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7908A -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7908A
KR20010097908A KR1020000022376A KR20000022376A KR20010097908A KR 20010097908 A KR20010097908 A KR 20010097908A KR 1020000022376 A KR1020000022376 A KR 1020000022376A KR 20000022376 A KR20000022376 A KR 20000022376A KR 20010097908 A KR20010097908 A KR 20010097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igation
network
engine
osdb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2665B1 (ko
Inventor
정일영
안두호
이정우
이덕상
임헌호
황우성
황동희
김순갑
유영호
김시화
이덕수
신옥근
조석제
임재홍
박휴찬
Original Assignee
서승정
구자영
케이티전기 주식회사
조경식
한국해양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승정, 구자영, 케이티전기 주식회사, 조경식, 한국해양대학교 filed Critical 서승정
Priority to KR1020000022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665B1/ko
Publication of KR20010097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6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13/00Navigational aids and us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항해 자동화 및 기관 감시제어 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 및 네트워크에 의해 통합되어 선내의 모든 곳에서 운항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종합 항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항해 자동화 및 기관 감시제어 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 및 네트워크에 의해 통합된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로서, 이중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한 LAN(Local Area Network), 이중 LAN에 접속되고, OSDB(Own Ship Database)용 메인 서버, 공유 저장수단, OSDB백업용 서버를 구비한 OSDB 시스템, 이중 LAN에 접속된 항해 시스템, 이중 LAN에 접속되고, 주기관의 제어 및 감시를 원격으로 또한 실시간으로 실행하는 기관 시스템 및 이중 LAN에 접속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포함하며, 각각의 시스템은 LAN 중 ATM스위치 수단에 의해 접속된 메인 네트워크와 스위칭 허브 수단에 접속된 백업용 네트워크에 의해 결합되게 구성한다.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본선의 정보를 육상의 본사나 운항 부서에서 운항을 통제하고 모니터링을 통해서 선박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a navigation system for ship }
본 발명은 항해 자동화 및 기관 감시제어 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 및 네트워크에 의해 통합되어 선내의 모든 곳에서 운항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선박용 종합 항법장치 및 시스템 통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선박운항과 관련된 각종 보고서를 자동으로 만들어주고, 선내 어느 곳에서나 선박 운항 자료의 모든 기록을 열람할 수 있고, 다양한 운항정보를 사용자들이 편리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표시하여 주는 선박용 종합 항법장치 및 시스템 통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선박 장비들은 단독으로 기능을 하거나 항해의 부분자동화 또는 기관의 부분자동화를 이루어 왔으며 선박의 전체적인 통합은 되어 있지 않았었다. 선박이 항해하는데 필요한 운항 자료 및 종합정보는 시간이 지나면 사용하지 않거나 항해 및 기관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았었다.
또한, 항해에 관한 정보를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선교에 가야만 하고, 기관에 관한 정보는 작동되는 기계를 직접 보거나 기관 제어실에 가야만 했다. 즉, 항해 및 기관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선내의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정보를 볼 수가 없었다.
종래의 기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독으로 기능을 해온 선박 장비들의 부분 자동화는 그 장비의 개별적인 편리성을 구현해 왔으나 선박 전체적인 수준의 통합은 되어 있지 않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항해 및 기관 장비 등은 물론 통신장비와 선박 사무자동화 기능을 추가한 선박 전체 통합을 실현하고, 또한, 운항 자료 및 종합정보에 대한 기록이 남겨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중 네트워크와 VRS(Voyage Recording System)를 위한 구조로 되어 있는 종합 항법 장치 및 시스템 통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해에 관한 정보를 보기 위해서 반드시 선교에 가야만 하고 기관에 관한 정보는 작동되는 기계를 직접 보거나 엔진 제어실에 가야만 했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항해 및 기관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선내의 어느 곳에서나 클라이언트 시스템만 작동시키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종합 항법 장치 및 시스템 통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해 시스템 및 기관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정보의 양을 경감시킬 수 있고,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통합용 프로그램을 수행시킴으로써 실시간 처리가 요구되는 항해 및 기관 시스템의 부하 경감 및 성능 향상이 가능하며,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항해 및 기관 시스템과의 연동성이 향상된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및 시스템 통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종합 항법 장치에 있어서 중앙 제어 시스템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데이터베이스인 OSDB와 연동 하면서 LAN에 의해 통합 운영되는 종합 항법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4는 도3에 도시된 구성도를 실제 장치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각각의 컴퓨터의 내부 구성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네트워크의 동작 순서도,
도 7은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자료 요약 처리 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1차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관리의 흐름도,
도 9는 2차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관리의 흐름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항해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도,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기관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순서도 형식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각기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하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일괄적으로 제어 및 감시하기 위한 INS 통합 프로그램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중앙 제어 시스템 200 : 항해 자동화 시스템
300 : OSDB 시스템 400 : 하역감시 제어 시스템
500 : 기관 감시 제어 시스템 600 : 내항 성능 평가 시스템
700 : 선박 사무 자동화 시스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는 항해 자동화 및 기관 감시제어 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 및 네트워크에 의해 통합된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로서, 이중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한 LAN(Local Area Network), 이중 LAN에 접속되고, OSDB(Own Ship Database)용 메인 서버, 공유 저장수단, OSDB백업용 서버를 구비한 OSDB 시스템, 이중 LAN에 접속된 항해 시스템, 이중 LAN에 접속되고, 주기관의 제어 및 감시를 원격으로 또한 실시간으로 실행하는 기관 시스템 및 이중 LAN에 접속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포함하며, 각각의 시스템은 LAN 중 ATM스위치 수단에 의해 접속된 메인 네트워크와 스위칭 허브 수단에 접속된 백업용 네트워크에 의해 결합되게 구성한다.
