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179B1 -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179B1
KR102331179B1 KR1020200148283A KR20200148283A KR102331179B1 KR 102331179 B1 KR102331179 B1 KR 102331179B1 KR 1020200148283 A KR1020200148283 A KR 1020200148283A KR 20200148283 A KR20200148283 A KR 20200148283A KR 102331179 B1 KR102331179 B1 KR 102331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data
ship
proto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하
류영선
최봉실
Original Assignee
케이엠씨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엠씨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엠씨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8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4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essels, e.g. monitoring their speed, routing or maintenance sche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04L67/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6Special purpose or proprietary protocols or archite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rket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선박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선박의 스위칭장비 및 계측장비의 개별 신호값을 입력받고 동작 제어를 위해 구비되는 인풋아웃풋 컨트롤러와, 상기 인풋아웃풋 컨트롤러에 회로 연결되되 제1통신 프로토콜을 입출력기기 간의 통신 연결을 지원하는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생성된 선박정보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데이터를 규격화하는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와,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에 회로 연결되되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표시되며 제어상태가 입력되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와,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에 회로 연결되되 외부 선박 및 육상과의 통신 연결을 위해 엘티이단말기로서 구비되는 클라이언트통신부를 포함하는 통합조종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합조종부에 원격으로 통신 연결되며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수신되는 원격서버부와, 상기 원격서버부에 회로 연결되어 수신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저장되는 선박정보수집부와, 상기 원격서버부에 회로 연결되어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표시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원격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integrated control and remote monitoring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존 3세대 이동통신 속도보다 수십 배나 빠른 4세대 LTE 기술(Long term Evolution)이 등장하여 국내에서도 2011년 7월부터 LTE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영화 한 편을 단 2분만에 내려 받을 정도로 빠른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가정에서 인터넷 TV로 영화를 보고, 자동차 내비게이션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최적의 주행로를 검색하는 것도 LTE와 같은 통신기술의 발달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해졌다.
한편. 육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환경에서는 지리적 한계 때문에 육지에서와 같은 통신 서비스를 누릴 수 없었다. 즉, 제주도와 울릉도 등의 일부 해역을 제외하고는, 육지에서 20km를 벗어나면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또한, 위성통신 서비스는 통신요금이 비싸고 신호도 약해 소통이 원활하지 않다.
뿐만 아니라, 통신환경이 여의치 않아 안전한 항해 정보를 얻기 어려워 비상상황 발생 시 선원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때, 선박사고의 82%가 운항 미숙, 과실 등 인적요인에 의해 발생한다는 통계는 바다 위 정보통신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한편, 국제해사기구(IMO)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선박에 맞춤형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이내비게이션(e-Navigation)'의 도입을 결정한 이유도 인적요인에 의한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였다. 이때, 해양 사고는 현장에 신속하게 접근이 어렵고 피해가 크기 때문에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며, 이내비게이션을 통해 선박에는 육상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안전정보에 기반해 의사결정을 하고, 육상에서는 선박의 운항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충돌 등 위험상황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글로벌 해상통신 기술개발의 트렌드를 선도해 나가고자 우리나라는 2016년부터 '한국형 이내비게이션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형 이내비게이션은 국제해사기구(IMO)가 기준으로 삼은 국제 항해선박 이외에도 어선과 소형선박 등 우리나라 연안을 항해하는 선박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육상의 LTE기술을 해상에 적용한 '초고속 해상 무선통신망(LTE-Maritime)'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상세히, 초고속 해상 무선통신망은 해상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선박의 위치, 기상, 조류 등 방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이때, 화재, 침수, 조난 등 긴급 상황에서는 사고수습과 현장대응을 지원하기 위한 국가 재난통신망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만큼 그 효용은 매우 크다.
그리고, 해양수산부는 2017년에 초고속 해상 무선통신망의 시험 통신망을 구축해 해상 100km까지의 통신성능과 전파간섭 해소기능을 검증했다. 2018년에는 전국 연안에 600여 개의 기지국을 구축하고 운영인력을 배치해 시범운영을 착수했으며 2020년까지 시범운영을 마친 후 2021년부터 대국민 서비스를 시행할 계획이다.
