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891B1 -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891B1
KR102657891B1 KR1020230169976A KR20230169976A KR102657891B1 KR 102657891 B1 KR102657891 B1 KR 102657891B1 KR 1020230169976 A KR1020230169976 A KR 1020230169976A KR 20230169976 A KR20230169976 A KR 20230169976A KR 102657891 B1 KR102657891 B1 KR 102657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rver
display unit
mai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도진
Original Assignee
현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도진 filed Critical 현도진
Priority to KR102023016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8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운항정보를 수집하여, 표시하는 메인 시스템(3) 및 상기 메인 시스템(3)을 선박에 구비된 선교의 천장(2)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8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시스템(3)은 선박의 운항정보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10), 상기 게이트웨이(10)에 의해 수집된 운항정보를 처리하는 플랫폼 서버(20), 상기 플랫폼 서버(20)에 의해 처리된 운항정보를 표시하는 광폭형 디스플레이부(40), 상기 게이트웨이(10)로부터 수신받은 항해 정보를 분배하여, 상기 플랫폼 서버(20)에 전송하는 스위치 허브(75) 및 상기 플랫폼 서버(20)와 연결되어, 상기 플랫폼 서버(20)에 의해 처리된 운항정보를 원격으로 감시하는 확장형 원격감시 장비(76)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20)는 상기 플랫폼 서버(20)의 일측에 구비되는 메인 서버(21) 및 상기 메인 서버(21)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서버(21) 이상 발생 시, 상기 메인 서버(21)의 역할을 대체하는 예비 서버(38)를 포함하고, 상기 광폭형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메인 서버(21)와 연결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41) 및 상기 예비 서버(38)와 연결되는 예비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Digital conning display system with dual ultra-wide display unit}
본 발명은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선박에 구비되는 선교의 천장 하부에 설치되는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항해사에게 가독성 및 가용성이 향상된 운항정보를 제공하여 안전한 항해를 유도할 수 있는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운항정보 지시계는 선박의 선교 천장 하부에 설치되어, 각종 운항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로, 500톤 이상의 모든 선박에 의무적으로 설치된다.
운항정보 지시계는 선급 및 선주의 요구사항에 의해 대부분 아날로그 게이지형으로 다수 설치되고 있다. 최근 들어, 고부가, 친환경 선박의 발주량이 증가함에 따라, 일부의 선박 자동화 선도 업체에서는 디지털형 운항정보 지시계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고 있다. 다만, 다수의 운항정보 지시계는 운항정보 지시계별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운항정보 지시계는 지시계 추가 적용 시, 설치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운항정보 지시계는 아날로그 게이지형으로 설치되어, 햇빛에 반사되거나, 야간의 어두운 조명에서는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운항정보 지시계는 고장 발생 시, 수리 또는 교체하기 전까지 사용 불가로 가용성이 떨어져, 선박 충돌 등 심각한 해양 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000501 B1 KR 10-2001-0097098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에 구비되는 선교의 천장 하부에 설치되는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항해사에게 가독성 및 가용성이 향상된 운항정보를 제공하여 안전한 항해를 유도할 수 있는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에 운항정보를 표시하여, 가독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주 디스플레이부의 고장 시에도 예비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선박의 운항정보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가용성을 향상시켜, 선박의 안전한 항해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여, 다수의 지시계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어, 고객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운항정보를 확장할 수 있는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릿지 윙, 화물제어실, 선장실 등에 확장형 원격감시 장비를 설치하고, 운항정보를 전송하여,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항정보를 저장하여, 육상으로 전송할 수 있어, 문제 발생시 육상에서도 과거의 운항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선박의 운항정보를 수집하여, 표시하는 메인 시스템(3) 및 상기 메인 시스템(3)을 선박에 구비된 선교의 천장(2)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8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시스템(3)은 선박의 운항정보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10), 상기 게이트웨이(10)에 의해 수집된 운항정보를 처리하는 플랫폼 서버(20), 상기 플랫폼 서버(20)에 의해 처리된 운항정보를 표시하는 광폭형 디스플레이부(40), 상기 게이트웨이(10)로부터 수신받은 항해 정보를 분배하여, 상기 플랫폼 서버(20)에 전송하는 스위치 허브(75) 및 상기 플랫폼 서버(20)와 연결되어, 상기 플랫폼 서버(20)에 의해 처리된 운항정보를 원격으로 감시하는 확장형 원격감시 장비(76)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20)는 