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9643A - 동전 수납 로크 - Google Patents

동전 수납 로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9643A
KR20010099643A KR1020017003082A KR20017003082A KR20010099643A KR 20010099643 A KR20010099643 A KR 20010099643A KR 1020017003082 A KR1020017003082 A KR 1020017003082A KR 20017003082 A KR20017003082 A KR 20017003082A KR 20010099643 A KR20010099643 A KR 20010099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ntrol
functional
chambe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푸흐스
Original Assignee
피터 푸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터 푸흐스 filed Critical 피터 푸흐스
Publication of KR20010099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64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07F7/061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by ca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07F7/061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by carts
    • G07F7/065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by carts in which the lock functions according to a "pinching of the token" principle, i.e. the token is held between two memb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hiring of objec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07F7/061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by carts
    • G07F7/0663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ousing of the coin or token activated lock, or of mounting of the coin-lock on the trolley or car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07F7/061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by carts
    • G07F7/0672Special lock-activating tokens, serving as replacement of a payment or of a coin
    • G07F7/0681Special lock-activating tokens, serving as replacement of a payment or of a coin in which a card, pay-card or card-like object is used as the special token required to get permission or activate the lock to use the trolley or ca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Sheet Holder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쇼핑 카트(shopping cart; 쇼핑 손수레)용으로 하나의 동전 챔버와 키 챔버를 포함하며 그리고 하나 혹은 두 개의 제어 및 기능부재(들)로 구성되는 동전 수납 로크에 관한 것이다. 동전 챔버와 키 챔버 사이에서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5)가 순환되게 위치 전환될 때, 동전(15) 또는 키(16)는 선택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방지되며, 그리고 단지 다른 각각의 부재가 삽입됨으로써 해제 될 수 있다. 각각의 부재 단부에는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11, 12; 211, 212)가 제어윤곽(control contour)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윤곽은 동전 챔버 내 동전의 이동 경로 혹은 키 챔버 내 키의 이동 경로 내로 교대로 선회하거나 혹은 동전 또는 키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의 기초적인 원리는 단지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 상에서 상기 제어윤곽의 성형과 위치설정의 정의 및 하우징(20, 200) 내 동일한 가이드 리세스와 상호 작용하는 가이드 리세스의 성형과 위치설정의 정의에 있다. 이러한 구현으로 특히 단지 하나의 성형부품을 이용하면서 플라스틱으로 완전하게 동전 수납 로크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동전 수납 로크{COIN DEPOSIT LOCK}
슈퍼마켓의 주차장에 쇼핑 카트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혹은 순서대로 정렬하여 보관하기 위해 최근 몇년 사이에 쇼핑 카트에 동전 수납 로크를 장치하는 것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쇼핑시 종래의 동전 수납로크가 장착된 쇼핑카트를 사용하는 방법은, 일렬로 정렬되어 서로 연결 고정된 빈 쇼핑카트들 중 맨 처음에 위치한 하나의 쇼핑 카트를 빼내는 것인데, 동전을 동전 수납 로크에 삽입함으로써 동전 수납 로크내 키의 고정이 풀려 쇼핑카트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이다. 상기 키는 대개 체인을 통하여 바로 다음으로 정렬된 쇼핑 카트와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쇼핑을 하는 동안은 삽입되어진 동전이 결과적으로 동전 수납 로크 내의 예치금이 되며, 이는 외부로 빼내어 질 수 없다.
쇼핑완료시 카트사용을 마친 후에는, 이번에는 상기 순서와는 반대로, 빈 쇼핑 카트를 지정된 쇼핑 카트 열로 가져가서 상기 열의 앞쪽으로 집어넣고, 바로 다음에 정렬되어 있는 쇼핑 카트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는 키를 다시 상기 동전 수납 로크에 삽입하여, 수납된 동전(deposited coin)을 다시 빼낼 수 있다.
슈퍼마켓의 모든 쇼핑 카트에 상기 유형의 동전 수납 로크가 장착되어 있다면, 쇼핑 카트를 도둑맞거나 혹은 분실되어 감소되는 현상을 사전 방지할 수 있으며, 쇼핑을 마친 후 구매 고객들은 수납된 동전을 다시 가져가기 위해 사용한 쇼핑 카트를 다시 지정된 위치로 가져오도록 유도한다.
상기 동전 수납 장치는 결과적으로 슈퍼마켓 운영에 필요한 쇼핑 카트를 매번 새로이 공급해야 하는 추가비용과 고객 주차장에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쇼핑 카트를 회수하는데 소모되는 인력비를 감축시킨다.