그러나, 초고속 해상 무선통신망을 구현함으로써 안전한 초고속 해상 통신망 구축을 진행하고자 하지만, 종래 선박의 통신체계는 각각의 장비들이 제각각의 목적을 갖고 한정된 정보를 제공하다보니,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정보를 알기 쉽지 않고 각기 다른 장비들로 인해 오히려 혼란을 가중하여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소형 선박에는 선박용 통신 규격인 NMEA(The 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를 채용하여 사용 중에 있지만 주로 자이로컴퍼스, GPS, 나침반, 관성항법장치(INS)등의 일부 장비만 지원되므로 선박 내 모든 시스템을 제어하고 모니터링 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특히, NMEA2000 통신은 기존 NMEA0183보다 전자장비들의 지원이 높아지며 NMEA2000 통신기반 지원이 가능하도록 변환장치 등이 상용화되고 있으나 선박 내 모든 장비들을 제어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선박 내 주요 제어장비 및 계측장비를 통합 운영하지 못한다면 초고속 해상 통신망을 구축하여도 현재 활용되는 이내비게이션 수준으로 활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선박 내 모든 장비들을 단일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제어 및 모니터링하며 규격화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선박 내 모든 정보를 취합하고 초고속 해상 통신망을 활용하여 육해상에서의 다양한 항행안전 정보 및 안전한 항로 안내나 선내 위험정보 공유 등과 같은 특화 서비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52854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의 스위칭장비 및 계측장비의 개별 신호값을 입력받고 동작 제어를 위해 구비되는 인풋아웃풋 컨트롤러와, 상기 인풋아웃풋 컨트롤러에 회로 연결되되 제1통신 프로토콜을 입출력기기 간의 통신 연결을 지원하는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생성된 선박정보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데이터를 규격화하는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와,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에 회로 연결되되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표시되며 제어상태가 입력되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와,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에 회로 연결되되 외부 선박 및 육상과의 통신 연결을 위해 엘티이단말기로서 구비되는 클라이언트통신부를 포함하는 통합조종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합조종부에 원격으로 통신 연결되며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수신되는 원격서버부와, 상기 원격서버부에 회로 연결되어 수신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저장되는 선박정보수집부와, 상기 원격서버부에 회로 연결되어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표시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원격모니터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풋아웃풋 컨트롤러는 상기 계측장비에서 출력되는 온도, 압력, 수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출력 전압, 저항 및 전류값을 입력받는 복수개의 아날로그 인풋채널과, 상기 스위칭장비에서 출력되는 온오프신호를 입력받는 복수개의 디지털 인풋채널과, 전압, 저항 및 전류값의 출력을 통해 제어되는 포지션밸브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제1선박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아날로그 아웃풋채널과, 상기 온오프신호의 출력을 통해 제어되는 엘이디, 부저 및 팬을 포함하는 제2선박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디지털 아웃풋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통합조종부에 구비된 선박정보기록부에 기저장된 식별자변환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에 매칭 대응되는 제2통신 프로토콜을 추출하여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통합변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은 에스에이이 제이1939 프로토콜로서 설정되되,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은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로서 설정되며, 상기 식별자변환데이터는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 방식의 통신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아이디인 PGN에 대한 코드값과, 에스에이이 제이1939 프로토콜 방식의 PGN 코드값 및 SPN 코드값을 포함하고,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는 기저장된 상기 식별자변환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 PGN 코드값 및 SPN 코드값에 매칭 대응되는 제2통신 프로토콜 PGN 코드값을 추출하여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며,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통합변환부를 통해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데이터를 티씨피/아이피 프로토콜로 규격화하여 변환하는 통신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서버부에는 상기 통신변환부에서 티씨피/아이피 프로토콜로 규격화하여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통합조종부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에 회로 연결되되, 기설정된 저장주기 동안 반복적으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를 실시간 기록 및 저장하는 저장장치로서 구비되는 선박정보기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선박정보기록부에 저장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는 상기 클라이언트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모니터링부와 상호간 통신되며, 상기 원격서버부는 기설정된 통신주기 동안 상기 클라이언트통신부로부터 상기 선박정보데이터의 미수신시 통신손실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통신부는 상기 원격서버부로부터 상기 