또, 본 발명의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에 있어서는 OSDB용 메인 서버와 OSDB백업용 서버가 서로 연결되어 메인 네트워크와 백업용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3의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또, 본 발명의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에 있어서는 메인 네트워크의 상태를 체크하여 정상 동작할 경우는 메인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는 백업용 네트워크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에 있어서는 OSDB 시스템이 항해 시스템과 기관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통합하여 저장, 관리, 사용하게 한다.
또, 본 발명의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에 있어서는 OSDB 시스템이 항해 시스템과 기관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요약하여 저장 및 관리하게 한다.
또, 본 발명의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에 있어서는 OSDB 시스템이 항해 시스템과 기관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1차 데이터 베이스로 요약하여 저장 한 후, 1차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최대치를 초월하면, 1차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중 가장 오래된 데이터를 삭제하게 한다.
또, 본 발명의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에 있어서는 OSDB 시스템이 항해 시스템과 기관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1차 데이터 베이스로 요약하여 저장 한 후, 1차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최대치를 초월하면, 1차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요약해서 2차 데이터 베이스로 작성하게 한다.
또, 본 발명의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에 있어서는 이중 LAN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항해 시스템과 기관 시스템에서의 양쪽의 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에 있어서는 OSDB용 메인 서버와 OSDB 백업용 서버에 적어도 3개의 통신 접속용 카드가 장착된다.
또, 본 발명의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에 있어서 항해 시스템은 각종 항해 계기로부터 자료를 수집하는 DAU(Data Acquisition Unit), 상기 자료를 표시해주는 CIS(Conning Information System), 전자해도를 표시하는 ECDIS(Electronic Charts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을 구비하고, DAU에서 수집한 자료를 메인 네트워크 또는 백업용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공급하게 한다.
또, 본 발명의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에 있어서 항해 시스템은 각종 항해 계기로부터 수집된 자료에 따라 관련 장비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고, 해당하는 장비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응답이 없는 경우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경고 상태를 통지하게 한다.
또, 본 발명의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OSDB 시스템, 상기 항해 시스템, 상기 기관 시스템 및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중의 적어도 하나가 일체화되어 선교에 장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합 항법 장치의 블록도 이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는 자동화 선박의 운항 센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선교(Bridge)에 탑재되는 중앙 제어 시스템(100), 항해 경로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항해 자동화 시스템(Navigation Automation System)(200), 선내 장비들 간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LAN(Local AreaNetwork) 및 OSDB(Own Ship Database) 시스템(300), 선박에 선적된 화물을 제어하는 하역 감시제어 시스템(Cargo Control Automation System)(400), 선박 기관의 상태를 제어하는 기관 감시제어 시스템(Engine Plant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500),선박의 운항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는 내향성능 평가 시스템(600), 선박에 관련된 자료를 관리 보관하는 선박 사무 자동화 시스템(Ship's Management System)(700)에 의해 통합 운영되는 장치이다.
또한, 항해 자동화 시스템(200)은 각종 항해장비 및 주변장비로부터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센서 시스템(201), 항해를 계획하고 감시하며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경로 계획 시스템(202), 조타장치를 포함한 타와 관련된 모든 장비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조타 자동조정 시스템(203), 위성수신기, 전자해도시스템 등을 포함한 본선의 위치를 확인하고 전자해도에 표시해 주는 위치고정시스템(204), 레이더, 자이로 등을 포함한 충돌예방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비를 구비한 충돌예방 시스템(205)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 LAN & OSDB 시스템(300)은 INS장비와 연계된 자료나 선내 장비들 간에 자료의 교환이 필요한 모든 곳에 사용하기 위한 네트워크시스템, 선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될 자료를 받거나 보낼 수 있는 모든 인터페이스로서, 특히 센서나 위치결정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자료를 수집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가공된 자료를 본사로 보내는데 필요한 모든 유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선박에서 사용되는 모든 데이터를 관리하고 보관하는 기능을 하는 OSDB 및 INMARSAT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 하역 감시제어 시스템(400)은 화물의 흐름을 감시해주는 장비인 하역 감시 시스템(1401), 화물이 실린 상태를 표시하는 시스템(1402), 액체 화물을 제어하는 시스템(1403), 적화 및 양화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시스템(1404) 및 하역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발라스트(ballast)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1405)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 기관 감시제어시스템(500)은 주기관의 전반적인 관리 및 제어를 포함하는 추진 시스템(501), 발전기 체계로 선내 전기를 공급하고 관리하는 전력 시스템(502), 모든 기계들에 대해 경고 및 감시하는 경고 감시 시스템(503), 모든 기계들이 제대로 작동되는지를 제어하는 기관제어 시스템(504), 각각의 기계 성능이나 상태를 분석해 주는 분석 시스템(505)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 내항성능 평가시스템(600)은 선박 운동을 감지하는 부분인 움직임센서시스템(601), 선박의 주요 강선 및 강판이 받는 피로도를 나타내는 응력 시스템(602) 및 선박 운동이나 피로도 기타 모든 자료를 참조하여 선박의 감항성이나 선박의 상태를 알려주는 데이터 분석 시스템(603)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 선박 사무자동화시스템(SMS)(700)은 본선의 항차와 관련되는 모든 자료를 관리하고 보관하는 항해 데이터 기록 시스템(701), 자동으로 기록되는 항해일지를 관리하고 보관하는 덱로그(deck log) 시스템(702), 자동으로 기록되는 기관일지를 관리하고 보관하는 엔진로그(engine log) 시스템(703), 자동으로 기록되는 항해일지를 관리하고 보관하는 추출로그(abstract log) 시스템(704), 선박에 사용되는 소모품 및 필요한 부품을 자동으로 관리하고, 국제규정에서 정하는 안전장비나 재고품 등 모든 선내 사용 물품을 관리하는 인벤토리(inventory) 시스템(705) 등으로이루어진다.
