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2468A - 심장 부정 박동의 감지 및 조절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심장 부정 박동의 감지 및 조절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2468A
KR20010092468A KR1020017008799A KR20017008799A KR20010092468A KR 20010092468 A KR20010092468 A KR 20010092468A KR 1020017008799 A KR1020017008799 A KR 1020017008799A KR 20017008799 A KR20017008799 A KR 20017008799A KR 20010092468 A KR20010092468 A KR 20010092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acquisition
stimulus
amplitude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7078B1 (ko
Inventor
모르톤 엠 모우어
Original Assignee
-
모우어 훼미리 씨에이취에프 트리트먼트 이레보커블 트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 모우어 훼미리 씨에이취에프 트리트먼트 이레보커블 트러스트 filed Critical -
Publication of KR20010092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0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2Heart stimulators
    • A61N1/37Monitoring; Prot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2Heart stimulators
    • A61N1/37Monitoring; Protecting
    • A61N1/371Capture, i.e. successful stimulation
    • A61N1/3712Auto-capture, i.e. automatic adjustment of the stimulation thresho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2Heart stimulators
    • A61N1/3621Heart stimulators for treating or preventing abnormally high heart rate
    • A61N1/3622Heart stimulators for treating or preventing abnormally high heart rate comprising two or more electrodes co-operating with different heart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2Heart stimulators
    • A61N1/3621Heart stimulators for treating or preventing abnormally high heart rate
    • A61N1/3624Heart stimulators for treating or preventing abnormally high heart rate occurring in the atrium, i.e. atrial tachycar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2Heart stimulators
    • A61N1/365Heart stimulators controlled by a physiological parameter, e.g. heart potential
    • A61N1/368Heart stimulators controlled by a physiological parameter, e.g. heart potential comprising more than one electrode co-operating with different heart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2Heart stimulators
    • A61N1/365Heart stimulators controlled by a physiological parameter, e.g. heart potential
    • A61N1/36514Heart stimulators controlled by a physiological parameter, e.g. heart potential controlled by a physiological quantity other than heart potential, e.g. blood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장박동 속도를 전기적으로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심방성 부정박동을 감지하는 단계; 심장박동의 기본 선을 기록하는 단계; 사전-포착 자극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심방을 자극하는 단계; 포착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및 사후-포착 자극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심방을 자극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전-포착 자극 프로토콜과 사후-포착 자극 프로토콜은 1개 공정을 이루며, 상기 공정은 역치값의 사전-포착 자극과 역치값의 사후-포착 자극, 역치값 이하의 사전-포착 자극과 역치값 이하의 사후-포착 자극, 및 역치값의 사전-포착 자극과 역치값 이하의 사후-포착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Description

심장부정박동의 감지 및 조절방법 및 장치{Artrial sensing and multiple stimulation as intervention for atrial fibrillation}
심방의 기능부전과 관련된 질병은 즉시적이지는 않으나 발병률이 높다. 심방의 박동수와 관련된 기능부전(즉, 심방 부정박동, 다양한 심방 arrhythmiae, A-V 블록 및 기타 전도성 이상증상, 등)은 혈전, 엠볼리(emboli), 스트로크(stroke) 및/또는 심장마비의 원인이 되며, 이들 각각은 환자를 심각한 상태로까지 진행시킨다.
본 발명은 심장, 특히 다 상세하게는 정상적 리듬, 전기전도성 및/또는 수축에 장애를 가진 심장의 박동을 조절하기 위한 전기자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심방의 감지단계, 심방에 대한 전기시험 자극단계, 및 심방의 다양한 영역의 다중 부위에 자극을 제공하여 서서히 정상 박동속도로 회귀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적/기능적 일관성, 즉 카디오버젼(cardioversion)을 부여하여 정상적인 심방 박동수로 일시적으로 돌아오게 하거나 전기충격에 의해 역전에 필요한 에너지 요구도를 낯춤으로써 심방의 부정박동을 극복하는 페이스메이커(pacemaker)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사람 심장에 배치된 단자 및 전극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사람 심장에 배치된 단자 및 전극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a는 삽입된 페이스메이커의 주요 기능적 성분들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선도 양극성 양쪽상 자극의 도식도이다.
도 4는 선도 음극성 양쪽상 자극의 도식도이다.
도 5는 낮은 수준과 장기간의 선도 양극성 자극과 뒤이은 공지의 음극성 자극의 도식도이다.
도 6은 경사진 낮은 수준과 긴 듀레이션(duration)의 선도 양극성 자극과 뒤이은 공지의 음극성 자극의 도식도이다.
