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9380A -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9380A
KR20010099380A KR1020010059071A KR20010059071A KR20010099380A KR 20010099380 A KR20010099380 A KR 20010099380A KR 1020010059071 A KR1020010059071 A KR 1020010059071A KR 20010059071 A KR20010059071 A KR 20010059071A KR 20010099380 A KR20010099380 A KR 20010099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e
image data
data
product
dimensional dra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옥희
Original Assignee
채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옥희 filed Critical 채옥희
Priority to KR1020010059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9380A/ko
Publication of KR20010099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380A/ko

Links

Landscapes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국에 위치한 각 지점의 매장을 인터넷을 통해 통일적으로 관리하는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정한 공간을 표시하는 매장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매장의 내부에 놓여질 복수의 집기와 상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매장을 설계하고, 설계된 입체도면을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하는 설계수단; 인터넷(10)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상기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및 상기 입체도면내에 포함된 상품에 관한 상품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장치(14); 상기 인터넷(10)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상기 서버장치(14)에 저장된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품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매장 컴퓨터(16); 상기 각 매장마다 설치되고, 상기 매장 컴퓨터(16) 및 상기 인터넷(10)을 통해 상기 서버장치(14)로 상품 판매 데이터를 전송하는 POS수단(18); 및 상기 서버장치(14)와 전기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품 판매 데이터를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구성되어, 매장의 판매상황에 따라 매장의 상품 디스플레이를 수정하는 경우, 상품 판매량의 변화를 서버장치(14)의 운영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 및 기록매체{On-Line Display Management System Of A Shop And Storage Media}
본 발명은 의류나 잡화 등 상점의 매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국에 위치한 각 지점의 매장을 인터넷을 통해 통일적으로 관리하는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점(예를 들어, 의류매장)은 서울에 본사를 두고, 전국에 다수의 지점을 두는 예가 많이 있다. 이 경우, 계절이 바뀌거나 신상품이 나오는 경우, 매장의 디스플레이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본사에서 디스플레이 관리인원이 직접 나가 매장의 상품 진열과 연출작업을 해주거나 사진을 동봉한 매장의 디스플레이 안내서 또는 지침서를 전국으로 배포하여 각 매장에서 상품의 디스플레이의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관련된 사진이나 문서를 이메일로 전송하는 방법이 사용되곤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품의 마케팅 전략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시장의 변화에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매장 디스플레이에 관한 그래픽 정보만이 전달되기 때문에 전시된 상품의 가격, 사이즈, 수량, 색상 등의 데이터를 구할 수 없었다. 그리고, 새로운 상품 구성에 따라 변경된 디스플레이가 실제로 매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었다. 따라서, 정보의 피드백이 불가능하거나 느린 사례가 많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복수의 매장의 상품 디스플레이를 신속히 변경하기 위하여 입체도면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입체도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각 매장의 담당자가 손쉽게 전시될 상품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변경된 매장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변경의 필요성을 재빨리 파악할 수 있고, 이를 다시 상품 디스플레이에 반영할 수 있는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한 공간을 표시하는 매장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매장의 내부에 놓여질 복수의 집기와 상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매장을 설계하고, 설계된 입체도면을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하는 설계수단;
인터넷(10)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상기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및 상기 입체도면내에 포함된 상품에 관한 상품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장치(14);
상기 인터넷(10)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상기 서버장치(14)에 저장된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품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매장 컴퓨터(16);
상기 각 매장마다 설치되고, 상기 매장 컴퓨터(16) 및 상기 인터넷(10)을 통해 상기 서버장치(14)로 상품 판매 데이터를 전송하는 POS수단(18); 및
상기 서버장치(14)와 전기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품 판매 데이터를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구성되어,