상기 동전 수납 로크는 구조적 레이아웃의 견고성과 기계적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높이 요구되는데, 이는 동전 수납 잠금장치가 모든 기후변화에 노출되어 영향받기 때문이며, 사용자가 주의하여 사용할 거란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장치를 관리하는데 소모되는 추가적 비용 즉, 수리비용 및 대체 비용은 가능한 한 감소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유럽특허 EP 0 686 294 B1의 청구항 제 1항의 서두절에 기술되어 있는 동전 수납 잠금장치는 앞서 기술한 기계적 조치를 실행하기 위한 4가지 기능부재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그 작동순서가 반대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기능부재들은 동전이 동전 챔버 내에 삽입될 시에, 키 챔버내에 삽입되어 바로 다음에 정렬되는 쇼핑 카트와 연결된 키를 릴리즈시킨다. 상기의 키는 기능부재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금속성 기능부재와 안전 캐치(safety catch), 및 상기 금속성 기능부재를 둘러싸는 플라스틱 손잡이 단면(handle 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기능부재를 형성하는데, 및 이 부재를 동전 수납 로크 내에 고정시키는데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으며, 위에 상술한 기능을 시행하기 위해서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쇼핑 카트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동전 수납 로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키와 동전을 포함하는 동전 수납 로크의 제 1 실시예의 분해도이며;
도 2-5는 도 1의 동전 수납 로크 내 제어부재와 기능부재의 4개의 단면도이며;
도 6-9는 삽입된 동전과 삽입된 키를 포함하는 도 1의 동전 수납 로크의 4측 단면도이며;
도 10-12는 도 1에 따른 동전 수납 로크의 기능도이며;
도 13은 동전 수납 로크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14는 동전 수납 로크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15는 동전 수납 로크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16은 동전 수납 로크의 제 5 실시예에의 분해도이며;
도 17-19는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일체형 하우징의 3개의 단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간단한 형태로 생산되어 그 생산비용 및 운영비용을 최소화시킨, 생산 및 사용에 있어 경제적이면서도 견고한, 또한 완전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키를 사용하는 동전 수납 로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기술된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부품의 사용 개수를 계속해서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부품은 각각의 내부 윤곽 내지 외부 윤곽에 의해 동전 수납 로크 내 이동경로를 각각의 최종위치, 잠금위치 및 해제 위치 사이에서 독자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하나 혹은 최대 2개의 제어 및 기능부재들을 배치할 때 키 챔버의 내경이 긴 측의 횡단면에 및 그 횡단면을 포함하는 키에 자유공간이 주어진다. 상기 자유공간을 둠으로써, 플라스틱 키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안전성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플라스틱 부재로 키를 구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및 상기 부품의 키트(kit)와 유사한 커플링에 의한 조립을 통하여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매일 사용하더라도 잘 손상되지 않는,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견고성을 유지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성예에 의하면, 동전대신 플라스틱 칩과 같은 다른 작동 대상으로 즉각 대체할 수 있으며, 혹은 체크 카드(check card)와 유사한 동전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와 장점은 이하 문장과 청구항에 제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동전 수납 로크의 구조를 설명한 분해도로서 실제적인 부품, 다시 말해 하우징 하단부와 구조상 동일한 하우징 상단부(도면에 미도시)로 구성되는 동전수납 로크 하우징(20), 및 2개의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11, 12)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어 및 기능부재들은 하우징의 가이드 리세스들 (21 E,F) 또는 (22 E,F)와 맞물려 있다.
도1과 도6에 도시된 하우징(20)의 바닥면은 기능축(F-F)에 대해 횡방향으로 빗금이 그어져 도시되어 있으며, 더욱 깊게 위치한 가이드 리세스의 바닥면은 기능축(F-F)(functional axis)에 대해 평행하게 빗금이 그어져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 하단부와 (도면에 미도시) 하우징 상단부는 중심핀(centering pin) 내지 그에 상응하는 보어를 이용하여 윤곽에 정확하게 서로 상하로 겹쳐질 수 있다. 구조상 동일한 하우징 상단부의 내부 윤곽은 그에 상응하게 형성되고 위치 설정된 가이드 리세스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로 인해 하우징 상단부와 하우징 하단부는,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11, 12)에 의해 동전 챔버(25)와 키 챔버(26)(도 8과 도 9)로 서로 분리되며, 그리고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은 하우징 상단부 및 하우징 하단부 내 가이드 리세스들을 통해 동전(15)과 키(16)에 의해 강제 가이드되는 하나의 공간을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면, 각각의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11, 12)는 하우징의 측벽(side wall)을 따라서 연장되는 중심단면(center section)을 갖는 실제로 W 형태의 하나의 성형부품(11G, 12G)과 그 단부에 제 1 제어윤곽(11A, 11B) 내지 (12A, 12B)를 포함하면서, 기능축(F-F)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하는 2개의 확장 아암 (14A, 14B) 내지 (15A, 15)을 포함한다.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해중심단면(11G, 12G)은 그 단부에 제 2 제어윤곽들 (11C, D, E, F) 내지 (12C, D, E, F)을 포함하며, 상기 윤곽들은 하우징의 가이드 리세스들(21..., 22...) 내에서 서로 맞물려진다. 가이드 리세스의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11, 12)은 동전(15) 혹은 키(16)에 의해 누름되어 사전 설정된 경로에 따라 전진하게 되면, 전체 8개의 제 2 제어윤곽들 각각은 각각에 할당된 가이드 리세스 내에서 자체 최종 위치로부터, 관련 가이드 리세스의 최종벽 혹은 앞벽이 제어윤곽이 계속 밀려지는 것을 제한하는, 하나의 스토퍼를 형성하는 또 다른 최종 위치 내로 이송되어지고, 상기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은 회동식 슬라이딩 이동(rotational sliding movement)을 하게 된다.
