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865A - 대나무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나무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865A
KR20010093865A KR1020000017469A KR20000017469A KR20010093865A KR 20010093865 A KR20010093865 A KR 20010093865A KR 1020000017469 A KR1020000017469 A KR 1020000017469A KR 20000017469 A KR20000017469 A KR 20000017469A KR 20010093865 A KR20010093865 A KR 20010093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leaves
minutes
roots
sho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하령
Original Assignee
박하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하령 filed Critical 박하령
Priority to KR1020000017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3865A/ko
Publication of KR20010093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8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1Functional circuits, e.g. logic, sequencing, interlock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1Bases; Casings; Covers structurally combining a relay and an electronic component, e.g. varistor, RC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각각 다른 공정으로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가공하여 용도에 알맞는 비율로 배합한 대나무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공정은 죽간 (竹稈) 30%, 죽엽 (竹葉) 50%, 죽근 (竹根)20%의 중량부 배율로 혼합하여 조성한 기호성이 우수한 대나무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나무차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대나무차를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 보다 상세하게는 대나무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볶음처리하여 효소를 실활시켜 음용하기 알맞는 비율로 배합한 대나무차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나무는 질병에 대한 약리적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예로써 일월서각에서 출판한 ( 1991. 8. 20 ) 문헌인 약효의 성분과 이용에 산에 자라는 키작은 대종류인 산죽의 잎이 항암작용, 기침멎이작용, 살균작용, 항진균작용, 항궤양 활성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특히, 산죽의 잎에서 추출한 추출액 중에는 항암활성을 지닌 물질의 구성성분인 크실로즈, 아라비로즈 및 글루코즈와 만노즈, 갈락토즈 등의 당류와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셀린, 트레오닌, 플로린, 알라닌, 시스레인, 페닐아라닌 등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동의치료법에서는 대나무의 잎인 죽엽(竹葉)이 범열, 소갈증, 열독풍 등에 기침약, 가래약, 열내림약 및 토열, 악창등에 오줌내기약, 피멎이약으로 사용되고, 대나무 줄기의 속껍질을 얇게 벗긴 죽여 (竹茹)는 열내림약, 피멎이약, 게움멎이약으로 사용되며, 대나무의 진인 죽력(竹瀝)은 열내림약, 구풍약으로 사용되고, 중풍, 고혈압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대나무의 약리적 효능을 이용하여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특허 제 96 - 2397호에는 청죽으로 된 원통체의 내부에 쌀과 영양약재를 혼합하여 영향식품울 제조하는 방법이, 대한민국 특허 제 96 - 5613호에는 죽여를 제거한 생대나무 용기를 이용하여 건강식을 제조하는 방법이, 대한민국 특허 제 95 - 14611호에는 쇠고기, 돼지고기, 개고기 등의 육류재료를 대나무통에 넣고 가열하여 훈제 바비큐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식품의 제조방법은 공통적으로 대나무통을 직접용기로 사용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가열방법에 의하여 대나무에 함유한 유효성분을 식품에 침투토록 하는 방법으로, 대나무의 유효성분을 식품에 효과적으로 함유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고, 또한 대나무를 용기로 사용할 경우, 투입되는 내용물은 상품성과 경제성을 지닐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량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대나무의 직경이 굵은 맹종죽만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으며, 기타 공지된 제조방법중에 대나무의 죽간 (竹稈), 죽염 (竹葉),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추출액을 육류 가공식품의 첨가 재료로 사용되는 제조방법이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들은 한결같이 대나무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만을 이용한 방법이며, 또한, 대나무의 유효성분을 다른 식품의 매개체를 통하여 그 효과를 얻을수 있는 방법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음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대나무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음용할 수 있는 대나무차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대나무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뿐만 아니라 죽근 (竹根)의 유용한 성분을 볶음처리하여 알맞는 비율로 배합하여 대나무차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나무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이용하여 대나무차를 제조?