도 7은 연속적으로 투여된 낮은 수준과 짧은 듀레이션의 선도 양극성 자극과 뒤이은 공지의 음극성 자극의 도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다중 부위로부터 심방의 박동을 조절할 수 있는 페이스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심방의 여러 부위를 자극하여 심방의 전기적 기능적 일관성을 제공하고 심장의 펌핑 기능을 즉시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심방의 박동기능을 서서히 조절할 수 있는 페이스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의 목적은 심방의 여러 부위를 자극하여 심방의 전기적 기능적 일관성을 제공하고 심장의 펌핑 기능을 즉시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심방의 박동기능을 서서히 조절할 수 있는 페이스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의 목적은 심방의 박동 속도를 측정하여 심방의 생리학적 기능을 추정할 수 있도록 심방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얻고 밀도 기능 가능성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페이스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의 목적은 전자자극장치의 전극들을 정맥내에 삽입하여 여러 부위로부터 심방을 자극함으로써 심방의 여러 부위를 자극할 수 있는 전기자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의 목적은 각각의 전극에 독립적 발전기가 구비된 장치를 사용하여 심방의 여러 부위를 자극하는 전기자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의 목적은 각각의 부위에 별도로 심속하게 동일한 자극기가 적용되도록 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심방의 여러 부위를 자극하는 전기자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8의 목적은 심방의 여러 부위를 순서적으로 자극하여 정상적인심장박동으로 회복시킬 수 있는 전기자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9의 목적은 심장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심장의 활동이 0 이 아닌 기저선에 있을 때를 인식할 수 있는 심장 활동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0의 목적은 섬유성 조직의 축적으로 인한 임계값의 상승을 저하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제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심방성 부정박동을 감지하는 단계; 심장박동의 기본 선을 기록하는 단계; 사전-포착 자극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심방을 자극하는 단계; 포착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및 사후-포착 자극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심방을 자극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전-포착 자극 프로토콜과 사후-포착 자극 프로토콜은 1개 공정을 이루며, 상기 공정은 역치값의 사전-포착 자극과 역치값의 사후-포착 자극, 역치값 이하의 사전-포착 자극과 역치값 이하의 사후-포착 자극, 및 역치값의 사전-포착 자극과 역치값 이하의 사후-포착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심장박동속도의 전기적 조절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공정은 통상의 사전-포착 자극과 2상 사후-포착 자극, 2상 사전-포착 자극과 통상의 사후-포착 자극, 및 2상 사전-포착 자극과 2상 사후-포착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심방조직 부근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전극(106,108); 다수개의 상기 전극들중 1개 이상에 연결되어 심방 조직을 자극하는 전기자극용 드라이버(144); 및 심장박동 속도의 포착상태를 측정하도록 프로그램된 프로세서 회로(131)를 구비하고 있고, 다수개의 상기 전극들(106,108)중 1개이상에 연결되어 심방 부정맥을 감지하는 감지용증폭기(139); 및 심장의 활동의 기본선을 기록하기 위해 상기 감지용증폭기(139)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메모리(133)를 구비하여, 심방 부정맥이 감지되면 전기자극용 드라이버(144)가 사전-포착 자극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포착 상태가 결정되면 전기자극용 드라이버(144)가 사후-포착 자극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사전-포착 자극 프로토콜과 사후-포착 자극 프로토콜은 1개 공정을 이루며, 상기 공정은 역치값의 사전-포착 자극과 역치값의 사후-포착 자극, 역치값 이하의 사전-포착 자극과 역치값 이하의 사후-포착 자극, 및 역치값의 사전-포착 자극과 역치값 이하의 사후-포착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공정은 2상 자극 사후-포착방식 또는 2상 자극 사전-포착 방식을 이용하거나 2상 자극 사후-포착 및 2상 자극 사후-포착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2상 자극공정은 제 1상 극성, 제 1상 진폭, 제 1상 파형 및 제 1상 기간을 가지는 제 1 자극기와, 제 2상 극성, 제 2상 진폭, 제 2상 파형 및 제 2상 기간을 가지는 제 2 자극기를 심장 조직에 차례로 인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1상 극성은 포지티브일 수 있다.
상기 제 1기의 진폭이 제 2기의 진폭보다 적을 수 있고, 상기 제 1기의 진폭이 기본선 값으로부터 제 2의 값까지 구배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제 2의 값이 1기의 진폭이 제 2기의 진폭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2의 값은 진폭 임계치 이하 최대값일 수 있고, 상기 진폭 임계치 이하 최대값이 0.5 내지 3.5 볼트인 것이바람직하다. 상기 제 1기의 기간은 제 2기 기간 이상의 길이일 수 있고, 1 내지 9 msec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기의 진폭은 2 내지 20 볼트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기의 기간이 0.3 msec 이하이고, 제 2기의 진폭이 20 볼트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자극기는 예정된 진폭, 극성 및 기간을 가지는 일련의 자극 펄스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 1 자극기는 일련의 기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일련의 기간은 1개 이상의 자극 펄스 이후에 기본선 진폭의 여분의 기간을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여분의 기간은 자극 펄스의 기간과 동일할 수 있고, 상기 제 1기 진폭이 임계치 이하 최대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폭 임계치 이하 최대값은 0.5 내지 3.5 볼트가 바람직하며, 상기 제 1기의 기간이 제 2기 기간 이상의 길이일 수 있고, 1 내지 9 msec가 바람직하며, 제 2기의 기간은 0.2 내지 0.9 msec가 바람직하고, 상기 제 2기의 진폭은 2 내지 20 볼트이고, 상기 제 2기의 기간은 0.3 msec 이하이고, 제 2기의 진폭은 20 볼트 이상이다. 제 1 자극기는 심장박동 후 200 msec 이상 이후에 개시되고, 심방 부정박동의 감지단계가 심방 혈압, 심전도 편향률 및 심전도의 밀도 기능 가능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지게 된다.