통신손실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선박정보기록부에 저장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원격서버부로 전송하며, 상기 원격모니터링부는 상기 원격서버부와 상기 선박정보수집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 사이에 회로 연결되는 데이터분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분류부는 상기 선박정보데이터를 기설정된 분류기준범위에 대응되어 위험데이터, 사용자요청데이터, 주의데이터 및 일반데이터로 구획 분류하여 상기 선박정보수집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로 전송하되, 상기 모니터링부에 표시될 상기 선박정보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위험데이터, 사용자요청데이터, 주의데이터 및 일반데이터 순으로 순차적으로 정렬하며, 상기 선박정보수집부에는 상기 위험데이터, 상기 사용자요청데이터, 상기 주의데이터 및 상기 일반데이터로 구획 분류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통합조종부를 통해 제1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구형 선박의 스위칭장비 및 계측장비의 개별 신호값을 입력받아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 및 생성된 선박정보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규격화되므로 통신호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를 통해 선박정보기록부에 기저장된 식별자변환데이터로부터 제1통신 프로토콜에 매칭 대응되는 제2통신 프로토콜로 추출 및 변환되고 티씨피/아이피 프로토콜로 규격화된 선박정보데이터가 원격모니터링부 및 다른 선박의 통합조종부와 해상 환경에서 통신되므로 범용성 및 해상안전사고 통제에 대한 용이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원격모니터링부의 원격서버부로부터 통신손실신호가 생성되면 통합조종부의 클라이언트통신부가 선박정보기록부에 저장된 선박정보데이터를 추출하여 원격서버부로 다시 전송하므로 해상환경에서 통신 불안정시에도 선박정보데이터의 손실이 방지되어 해상원격모니터링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원격모니터링부의 데이터분류부가 선박정보데이터를 기설정된 분류기준범위에 대응하여 구획 분류하되, 모니터링부에 표시될 선박정보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위험데이터, 사용자요청데이터, 주의데이터 및 일반데이터 순으로 순차적으로 정렬하므로 모니터링시 위험 감지에 대한 신속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통합조종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3a 및 도 3b 및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인풋아웃풋컨트롤러를 나타낸 회로도.
도 4a 및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프로토콜 변환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통합조종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a 및 도 3b 및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인풋아웃풋컨트롤러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4a 및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프로토콜 변환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통합조종부(10) 및 원격모니터링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선박 내 모든 장비들을 통합조종장치를 통해 엔엠이에이2000(NMEA2000, 이하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취합된 정보를 활용하여 선박 내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이를 LTE-Maritime로 활용하여 LTE 통신장비와 기지국 간의 양방향 네트워크 구성 및 빠른 전송속도를 이용하여 해상에서도 선박과 육상이 상시 연결된 데이터 통신 체계를 갖추고 해상에서의 다양한 항행안전 정보 및 항로 안내, 선내 위험정보 공유와 더불어 부가적으로 선박 내 연료효율, 주요 부품 교체 주기를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통합조종부(10)는 인풋아웃풋 컨트롤러(11),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 선박정보기록부(14) 및 클라이언트통신부(15)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합조종부(10)는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 장비들을 통합적으로 제어 및 모니터링하도록 구비되는 제어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풋아웃풋 컨트롤러(11)는 선박에 구비된 각종 스위칭장비 및 계측장비의 개별 신호값을 입력받고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장치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풋아웃풋 컨트롤러(11)는 선박의 엔진(1), 지피에스(GPS,2) 연료탱크(3), 온도계(4), 풍향계(5), 화재감지기(6), 항해등(7) 및 펌프(8)를 포함하는 선박의 스위칭장비 및 계측장비에 개별적으로 회로 및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인풋아웃풋 컨트롤러(11)는 상기 계측장비에서 출력되는 온도, 압력, 수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출력 전압, 저항 및 전류값을 입력받는 복수개의 아날로그 인풋채널(11a)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아날로그 인풋채널(11a)을 통해 입력된 상기 계측장비에서 출력되는 온도, 압력, 수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출력 전압, 저항 및 전류값은 프로텍션필터 회로, 아날로그버퍼 회로 및 로우패스필터 회로를 순차적으로 거쳐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에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메인컨트롤유닛(MCU)로서 구비되는 통합변환부(12a)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풋아웃풋 컨트롤러(11)는 상기 스위칭장비에서 출력되는 온오프신호를 입력받는 복수개의 디지털 인풋채널(11b)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디지털 인풋채널(11b)을 통해 선박 내 모든 장비들을 연결하여 계측 및 상태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각 상기 디지털 인풋채널(11b)을 통해 입력된 상기 스위칭장비에서 출력되는 온오프신호가 프로텍션필터 회로 및 포토커플러 회로를 거쳐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에 구비된 버퍼 회로로 출력될 수 있다.