키(16)를 삽입할 시 상기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11, 12)의 사전 설정된 경로로 이동을 하고, 상기 부재들의 이동은 동전(15)이 해제 되어지는 최종위치로 이송시킨다. 이와는 반대로, 동전(15)을 삽입 시에는 키(16)가 해제 되어지는 최종위치로 이송된다.
도1부터 도5에는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11, 12)의 기하학적 형성예가 명시되어 있으며, 도 2부터 4에는 도1의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11, 12)의 대표적인 평면도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를 형성하는 성형부품은 상이한 두께를 갖으며, 상기 영역은 항상 대향하여 위치하는 성형부품 및 두 하우징의 상/하단부와 상호 작용하면서, 동전 수납 로크의 기능을 수행한다.
하우징(20)의 측벽면에 위치하고, 노즈(11H)(nose)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리세스(20H) 내에 맞물려 지는 중심단면(11G)은 소정의 두께(S1)로 갖는다.(도 5 참조). 상기 두께(S1)는 하우징(20)의 내경폭에 대략적으로 대응한다. 그럼으로써 성형부품(11)은 자신의 중심단면(11G)과 더불어 하우징의 테두리 영역을 채우게 된다. 중심단면(11G)의 단부영역에는 제 2 제어윤곽들(11C, 11D)이 (도면에 미도시) 하우징 상단부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상측에 제공되어 있으며, 그에 상응하여 하단부 상측에는 하우징 하단부의 관련 가이드 리세스들(21E, 21F) 내에 삽입되어 있는 제 2 제어윤곽들(11E, 11F)이 제공되어 있다. 하우징(20)이 폐쇄되는 경우, 성형부품(11)이 실제로 수직의 간극 없이 하우징(20) 내에서 유지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기능축(F-F) 방향으로, 다시 말해 동전(15) 혹은 키(16)가 삽입되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식 슬라이딩하여 이동한다. 상기 회동식 슬라이딩 이동은 한편으로는 제 2 제어윤곽들을 그리고 다른 한편에서는 관련 가이드 리세스들의 성형을 통해 사전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이드 리세스들(21E, 21F)의 각(angle)진 구조는 기능축(F-F)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그 단면에 있어서 상기 기능축 내에서 성형부품(11)의 세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며, 기능축(F-F)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L형 혹은 T형 가이드 리세스의 단면은 기능축(F-F)에 대해 직각으로 이동 가능케 한다. 상기 가이드 리세스들내 성형부품(11)의 제2 제어윤곽들이 삽입됨으로써, 하우징(20) 내 성형부품의 이동 경로는 고정된다. 그로 인해 제 1 제어윤곽들(11A, 11B)의 이동경로 역시 확장 아암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상기 확장 아암(14A)과 확장 아암(14B)은 일정한 두께(S2)를 갖는다.
성형부품(11)의 경우 두 확장 아암(14A, 14B)의 표면은 중심단면(11G)의 평면에 동일하게 형성되며, 그 반대측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성형부품(12)의 경우, 아암(15A, 15B)의 표면이 중심단면(12G)의 하부측 평면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11, 12)은 구조상 동일하게 실행되는데, 이는 대개 도1에서 기능축(F-F)을 중심으로 하나의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를 180°로 편향시키게 되면 또 다른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제 1 제어윤곽들 (11A, 11B) 또는 (12A, 12B)는 안쪽 방향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두께S4(11b) 내지 두께S5(11A)를 갖는다. 도6에 도시된 두 제어부재(11)와 기능부재(12)의 구성은 도7부터 도9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관계를 설정하는데 즉, 구조상 성형부품들(11, 12)의 실시예는, 특히 도 8과 도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의 셀(shell)과 비슷하게 겹치며, 이를 통해 아암(14B),(15A)사이에는 동전 챔버(25)가 형성되며, 그리고 아암 (14B),(15B) 사이에는 키 챔버(26)가 형성된다. 하나의 제어부재와 기능부재의 제 1 제어윤곽은 또 다른 제어부재와 기능부재의 아암이 대향하여 위치하여 내측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8과 도9의 단면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제 1 제어윤곽들(11A, 12A)은 동전 챔버(25)의 측면 제한부를 형성하며, 이와 반대로 또다른 제 1 제어윤곽들(11B, 12B)은 키 챔버(26)의 측면 제한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1 제어윤곽들은 하우징(20) 내에 삽입될 때에 동전(15) 및/또는 키(16)에 접촉되어지며, 앞서 기술한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11, 12)의 회동식 위치 전환은 부재들이 위치하고 있는 가이드 리세스들(21, 22) 내에서 정확하게 제어되며, 상기 제 1 제어윤곽들이 수직 플랭크(vertical flank)의 간격을 선택하거나 혹은 동전(15)의 직경 내지 키(16)의 폭에 맞추어진다. 이를 통해 그 측면(동전 챔버 혹은 키 챔버) 상에 배치된 제 2 제어윤곽들은이른바 삽입된 동전(제어윤곽들 11A와 12A) 혹은 삽입된 키(16)(제어윤곽들 11B와 12B)의 후미에서 폐쇄되며, 상기 동전 혹은 키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그러나 대항하는 측면에 배치된 제 2 제어윤곽들은 자체 가이드 리세스들 내에서, 상기 윤곽들 각각이 또 다른 부품의 이동 경로의 고정을 해제할 때까지, 바깥쪽으로 선회한다. 이때, 자연스럽게 중심단면(11G)의 단부가 제한작용을 할 수 있도록 단부 영역에 배치된 제 2 제어윤곽들은 수직 플랭크 평면과 동일하게 놓여져야 한다. 이에 관하여, 가이드 리세스들(21, 22) 내로 돌설하는 제 2 제어윤곽들은 오직 각각의 차단 및 해제 윤곽의 상부 및 하부 단부면만을 형성한다.
