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8311A - 신규한 젖산균 yl-3 균주의 분리 - Google Patents

신규한 젖산균 yl-3 균주의 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8311A
KR20010098311A KR1020000023186A KR20000023186A KR20010098311A KR 20010098311 A KR20010098311 A KR 20010098311A KR 1020000023186 A KR1020000023186 A KR 1020000023186A KR 20000023186 A KR20000023186 A KR 20000023186A KR 20010098311 A KR20010098311 A KR 20010098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hours
strain
acid bacteria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1177B1 (ko
Inventor
이태근
정 호 김
김광엽
조문경
김경
Original Assignee
이태근
정 호 김
김광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근, 정 호 김, 김광엽 filed Critical 이태근
Priority to KR1020000023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177B1/ko
Publication of KR20010098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젖산균 YL-3 (Lactobacillus fermentumYL-3) 균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젖산균 YL-3 (Lactobacillus fermentumYL-3) 균주는 pH2.5의 인공위액에서 12시간 후에도 사멸하지 않고 최초 접종 농도를 유지하고, 2.0% 의 Oxgall 첨가배지에서 24시간 후에도 사멸하지 않고 최초 접종 농도를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젖산균 YL-3 (Lactobacillus fermentumYL-3) 균주는 병원성 균주인 살모넬라균 (Salmonella enteritidis) 과 대장균 (Escherichia coli0157:H7) 과 혼합 배양하였을 경우, 15-16 시간 후에 이들 병원성 균주들을 모두 사멸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특성을 가지는 젖산균 YL-3 균주는 다른 균주 및 동종인 젖산균의 다른 균주들과 확실히 구분되는 신규 균주이다.

Description

신규한 젖산균 YL-3 균주의 분리{Isolation of novel Lactobacillus fermentum YL-3}
본 발명은 축산용 생균제로 사용하기 위한 신규한 젖산균 YL-3 균주를 분리하고, 기존의 젖산균과는 다른 YL-3 균주의 특성을 규명한 것이다.
오늘날, 동물들은 유산균을 포함한 생균제를 요구한다. 야생동물들은 어미와환경으로부터 장내 정상 균총을 빠르게 구성하지만, 인간에 의해서 오랫동안 길들여진 가축들은 어미와 접촉하는 것이 제한되고, 인공사료를 섭취하며, 인위적인 환경조건에 처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질병에 저항하는 정상적인 장내 균총을 구성하지 못하므로 면역 결핍 현상을 나타내고 심지어 사망에까지 이르게 된다. 그리그 성축의 장내 균총도 사료와 항생제, 스트레스등에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생균제인 유산균을 인위적으로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는 경우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1947년 처음으로 동물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고, 자돈의 장내 유산균을 투여하여 건강 증진과 증체 효과를 확인하는 실례가 보고된 이후, 생균제는 1974년 ParKer와 Fuller에 의해 살아있는 미생물 첨가제의 개념으로 정립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가축 유산균 생균제 제조사의 대부분은 외국으로부터 유산균 원료를 수입하여 제품화하기 때문에 국내의 생산 기술은 발전을 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국내 환경에 맞는 생균제의 부족으로 축산업에서는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생균제(Probiotic)란 단어는 고대 그리스의에서 유래된 것으로 '생명을 의하여'라는 뜻으로 시작으로 다양한 의미로 쓰이고 있었으나 1965년 Lilley와 Stilwall이 처음으로 사용한 이래 , 1974년 Parker에 의해 장관 내 균총간의 균형을 조절할 수 있는 세균이나 물질로 정의하였고, 1989년 Fuller에 의해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개선하므로써 숙주동물에게 유익한 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 살아있는 생균제제로 개념이 확정되었다. 생균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제조 보관이 용이하며, 소화관내에서 생존성이 높아야한다. 즉, 살아있는 상태로 섭취되어 장관에 도달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품제조 후 일정 시간 이상 그 활성을 유지하여야 하며, 다른 첨가제인 항생제, 방부제와 혼합 및 pellet등의 제조 후에도 그 활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둘째, 생균제 속에는 적정량의 생균이 존재해야 한다. 