더욱이, 각 상기 디지털 인풋채널(11b)을 통해 입력된 상기 스위칭장비에서 출력되는 온오프신호가 케이블슈퍼비전 회로를 거쳐 버퍼 회로로 출력됨에 따라 케이블 결선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인풋아웃풋 컨트롤러(11)는 전압, 저항 및 전류값의 출력을 통해 제어되는 포지션밸브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제1선박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아날로그 아웃풋채널(11c)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아날로그 아웃풋채널(11c)을 통해 입력된 전압, 저항 및 전류값은 프로텍션필터 회로, 컨버터 회로 및 로우패스필터 회로를 순차적으로 거쳐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에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메인컨트롤유닛(MCU)로서 구비되는 통합변환부(12a)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풋아웃풋 컨트롤러(11)는 상기 온오프신호의 출력을 통해 제어되는 엘이디, 부저 및 팬을 포함하는 제2선박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디지털 아웃풋채널(11d)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디지털 아웃풋채널(11d)을 통해 입력된 상기 온오프신호가 프로텍션 회로, 릴레이회로 및 포토커플러 회로를 거쳐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에 구비된 버퍼 회로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는 상기 인풋아웃풋 컨트롤러(12)에 회로 연결되되, 제1통신 프로토콜을 입출력기기 간의 통신 연결을 지원하는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생성된 선박정보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데이터를 규격화하는 제어장치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은 에스에이이 제이1939(SAE J1939, 이하 '에스에이이 제이1939') 프로토콜로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은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 및 엔엠이에이0183(NMEA0183)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로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는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 각종 통신장비들을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로 변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은 선박 내에서 설치된 엔진, 기상센서, 속도계, 지피에스 등 다양한 입출력 장치간의 연결을 지원하는 통신망 기술로서 버스방식,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케넥터/케이블 등의 규격화를 통해 성능과 편의성을 추구하는 통신 규격이다. 또한, 물리계층에는 ISO 11898 CAN 을 사용하여 버스 충돌을 방지하고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데이터링크계층은 ISO 11783-3, 네트워크 관리는 ISO 11783-5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은 각종 선박 장비간의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표준으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에서 기반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PGN(Parameter Group Number)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포맷을 정의하고 있다. 이때, 전송속도가 4,800bps인 기존의 엔엠이에이0183에 비해 엔엠이에이2000은 250kbps를 유지하기 때문에 높은 전송 속도를 보장하며 양방향 다중 송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한 장비가 고장이 나도 전체 네트워크가 멈추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은 CAN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서 CAN의 특성을 따르며, CAN 1.0A와 2.0A는 기본 ID포맷을 사용하고, 엔엠이에이2000 에서는 CAN 2.0B를 채택하여 확장 ID포맷을 사용한다. 이때, 두 형식의 큰 차이점은 중재필드(Arbitration field)의 크기 차이로 확장 포맷이 32비트로 기본 포맷보다 18비트가 더 크며, CAN 메시지 프레임의 중재 필드 32비트 중에서 29비트를 NMEA 식별자(Identifier)로 사용하며, 이중 18비트를 PGN으로 사용한다.
한편, 도 2 및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는 상기 통합조종부(10)에 구비된 선박정보기록부(14)에 기저장된 식별자변환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에 매칭 대응되는 제2통신 프로토콜을 추출하여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회로장치로서 구비된 통합변환부(12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는 엔엠이에이2000 외 다른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장비들을 엔엠이에이2000 네트워크에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해주는 기능을 하며, 특히 소형 선박의 엔진은 자동차 기반의 엔진을 사용하므로 에스에이이 제이1939 프로토콜을 주로 사용하는데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를 통해 에스에이이 제이1939 프로토콜을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로 변환할 수 있어서 엔엠이에이2000 네트워크를 통해 엔진의 상태 제어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a는 에스에이이 제이1939 프로토콜에서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 변환을 위한 식별자 정의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b는 에스에이이 제이1939 프로토콜에서 엔엠이에이 프로토콜 변환을 위한 세부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선박정보기록부(14)에 기저장된 식별자변환데이터는 선박 내 각 구성요소들의 기술(Description)별로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 방식의 통신데이터 단위(Packet)의 데이터 ID인 PGN(Parameter Group Number)에 대한 코드값과, 에스에이이 제이1939 프로토콜 방식의 PGN 코드값 및 SPN(Suspect Parameter Number) 코드값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각각의 기술마다 그에 대응되는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 방식의 PGN 코드값과 에스에이이 제이1939 프로토콜 방식의 PGN 코드값 및 SPN 코드값이 각각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는 기저장된 상기 식별자변환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 PGN 코드값 및 SPN 코드값에 매칭 대응되는 제2통신 프로토콜 PGN 코드값을 추출하여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c는 다수의 엔엠이에이2000 CAN 메시지를 단일 데이터로 표현하기 위한 식별자 구성예시도이다. 