두 성형부품들(11, 12)은, 또 다른 추가 부품 없이, 도 1의 개략도에 도시되었듯이, 서로 겹쳐서 하우징(20) 내에 삽입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폐쇄될 수 있다. 그러나 스프링 특성을 살리기 위해, 이를테면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11, 12)의 중심단면(11G, 12G)에 원통형 그루브(18A, 18B)를 제공해야 한다. 상기 그루브 내로는 공동의 스프링부재(19)가 포함되어 있어서, 정지상태에서 도6과 도11에 도시된 동전 수납 로크의 위치, 즉 동전(15)뿐만 아니라 키(16)도 하우징(20) 내에 존재하는 중간위치가 생성된다.
도10부터 도12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능되는 동전 수납 로크를 도시한 개략도로, 도시된 화살표는 실질적인 기능을 결정하는 각각의 부품들을 지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호 작용하는 윤곽들은 두꺼운 실선으로 강조되어 있다.
도10의 키(16)는 동전 챔버 내에 있다. 상기 키의 앞면은 동전 챔버 측의 두 중심단면들(11G, 12G)을 동전 챔버(25)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제 2제어윤곽들(11E, 12E)은 상기 동전 챔버(25)를 해제한다. 그러나 제 2 제어윤곽들(11F, 12F)은 가이드 리세스들(21F, 22F)내에 삽입되어 최소의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고, 상기 제 2 제어윤곽들(11F, 12)은 배치된 위치에서 앞쪽 키 단면에 상응하는 노즈를 뒤쪽에서 고정한다. 동시에 상기 위치에서 노즈 (11H),(12H)는 하우징 벽에 상응하는 리세스들(20H) 내에 맞물리며 고정되는데, 이로써 더 이상 키(16)를 빼내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도면에 제시된 화살표(P1)는 각각의 위치(1)에서 상호 작용함으로써 기능을 결정하는 윤곽들을 가리킨다.
만약 동전(15)이 동전 챔버(25) 내에 삽입된다면(도 11), 동전의 정면은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 1 제어윤곽들(11A, 12A)에 접촉하며, 동시에 서로 분리되도록 상기 윤곽들에게 압력을 가한다. 이로써, 제 2 제어윤곽들(11E, 12E) 사이의 간격은 좁아져 동전(15)의 뒤쪽 플랭크를 뒤에서 고정한다. 동시에 노즈들(11H, 12H)은 이를 제어하는 하우징(20) 내의 캐치(20H)로부터 풀리게 된다. 따라서, "중립의" 위치(2)에서는 동전뿐 아니라 키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상기 위치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제로 위치" 또는 기능성 대칭면으로 나타내고, 상기 위치에서는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11, 12)은 또한 스프링 하중을 받지 않는다.
만약, 동전(15)이 계속해서 하우징 내로 투입 이동되면(도 12), 동전의 앞쪽 플랭크는 중심단면(11G, 12G)의 동전 챔버 측의 수직 표면에 압력을 가하게 되며, 동시에 키 챔버 측면의 제 2 차단 윤곽들(11F, 12F)은 외부로 편향하고,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11, 12)를 편향시키며, 키를 빼는 경로를 해방시킨다. 그러나 상기 개구부가 이동할 시에 동전(15)의 차단부는 동전 챔버(25) 내에서 제 2 제어윤곽들(11E, 12E)에 의해 유지되는데, 이는 상기 단면에서 단지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11, 12)의 세로방향 이동이 동전(15)과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도11과 도12 에 제시된 작은 화살표들은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11, 12)의 실질적으로 이동되는 부품들을 나타내며, 상기 부품들의 이동방법은 본 동전 수납 로크의 기능을 설명하는 핵심요소가 된다. 먼저, 챔버를 차단하기 위한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11, 12)이 제 1 선회운동을 하며, 다음으로 기능축(F-F) 내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이 세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대향하는 챔버를 개방하기 위해 제 2 선회 운동을 실시한다. 키를 삽입하여 동전을 빼내는 진행순서는 그 반대로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동전 수납 로크가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동전을 식별하는 것이다. 한편에서는 제 1 제어윤곽들(11A, 12A)의 간격을 사전 설정함으로써(이는 동전 수납 로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최소 동전 직경을 결정한다), 다른 한편에서는 동전 슬롯의 폭(B)(도 12, 위치 3)에 의해서(상기 동전 슬롯은 동전 직경의 최대 값을 결정한다), 동전을 식별한다.