한 예로 젖산균(Lactobacillus)과 대장균(E. coli) 과의 혼합배양에서 젖산균 (Lactobacillus)이 1×108CFU/ml 경우 대장균(E. coli) 의 균수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1×105CFU/ml 경우에는 증식을 억제시키지 못한다. 셋째, 안정성이 요구된다. 미생물은 증식 속도가 빠르고 변이주의 생성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균주의 분류학적 위치가 명확하고 안정성이 확립된 균주를 사용하여야 한다. 넷째, 섭취된 생균의 활성도가 빨라야 한다. 유해균의 일종인 대장균(E. coli) 등은 증식 속도가 아주 빠르기 때문에 활성 속도가 느리면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다섯째, 생균제의 투여시 그 효과가 일정해야 한다. 여섯째, 유용균의 증식을 촉진시키며, 정상 균총의 분포를 유지시켜야 한다. 일곱째, 장 점막에 점착성이 강하여 분변과 함께 배출이 적어야 한다. 여덟째, 소화관내의 분변과 정맥의 혈중 암모니아 함량을 저하할 수 있어야 한다. 아홉째, 항생제나 기타 화학 요법제와 병용하여도 길항 작용이 없어야 한다. 또한 가축에 있어서는 증체율의 개선, 사료 효율의 증가와 가축의 건강개선을 유도 할 수 있어야 하며, 가축의 변비, 설사의 예방 및 치료, 투여방법의 용이성과 함께 가격이 저렴하여야 한다. 그리고 영양 흡수를 저해하는 요인들인 트립신효소 저해제 (trypsin inhibitor), 피틱산 (phytic acid), 글루코시놀산 (glucosinolate) 등을 소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유산균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는 항균성 물질인 박테리오신 (bacteriocin)을 생성하여 유해 미생물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 박테리오신 (bacteriocin) 에 대한 연구는 1947년 Mattick와 Hirsch에 의해 스트렙토코코스 (Streptococcus diacetilacits) 로부터 폴리펩티드 구조를 갖는 니신 (Nisin)이라는 항균 물질을 분리하면서 지금까지도 계속해서 박테리오신에 대한 작용성과 특성이 밝히고 있으며, 아직도 명명되지 않은 박테리오신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생균제로 사용되고 있는 미생물은 젖산균 (Lactobacillus), 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엔테로코코스 (Enterococcus) 와 같은 유산균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페디오코코스 (Pediococcu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Propionibacterium), 바실러스 (Bacillus) 그리고 효모등은 주로 동물에게 사용되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균주는 젖산균 (Lactobacillus) 과 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이며, 발효유, 건강식품, 유산균 정장제, 동물 약품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산균들이 생균제로서 각광을 받는 이유는 탄수화물을 다량 소비함으로써 유산을 많이 생성하므로 식품이나 사료에서 부패를 막고 맛을 개선하며, 사람과 가축의 장내에서 영양분의 흡수 촉진, 변비 개선, 항암 작용, 면역 기능 강화, 또한 다당류와 올리고당을 생성하기 때문에 식품제조의 Starter나 생균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생균제로서 사용되는 유산균이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는 내산성, 내담즙성, 장내 병원성에 대한 길항 작용 및 장내 정착성등이 있다. 그 중에서 위액은 염산의 낮은 pH에 의해 외부 미생물이 생존 상태로 위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작용을 하므로산에 대한 내성에 따라 생존율이 좌우될 것으로 본다. 그리하여 낮은 pH에 견딜 수 있고, 0.3%담즙산에도 견디며 유해균인 살모넬라균 (Salmonella enteritidis), 대장균 (E. coli)등을 억제시킬 수 있는 YL-3 균주를 닭의 맹장에서 1차적으로 선발하였고, 균을 동정한 결과 젖산균 (Lactobacillus fementum) 으로 동정하였고 YL-3 으로 명명하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신규 젖산균 YL-3 (Lactobacillus fermentumYL-3) 균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젖산균 YL-3 (Lactobacillus fermentumYL-3) 균주는 pH2.5의 인공위액에서 12시간 후에도 사멸하지 않고 최초 접종 농도를 유지하고, 2.0%의 Oxgall 첨가배지에서 24시간 후에도 사멸하지 않고 최초 접종 농도를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젖산균 YL-3 (Lactobacillus fermentumYL-3) 균주는 병원성 균주인 살모넬라균 (Salmonella enteritidis) 과 대장균 (Escherichia coli 0157:H7) 과 혼합 배양하였을 경우, 15-16 시간 후에 이들 병원성 균주들을 모두 사멸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특성을 가지는 젖산균 YL-3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 1도는 젖산균 YL-3 의 pH 변화에 대한 내산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이다.