이때, 도 4c를 참조하면, CAN 확장 ID 포맷의 메시지 프레임과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의 ID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은 총 29비트인 식별자로 Priority, EDP(Extended Data Page), DP(Data Page), PF(PGN Format), PS(PGN Specific), SA(Source Address)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이중에서 EDP, DP, PF, PS를 활용하여 PGN을 구성하며, PGN은 각 파라미터 그룹을 식별하는 8비트나 16비트의 숫자로 엔엠이에이0183 프로토콜에서 3개 문자로 이루어진 문장 식별자와 비슷한 형태이다. 이때,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 정의에 따라 PGN에 의해 식별된 파라미터 그룹(PG)은 네트워크의 모든 주소로 전송되기도 하고 특정 주소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여러 정보들을 교환하고 장비간의 요구, 요청 및 응답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RS-422, RS-485, CAN 등의 추가 확장 포트를 통해 다양한 통신을 엔엠이에이2000단일 네트워크로 변환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로 변환된 모든 정보들은 LTE-Maritime을 이용하기 위해 TCP/IP 프로토콜로 변환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는 상기 통합변환부(12a)를 통해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데이터를 티씨피/아이피(TCP/IP) 프로토콜로 규격화하여 변환하는 회로장치로서 구비된 통신변환부(12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원격모니터링부(20)의 원격서버부(21)에는 상기 통신변환부(12b)에서 티씨피/아이피 프로토콜로 규격화하여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에 회로 연결되되,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표시되며 제어상태가 입력되는 제어장치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는 사용자가 상기 인풋아웃풋 컨트롤러(11)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에 연결된 장비들과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에 호환되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장비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터치스크린 패널 및 터치스크린 회로장치를 포함하여 각종 장비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를 통해 선박 내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에 LTE-Maritime으로 수신된 정보들이 표시됨으로써 다른 선박 및 육상의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이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에서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로 변환되어 상기 인풋아웃풋 컨트롤러(11)를 통해 데이터 처리됨에 따라 선박의 각종 장치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에스에이이 제이1939 프로토콜로 입력된 입력값이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에서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로 변환되어 데이터 처리됨에 따라 제어상태를 상기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3)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언트통신부(15)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에 회로 연결되되, 외부 선박 및 육상과의 통신 연결을 위해 엘티이단말기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통신부(15)를 통해 다른 선박 및 육상과 통신(LTE-Maritime)이 가능하도록 중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통신부(15)는 단순 클라이언트 역할 뿐만 아니라 선박과 선박의 통신을 위해 자체적으로 신규 서버를 생성하는 서버생성부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서버와 클라이언트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선박정보기록부(14)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에 회로 연결되되, 기설정된 저장주기 동안 반복적으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를 실시간 기록 및 저장하는 저장장치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선박정보기록부(14)에는 상기 통합조종부(10)에서 발생되는 모든 선박정보데이터가 실시간으로 기록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저장주기는 24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선박정보기록부(14)에 저장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는 상기 클라이언트통신부(15)를 통해 상기 원격모니터링부(20) 또는 다른 선박의 통합조종부와 상호간 통신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원격모니터링부(20)는 원격서버부(21), 데이터분류부(22), 선박정보수집부(23) 및 모니터링부(2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원격모니터링부(20)는 복수개의 통합조종부(10)와 개별적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통합조종부(10)는 상호간 선택적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모니터링부(20)를 통해 취합된 선박 내 정보를 LTE-Maritime을 활용하여 선박과 육상이 상시 연결된 데이터 통신 연결 체계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원격서버부(21)는 상기 클라이언트통신부(15)를 통해 상기 통합조종부(10)에 원격으로 통신 연결되며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수신되는 서버장치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원격서버부(21)에는 상기 통신변환부(15)에서 티씨피/아이피 프로토콜로 