다음에, 도 1에 따른 종합 항법 장치의 중앙제어 시스템(100)을 메인 스탠드(main stand)로서 나타낸 도 2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1)은 기본적인 레이더기능에 자동물표 탐지 추적 및 위험 경고 등의 기능이 추가된 자동충돌예방장치ARPA(Automatic Radar Plotting Aids)이고, (2)는 전파에 의하여 목표물을 탐지하고 그 위치나 방위를 측정하여 본선을 중심으로 하는 주변 상황 및 고정 또는 이동물표 들을 탐지하는 레이더RADAR(Radio detection and ranging)로서, 전파를 발생시켜 그 전파가 되돌아오는 시간을 체크하여 거리를 알아내며 선박에서는 S-밴드 레이더와 X-밴드 레이더 2개를 서로 백업 개념으로 사용된다.
(3)은 각각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항해 관련 정보들을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하여 현재의 주변 상황 및 본선의 각종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항해사에게 전달해주는 전망정보시스템CIS(Conning Information System)로서, 항해정보 디스플레이NID(Navigation Information Display)라고도 한다.
(4)는 종이해도의 모든 정보 및 추가적인 기능들을 모니터 상에 표시하여 항해사가 쉽게 선위를 파악하고 기타 여러 항해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해도시스템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로서, 국제기구인 IMO, IHO 및 IEC 등에서 성능표준안을 마련하고, 각 국가의 수로국이 책임지고 작성한 ENC 해도를 항해사들이 사용하기 쉽도록 표시해주는 시스템이다.
(5)는 수동조타, 자동조타 및 자동항해 기능을 고루 갖춘 조타제어장치로서항해계획에서 작성한 예정항로를 유지하거나 설정한 침로각을 유지하는 자동 트래킹 제어기이며, (6)은 수동 조타시, 조타수에 의하여 선박의 선회에 사용되는 조타 손잡이(핸들)이다.
(7)은 선박의 횡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선수미 추력기를 제어하는 제어기(Bowthruster control)로서, 협수로나 접이안이 잦은 선박 또는 고가의 선박이나 대형 선박에 설치되며, (8)은 선외 호출통신이나 조난통신에 사용하는 제1의 무선시스템으로서 전세계 해상조난 및 안전에 관한 제도(GMDSS)에서 요구하는 디지털 선택호출장치(Digital Selection Calling) 기능을 갖는다.
(9)는 선위를 측정하는 전천후 위성항법장치GPS(Gloval Positioning System) 또는 DGPS(Differential GPS)이고, (10)은 도플러효과를 이용하여 선박의 속도를 측정하는 도플러 스피드 로그(Doppler Speed Log) 이다.
(11)은 선박의 항해등을 제어하거나 작동상태를 감시하는 패널로서, 선박에서 사용하는 모드 항해등이 적절하게 작동되는지를 아람이나 깜빡거림 등으로 항해사에게 알려주는 제1의 표시부이고, (12)는 각종 신호 및 통화를 제어하거나 작동상태를 감시하는 패널로서, 운하나 협수로를 항해할 경우 본선의 상태를 상대방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는 제2의 표시부이다.
(13)은 선박이 정박 중 점등하는 갑판상의 모든 선외등을 제어 및 감시하는 패널로서 제3의 표시부이고, (14)는 각종 시청각 경보장치를 배열한 패널로서 제4의 표시부이다.
(15)는 콘솔에 부착된 각종 계기들의 조명 상태를 조절하는 가변 스위치부이고, (16)은 전방 선창의 와이퍼 속도 및 온/오프 등을 제어하는 와이퍼 제어 스위치부이다.
(17)은 입출항시 선수미 부서와 선교간의 통신을 위한 선내 방송 시스템이고, (18)은 VHF설비 DSC를 갖는 제2의 무선 시스템이며, (19)는 기관 당직사관의 현재 당직자 확인을 위한 제5의 표시부이다.
(20)은 선내 수밀문의 현재상태에 대한 감시 및 개폐 제어 시스템이고, (21)은 기적을 울리는 신호용 버튼이고, (22)는 안개신호장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안개 신호 제어기이며, (23)은 선내 자동 전화 시스템이다.
(24)는 선내 주요 부서간의 통화를 위한 인터폰이고, (25)는 가장 중요한 장소간의 직렬라인전화로서, 선내 전화나 인터폰이 연결되지 않더라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26)은 비상소화펌프를 작동음 원격으로 제어하는 스위치이고, (27)은 주기관의 이상을 알리는 각종 경고용 패널로서 제6의 표시부이며, (28)은 주기관의 자동제어를 관장하는 주기관 제어 시스템이다.
(29)는 엔진 스로틀(throttle) 기능을 포함하고 기관실에 주기관에 대한 사용구령을 전달하거나 주기관을 직접 제어하는 전송 시스템이며, (30)은 주기관의 각종 경보 가동 및 주기관의 상태를 원격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이고, (31)은 현재의 주기관 연료유의 양을 표시하는 제1의 지시기이며, (32)는 비상 정지 시에 사용하는 정선 레버이다.