상기 플랫폼 서버(20)의 일측에 구비되는 메인 서버(21) 및 상기 메인 서버(21)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서버(21) 이상 발생 시, 상기 메인 서버(21)의 역할을 대체하는 예비 서버(38)를 포함하고, 상기 광폭형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메인 서버(21)와 연결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41) 및 상기 예비 서버(38)와 연결되는 예비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21) 및 예비 서버(38)는 상호 간에 운영 상태를 각각 감시하여, 정상 운영 시,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이상 상태 감지 시, 통합적으로 운영되고, 상기 메인 서버(21)는 상기 예비 서버(38)의 이상 상태 감지 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41)에 운항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예비 서버(38)의 정상화 시, 상기 예비 서버(38)에 설정값을 전송하여, 상기 예비 서버(38)에 대해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예비 서버(38)는 상기 메인 서버(21)의 이상 상태 감지 시, 상기 예비 디스플레이부(70)에 운항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인 서버(21)의 정상화 시, 상기 메인 서버(21)에 설정값을 전송하여, 상기 메인 서버(21)에 대해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메인 서버(21)는 상기 예비 서버(38)의 운영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22), 상기 감시부(22)가 상기 예비 서버(38)의 이상 상태 감지 시, 상기 메인 서버(21) 및 예비 서버(38)가 통합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모드 제어부(23), 상기 메인 서버(21)가 통합 모드로 전환 시, 알람을 표출하는 알람부(24), 상기 메인 서버(21)가 통합 모드로 전환 시, 상기 알람부(24)가 알람을 표출하도록 제어하는 알람 제어부(25) 및 상기 알람부(24)가 알람 표출 시, 운항정보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4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26)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제어부(23)는 상기 감시부(22)가 상기 예비 서버(38)의 정상 상태 감지 시, 상기 메인 서버(21) 및 예비 서버(38)가 각각 개별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인 서버(21)는 상기 예비 서버(38)가 개별 모드로 전환 시, 상기 예비 서버(38)에 설정값을 전송하여, 상기 예비 서버(38)에 대해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부(27)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모드는 상기 감시부(22)가 상기 예비 서버(38)의 이상 상태 감지 시, 상기 메인 서버(21) 및 예비 서버(38)가 통합적으로 운영되는 모드이고, 상기 개별 모드는 상기 감시부(22)가 예비 서버(38)의 정상 상태 감지 시, 상기 메인 서버(21) 및 예비 서버(38)가 각각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21)는 운영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통해 운영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28), 운항정보별로 설정값을 각각 입력 처리하는 설정값 입력부(29), 상기 설정값 입력부(29)에 의해 입력 처리된 설정값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설정값 검증부(30), 상기 설정값 검증부(30)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설정값이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31), 상기 설정값 검증부(30)가 설정값 미검증 시, 설정값 미검증이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시지 출력부(32), 상기 게이트웨이(10)로부터 운항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33), 상기 데이터 수집부(33)에 의해 수집된 운항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운항정보 검증부(34) 및 상기 운항정보 검증부(34)가 운항정보 미검증 시, 알람을 표출하는 알림부(35)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값은 운항정보별 테그 네임 부여, 정상 운항정보의 기준이 되는 구간인 기준 범위, 운항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단위인 표시 단위 및 이상 운항정보의 기준이 되는 구간인 알람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값 검증부(30)는 태그 네임, 표시 단위, 기준 범위 및 알람 구간의 유효성을 각각 검증하고, 상기 운항정보 검증부(34)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33)에 의해 수집된 운항정보가 상기 설정값 입력부(29)에 의해 설정된 알람 구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알림부(35)가 알람을 표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기화부(27)는 상기 설정값 검증부(30)가 설정값 검증 시, 상기 설정값을 상기 예비 서버(38)에 전송하여, 상기 예비 서버(38)에 대해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26)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된 운항정보가 태그 네임별로 상기 광폭형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41)는 LCD의 형태로 구현되는 표시부(42), 운항정보를 상기 표시부(42)에 표시하는 지시계(50), 상기 지시계(5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지시계(50)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61), 현재의 시간에 따라 상기 조명부(61)가 주간 모드 또는 야간 모드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모드 변환부(62), 상기 모드 변환부(62)에 의해 변환된 모드에 따라 상기 조명부(61)의 명도를 조절하는 명도 조절부(63), 운영자에 의해 수동으로 주간 모드 또는 야간 모드로 변경 가능한 수동 모드를 설정하는 수동모드 설정부(64), 사전에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 가능한 자동 모드를 설정하는 자동모드 설정부(65) 및 상기 지시계(50)에 대한 