규격화하여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수신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격서버부(21)에는 다수의 선박에 구비된 각 클라이언트통신부(15)가 각각 통신 연결되어 동시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격서버부(21)가 서버, 상기 클라이언트통신부(15)가 클라이언트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복수개의 통합조종부(10)는 상호간 선택적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움이 필요한 제1선박에 구비된 통합조종부(10)에서 기존 클라이언트 모드를 유지하여 상기 원격모니터링부(20)의 원격서버부(21)에 제2선박에 구비된 통합조종부(10)와의 통신을 요청함과 동시에 제2선박에서 접속 가능하도록 자체적으로 서버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서버부(21)와 지속적으로 통신 연결되어 있는 제2선박의 통합조종부(10)는 제1선박의 통합조종부(10)의 요청에 승인하게 되면 상기 원격서버부(21)로 승인신호를 송신하며 제1선박의 통합조종부(10) 서버 IP를 전달받게 되고 제2선박의 통합조종부(10)는 자체적으로 새로운 클라이언트를 생성하여 제1선박의 통합조종부(10) 서버 IP로 접속한 후 상호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격서버부(21)는 기설정된 통신주기 동안 상기 클라이언트통신부(15)로부터 상기 선박정보데이터의 미수신시 통신손실신호를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통신부(15)는 상기 원격서버부(21)로부터 상기 통신손실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선박정보기록부(14)에 저장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원격서버부(21)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즉, 통신에러가 발생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신 받지 못하여 선박정보데이터가 일부 유실될 경우 유실된 선박정보데이터를 다시 요청하며 상기 선박정보기록부(14)에 저장된 선박정보데이터를 다시 수신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분류부(22)는 상기 원격서버부(21)의 출력단과 상기 선박정보수집부(22) 및 상기 모니터링부(24)의 각 입력단 사이에 회로 연결되는 제어장치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분류부(22)는 상기 선박정보데이터를 기설정된 분류기준범위에 대응되어 위험데이터, 사용자요청데이터, 주의데이터 및 일반데이터로 구획 분류하되, 상기 모니터링부(24)에 표시될 상기 선박정보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위험데이터, 사용자요청데이터, 주의데이터 및 일반데이터 순으로 순차적으로 정렬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통신부(15)에 통신 연결된 상기 원격서버부(21)에는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전송되며, 상기 데이터분류부(22)는 상기 선박정보데이터를 기설정된 분류기준범위에 대응되어 데이터를 구획 분류하여 상기 선박정보수집부(23) 및 상기 모니터링부(24)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박정보수집부(23)는 상기 원격서버부(21)에 회로 연결되어 수신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장치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24)는 상기 원격서버부(21)에 회로 연결되어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표시되는 출력장치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부(24)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로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부(24)에는 위험데이터, 사용자요청데이터, 주의데이터 및 일반데이터 순으로 순차적으로 정렬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박정보수집부(23)에 저장되는 선박정보데이터는 우선순위와 상관없이 모두 저장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데이터분류부(22)는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선박정보데이터를 분류 및 기록 저장할 수 있다.
우선순위 단계 상태 내용
1순위 위험 실시간 화재, 엔진 이상, 비상 호출 감지
2순위 사용자요청 실시간 사용자 우선요청 지정 선박
3순위 주의 실시간 점검주기 초과, 장비 오작동 감지
4순위 일반 실시간 정상상태 선박 데이터 표시
사용자요청 데이터베이스 저장 사용자 요청시 데이터베이스 불러오기
표 1은 위험데이터, 사용자요청데이터, 주의데이터 및 일반데이터로 분류되어 모니터링부에 표시되는 선박정보데이터를 나타낸 예시표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선박 통합조종부(10)의 선박정보데이터를 확인을 우선요청 할 경우 제1선박 통합조종부(10)의 실시간 선박정보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부(24)에 전달하여 화면으로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분류부(22)는 제2선박에 화재 발생시 제2선박 통합조종부(10)의 선박정보데이터를 1순위로 상기 모니터링부(24)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즉, '위험' 단계나 '사용자요청' 단계가 없을 경우 '주의' 단계에 해당하는 선박의 통합조종부(10)에 대한 선박정보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되며, '주의' 단계에 해당하는 선박도 없을 경우 상기 원격모니터링부(20)와 통신 연결된 모든 선박의 통합조종부(10)의 선박정보데이터를 간소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4순위의 '일반' 단계에서 사용자 요청에 의한 선박정보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저장기록의 확인이 필요시 상기 선박정보수집부(23)에 기록된 선박정보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부(24)를 통해 사용자가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에스에이이 제이1939 프로토콜로서 설정된 제1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구형 선박의 스위칭장비 및 계측장비의 개별 신호값을 입력받아 엔엠에이2000 프로토콜로 설정된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 및 생성된 선박정보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규격화하는 통합조종부(10)를 통해 통신호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12)의 통합변환부(12a)를 통해 상기 선박정보기록부(14)에 기저장된 식별자변환데이터로부터 제1통신 프로토콜에 매칭 대응되는 제2통신 프로토콜로 추출 및 변환되고 상기 통신변환부(12b)를 통해 티씨피/아이피 프로토콜로 규격화된 선박정보데이터가 상기 원격모니터링부(20) 및 다른 선박의 통합조종부(10)와 해상 환경에서 통신되므로 범용성 및 해상안전사고 통제에 대한 용이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모니터링부(20)의 원격서버부(21)로부터 통신손실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통합조종부(10)의 클라이언트통신부(15)가 상기 선박정보기록부(14)에 저장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원격서버부(21)로 다시 전송하므로 해상환경에서 통신이 불안정한 경우에도 선박정보데이터의 손실이 미연에 방지되어 육상에서의 해상원격모니터링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모니터링부(20)의 데이터분류부(22)가 상기 선박정보데이터를 기설정된 분류기준범위에 대응되어 위험데이터, 사용자요청데이터, 주의데이터 및 일반데이터로 구획 분류하되, 상기 모니터링부(24)에 표시될 상기 선박정보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위험데이터, 사용자요청데이터, 주의데이터 및 일반데이터 순으로 순차적으로 정렬하므로 모니터링시 위험 감지에 대한 신속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10: 통합조종부 11: 인풋아웃풋 컨트롤러