(33)은 주기관의 분당 회전수를 표시하는 제2의 지시기이고, (34)는 선박의분당 선회속도(선회율)를 표시하는 제3의 지시기이다.
다음에, 도 3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통합 데이터베이스인 OSDB(Own Ship Database)와 연동 하면서 LAN(Local Area Network)에 의해 통합 운영되는 종합 항법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이하, 각 부분에 대한 상세한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301)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이중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한 LAN이다.
종래의 네트워크는 단일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전체 시스템의 동작이 마비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이중으로 구성하였으며, 상위 응용 프로그램은 표준 프로토콜이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네트워크는 이더넷(Ethernet), 토큰링(Token ring),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등 어느 종류의 네트워크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302)는 이중 LAN(301)에 접속된 OSDB용 서버로서, OSDB용 메인 서버(3021), 공유 디스크 장치인 저장수단(3022), OSDB백업용 서버(3023)를 구비한다.
항해 시스템과 기관 시스템에서는 선박의 운항에 실시간으로 이용되는 정보와 선박의 운항 이력과 관련된 정보 등 수많은 정보가 각각 독립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정보를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기존의 시스템과는 달리, 본 발명의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항해 시스템과 기관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통합하여 저장, 관리, 사용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모든 정보를 있는 그대로 저장하면 불필요한 정보의 저장으로 인한 저장 공간의 낭비 및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므로, 본 발명의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정보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요약하여 저장, 관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선박의 운항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다양한 사용자 도구를 통하여 사용자들에게 편리하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선박운항과 관련된 정보의 통합관리를 위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항해 시스템 및 기관 시스템과 LAN 네트워크(301)를 통하여 상호 통신하면서 필요한 자료를 추출한 후 요약하여 저장하게 된다.
또한, 이미 요약된 자료 중에서 불필요한 자료를 삭제하여 자료의 양을 일정 크기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정보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다른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여러 가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항해 시스템 및 기관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해야하는 정보의 양을 경감시킬 수 있다.
둘째,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통합용 프로그램을 수행시킴으로써 실시간 처리가 요구되는 항해 및 기관 시스템의 부하 경감 및 성능 향상이 가능하다. 셋째,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항해 및 기관 시스템과의 연동성이 향상된다.
(303)은 이중 LAN(301)에 접속된 항해 시스템(NavMaster)용 서버로서, CIS,ARPA, ECS/ECDIS 및 VPS(Voyage Planning System)로 구성된다. 이 항해 시스템용 서버(303)은 항해계획을 작성하거나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모든 정보들을 일괄 처리하여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항해사에게 종합적인 항해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며, 물표의 탐지, 자동추적 등의 기능으로 안전항해를 확보하는 기능과 각종 항해 및 운항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며 전자해도의 모든 기능과 그 외 다양한 서브 기능들을 제공한다.
(304)는 이중 LAN(301)에 접속되고, 주기관의 제어 및 감시를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주기관을 원격으로 제어하고 제어되는 상태와 이상 현상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기관 시스템용 서버이다.
(305)는 이중 LAN(301)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시스템이다.
기존의 선박에서는 기관사는 기관 관련 정보만을, 항해사는 항해 관련 정보만을 모니터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각 단말기들은 한가지 종류만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선박의 운항, 항해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단말기를 이용하여야 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이상의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모든 승선인원이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305)를 통하여 선박의 모든 운항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정보를 인공위성을 통하여 육상의 선사에 전송함으로써 선사에서는 선박의 운항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에 도시된 종합 항법 장치의 실제 구성을 도 4 및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도 4는 도3에 도시된 블럭도에 대한 실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각각의 컴퓨터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합 항법 장치의 각각의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ATM카드가 ATM스위치(401)에 접속되어 메인 네트워크(402)를 구성하고, 각각의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LAN카드가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403)에 접속되어 백업용 네트워크(404)를 구성한다.
실제의 설비에 있어서는 네트워크 종류의 투명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메인 네트워크(402)는 155Mbps ATM 네트워크로 구성하고, 백업용 네트워크(404)는 100Mbps 이더넷 네트워크로 구성하였다.
또한, 클러스터 서버를 구성하는 두 대의 서버(3021),(3023)는 별도의 네트워크(405)를 갖추게 함으로써 실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의 부하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각 컴퓨터에는 두 개의 네트워크 카드(즉, ATM카드와 LAN카드)가 장착되며, 각 카드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IP주소가 할당되고, 특히 클러스터 서버를 구성하는 두 대의 서버에는 별도의 클러스터 네트워크를 위하여 세 개의 네트워크 카드(즉, 하나의 ATM카드와 2개의 LAN카드)가 장착된다.
각 컴퓨터에서의 응용 프로그램들은 다른 컴퓨터 내의 응용 프로그램과 통신을 하고자 할 때 메인 네트워크(402)의 상태를 체크하여 정상 동작할 경우는 메인 네트워크(402)를 사용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는 백업용 네트워크(404)를 사용하게된다.
이러한 동작은 도 5와 같이 각 컴퓨터 내의 네트워크 스위칭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네트워크의 스위칭 동작에 대해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네트워크의 동작의 순서도이다.
먼저 LAN카드1을 기본 카드로 설정하여 시스템을 초기화한다(S10).
다음에 시스템 내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한다(S11).