가독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부(61)의 명도를 원격으로 조절하는 디머 스위치(66)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42)는 해상도가 광폭형인 1920x540 FHD로 설정되는 고화질 표시부(43) 및 해상도가 광폭형인 3840x1080 UHD로 설정되는 초고화질 표시부(45)를 포함하고, 상기 고화질 표시부(43) 및 초고화질 표시부(45)의 명도도는 각각 700cd/m2로 설정되고, 각각 0%에서 100%까지 조절되고, 상기 주간 모드는 사전에 설정된 세팅 주간에 적용되는 모드이고, 상기 세팅 주간은 일출 시각부터 일몰 시각까지의 기간이고, 상기 야간 모드는 사전에 설정된 세팅 야간에 적용되는 모드이고, 상기 세팅 야간은 오전 0시부터 일출 시각까지의 기간 및 일몰 시각에서 오후 12시까지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시계(50)은 선박의 방향타의 각도를 표시하는 타각 지시계(51), 선박의 선회율을 표시하는 회전율 지시계(52), 선박 내부 엔진의 회전수를 표시하는 회전수 지시계(53), 선박의 속력 및 항해 거리를 각각 표시하는 선속계(54), 선박의 진항로를 표시하는 자이로리피터(55), 수심 측정값을 표시하는 심도 지시계(56), 선박의 횡경사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경사계(57), 바람의 방향 및 속도를 각각 표시하는 풍향 풍속계(58), 현재의 시간을 표시하는 시계(59) 및 선박의 프로펠러축에 결합되는 블레이드의 피치 조정값을 표시하는 피치각 지시계(60)를 포함하고, 상기 선회율은 선수의 회전각도 및 속도이고, 상기 진항로는 진북을 기준으로 하는 방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선박에 구비되는 선교의 천장 하부에 설치되는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항해사에게 가독성 및 가용성이 향상된 운항정보를 제공하여 안전한 항해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지털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에 운항정보를 표시하여, 가독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주 디스플레이부의 고장 시에도 예비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선박의 운항정보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가용성을 향상시켜, 선박의 안전한 항해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설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여, 다수의 지시계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어, 고객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운항정보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브릿지 윙, 화물제어실, 선장실 등에 확장형 원격감시 장비를 설치하고, 운항정보를 전송하여,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항정보를 저장하여, 육상으로 전송할 수 있어, 문제 발생시 육상에서도 과거의 운항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메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메인 시스템의 모드 제어 과정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는 메인 시스템의 인증, 설정값 입력, 검증 및 메시지 출력 과정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는 메인 시스템의 운항정보 수집, 검증, 저장 및 알림 과정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게이트웨이의 운항정보 수집 및 전송 과정에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은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모드 변환 및 명도 조절 과정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8은 명도 스위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지시계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메인 시스템(3) 및 고정장치(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메인 시스템(3)은 선박의 운항정보를 수집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고정장치(80)는 상기 메인 시스템(3)을 선박에 구비된 선교의 천장(2)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선교는 선장이 항해 또는 통신을 지휘할 수 있도록 선박 내에 설치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도 2는 메인 시스템(3)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시스템(3)은 게이트웨이(10), 플랫폼 서버(20), 광폭형 디스플레이부(40), 스위치 허브(75) 및 확장형 원격감시 장비(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게이트웨이(10)는 선박의 각종 운항 설비로부터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1)에 요구되는 선박의 운항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게이트웨이(10)는 수집된 운항정보를 스위치 허브(75)를 통해 플랫폼 서버(20)에 전송한다.
그리고, 플랫폼 서버(20)는 상기 게이트웨이(10)에 의해 수집된 운항정보를 처리한다. 이때, 플랫폼 서버(20)의 갯수는 2개일 수 있다.
그리고, 광폭형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플랫폼 서버(20)에 의해 처리된 운항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스위치 허브(75)는 상기 게이트웨이(10)로부터 수신받은 항해 정보를 분배하여, 상기 플랫폼 서버(20)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허브(75)는 상기 게이트웨이(10)로부터 수신받은 항해 정보를 분배하여, 상기 2개의 플랫폼 서버(20)에 각각 전송한다.
그리고, 확장형 원격감시 장비(76)는 상기 플랫폼 서버(20)와 연결되어, 상기 플랫폼 서버(20)에 의해 처리된 운항정보를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다. 이때, 확장형 원격감시 장비(76)는 브릿지 윙, 화물 제어실, 또는, 선장실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브릿지 윙은 조종실 또는 조타실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고, 선체의 전폭 너비에 이르도록 연장되어, 선박의 도킹, 입항, 각종 운항이 어려운 지역에서 항해사의 적정 시야를 확보하여, 선박에 대한 조종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물이다.