동전 수납 로크의 기능에 대한 한계성으로 상호 작용하는 윤곽들을 정확하게 치수화 및 차원화 시키기는 어렵지만, 상기 윤곽을 자연스레 미세 조정하고 성형함으로써, 도1부터 도12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윤곽이 기하학적 설정으로부터 일탈되더라도, 상기 윤곽들의 상호 작용은 여전히 유지된다.
그러므로 제 2 제어윤곽들은 중심단면(11G, 12G)의 차단 및 해제 에지들과 동일한 평면을 가져서는 안되며, 또는 확장 아암의 두께는 완벽한 수직 가이드를 보장하기 위해, 허용된 동전 또는 키(16)의 선호된 횡단면에 상응하게 사전 설정되어진다.
도13부터 도19는 본 발명의 따른 또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13의 실시예를 보면, 중심단면 내에 가이드 되는 공동의 스프링 부재(19) 대신에 스프링부재(29A,29B)가 항상 분리된 리세스들(29)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부재들은 혀 모양으로 기능축(F-F)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역 지지부재들(30A, 30B)(reverse bearing element)과 더불어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과 상호 작용한다. 상기 역 지지부재들은 캠(cam) 또는 핀(pin)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오늘날, 소성주조 혹은 소성 사출성형의 기술을 이용하여 높은 정밀도를 가지는 상기 부품을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은 더 이상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를 통하여 스프링 부재의 분리는 지양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변형하면, 단 2개의 이동 가능한 삽입부재를 가지는, 완전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동전 수납 로크가 얻어진다.
도14와 도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데, 도1부터 도4까지의 제 1 실시예에 대체되는 형성예로써, 키(16)와 중심단면(11G, 12G) 및 그에 상응하는 동전 챔버 측의 수직 플랭크 사이의 상호작용 기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변경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14는 하나의 키(16)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키의 정면은 두꺼운실선으로 표시된 W형 윤곽을 가지며, 동시에 핀의 형태와 유사한 중앙 형상은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11, 12)을 중심에 정밀하게 위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은 동전 챔버 내에서 작은 마디 혹은 핀들과 상호 작용한다.
도16부터 도19까지는 제 5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일체형 하우징(200)이 이용되며,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된 탄성 스프링 부재가 이용된다. 이러한 변형예를 통하여 부품의 개수를 2개(하우징과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완벽한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200)(도 17)은 회동하는 프레임(201), 상부측(202)과 하부측(203)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측(202)과 하부측(203)은 대략 프레임(201)에 의해 정의된 하우징(200)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개구 표면의 절반에 걸쳐 각각 연장된다. 상부측(202)과 하부측(203)은 측면에서는 서로 어측되어 놓여지며, 마찬가지로 개구부도 서로 어측되어 놓여진다. 상기 개구부를 통해 하나 혹은 두 개의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가(이) 하우징(200) 내로 삽입되어질 수 있다. 하우징(200)의 내측면의 세로방향 에지 영역에는 항상 하나의 가이드 프로필(204, 205)이 형성되며, 상기 프로필의 에지 영역은 가이드 리세스들(211E, 211F)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리세스들은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211, 212)의 제 2 제어윤곽들(211C, 211D; 212C, 212D)과 상호 작용한다.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211, 212)의 기하학적 형성예는 도16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데, 일체형 하우징(200)은 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211, 212)을 형성하는 성형부품은 또한 상이한 두께의 공간을 갖으며, 상기 공간은 대향하는 성형부품 및 하우징(200)과 상호 작용하면서 독점적으로 동전 수납 로크의 기능을 결정한다.
하우징(200)의 프레임(201)측으로 나아 있는 중심단면(211G, 212G)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데, 상기 두께는 대략 하우징 에지 영역 내 하우징(200)의 내경 치수폭에 상응하며, 이때 성형부품(211, 212)은 그의 중심단면(211G, 212G)과 함께 상기 성형부품(211, 212)들의 가이드 프로필(204, 205) 상에 놓이게 된다. 중심단면(211G, 212G)의 단부에는 제 2 제어윤곽들(211C, 212D)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윤곽들은 가이드 프로필(204, 205)의 양측에서 상기 제어윤곽과 관련하는 가이드 리세스들(211E, 211F)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기하학 설정은, 두 성형부품(211, 212)이 실제로 하우징(200) 내 수직의 간극 없이 유지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엔 기능축(F-F) 방향, 다시 말해 동전(15) 혹은 키(16)의 삽입 방향으로 오직 회동식 슬라이딩 이동을 실행한다. 상기 슬라이딩 이동은 한편에서는 제 2 제어윤곽들(211C, 211D)과 다른 한편에서는 관련 가이드 리세스들(211E, 211F)의 형상에 의해 사전 설정된다. 여기서, 가이드 리세스들(211E, 211F)의 각진 구조는 기능축(F-F)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가이드 리세스들의 단면에서,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을 형성하는 성형부품(211, 212)이 기능축상에 세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와 반대로, 기능축(F-F)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L형 혹은 T형의 가이드 리세스들(211E, 211F)의 단면은 기능축(F-F)에 대해 직각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 2 제어윤곽들에 관련하는 가이드 리세스들에 상기 제 2 제어윤곽들이 할당됨으로써, 하우징(200) 내에서의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의 이동 공간은 고정된다.