그 후, 메인 네트워크(402)의 상태를 검사하고(S12), 정상이면 TCP/IP와 LAN카드1을 결합한다(S13). 메인 네트워크(402)의 상태가 정상이 아니면, LAN카드2를 기본 카드로 설정하고, 백업용 네트워크(404)를 사용하기 위해 TCP/IP와 LAN카드2를 결합한다(S14).
이후에는 TCP 접속을 설정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1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선박의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기 위한 통합 데이터 베이스 서버 역시 두 대의 서버를 하나의 클러스터(Cluster) 서버로 구성하여 하나의 서버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나머지 서버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버의 신뢰성을 높였다.
클러스터 서버를 구성하는 두 서버(3021), (3023)는 공유 디스크 장치(3022)에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클라이언트에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하게 되며, 클라이언트 시스템(305)에서는 어느 서버가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인식할 필요가 없는 투명성을 가지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의 처리에 대해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도 7은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701)의 자료 요약 처리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항해 시스템(303)과 기관 시스템(304)에서는 선박의 운항에 실시간으로 이용되는 정보와 선박의 운항 이력과 관련된 정보 등 수많은 정보가 각각 독립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정보를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기존의 시스템과는 달리, 본 발명의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701)은 항해 시스템(303)과 기관 시스템(304)에서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통합하여 저장, 관리, 사용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모든 정보를 있는 그대로 저장하면 불필요한 정보의 저장으로 인한 저장공간의 낭비 및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므로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도 7과 같이 정보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요약하여 저장, 관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선박의 운항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 시스템(305)의 다양한 사용자 도구를 통하여 사용자들에게 편리하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선박운항과 관련된 정보의 통합관리를 위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701)은 항해 시스템(303) 및 기관 시스템(304)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통신하면서 필요한 자료를 추출한 후 요약하여 저장하게 된다. 또한, 이미 요약된 자료 중에서 불필요한 자료를 삭제하여 자료의 양을 일정 크기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정보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다.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701)은 1차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2차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다.
다음에 도 8과 도 9에 따라 1차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2차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설명한다.
도 8과 도 9는 항해 시스템(303)과 기관 시스템(304)으로부터 1차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자료를 요약하는 단계와 2차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자료를 요약하는 단계를 각각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701)이 기동되면, 항해 시스템(303)의 항해 데이터 베이스와 기관 시스템(304)의 기관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된다(S20). 다음에 통합 데이터 시스템(701)은 각각의 시스템의 항해 및 기관 데이터 베이스에서 최근 데이터를 요청하고(S21), 통합 데이터 시스템(701)의 1차 통합 데이터 베이스에 최근 데이터를 요약해서 저장한다(S22)
다음에 항해 시스템(303)의 항해 데이터 베이스와 기관 시스템(304)의 기관 데이터 베이스를 닫은 후(S23), 통합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701)에 저장된 현재의 데이터 양이 설정된 최대치를 초월하는지 판단한다(S24).
현재의 데이터 양이 최대치를 초월하는 경우, 통합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701)에서 가장 오래된 데이터 항목을 삭제하고(S23), 다시 현재의 데이터 양이 설정된 최대치를 초월하는지 판단한다. 이러한 단계는 현재의 데이터 양이 설정된 최대치를 초월하지 않는 경우로 될 때까지 반복된다.
통합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701)에 저장된 데이터 양이 최대치를 초원하지 않는 경우 샘플링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하고(S26), 샘플링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샘플링 시간이 될 때까지 대기한다. 샘플링 시간이 경과하면, 스텝 S20으로 되돌아가서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만약, 1차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으로 커지면 한 단계 더 요약하여 2차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도록 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통합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하고(S31), 최근의 데이터를 요청한다(32). 1차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으로 커지면 1차 데이터 베이스의 최근 데이터를 요약해서 2차 통합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S33).
다음에 1차 데이터 베이스에서의 데이터 관리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샘플링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 한 후(S34),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이러한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여러 가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항해 시스템(303) 및 기관 시스템(304)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해야하는 정보의 양을 경감시킬 수 있다.
둘째,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701)에서 통합용 프로그램을 수행시킴으로써 실시간 처리가 요구되는 항해 시스템(303)및 기관 시스템(304)의 부하 경감 및 성능 향상이 가능하다.
셋째,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항해 시스템(303)및 기관 시스템(304)과의 연동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도3에 도시된 항해 시스템(303)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각종 항해계기로부터 자료를 수집하는 DAU(Data AcquisitionUnit)(1001), 자료를 표시해주는 CIS(Conning Information System)(1002), 전자해도를 표시하는 ECDIS(Electronic Charts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1003), 그리고 SMS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으로 작은 개념의 자료를 언제라도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항해 시스템 NavMaster(305)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0의 각 부분에 대한 상세한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DAU(1001)는 이러한 항해 통신장비들로부터 받은 NMEA신호 및 아날로그신호를 적절히 처리하여 직렬통신으로 CIS(1002)의 메인 유닛으로 보내주는 유닛이다. 이렇게 CIS(1002)의 메인 유닛에 직접 연결되는 주요 항해 통신장비들로는 GPS, 자이로컴파스, SDME(Speed and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풍속계, 자동조정장치, 에코 사운더(Echo Sounder) 등이 있다. 이러한 CIS(1002)의 화면은 선박의 운항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정보들을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CIS(1002)는 DAU(1001)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사용하여 선박이 안전하게 항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약된 정보에 대해 항해사들이 보기 쉬도록 한곳에 모아서 보여주는 시스템이다. 이 CIS(1002)에 전시하여야 할 정보들 중에는 여러 가지 항해 통신 장비들로부터 실시간의 신호를 받아 전시하거나 이를 가공하여 전시하는 정보들이 많다.