그리고, 플랫폼 서버(20)는 제1 통신포트(13) 또는 제2 통신포트(14)를 통해 확장형 원격감시 장비(76)와 연결되어, 상기 확장형 원격감시 장비(76)에 운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포트(13)는 다채널 RS-422 시리얼 통신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RS-422는 Recommended Standard-422의 약자로, 컴퓨터 및 주변 장치 간에 상호 접속하기 위한 평형 직렬 인터페이스(Balanced Serial Interface)의 표준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2 통신포트(14)는 대용량 고속 LAN 통신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근거리에 배치된 다수의 장치를 서로 연결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플랫폼 서버(20)는 메인 서버(21) 및 예비 서버(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메인 서버(21)는 상기 플랫폼 서버(20)의 일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예비 서버(38)는 상기 메인 서버(21)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서버(21) 이상 발생 시, 상기 메인 서버(21)의 역할을 대체한다.
한편, 상기 광폭형 디스플레이부(40)는 메인 디스플레이부(41) 및 예비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메인 디스플레이부(41)는 상기 메인 서버(21)와 연결된다.
그리고, 예비 디스플레이부(70)는 상기 예비 서버(38)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서버(21) 및 예비 서버(38)는 상호 간에 운영 상태를 각각 감시하여, 정상 운영 시,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이상 상태 감지 시, 통합적으로 운영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서버(21)는 상기 예비 서버(38)의 이상 상태 감지 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41)에 운항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메인 서버(21)는 상기 예비 서버(38)의 정상화 시, 상기 예비 서버(38)에 설정값을 전송하여, 상기 예비 서버(38)에 대해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예비 서버(38)는 상기 메인 서버(21)의 이상 상태 감지 시, 상기 예비 디스플레이부(70)에 운항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예비 서버(38)는 상기 메인 서버(21)의 정상화 시, 상기 메인 서버(21)에 설정값을 전송하여, 상기 메인 서버(21)에 대해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고정장치(80)는 저면에 상기 메인 시스템(3)이 설치되어, 상기 메인 시스템(3)의 기울기를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각도만큼 조절한다. 이때, 상기 기준 각도는 40도 이상 50도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메인 시스템(3)의 모드 제어 과정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서버(21)는 감시부(22), 모드 제어부(23), 알람부(24), 알람 제어부(25), 화면 제어부(26) 및 동기화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감시부(22)는 상기 예비 서버(38)의 운영 상태를 감시한다.
그리고, 모드 제어부(23)는 상기 감시부(22)가 상기 예비 서버(38)의 이상 상태 감지 시, 상기 메인 서버(21) 및 예비 서버(38)가 통합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알람부(24)는 상기 메인 서버(21)가 통합 모드로 전환 시, 알람을 표출한다.
그리고, 알람 제어부(25)는 상기 메인 서버(21)가 통합 모드로 전환 시, 상기 알람부(24)가 알람을 표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화면 제어부(26)는 상기 알람부(24)가 알람 표출 시, 운항정보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41)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모드 제어부(23)는 상기 감시부(22)가 상기 예비 서버(38)의 정상 상태 감지 시, 상기 메인 서버(21) 및 예비 서버(38)가 각각 개별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동기화부(27)는 상기 예비 서버(38)가 개별 모드로 전환 시, 상기 예비 서버(38)에 설정값을 전송하여, 상기 예비 서버(38)에 대해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합 모드는 상기 감시부(22)가 상기 예비 서버(38)의 이상 상태 감지 시, 상기 메인 서버(21) 및 예비 서버(38)가 통합적으로 운영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개별 모드는 상기 감시부(22)가 예비 서버(38)의 정상 상태 감지 시, 상기 메인 서버(21) 및 예비 서버(38)가 각각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도 4는 메인 시스템(3)의 인증, 설정값 입력, 검증 및 메시지 출력 과정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고, 도 5는 메인 시스템(3)의 운항정보 수집, 검증, 저장 및 알림 과정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서버(21)는 인증부(28), 설정값 입력부(29), 설정값 검증부(30), 데이터 저장부(31), 메시지 출력부(32), 데이터 수집부(33), 운항정보 검증부(34) 및 알림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인증부(28)는 운영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통해 운영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설정값 입력부(29)는 운항정보별로 설정값을 각각 입력 처리한다. 이때, 운영자는 상기 인증부(28)를 통한 인증 과정을 거친 후, 설정값 입력부(29)에 운항정보별로 설정값을 각각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값 검증부(30)는 상기 설정값 입력부(29)에 의해 입력 처리된 설정값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그리고, 데이터 저장부(31)에는 상기 설정값 검증부(30)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설정값이 저장된다.