또한, 제 1 제어윤곽들(211A, 211B)의 이동경로는 아암(214A, 214B)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두 아암(214A, 214B)의 상부측은 관련 중심단면(211G)과 평면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대향하여 위치한 성형부품(212)의 경우 아암(215A, 215B)의 표면은 중심단면(212G)의 하부측의 평면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211, 212)은 구조상 동일하게 일치된 형태를 띠는데, 이는 대개 도1에서 기능축(F-F)을 중심으로 하나의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를 180°로 편향시키게 되면 또 다른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제 1 제어부재들 (211A, 211B), (212A, 212B)는 내부로 향하고 있으며, 소정의 두께를 갖음으로써,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211, 212)의 위치가 설정되는 경우, 셀에 비슷하게 겹치게 되며, 동시에 두 아암 (214A),(215A) 사이에는 동전 챔버가 형성되고, 아암 (214B),(215B) 사이에는 키 챔버가 형성된다. 하나의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의 제 1 제어윤곽들은 또한 항상 서로 대향하는 다른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의 아암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된다. 제 1 제어윤곽들(211A, 212A)은 동전 챔버에 하나의 측면 제한부를 형성하며, 이와 반대로 제 1 제어윤곽들(211B, 212B)은 키 챔버에 하나의 측면 제한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제어윤곽들은 동전(15) 및/또는 키(16)가 하우징(200) 내로 삽입될 시에 상기 동전(15) 혹은 키(16)와 접촉되어지며, 하우징(200)의 가이드 리세스(211E, 211F) 내로의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211, 212)의 회동식 이동이 정확하게 제어되어, 상기 제 1 제어윤곽들의 수직 플랭크의 간격이 선택되어지며 혹은 동전(15)의 직경 내지 키(16)의 폭에 맞추어진다. 그로 인해 상기 측면(동전 챔버 혹은 키 챔버) 상에 배치되는 제 2 제어윤곽들은 이른바 삽입된 동전(제어윤곽 211A와 212A) 혹은 삽입된 키(16)(제어윤곽 211B와 212B)의 후미에서 닫히게 되며, 상기 동전 혹은 키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서로 대향한 채 측면 상에 배치된 제 2 제어윤곽들은 상기 제 2 제어윤곽들의 가이드 리세스 내에서, 각각의 다른 부품의 이동 경로를 해제할 때까지 바깥쪽으로 편향된다.
두 성형부품들(211, 212)은 서로 겹쳐서 하우징(200)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특성을 만들기 위해서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211, 212)의 중심단면(211G, 212G)에는 하나의 상호 대향하는 리세스(218A, 218B)가 제공되며, 상기 리세스 내로는 공동의 스프링 부재(219)가 간단한 플라스틱 부품으로 구성되어 삽입되고, 정지 상태에서 하우징(200) 내에 삽입되어 있는 동전(15) 및 키(16)의 동전 수납 로크의 중간 위치가 만들어진다.
상기 실시예를 보면, 하우징은 착탈가능한 부품으로, 쇼핑 카트에서 적절한 위치, 특히 손잡이 부분에 장착된다. 그러나 쇼핑 카트의 손잡이 내에 하우징의 필요한 기능윤곽들을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하게 통합하는 것 또한 가능한데, 손잡이를 조립 시에 동전 수납 로크의 완전한 기능을 획득할 수 있도록 단지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을 장치하면 된다.
지금까지의 동전 수납 로크는 동전과 키를 외부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기능부품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동전"을 종래와 같이, 상이한 직경을 가지면서 금속으로 이루어진 원형의 지불수단 즉, 전형적인 동전으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동전 수납 로크의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의 제어윤곽과 일치되게 그 제어윤곽의 이동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동전 수납 로크를 작동하는 원리에 입각한 임의의 모든 성형부품을 간주한다. 이를테면, 간단한 플레이트 형태의 플라스틱 성형부품도 될 수 있으며, 또한 칩 카드와 같은 추가 기능을 가지는 성형부품 혹은 쇼핑 카트 사용자에 따라 차별화된 기능을 수행하는 성형부품도 있을 수 있다.