즉, CIS(1002)는 항해사에게 중요한 항해자료를 제공하고, 수심이나 오프트랙(OFF Track)의 영역을 설정하고, 알람과 화면 깜박거림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여러 가지의 항해계기로부터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여 표시하여 주고, 필요한 정보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ECDIS(1003)는 DAU(1001)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사용하여 전자해도 상에서 이루어지는 항해계획, 항로감시 그리고 항적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항해사에게 위협을 알려주는 기능까지도 포함하는 종합항법시스템의 항해부분의 핵심적인 장비이다. ECDIS(1003)는 각국 정부가 공인하는 ENC(Electronic Navigational Charts)해도를 사용해야 하고 엄격한 성능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이러한 전자해도 시스템은 항해에 필요한 경위도 자료를 이용하여 함정 및 침로를 자동으로 표시해 주고 항로를 감시하며 위험 상황에 대한 경보를 알려주므로 항해사들에게 매우 유용한 소프트웨어이다.
NavMaster(305)는 CIS(1002)와 ECDIS(1003)에 LAN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하여 두 시스템을 보조하면서, 항해 데이터 베이스 서버의 기능과 항해 네트워크 서버의 기능, CIS(1002) 및 ECDIS(1003)의 자동 대체 기능, 그리고 항해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기능을 가지고 있는 시스템이다.
NavMastr(305)에 구현되어 있는 항해와 관련된 각종 중요 보고서를 출력하는 응용프로그램, 요약 항해일지출력 응용프로그램, 정보보고 출력 응용프로그램, 요약 항해보고 출력 응용프로그램, 컨디션 보고서(Condition Report)출력 응용프로그램 등을 선박관리 시스템 응용프로그램과 결합시켜, 선박의 통신 및 사무자동화 시스템으로 확장하기 위한 것이다.
NavMaster(303)는 LAN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CIS(1002)와 ECDIS(1003)으로 부터의 데이터를 LAN 네트워크를 거쳐 다른 서버(1004)로 전송하거나, 다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305)으로 전송한다.
NavMaster(303)의 항해 시스템 감시기능을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주요 시스템 감시부로 메인 콘솔 중앙의 레이더, CIS(1002), ECDIS(1003)의 이상 유무를 감지한다. 이상 상태를 감지하였을 경우, 통신 선로 등의 노이즈 요소들을 고려하여 해당 시스템은 대기 모드로 설정되고, 사용자에게 해당 시스템의 화면부에 청색 화면과 흑색화면이 점멸되도록 하여 이를 나타내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15초 동안 정상 상태로 복구되지 않으면 항해 시스템NavMaster(303)는 시스템의 예비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해당 시스템 화면으로 전환된다.
둘째는 항해 관련 장비 감시부로 각종 항해 관련 장비들의 이상 유무 감시는 대기 모드 없이 10초 이내에 응답이 없을 경우 적색 시그널 램프를 점멸하여 이상 상태임을 나타낸다. 또한 해당 장비의 신호 입력이 있을 때 녹색 램프가 점멸되며 정상 상태일 때는 청색 램프의 상태를 유지한다.
셋째, NMEA 0183 데이터 입력 확인부는 각종 항해 장비들로부터 실제 입력되는 NMEA 0183의 데이터들을 실시간으로 직접 나타냄으로서 해당 장비들의 현재 상황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음에 도3에 도시된 기관 시스템(304)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기관 시스템(304)의 신호 흐름을 순서도 형식으로 도시한 것이다.
기관 시스템EngMaster(304)에서는 화면에 나타난 기관실의 각종 배관시스템에는 기계 및 밸브 등 배관도면을 나타내며, 이 그림을 마우스로 더블클릭하면 동작시킬 수 있다(S40). 이것을 명령이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박의 모든 배관 시스템에 부착된 기계와 밸브를 이와 같이 마우스로 명령한다. 명령된 데이터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기관 시스템(304)의 서버와 게이트웨이로 통신된다(S41, S42).
기관 하부 시스템을 관장하는 서버는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전달된 명령신호를 받아(S43) 해당되는 기기를 동작시키는 서브 시스템으로 내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달된다. 신호를 전달받은 서브시스템은 해당 기기를 동작시키고 그 결과를 기관하부시스템 서버로 전달한다. 이 신호를 모니터링 신호라 한다.
기관하부시스템 서버는 모니터링신호를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부의 기관서버로 전달한다. 이 때 모니터링 신호와 함께 각종 아날로그신호인 온도 입력 등의 신호도 같이 전달된다(S44,S45).
상부기관 서버는 받은 모니터링신호와 아날로그신호를 해당 화면에 표시하고, 상부시스템은 보낸 명령신호와 돌아온 모니터링신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경보표시(기기의 색깔이 노랗게 변함)를 하고 일치된 경우에는 명령된 색깔로 변한다(온 또는 개방의 경우에는 파란색으로 오프 또는 폐쇄의 경우에는 빨강 색으로 변함) 또한 각종 아날로그신호는 계산되어 해당 도면의 edit box에 숫자로 표시되어 온도와 입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S46).
이후 결과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47). 이렇게 함으로써 배관도면으로 실제 기관의 운전 상황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다.