수신된 매장 이미지에 따라 매장의 상품 디스플레이를 수정하는 경우, 상품 판매량의 변화를 서버장치(14)의 운영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매장의 이미지 데이터 및 복수의 집기와 상품의 이미지 데이터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로써, 확대 명령어, 축소 명령어, 회전명령어에 따라 확대, 축소, 회전되어 표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품 판매 데이터는 상품의 모델번호, 가격, 매장번호, 판매일, 판매시간, 판매수량, 색상, 치수 등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매장 컴퓨터(16)는,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마우스의 위치를 파악하는 수단; 상기 마우스 위치에 대응하는 상품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판단수단에 의해 상품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상품의 데이터를 독축하여 문자정보로 표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한 공간을 표시하는 매장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매장의 내부에 놓여질 복수의 집기와 상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매장을 설계하고, 설계된 입체도면을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S10); 상기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입체도면내에 포함된 상품에 관한 상품 데이터를 서버장치(14)에 업로딩하여 인터넷(10)을 통해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S20); 각각의 매장에 구비된 매장 컴퓨터(16)를 통해 상기 서버장치(14)에 저장된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품데이터를 다운로딩하여 저장하는 단계(S30); 다운로딩한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매장 컴퓨터(16) 상에 표시하는 단계(S40); 상기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변경된 매장에서 POS(18)를 통해 판매된 상품의 판매 데이터를 상기 서버장치(14)로 전송하는 단계(S60); 복수의 매장 컴퓨터(16)로부터 수신한 상품 판매 데이터를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는 단계(S70); 및 표시된 상기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체도면이 수정된 경우, 수정된 입체도면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단계(S80, 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하고, 일정한 공간을 표시하는 매장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매장의 내부에 놓여질 복수의 집기와 상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여 매장을 설계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기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입체도면내에 포함된 상품에 관한 상품 데이터를 인터넷(10)과 연결된 서버장치(14)에 업로딩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각각의 매장에 구비된 매장 컴퓨터(16)가 상기 서버장치(14)에 저장된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품데이터를 다운로딩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다운로딩한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매장 컴퓨터(16) 상에 표시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기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변경된 매장에서 POS(18)를 통해 판매된 상품의 판매 데이터를 상기 서버장치(14)로 전송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복수의 매장 컴퓨터(16)로부터 수신한 상품 판매 데이터를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및 표시된 상기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체도면이 수정된 경우, 수정된 입체도면 데이터를 재전송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인터넷 하드웨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장 이미지에 집기 및 상품 이미지가 첨가된 상태를 3각도법으로 나타낸 원도우 화면(20)이고,
도 3 은 도 2에 사용되는 집기 및 상품의 입체 이미지 모듈을 예시한 것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도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윈도우 화면(40)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특정상품(46)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상품에 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는 윈도우 화면(40)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매장 이미지에 각종 집기류의 이미지 모듈을 배치한 입체도면을 전체적으로 표시하는 윈도우 화면(50)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14) 내부에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인터넷, 14 : 중앙 서버장치,
16 : 매장 컴퓨터 , 18 : POS 장치,
20, 40, 50 : 원도우 화면, 30 : 집기 모듈,
47 : 상품 정보 도움말, 60 : 데이터베이스,
61 : 집기 DB, 63 : 상품 DB,
65 : 매장 DB, 67 : 판매 데이터 DB.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인터넷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의 하드웨어는 크게 운영자의 서버장치(14), 다수 매장에 설치된 매장 컴퓨터(16), POS장치(18)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인터넷(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운영자의 서버장치(14)는 중앙 또는 본사에 설치된 컴퓨터로써, 매장에 관한 입체도면을 제작하고, 저장하며, 인터넷(10)을 통해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추후 설명할 POS 시스템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통계 처리한 뒤, 문자 또는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서버장치(14)는 각 매장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서 관리하기 위해 다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추후 설명함), 이메일 서버(미도시), SQL 서버(미도시), FTP 서버(미도시) 등이 내장되어 있다.