전기자극은 리드(lead) 또는 전극을 통하여 전달된다. 이와같은 리드는 심외막성(심장의 외표면) 또는 심내막성(심장의 내표면) 또는 심외막성 및 심내막성의 어떠한 결합도 될 수 있다. 리드는 본 분야의 숙련가에게 잘 알려져 있다. 리드 시스템은 단일극성 또는 이중극성일 수 있다. 단일극성 리드는 리드 자체에 하나의 전극, 음극을 보유한다. 전류는 펄스 생성기의 케이싱 상의 음극으로부터 흐르며 심장을 자극하고 양극으로 되돌아와서 회로를 완성한다. 양극성 리드는 먼쪽 말단에서 서로 짧은 거리의 리드상에 두 개의 극성을 보유하고 양쪽 전극은 심장 내부에 놓여진다.
도 1은 도입가능한 전기자극 장치(102) 및 인간심장(104)과 관련된 이와 연관된 리드 및 전극 시스템의 조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우심이 리드(106), 우심방성 중격 리드(108), 일차 관상정맥동 리드(110) 및 이차 관상정맥동(112)를 포함한다. 이와같은 각각의 다중성 소전극은 정맥주사를 통하여 주입될 수 있으며 종속성 생성기를 포함한다.
도 2는 인간 심장(104)와 관련된 리드 및 전극의 대안적 위치성정을 도시한 도입가능한 전기자극 장치(102)의 조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우심이 리드(106), 우심방성 중격 리드(108), 일차 관상정맥동 리드(110), 이차 관상정맥동(112) 및 좌자유벽 리드(204)를 포함한다. 이와같은 각각의 다중성 소전극은 정맥주사를 통하여 주입될 수 있으며, 종속성 발생기를 포함한다. 종속성 생성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전극은 각기 다른 시간으로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로서 좌자유벽 리드(204)는 격막(206)을 관통하고 좌자유벽 리드(204)를 격막을 통과시켜 심작의 좌측면에 도달시키도록 위치된다. 앞서 언급한 리드의 위치설정은 오직 사용목적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다양한 위치에 위치한 다중리드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숙지하여야 한다.
각각의 위치(리드 위치 영역)는 독립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후 동일 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각각의 위치는 점차적으로 동일상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특정 상황은 각각의 위치가 재빨리 동일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대안적인 양태에 있어서, 위치는 정상 심작박동을 모사하기 위하여 정렬될 수 있다. 다중위치 자극능을 부여하는 것 이외에도 각 전극의 회로감지는 또한 다중위치 감지를 가능하게 한다. 삼각측량을 통하여 다중위치 감지는 어떠한 심방성 전위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도 2A에 대하여, 블록 다이어그램은 도입된 페이스메이커(102)의 주요 기능적 성분을 도시하고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1)과 연결된 페이싱/조절 회로(500)는 빈박(및/또는 서맥)의 발생을 감지하고 이에 반응하여 조절 버스(512)를 통하여 가능한 다양한 페이싱 약물의 전달을 조절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1)은 또한 심방성 부정박동의 발생을 감지한다. 심방성 부정박동의 감지는 본 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감지방법중 하나를 사용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501)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심방성 부정박동은 확장된 일련의 고속 심방성 탈분극에 대한 반응으로 감지될 수 있다. 만일 심방성 부정박동에 대한 보다 높은 특이성이 바람직하다면, 속도 파형 형태학의 정기적인 검사를 사용할 수 있다. 심방성 부정박동의 종결은 심방성 탈분극 속도의 감소 및/또는 그들의 규칙성의 증가를 통하여 감지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1)의 작동은 읽기만 가능한 메모리(ROM)(505) 및 무작위 접근 메모리(RAM)(503)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 조절된다. 장치의 작동은 도입가능한 자극기내 조절 및 공지의 원격조정회로를 사용하여 메모리(5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변경등을 통해 내과의사에 의해 별경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1), 메모리(503, 505) 및 조절 로직(500)과의 의사소통은 주소/데이타 버스(507)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심방성 감지회로(509)는 본 분야에 알려진 기존의 장치에 사용된 어떠한 심방성 심장 감지회로와 동등한 어떠한 공지의 심장 감지 증폭기 회로가 될 수 있다.
도입된 페이스메이커(102)는 심방성 페이싱 드라이버(514)로부터 전극으로의 페이싱 펄스의 선택적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매트릭스(516)을 보유한다. 매트릭스(516)는 선택적 페이싱 회로(516), 전극(106 및 108), 또는 전극(110 및 112) 또는 이와 다른 조합의 전극에 대한 페이싱/조절 회로(500)의 조절하에 활성화되는 하나이상의 FET 및/또는 SCR 스위치의 단순한 집합체로서 포함될 수 있다. 즉, 심방성 항-빈빅(또는 항-서맥 페이싱)은 어떠한 조합의 사용된 페이싱 전극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자극은 캡쳐가 발생할 때까지 시발점에서 주입되며, 캡쳐가 발생하는 때에는 자극은 서브시발점 수준으로 주입된다. 대안적인 양태에 있어서, 자극은 (1) 시발점에서 개시되고 시발점에 남아 있거나; (2) 서브시발점에서 개시되고 서브시발점에 남아있거나; (3) 캡쳐 이전에 공지되고 이후 이상성이 되거나; (4) 캡쳐 이전에 이상성이 되고 이후 공지되거나; 또는 (5) 전체가 이상성이 되는 것이다.