또한 기기의 운전 시간과 정지시간은 히스토리(History)를 관장하는 박스에실시간으로 기계의 총 운전시간, 정밀 검사 후의 운전시간 및 정밀 검사 날짜 및 시간, 경사날짜, 다음 검사 날짜 등을 표시하고(S48), 히스토리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에 저장된다(S49). 이것을 흐름도를 표시한 것이 도 11이다.
또한 기기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기에 마우스를 데고 오른쪽 마우스버튼을 누르면 기기의 현 상태를 알 수 있는 다이얼 로그가 뜨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도 3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각기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하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일괄적으로 제어 및 감시하기 위한 INS 통합 프로그램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주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기관 감시 시스템, 선박 관리 시스템, 항해보고서 프로그램 및 항해 감시 시스템이며 이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사본이 실행된다. INS 통합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인터페이스로 일관적으로 직관적인 사용 방법을 제공하고, 인터넷으로 통합되어 개방형으로 구축되었으며, 멀티미디어 기술을 응용하여 이해하기 쉽고 사용이 편리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었다.
이하, 도 12의 각 부분에 대한 상세한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INS쉘(Integrated Navigation System Shell)에서 실행되는 클라이언트용 INS 통합 프로그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교에서의 실행은 항해 시스템NavMaster(303)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게CIS, ECDIS, SMS 및 DB로 이루어져 있다. 기관관련 내용은 알람 모니터링 시 시스템(Alarm Monitoring System), 제어의 결과를 감시하는 MMI, 데이터 관리를 최적화하고 데이터 관리 부담을 최소화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클라이언트 시스템(305)는 자료 분석 시스템인 DAS(Data Analysis System)와 VAS(Voyage Analysis System)를 포함하고, 항차별 자료 분석 통계를 나타낼 수도 있고, 기기 사용 내역 분석 통계를 나타내는 MMS(Machinery Management System)도 가지고 있다.
기관 시스템EngMaster(304)에서 사용하는 알람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기관실에서 각 장비들의 상태를 진단하고 제어하는 부분이다.
INS쉘은 윈도우즈 NT의 기본 쉘인 익스플로어(Explorer)를 대체하며 각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운영체제를 종료하는 기능을 갖는다. 시스템 사용 중에 언제라도 INS쉘 사용에 관한 도움말을 제공한다.
또한, 각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대한 개요 및 사용법도 제공하고 인터넷을 통해 시스템이 원활히 동작하고 있는지를 감시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기술을 적용하여 직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사 위성 통신이 보편화되어 자산 단위가 높은 본선의 정보를 육상의 본사나 운항 부서에서 운항을 통제하고 모니터링을 통해서 선박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종합 항법 장치가 작동되면 선박 자동화가 이루어져 무인화 선박의 기반기술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의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자들은 종합 항법 장치의 메인 스탠드(Main Stand)의 전체적인 구성을 쉽게 변환할 수 있도록 종합 항법 장치용 콘솔을 레이더(ARPA)모듈, 코너 모듈 및 센서 모듈 등 모듈별로 분할하여 각 모듈별 표준제원을 결정하고 인간공학적인 설계의 개념으로 메인 스탠드를 설계하여 제작하였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존의 다른 항해 및 기관 장비들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향해 자동화와 기관 자동화를 구현하고 시스템을 통합하여 DB를 구축하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도 있다.

Claims (12)

  1. 항해 자동화 및 기관 감시제어 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 및 네트워크에 의해 통합된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로서,
    이중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한 LAN(Local Area Network),
    상기 이중 LAN에 접속되고, OSDB(Own Ship Database)용 메인 서버, 공유 저장수단, OSDB백업용 서버를 구비한 OSDB 시스템,
    상기 이중 LAN에 접속된 항해 시스템,
    상기 이중 LAN에 접속되고, 주기관의 제어 및 감시를 원격으로 또한 실시간으로 실행하는 기관 시스템 및
    상기 이중 LAN에 접속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시스템은 상기 LAN 중 ATM스위치 수단에 의해 접속된 메인 네트워크와 스위칭 허브 수단에 접속된 백업용 네트워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SDB용 메인 서버와 상기 OSDB백업용 서버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 네트워크와 상기 백업용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3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네트워크의 상태를 체크하여 정상 동작할 경우는 메인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는 백업용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SDB 시스템은 상기 항해 시스템과 상기 기관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통합하여 저장, 관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OSDB 시스템은 상기 항해 시스템과 상기 기관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요약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OSDB 시스템은 상기 항해 시스템과 상기 기관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1차 데이터 베이스로 요약하여 저장 한 후, 상기 1차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최대치를 초월하면, 상기 1차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중 가장 오래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OSDB 시스템은 상기 항해 시스템과 상기 기관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1차 데이터 베이스로 요약하여 저장 한 후, 상기 1차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최대치를 초월하면, 상기 1차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요약해서 2차 데이터 베이스로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LAN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항해 시스템과 상기 기관 시스템에서의 양쪽의 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OSDB용 메인 서버와 상기 OSDB 백업용 서버에는 적어도 3개의 통신 접속용 카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해 시스템은 각종 항해 계기로부터 자료를 수집하는 DAU(DataAcquisition Unit), 상기 자료를 표시해주는 CIS(Conning Information System), 전자해도를 표시하는 ECDIS(Electronic Charts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을 구비하고, 상기 DAU에서 수집한 자료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또는 백업용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항해 시스템은 상기 각종 항해 계기로부터 수집된 자료에 따라 관련 장비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고, 해당하는 장비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경고 상태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SDB 시스템, 상기 항해 시스템, 상기 기관 시스템 및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중의 적어도 하나는 일체화되어 선교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KR1020000022376A 2000-04-27 2000-04-27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KR100322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376A KR100322665B1 (ko) 2000-04-27 2000-04-27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376A KR100322665B1 (ko) 2000-04-27 2000-04-27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908A true KR20010097908A (ko) 2001-11-08
