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411B1 - 휴대폰의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렌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411B1
KR100584411B1 KR1019990029833A KR19990029833A KR100584411B1 KR 100584411 B1 KR100584411 B1 KR 100584411B1 KR 1019990029833 A KR1019990029833 A KR 1019990029833A KR 19990029833 A KR19990029833 A KR 19990029833A KR 100584411 B1 KR100584411 B1 KR 100584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obile phone
coupled
lens modu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774A (ko
Inventor
이준영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9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411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휴대폰에 장착된 렌즈 모듈의 렌즈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폰의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폰의 렌즈 모듈은 휴대폰의 기능과 카메라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본체의 소정 위치에 일부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휴대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과, 상기 렌즈 모듈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 모듈과 연동되며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휴대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 본체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터치 패드와, 상기 터치 패드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이 연동되어 렌즈의 초점거리가 가변된다.
휴대폰, 렌즈 모듈, 렌즈 높이 조절부,

Description

휴대폰의 렌즈 모듈{LENS MODULE OF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렌즈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휴대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렌즈 모듈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휴대폰의 측면도에서 렌즈 모듈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렌즈 높이 조절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렌즈 홀더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렌즈 캡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렌즈 모듈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휴대폰에 장착된 렌즈 모듈의 렌즈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폰의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은 바타입(bar type)과, 플립 타입(flip type) 또는 폴더 타입(Folder type)등의 휴대폰이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본체 최상단에 스피커 장치(이어 피스 부분)가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 장치의 아래에 엘씨디부가 위치하며, 그 아래로 다수개의 키들이 위치하고, 본체의 맨 하측단에 마이크 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플립 타입의 휴대폰에서는 본체의 맨 하단에 플립 커버가 설치되어 본체에서 개폐된다. 이러한 휴대폰의 여러 타입 가운데, 플립 타입 휴대폰과 폴더 타입 휴대폰이 일반화되어가고 있으며, 기술의 발달로 인해 화상통신을 위한 통화장치가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휴대폰에서 화상을 처리하고자 할 경우 입력된 동화상을 정지화상으로 저장하거나 동화상으로 전송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렌즈를 이용한 화상의 입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상통신용 휴대폰의 렌즈 모듈의 경우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제품과 거리를 조절할 수 없는 제품이 있다.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없는 제품을 휴대폰과 결합하여 제품을 만들 경우 렌즈 모듈의 크기가 작아서 휴대폰의 소형화에는 도움이 되지만 초점거리 조절기능이 없기 때문에 근접촬영을 이용한 문서 촬영등은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렌즈의 초점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부품을 내장하게 되는 경우에는 휴대폰 본체의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되고 무게 또한 증가하게 되어 휴대폰의 휴대성과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 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의 화상통신 장치인 렌즈 모듈에 결합되는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폰의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의 화상통신 장치인 렌즈 모듈과 링크 구조물을 기구적인 방법으로 결합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폰의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폰의 기능과 카메라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본체의 소정 위치에 일부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휴대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과, 상기 렌즈 모듈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 모듈과 연동되며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휴대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 본체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터치 패드와, 상기 터치 패드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이 연동되어 렌즈의 초점거리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휴대폰의 기능설명과 상기 휴대폰에 부가되는 카메라의 기능설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됨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의 렌즈 모듈(30)의 구성을 도시한 휴대폰(10)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의 렌즈 모듈(30)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휴대폰(10)의 측면도에서 렌즈 모듈(3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렌즈 높이 조절부(16)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렌즈 홀더(2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렌즈 캡(22)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의 렌즈 모듈(3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렌즈 모듈(3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의 렌즈 모듈(3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휴대폰(10)과 디지털 카메라를 결합한 제품의 경우에 있어서, 사용하고자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에 렌즈(40)의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없는 경우 기구적인 방법을 이용해 렌즈 모듈(30)과 링크 구조물을 결합하여 렌즈(40)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의 렌즈 모듈(30)은 휴대폰(10)의 기능과 카메라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휴대폰(10)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10) 본체의 소정 위치에 일부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휴대폰(10)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렌즈(40)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30)과, 상기 렌즈 모듈(3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 모듈(30)과 연동되며 상기 렌즈 모듈(30)이 상기 휴대폰(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10) 본체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터치 패드(17)와, 상기 터치 패드(17)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30)이 연동되어 렌즈(40)의 초점거리가 가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 모듈(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12)와 리어 커버(14)로 구성되는 휴대폰(10)의 리어 커버(14) 상부에 내장되며, 상기 렌즈 모듈(30)은 렌즈 홀더(20), 렌즈 높이 조절부(16), 렌즈 캡(2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렌즈 홀더(20)와 렌즈 캡(22)의 결합면에는 와셔(28)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리어 커버(14)의 상부에는 상기 렌즈 높이 조절부(16)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소정의 구멍을 가지며, 렌즈(40)를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윈도우(18)가 장착되도록 소정의 형상을 갖는다.