시발점은 심근을 자극(캡쳐)하기에 충분한 최소 전압수준(또는 고정된 전압을 사용하는 펄스 넓이)을 의미한다. 캡쳐하는 것은 주어진 자극 때문에 유도된 박동을 생성시키는 것이다. 즉, 펄스 부재하에서는 박동이 생성되지 않는다. 캡쳐하지 않는 펄스는 서브시발점이다(심지어 펄스는 다소 그리고 일시적으로 잠재적인막을 혼란시키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즉, 서브시발점 펄스는 유도심박을 개시하는 매커니즘을 통하지 않고 이후의 전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발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캡쳐가 수득되거나 손실될때까지 전압(또는 펄스 넓이)을 (위 또는 아래로) 다양하게한다.
공지의 자극은 본 분야의 숙련가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비자극성 펄스는 최소 매그니튜드이고 예를들면 전극상의 잔류 전하를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다중상 파형뿐만 아니라 단일상 파형(음극성 또는 양극성)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7은 이상성 자극 프로토콜의 범위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같은 프로토콜은 본원에 인용문헌으로 포함된 Mower의 미합중국 특허 출원번호 08/699,552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양극성 자극(302)을 포함하고 앰플리튜드(304) 및 듀레이션(306)을 보유한 일차자극상이 주입된 이상성 전기자극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같은 일차 자극상은 즉시 동일 세기 및 듀레이션을 갖는 음극성 자극을 포함한 이차자극상을 수반한다.
도 4는 음극성 자극(402)을 포함하고 앰플리튜드((404) 및 듀레이션(406)을 보유한 일차자극상이 주입된 이상성 전기자극을 도시하고 있다. 일차 자극상은 즉시 동일한 세기 및 듀레이션을 갖는 양극성 자극(408)을 수반한다.
도 5는 낮은 수준, 긴 듀레이션 양극성 자극(502)을 포함하고 앰플리튜드(504) 및 듀레이션(506)을 보유한 일차 자극상이 주입된 이상성 자극의 바람직한 앵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같은 일차 자극상은 즉시 공지의 세기 및 듀레이션을 갖는 음극성 자극(508)을 포함한 이차 자극상을 수반한다. 이와 다른 대안적 양태로서, 양극성 자극(502)은 (1) 최대 서브시발점 앰플리튜드에서; (2) 3 볼트 이하의; (3) 약 2 내지 8 밀리초의 듀레이션을 갖고; 및/또는 (4) 200 밀리초 후심장박동으로 주입된다. 최대 서브시발점 앰플리튜드는 수축을 유발시키지 않고 주입될 수 있는 최대 자극 앰플리튜드로서 본 출원의 목적으로 제한된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양극성 자극은 약 3 밀리초 듀레이션에 대하여 약 2 볼트이다. 이와 다른 대안적 양태에 있어서, 음극성 자극(508)은 (1) 짧은 듀레이션을 갖고; (2) 약 0.3 내지 1.5 밀리초; (3) 높은 앰플리튜드를 갖고; (4) 3 내지 20 볼트 범위에서; 및/또는 (5)20볼트 이상의 전압하에서 0.3 밀리초 이하의 듀레이션을 갖는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음극성 자극은 약 0.4 밀리초 동안 주입된 약 6볼트이다. 본 명세서를 필독하면 명백해 질 수 있는 변형 및 변경 뿐만아니라 이와같은 양태에 의해 개시된 방법에 있어서, 자극의 일차상에서 활성화가 필요없이 최대 막 포탠셜이 달성된다.
도 6은 양극성 자극(602)를 포함한 일차 자극상이 세기 수준(606)을 증가시키는 기간동안 주입된 이상성 자극의 대안적인 바람직한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승 세기수준(606)의 경사는 선형 또는 비선형일 수 있으며, 경사는 다양할 수 있다. 이와같은 양극성 자극은 즉시 공지의 세기 및 듀레이션을 가진 음극성 자극(608) 이차자극상을 수반한다. 대안적인 양태에 있어서, 양극성 자극(602)는 (1) 3볼트 이하의 최대 서브시발점 앰플리튜드까지 상승하며; (2) 약 2 내지 8 밀리초의 듀레이션을 가지고; 및/또는 (3) 200 밀리초 후심장박동동안 주입된다.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 있어서, 음극성 자극(608)은 (1) 짧은 듀레이션을 갖고; (2) 약 0.3 내지 1.5 밀리초를 갖고; (3) 높은 앰플리튜드를 갖고; (4) 3 내지 20 볼트의 범위에 있고; 및/또는 (5) 0.3 밀리초 이하의 듀레이션을 갖고 및 20볼트 이상의 전압하에 있다. 본 명세서를 필독하면 명백해 질 수 있는 변형 및 변경 뿐만아니라 이와같은 양태에 의해 개시된 방법에 있어서, 자극의 일차상에서 활성화가 필요없이 최대 막 포탠셜이 달성된다.