매장 컴퓨터(16)는 IBM호환의 PC로써, 인터넷(10)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TCP/IP 또는 PPP 방식에 의해 네트워크 되어 있다. 그리고, 서버장치(14)로부터 입체 도면을 다운받아 모니터(미도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POS장치(18)와 연결되어, POS장치(18)로부터 상품 판매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데이터를 다시 서버장치(14)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매장 컴퓨터(16)는 지점의 갯수에 따라 적게는 3 ~ 5 개, 많게는 10 ~ 50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POS(Point Of Sale)장치(18)는 매장의 카운터에 설치된 계산기로서, 상품 판매 순간 해당 상품에 관한 모델명, 가격, 수량, 판매일, 판매시간, 판매 담당자,재고 등이 데이터로 생성되고, 저장된다. 이러한 상품 판매 데이터는 매장 컴퓨터(16)와 POS장치(18) 사이에 연결된 신호선(미도시)(예를 들어, 데이터 버스선, 랜 케이블 등)을 통해 매장 컴퓨터(16)로 전송된다. 이러한 POS장치(18)는 각 매장마다 한 개씩 설치될 수도 있고, 매장이 큰 경우 복수개가 설치되어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장 이미지에 집기 및 상품 이미지가 첨가된 상태를 3각도법으로 나타낸 원도우 화면(20)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각 도법의 윈도우 화면(20)에는 평면도(22), 정면도(24) 및 측면도(26)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각 도면은 직사각형의 매장에 대해 가구, 전시대, 벽장 등과 같은 집기류의 배치, 상대적 크기, 전체적 조화 및 각 집기류에 진열되는 상품의 내용과 갯수등을 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도면은 캐드 프로그램(예를 들어, 오토캐드) 또는 그래픽 프로그램(예를 들어, adove photoshop, paint pro shop 등)을 사용하여 서버장치(14) 상에서 설계되어 저장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수정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평면도(22), 정면도(24) 및 측면도(26)는 각 지점의 매장 담당자들에게 정확한 매장의 상품 디스플레이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필요에 따라서는 부분확대도, 저면도, 배면도 등을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는 평면도(22), 정면도(24) 및 측면도(26)가 검은색 선으로만 표시되어 있으나, 미리 정해진 방식(예를 들어, 붙박이 집기류는 검은색, 이동 집기류는 파란색, 상품은 노란색, 기타 비품은 빨간색 등)으로 표시하거나 채색할 수 있다.
도 3 은 도 2에 사용되는 집기 및 상품의 입체 이미지 모듈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집기 모듈(30)은 3차원의 이미지 데이터 형식을 갖고 있으며,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확대, 축소, 회전된 상태로 표시, 이동, 배치 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집기 모듈(30)의 구체적인 예로는 박스(31), 벽에 붙이는 전시대(32, 33), 매장의 가운데에 설치하는 아일랜드 전시대(34), 쇼윈도우에 설치하는 쇼케이스(35)등이다.
이러한 각각의 집기 모듈(30)은 3차원 이미지 데이터 포맷을 갖고 있으며, 서버장치(14)내에 라이브러리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설계자는 필요에 따란 언제든지 라이브러리를 판독하여 입체화면에 배치할 수 있고,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읽어 들인 집기 모듈(30)은 수정한 다음 새로운 이름으로 저장함으로써, 새로운 모듈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도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하여 주는 윈도우 화면(40)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3차원의 집기류 모듈(41, 43, 45) 들이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원도우 화면(40)은 배치된 집기류 모듈(41, 43, 45)들을 실제로 보는 것처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현실감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집기류 모듈(41, 43, 45)에 실제로 상품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는 시각적 느낌을 생생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b는 도 4a에서 특정상품(46)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상품에 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는 윈도우 화면(40)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가 마우스(미도시)로 특정상품(예를 들어, 가방)(46)을 클릭하면, 해당 클릭영역에 대응하는 상품 데이터(47)가 도움말(일명, 풍선 도움말) 형식으로 근방에 표시된다.
상품 데이터(47)는 예를 들어, 상품명, 치수, 색상, 가격, 모델번호 등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되는 상품의 내용을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은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상품에 부여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매장 이미지에 각종 집기류의 이미지 모듈을 배치한 입체도면을 전체적으로 표시하는 윈도우 화면(50)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도면은 매장 전체를 조망할 수 있도록 표시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선택된 부분을 확대하거나 특정 방향에서 볼 수 있도록 회전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각 지점에서 상품을 디스플레이 하는 매장관리자는 이러한 입체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자신의 매장에서 상품의 디스플레이 작업을 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작업시에는 집기류의 배치 뿐만 아니라 도4b에 도시된 상품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체도면과 동일한 상품배치를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치된 상품의 특성 등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의 관리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일정한 공간을 표시하는 매장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매장의 내부에 놓여질 복수의 집기(30)와 상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매장을 설계하고, 설계된 입체도면(도 5)을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한다(S10).