(가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차의 가공방법은 대나무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의 수분함유량이 각각 다름에 유념하여 가공하기에 편하도록 알맞게 잘라서 깨끗이 세척하여 죽간 (竹稈)은 70∼110도에서 2∼ 12분간 , 죽엽 (竹葉)은 40∼70℃에서 2∼8분간, 죽근 (竹根)은 60∼110℃에서 2∼20분간 볶음처리하는 단계; 및 볶음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3: 5: 2의 배합비율로 혼합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적용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차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1) 죽간 (竹稈)를 1차 저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원료 죽간 (竹稈)를 5∼7mm×5∼7mm의 크기로 절단하여 70∼90℃에서 3∼12분간 볶음공정 ; 및
(1)'[ 죽간 (竹稈)를 2차 고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상기 (1)에서 건조처리된 죽간 (竹稈)를 1.5∼3mm×1.5∼3mm의 크기로 절단한후 90∼110℃에서 2∼5분간 볶음처리하는 공정
(2) 죽엽 (竹葉)의 음건 공정:
싹이 나온지 1년이하의, 바람직하게는 싹이 나온지 30∼90일 정도의 죽엽을 체취하여 세척한후 40∼70℃에서 2∼8분간 볶음처리하여 1,5∼3mm×1.5∼3mm의 크기로 마쇄 하는 공정
(3) 죽근 (竹根)를 1차 저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원료 죽간 (竹稈)를 5∼7mm×5∼7mm의 크기로 절단하여 60∼80℃에서 7∼20분간 볶음공정 ; 및
(3)' 죽근 (竹根)를 2차 고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상기 (1)에서 건조처리된 죽근 (竹根)를 1.5∼3mm×1.5∼3mm의 크기로 절단한후 90∼110℃에서 2∼6분간 볶음처리하는 공정:
(4)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의 혼합공정:
상기 (1) (2), (1)'(2)', (1)"(2)"에서 각각 다른 조건에서 볶음처리된 바와같이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의 수분함유량이 각각 다름에 유념하여 가열되는 열의 온도와 시간을 조절하여 볶음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3 : 5 : 2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음용하기에 우수한 대나무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처리된 대나무차는 실시예를 통하여 입증되는 바와 같이, 1차 저온- 볶음처리 과정없이 동일조건에서 고온 - 볶음처리만 한 경우에 비해, 가공중 응집현상과 부분적으로 타는 현상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기호성 평가에서도 대나무의 풋냄새 없이 대나무 고유의 향이 강하다고 평가 되었다. 이는 1차 저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에서 응집의 원인 성분들이 변성되어 2차 고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에서 이들 성분들의 응집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가열조건에서의 볶음처리에 의해 내부조직이 다공질화됨으로써 대나무의 향미 성분 용출이 용이해지고, 충분한 열처리에 의해 크실로즈, 갈락토즈 등의 당류와 같은 유용한 구성성분들이 카라멜화됨으로써 구수한 맛과 대나무 특유의 독특한 향이 강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차는 음용이 간편한 티백차로 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영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예 1
(1) 죽간 (竹稈)를 1차 저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원료 죽간 (竹稈)를 5∼7mm× 5∼7mm의 크기로 절단하여 50∼70℃에서 10∼20분간 볶음공정
(1)'[ 죽간 (竹稈)를 2차 고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상기 (1)에서 건조처리된 죽간 (竹稈)를 1.5∼3mm× 1.5∼3mm의 크기로 절단한후 70∼90℃에서 2∼7분간 볶음처리하는 공정
(2) 죽엽 (竹葉)의 음건 공정:
싹이 나온지 1년이하의, 바람직하게는 싹이 나온지 30∼90일 정도의 죽엽을 체취하여 세척한후 30∼60℃에서 2∼8분간 볶음처리하여 1.5∼3mm×1.5∼3mm의 크기로 마쇄 하는 공정
(3) 죽근 (竹根)를 1차 저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원료 죽간 (竹稈)를 5∼7mm× 5∼7mm의 크기로 절단하여 50∼70℃에서 7∼20분간 볶음공정
(3)' 죽근 (竹根)를 2차 고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상기 (1)에서 건조처리된 죽근 (竹根)를 1.5∼3mm× 1.5∼3mm의 크기로 절단한후 80∼100℃에서 2∼8분간 볶음처리하는 공정
참고예 2
(1) 죽간 (竹稈)를 1차 저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원료 죽간 (竹稈)를 5∼7mm× 5∼7mm의 크기로 절단하여 80∼100℃에서 3∼12분간 볶음공정
(1)'[ 죽간 (竹稈)를 2차 고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상기 (1)에서 건조처리된 죽간 (竹稈)를 1.5∼3mm× 1.5∼3mm의 크기로 절단한후 100∼120℃에서 2∼5분간 볶음처리하는 공정
(2) 죽엽 (竹葉)의 음건 공정:
싹이 나온지 1년이하의, 바람직하게는 싹이 나온지 30∼90일 정도의 죽엽을 체취하여 세척한후 50∼80℃에서 2∼5분간 볶음처리하여 1.5∼3mm×1.5∼3mm의 크기로 마쇄 하는 공정
(3) 죽근 (竹根)를 1차 저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원료 죽간 (竹稈)를 5∼7mm× 5∼7mm의 크기로 절단하여 70∼90℃에서 5∼15분간 볶음공정
(3)' 죽근 (竹根)를 2차 고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상기 (1)에서 건조처리된 죽근 (竹根)를 1.5∼3mm× 1.5∼3mm의 크기로 절단한후 100∼120℃에서 2∼5분간 볶음처리하는 공정
참고예 3
(1) 죽간 (竹稈)를 1차 저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원료 죽간 (竹稈)를 5∼7mm× 5∼7mm의 크기로 절단하여 90∼110℃에서 2∼10분간 볶음공정
