13d)에다 보유 지지부(13b)를 포함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부품 갯수의 저감, 조립 작업의 용이화의 관점에서는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지지부(13b)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다른 부품」은 일예로서, 리시버(3)로 이루어져 있지만, 다른 부품은 리시버(3) 이외의 부품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안테나 등이라도 좋다.
<제4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는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홀더를 구비하여 조립된 휴대 전화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는 조립이 용이한 휴대 전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작업이 용이화되는 만큼 저렴하게 휴대 전화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홀더(22)를 사용하면 박형화가 도모된 휴대 전화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 장치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제1 부품 보유 지지 수단과 다른 부품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제2 부품 보유 지지 수단이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부품 갯수를 줄일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해진다.
이제까지 본 발명을 그 구체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으로 한정하여 해석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은 이하 청구 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구성의 변경, 변형 및 대체 등도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Claims (3)

  1. 기판의 주표면에 있어서 촬상 장치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제1 부품 보유 지지 수단과, 상기 제1 부품 보유 지지 수단과는 다른 장소에서 다른 부품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제2 부품 보유 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부품 보유 지지 수단과 상기 제2 부품 보유 지지 수단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 보유 지지 수단은 상기 촬상 장치를 상기 주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촬상 장치의 외주를 둘러싸 보유 지지하는 프레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3. 제1항에 기재된 홀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KR10-2001-0022527A 2000-04-27 2001-04-26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화 KR100383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27165A JP2001308560A (ja) 2000-04-27 2000-04-27 ホルダ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電話
JP2000-127165 2000-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746A true KR20010099746A (ko) 2001-11-09
KR100383417B1 KR100383417B1 (ko) 2003-05-12

Family

ID=1863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527A KR100383417B1 (ko) 2000-04-27 2001-04-26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10036850A1 (ko)
EP (1) EP1150475A3 (ko)
JP (1) JP2001308560A (ko)
KR (1) KR100383417B1 (ko)
CN (1) CN1336668A (ko)
NO (1) NO20012110L (ko)
TW (1) TW51296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1171B2 (ja) * 2005-01-28 2010-09-0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4538385B2 (ja) * 2005-06-30 2010-09-0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JP4891734B2 (ja) * 2006-11-13 2012-03-07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組み立て装置
CN101241771B (zh) * 2007-02-08 2010-08-25 佛山市顺德区顺达电脑厂有限公司 电子装置放置座
CN106843389B (zh) * 2017-01-09 2022-08-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6105A1 (de) * 1991-08-07 1993-02-11 Standard Elektrik Lorenz Ag Funktelefon
FI106826B (fi) * 1994-09-16 2001-04-12 Nokia Mobile Phones Ltd Asennusmatto
JPH08294030A (ja) * 1995-04-19 1996-11-05 Hitachi Ltd 携帯電話一体型ビデオカメラ
JPH0964777A (ja) * 1995-08-24 1997-03-07 Hitachi Ltd 無線映像信号送受信装置
GB9600804D0 (en) * 1996-01-17 1996-03-20 Robb Garry D Multiphone
JPH1042383A (ja) * 1996-07-19 1998-02-13 Kenwood Corp 携帯機器のスピーカ固定構造
CN1147122C (zh) * 1996-07-30 2004-04-21 罗姆股份有限公司 图象读写头以及用于读写头的集成电路
KR100215473B1 (ko) * 1997-03-29 1999-08-16 윤종용 카메라장치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JP3516328B2 (ja) * 1997-08-22 2004-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通信端末装置
JP3836235B2 (ja) * 1997-12-25 2006-10-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134989B2 (ja) * 1998-02-06 2001-02-13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実装構造
US6339508B1 (en) * 1999-01-02 2002-01-15 Olympus Optical Co., Ltd. Photographic optical system
JP4272290B2 (ja) * 1999-02-26 2009-06-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型電子計算機
KR100584411B1 (ko) * 1999-07-22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렌즈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12110L (no) 2001-10-29
CN1336668A (zh) 2002-02-20
EP1150475A2 (en) 2001-10-31
TW512965U (en) 2002-12-01
EP1150475A3 (en) 2004-03-17
KR100383417B1 (ko) 2003-05-12
NO20012110D0 (no) 2001-04-27
JP2001308560A (ja) 2001-11-02
US20010036850A1 (en)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47645B (zh) 基于一体封装工艺的摄像模组及其一体基座组件及制造方法
US7391457B2 (en) Image sensor module with light-shielding diaphragm made of ink,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487826B1 (ko) 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619684B2 (en)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of camera module, electronic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JP3613193B2 (ja) 撮像装置
JP2004226872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348395A (ja) 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692952B2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112492129B (zh) 摄像模组和电子设备
JP200700406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TWI499820B (zh) Lens focusing device
KR100856572B1 (ko) 카메라 모듈
KR100383417B1 (ko)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화
JP2001333322A (ja) 固体撮像装置、カバー、基板及びレンズユニット
JP2005354545A (ja) ソケット
JP3736072B2 (ja) 撮像装置
KR101037685B1 (ko) 카메라 모듈 조립구조체 및 그것의 조립방법
US7429783B2 (en) Image sensor package
JP200612680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2280535A (ja)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833757B (zh) 摄像头模组、摄像头模组的制造方法及移动终端
JP2006080961A (ja)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4055574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CN212163451U (zh) 镜头、摄像头模组及终端
KR100630705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