그 다음, 상기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입체도면내에 포함된 상품에 관한 상품 데이터(47)를 서버장치(14)에 업로딩하여 인터넷(10)을 통해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경우, 인트라넷을 이용하거나 특정 홈페이지에 ID와 패스워드로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그 다음, 각각의 매장에 구비된 매장 컴퓨터(16)를 통해 상기 서버장치(14)에 저장된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품데이터를 다운로딩하여 저장한다(S30). 이 때는 데이터의 버전을 함께 표시하여 각 매장의 관리자가 항상 최신 자료를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다운로딩한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매장 컴퓨터(16) 상에 표시한다(S40). 이 때, 필요에 따라서는 프린터(미도시)에 컬러 출력하여 실제 디스플레이 작업중에 활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출력물은 전체 입체도면 뿐만 아니라 각 부분의 세부 확대도가 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변경된 매장에서 영업을 개시하여 변경된 상품 디스플레이가 매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한다. 즉, POS장치(18)를 통해 판매된 상품의 판매 데이터를 매장 컴퓨터(16)에 전송하여 저장시키고, 일정기간 마다 또는 실시간으로 상품 판매 데이터를 인터넷(10)을 통해 서버장치(14)로 전송한다(S60).
상품 판매 데이터에는 상품의 모델번호, 가격, 매장번호, 판매일, 판매시간, 판매수량, POS장치(18) 담당자 이름, 재고 등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된다.
그 다음, 중앙의 서버장치(14)는 복수의 매장 컴퓨터(16)로부터 수신한 상품판매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체 평균값, 매장별 판매실적, 지역별 판매실적, 기간별 판매실적, 판매실적의 변화율, 상품별 판매실적, 상품별 판매실적 변화율, 매출액 실적 등의 통계자료를 산출하게 된다. 이렇게 산출된 통계자료는 표에 문자정보로 표시되거나 막대그래프, 파이 그래프, 선 그래프 등의 그래프 정보로 화면에 표시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인쇄된다(S70).
만약, 표시된 상기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 정보에 기초했을 때, 입체도면을 수정해야 하는 필요성이 발생한 경우(S80), 입체도면을 수정하여 서버장치(14)를 통해 재전송한다(S90). 수정된 입체도면을 수신한 각 매장에서는 이에 맞게 상품 디스플레이를 재작업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14) 내부에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20)의 하부에는 집기DB(61), 상품DB(63), 매장DB(65) 및 판매 데이터 DB(67)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및 그 밖의 테이블들은 주종관계(마스터-슬레이브 또는 프라이머리(Primary)-세컨더리(Secondary) 관계)에 의해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집기DB(61)는 매장 내부에 설치된 각종 가구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써, 집기류의 일련번호, 크기(길이, 폭, 높이), 색상(체리색, 자연목, 검은색 등), 용도(중앙배치용, 벽체용, 쇼케이스용 등), 재질(나무, 금속, 유리, 아크릴 등), 그래픽 자료, 구입처 등에 관한 필드가 정의되어 있다.
상품DB(63)는 매장에 전시될 각종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매장 컴퓨터(16)로 상품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로서, 상품명(가방, 바지, 치마 등), 치수(S, M, L,XL 등), 색상(검은색, 회색, 흰색 등), 가격(50,000원), 모델번호(BAG74), 재고수량, 생산년월, 용도(아동용품, 숙녀용품, 신사용품) 등에 관한 필드가 정의되어 있다.
매장DB(65)는 전국에 위치하는 각 매장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로서, 각 매장의 이름, 주소, 대표자, 연락처,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오픈일, 크기 등에 관한 필드가 정의되어 있다.
판매 데이터 DB(67)는 POS 장치(18)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의 판매 데이터를 매장 컴퓨터(16)로 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통계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로써, 상품의 모델번호, 가격, 매장번호, 판매일, 판매시간, 판매수량, POS 고유번호, POS 담당자, 전체 평균값, 매장별 판매실적, 지역별 판매실적, 기간별 판매실적, 판매실적의 변화율, 상품별 판매실적, 상품별 판매실적 변화율, 매출액 실적 등에 관한 필드가 정의되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의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하고,
일정한 공간을 표시하는 매장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매장의 내부에 놓여질 복수의 집기와 상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여 매장을 설계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기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입체도면내에 포함된 상품에 관한 상품 데이터를 인터넷(10)과 연결된 서버장치(14)에 업로딩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각각의 매장에 구비된 매장 컴퓨터(16)가 상기 서버장치(14)에 저장된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품데이터를 다운로딩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다운로딩한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매장 컴퓨터(16) 상에 표시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기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변경된 매장에서 POS(18)를 통해 판매된 상품의 판매 데이터를 상기 서버장치(14)로 전송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복수의 매장 컴퓨터(16)로부터 수신한 상품 판매 데이터를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및
표시된 상기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체도면이 수정된 경우, 수정된 입체도면 데이터를 재전송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 RAM장치, ROM장치, 컴팩트 디스크, DVD, CD-ROM, 광자기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디지털 테이프, 메모리 스틱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보관되고, 판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14), 서버장치(10) 등은 IBM 호환기종의 퍼스널 컴퓨터로 구현되었고, 윈도우를 운영체제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주변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스피커, 모니터 등)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상적인 것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프로그램에 사용된 언어는 속도와 보안 및 확장성을 고려하여 PHP4.0과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였고, DBMS는 안정성이 입증된 MySQL를 사용하였다.