(1)'[ 죽간 (竹稈)를 2차 고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상기 (1)에서 건조처리된 죽간 (竹稈)를 1.5∼3mm× 1.5∼3mm의 크기로 절단한후 100∼120℃에서 2∼5분간 볶음처리하는 공정
(2) 죽엽 (竹葉)의 음건 공정:
싹이 나온지 1년이하의, 바람직하게는 싹이 나온지 30∼90일 정도의 죽엽을 체취하여 세척한후 40∼70℃에서 2∼8분간 볶음처리하여 1.5∼3mm×1.5∼3mm의 크기로 마쇄 하는 공정
(3) 죽근 (竹根)를 1차 저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원료 죽간 (竹稈)를 5∼7mm× 5∼7mm의 크기로 절단하여 80∼100℃에서 5∼10분간 볶음공정
(3)' 죽근 (竹根)를 2차 고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상기 (1)에서 건조처리된 죽근 (竹根)를 1.5∼3mm× 1.5∼3mm의 크기로 절단한후 110∼130℃에서 2∼8분간 볶음처리하는 공정
참고예 4
(1) 죽간 (竹稈)를 1차 저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원료 죽간 (竹稈)를 5∼7mm× 5∼7mm의 크기로 절단하여 100∼120℃에서3 ∼8분간 볶음공정
(1)'[ 죽간 (竹稈)를 2차 고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상기 (1)에서 건조처리된 죽간 (竹稈)를 1.5∼3mm× 1.5∼3mm의 크기로 절단한후 120∼140℃에서 2∼4분간 볶음처리하는 공정
(2) 죽엽 (竹葉)의 음건 공정:
싹이 나온지 1년이하의, 바람직하게는 싹이 나온지 30∼90일 정도의 죽엽을 체취하여 세척한후 50∼80℃에서 2∼5분간 볶음처리하여 1.5∼3mm×1.5∼3mm의 크기로 마쇄 하는 공정
(3) 죽근 (竹根)를 1차 저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원료 죽간 (竹稈)를 5∼7mm× 5∼7mm의 크기로 절단하여 90∼110℃에서 3∼10분간 볶음공정
(3)' 죽근 (竹根)를 2차 고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상기 (1)에서 건조처리된 죽근 (竹根)를 1.5∼3mm× 1.5∼3mm의 크기로 절단한후120∼140℃에서 2∼5분간 볶음처리하는 공정
참고예 5
(1) 죽간 (竹稈)를 1차 저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원료 죽간 (竹稈)를 5∼7mm×5∼7mm의 크기로 절단하여 70∼90℃에서 3∼12분간 볶음공정
(1)'[ 죽간 (竹稈)를 2차 고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상기 (1)에서 건조처리된 죽간 (竹稈)를 1.5∼3mm× 1.5∼3mm의 크기로 절단한후 90∼110℃에서 2∼5분간 볶음처리하는 공정
(2) 죽엽 (竹葉)의 음건 공정:
싹이 나온지 1년이하의, 바람직하게는 싹이 나온지 30∼90일 정도의 죽엽을 체취하여 세척한후 40∼70℃에서 2∼8분간 볶음처리하여 1.5∼3mm×1.5∼3mm의 크기로 마쇄 하는 공정
(3) 죽근 (竹根)를 1차 저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원료 죽간 (竹稈)를 5∼7mm× 5∼7mm의 크기로 절단하여 60∼80℃에서 7∼20분간 볶음공정
(3)' 죽근 (竹根)를 2차 고온 - 볶음처리하는 공정:
상기 (1)에서 건조처리된 죽근 (竹根)를 1.5∼3mm× 1.5∼3mm의 크기로 절단한후 90∼110℃에서 2∼6분간 볶음처리하는 공정
실시예 1
상기 참고예 1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5 : 3 : 2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참고예 1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2: 3 :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참고예 1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3: 2 :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참고예 1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3: 5 : 2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참고예 2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5: 3 : 2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참고예 2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2: 3 :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참고예 2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3: 2 :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참고예 2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3: 5 : 2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참고예 3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5: 3 : 2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9
상기 참고예 3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2: 3 :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10
상기 참고예 3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3: 2 :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11
상기 참고예 3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3: 5 : 2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12
상기 참고예 4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5: 3 : 2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13
상기 참고예 4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2: 3 :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14
상기 참고예 4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3: 2 :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15