즉, 동전 챔버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추가 챔버가 할당되며, 그러한 챔버 내에는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의, 이에 상응하여 성형된, 제어윤곽들을 돌설시킴으로써,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의 작동이 동전 혹은 성형부품에 의해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혹은 하나의 챔버가 독립적으로 성형부품의 사용을 위해 제공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전형적인 동전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상기 성형부품을 전형적인 동전 대신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쇼핑 카트의 동전 수납 장치에 칩 형태의 고객카드도 스캐닝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동전 수납 로크의 혹은 쇼핑 카트 내 제어윤곽이 고객카드에 의한 작동 시에, 추가적으로 전자 부품의 접점개폐를 제어하는 구매 전자제어기능이 추가되어 상기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Claims (21)

  1. 쇼핑 카트에 이용되며, 동전 챔버 내에 동전을 삽입 시에, 바로 뒤에 정렬되어 있는 쇼핑 카트와 연결되어 있는 키 챔버 내 키를 해제하며 그리고 그 반대로 실행하는 부품들을 가지는 동전 수납 로크에 있어서,
    하우징(20, 200)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동의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11, 12; 211, 212)가 가이드 되며, 상기 부재는 기능축(F-F;F-F)의 양측에서 동전 챔버(25)와 키 챔버(26) 내로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기능축(F-F; F-F)의 양측에는 동전(15)과 키(16)와 상호 작용하는 제어윤곽들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윤곽들에 제 1 제어윤곽들이 동전(15)/키(16)의 삽입될 때 누름되며, 기능축과 관련하여 제 1 제어윤곽들에 대향하는 제 2 제어윤곽들(11C, 11D, 11E, 11F; 12C, 12D, 12E, 12F; 211C, 211D, 211E, 211F)은 동전 챔버(25)/키 챔버(26) 내에서 동전(15)/키(16)를 차단하며, 동시에 키 챔버(26)/동전 챔버(25) 내에서는 키(16)/동전(15)을 해제시키고,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11, 12; 211,212)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최대 2개의 성형부품이 상기 하우징(20, 200) 내에서 구조상 동일한 상기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11, 12; 211, 212)이 서로 대향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겹쳐져 배치되어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3. 제 1 항과 제 2 항에 있어서, 성형부품의 제 1 제어윤곽들(11A, 11B; 12A, 12B; 211A, 211B)은 상기 성형부품으로부터 상기 동전 챔버(25)/키 챔버(26) 방향으로, 적어도 상기 윤곽들의 수직 플랭크가 기능축(F-F; F-F) 내 동전(15)/키(16)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성형부품의 상기 제 2 제어윤곽들(11C, 11D, 11E, 1F; 12C, 12D, 12E, 12F; 211C, 211D, 211E, 211F)이 상기 하우징(20, 200)의 방향으로 및 상기 동전 챔버(25)/키 챔버(26) 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20, 200)의 가이드 리세스들(21E, 21F, 22E, 22F, 211E, 211F) 내에서 상기 동전(15)/키(16)의 이동 경로 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5. 제 2 항과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11, 12; 211, 212)의 상기 제 1 제어윤곽들(11A, 11B; 12A, 12B; 211A, 212B)이 각각의 또 다른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에 위치하여 구조상 동일한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11, 12; 211, 212)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11, 12)는, 상기 하우징(20)의 내경 치수에 상응하는 두께(S1)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20)의 세로방향 에지로관통하는 중심단면(11G, 12G)을 포함하며, 기능축(F-F)을 통해 서로 대향하여 상기 세로방향 에지로 연장되는 더 좁은 두께(S14A, S14B)로 형성된 2개의 손가락 모양의 아암(14A,B; 15A,B)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단면(11G, 12G)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제어윤곽들(11C...F; 12C...F)이, 그리고 상기 아암(14A,B; 15A,B)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제어윤곽들(11A, 11B; 12A, 1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단면(11G, 12G)의 두께(S1)는 두개의 확장 아암의 두께(S2, S3)와 제 1 제어윤곽의 두께(S4, S5)의 합과 동일하며, 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의 확장 아암은 서로 겹쳐져 상기 동전 챔버(25)와 키 챔버(26)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어부재 및 성형부품의 중심부에는 하나의 리세스(18A, 18B; 218A, 218B)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리세스는 서로 마주한 채 스프링부재(19; 219)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 내에서 리세스들(29)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리세스들 내에는 스프링 부재들(29A, 29B)이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부재들은 상기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과 역지지 부재들(30A, 30B)이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하나의 하우징 하단부와 실질적으로 구조가 동일한 하우징 상단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부와 상단부는 윤곽상 정확하게 서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이 그의 상부측과 하부측(202, 203) 상에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211, 212)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부측(202)과 하부측(203)이 서로 어측되어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14. 제 1 항과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의 상기 제 2 제어윤곽들(211C, 211D, 212C, 212D)은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 영역의 가이드 플로필(204, 205)에 할당된 상기 가이드 리세스들(211E, 211F)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부재(219)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라스틱 부재는 상기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들과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전체 부재들이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 200)들은 쇼핑 카트의 손잡이의 혹은 손잡이 단면에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내장된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18.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성형부품이 그에 상응하는 외부 윤곽들과 더불어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의 제어윤곽들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성형부품을 삽입하기 위해 동전 챔버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챔버가 추가적으로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추가된 챔버 내로는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의 추가 제어윤곽들이 돌설되어 있으며,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의 작동이 동전 혹은 성형부품에 의해 교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20. 제 18 항에 있어서, 성형부품의 삽입을 위해,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의 작동이 독립적으로 성형부품에 의해 이루어는, 동전 챔버와 제어부재 및 기능부재가 그 제어윤곽들과 함께 차원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21. 제 18 항에 있어서, 성형부품이 체크 카드와 유사한 플라스틱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로크.
