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228A - 데이터 전송장치 및 데이터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장치 및 데이터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228A
KR20010093228A KR1020017008214A KR20017008214A KR20010093228A KR 20010093228 A KR20010093228 A KR 20010093228A KR 1020017008214 A KR1020017008214 A KR 1020017008214A KR 20017008214 A KR20017008214 A KR 20017008214A KR 20010093228 A KR20010093228 A KR 20010093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mperature
signal
circuit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가세타쿠
테라시마카즈히코
나토리마코토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93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22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6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Abstract

휴대가능하게,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장치(1)에 있어서, 송신해야할 데이터의 전송율을 제어하는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와,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7)와, 온도검출센서(7)에서 공급되는 검출온도에 따라서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를 제어하는 온도감시회로(8)를 갖춘다. 이것에 의해, 방열설계를 간편하게 하고, 케이스체를 소형화하고 저코스크로 제조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장치 및 데이터 전송방법{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최근, 휴대가능하며, 또한 무선통신에 의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장치의 개발이 현저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휴대전화시스템 및 간이형 휴대전화시스템(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에서 이용되는 휴대형 단말기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상기 휴대형 단말기는,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특히 패킷화된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송신하는 경우, 빈번히 행해지는 데이터 전송처리에 의한 내부회로의 온도상승에 따라서, 휴대형 단말기의 내부온도가 상승한다.
종래의 데이터 전송장치, 특히 휴대형 단말기는 패킷화된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송신할 때, 상술한 내부온도의 상승에 의해, 데이터송신 시의 왜곡이 크게 된다. 또는 데이터송신 시의 게인이 흐트러진다. 이 때문에, 종래의 휴대형 단말기는 내부온도의 상승에 의해, 파워컨트롤의 제어 등에 악영향이 생긴다.
이들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휴대단말기는 내부온도의 상승을 상정하여,방열설계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즉, 패킷화된 데이터를 연속적이 아니고, 간헐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많은 경우에 있어서도,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견딜 수 있는 설계가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종래의 휴대형 단말기는, 그 케이스체를 더욱 소형화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제조코스트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휴대가능하고,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및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무선에 의해 송신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a~c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의 패킷데이터의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3a는 데이터 전송장치(1)가 가장 높은 빈도 및 밀도로 패킷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패킷데이터 전송방법을 나타내고, 도 3b는 데이터 전송장치(1)가 온도감시회로(8)에 의해 결정된 어느 송신간격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패킷데이터 전송방법을 나타내고, 도 3c는 데이터 전송장치(40)가 온도감시회로(42)에서 결정된 어느 송신비트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패킷데이터 전송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제 2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무선에 의해 송신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제 3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무선에 의해 송신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제 4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무선에 의해 송신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제 5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무선에 의해 송신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제 6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무선에 의해 송신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제 7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무선에 의해 송신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제 8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무선에 의해 송신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9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제 9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무선에 의해 송신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제 10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무선에 의해 송신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1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3은 제 11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무선에 의해 송신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2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5는 제 12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무선에 의해 송신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실상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발열을 억제하고, 방열설계를 간편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케이스체를 소형화 및 저코스트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데이터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는, 휴대가능하고,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송신해야할 데이터의 전송처리를 제어하는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과,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내부온도 검출수단과, 내부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검출온도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온도감시수단을 갖춘다.
이상과 같은 데이터 전송장치는, 내부온도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내부온도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처리의 제어를 행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는, 휴대가능하고,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부호화수단과, 내부온도 검출수단과, 내부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검출온도에 따라서 데이터 부호화수단을 제어하는 온도감시수단을 갖춘다.
이상과 같은 데이터 전송장치는, 내부온도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내부온도에 따라서 데이터부호화의 제어를 행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방법은,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내부온도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처리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은 데이터 전송방법은, 검출된 내부온도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처리를 제어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방법은,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온도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부호화처리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은 데이터 전송방법은, 검출된 내부온도에 따라서 데이터 부호화처리를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데이터 전송장치는, 검출되는 내부온도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처리, 또는 데이터 부호화처리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 데이터 전송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시스템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이고,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지만, 이하에서는, 송신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수신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데이터 전송장치의 제 1실시형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전송장치(1)는 입출력회로(2)와,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와,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와, RF신호 변조회로(5)와, 신호증폭기(6)와, 온도검출센서(7)와, 온도감시회로(8)를 갖춘다.
입출력회로(2)는,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에서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예를 들면 외부의 PC(Personal Computer)(9)에 출력한다. 또, 패킷화된 데이터를 PC(9)에서 입력하고, 입력한 상기 데이터를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로 공급한다. 또한, 이 PC(9)는, 휴대형 단말기 등의 데이터 전송장치(1)의 내부의 정보처리회로 등으로서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는, 내부에 패킷데이터를 축적하는 메모리를 가지며, 패킷데이터의 플로우제어, 재송(再送)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온도감시회로(8)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송신 간격의 상한치에 의거해서 데이터송신 간격의 결정을 행한다. 이하,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는, 내부의 메모리상태를 감시하고, 메모리가 빈 상태가 되면, 입출력회로(2)를 거처서, 정보처리장치(11)에 대해서 새로운 패킷데이터를 요구하고, 새로운 패킷데이터를 메모리에 격납한다. 메모리가 패킷데이터로 채워지면,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 대해서 패킷데이터를 출력한다. 패킷데이터의 송신이 실패한 경우에는, 같은 패킷데이터를 재차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 출력한다. 패킷데이터의 송신이 성공한 경우에는, 메모리를 클리어하고, 입출력회로(2)를 거처서, 정보처리장치(11)에 대해서 새로운 패킷데이터를 요구하고, 정보처리장치(11)로부터의 새로운 패킷데이터를 요구하고, 정보처리장치(11)로부터의 새로운 패킷데이터를 메모리에 격납한다.
또,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는, 상기 온도감시회로(8)로부터의 데이터송신간격의 상한치를 초과하지 않는 데이터송신 간격으로, 패킷데이터를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 출력하도록, 패킷데이터의 플로우·재송제어를 행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는 온도감시회로(8)로부터의 데이터송신간격의 상한치의 정보에 의거하여 패킷데이터의 송신간격을 제어하고 있으나, 온도정보 그 자체를 입력하도록 하고, 이 온도정보에 따라서 패킷데이터의 송신간격을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은, 구체적으로는,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에서 입출력회로(2)를 거처서 PC(9)에 송신하는 데이터요구 커맨드나 레디커맨드 등을 상기 온도정보에 따라서 제어하도록 하고, 이것에 의해 PC(9)에서 입출력회로(2)를 거처서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에 송신하여 오는 데이터를 조정하고, 패킷데이터의 전송간격을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와, 출력제어회로(11)를 갖는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는,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에서 공급되는 데이터에서 베이스밴드신호를 생성하고, RF신호 변조회로(5)에 공급한다.
출력제어회로(11)는,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에서 공급되는 데이터 송신간격의 상한을 나타내는 값에 따라서, 송신하는 데이터간격에 따라서 데이터 처리상태를 변화시키는 뜻의 신호를 후술하는 RF신호 변조회로(5) 및 신호증폭기(6)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출력제어회로(11)는,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에서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의 간격이 일정기간 이상 비는 경우, 혹은 송신하여야 할 패킷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신호증폭기(6)를 바이패스동작으로 하고, 신호증폭기(6)에의 전원공급을 정지하는 등, 신호증폭기(6)에 대해서 파워세이브 상태로 천이하는 신호를 공급한다.
RF신호 변조회로(5)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서 공급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변조하여,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무선주파수)신호를 생성한다. RF신호 변조회로(5)는, RF신호를 신호증폭기(6)에 공급한다.
또, RF신호 변조회로(5)는, 베이스밴드 신호에서 RF신호로 변조를 행할 때의 변조처리상태를 변화시키는 뜻의 신호를 출력제어회로(11)에서 공급된다. RF신호 변조회로(5)는 그 신호에 따라서 변조처리를 행한다.
신호증포기(6)는, RF신호 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한다. 또, 신호증폭기(6)는 출력제어회로(11)에서, RF신호를 증폭할 때의 증폭처리상태를 변화시키는 뜻의 신호가 공급된다. 신호증폭기(6)는 이 신호에 따라서 증폭처리를 행한다. 증폭된 RF신호는 안테나(12)를 거처서, 무선에 의해 외부에 송신된다. 온도검출센서(7)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온도감시회로(8)에 공급한다.
온도감시회로(8)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검출온도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결정한다. 즉, 온도감시회로(8)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온도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끌어올리고,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온도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끌어내리고,결정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에 공급한다.
상술과 같이 기능하는 각 부(部)를 갖추는 데이터 전송장치(1)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도 2에 나타내는 일련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단계(S1)에 있어서, 온도검출센서(7)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8)에 공급한다.