KR100322665B1 KR100322665B1 (ko) 2002-02-07

Family

ID=19667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376A KR100322665B1 (ko) 2000-04-27 2000-04-27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266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203A (ko) * 2001-12-29 2002-03-28 이재성 선박용 선내통신 정합장치
KR100655899B1 (ko) * 2004-09-20 2006-12-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웹카메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925499B1 (ko) * 2007-02-06 2009-11-05 한국해양연구원 박용기관 배기가스의 전자인증 시스템
US8170015B2 (en) 2008-12-01 2012-05-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grated gateway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method
US8290647B2 (en) 2008-12-19 2012-10-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integrally managing ship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388608B1 (ko) * 2013-08-12 2014-04-23 대한민국 해상 긴급 조난구조 메시지 수신시 인지력 향상을 위한 자동음성 경보 시스템
KR101400016B1 (ko) * 2012-08-10 2014-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상정지시스템 및 비상정지방법
KR20150054440A (ko) * 2013-11-12 2015-05-20 서울텔엔지니어링(주) 멀티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20190069921A (ko) * 2017-12-12 2019-06-20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선박 상황 감시시스템
CN113815771A (zh) * 2021-10-29 2021-12-21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上的集成驾控室
KR20220121595A (ko) * 2021-02-25 2022-09-01 권혜진 선박의 안전 운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57891B1 (ko) * 2023-11-29 2024-04-15 현도진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445B1 (ko) * 2008-06-26 2010-12-13 한국해양연구원 초고속선박을 위한 오토 파일럿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7846A (ja) * 1986-09-09 1988-03-26 Nippon Kokan Kk <Nkk> 船舶内ロ−カルエリアネツトワ−クシステム
KR950000492B1 (ko) * 1991-11-14 1995-01-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자동화 제어용 메인 프로세스 모듈
KR19990002538U (ko) * 1997-06-27 1999-01-25 이대원 선박제어 시스템의 부팅장치
KR200295256Y1 (ko) * 1997-07-29 2003-02-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제어 시스템의 듀얼 네트워크 접속장치
KR100323615B1 (ko) * 1999-10-30 2002-02-19 김시영 선박의 항해자료 기록방법 및 블랙박스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203A (ko) * 2001-12-29 2002-03-28 이재성 선박용 선내통신 정합장치
KR100655899B1 (ko) * 2004-09-20 2006-12-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웹카메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925499B1 (ko) * 2007-02-06 2009-11-05 한국해양연구원 박용기관 배기가스의 전자인증 시스템
US8170015B2 (en) 2008-12-01 2012-05-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grated gateway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method
US8290647B2 (en) 2008-12-19 2012-10-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integrally managing ship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400016B1 (ko) * 2012-08-10 2014-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상정지시스템 및 비상정지방법
KR101388608B1 (ko) * 2013-08-12 2014-04-23 대한민국 해상 긴급 조난구조 메시지 수신시 인지력 향상을 위한 자동음성 경보 시스템
KR20150054440A (ko) * 2013-11-12 2015-05-20 서울텔엔지니어링(주) 멀티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20190069921A (ko) * 2017-12-12 2019-06-20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선박 상황 감시시스템
KR20220121595A (ko) * 2021-02-25 2022-09-01 권혜진 선박의 안전 운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3815771A (zh) * 2021-10-29 2021-12-21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上的集成驾控室
KR102657891B1 (ko) * 2023-11-29 2024-04-15 현도진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2665B1 (ko) 200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55946B (zh) 一种基于云服务和大数据的船舶状态远程监控系统及方法
JP4885759B2 (ja) 船舶の情報処理方法及び船舶の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322665B1 (ko)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AU2015207935B2 (en) Vessel performance optimization reporting tool
US8594866B1 (en) Remote sensing and determination of tactical ship readiness
US87988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diagnostics of vessels and watercrafts
US6933884B2 (en) System for tracking and monitoring vessels
KR101236838B1 (ko) 선박의 원격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801472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otal Management of Ships
US20030028293A1 (en) Sea surveillance method
US201702471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mergency Location Functionality
EP0870291B1 (de) Verfahren zur verkehrsüberwachung und verkehrslenkung und positionsbestimmung und informationsübermittlung von und zu mobilen objekten, insbesondere schiffen, und zur dezentralen erfassung der lokalen verkehrssituation in der umgebung des mobilen objektes
KR100374777B1 (ko) 무인 선박 운항 시스템
KR20050069824A (ko) 선박 항해기록 자동보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6417A (ko) 선내와 육상에서 선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
EP3480563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interactive transmission and visualization of flight data in real-time
CN101404653B (zh) 一种船舶ais信息远程实时调用的方法
KR102534410B1 (ko) 선박 원격 유지 보수 지원 시스템
CN109918390A (zh) 船舶自主航行的异常处理方法和系统
CN113660310A (zh) 用于船舶数据集成平台的网络架构和船舶数据集成平台
KR20170135501A (ko) 환경 규제 모니터링 시스템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및 그 제공방법
Denham Advanced bridge automation
KR102331179B1 (ko)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Elings et al. Autonomous sailing interconnectivity
KR20110109276A (ko) 브이에스에이티를 이용한 선박장비의 원격지원서비스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