KR1020017003082A 1999-07-10 2000-07-01 동전 수납 로크 KR200100996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2287A DE19932287A1 (de) 1999-07-10 1999-07-10 Münzpfandschloss
DE19932287.2 1999-07-10
PCT/DE2000/002224 WO2001004848A2 (de) 1999-07-10 2000-07-01 Münzpfandschlo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643A true KR20010099643A (ko) 2001-11-09

Family

ID=791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082A KR20010099643A (ko) 1999-07-10 2000-07-01 동전 수납 로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131796B1 (ko)
KR (1) KR20010099643A (ko)
CN (1) CN1341251A (ko)
AT (1) ATE430348T1 (ko)
DE (2) DE19932287A1 (ko)
WO (1) WO200100484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176B1 (ko) * 2008-11-28 2009-11-09 (주)오토코리아 종량제 동전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쓰레기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0031A1 (de) * 2003-01-03 2004-07-15 Fuchs, Peter, Ing.(grad.) Münzpfandschloss
DE202004013063U1 (de) * 2004-08-20 2006-01-05 Sonnendorfer, Horst Pfandschloss
KR100670785B1 (ko) * 2004-11-29 2007-0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쇼핑 카트용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1142600B (zh) * 2005-03-16 2012-12-12 霍斯特·松嫩多费尔 押金锁
FR2888655B1 (fr) * 2005-07-12 2007-10-12 Cyril Lebrun Boitier de protection d'un organe de consignation
DE102009030123A1 (de) 2009-06-24 2010-12-30 Assies, Tobias Münzpfandschloss, insbesondere für Einkaufskörbe
DE202009015317U1 (de) 2009-11-12 2010-03-25 Kief, Rainer Schlüsselanhänger als Schlüssel und Schlüsselaufhänger
IT1403641B1 (it) * 2011-01-21 2013-10-31 Bailini Dispositivo di bloccaggio, carrello per lo shopping utilizzante tale dispositivo di bloccaggio, procedimento realizzativo ed uso del dispositivo di bloccaggio
IT1403642B1 (it) * 2011-01-21 2013-10-31 Bailini Dispositivo di bloccaggio, carrello per lo shopping utilizzante tale dispositivo di bloccaggio, procedimento realizzativo ed uso del dispositivo di bloccaggio
CN105931334B (zh) * 2016-05-03 2018-08-14 杭州超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防盗电动车充电站及使用方法
CN108824997A (zh) * 2018-08-02 2018-11-16 罗朋鹏 购物车锁
CN109184367B (zh) * 2018-08-10 2020-06-12 深圳蓝胖子机器人有限公司 一种锁具及借记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9332A1 (de) * 1991-12-06 1993-06-09 Vendoret Holding S.A., Luxemburg/Luxembourg, Lu Vorrichtung zum ankoppeln von einkaufs- oder gepaeckwagen
DE4304533A1 (de) * 1993-02-16 1994-08-18 Peter Fuchs Münzpfand-Kopplungsmechanik für Handwagen
AU1805395A (en) * 1994-05-08 1995-11-29 Peter Fuchs Coin-operated lock
FR2726110A1 (fr) * 1994-10-21 1996-04-26 Giat Ind Sa Consigneur pour chariot
BE1009725A6 (fr) * 1995-11-06 1997-07-01 Blanco Gonzalez Victor Man Del Serrure a piece pour l'amarrage de chariots de supermarches.
DE19637652C1 (de) * 1996-09-16 1998-03-12 Walker Birgit Pfandschloß
DE19817380A1 (de) * 1998-04-20 1999-10-21 Peter Fuchs Münzpfandschloß für Einkaufswa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176B1 (ko) * 2008-11-28 2009-11-09 (주)오토코리아 종량제 동전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32287A1 (de) 2001-01-11
DE50015634D1 (de) 2009-06-10
EP1131796B1 (de) 2009-04-29
CN1341251A (zh) 2002-03-20
EP1131796A2 (de) 2001-09-12
WO2001004848A3 (de) 2001-07-05
WO2001004848A2 (de) 2001-01-18
ATE430348T1 (de)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99643A (ko) 동전 수납 로크
US4377082A (en) Cylinder-lock with flat key
CA2250444C (en) Modular removable core cylinder assembly
KR960001856B1 (ko) 잠금장치
US20020056301A1 (en) High security side bar lock
BG61702B1 (bg) Заготовка за ключ, ключ и секретна цилиндрична брава, взаимодействаща с такъв ключ
CN101666180B (zh) 锁芯
CA2557370C (en) Mold assembly
CN101466909B (zh) 锁头和相关联的钥匙
NL8120459A (nl) Muntslot voor een wagentjesstelsel, dat in het bijzonder boodschappen- en bagagewagentjes bevat.
US4667493A (en) Disc type cylinder lock
US3983728A (en) Double changeable key lock for safe deposit boxes and the like
JP3363422B2 (ja) 眼鏡用ばね付きヒンジ
US20070101782A1 (en) Key-changeable lock
RU2629737C2 (ru) Заготовка, защищенный ключ, запор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CZ135993A3 (en) Key and cylindrical lock
US4302957A (en) Lock cylinder
EP1247926A2 (en) Assembly of revolving cylinder lock and key
SK181699A3 (en) Mobile push-rod key, safety barrel for said key and lock equipped with said barrel
JP3919065B2 (ja) サイドバーシリンダ錠
JPH0810636Y2 (ja) シリンダ錠のコード変更装置
JPH09291729A (ja) カード式錠
JP7461867B2 (ja) 筐体ユニット、及び料金自動収受機
CA1153903A (en) Cylinder-lock with flat key
EP2458115A2 (en) Coding mechanism for cylinder lock with a rotatable key and key bl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