단계(S2)에 있어서, 온도감시회로(8)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온도치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온도의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온도치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단계(S3)로 진행하고,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끌어올린다. 한편,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온도치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단계(S4)로 이동하고,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끌어내린다.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는, 온도감시회로(8)에 있어서 결정된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단계(S5)에 있어서,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는 입출력회로(2)를 거처서, PC(9)에 새로운 패킷데이터를 요구한다.
단계(S6)에 있어서, PC(9)는 이 데이터 요구신호에 의거하여, 패킷화한 데이터를 입출력회로(2)를 거처서,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에 송신한다.
단계(S7)에 있어서,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는, 패킷데이터의 송신간격을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하고, 이 데이터 송신간격에서,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 대해서 패킷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S8)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에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에서 공급되는 데이터 송신간격의 정보가 입력된다.
출력제어회로(11)는 단계(S9)에 있어서,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간격이 일정기간 이내인지를 판정한다. 패킷화된 데이터가 일정기간 이내로 송신되고 있는 경우, 단계(S12)로 진행한다. 한편, 데이터의 송신간격이 일정기간 이상 비는 경우, 혹은 송신해야 할 패킷데이터가 없는 경우, 단계(S11)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는 신호증폭기(6)에의 전원공급을 정지시키는 등 하여, 신호증폭기(6)를 휴지(休止)상태로 천이시킨다.
다음에, 단계(S12)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는,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에서 베이스밴드신호를 생성하고, RF신호 변조회로(5)에 공급한다.
단계(S13)에 있어서, RF신호 변조회로(5)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서 입력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변조하고,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신호를 생성한다.
단계(S14)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는 RF신호 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2)를 거처서, 증폭된 RF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상술과 같이, 데이터 전송장치(1)는 검출되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목표온도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간격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1)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가 목표온도치를 상회(上廻)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장치(1)는, 발열온도의 최대치에 맞춰서 방열설계를 실시할 필요가 없어지고, 방열기구를 간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1)는, 케이스체 사이즈가 더욱더 소형화·경량화가 실현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작 상에서의 코스트가 삭감된다.
상술한 데이터 전송장치(1)에 있어서, 무선 상의 패킷데이터는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것처럼 되어 있다. 도 3a는 데이터 전송장치(1)가, 가장 높은 빈도 및 밀도로 패킷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패킷데이터 전송방법을 나타내고, 도 3b는 데이터 전송장치(1)가 온도감시회로(8)에서 결정된 어느 송신간격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패킷데이터 전송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Tbe는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의 내부에 갖추어지는 버퍼(15)가 빈 상태를 나타내고, Tbf는 버퍼(15)가 채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가장 높은 빈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도 3a에 나타내는 것처럼,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는, 온도감시회로(8)에 있어서 결정된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최대치를 초과하지 않는 송신간격으로 패킷화한 데이터를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 공급한다.
즉,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는, 이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의 내부에 갖추어져 있는 버퍼(15)가 채워지면,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패킷데이터(16a1)로서 출력한다. 수신측의 데이터 전송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는, 패킷데이터(16a1)를 수취하면, 송신측인 데이터 전송장치(1)에 대해서 ACK(acknowledgement; 확인응답)(17a1)을 공급한다. 데이터 전송장치(1)는 패킷데이터(16a1)를 송신하고, 수신측의 데이터 전송장치에서 ACK(17a1)를 수취한 후, 기간(na) 후에, 다음의 패킷데이터(18a1)를 입출력회로에 공급한다.
그런데, 데이터 전송장치(1)는, 패킷데이터(16a2)에 대한 수신측의 데이터 전송장치로부터의 ACK(17a2)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ACK(17a2)를 수신하기까지, 패킷데이터(16a2)의 재송을 반복한다. ACK(17a2)를 수신하면, 데이터 전송장치(1)는 기간(na) 후에, 다음의 패킷데이터(18a2)를 입출력회로에 공급한다.
한편, 데이터 전송장치(1)가 온도감시회로(8)에서 결정된 상한치를 초과하지 않는 어느 송신간격(nb)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도 3b에 나타내는 것처럼, 패킷데이터(16b1)를 송신하고, 수신측의 데이터 전송장치에서 ACK(17b1)를 수취한 후, 기간(nb)만큼 간격을 비우고, 다음의 패킷데이터(18b1)를 송신한다.
이 경우, 데이터 전송장치(1)는, 패킷데이터(16b2)에 대한 수신측의 데이터 전송장치로부터의 ACK(17b2)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ACK(17b2)를 수신하기까지, 패킷데이터(16b2)의 재송을 반복한다. ACK(17b2)를 수신하면, 데이터 전송장치(1)는 기간(n2)만큼 간격을 비우고, 다음의 패킷데이터(18b2)를 입출력회로에 공급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의 제 2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2실시형태로서 도 4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20)는, 기본구성을 도 1에 나타낸 제 1실시형태의 데이터 전송장치(1)와 동일하게 하지만,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는 주위온도 검출회로(21)를 갖추는 점이 데이터 전송장치(1)와 상위하고 있다. 따라서, 앞에 도 1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전송장치(20)는 입출력회로(2)와,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와,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와, RF신호 변조회로(5)와, 신호증폭기(6)와, 온도검출센서(7)와, 안테나(12)와, 주위온도 검출회로(21)와, 온도감시회로(22)를 갖춘다.
주위온도 검출회로(21)는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주위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22)에 공급한다.
온도감시회로(2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검출온도와 주위온도 검출회로(21)에서 검출되는 온도와의 온도차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온도차를 비교하고,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결정한다. 즉, 온도감시회로(2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검출온도와 주위온도 검출회로(21)에서 검출되는 주위온도와의 온도차가 목표온도차보다도 적은 경우는, 데이터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끌어올리고, 목표온도차보다도 큰 경우는,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끌어내려서, 결정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데이터처리 제어회로(2)에 공급한다.
상술과 같이 기능하는 구성요소로 이루는 데이터 전송장치(20)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도 5에 나타내는 일련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단계(S15)에 있어서, 온도검출센서(7)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22)에 공급한다. 또, 주위온도 검출회로(21)는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주위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2)에 공급한다.
단계(S16)에 있어서, 온도감시회로(2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와, 주위온도 검출회로(21)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주위온도와의 온도차를 검출한다.
단계(S17)에 있어서, 온도감시회로(22)는 상기 온도차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온도차보다도 작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상기 온도차가 목표온도차보다도 작은 경우는 단계(S18)로 진행하고,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끌어올린다. 한편, 상기 온도차가 목표온도차보다도 큰 경우는 단계(S19)로 진행하고,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끌어내린다.
단계(S20)에 있어서,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는 입출력회로(2)를 거처서 PC(9)에 새로운 패킷데이터를 요구한다.
단계(S21)에 있어서, PC(9)는 이 데이터 요구신호에 의거하여, 패킷화한 데이터를 입출력회로(2)를 거처서,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에 송신한다.
단계(S22)에 있어서,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는 패킷데이터의 송신간격을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하고, 이 데이터 송신간격으로,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 대해서 패킷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S23)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에,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에서 공급되는 데이터 송신간격의 정보가 입력된다.
출력제어회로(11)는 단계(S24)에 있어서,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간격이 일정기간 이내인지를 판정한다. 패킷화된 데이터가 일정기간 이내인지를 판정한다. 패킷화된 데이터가 일정기간 이내에 송신되고 있는 경우, 단계(S26)로 진행한다. 한편, 데이터의 송신간격이 일정기간 이상 비는 경우, 혹은 송신해야할 패킷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S26)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는 신호증폭기(6)로의 전원공급을 정지시키는 등 하여, 신호증폭기(6)를 휴지상태로 천이시킨다.
다음에, 단계(S27)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는,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베이스밴드신호로 부호화하고, RF신호 변조회로(5)에 공급한다.
단계(S28)에 있어서, RF신호 변조회로(5)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서 입력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변조하고,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신호를 생성한다.
단계(S29)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는 RF신호 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2)를 거처서, 증폭된 RF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상술과 같이, 데이터 전송장치(20)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와 주위온도의 차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목표온도차를 초과하지 않도록,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간격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20)는, 주위온도와 내부온도와의 차가 목표온도차를 상회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장치(20)는 방열기구나 온도조절기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위에서, 주위온도에 따라서 내부온도를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데이터 전송장치(20)는, 케이스체 사이즈가 더욱 소형화·경량화가 실현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작상에서의 코스트가 삭감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3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3실시형태로서 도 6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30)는, 기본구성을 도 1에 나타낸 제 1실시형태의 데이터 전송장치(1)와 동일하게 하지만,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는 목표온도치가 기억하고 있는 캘린더 기억회로(31)를 갖추는 점이 상기 제 1실시형태의 데이터 전송장치(1)와 상위하고 있다. 또한, 앞에 도 1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의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전송장치(30)는 입출력회로(2)와,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와,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와, RF신호 변조회로(5)와, 신호증폭기(6)와, 온도검출센서(7)와, 안테나(12)와, 캘린더 기억회로(31)와, 온도감시회로(32)를 갖춘다.