그리고, 메시지 출력부(32)는 상기 설정값 검증부(30)가 설정값 미검증 시, 설정값 미검증이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데이터 수집부(33)은 상기 게이트웨이(10)로부터 운항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데이터 수집부(33)은 게이트웨이(10)와 RS-422 또는 LAN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수집부(33)은 IEC 61162-1/2 또는 IEC 61162-450 통신을 통해 운항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운항정보 검증부(34)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33)에 의해 수집된 운항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한편, 데이터 저장부(31)에는 상기 운항정보 검증부(34)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운항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알림부(35)는 상기 운항정보 검증부(34)가 운항정보 미검증 시, 알람을 표출한다.
일반적으로, 설정값 입력부(29)에는 시스템이 운영되기 전에 설정값이 입력될 수 있고, 상기 설정값은 시스템 운영 중에도 변경하여,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값은 운항정보별 태그 네임 부여, 운항정보의 기준 범위, 표시 단위 및 알람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준 범위는 정상 운항정보의 기준이 되는 구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표시 단위는 운항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단위를 의미한다. 그리고, 알람 구간은 이상 운항정보의 기준이 되는 구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값 검증부(30)는 태그 네임, 표시 단위, 기준 범위 및 알람 구간의 유효성을 각각 검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값 검증부(30)는 태그 네임, 표시 단위, 기준 범위, 알람 구간에 표시된 숫자 및 문자의 유효성을 각각 검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값 검증부(30)는 설정값 미검증시, 상기 설정값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운항정보 검증부(34)는 입력된 설정값에 따라 수집된 운항정보의 유효성 및 알람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운항정보 검증부(34)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33)에 의해 수집된 운항정보가 상기 설정값 입력부(29)에 의해 설정된 알람 구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알림부(35)가 알람을 표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동기화부(27)는 상기 설정값 검증부(30)가 설정값 검증 시, 상기 설정값을 상기 예비 서버(38)에 전송하여, 상기 예비 서버(38)에 대해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화면 제어부(26)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된 운항정보가 태그 네임별로 상기 광폭형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게이트웨이(10)의 운항정보 수집 및 전송 과정에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게이트웨이(10)는 수집부(11) 및 전송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수집부(11)는 다수의 항해 장비로부터 운항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수집부(11)의 채널수는 8개로 설정될 수 있고, 수집부(11)는 2개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집부(11)는 국제 해상 전자 위원회(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의 전송 규격인 NMEA 0183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송부(12)는 수집부(11)에 의해 수집된 운항정보를 플랫폼 서버(20)에 전송한다. 이때, 전송부(12)는 이더넷 TCP/IP 또는 UDP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UDP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 상에서 한쪽에서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도 7은 메인 디스플레이부(41)의 모드 변환 및 명도 조절 과정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41)는 표시부(42), 지시계(50), 조명부(61), 모드 변환부(62), 명도 조절부(63), 수동모드 설정부(64), 자동모드 설정부(65) 및 디머 스위치(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표시부(42)는 LCD의 형태로 구현된다.
그리고, 지시계(50)는 운항정보를 상기 표시부(42)에 표시한다.
그리고, 조명부(61)는 상기 지시계(5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지시계(50)에 광을 조사한다.
그리고, 모드 변환부(62)는 현재의 시간에 따라 상기 조명부(61)가 주간 모드 또는 야간 모드로 변환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명도 조절부(63)는 상기 모드 변환부(62)에 의해 변환된 모드에 따라 상기 조명부(61)의 명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수동모드 설정부(64)는 운영자에 의해 수동으로 주간 모드 또는 야간 모드로 변경 가능한 수동 모드를 설정한다.
그리고, 자동모드 설정부(65)는 사전에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 가능한 자동 모드를 설정한다.
도 8은 디머 스위치(66)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머 스위치(66)는 상기 지시계(50)에 대한 가독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부(61)의 명도를 원격으로 조절한다.
한편, 상기 표시부(42)는 고화질 표시부(43)(Full High-Definition) 및 초고화질 표시부(45)(Ultra High-Definition)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고화질 표시부(43)은 해상도가 광폭형인 1920x540 FHD로 설정된다.
그리고, 초고화질 표시부(45)는 해상도가 광폭형인 3840x1080 UHD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화질 표시부(43) 및 초고화질 표시부(45)의 명도도는 각각 700cd/m2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화질 표시부(43) 및 초고화질 표시부(45)의 명도도는 각각 0%에서 100%까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고화질 표시부(43)은 28.6인치, 37인치, 49.5인치 TFT LCD 중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TFT LCD는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의 약자이다.
그리고, 고화질 표시부(43)의 종과 횡의 비율은 16:4.5로 설정된다.
또한, 초고화질 표시부(45)는 49.5인치, 58.4인치 TFT LCD 중에서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초고화질 표시부(45)의 종과 횡의 비율은 32:9로 설정된다.