도 7은 양극성 펄스 시리즈(702)를 포함한 일차자극상이 앰플리튜드(704)에서 주입된 이상성 전기자극을 도시하고 있다.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휴식기(702)는 자극기(708)와 동일한 듀레이션을 가지고, 베이스라인 앰플리튜드에서 주입된다. 대안적인 양태에 있어서, 휴식기(706)은 자극기(708)와 다른 듀레이션을 가지고 베이스라인 앰플리튜드에서 주입된다. 공지의 세기 및 듀레이션을 갖는 음극성 자극(710)을 포함하고 즉시 완전한 시리즈(702)를 수반하는 이차 자극상을 제외하고는 휴식기(706)는 각각의 자극기(708) 이후 발생한다. 대안적인 양태에 있어서, (1) 음극성 자극의 시리즈(702)를 통하여 전달된 전체 전하가 최대 서브시발점 수준이고; 및/또는 (2) 시리즈(702)의 일차 자극상 펄스는 200 밀리초 후심장박동동안 주입된다. 다른 대안적 양태에 있어서, 음극성 자극(710)은 (1) 짧은 듀레이션을 갖고; (2) 약 0.3 내지 1.5 밀리초이고; (3) 높은 앰플리튜드를 갖고; (4) 약 3 내지 20 볼트의 범위하에 있고; 및/또는 (5) 0.3 밀리초 이하의 듀레이션을 갖고 20볼르 이상의 전압하에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를 기술하고 있다. 감지는 심방성 부정박동(802)의 존재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감지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접적인 감지는 다중성 심방성 감지 전극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감지 전극은 전기신호로 표시된 심장활성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본 분야에 알려진 R-파장은 심실조직의 탈분극을 발생시키고 P-파장은 심방성 조직의 탈분극을 발생시킨다. 이와같은 전기신호를 모니터하여 ICD의 조절/타이밍 회로는 환자의 심장박동의 속도 및 동일성을 측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심장이 부정맥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같은 측정은 감지된 R-파장 및/또는 P-파장 속도를 측정하고 이와 같이 측정된 속도를 다양한 기준속도와 비교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직접적인 감지는 다양한 기준,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제한을 두지는 않지만, 초기속도, 갑작스런 개시 및 안정성등의 기초가 될 수 있다. 초기속도 감지의 유일한 기준은 심장속도이다. 초기속도 기준을 적용시킬 때 만일 심장속도가 미리 정해진 수준을 초과하면 치료가 시작된다. 감지 전자는 갑작스런 개시 기준을 설정하고 느리게 발생하는 변화는 무시하며, 순간적인 발작성 부정맥과 같은 갑작스런 변화가 있을 때 치료를 개시한다. 이와같은 형태의 기준은 동성빈박과 구별한다. 속도의 안정성은 또한 중요한 기준이다. 예를 들면, 심실 장치를 이용한 치료가 다양한 최초속도동안 보장되지 않으며, 여기서는 심방성 장치를 이용한 치료를 의미한다.
대안적인 양태에 있어서, 감지는 간접적일 수 있다. 간접적인 감지는 심방성 혈압, 심전도 편향율 또는 심전도의 개연성 밀도 기능(pdf)와 같은 어떠한 다양한기능적 파라미터에 기초가 될 수 있다. 구형 심전도 및/또는 R 파장에 pdf를 적용하는 것은 본 분야에 알려진 기술인 반면, 베이스라인의 pdf가 또한 심방성 비정상성의 측정을 의미한다는 것을 예상외로 발견하였다. 여기서, 전극은 심방에 특이적이고 R 파장과 관련된 정보는 취소된다. 즉, 투약자에 관계없이 베이스라인 근처에서 신호가 소모하는 시간을 pdf 모니터링하는 것에 의해 치료가 영향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부정맥이 심방 또는 심실로부터 유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캡쳐가 발생하고 리듬을 혼란시키는지 여부를 관찰하기 위하여시험 임펄스를 한 챔버에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심실 리듬에 있어서, 심방 실험 임펄스는 심방을 캡쳐할 수 있지만, 심실리듬은 이후에도 변하지않을 것이다. 심방 리듬에 있어서, 만일 심방 실험 펄스가 캡쳐한다면, 모든 실질적인 벤트(bent)의 타이밍이 변화된다. 펄스가 캡쳐하는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동이후 즉시 베이스라인은 0과(또는 베이스라인 템플레이트와) 상이한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될 수 있다. 만일 상이하다면, 박동은 캡쳐된 것으로 추론될 수 있다. 또한, 리듬의 pdf 형태는 캡쳐를 추론하면서 변형된 것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정상적 리듬, 전기전도성 및/또는 수축에 장애를 가진 심장의 박동을 조절하기 위한 전기자극장치가 제공됨으로써, 심실 등의 기능부전에 따른 심장 부정맥 또는 부정박동을 겪어온 환자들의 정상적 호전을 달성할 수 잇는 전기가 제공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43)

  1. 심장박동 속도를 전기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심방성 부정박동을 감지하는 단계;
    심장박동의 기본 선을 기록하는 단계;
    사전-포착 자극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심방을 자극하는 단계;
    포착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및
    사후-포착 자극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심방을 자극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전-포착 자극 프로토콜과 사후-포착 자극 프로토콜은 1개 공정을 이루며, 상기 공정은 역치값의 사전-포착 자극과 역치값의 사후-포착 자극, 역치값 이하의 사전-포착 자극과 역치값 이하의 사후-포착 자극, 및 역치값의 사전-포착 자극과 역치값 이하의 사후-포착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이 통상의 사전-포착 자극과 2상 사후-포착 자극, 2상 사전-포착 자극과 통상의 사후-포착 자극, 및 2상 사전-포착 자극과 2상 사후-포착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방법.