캘린더 기억회로(31)는,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는 목표온도치를 기억하고 있고, 날짜 및 시간에서 그 때의 목표온도치를 선택하여 온도감시회로(32)에 공급한다.
온도감시회로(3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와, 캘린더 기억회로(31)에서 선택된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결정한다. 즉, 온도감시회로(3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가 캘린더 기억회로(31)에서 선택된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끌어올리고,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끌어내려서, 결정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데이터처리 제어회로(2)에 공급한다.
상술과 같이 기능하는 구성요소로 이루는 데이터 전송장치(30)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도 7에 나타내는 일련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단계(S30)에 있어서, 온도검출센서(7)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32)에 공급한다. 캘린더 기억회로(31)는,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한 목표온도치를 온도감시회로(32)에 공급한다.
단계(S31)에 있어서, 온도감시회로(3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온도치가 캘린더 기억회로(31)에서 기억되고, 날짜 및 시간에대응하여 선택되는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온도치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단계(S32)로 진행하고,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끌어올린다. 한편,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온도치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단계(S33)로 진행하고,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끌어내린다.
단계(S34)에 있어서,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는 입출력회로(2)를 거처서, PC(9)에 새로운 패킷데이터를 요구한다.
단계(S35)에 있어서, PC(9)는 이 데이터요구신호에 의거하여, 패킷화한 데이터를 입출력회로(2)를 거처서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에 송신한다.
단계(S36)에 있어서,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는, 패킷데이터의 송신간격을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하고, 이 데이터 송신간격으로,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 대해서 패킷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S37)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에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에서 공급되는 데이터 송신간격의 정보가 입력된다.
출력제어회로(11)는, 단계(S38)에 있어서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간격이 일정기간 이내에 행해지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패킷화된 데이터가 일정기간 이내에 송신되고 있는 경우, 단계(S41)로 진행한다. 한편, 데이터의 송신간격이 일정기간 이상 비는 경우에는, 단계(S40)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는, 신호증폭기(6)에의 전원공급을 정지시키는 등하여, 신호증폭기(6)를 휴지상태로 천이시킨다.
다음에, 단계(S41)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는,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베이스밴드신호에 부호화하고, RF신호 변조회로(5)에 공급한다.
단계(S42)에 있어서, RF신호 변조회로(5)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서 입력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변조하고,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신호를 생성한다.
단계(S43)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는 RF신호 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2)를 거처서, 증폭된 RF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상술과 같이 데이터 전송장치(30)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가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목표온도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간격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30)는, 내부온도가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목표온도치를 상회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장치(30)는, 방열기구나 온도조절기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위에서, 날짜 및 시간의 온도정보에 맞춰서 내부온도를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데이터 전송장치(30)는 케이스체 사이즈의 더욱 소형화·경량화가 실현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작상에 있어서의 코스트가 삭감된다.
제 4실시형태로서 도 8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40)는, 기본구성을 도 1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1)와 동일하게 하지만, 데이터처리 제어회로(41)는 온도감시회로(42)에서 공급되는 데이터송신 비트속도의 상한을 나타내는 값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제어를 행하는 점이 데이터 전송장치(1)와 상위하고있다. 따라서, 앞에 도 1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전송장치(40)는 입출력회로(2)와,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와, RF신호 변조회로(5)와, 신호증폭기(6)와, 온도검출센서(7)와, 안테나(12)와, 데이터처리 제어회로(41)와, 온도감시회로(42)를 갖추고,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49)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43)와 출력제어회로(11)를 갖춘다.
데이터처리 제어회로(41)는, 데이터처리 제어회로(41)에서 공급되는 제어신호를 외부의 PC(9)에 공급한다. 데이터처리 제어회로(41)는, PC(9)에 있어서 패킷화된 데이터를 입출력회로(2)를 거처서 입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43)와, 출력제어회로(11)를 갖추고,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43)는 후술하는 온도감시회로(42)에서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그 제어신호를 데이터처리 제어회로(41)에 공급한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43)는 데이터처리 제어회로(41)에서 공급되는 데이터를 베이스밴드신호에 부호화하고, RF신호 변조회로(5)에 공급한다.
온도감시회로(4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결정한다. 즉, 온도감시회로(4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온도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올리고,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온도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내려서, 결정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43)에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에 의해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경우, 예를 들면, 송신비트속도를 1/2로 하여 송신하면, 단위비트당의 송신에 요하는 에너지는 2배가 되므로, 송신파워를 1/2로 하여도 같은 에러율이 얻어지게 된다. 따라서, 같은 에러율을 얻는데 필요한 송신파워는 송신비트속도가 낮을수록 작게 끝난다.
상술과 같이 기능하는 각 부를 갖추는 데이터 전송장치(40)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도 9에 나타내는 일련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단계(S44)에 있어서, 온도검출센서(7)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8)에 공급한다.
단계(S45)에 있어서, 온도감시회로(8)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온도치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온도의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온도치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단계(S46)로 진행하고,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올린다. 한편,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온도치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단계(S47)로 진행하고,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내린다.
단계(S48)에 있어서, 데이터처리 제어회로(41)는 입출력회로(2)를 거처서, PC(9)에 대해서 새로운 패킷데이터를 요구한다.
단계(S49)에 있어서, PC(9)는 입출력회로(2)를 거처서, 데이터처리제어회로(41)에 대해서 패킷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단계(S50)에 있어서, 데이터처리 제어회로(41)는 데이터송신 비트속도를 결정하고,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43)에 통지하는 동시에,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43)에 대하여 패킷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S51)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는 데이터처리 제어회로(41)에서 공급되는 데이터송신 비트속도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출력제어회로(11)는 단계(S52)에 있어서, 패킷화된 데이터의 순간의 송신비트속도가, 어느 임계치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정한다. 순간의 송신비트속도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단계(S53)에 있어서, 패킷화된 데이터의 순간의 송신비트속도에 따라서, 출력파워를 변화시키는 뜻의 신호를 신호증폭기(6)에 공급한다. 또, 패킷화된 데이터의 순간의 비트속도가 감소한 경우, 출력파워를 감소시키는 뜻의 신호를 신호증폭기(6)에 공급한다.
한편,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가 임계치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단계(S54)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는 신호증폭기(6)로의 전원공급을 정지시키는 등하여, 신호증폭기(6)를 휴지상태로 천이시킨다.
다음에, 단계(S55)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43)는 데이터처리 제어회로(41)에서 입력된 패킷화된 데이터를 베이스밴드 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베이스밴드신호를 RF신호 변조회로(5)에 공급한다.
단계(S56)에 있어서, RF신호 변조회로(5)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서 입력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변조하여,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신호를생성한다.
단계(S57)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는 RF신호 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2)를 거처서, 증폭된 RF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상술한 데이터 전송장치(40)에 있어서, 무선상의 패킷데이터는 도 3a, 도 3c에 나타내는 것처럼 되어 있다. 즉, 도 3c는 데이터 전송장치(40)가 온도감시회로(42)에서 결정된 어느 송신비트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패킷데이터 전송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Tbe는 데이터처리 제어회로(41)의 내부에 갖추어진 버퍼(15)가 빈 상태를 나타내고, Tbf는 버퍼(15)가 채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가장 높은 빈도 및 밀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처리 제어회로(41)는, 온도감시회로(8)에 있어서 결정된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최대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입력하면, 이 제어신호에 따라서 패킷화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데이터 전송장치(40)가, 온도감시회로(42)에서 결정된 어느 송신비트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도 3c에 나타내는 것처럼 데이터 처리회로(41)는, 온도감시회로(42)에 있어서 결정된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이 데이터송신 비트속도의 상한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데이터송신 비트속도를 결정하고,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43)에 통지하는 동시에,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43)에 대해서 패킷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데이터 전송장치(40)는, 패킷데이터(45a1)를 수신측의 데이터 전송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송신하고, 이 수신측의 데이터 전송장치에서 ACK(46a1)를 수취한 후, 다음의 패킷데이터(47a1)를 송신한다.
이 경우, 데이터 전송장치(40)는, 패킷데이터(45a2)에 대한 수신측의 데이터 전송장치로부터의 ACK(46a2)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ACK(46a2)를 수신하기까지 패킷데이터(45a2)의 재송을 반복한다. 데이터 전송장치(40)는 ACK(46a2)를 수신하면, 다음의 패킷데이터(46a2)를 송신한다.