제 2도는 젖산균 YL-3 의 0.3% Oxgall 조건하에서 내담즙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이다.
제 3도는 젖산균 YL-3 의 여러 농도의 Oxgall 조건하에서 내담즙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이다.
제 4도는 젖산균 YL-3 의 내열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이다.
제 5도는 젖산균 YL-3 의 병원성균 생장억제 실험을 실시한 결과이다.
제 6도는 젖산균 YL-3 의 병원성균 생장억제 실험 중 pH 의 변화를 나타낸 결과이다.
본 발명은 젖산균 분리단계; 내산성 특성조사단계; 내담즙성 특성조사단계: 내열성 특성조사단계; 및 병원성균 생장억제 특성조사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내산성을 가진 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원액의 농염산으로pH3.5로 조정한 혐기 희석액에 닭으로부터 절단한 맹장을 넣고 2시간 동안 진탕하여 139종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를 0.3x oxgall powder(Sigma)을 첨가한 MRS배지, BL배지, BHI배지에 도말하여 호기, 혐기배양을 실시하여 생존 여부를 확인한 후 생존한 111종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 중 pH2.5에서의 저항성, 0.3x 담즙에 대한 저항성과 산 생성을 나타내고 Gram(+)을 나타내는 34균주를 최종적으로 선발한 후 이 분리 균주를 미생물 신속동정기를 사용하여 동정하였다. 최종 선발된 5그룹의 균주들 중에 GRAS(Generally Recommend As Safe) 미생물이면서 생균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젖산균 (Lactobacillussp.) 을 중심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젖산균 중에서 균주를 선택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pH 2.0에서 3hr 동안 진탕함으로써 생존여부를 비교하고 다른 병원성균의 빠른 성장속도에 경쟁할 수 있도록 빠른 성장을 보이는 균주를 중심으로 실험을 한 결과 젖산균 YL-3 (Lactobacillus fermentumYL-3) 을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최종 선발된 균주인 젖산균 YL-3의 내산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대조구로 pH 6.5±0.2 인 MRS 액체배지와 농염산으로 MRS 액체배지의 pH를 pH 3.0, pH 2.5, pH2.0으로 맞춘 후 시간별로 생존 균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선발된 젖산균 YL-3은 pH2.0에서 12시간 후에도 107CFU/ml을 유지하고 있고 미생물 사멸 작용이 급격히 일어난다는 pH 2.5에서도 12시간이 지난 후에 오히려 균수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최종 선발 균주인 젖산균 YL-3의 내담즙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0.3% oxgall 농도에서의 생존성 및 시간별 생존 균수의 변화를 확인, 측정하였다. 그 결과 0.3%oxgall이 첨가된 MRS 액체배지에서 느린 성장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첨가된 담즙에 의해 균이 저해되거나 사멸되지 않고 대조구에 비해 느린 성장을 나타내나 계속적인 성장을 나타낸다. 따라서, 닭의 맹장에서 분리한 젖산균 YL-3 은 0.3% oxgall이 첨가된 MRS 액체배지에서도 성장할 수 있는 균주이다. 또한 담즙의 농도를 달리하여 농도에 따른 담즙에 대한 내성을 실험한 결과, 담즙이 0.5, 1.0, 2.0%가 첨가된 액체배지에서도 0.3%을 첨가했을 때와 거의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이 결과로 담즙에 강한 내성을 갖는 균주 임을 확인할 수 있다.