  3.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에 있어서,
    심방조직 부근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전극(106,108);
    다수개의 상기 전극들중 1개 이상에 연결되어 심방 조직을 자극하는 전기자극용 드라이버(144); 및
    심장박동 속도의 포착상태를 측정하도록 프로그램된 프로세서 회로(131)
    를 구비하고 있고,
    다수개의 상기 전극들(106,108)중 1개 이상에 연결되어 심방 부정맥을 감지하는 감지용증폭기(139); 및
    심장의 활동의 기본선을 기록하기 위해 상기 감지용증폭기(139)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메모리(133)
    를 구비하여, 심방 부정맥이 감지되면 전기자극용 드라이버(144)가 사전-포착 자극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포착 상태가 결정되면 전기자극용 드라이버(144)가 사후-포착 자극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사전-포착 자극 프로토콜과 사후-포착 자극 프로토콜은 1개 공정을 이루며, 상기 공정은 역치값의 사전-포착 자극과 역치값의 사후-포착 자극, 역치값 이하의 사전-포착 자극과 역치값 이하의 사후-포착 자극, 및 역치값의 사전-포착 자극과 역치값 이하의 사후-포착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이 2상 자극 사후-포착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이 2상 자극 사전-포착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이 2상 자극 사후-포착 및 2상 자극 사후-포착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상 자극공정이 제 1상 극성, 제 1상 진폭, 제 1상 파형 및 제 1상 기간을 가지는 제 1 자극기와, 제 2상 극성, 제 2상 진폭, 제 2상 파형 및 제 2상 기간을 가지는 제 2 자극기를 심장 조직에 차례로 인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제 1상 극성이 포지티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2상 자극공정이 제 1상 극성, 제 1상 진폭, 제 1상 파형 및 제 1상 기간을 가지는 제 1 자극기와, 제 2상 극성, 제 2상 진폭, 제 2상 파형 및 제 2상 기간을 가지는 제 2 자극기를 심장 조직에 차례로 인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제 1상 극성이 포지티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2상 자극공정이 제 1상 극성, 제 1상 진폭, 제 1상 파형 및 제 1상 기간을 가지는 제 1 자극기와, 제 2상 극성, 제 2상 진폭, 제 2상 파형 및 제 2상 기간을 가지는 제 2 자극기를 심장 조직에 차례로 인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제 1상 극성이 포지티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의 진폭이 제 2기의 진폭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의 진폭이 기본선 값으로부터 제 2의 값까지 구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값이 1기의 진폭이 제 2기의 진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값이 진폭 임계치 이하 최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임계치 이하 최대값이 0.5 내지 3.5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의 기간이 제 2기 기간 이상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의 기간이 1 내지 9 m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의 기간이 0.2 내지 0.9 m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2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의 진폭이 2 내지 20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22.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의 기간이 0.3 msec 이하이고, 제 2기의 진폭이 20 볼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2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극기가 예정된 진폭, 극성 및 기간을 가지는 일련의 자극 펄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극기가 일련의 기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기간이 1개 이상의 자극 펄스 이후에 기본선 진폭의 여분의 기간을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여분의 기간이 자극 펄스의 기간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2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 진폭이 임계치 이하 최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2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임계치 이하 최대값이 0.5 내지 3.5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2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의 기간이 제 2기 기간 이상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3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의 기간이 1 내지 9 m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3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의 기간이 0.2 내지 0.9 m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3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의 진폭이 2 내지 20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3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의 기간이 0.3 msec 이하이고, 제 2기의 진폭이 20 볼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34. 제 11항에 있어서, 제 1 자극기가 심장박동 후 200 msec 이상 이후에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35. 제 3항에 있어서, 심방 부정박동의 감지단계가 심방 혈압, 심전도 편향률 및심전도의 밀도 기능 가능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3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 진폭이 임계치 이하 최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3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임계치 이하 최대값이 0.5 내지 3.5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3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의 기간이 제 2기 기간 이상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3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의 기간이 1 내지 9 m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4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의 기간이 0.2 내지 0.9 m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41.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의 진폭이 2 내지 20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4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의 기간이 0.3 msec 이하이고, 제 2기의 진폭이 20 볼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43. 제 3항에 있어서, 심방 부정박동의 감지단계가 심방 혈압, 심전도 편향률 및 심전도의 밀도 기능 가능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 속도의 전기적 조절장치.