이 송신비트속도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에 따라서 온도감시회로(42)에서 결정되고, 신호증폭기(6)의 온도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 송신비트속도는 크게 되고,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 송신비트속도는 작게 된다. 즉, 신호증포기(6)의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 데이터 전송장치(1)는 패킷데이터를 고밀도로 송신하고,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 패킷데이터를 저밀도로 송신한다.
상술과 같이, 데이터 전송장치(40)는, 검출되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목표온도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를 제어하는 신호를 PC(9)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40)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가 목표온도치를 상회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장치(40)는, 발열온도의 최대치에 맞춰서 방열설계를 시행할 필요가 없어지며, 방열기구를 간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데이터 전송장치(40)는, 케이스체사이즈가 더욱 소형화·경량화가 실현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작 상에서의 코스트가 삭감된다.
제 5의 실시형태로서 도 10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50)는 기본구성을 도 8에 나타낸 전송장치(40)와 동일하게 하지만,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는 주위온도 검출회로(51)를 갖추는 점이 데이터 전송장치(1)와 상위하고 있다. 따라서, 앞에 도 1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4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전송장치(50)는, 입출력회로(2)와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와, RF신호 변조회로(5)와, 신호증폭기(6)와, 온도검출센서(7)와, 안테나(12)와, 주위온도 검출회로(53)와, 온도감시회로(54)를 갖춘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에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51)와 출력제어회로(11)를 갖춘다.
주위온도 검출회로(53)는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주위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54)에 공급한다.
온도감시회로(54)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와 주위온도 검출회로(53)에서 검출되는 주위온도와의 온도차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온도차를 비교하고,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결정한다. 즉, 온도감시회로(54)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와 주위온도 검출회로(53)에서 검출되는 주위온도와의 온도차가 목표온도차보다도 작은 경우는,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올리고, 목표온도차보다도 큰 경우는,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내리며, 결정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데이터처리 제어회로(52)에 공급한다.
상술과 같이 기능하는 각 부를 갖추는 데이터 전송장치(50)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도 11에 나타내는 일련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단계(S58)에 있어서, 온도검출센서(7)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54)에 공급한다. 또, 주위온도 검출회로(53)는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주위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54)에 공급한다.
단계(S59)에 있어서, 온도감시회로(54)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와 주위온도 검출회로(53)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주위온도와의 온도차를 검출한다.
단계(S60)에 있어서, 온도감시회로(54)는 상기 온도차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온도차보다도 적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상기 온도차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단계(S61)로 진행하고,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올린다. 한편,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온도치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단계(S62)로 진행하여,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내린다.
단계(S63)에 있어서, 데이터처리 제어회로(52)는 입출력회로(2)를 거처서, PC(9)에 대해서 새로운 패킷데이터를 요구한다.
단계(S64)에 있어서, PC(9)는 입출력회로(2)를 거처서, 데이터처리제어회로(52)에 대해서 패킷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단계(S65)에 있어서, 데이터처리 제어회로(52)는 데이터송신 비트속도를 결정하고,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51)에 통지하는 동시에,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51)에 대해서 패킷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S66)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에 데이터처리 제어회로(52)에서 공급되는 데이터송신 비트속도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출력제어회로(11)는 단계(S67)에 있어서, 패킷화된 데이터의 순간의 송신비트속도가 어느 임계치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정한다. 순간의 송신비트속도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단계(S68)에 있어서, 패킷화된 데이터의 순간의 송신비트속도에 따라서, 출력파워를 변화시키는 뜻의 신호를 신호증폭기(6)에 공급한다. 또, 패킷화된 데이터의 순간의 비트속도가 감소한 경우, 출력파워를 감소시키는 뜻의 신호를 신호증폭기(6)에 공급한다.
한편,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가 임계치보다 적은 경우에는, 단계(S69)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는 신호증폭기(6)에의 전원공급을 정지시키는 등하여, 신호증폭기(6)를 휴지상태로 천이시킨다.
다음에, 단계(S70)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51)는, 데이터처리 제어회로(52)에서 입력된 패킷화된 데이터를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베이스밴드신호에 부호화하고, RF신호 변조회로(5)에 공급한다.
단계(S71)에 있어서, RF신호 변조회로(5)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51)에 서 입력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변조하고,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신호를생성한다.
단계(S72)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는 RF신호 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2)를 거처서, 증폭된 RF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상술과 같이, 데이터 전송장치(50)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와 주위온도의 차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목표온도차를 초과하지 않도록, 패키화된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50)는 주위온도와 내부온도와의 차가 목표온도차를 상회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장치(50)는, 방열기구나 온도조절기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위에, 주위의 온도에 따라서 내부온도를 적절한 온도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데이터 전송장치(50)는, 케이스체 사이즈가 더욱 소형화·경량화가 실현될 뿐만 아니라, 제작 상에서의 코스트가 삭감된다.
제 6실시형태로서 도 12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60)는, 기본구성을 도 8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40)와 동일하게 하지만,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는 목표온도치를 기억하고 있는 캘린더 기억회로(61)를 갖추는 점이 데이터 전송장치(40)와 상위하고 있다. 따라서, 앞에 도 7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4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전송장치(60)는 입출력회로(2)와,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와, RF신호 변조회로(5)와, 신호증폭기(6)와, 온도검출센서(7)와, 안테나(12)와, 캘린더 기억회로(61)와, 데이터처리 제어회로(62)와, 온도감시회로(64)를 갖춘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63)와 출력제어회로(11)를 갖춘다.
캘린더 기억회로(61)는,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는 목표온도치를 기억하고 있고, 날짜 및 시간에서, 그 때의 목표온도치를 선택하여 온도감시회로(64)에 공급한다.
온도감시회로(64)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와, 캘린더 기억회로(61)에서 선택된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결정한다. 즉, 온도감시회로(64)는, 온도검출회로(61)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가, 캘린더 기억회로(61)에서 선택된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올리고,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내려서, 결정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63)에 공급한다.
상술과 같이 기능하는 각 부를 갖추는 데이터 전송장치(60)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도 13에 나타내는 일련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단계(S73)에 있어서, 온도검출센서(7)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64)에 공급한다. 캘린더 기억회로(61)는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한 목표온도치를 온도감시회로(64)에 공급한다.
단계(S74)에 있어서, 온도감시회로(64)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온도치가 캘린더 기억회로(61)에서 기억되는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온도치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단계(S75)로 진행하고,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올린다. 한편,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온도치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단계(S76)로 진행하고, 데이터의 송신비틋속도의 상한치를 끌어내린다.
단계(S77)에 있어서, 데이터처리 제어회로(62)는 입출력회로(2)를 거처서, PC(9)에 대해서 새로운 패킷데이터를 요구한다.
단계(S78)에 있어서, PC(9)는 입출력회로(2)를 거처서, 데이터처리 제어회로(62)에 대해서 패킷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단계(S79)에 있어서, 데이터처리 제어회로(62)는 데이터송신 비트속도를 결정하고,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63)에 통지하는 동시에,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63)에 대해서 패킷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S80)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에 데이터처리 제어회로(62)에서 공급되는 데이터송신 비트속도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출력제어회로(11)는 단계(S81)에 있어서, 패킷화된 데이터의 순간의 송신비트속도가 어느 임계치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정한다. 순간의 송신비트속도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단계(S82)에 있어서, 패킷화된 데이터의 순간의 송신비트속도에 따라서, 출력파워를 변화시키는 뜻의 신호를 신호증폭기(6)에 공급한다. 또, 패킷화된 데이터의 순간의 비트속도가 감소한 경우, 출력파워를 감소시키는 뜻의 신호를 신호증폭기(6)에 공급한다.
한편,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가 임계치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단계(S83)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는 신호증폭기(6)에의 전원공급을 정지시키는 등하여, 신호증폭기(6)를 휴지상태로 천이시킨다.
다음에, 단계(S84)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63)는, 데이터처리 제어회로(62)에서 입력되는 패킷화된 데이터를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베이스밴드신호로 부호화하고, RF신호 변조회로(5)에 공급한다.
단계(S85)에 있어서, RF신호 변조회로(5)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63)에서 입력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변조하고,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신호를 생성한다.
단계(S86)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는 RF신호 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2)를 거처서 증폭된 RF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상술과 같이, 데이터 전송장치(60)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가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목표온도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60)는, 내부온도가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목표온도치를 상회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장치(60)는, 방열기구나 온도조절기구를 간편히 하는 것을 할 수 있는 위에서, 날짜 및 시간의 온도정보에 맞춰서 내부온도를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데이터 전송장치(60)는, 케이스체 사이즈가 더욱 소형화·경량화가 실현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작 상에서의 코스트가 삭감된다.