도 4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의 렌즈 모듈(30)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 높이 조절부(16)는 상기 렌즈 홀더(20)의 일측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10) 본체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렌즈(40)의 초점거리가 가변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렌즈 높이 조절부(16) 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렌즈 홀더(20)와 결합되도록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후크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로킹부(24)와, 상기 로킹부(24)가 형성되는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렌즈 캡(22)의 가이드 홈(48)에 결합되는 가이드 폴(26)과, 상기 렌즈 홀더(20)의 기어부(36)와 내접되도록 상기 기어부(36)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이빨을 갖는 구멍(34)과, 상기 렌즈 높이 조절부(16)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휴대폰(10) 외장 기구물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어 상기 렌즈 높이 조절부(16)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터치 패드(17)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 홀더(20)는 상기 휴대폰(10) 본체 즉, 상기 휴대폰(10)의 리어 커버(14)의 소정 위치에 내장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휴대폰(10)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렌즈(40)를 갖는다. 상기 렌즈 홀더(20)는 소정의 형상을 갖고 외주면에 제1 나사부(43)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렌즈 홀더 보디(38)와, 상기 렌즈 홀더 보디(38)의 일단부 중심에 결합되어 소정의 형상을 갖고 화상통신을 위해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렌즈(40)와, 상기 렌즈 홀더 보디(38)의 일단부 외주면에 등간격의 이빨을 다수개 갖는 기어부(3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렌즈 캡(22)은 상기 렌즈 홀더(20)의 타측과 결합된 상태에서 휴대폰(10)의 기능에 카메라의 기능이 더 부가될 수 있도록 회로적인 구성을 갖는 인쇄회로기판(32)과 결합되며 상기 렌즈 높이 조절부(16)의 움직임을 안내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렌즈 캡(22)은 소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인쇄회로기판(32)에 나사결합되는 렌즈 캡 보디(42)와, 상기 렌즈 높이 조절부(16) 의 가이드 폴(26)의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 캡 보디(42)의 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48)과, 상기 가이드 홈(48)의 양단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폴(26)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걸림턱(46)과, 상기 렌즈 홀더 보디(38)의 제1 나사부(43)와 결합되도록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제2 나사부(4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 렌즈 캡(22)의 가이드 홈(48)이 파여있는 각도는 사용되는 렌즈(40)에서 필요로 하는 렌즈(40) 초점거리를 만족해 주기 위해 렌즈 홀더(20)가 움직여야 하는 거리와 제1 나사부(43)와 제2 나사부(44)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피치를 고려하여 설계 변경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의 렌즈 모듈(30)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의 인쇄회로기판(32)에 렌즈 캡(22)을 나사를 이용해 결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32)에 결합되는 렌즈 캡(22)은 렌즈 높이 조절부(16)에 형성된 가이드 폴(26)을 안내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렌즈 홀더(20)의 제1 나사부(43)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나사부(44)가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렌즈 캡(22)의 제2 나사부(44)에 상기 렌즈 홀더(20)의 제1 나사부(43)를 결합하여 렌즈 캡(22)과 렌즈 홀더(2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렌즈 높이 조절부(16)에 형성된 로킹부(24)(3개의 후크로 형성된다.)를 렌즈 홀더(20)와 결합한다. 이때 렌즈 높이 조절부(16)의 로킹부(24)는 렌즈 홀더(20)의 기어부(36) 내측면과 결합되도록 하며, 렌즈 높이 조절부(16)의 가이드 폴(26)은 렌즈 캡(22)의 가이드 홈(48)에 끼워지도록 결합한다. 또한 렌즈 높 이 조절부(16)의 구멍(34)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기어 이빨들과 렌즈 홀더(20)의 기어부(36) 이빨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함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 높이 조절부(16)와 렌즈 홀더(20)의 기어 이빨 치형은 모듈이 같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와 같이 렌즈 홀더(20)와 렌즈 높이 조절부(16)를 결합한 상태에서 렌즈 높이 조절부(16)의 일부분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 리어 커버(14)의 외부로 일부 노출된다. 