비록 본 발명에서는 의류용품을 주로 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신발, 패션, 패션잡화, 프렌차이즈, 패스트푸드점, 제과점, 자용자 대리점, 커피점, 레스토랑, 전자제품 대리점, 백화점, 슈퍼마켓, 아울렛 매장, 은행, 증권사 등에도 폭넓게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 매장으로 다운되는 정보는 입체도면 및 상품 데이터 정보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지침서, 수정지시사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의하면, 복수의 매장의 상품 디스플레이를 신속히 변경하기 위하여 입체도면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할 수 있어, 시간과 물류 비용, 인력등을 대폭적으로 절약할 수 있고,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입체도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각 매장의 담당자가 손쉽게 전시될 상품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상품의 마케팅 전략에 따른 판매를 각 매장에서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변경된 매장의 상품 구성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변경의 필요성을 재빨리 파악할 수 있고, 이를 다시 디스플레이에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시장의 변화에 긴밀히 대처할 수 있고, 매출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6)

  1. 일정한 공간을 표시하는 매장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매장의 내부에 놓여질 복수의 집기와 상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매장을 설계하고, 설계된 입체도면을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하는 설계수단;
    인터넷(10)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상기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및 상기 입체도면내에 포함된 상품에 관한 상품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장치(14);
    상기 인터넷(10)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상기 서버장치(14)에 저장된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품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매장 컴퓨터(16);
    상기 각 매장마다 설치되고, 상기 매장 컴퓨터(16) 및 상기 인터넷(10)을 통해 상기 서버장치(14)로 상품 판매 데이터를 전송하는 POS수단(18); 및
    상기 서버장치(14)와 전기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품 판매 데이터를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구성되어,
    수신된 매장 이미지에 따라 매장의 상품 디스플레이를 수정하는 경우, 상품 판매량의 변화를 서버장치(14)의 운영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의 이미지 데이터 및 복수의 집기와 상품의 이미지 데이터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로써, 확대 명령어, 축소 명령어, 회전명령어에따라 확대, 축소, 회전되어 표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 데이터는 상품의 모델번호, 가격, 매장번호, 판매일, 판매시간, 판매수량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컴퓨터(16)는,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마우스의 위치를 파악하는 수단;
    상기 마우스 위치에 대응하는 상품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판단수단에 의해 상품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상품의 데이터를 독축하여 문자정보로 표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장치.
  5. 일정한 공간을 표시하는 매장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매장의 내부에 놓여질 복수의 집기와 상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매장을 설계하고, 설계된 입체도면을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S10);
    상기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입체도면내에 포함된 상품에 관한상품 데이터를 서버장치(14)에 업로딩하여 인터넷(10)을 통해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S20);
    각각의 매장에 구비된 매장 컴퓨터(16)를 통해 상기 서버장치(14)에 저장된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품데이터를 다운로딩하여 저장하는 단계(S30);
    다운로딩한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매장 컴퓨터(16) 상에 표시하는 단계(S40);
    상기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변경된 매장에서 POS(18)를 통해 판매된 상품의 판매 데이터를 상기 서버장치(14)로 전송하는 단계(S60);
    복수의 매장 컴퓨터(16)로부터 수신한 상품 판매 데이터를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는 단계(S70); 및
    표시된 상기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체도면이 수정된 경우, 수정된 입체도면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단계(S80, 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방법.