KR10-2001-7008799A 1999-01-11 2000-01-11 심장 부정 박동의 감지 및 조절 방법 및 장치 KR100517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28,262 1999-01-11
US09/228,262 US6178351B1 (en) 1996-08-19 1999-01-11 Atrial sensing and multiple site stimulation as intervention means for atrial fibril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468A true KR20010092468A (ko) 2001-10-26
KR100517078B1 KR100517078B1 (ko) 2005-09-26

Family

ID=22856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799A KR100517078B1 (ko) 1999-01-11 2000-01-11 심장 부정 박동의 감지 및 조절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6178351B1 (ko)
EP (1) EP1150744B1 (ko)
JP (1) JP2002534232A (ko)
KR (1) KR100517078B1 (ko)
AP (1) AP2001002229A0 (ko)
AT (1) ATE288300T1 (ko)
AU (1) AU769602B2 (ko)
BR (1) BR0007477A (ko)
CA (1) CA2359285C (ko)
CZ (1) CZ20012532A3 (ko)
DE (1) DE60017873T2 (ko)
EA (1) EA005662B1 (ko)
EE (1) EE200100365A (ko)
ES (1) ES2237412T3 (ko)
HU (1) HUP0105060A2 (ko)
IL (1) IL144260A (ko)
MX (1) MXPA01007040A (ko)
NO (1) NO20013446L (ko)
NZ (1) NZ513225A (ko)
PL (1) PL366287A1 (ko)
PT (1) PT1150744E (ko)
SK (1) SK9952001A3 (ko)
TR (1) TR200102710T2 (ko)
WO (1) WO2000041765A1 (ko)
ZA (1) ZA2001059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3232B1 (en) 1966-08-19 2002-01-29 Mower Chf Treatment Irrevocable Trust Augmentation of muscle contractility by biphasic stimulation
US7167748B2 (en) 1996-01-08 2007-01-23 Impulse Dynamics Nv Electrical muscle controller
US9289618B1 (en) 1996-01-08 2016-03-22 Impulse Dynamics Nv Electrical muscle controller
US8825152B2 (en) * 1996-01-08 2014-09-02 Impulse Dynamics, N.V. Modul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using non-excitatory electrical signals applied to the tissue
US8321013B2 (en) 1996-01-08 2012-11-27 Impulse Dynamics, N.V. Electrical muscle controller and pacing with hemodynamic enhancement
US9713723B2 (en) 1996-01-11 2017-07-25 Impulse Dynamics Nv Signal delivery through the right ventricular septum
US6341235B1 (en) 1996-08-19 2002-01-22 Mower Chf Treatment Irrevocable Trust Augmentation of electrical conduction and contractility by biphasic cardiac pacing administered via the cardiac blood pool
US6337995B1 (en) 1996-08-19 2002-01-08 Mower Chf Treatment Irrevocable Trust Atrial sensing and multiple site stimulation as intervention for atrial fibrillation
US7908003B1 (en) 1996-08-19 2011-03-15 Mr3 Medical Llc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ischemia by improving cardiac efficiency
US6295470B1 (en) * 1996-08-19 2001-09-25 The Mower Family Chf Treatment Irrevocable Trust Antitachycardial pacing
US6411847B1 (en) 1996-08-19 2002-06-25 Morton M. Mower Apparatus for applying cyclic pacing at an average rate just above the intrinsic heart rate
US7840264B1 (en) 1996-08-19 2010-11-23 Mr3 Medical, Llc System and method for breaking reentry circuits by cooling cardiac tissue
US8447399B2 (en) * 1996-08-19 2013-05-21 Mr3 Medical,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trimental cardiac remodeling
CN100402642C (zh) * 1999-02-04 2008-07-16 技术研究及发展基金有限公司 维持和扩增造血干细胞和/或祖细胞的方法和仪器
US6411845B1 (en) 1999-03-04 2002-06-25 Mower Chf Treatment Irrevocable Trust System for multiple site biphasic stimulation to revert ventricular arrhythmias
US8700161B2 (en) * 1999-03-05 2014-04-15 Metacure Limited Blood glucose level control
US20040249421A1 (en) * 2000-09-13 2004-12-09 Impulse Dynamics Nv Blood glucose level control
US9101765B2 (en) 1999-03-05 2015-08-11 Metacure Limited Non-immediate effects of therapy
US8346363B2 (en) * 1999-03-05 2013-01-01 Metacure Limited Blood glucose level control
US8666495B2 (en) * 1999-03-05 2014-03-04 Metacure Limited Gastrointestinal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treating disorders and controlling blood sugar
US8019421B2 (en) * 1999-03-05 2011-09-13 Metacure Limited Blood glucose level control
US6993385B1 (en) * 1999-10-25 2006-01-31 Impulse Dynamics N.V. Cardiac contractility modulation device having anti-arrhythmic capabilitie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reof
AU1049901A (en) 1999-10-25 2001-05-08 Impulse Dynamics N.V. Cardiac contractility modulation device having anti-arrhythmic capabilitie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reof
AU2001249877A1 (en) * 2000-04-13 2001-10-30 Uab Research Foundation Inter-atrial septum electrode for atrial defibrillation
EP1759732B1 (en) 2000-11-22 2011-07-20 Medtronic, Inc. Apparatus for detecting and treating ventricular arrhythmia