그리고 렌즈 모듈(30)의 다른 부분은 휴대폰(10)의 리어 커버(14)에 의해 감싸지도록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10)에 결합된 렌즈 모듈(30)에서 기구물 밖으로 일부 노출이 되어있는 렌즈 높이 조절부(16)의 터치 패드(17)를 각각 좌·우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캡(22)에 만들어 놓은 가이드 홈(48)의 양쪽 끝에 걸림턱(46)을 설치해 주므로써 렌즈 높이 조절부(16)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높이 조절부(16)의 회전각도를 제어해 주므로써 렌즈(40)의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방향이라 함은 도 2에 도시된 "A"방향을 좌측방향으로 하고, "B"의 방향을 우측방향이라 가정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렌즈 높이 조절부(16)의 조작에 따라 상기 렌즈 높이 조절부(16)의 가이드 폴(26)이 렌즈 캡(22)의 가이드 홈(48)에서 안내되어 렌즈(40)의 초점거리가 가변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렌즈 높이 조절부(16)의 터치 패드(17)를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렌즈 높이 조절부(16)와 기어로 내접된 상태의 렌즈 홀더(20)는 "C"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렌즈(40)의 초점거리가 길게 되어 근접촬영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높이 조절부(16)의 터치 패드(17)를 "B"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렌즈 홀더(20)는 "D"의 방향으로 이동되며 렌즈(40) 초점거리가 짧게 됨에 따라 원거리 촬영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렌즈(40)의 초점거리를 조절한 후 별도로 구비되는 촬영용 버튼을 이용해 촬영을 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의 렌즈 모듈(30)은 초점거리 조절 기능이 없는 렌즈 모듈(30)을 사용하면서도 기구적으로 거리조절 기능을 부가시킴으로써 원래의 렌즈 기능에서는 구현되지 않는 근접 촬영등과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렌즈 모듈은 렌즈 모듈을 휴대폰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화상을 촬영할 때 렌즈의 초점거리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렌즈의 초점거리 조절을 위한 구성 부품의 간소화로 휴대폰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휴대폰의 기능과 카메라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본체의 소정 위치에 일부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휴대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과,
    상기 렌즈 모듈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 모듈과 연동되며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휴대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 본체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터치 패드와,
    상기 터치 패드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이 연동되어 렌즈의 초점거리가 가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렌즈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휴대폰 본체의 소정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휴대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렌즈를 갖는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 홀더의 일측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 본체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렌즈의 초점거리가 가변되도록 결합되는 렌즈 높이 조절부와, 상기 렌즈 홀더의 타측과 결합된 상태에서 휴대폰의 기능에 카메라의 기능이 더 부가될 수 있도록 회로적인 구성을 갖는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며 상기 렌즈 높이 조절부의 움직임을 안내하도록 결합되는 렌즈 캡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렌즈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소정의 형상을 갖고 외주면에 제1 나사부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렌즈 홀더 보디와, 상기 렌즈 홀더 보디의 일단부 중심에 결합되어 소정의 형상을 갖고 화상통신을 위해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 홀더 보디의 일단부 외주면에 등간격의 이빨을 다수개 갖는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렌즈 모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높이 조절부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렌즈 홀더와 결합되도록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후크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로킹부와, 상기 로킹부가 형성되는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렌즈 캡의 가이드 홈에 결합되는 가이드 폴과, 상기 렌즈 홀더의 기어부와 내접되도록 상기 기어부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이빨을 갖는 구멍과, 상기 렌즈 높이 조절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휴대폰 외장 기구물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어 상기 렌즈 높이 조절부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렌즈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캡은 소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나사결합되는 렌즈 캡 보디와, 상기 렌즈 높이 조절부의 가이드 폴의 움직임을 안 내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 캡 보디의 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의 양단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걸림턱과, 상기 렌즈 홀더 보디의 제1 나사부와 결합되도록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제2 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렌즈 모듈.