상기 참고예 4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3: 5 : 2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16
상기 참고예 5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5: 3 : 2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17
상기 참고예 5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2: 3 :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18
상기 참고예 5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3: 2 :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19
상기 참고예 5의 공정으로 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3: 5 : 2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참고예 1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의 재료에서 죽간 (竹稈), 죽엽 (竹葉)을 5: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참고예 1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의 재료에서 죽근 (竹根), 죽염 (竹葉)을 5: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고예 3
상기 참고예 1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의 재료에서 죽간 (竹稈), 죽근 (竹根)를 5: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참고예 2의 죽간 (竹稈), 죽염 (竹葉), 죽근 (竹根)의 재료에서 죽간 (竹稈), 죽엽 (竹葉)을 5: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참고예 2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의 재료에서 죽근 (竹根), 죽엽 (竹葉)을 5: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참고예 2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의 재료에서 죽간 (竹稈), 죽근 (竹根)를 5: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7
상기 참고예 3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의 재료에서 죽간 (竹稈), 죽엽 (竹葉)을 5: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8
상기 참고예 3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의 재료에서 죽근 (竹根), 죽엽 (竹葉)을 5: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9
상기 참고예 3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의 재료에서 죽간 (竹稈), 죽근 (竹根)를 5: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10
상기 참고예 4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의 재료에서 죽간 (竹稈), 죽엽 (竹葉)을 5: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11
상기 참고예 4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의 재료에서 죽근 (竹根), 죽엽 (竹葉)을 5: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12
상기 참고예 4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의 재료에서 죽간 (竹稈), 죽근 (竹根)를 5: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13
상기 참고예 5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의 재료에서 죽간 (竹稈), 죽엽 (竹葉)을 5: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14
상기 참고예 5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의 재료에서 죽근 (竹根), 죽엽 (竹葉)을 5: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15
상기 참고예 5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의 재료에서 죽간 (竹稈), 죽근 (竹根)를 5: 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시험예
실시예 1- 19 및 비교예 1- 15에서 제조된 대나무차를 1.8g 티백으로 제조하여 80℃의 열수에 5분간 추출한후 10인의 훈련된 관능검사 요원에 의해 순위법에 의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로부터 ,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차는 원재료인 대나무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각각 다른 화열의 온도와 가열시간의 조건에서 볶음처리하여 음용하기에 알맞게 배합함으로써 우수한 대나무차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대나무의 죽간 (竹稈)은 70∼110도에서 2∼12분간 , 죽엽 (竹葉)은 40∼70℃에서 2∼8분간, 죽근 (竹根)은 60∼110℃에서 2∼20분간 볶음처리하여 당질등의 성분들의 변성을 유도 함으로써 원료의 응집현상을 최소화 하여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3: 5: 2의 배합비율로 혼합하여 대나무의 특유한 맛과 향을 최적의 상태로 발현시킴으로써, 우수한 대나무차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대나무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원재료로 하여 하기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따라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의 배합비율을 3: 5: 2의 중량부로 배합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차:
    (1) 대나무의 죽간(竹稈), 죽엽(竹葉), 죽근(竹根)를 볶음처리하여 배합하는 공정:
    대나무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가공하기에 편하도록 알맞게 잘라서 깨끗이 세척하여 죽간 (竹稈)은 70∼110도에서 2∼ 12분간 , 죽엽 (竹葉)은 40∼70℃에서 2∼8분간, 죽근 (竹根)은 60∼110℃에서 2∼20분간 볶음처리하는 단계; 및 볶음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3: 5: 2의 배합비율로 혼합 한다
    (2)대나무의 죽간(竹稈), 죽엽(竹葉)를 볶음처리하여 배합하는 공정:
    대나무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를 가공하기에 편하도록 알맞게 잘라서 깨끗이 세척하여 죽간 (竹桿)은 70∼110도에서 2∼ 12분간 , 죽엽 (竹葉)은 40∼70℃에서 2∼8분간 볶음처리하는 단계; 및 볶음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를 5: 5의 배합비율로 혼합 한다
    (3)대나무의 죽간(竹稈), 죽근 (竹根)를 볶음처리하여 배합하는 공정:
    대나무의 죽간 (竹稈), 죽근 (竹根)를 가공하기에 편하도록 알맞게 잘라서 깨끗이 세척하여 죽간 (竹稈)은 70∼110도에서 2∼ 12분간 , 죽근 (竹根)은60∼110℃에서 2∼20분간 볶음처리하는 단계; 및 볶음처리된 죽간 (竹稈), 죽근 (竹根)를 5: 5의 배합비율로 혼합 한다
    (4) 대나무의 죽엽(竹葉), 죽근(竹根)를 볶음처리하여 배합하는 공정:
    대나무의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가공하기에 편하도록 알맞게 잘라서 깨끗이 세척하여 죽엽 (竹葉)은 40∼70℃에서 2∼8분간, 죽근 (竹根)은 60∼110℃에서 2∼20분간 볶음처리하는 단계; 및 볶음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5: 5의 배합비율로 혼합 한다
    (5) 대나무의 죽간(竹稈), 죽엽(竹葉), 죽근(竹根)를 볶음처리하여 배합하는 공정:
    대나무의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가공하기에 편하도록 알맞게 잘라서 깨끗이 세척하여 죽간 (竹稈)은 70∼110도에서 2∼ 12분간 , 죽엽 (竹葉)은 40∼70℃에서 2∼8분간, 죽근 (竹根)은 60∼110℃에서 2∼20분간 볶음처리하는 단계; 및 볶음처리된 죽간 (竹稈), 죽엽 (竹葉), 죽근 (竹根)를 음용 용도에 알맞은 배합비율로 혼합 한다
KR1020000017469A 2000-03-31 2000-03-31 대나무차의 제조방법 KR200100938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469A KR20010093865A (ko) 2000-03-31 2000-03-31 대나무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469A KR20010093865A (ko) 2000-03-31 2000-03-31 대나무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865A true KR20010093865A (ko) 2001-10-31

Family

ID=1966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469A KR20010093865A (ko) 2000-03-31 2000-03-31 대나무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38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493B1 (ko) * 2003-10-21 2006-02-14 (주)명설차 죽엽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148121B1 (ko) * 2009-12-21 2012-05-23 국근섭 죽순잎차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죽순잎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493B1 (ko) * 2003-10-21 2006-02-14 (주)명설차 죽엽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148121B1 (ko) * 2009-12-21 2012-05-23 국근섭 죽순잎차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죽순잎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30988A (ko) 엉겅퀴 또는 약용 식물을 맥반석 혼합하여 덖음차 제조방법
KR20110045919A (ko) 기능성 첨가물이 함유된 누룽지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누룽지
KR100552493B1 (ko) 죽엽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780892B1 (ko) 감을 이용한 홍시 라떼 분말의 제조방법
KR20000055880A (ko) 뽕잎과 뽕나뭇가지 혼합추출차의 제조방법
KR100887398B1 (ko) 쇠비름차 및 그 제조방법
CN105962254A (zh) 黑米健脾暖肝葵花籽及其制备方法
JP2005006569A (ja) そば茶の製造方法
KR20010093865A (ko) 대나무차의 제조방법
KR101401646B1 (ko) 기능성 국수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국수
KR101242538B1 (ko) 녹차엽, 덖음 녹차분말 및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풍미가 개선된 육가공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3699B1 (ko) 개소겡 볶음 고추장의 제조방법
JP4149451B2 (ja) 玉ねぎ茶の製造方法及び玉ねぎ茶
CN107197977A (zh) 一种牡丹花原茶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0554299B1 (ko) 죽엽 분말을 포함하는 김치 양념 조성물 및 그 김치 양념조성물로 제조되는 김치
JPH06141813A (ja) にがうり茶等のにがうり加工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156717A (ko) 표고버섯 향미가 강화된 향미오일 제조와 조성물
KR101885650B1 (ko) 침출식 유자잎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793646B1 (ko) 함초를 이용한 장어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그 장어 추출액
KR101662798B1 (ko) 밤 가공 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밤 가공 식품
KR101793492B1 (ko) 커피원액을 이용한 커피 성형 숯의 제조방법
JP2001149038A (ja) サラシア食品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食品素材を含有する食品。
CN109548902A (zh) 食用茶叶的制备方法
KR102146253B1 (ko) 석류가 첨가된 냉면 면발의 제조방법
KR102657698B1 (ko) 뼈 잡냄새 제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