제 7실시형태로서 도 14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70)는, 기본구성을 도 1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1)와 동일하게 하지만, 데이터를 분할하는 분할회로(71)와, 분할되어 공급되는 데이터를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하기 위한 제 1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2), 제 2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3) 및 제 3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4)와, 각각의 베이스밴드신호를 합성하고, 1개의 신호로 합성하는 합성회로(75)를 갖추고, 데이터처리 제어회로(76)는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제어하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고속한 데이터전송을 행하기 위하여 복수(이 예에서는 3개)의 코드채널을 이용하는, 소위 멀티코드(CDMA)방식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앞에 도 1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의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전송장치(70)는 입출력회로(2)와, RF신호 변조회로(5)와, 신호증폭기(6)와, 온도검출센서(7)와, 출력제어회로(11)와, 안테나(12)와, 분할회로(71)와, 제 1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2)와, 제 2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3)와, 제 3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4)와, 합성회로(75)와, 진폭제어회로(76)와, 온도감시회로(77)를 갖춘다.
분할회로(71)는, 입출력회로(2)에서 공급되는 패킷화된 데이터를 복수채널, 예를 들면 3채널로 분할하고, 각각 제 1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2), 제 2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3) 및 제 3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4)에 공급하고, 이들의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2,33,34)에 있어서, 각각 서로 다른 확산부호인 예를 들면 코드 1, 코드 2 및 코드 3에 의해 각각 확산변조하고, 이들의 확산변조된 3채널의 신호를 후술하는 합성회로(75)에 공급한다.
합성회로(75)는 각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에서 3개의 베이스밴드신호를 입력하고, 이들 3개의 베이스밴드신호를 합성하여 합성신호를 생성하고, 진폭제어회로(76)에 공급한다.
진폭제어회로(76)는, 후술하는 온도감시회로(77)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그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합성회로(75)에서 공급되는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제어, 즉 진폭제한한다.
온도감시회로(77)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온도치를 비교하여,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결정한다. 즉, 온도감시회로(77)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온도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끌어올리고,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온도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끌어내려서, 결정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진폭제어회로(76)에 공급한다.
상술과 같이 기능하는 각 부를 갖추는 데이터 전송장치(70)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도 15에 나타내는 일련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우선, 단계(S87)에 있어서, 입출력회로(2)는 PC(9)에서 패킷화된 데이터를입력하고, 이 데이터를 분할회로(71)에 공급한다.
단계(S88)에 있어서, 분할회로(71)는 입출력회로(2)에서 입력한 패킷화된 데이터를 3개의 채널로 분할하고, 각 채널의 데이터를 제 1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2), 제 2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3) 및 제 3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4)에 각각 공급한다.
단계(S89)에 있어서, 각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2,73,74)는, 입력된 데이터를 각각 서로 다른 확산부호(코드 1, 코드 2, 코드 3)에 의해 각각 확산변조하고, 이들의 확산변조된 각 신호를 합성회로(75)에 공급한다.
단계(S90)에 있어서, 합성회로(75)는 각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2~74)로부터의 신호를 합성하고, 얻어진 합성신호를 진폭제어회로(76)로 공급한다.
단계(S91)에 있어서, 온도검출센서(7)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77)에 공급한다.
단계(S92)에 있어서, 온도감시회로(77)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온도의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단계(S93)로 진행하고,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 및 신호증폭기(6)의 전원전압을 끌어올려서,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단계(S94)로 진행하고,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 및 신호증폭기(6)의 전원전압을 끌어내려서, 결정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진폭제어회로(76)에 공급한다.
단계(S95)에 있어서, 진폭제어회로(76)는 온도감시회로(77)에 있어서 결정된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진폭제어회로(76)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합성신호의 진폭제어처리를 행하고, RF신호 변조회로(5)에 공급한다.
단계(S96)에 있어서, RF신호 변조회로(5)는 진폭제어회로(76)에서 입력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신호로 변조하고, 신호증폭기(6)에 공급한다.
단계(S97)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는 RF신호 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2)를 거처서, 증폭된 RF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상술과 같이, 데이터 전송장치(70)는, 검출되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목표온도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70)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가 목표온도치를 상회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장치(70)는, 발열온도의 최대치에 맞춰서 방열설계를 시행할 필요가 없게 되고, 방열구조를 간편히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데이터 전송장치(70)는, 케이스체 사이즈의 더욱 소형화·경량화가 실현 가능하게 된다.
제 8실시형태로서 도 16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80)는, 기본구성을 도 15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70)와 동일하게 하지만,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는 주위온도 검출회로(81)를 갖추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앞에 도 13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자치(7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한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전송장치(80)는 입출력회로(2)와, RF신호 변조회로(5)와, 신호증폭기(6)와, 온도검출센서(7)와, 출력제어회로(11)와, 안테나(12)와, 분할회로(71)와, 제 1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2)와, 제 2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3)와, 제 3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4)와, 합성회로(75)와, 진폭제어회로(76)와, 주위온도 검출회로(81)와, 온도감시회로(82)를 갖춘다.
주위온도 검출회로(81)는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주위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82)에 공급한다.
주위감시회로(8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와 주위온도 검출회로(81)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주위온도와의 온도차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온도차를 비교하고,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결정한다. 즉, 온도감시회로(8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와 주위온도 검출회로(81)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주위온도와의 온도차가 목표온도차보다도 적은 경우는,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끌어올리고, 목표온도차보다도 큰 경우는,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끌어내려서, 결정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진폭제어회로(76)에 공급한다.
상술과 같이 기능하는 각 부를 갖추는 데이터 전송장치(80)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도 17에 나타내는 일련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우선, 단계(S98)에 있어서, 입출력회로(2)는 PC(9)에서 패킷화된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 데이터를 분할회로(71)에 공급한다.
단계(S99)에 있어서, 분할회로(71)는 입출력회로(2)에서 입력한 패킷화된 데이터를 3개의 채널로 분할하고, 각 채널의 데이터를 제 1베이스밴드로 분할하고, 각 채널의 데이터를 제 1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2), 제 2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3) 및 제 3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4)에 각각 공급한다.
단계(S100)에 있어서, 각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2,73,74)는, 입력된 데이터를 각각 서로 다른 확산부호(코드 1, 코드 2, 코드 3)에 의해 각각 확산변조하고, 이들의 확산변조된 각 신호를 합성회로(75)에 공급한다.
단계(S101)에 있어서, 합성회로(75)는 각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2~74)로부터의 신호를 합성하고, 얻어진 합성신호를 진폭제어회로(76)에 공급한다.
단계(S102)에 있어서, 온도검출센서(7)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77)에 공급한다. 또, 주위온도검출수단(81)은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주위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온도감시회로(82)에 공급한다.
단계(S103)에 있어서, 온도감시회로(8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와 주위온도 검출회로(81)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주위온도와의 온도차를 검출한다.
단계(S104)에 있어서, 온도감시회로(82)는, 상기 온도차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온도차보다도 작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상기 온도차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단계(S105)로 진행하고,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 및 신호증폭기(6)의 전원전압을 올린다. 한편, 상기 온도차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단계(S106)로 진행하고,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 및 신호증폭기(6)의 전원전압을 내린다.
단계(S107)에 있어서, 진폭제어회로(76)는, 온도감시회로(82)에 있어서 결정된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진폭제어회로(76)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합성신호의 진폭제한처리를 행하고, RF신호 변조회로(5)에 공급한다.
단계(S108)에 있어서, RF신호 변조회로(5)는, 진폭제어회로(76)에서 입력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신호로 변조하고, 신호증폭기(6)에 공급한다.
단계(S109)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는 RF신호 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2)를 거처서, 증폭된 RF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상술과 같이, 데이터 전송장치(80)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와 주위온도의 차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목표온도차를 초과하지 않도록,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80)는, 주위온도와 내부온도와의 차가 목표온도차를 상회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장치(80)는, 방열기구나 온도조절기구를 간편히 할 수 있는 위에서, 주위의 온도에 따라서 내부온도를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데이터 전송장치(80)는, 케이스체 사이즈의 더욱 소형화·경량화가 실현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작 상에서의 코스트가 삭감된다.
제 9실시형태로서 도 18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90)는, 기본구성을 도 15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70)와 동일하게 하지만,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는 목표온도치를 기억하고 있는 캘린더 기억회로(91)를 갖추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앞에 도 13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7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전송장치(90)는 입출력회로(2)와, RF신호 변조회로(5)와, 신호증폭기(6)와, 온도검출센서(7)와, 출력제어회로(11)와, 안테나(12)와, 분할회로(71)와, 제 1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2)와, 제 2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3)와, 제 3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4)와, 합성회로(75)와, 진폭제어회로(76)와, 캘린더 기억회로(91)와, 온도감시회로(92)를 갖춘다.