최종 선발된 균주인 젖산균 YL-3의 내열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45℃에서는 50%의 균수 감소를 나타내고 있지만 120분 동안에 그 균수를 유지한다. 그러나 50℃이상의 온도에서는 급속히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최종 선발된 젖산균 YL-3의 병원성균에 대한 생장억제 실험을 실시한 결과, 혼합배양 후 8시간 이후로 두 개의 병원성균은 급격이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살모넬라균(Salmonella enteritidis) 는 혼합 배양 후 15시간에는 균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장균 (E. coli0157:H7) 은 16시간이후 균이 보이지 않았다. 또한 단독 배양과 혼합배양시의 pH를 측정하여 제 6도에 나타내었다. 8시간 이후 pH는 4.2 이하로 떨어졌고, 그 이후는 pH4.1 정도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젖산균 YL-3 는 병원성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탁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 젖산균 YL-3 의 분리
1차적으로 내산성을 가진 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원액의 농염산으로 pH3.5로 조정한 혐기 희석액 100ml에 닭으로부터 절단한 맹장을 넣고 교반기에서 2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여기서 생존한 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선택배지 (LBSTM), 비선택배지(MRS, BL, BHI)을 사용하였다. pH 3.5에서 2시간 동안 진탕시킨맹장을 멸균한 혐기 희석액 A을 사용하여 10배 단계 희석 후 도말하였다. 37℃, 24∼48시간 동안 호기 배양과 Anaerobic jar(anaerobic system, Difco)을 사용한 혐기 배양을 실시한 후 단일 집락을 분리하여 BL배지에 계대 배양하였다. 이 결과 139종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2차적으로 분리된 균주를 각각 MRS 액체배지와 BHI 액체배지에 옮겨 24∼48hr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혐기 희석액 A을 농염산으로 pH 2.5로 조정하여 멸균하였다. 이 혐기 희석액 100ml에 각각 분리한 균주를 1% 접종 후 2시간 동안 37℃에서 정치한 후 0.3% oxgall powder(Sigma)을 첨가한 MRS배지, BL배지, BHI배지에 도말하여 호기, 혐기배양을 실시하여 생존 여부를 확인한 후 생존한 균주만을 분리하였다. 이 결과 111종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3차적으로 pH2.5에서의 저항성, 0.3% 담즙에 대한 저항성과 산 생성을 나타내고 Gram(+)을 나타내는 34균주를 최종적으로 선발한 후 이 분리 균주를 미생물 신속동정기 (MIDI SherlocK MIS system, HP 6890 Series GC System, USA) 를 사용하여 동정하였다. 최종 선발된 5그룹의 균주들 중에 CRAS(Generally Recommend As Safe) 미생물이면서 생균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젖산균 (Lactobacillussp.) 을 중심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젖산균 중에서 균주를 선택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pH 2.0에서 3hr 동안 진탕함으로써 생존여부를 비교하고 다른 병원성균의 빠른 성장속도에 경쟁할 수 있도록 빠른 성장을 보이는 균주를 중심으로 실험을 한 결과 젖산균 YL-3 (Lactobacillus fermentumYL-3) 을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실시예 2 : 젖산균 YL-3 의 내산성 특성조사
최종 선발된 균주인 젖산균 YL-3의 내산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대조구로 pH 6.5±0.2 인 MRS 액체배지와 농염산으로 MRS 액체배지의 pH를 pH 3.0, pH 2.5, pH2.0으로 맞춘 후 시간별로 생존 균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37℃, 24시간을 호기 배양시킨 YL-3을 pH를 맞춘 각각의 MRS 액체배지 50m1에 108CFU/ml 을 접종하였다. 접종 후 shaking 배양기에 12시간동안 진탕하면서 3시간 간격으로 0.85% 생리 식염수로 10배 단계 희석 후 MRS배지에 도말하였고 37℃, 24시간을 호기 배양하였다. 