12: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 13: 터치스크린 컨트롤러
14: 선박정보기록부 15: 클라이언트통신부
20: 원격모니터링부 21: 원격서버부
22: 데이터분류부 23: 선박정보수집부
24: 모니터링부

Claims (5)

  1. 선박의 스위칭장비 및 계측장비의 개별 신호값을 입력받고 동작 제어를 위해 구비되는 인풋아웃풋 컨트롤러와, 상기 인풋아웃풋 컨트롤러에 회로 연결되되 제1통신 프로토콜을 입출력기기 간의 통신 연결을 지원하는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생성된 선박정보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데이터를 규격화하는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와,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에 회로 연결되되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표시되며 제어상태가 입력되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와,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에 회로 연결되되 외부 선박 및 육상과의 통신 연결을 위해 엘티이단말기로서 구비되는 클라이언트통신부를 포함하는 통합조종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합조종부에 원격으로 통신 연결되며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수신되는 원격서버부와, 상기 원격서버부에 회로 연결되어 수신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저장되는 선박정보수집부와, 상기 원격서버부에 회로 연결되어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표시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원격모니터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풋아웃풋 컨트롤러는 상기 계측장비에서 출력되는 온도, 압력, 수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출력 전압, 저항 및 전류값을 입력받는 복수개의 아날로그 인풋채널과, 상기 스위칭장비에서 출력되는 온오프신호를 입력받는 복수개의 디지털 인풋채널과, 전압, 저항 및 전류값의 출력을 통해 제어되는 포지션밸브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제1선박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아날로그 아웃풋채널과, 상기 온오프신호의 출력을 통해 제어되는 엘이디, 부저 및 팬을 포함하는 제2선박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디지털 아웃풋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통합조종부에 구비된 선박정보기록부에 기저장된 식별자변환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에 매칭 대응되는 제2통신 프로토콜을 추출하여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통합변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은 에스에이이 제이1939 프로토콜로서 설정되되,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은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로서 설정되며, 상기 식별자변환데이터는 엔엠이에이2000 프로토콜 방식의 통신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아이디인 PGN에 대한 코드값과, 에스에이이 제이1939 프로토콜 방식의 PGN 코드값 및 SPN 코드값을 포함하고,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는 기저장된 상기 식별자변환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 PGN 코드값 및 SPN 코드값에 매칭 대응되는 제2통신 프로토콜 PGN 코드값을 추출하여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며,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통합변환부를 통해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데이터를 티씨피/아이피 프로토콜로 규격화하여 변환하는 통신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서버부에는 상기 통신변환부에서 티씨피/아이피 프로토콜로 규격화하여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통합조종부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컨트롤러에 회로 연결되되, 기설정된 저장주기 동안 반복적으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를 실시간 기록 및 저장하는 저장장치로서 구비되는 선박정보기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선박정보기록부에 저장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는 상기 클라이언트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모니터링부와 상호간 통신되며,
    상기 원격서버부는 기설정된 통신주기 동안 상기 클라이언트통신부로부터 상기 선박정보데이터의 미수신시 통신손실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통신부는 상기 원격서버부로부터 상기 통신손실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선박정보기록부에 저장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원격서버부로 전송하며,