캘린더 기억회로(91)는,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는 목표온도치를 기억하고 있고, 날짜 및 시간에서, 그 때의 목표온도치를 선택하여 온도감시회로(92)에 공급한다.
온도감시회로(9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와, 캘린더 기억회로(91)에서 선택된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결정한다. 즉, 온도감시회로(9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가, 캘린더 기억회로(91)에서 선택된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끌어올리고,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끌어내려서, 결정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진폭제어회로(76)에 공급한다.
상술과 같이 기능하는 각 부를 갖추는 데이터 전송장치(90)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도 19에 나타내는 일련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우선, 단계(S110)에 있어서, 입출력회로(2)는 PC(9)에서 패킷화된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 데이터를 분할회로(71)에 공급한다.
단계(S111)에 있어서, 분할회로(71)는 입출력회로(2)에서 입력한 패킷화된 데이터를 3개의 채널로 분할하고, 각 채널의 데이터를 제 1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2), 제 2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3) 및 제 3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4)에 각각 공급한다.
단계(S112)에 있어서, 각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2,73,74)는, 입력된 데이터를 각각 서로 다른 확산부호(코드 1, 코드 2, 코드 3)에 의해 각각 확산변조하고, 이들의 확산변조된 각 신호를 합성회로(75)에 공급한다.
단계(S113)에 있어서, 합성회로(75)는 각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72~74)로부터의 신호를 합성하고, 얻어진 합성신호를 진폭제어회로(76)에 공급한다.
단계(S114)에 있어서, 온도검출센서(7)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77)에 공급한다. 캘린더 기억회로(91)는,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목표온도치를온도감시회로(77)에 공급한다.
단계(S115)에 있어서, 온도감시회로(92)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가,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 단계(S116)로 진행하고,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 및 신호증폭기(6)의 전원전압을 올린다. 한편,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은 경우는, 단계(S117)로 진행하고,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 및 신호증폭기(6)의 전원전압을 내린다.
단계(S118)에 있어서, 진폭제어회로(76)는, 온도감시회로(92)에 있어서 결정된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진폭제어회로(76)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합성신호의 진폭제한처리를 행하고, RF신호 변조회로(5)에 공급한다.
단계(S119)에 있어서, RF신호 변조회로(5)는, 진폭제어회로(76)에서 입력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신호로 변조하고, 신호증폭기(6)에 공급한다.
단계(S120)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는, RF신호 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2)를 거처서 증폭된 RF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상술과 같이, 데이터 전송장치(90)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가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목표온도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90)는, 내부온도가 날짜 및시간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목표온도치를 상회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장치(90)는, 방열기구나 온도조절기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위에서, 날짜 및 시간의 정보에서 내부온도를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데이터 전송장치(90)는, 케이스체 사이즈의 더욱 소형화·경량화가 실현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작 상에서의 코스트가 삭감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10실시형태로서 도 20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100)는, 기본구성을 도 1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1)와 동일하게 하지만, 음성신호 입력회로(101)와, 음성CODEC(Coder/Decoder) 회로(102)를 갖추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앞에 도 1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100)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와, RF신호 변조회로(5)와, 신호증폭기(6)와, 온도검출센서(7)와, 안테나(12)와, 음성신호 입출력회로(101)와, 음성CODEC회로(102)와, 온도감시회로(103)를 갖춘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와 출력제어회로(11)를 가지고 있다.
음성신호입력회로(101)는 외부에서 음성신호를 입력하고, 이 음성신호를 후술하는 음성CODEC회로(102)에 공급한다.
음성CODEC회로(102)는, 음성신호 입력회로에서 공급되는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에 부호화하고, 베이스밴드 신호회로(10)에 공급한다.
온도감시회로(103)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와, 미리 기억되어 있는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음성CODEC회로(102)에 있어서의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를 결정한다. 즉, 온도감시회로(103)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올리고,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내려서, 결정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음성CODEC회로(102)에 공급한다.
상술과 같이 기능하는 각 부를 갖추는 데이터 전송장치(100)에 있어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도 21에 나타내는 일련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우선, 도 21의 단계(S121)에 있어서, 온도검출센서(7)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112)에 공급한다.
단계(S122)에 있어서, 온도감시회로(11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온도치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온도의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온도치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단계(S123)로 진행하고,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 및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 있어서의 부호화 비트속도를 끌어올린다. 한편,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온도치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단계(S124)로 진행하고,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 및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 있어서의부호화 비트속도를 끌어내린다.
단계(S125)에 있어서, 음성CODEC회로(102)는, 온도감시회로(112)에 있어서 결정된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무음상태를 포함하는 음성신호의 상태에 따라서, 부호화 단위인 프레임마다의 부호화 비트속도를 결정하고, 또 상기 프레임마다의 부호화 비트속도에 따른 송신비트속도의 정보를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 보내고, 상기 프레임마다의 부호화 비트속도로 음성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 출력한다.
단계(S1126)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는 음성CODEC회로(102)에 있어서의 음성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한다.
단계(S127)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는 음성데이터의 송신이 일정간격으로 행해지고 있는 것을 판정한다. 음성데이터의 송신이 일정간격으로 행해지고 있는 경우, 단계(S128)로 진행하고,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는 상기 단계(S125)에서 결정된 부호화 비트속도에 의거하여, 부호화된 음성데이터에서 베이스밴드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해야할 데이터를 RF신호 변조회로(5)에 공급한다.
한편, 음성데이터의 공급이 일정기간 이상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129)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는 RF신호 변조회로(5) 및 신호증폭기(6)에의 전원공급을 정지시키는 등 하여, RF신호 변조회로(5) 및 신호증폭기(6)를 휴지상태로 천이시킨다.
단계(S130)에 있어서, RF신호 변조회로(5)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서 입력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변조하고,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신호를 생성한다.
단계(S131)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는 RF신호 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2)를 거처서, 증폭된 RF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상술과 같이, 데이터 전송장치(100)는, 검출되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목표온도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음성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100)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가 목표온도치를 상회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장치(100)는, 발열온도의 최대치에 맞춰서 방열설계를 시행할 필요가 없게 되고, 방열기구를 간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데이터 전송장치(100)는, 케이스체 사이즈의 더욱 소형화·경량화가 실현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작 상에서의 코스트가 삭감된다.
제 11의 실시형태로서 도 22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11)는, 기본구성을 도 20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100)와 동일하게 하지만,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는 주위온도 검출수단(111)을 갖추는 점에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앞에 도 1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전송장치(110)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와, RF신호 변조회로(5)와, 신호증폭기(6)와, 온도검출센서(7)와, 안테나(12)와, 음성신호 입출력회로(101)와, 음성CODEC회로(102)와, 주위온도 검출회로(111)와, 온도감시회로(112)를 갖춘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와 출력제어회로(11)를 가진다.
주위온도 검출회로(111)는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주위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112)에 공급한다.
온도감시회로(11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와 주위온도 검출회로(111)에서 검출되는 주위온도와의 온도차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온도차를 비교하고, 음성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속도를 결정한다. 즉, 온도감시회로(11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와 주위온도 검출회로(11)에서 검출되는 주위온도와의 온도차가 목표온도차보다도 작은 경우는, 음성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올리고, 목표온도차보다도 큰 경우는, 음성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내려서, 결정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음성CODEC회로(102)에 공급한다.
상술과 같이 기능하는 각 부를 갖추는 데이터 전송장치(110)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도 23에 나타내는 일련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우선, 단계(S132)에 있어서, 온도검출센서(7)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112)에 공급한다. 또, 주위온도 검출회로(111)는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주위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112)에 공급한다.
단계(S133)에 있어서, 온도감시회로(11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와 주위온도 검출회로(111)에서 입력되는 주위온도와의 온도차를 검출한다.
단계(S134)에 있어서, 온도감시회로(112)는 상기 온도차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온도차보다도 작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상기 온도차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단계(S135)로 진행하고, 음성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 및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 있어서의 송신비트속도를 끌어올린다. 한편, 상기 온도차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단계(S136)로 진행하고, 음성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 및 베이스밴드 신호부호화회로(11)에 있어서의 송신비트속도를 끌어내린다.
단계(S137)에 있어서, 음성CODEC회로(102)는 온도감시회로(112)에 있어서 결정된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무음상태를 포함하는 음성신호의 상태에 따라서, 부호화 단위인 프레임마다의 부호화 비트속도를 결정하고, 또 상기 프레임마다의 부호화 비트속도에 따른 송신비트속도의 정보를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 보내고, 상기 프레임마다의 부호화 비트속도로 음성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 출력한다.
단계(S138)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는, 음성CODEC회로(102)에 있어서의 음성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한다.