KR1019990029833A 1999-07-22 1999-07-22 휴대폰의 렌즈 모듈 KR100584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833A KR100584411B1 (ko) 1999-07-22 1999-07-22 휴대폰의 렌즈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833A KR100584411B1 (ko) 1999-07-22 1999-07-22 휴대폰의 렌즈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774A KR20010010774A (ko) 2001-02-15
KR100584411B1 true KR100584411B1 (ko) 2006-05-26

Family

ID=19603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833A KR100584411B1 (ko) 1999-07-22 1999-07-22 휴대폰의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4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8560A (ja) * 2000-04-27 2001-11-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ホルダ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電話
KR100391916B1 (ko) * 2000-12-12 2003-07-16 삼성전기주식회사 피씨 카메라용 렌즈하우징
KR100476582B1 (ko) * 2002-01-30 200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의 줌렌즈를 제어하는 장치 및방법
KR20040023238A (ko) * 2002-09-11 2004-03-18 주식회사 타임즈텔레콤 이동통신기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장치
KR100945086B1 (ko) * 2003-05-12 2010-03-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용 카메라렌즈 커버장치
KR20050055270A (ko) * 2003-12-06 2005-06-1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줌 렌즈 설치구조
KR100652570B1 (ko) * 2004-10-27 200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KR100689977B1 (ko) * 2005-01-11 2007-03-08 (주)이프러스 멀티스텝 카메라모듈
CN112788164B (zh) * 2020-12-31 2023-03-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功能模组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443A (ja) * 1994-02-17 1995-08-29 Aiphone Co Ltd テレビインターホンカメラ構造
KR960003436A (ko) * 1994-06-23 1996-01-26 배순훈 도어폰의 렌즈각도 조절장치
KR19980075232A (ko) * 1997-03-29 1998-11-16 윤종용 카메라장치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KR19990040876A (ko) * 1997-11-20 1999-06-15 유무성 경통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443A (ja) * 1994-02-17 1995-08-29 Aiphone Co Ltd テレビインターホンカメラ構造
KR960003436A (ko) * 1994-06-23 1996-01-26 배순훈 도어폰의 렌즈각도 조절장치
KR19980075232A (ko) * 1997-03-29 1998-11-16 윤종용 카메라장치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KR19990040876A (ko) * 1997-11-20 1999-06-15 유무성 경통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774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987B1 (ko) 소형 디지탈 줌 카메라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전화
KR102185060B1 (ko) 카메라 모듈
EP1549029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digital camera function
US20080239134A1 (en) Webcam with moveable zoom lens
JP2006276240A (ja) ズームレンズ装置
JP2008507936A (ja) 光学ズーム機能が可能な携帯用端末器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584411B1 (ko) 휴대폰의 렌즈 모듈
GB2420865A (en) Imaging device having an optical image stabilizer
JP2006350353A (ja) 携帯端末のカメラレンズアセンブリ
US6710936B2 (en) Image sensor module with zooming function
JP2002262164A (ja) 撮影機能付電子機器
KR20010010777A (ko) 휴대폰의 잭 타입 렌즈 모듈
KR100562721B1 (ko)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JP2006276242A (ja) ズームレンズ装置
US20050047770A1 (en) Imaging device and portable equipment
KR100575724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JP2005275126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の多方向撮影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50046732A1 (en) Imaging device and portable equipment
JP2014098822A (ja) レンズ鏡筒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学機器
US20230179848A1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60059585A (ko) 슬라이드를 이용한 줌 레벨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JP2008261943A (ja) レンズ繰出し装置
KR0132275Y1 (ko) 소형 카메라의 자동.수동 겸용 촬영 조건 설정장치
KR100578632B1 (ko) 슬라이드형 카메라초점 조절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146021A (ja) レンズ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