    상기 원격모니터링부는 상기 원격서버부와 상기 선박정보수집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 사이에 회로 연결되는 데이터분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분류부는 상기 선박정보데이터를 기설정된 분류기준범위에 대응되어 위험데이터, 사용자요청데이터, 주의데이터 및 일반데이터로 구획 분류하여 상기 선박정보수집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로 전송하되, 상기 모니터링부에 표시될 상기 선박정보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위험데이터, 사용자요청데이터, 주의데이터 및 일반데이터 순으로 순차적으로 정렬하며, 상기 선박정보수집부에는 상기 위험데이터, 상기 사용자요청데이터, 상기 주의데이터 및 상기 일반데이터로 구획 분류된 상기 선박정보데이터가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48283A 2020-11-09 2020-11-09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KR102331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283A KR102331179B1 (ko) 2020-11-09 2020-11-09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283A KR102331179B1 (ko) 2020-11-09 2020-11-09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179B1 true KR102331179B1 (ko) 2021-12-01

Family

ID=78899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283A KR102331179B1 (ko) 2020-11-09 2020-11-09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17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8085A (ko) * 2005-11-03 2007-05-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항해장비 데이타 통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통합 항해시스템
KR20130095877A (ko) * 2012-02-21 2013-08-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선박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101528547B1 (ko) 2013-06-11 2015-06-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Nmea 2000 범용 게이트웨이 시스템
KR20150141087A (ko) * 2014-06-09 2015-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JP2016206897A (ja) * 2015-04-21 2016-12-0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舶用タッチパネル装置
KR20170032947A (ko) * 2015-09-15 2017-03-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항해 데이터 통합전시장치
KR20190008383A (ko) * 2016-06-09 2019-01-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데이터 통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986630B1 (ko) * 2018-07-17 2019-09-30 주식회사 에코마린 위성통신을 이용한 선박 IoT 데이터 전송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8085A (ko) * 2005-11-03 2007-05-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항해장비 데이타 통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통합 항해시스템
KR20130095877A (ko) * 2012-02-21 2013-08-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선박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101528547B1 (ko) 2013-06-11 2015-06-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Nmea 2000 범용 게이트웨이 시스템
KR20150141087A (ko) * 2014-06-09 2015-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JP2016206897A (ja) * 2015-04-21 2016-12-0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舶用タッチパネル装置
KR20170032947A (ko) * 2015-09-15 2017-03-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항해 데이터 통합전시장치
KR20190008383A (ko) * 2016-06-09 2019-01-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데이터 통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986630B1 (ko) * 2018-07-17 2019-09-30 주식회사 에코마린 위성통신을 이용한 선박 IoT 데이터 전송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55946B (zh) 一种基于云服务和大数据的船舶状态远程监控系统及方法
CN208621962U (zh) 一种分布式无人船监控系统
CN101329180B (zh) 基于北斗卫星导航系统定位通信的双模船载终端及方法
JP4885759B2 (ja) 船舶の情報処理方法及び船舶の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028115B1 (ko) Ais 양방향통신을 이용한 여객선운항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1192350A (zh) 主动发射三维立体飞行信息的飞机防撞及导航系统和方法
KR102120519B1 (ko) 선박 데이터 통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206819532U (zh) 一种基于无线网络技术的远程机舱监控系统
WO2014142404A1 (ko) 레저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2044868B1 (ko) 로라 무선 통신 기반의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N106093983A (zh) 一种多旋翼无人机导航定位系统
KR101569290B1 (ko) 통합 게이트웨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통신시스템
CN108924119A (zh) 一种船-岸-船态势信息交互系统
CN108241325A (zh) 便携式船用智能信息终端
KR100322665B1 (ko)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CN114662125A (zh) 一种无人船异构链路多尺度数据安全重构系统
KR20120096715A (ko) 선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204316595U (zh) 一种基于北斗的火场感知实战指挥平台系统
KR102331179B1 (ko) 선박 통합조종 및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CN111478964A (zh) 一种船舶主机工况远程监控系统
CN204489140U (zh) 一种内河在航船舶航行状态信息监控系统
CN111416653B (zh) 基于北斗网络的港口海洋作业安全管理与位置服务系统
CN116068591A (zh) 一种基于卫星通信的船载ais和北斗双模定位系统终端
RU172330U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е рабочее место судоводителя
JP4266229B2 (ja) 気象・海象情報送信システム及び気象・海象情報送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