단계(S139)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는, 음성데이터의 송신이 일정간격으로 행해지고 있는 것을 판정한다. 음성데이터의 송신이 일정간격으로 행해지고 있는 경우, 단계(S140)로 진행하고,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는, 상기단계(S125)에서 결정된 부호화 비트속도에 의거하여, 부호화된 음성데이터에서 베이스밴드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해야할 데이터를 RF신호 변조회로(5)에 공급한다. 한편, 음성데이터의 공급이 일정기간 이상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141)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는 RF신호 변조회로(5) 및 신호증폭기(6)에의 전원공급을 정지시키는 등하여, RF신호 변조회로(5) 및 신호증폭기(6)를 휴지상태로 천이시킨다.
단계(S142)에 있어서, RF신호 변조회로(5)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서 입력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변조하고,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신호를 생성한다.
단계(S143)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는 RF신호 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2)를 거처서, 증폭된 RF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상술과 같이, 데이터 전송장치(110)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와 주위온도의 차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목표온도차를 초과하지 않도록, 음성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110)는, 주위온도와 내부온도와의 차가 목표온도차를 상회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장치(110)는, 방열기구나 온도조절기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위에, 주위온도에 따라서 내부온도를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데이터 전송장치(110)는, 케이스체 사이즈의 더욱 소형화·경량화가 실현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작 상에서의 코스트가 삭감된다.
제 12실시의 형태로서 도 24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120)는, 기본구성을 도 20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100)와 동일하게 하지만, 날자 및 시간에 대응하는 목표온도치를 기억하고 있는 캘린더 기억회로(121)를 갖추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앞에 도 1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전송장치(120)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와, RF신호 변조회로(5)와, 신호증폭기(6)와, 온도검출센서(7)와, 안테나(12)와, 음성신호 입출력회로(101)와, 음성CODEC회로(102)와, 캘린더 기억회로(121)와, 온도감시회로(122)를 갖춘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와 출력제어회로(11)를 가진다.
캘린더 기억회로(121)는,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는 목표온도치를 기억하고 있고, 날짜 및 시간에서, 그 때의 목표온도치를 선택하여 온도감시회로(122)에 공급한다.
온도감시회로(12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와 캘린더 기억회로(121)에서 선택된 목표온도치를 검출하고,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결정한다. 즉, 온도감시회로(12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가, 캘린더 기억회로(121)에서 선택된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올리고,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내려서, 결정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진폭제어회로(76)에 공급한다.
상술과 같이 기능하는 각 부를 갖추는 데이터 전송장치(90)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도 25에 나타내는 일련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우선, 단계(S144)에 있어서, 온도검출센서(7)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온도감시회로(122)에 공급한다. 캘린더 기억회로(121)는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한 목표온도치를 온도감시회로(122)에 공급한다.
단계(S145)에 있어서, 온도감시회로(122)는 온도검출센서(7)에서 입력되는 온도가, 캘린더 기억회로(121)에서 기억되는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단계(S146)로 진행하고, 음성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 및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 있어서의 송신비트속도를 끌어올린다. 한편,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가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단계(S147)로 진행하고, 음성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 및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 있어서의 송신비트속도를 끌어내린다.
단계(S148)에 있어서, 음성CODEC회로(102)는 온도감시회로(112)에 있어서 결정된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무음상태를 포함하는 음성신호의 상태에 따라서, 부호화 단위인 프레임마다의 부호화 비트속도를 결정하고, 또 상기 프레임마다의 부호화 비트속도에 따른 송신비트속도의 정보를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 보내고, 상기 프레임마다의 부호화 비트속도로음성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 출력한다.
단계(S149)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는 음성CODEC회로(102)에 있어서의 음성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한다.
단계(S150)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는 음성데이터의 송신이 일정간격으로 행해지고 있는 경우, 단계(151)로 진행하고,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는, 상기 단계(S125)에서 결정된 부호화 비트속도에 의거하여, 부호화된 음성데이터에서 베이스밴드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해야할 데이터를 RF신호 변조회로(5)에 공급한다. 한편, 음성데이터의 공급이 일정기간 이상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152)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1)는 RF신호 변조회로(5) 및 신호증폭기(6)에의 전원공급을 정지시키는 등하고, RF신호 변조회로(5) 및 신호증폭기(6)를 휴지상태로 천이시킨다.
단계(S153)에 있어서, RF신호 변조회로(5)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0)에의해 입력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변조하고,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신호를 생성한다.
단계(S154)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는 RF신호 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2)를 거처서, 증폭된 RF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상술과 같이, 데이터 전송장치(120)는, 신호증폭기(6)의 온도가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목표온도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음성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60)는, 내부온도가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목표온도치를 상회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장치(120)는 방열기구나 온도조절기구를 간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위에서, 날짜 및 시간의 정보에서 내부온도를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데이터 전송장치(120)는, 케이스체 사이즈의 더욱 소형화·경량화가 실현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작 상에서의 코스트가 삭감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도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는, 휴대 가능하고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송신해야할 데이터의 전송율을 제어하는 데이터전송 처리제어수단과,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내부온도 검출수단과, 내부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에 따라서 데이터전송 처리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온도감시수단을 갖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는, 검출되는 내부온도에 따라서 데이터전송율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장치 내부의 발열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는, 방열기구를 간편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케이스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저코스트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는, 휴대가 가능하고,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부호화수단과, 내부온도 검출수단과, 내부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온도에 따라서 데이터 부호화수단을 제어하는 온도감시수단을 갖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는, 검출되는 내부온도에 따라서 데이터부호화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장치 내부의 발열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는, 방열설계를 간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케이스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저코스트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방법은,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내부온도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처리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전송방법은, 검출되는 내부온도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처리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데이터를 전송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방법은, 방열공정을 간편히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방법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는, 케이스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저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방법은,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온도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부호화 처리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방법은, 검출되는 내부온도에 따라서 데이터 부호화처리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데이터를 전송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방법은, 방열공정을 간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방법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는, 케이스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저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상술한 제 2, 제 5, 제 8 및 제 1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장치는,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는 주위온도 검출회로를 갖추지만, 이 주위온도 검출회로는, 신호증폭기 등의 다른 회로에서 발생하는 열의 영향이 없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면 좋다.
주위온도 검출회로를 갖추는 제 2, 제 5, 제 8 및 제 11실시형태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는, 신호증폭기가 정상으로 가동하는 범위의 온도에서, 또한 주위온도와 내부온도와의 차이가 가능한 한 작게 되도록 제어되고 있다.
따라서, 주위온도와 내부온도와의 온도차가 생김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의 위화감이란, 예를 들면 밖의 기온이 낮을 때 등에,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그 휴대전화가 통상의 처리동작에 의해 발하는 정상적인 발열을 극단적으로 가열하고 있는 것으로 착각하는 것과 같은 경우를 말한다.
또, 상술한 제 3, 제 6, 제 9 및 제 1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장치는,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는 목표온도치를 기억하고, 그 중에서 적절한 목표온도치를 선택하는 캘린더 기억회로를 갖추는 것이지만, 캘린더 기억회로 대신에, 데이터 전송장치가 존재하는 지역에 대응하는 목표온도치를 선택하도록 하는 수단을 갖추고 있어도 좋다.
지역에 대응하는 목표온도치를 선택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가장 가까운 기지국에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갖춤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하는 경우 등이 있다.