배양 후 검출된 집락를 계수하여 생존균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각 pH별로 12시간 동안 3시간 간격으로 생존 균수을 확인한 결과는 제 1도에 나타내었다. pH 3.0에서 3시간 경과후의 생균수는 접종 균수(1.1×108CFU/ml)의 60% (6.4×107CFUlml)정도 생존하였고, pH 2.5에서는 접종 균수의 50% (5.0×107CFU/ml)가, pH2.0에서는 40% (4.3×107CFU/ml)가 생존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될수록 pH 3.0과 pH 2.5에서는 생존 균수가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pH 2.0에서는 6시간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12시간 경과 후에도 사멸되지 않고 107CFU/ml정도의 생균수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선발된L. fermentumYL-3은 pH2.0에서 12시간 후에도 107CFU/ml을 유지하고 있고 미생물 사멸 작용이 급격히 일어난다는 pH 2.5에서도 12시간이 지난후에 오히려 균수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실시예 3 : 젖산균 YL-3 의 내담즙성 특성조사
최종 선발 균주인 젖산균 YL-3의 내담즙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0.3% oxgall 농도에서의 생존성 및 시간별 생존 균수의 변화를 확인, 측정하였다. 37℃, 24시간을 호기 배양시킨 YL-3을 0.3% oxgall이 첨가된 MRS 액체배지에 107CFU /ml정도을 접종하여 배양기에 넣고 12시간 동안 진탕시키면서 2시간 간격으로 0.85% 생리식염수로 10배 단계 희석한 후 MRS배지에 도말하여 37℃, 24시간을 호기 배양하여 생존한 집락을 계수하였다. 0.3% 담즙에 대한 생존성 및 생존 균수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최종 선발 균주인 젖산균 YL-3의 0.3% oxgall이 첨가된 MRS 액체배지에서의 생존성 및 시간별 생존 균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제 2도에 나타내었다. 대조구에 비해 0.3% oxgall이 첨가된 MRS 액체배지에서 느린 성장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첨가된 담즙에 의해 균이 저해되거나 사멸되지 않고 대조구에 비해 느린 성장을 나타내나 계속적인 성장을 나타낸다. 장내에서 유래하지 않는 젖산균의 경우 oxgall이 0.15%함유된 LBS배지에서 성장하지 못함을 보고하였으며, 장내 유래세균이 아닌 경우는 아주 적은 농도의 담즙에 대해서도 민감하다. 따라서, 닭의 맹장에서 분리한 젖산균 YL-3은 0.3% oxgall이 첨가된 MRS 액체배지에서 성장할 수 있는균주이다.
또한 담즙의 농도를 달리하여 농도에 따른 담즙에 대한 내성을 실험하였다. 0, 0.3, 0.5, 1.0, 2.0%의 oxgall이 첨가된 MRS 액체배지에 첨가하여 107CFU/ml정도를 접종하여 배양기에 넣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0.85% 생리식염수로 10배 단계 희석한 후 MRS배지에 도말하여 37℃, 24시간을 호기 배양하여 생존한 집락을 계수하여 농도별로 생균수를 비교하였다. 제 3도는 담즙의 농도를 달리하여 배양한 결과이다. 담즙이 0.5, 1.0, 2.0%가 첨가된 액체배지에서도 0.3%을 첨가했을 때와 거의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이 결과로 담즙에 강한 내성을 갖는 균주 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 젖산균 YL-3 의 내열성 특성조사
최종 선발된 균주인 젖산균 YL-3의 내열성 실험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YL-3을 MRS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37℃, 48시간 배양 후 이 배양액을 멸균한 시험관에 분주하고 45℃, 50℃, 60℃, 70℃로 조절된 항온수조에 정치시키고 이를 0분, 30분, 60분, 90분 및 120분에 시료를 취하여 0.85% 생리 식염수로 10배 단계 희석을 한 후 MRS배지에 도말 하여 37℃, 24시간을 호기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생존한 균수를 계수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젖산균 YL-3 의 내열성에 대한 실험 결과는 제 4도에 나타내었다. 45℃에서는 50%의 균수 감소를 나타내고 있지만 120분 동안에 그 균수를 유지한다. 그러나 50℃이상의 온도에서는 급속히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 젖산균 YL-3 의 병원성균 생장억제 특성조사