한편, 상기 주간 모드는 사전에 설정된 세팅 주간에 적용되는 모드이다. 이때, 상기 세팅 주간은 일출 시각부터 일몰 시각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야간 모드는 사전에 설정된 세팅 야간에 적용되는 모드이다. 이때, 상기 세팅 야간은 오전 0시부터 일출 시각까지의 기간 및 일몰 시각에서 오후 12시까지의 기간을 포함한다.
한편, 광폭형 디스플레이부(40)의 화면 구성은 발주자 또는 계약 당사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메인 디스플레이부(41)의 지시계(50)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지시계(50)는 타각 지시계(51), 회전율 지시계(52), 회전수 지시계(53), 선속계(54), 자이로리피터(55), 심도 지시계(56), 경사계(57), 풍향 풍속계(58), 시계(59), 피치각 지시계(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타각 지시계(51)은 선박의 방향타의 각도를 표시한다.
그리고, 회전율 지시계(52)는 선박의 선회율을 표시한다.
그리고, 회전수 지시계(53)은 선박 내부 엔진의 회전수를 표시한다.
그리고, 선속계(54)는 선박의 속력 및 항해 거리를 각각 표시한다.
그리고, 자이로리피터(55)는 선박의 진항로를 표시한다.
그리고, 심도 지시계(56)은 수심 측정값을 표시한다.
그리고, 경사계(57)는 선박의 횡경사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풍향 풍속계(58)는 바람의 방향 및 속도를 각각 표시한다.
그리고, 시계(59)는 현재의 시간을 표시한다.
그리고, 피치각 지시계(60)은 선박의 프로펠러축에 결합되는 블레이드의 피치 조정값을 표시한다.
한편, 상기 선회율은 선수의 회전각도 및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항로는 진북을 기준으로 하는 방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선박에 구비되는 선교의 천장(2) 하부에 설치되는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항해사에게 가독성 및 가용성이 향상된 운항정보를 제공하여 안전한 항해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디지털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40)에 운항정보를 표시하여, 가독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메인 디스플레이부(41)의 고장 시에도 예비 디스플레이부(70)에 의해 선박의 운항정보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가용성을 향상시켜, 선박의 안전한 항해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설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여, 다수의 지시계(59)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어, 고객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운항정보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브릿지 윙, 화물제어실, 선장실 등에 확장형 원격감시 장비(76)를 설치하고, 운항정보를 전송하여,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항정보를 저장하여, 육상으로 전송할 수 있어, 문제 발생시 육상에서도 과거의 운항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1)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선교의 천장 3: 메인 시스템
10: 게이트웨이 11: 수집부
12: 전송부 13: 제1 통신포트
14: 제2 통신포트 20: 플랫폼 서버
21: 메인 서버 22: 감시부
23: 모드 제어부 24: 알람부
25: 알람 제어부 26: 화면 제어부
27: 동기화부 28: 인증부
29: 설정값 입력부 30: 설정값 검증부
31: 데이터 저장부 32: 메시지 출력부
33: 데이터 수집부 34: 운항정보 검증부
35: 알림부 38: 예비 서버
40: 광폭형 디스플레이부 41: 메인 디스플레이부
42: 표시부 43: 고화질 표시부
45: 초과화질 표시부 50: 지시계
51: 타각 지시계 52: 회전율 지시계
53: 회전수 지시계 54: 선속계
55: 자이로리피터 56: 심도 지시계
57: 경사계 58: 풍향 풍속계
59: 시계 60: 피치각 지시계
61: 조명부 62: 모드 변환부
63: 명도 조절부 64: 수동모드 설정부
65: 자동모드 설정부 66: 디머 스위치
70: 예비 디스플레이부 75: 스위치 허브
76: 확장형 원격감시 장비 80: 고정장치

Claims (5)

  1. 선박의 운항정보를 수집하여, 표시하는 메인 시스템(3); 및
    상기 메인 시스템(3)을 선박에 구비된 선교의 천장(2)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8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시스템(3)은
    선박의 운항정보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10);
    상기 게이트웨이(10)에 의해 수집된 운항정보를 처리하는 플랫폼 서버(20);
    상기 플랫폼 서버(20)에 의해 처리된 운항정보를 표시하는 광폭형 디스플레이부(40);
    상기 게이트웨이(10)로부터 수신받은 항해 정보를 분배하여, 상기 플랫폼 서버(20)에 전송하는 스위치 허브(75); 및
    상기 플랫폼 서버(20)와 연결되어, 상기 플랫폼 서버(20)에 의해 처리된 운항정보를 원격으로 감시하는 확장형 원격감시 장비(76);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20)는
    상기 플랫폼 서버(20)의 일측에 구비되는 메인 서버(21); 및
    상기 메인 서버(21)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서버(21) 이상 발생 시, 상기 메인 서버(21)의 역할을 대체하는 예비 서버(38);를 포함하고,
    상기 광폭형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메인 서버(21)와 연결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41); 및
    상기 예비 서버(38)와 연결되는 예비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21) 및 예비 서버(38)는
    상호 간에 운영 상태를 각각 감시하여, 정상 운영 시,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이상 상태 감지 시, 통합적으로 운영되고,
    상기 메인 서버(21)는
    상기 예비 서버(38)의 이상 상태 감지 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41)에 운항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예비 서버(38)의 정상화 시, 상기 예비 서버(38)에 설정값을 전송하여, 상기 예비 서버(38)에 대해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예비 서버(38)는