데이터 전송장치가 휴대전화 시스템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의 경우, 데이터 전송장치는, 항시 가장 가까운 기지국과 교신하여 기지국의 정보를 수신하고 있다. 데이터 전송장치는, 이 때에, 기지국정보와 함께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목표온도치를 결정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전송장치는, 사용지역에 따라서 목표온도치의 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 데이터 전송장치가 GPS를 갖추는 경우, 데이터 전송장치는 내부에 갖추어진 GPS에서, 항시 자신의 위치정보를 공급하여서 위치를 확인하고, 이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목표온도치를 결정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전송장치는, 자신의 위치가 보다 정확히 특정되기 때문에, 보다 엄밀하게 목표온도치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PC(9)는, 휴대전화장치 등의 데이터 전송장치의 외부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데이터 전송장치의 내부에 CPU 등의 데이터 처리회로로서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Claims (38)

  1. 휴대가능하고,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송신해야 할 데이터의 전송율을 제어하는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과,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내부온도 검출수단과,
    상기 내부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검출온도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온도감시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입력을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온도감시수단은, 상기 내부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검출온도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은,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간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시수단은, 상기 검출온도가 상기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끌어올리는 신호를 생성하는, 또는 상기 검출온도가 상기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간격의 상한치를 끌어내리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입력을 제어하는 것이고,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는 주위온도 검출수단을 갖추고,
    상기 온도감시수단은, 상기 내부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검출온도와, 상기 주위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주위의 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은,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패킷화된 상기 데이터의 송신간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입력을 제어하는 것이고,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는 일시의 목표온도치가 기억되어 있는 캘린더 기억수단을 갖추고,
    상기 온도감시수단은, 상기 내부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검출온도와, 상기 캘린더 기억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일시의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은,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간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입력을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온도감시수단은, 상기 내부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검출온도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은,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시수단은, 상기 검출온도가 상기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올리는 신호를 생성하는, 또는 상기 검출온도가 상기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내리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입력을 제어하는 것이고,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는 주위온도 검출수단을 갖추고,
    상기 온도감시수단은, 상기 내부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검출온도와, 상기 주위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주위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은,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입력을 제어하는 것이고,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는 일시의 목표온도치가 기억되어 있는 캘린더 기억수단을 갖추고,
    상기 온도감시수단은, 상기 내부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검출온도와, 상기 캘린더 기억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일시의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은,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복수 채널의 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 분할수단과,
    상기 복수채널의 데이터를 각각 다른 확산부호로 확산변조하는 복수의 베이스밴드신호 부호화수단과,
    상기 베이스밴드신호를 합성하고, 합성신호를 생성하는 합성수단과,
    상기 합성신호를 송신신호로 변조하는 송신신호 변조수단과,
    상기 송신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증폭수단을 갖추고,
    상기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은, 상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시수단은, 상기 내부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검출온도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은,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시수단은, 상기 검출온도가 상기 목표온도치보다도 낮은 경우, 상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끌어올리는 신호를 생성하는, 또는 상기 검출온도가 상기 목표온도치보다도 높은 경우, 상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끌어내리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는 주위온도 검출수단을 갖추고,
    상기 온도감시수단은, 상기 내부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검출온도와, 상기 주위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주위의 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은,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는 일시의 목표온도치가 기억되어 있는 캘린더 기억수단을 갖추고,
    상기 온도감시수단은, 상기 내부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검출온도와, 상기 캘린더 기억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일시의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은,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얻은 베이스밴드신호를 송신신호로 변조하는 송신신호 변조수단과,
    상기 송신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증폭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6. 휴대가능하고,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부호화수단과,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내부온도 검출수단과,
    상기 내부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검출온도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부호화수단을 제어하는 온도감시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시수단은, 상기 내부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검출온도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 부호화수단은,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부호화 비트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시수단은, 상기 검출온도가 상기 목표온도보다도 낮은 경우,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올리는 신호를 생성하는, 또는 상기 검출온도가 상기 목표온도보다도 높은 경우, 부호화 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끌어내리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는 주위온도 검출수단을 갖추고,
    상기 온도감시수단은, 상기 내부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검출온도와, 상기 주위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주위의 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 부호화수단은,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부호화 비트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는 일시의 목표온도치가 기억되어 있는 캘린더 기억수단을 갖추고,
    상기 온도감시수단은, 상기 내부온도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검출온도와, 상기 캘린더 기억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일시의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 부호화수단은,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부호화 비트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얻은 베이스밴드신호를 송신신호로 변조하는 송신신호 변조수단과,
    상기 송신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증폭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22.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온도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베이스밴드신호로 부호화하고,
    상기 베이스밴드신호를 송신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송신신호를 증폭시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의 온도와, 미리 기억되어 있는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간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의 온도와, 주위온도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간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의 온도와, 일시의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간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의 온도와, 미리 기억되어 있는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의 온도와, 주위온도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를 입력할 때의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의 온도와, 일시의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30.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복수채널의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채널의 데이터를 각각 서로 다른 확산부호로 확산변조하고,
    상기 확산변조된 각 채널의 신호를 합성하여 합성신호를 생성할 때, 상기 내부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제어하고,
    상기 합성신호를 송신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송신신호를 증폭시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의 온도와, 미리 기억되어 있는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의 온도와 주위온도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33.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의 온도와, 일시의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34.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온도에 따라서 데이터 부호화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베이스밴드신호로 부호화하고,
    상기 베이스밴드신호를 송신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송신신호를 증폭시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36.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의 온도와 미리 기억되어 있는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부호화 비트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37.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의 온도와, 주위온도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부호화 비트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38.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의 온도와, 일시의 목표온도치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부호화 비트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KR1020017008214A 1999-11-05 2000-11-06 데이터 전송장치 및 데이터 전송방법 KR200100932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588799 1999-11-05
JP99-315887 1999-11-05
PCT/JP2000/007787 WO2001033722A1 (fr) 1999-11-05 2000-11-06 Procede et dispositif d'emission de donne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228A true KR20010093228A (ko) 2001-10-27

Family

ID=1807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214A KR20010093228A (ko) 1999-11-05 2000-11-06 데이터 전송장치 및 데이터 전송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143627A4 (ko)
KR (1) KR20010093228A (ko)
CN (1) CN1338153A (ko)
WO (1) WO2001033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4227B2 (ja) 2005-09-29 2011-02-02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US7698578B2 (en) * 2006-06-29 2010-04-13 Nokia Corporation Temperature-dependent power adjustment of transmitter
US20080059658A1 (en) * 2006-06-29 2008-03-06 Nokia Corporation Controlling the feeding of data from a feed buffer
GB0613118D0 (en) * 2006-06-30 2006-08-09 Nokia Corp Controlling a mobile device
US8086229B2 (en) 2008-02-25 2011-12-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lleviating mobile device overload condi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GB2461556A (en) * 2008-07-03 2010-01-06 Artimi Ltd Controlling throughput to control temperature in an ultrawideband (UWB) transceiver circuit
US8953696B2 (en) 2008-08-05 2015-02-10 Intel Corporation Signal decoding systems
CN101571839A (zh) * 2009-05-22 2009-11-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数据传输设备温度的方法、系统及数据传输设备
DE112013000693B4 (de) * 2012-01-25 2019-06-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albleiterelement-Temperatur-Erfassungssystem und Halbleitermodul und Halbleitermodul-System
GB2508851B (en) * 2012-12-12 2015-02-18 Broadcom Corp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thermal management of user equipment coupled to a vehicle
US20160183117A1 (en) * 2014-12-17 2016-06-23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rottling uplink data based on temperature state
CN113157208A (zh) 2017-07-24 2021-07-23 三星电子株式会社 存储设备及对包括其的电子设备的温度控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1341A (ja) * 1988-10-07 1990-04-13 Yamatake Honeywell Co Ltd 予測平均温感制御方法
JPH0443247A (ja) * 1990-06-08 1992-02-13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
US5519886A (en) * 1994-09-26 1996-05-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temperature during transmissions
JP3591792B2 (ja) * 1996-01-31 2004-11-24 アイコム株式会社 無線通信機
AU714919B2 (en) * 1996-04-02 2000-01-13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for remote station
JP2976915B2 (ja) * 1996-04-02 1999-11-10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JP3270701B2 (ja) * 1996-12-26 2002-04-0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無線機
JP2990150B2 (ja) * 1998-04-06 1999-12-13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の過熱防止の方法とその装置
JP3223887B2 (ja) * 1998-09-07 2001-10-29 株式会社デンソー 無線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43627A1 (en) 2001-10-10
EP1143627A4 (en) 2003-08-06
CN1338153A (zh) 2002-02-27
WO2001033722A1 (fr) 200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2430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a radio transmitter
KR20010093228A (ko) 데이터 전송장치 및 데이터 전송방법
JP3406867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
KR100785540B1 (ko)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전송 레이트 제어 방법
ES2239026T5 (es)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llevar a cabo una transferencia, tal como una transferencia entre sistemas distintos,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inalambrico.
US5471650A (en) Radio link parameter control in wireless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JP2001308785A (ja)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式
KR20010015417A (ko) 메모리에 기초한 증폭기 부하 조절 시스템
GB2294833A (en) Increasing amplifier efficiency using variable bias
RU2005120011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совокупности приемлемых комбинаций транспортных форматов
JP2006074322A (ja) 基地局、移動局およびその送信電力制御方法
JP2003503883A (ja) 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これに対応する無線システム
JP4705040B2 (ja) 不連続送信の状態値に基づいてダウンリンクおよびアップリンクの符号化複合トランスポートチャネルにおける送信電力を制御するための無線通信方法および装置
KR100352559B1 (ko) 이동정보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630077B1 (ko) 휴대폰의 전원을 이용한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의 충전장치 및 방법
US6208855B1 (en) Mobile data communication system
US6778511B1 (en) Power control method and a radio system
CN101442794B (zh) 一种控制无线终端发射功率的方法及无线终端
EP11436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JP3289713B2 (ja) 無線送受信機
JP3834492B2 (ja) バッテリーセーブ方法、モバイル機器及びバッテリーセーブ処理プログラム記録記憶媒体
JP2004260489A (ja) 干渉を回避するための受信品質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675754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apting transmission power of a remote wireless device
EP184455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accomplishing tpc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217783A (ja) 高セキュリティ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高セキュリティ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