  6.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하고,
    일정한 공간을 표시하는 매장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매장의 내부에 놓여질 복수의 집기와 상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여 매장을 설계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기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입체도면내에 포함된 상품에 관한 상품 데이터를 인터넷(10)과 연결된 서버장치(14)에 업로딩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각각의 매장에 구비된 매장 컴퓨터(16)가 상기 서버장치(14)에 저장된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품데이터를 다운로딩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다운로딩한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매장 컴퓨터(16) 상에 표시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기 입체도면의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변경된 매장에서 POS(18)를 통해 판매된 상품의 판매 데이터를 상기 서버장치(14)로 전송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복수의 매장 컴퓨터(16)로부터 수신한 상품 판매 데이터를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및
    표시된 상기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체도면이 수정된 경우, 수정된 입체도면 데이터를 재전송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10059071A 2001-09-24 2001-09-24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20010099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071A KR20010099380A (ko) 2001-09-24 2001-09-24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071A KR20010099380A (ko) 2001-09-24 2001-09-24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380A true KR20010099380A (ko) 2001-11-09

Family

ID=19714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071A KR20010099380A (ko) 2001-09-24 2001-09-24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93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993B1 (ko) * 2008-09-12 2011-01-04 신교진 이동통신단말기와 매장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주문 및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648A (ko) * 1999-12-16 2000-03-06 박종구, 송덕호 인터넷망을 이용한 개인용 쇼핑몰 시스템
JP2000123255A (ja) * 1998-10-20 2000-04-28 Fujitsu General Ltd 店舗/本部間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20000049388A (ko) * 2000-02-07 2000-08-05 김병학 인터넷매장을 직접 관리하는 전자상거래 및 방법
JP2001116415A (ja) * 1999-10-18 2001-04-27 Sanyo Electric Co Ltd ショーケース等の集中管理装置
JP2001202572A (ja) * 2000-01-20 2001-07-27 Fujitsu General Ltd 店舗間の入出庫処理方法と商品の入出庫処理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3255A (ja) * 1998-10-20 2000-04-28 Fujitsu General Ltd 店舗/本部間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2001116415A (ja) * 1999-10-18 2001-04-27 Sanyo Electric Co Ltd ショーケース等の集中管理装置
KR20000012648A (ko) * 1999-12-16 2000-03-06 박종구, 송덕호 인터넷망을 이용한 개인용 쇼핑몰 시스템
JP2001202572A (ja) * 2000-01-20 2001-07-27 Fujitsu General Ltd 店舗間の入出庫処理方法と商品の入出庫処理管理システム
KR20000049388A (ko) * 2000-02-07 2000-08-05 김병학 인터넷매장을 직접 관리하는 전자상거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993B1 (ko) * 2008-09-12 2011-01-04 신교진 이동통신단말기와 매장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주문 및 결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4855B1 (en) Computer system for allowing a consumer to purchase packaged goods at home
Spiller et al. A classification of Internet retail stores
JP5635709B2 (ja) 物理的小売環境のバーチャル図解上での物理的小売環境に関するデータの表示
US20020010655A1 (en) Real time, three-dimensional, configurable, interactive product display system and method
US201203307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opping Goods, Virtualizing a Personalized Storefront
JPH10124574A (ja) コンピュータによる仮想空間商取引方法
US20110015966A1 (en) Displaying data for a physical retail environment on a virtual illustration of the physical retail environment
US20150134547A1 (en) Belongings visualization and record system
US20050177498A1 (en) Providing visualization of market offers using a multi-dimensional display including geometrically shaped icons
US20190325504A1 (en) Brokerage system and method for ordering product
TW201514892A (zh) 物件的資訊呈現裝置與方法
JP2002279525A (ja) レストランにおけるメニュー管理方法
JP200816529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ユーザ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93769A (ja) 商品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サーバ、ショッピングカート、商品情報表示方法
KR20010099380A (ko) 매장의 온라인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 및 기록매체
JP201911759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TWM631949U (zh) 數位商品展示系統
US7319980B2 (en) Method and a computer network server for facilitating sale of an object
CN101273828A (zh) 用于展示架的图像显示控制器
JP2014071682A (ja) 顧客管理装置、顧客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40647A (ko) 상품 진열 판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242938A (ja) 三次元cg画像による陳列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3117775A (ja) 料理レシピ提供システム、料理レシピ提供方法、料理レシピ提供装置、及び料理レシピ提供プログラム
Somerville et al. Easy grocery: 3D visualization in e-grocery
KR20090015498A (ko) 대형 할인 매장에서의 식료품 쇼핑 도우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