    상기 메인 서버(21)의 이상 상태 감지 시, 상기 예비 디스플레이부(70)에 운항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인 서버(21)의 정상화 시, 상기 메인 서버(21)에 설정값을 전송하여, 상기 메인 서버(21)에 대해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메인 서버(21)는
    상기 예비 서버(38)의 운영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22);
    상기 감시부(22)가 상기 예비 서버(38)의 이상 상태 감지 시, 상기 메인 서버(21) 및 예비 서버(38)가 통합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모드 제어부(23);
    상기 메인 서버(21)가 통합 모드로 전환 시, 알람을 표출하는 알람부(24);
    상기 메인 서버(21)가 통합 모드로 전환 시, 상기 알람부(24)가 알람을 표출하도록 제어하는 알람 제어부(25); 및
    상기 알람부(24)가 알람 표출 시, 운항정보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4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26);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제어부(23)는
    상기 감시부(22)가 상기 예비 서버(38)의 정상 상태 감지 시, 상기 메인 서버(21) 및 예비 서버(38)가 각각 개별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인 서버(21)는
    상기 예비 서버(38)가 개별 모드로 전환 시, 상기 예비 서버(38)에 설정값을 전송하여, 상기 예비 서버(38)에 대해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부(27);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모드는
    상기 감시부(22)가 상기 예비 서버(38)의 이상 상태 감지 시, 상기 메인 서버(21) 및 예비 서버(38)가 통합적으로 운영되는 모드이고,
    상기 개별 모드는
    상기 감시부(22)가 예비 서버(38)의 정상 상태 감지 시, 상기 메인 서버(21) 및 예비 서버(38)가 각각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모드이고,
    상기 메인 서버(21)는
    운영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통해 운영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28);
    운항정보별로 설정값을 각각 입력 처리하는 설정값 입력부(29);
    상기 설정값 입력부(29)에 의해 입력 처리된 설정값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설정값 검증부(30);
    상기 설정값 검증부(30)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설정값이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31);
    상기 설정값 검증부(30)가 설정값 미검증 시, 설정값 미검증이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시지 출력부(32);
    상기 게이트웨이(10)로부터 운항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33);
    상기 데이터 수집부(33)에 의해 수집된 운항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운항정보 검증부(34); 및
    상기 운항정보 검증부(34)가 운항정보 미검증 시, 알람을 표출하는 알림부(35);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값은
    운항정보별 테그 네임 부여;
    정상 운항정보의 기준이 되는 구간인 기준 범위;
    운항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단위인 표시 단위; 및
    이상 운항정보의 기준이 되는 구간인 알람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값 검증부(30)는
    태그 네임, 표시 단위, 기준 범위 및 알람 구간의 유효성을 각각 검증하고,
    상기 운항정보 검증부(34)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33)에 의해 수집된 운항정보가 상기 설정값 입력부(29)에 의해 설정된 알람 구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알림부(35)가 알람을 표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기화부(27)는
    상기 설정값 검증부(30)가 설정값 검증 시, 상기 설정값을 상기 예비 서버(38)에 전송하여, 상기 예비 서버(38)에 대해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26)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된 운항정보가 태그 네임별로 상기 광폭형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41)는
    LCD의 형태로 구현되는 표시부(42);
    운항정보를 상기 표시부(42)에 표시하는 지시계(50);
    상기 지시계(5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지시계(50)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61);
    현재의 시간에 따라 상기 조명부(61)가 주간 모드 또는 야간 모드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모드 변환부(62);
    상기 모드 변환부(62)에 의해 변환된 모드에 따라 상기 조명부(61)의 명도를 조절하는 명도 조절부(63);
    운영자에 의해 수동으로 주간 모드 또는 야간 모드로 변경 가능한 수동 모드를 설정하는 수동모드 설정부(64);
    사전에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 가능한 자동 모드를 설정하는 자동모드 설정부(65); 및
    상기 지시계(50)에 대한 가독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부(61)의 명도를 원격으로 조절하는 디머 스위치(66);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42)는
    해상도가 광폭형인 1920x540 FHD로 설정되는 고화질 표시부(43); 및
    해상도가 광폭형인 3840x1080 UHD로 설정되는 초고화질 표시부(45);를 포함하고,
    상기 고화질 표시부(43) 및 초고화질 표시부(45)의 명도도는
    각각 700cd/m2로 설정되고, 각각 0%에서 100%까지 조절되고,
    상기 주간 모드는
    사전에 설정된 세팅 주간에 적용되는 모드이고,
    상기 세팅 주간은
    일출 시각부터 일몰 시각까지의 기간이고,
    상기 야간 모드는
    사전에 설정된 세팅 야간에 적용되는 모드이고,
    상기 세팅 야간은