최종 선발된 젖산균 YL-3의 병원성균에 대한 억제 능력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YL-3을 MRS 액체배지에서, 병원성 균인 살모넬라균(Salmonella enteritidis) 과 대장균 (E. coli0157:H7) 을 BHI 액체배지에서 각각 37℃, 24시간 배양한 후, 50ml MRS 액체배지에 젖산균 YL-3와 병원성 균을 각각 107CFU/ml을 혼합 접종하고 대조구로 YL-3, 살모넬라균 (Salmonella enteritidis) 과 대장균 (E. coli0157:H7) 을 각각 MRS 액체배지에 단독 접종하여 37℃, 24시간 호기 배양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2시간 간격으로 혼합 배양액과 단독 배양액에서 시료를 취하여 pH를 측정하였고, 0.85% 생리 식염수로 10배 단계 희석한 후 각각의 배양액을 선택 배지를 이용하여 도말 하였다. 37℃, 24시간 배양을 한 후, 각각의 생균수를 측정하여 혼합 배양한 것과 단독 배양한 것을 비교함으로써 병원성 균의 생육억제 정도를 조사하였다. 살모넬라균 (Salmonella enteritidis) 의 선택배지로는 SS배지를, 대장균 (E. coli0157:H7) 의 선택배지는 EMB배지를 사용하였고, 젖산균 YL-3의 선택배지로는 0.02% NaN3(Sigma)이 첨가된 MRS배지를 사용하였다.
병원성균인 살모넬라균 (Salmonella enteritidis) 과 대장균 (E. coli0157:H7)에 대한 젖산균 YL-3의 성장 억제 능력을 측정한 결과를 제 5도에 나타내었다. 혼합배양 후 8시간 이후로 두 개의 병원성균은 급격이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살모넬라균(Salmonella enteritidis) 는 혼합 배양 후 15시간에는 균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장균 (E. coli0157:H7) 은 16시간이후 균이 보이지 않았다. 또한단독 배양과 혼합배양시의 pH를 측정하여 제 6도에 나타내었다. 8시간 이후 pH는 4.2 이하로 떨어졌고, 그 이후는 pH4.1 정도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젖산균 YL-3 는 병원성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탁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국내 환경조건에 맞는 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건강한 닭의 맹장에서 여러 균주를 선발하였으며 생균제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균주로 젖산균 YL-3 (Lactobacillus fermentumYL-3) 를 최종 선별하였다. 젖산균 YL-3 (Lactobacillus fermentumYL-3)는 다른 분리 균주에 비해 인공 위액의 낮은 pH에 내성을 갖고 있으며 0.3%의 담즙산에도 증식을 하고, 병원성균인 살모넬라 (Salmonella) 대장균 (E.coli) 등의 생장을 억제시킬 수 있는 균주로 충분히 사료에 첨가 급여시 생균제로서의 기능을 하리라고 생각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을 통하여 분리한 젖산균 YL-3 (Lactobacillus fermentumYL-3) 은 산과 담즙에 대한 내성을 배양조건으로 위액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균체를 배양하여 장내에 정착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수입에 의존한 보호막에 대한 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2)

  1. pH2.5의 인공위액에서 12시간 후 최초 접종 농도로 생존하는 특성을 지니고, 2.0% Oxgall 첨가배지에서 24시간 후 최초 접종 농도로 생존하는 특성을 지니며, 병원성 균인 살모넬라균 (Salmonella enteritidis), 대장균 (E.coli 0157:H7) 과 혼합 배양하였을 경우, 15-16 시간 후에 이들 균주를 모두 사멸시키는 특성을 지닌 젖산균 YL-3(Lactobacillus fermentum YL-3) 의 신규 균주
  2. 제 1항의 젖산균 YL-3 (Lactobacillus fermentum YL-3) 의 신규 균주를 포함하는 생균제
KR1020000023186A 2000-04-29 2000-04-29 신규한 젖산균 yl-3 균주의 분리 KR100351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186A KR100351177B1 (ko) 2000-04-29 2000-04-29 신규한 젖산균 yl-3 균주의 분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186A KR100351177B1 (ko) 2000-04-29 2000-04-29 신규한 젖산균 yl-3 균주의 분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311A true KR20010098311A (ko) 2001-11-08
KR100351177B1 KR100351177B1 (ko) 2002-09-05

Family

ID=19667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186A KR100351177B1 (ko) 2000-04-29 2000-04-29 신규한 젖산균 yl-3 균주의 분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1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791B1 (ko) * 2000-12-08 2004-03-30 (주) 피엘바이오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활성을 억제하는 유산균
KR100449599B1 (ko) * 2000-12-08 2004-09-18 (주) 피엘바이오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활성을 억제하는 유산균
KR100484480B1 (ko) * 2001-05-04 2005-04-20 정 호 김 표면 막처리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yl-3 캡슐
KR100723843B1 (ko) * 2005-04-29 2007-05-31 (주)엠지인투바이오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ib 213(kctc 18106p) 및 이를 이용한 양돈용 프로바이오틱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030A (ko) * 2002-01-25 2003-07-31 주식회사 푸코 위액 및 담즙산에 대한 내성이 높아 장내 생존력이 우수한한국인 분변 유래 유용 프로바이오틱 생균 및 그의 용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791B1 (ko) * 2000-12-08 2004-03-30 (주) 피엘바이오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활성을 억제하는 유산균
KR100449599B1 (ko) * 2000-12-08 2004-09-18 (주) 피엘바이오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활성을 억제하는 유산균
KR100484480B1 (ko) * 2001-05-04 2005-04-20 정 호 김 표면 막처리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yl-3 캡슐
KR100723843B1 (ko) * 2005-04-29 2007-05-31 (주)엠지인투바이오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ib 213(kctc 18106p) 및 이를 이용한 양돈용 프로바이오틱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1177B1 (ko) 200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2779B (zh) 益生的促进健康和性能的食品、饲料和/或饮用水添加剂及其用途
CN103070285B (zh) 一种微生物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US20090257995A1 (en) Harmful bacterium control agent containing bacillus thuringiensis
KR20010031131A (ko) 돼지의 경쟁적 독점 배양
CN106578064B (zh) 一种阿胶乳酸菌饮品及其制备方法
CN110373368B (zh) 一种长双歧杆菌菌株zj1及其应用
CN109136126B (zh) 一株用于预防断奶仔猪腹泻的戊糖片球菌
CN113040390B (zh) 一株益生、耐盐约氏乳杆菌及其在畜禽水产养殖中防治病原菌的应用
WO1993013666A1 (en) Probiotic for control of salmonella
WO1993002558A1 (en) Method and formulation for reducing microbial populations
CN105420150A (zh) 一种嗜酸乳杆菌及其应用
CN113717881A (zh) 一种凝结芽孢杆菌bc66及其应用
KR101702499B1 (ko) 신규한 유산균, 진균 및 세균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용 조성물
KR101047948B1 (ko)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생균제 조성물
Husmaini et al. Growth and survival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by-product of virgin coconut oil as probiotic candidate for poultry
KR20150130066A (ko) 가금류용 유산균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51177B1 (ko) 신규한 젖산균 yl-3 균주의 분리
RU2086248C1 (ru) Пробиотический препарат "стрептобифид" для животных
CN104431352A (zh) 一种促生长合生元菌液的制备方法及应用
KR100954882B1 (ko)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억제 효과를 가지는 신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03596452A (zh) 以产乳酸菌发酵的食品
CN115572689A (zh) 一株戊糖片球菌m6及其应用
CN115216434A (zh) 一株唾液乳杆菌菌株及其用途
CN115651860A (zh) 凝结芽孢杆菌bc-hyc株及其应用
KR101670955B1 (ko) 양식어류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양식시킨 양식어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