    오전 0시부터 일출 시각까지의 기간 및 일몰 시각에서 오후 12시까지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계(50)은
    선박의 방향타의 각도를 표시하는 타각 지시계(51);
    선박의 선회율을 표시하는 회전율 지시계(52);
    선박 내부 엔진의 회전수를 표시하는 회전수 지시계(53);
    선박의 속력 및 항해 거리를 각각 표시하는 선속계(54);
    선박의 진항로를 표시하는 자이로리피터(55);
    수심 측정값을 표시하는 심도 지시계(56);
    선박의 횡경사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경사계(57);
    바람의 방향 및 속도를 각각 표시하는 풍향 풍속계(58);
    현재의 시간을 표시하는 시계(59); 및
    선박의 프로펠러축에 결합되는 블레이드의 피치 조정값을 표시하는 피치각 지시계(60);를 포함하고,
    상기 선회율은
    선수의 회전각도 및 속도이고,
    상기 진항로는
    진북을 기준으로 하는 방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230169976A 2023-11-29 2023-11-29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657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9976A KR102657891B1 (ko) 2023-11-29 2023-11-29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9976A KR102657891B1 (ko) 2023-11-29 2023-11-29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891B1 true KR102657891B1 (ko) 2024-04-15

Family

ID=9071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9976A KR102657891B1 (ko) 2023-11-29 2023-11-29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8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908A (ko) * 2000-04-27 2001-11-08 서승정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KR20010097098A (ko) 2000-04-20 2001-11-08 밍 루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 제어장치
KR101000501B1 (ko) 2005-11-03 2010-12-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항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항해종합정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098A (ko) 2000-04-20 2001-11-08 밍 루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 제어장치
KR20010097908A (ko) * 2000-04-27 2001-11-08 서승정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KR101000501B1 (ko) 2005-11-03 2010-12-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항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항해종합정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5812B2 (en) Floating dock deflection management systems
US20160370187A1 (en) Sailing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US200801472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otal Management of Ships
CN111090278A (zh) 基于海洋天气预报的自动导航系统
US9232008B2 (en) Navigation data sharing system and navigation instrument
CN101389932A (zh) 用于自动调整飞行器的导航屏的图像的方法和设备
KR102657891B1 (ko) 이중화된 광폭형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디지털 코닝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0712159B2 (en) Critical system operations and simulations using wearable immersiv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EP0870291B1 (de) Verfahren zur verkehrsüberwachung und verkehrslenkung und positionsbestimmung und informationsübermittlung von und zu mobilen objekten, insbesondere schiffen, und zur dezentralen erfassung der lokalen verkehrssituation in der umgebung des mobilen objektes
KR100322665B1 (ko)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WO2014196315A1 (ja) 航法装置及び部品寿命通知方法
KR101000445B1 (ko) 초고속선박을 위한 오토 파일럿 시스템
WO2006115437A2 (fr) Procede pour commander la position d'un helicoptere en vol stationnaire et systeme de sa mise en oeuvre
CN207565818U (zh) 符合人体工学的船舶桥楼控制台
KR101048052B1 (ko) 다수의 항해 장비들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를가지는 통합항해시스템
Jurdziński Changing the Model of Maritime Navigation
CN206556633U (zh) 一种舰艇用电子方位仪
KR101226001B1 (ko) 선박용 표시기의 밝기 조절장치
Wawruch Remarks on the further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JP3399758B2 (ja) 航法支援装置
KR200342934Y1 (ko) 디지탈 타각지시장치
Gylden Optimizing instrument navigation in restricted waters
Asalomia et al. Analysis the quality indicators of electricity and of the equipment used in the navigation boat.
NO20141489A1 (no) Navigasjon blant faste installasjoner
Olsen Bridge Arrangements and Working Environment for Coastal/Offshore Vess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