US6622040B2 (en) 2000-12-15 2003-09-16 Cardiac Pacemakers, Inc. Automatic selection of stimulation chamber for ventricular resynchronization therapy
US7130682B2 (en) * 2000-12-26 2006-10-31 Cardiac Pacemakers, Inc. Pacing and sensing vectors
US7181285B2 (en) 2000-12-26 2007-02-20 Cardiac Pacemakers, Inc. Expert system and method
JP2005508208A (ja) * 2001-06-04 2005-03-31 アルバート・アインシュタイン・ヘルスケア・ネットワーク 血栓フィルターおよび心房ペースメーカーを備えた心臓刺激装置
US8116885B2 (en) * 2001-10-15 2012-02-14 Xiangsheng Zheng Bachmann's bundle electrode for atrial defibrillation
US6907286B1 (en) 2001-10-19 2005-06-14 Pacesetter, Inc. Anti-tachycardia pacing methods and devices
US6876880B2 (en) * 2001-12-20 2005-04-05 Medtronic, Inc. Automated reapplication of atrial pacing therapies
US7983759B2 (en) 2002-12-18 2011-07-19 Cardiac Pacemakers, Inc. Advanced patient management for reporting multiple health-related parameters
US7043305B2 (en) 2002-03-06 2006-05-09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ntext among events and optimizing implanted medical device performance
US20040122294A1 (en) 2002-12-18 2004-06-24 John Hatlestad Advanced patient management with environmental data
US7110815B2 (en) * 2002-05-06 2006-09-19 Cardiac Pacemaker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mporary stimulation therapy to optimize chronic electrical performance for electrodes used in conjunction with a cardiac rhythm management system
US7321794B2 (en) * 2002-11-15 2008-01-22 Advanced Bionic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atrial fibrillation
US7136707B2 (en) 2003-01-21 2006-11-14 Cardiac Pacemakers, Inc. Recordable macros for pacemaker follow-up
ATE471501T1 (de) * 2003-02-10 2010-07-15 N trig ltd Berührungsdetektion für einen digitalisierer
JP2006519663A (ja) * 2003-03-10 2006-08-31 インパルス ダイナミックス エヌヴイ 心臓組織内の遺伝子発現を調節するための電気信号を送出する装置及び方法
US11439815B2 (en) 2003-03-10 2022-09-13 Impulse Dynamics Nv Protein activity modification
US8027721B2 (en) 2003-03-24 2011-09-27 Physio-Control, Inc. Balanced charge waveform for transcutaneous pacing
US7136700B1 (en) * 2003-06-02 2006-11-14 Pacesetter,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post-atrial arrhythmia therapy
US8792985B2 (en) * 2003-07-21 2014-07-29 Metacure Limited Gastrointestinal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treating disorders and controlling blood sugar
US20050055057A1 (en) * 2003-09-05 2005-03-10 Mirowski Famliy Ventur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pselateral therapy
US20050107833A1 (en) * 2003-11-13 2005-05-19 Freeman Gary A. Multi-path transthoracic defibrillation and cardioversion
US7769450B2 (en) * 2004-11-18 2010-08-03 Cardiac Pacemakers, Inc. Cardiac rhythm management device with neural sensor
US8352031B2 (en) * 2004-03-10 2013-01-08 Impulse Dynamics Nv Protein activity modification
US11779768B2 (en) 2004-03-10 2023-10-10 Impulse Dynamics Nv Protein activity modification
US7136702B2 (en) * 2004-03-19 2006-11-14 Medtron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multi-directional defibrillation waveforms
US8175702B2 (en) 2004-11-04 2012-05-08 The Washington University Method for low-voltage termination of cardiac arrhythmias by effectively unpinning anatomical reentries
WO2006055436A1 (en) * 2004-11-18 2006-05-26 Cardiac Pacemakers, Inc. Cardiac rhythm management device with neural sensor
EP1827571B1 (en) 2004-12-09 2016-09-07 Impulse Dynamics NV Protein activity modification
US7289847B1 (en) 2005-01-18 2007-10-30 Pacesetter, Inc. Implantable cardiac device and method of treating atrial fibrillation
US20060159587A1 (en) * 2005-01-19 2006-07-20 Beckman Coulter, Inc. Automated clinical analyzer with dual level storage and access
US9821158B2 (en) 2005-02-17 2017-11-21 Metacure Limited Non-immediate effects of therapy
WO2006097934A2 (en) * 2005-03-18 2006-09-21 Metacure Limited Pancreas lead
EP1898991B1 (en) * 2005-05-04 2016-06-29 Impulse Dynamics NV Protein activity modification
US20090234417A1 (en) * 2005-11-10 2009-09-17 Electrocor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US20070106337A1 (en) * 2005-11-10 2007-05-10 Electrocor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Disorders Through Neurological And/Or Muscular Intervention
EP2083910B1 (en) 2006-11-13 2019-08-14 Washington University of St. Louis Cardiac pacing using the inferior nodal extension
CN101939044B (zh) * 2007-12-11 2013-12-04 圣路易斯华盛顿大学 低能量终止心律失常的方法和装置
US8874208B2 (en) 2007-12-11 2014-10-28 The Washington University Methods and devices for three-stage ventricular therapy
US8560066B2 (en) 2007-12-11 2013-10-15 Washington University Method and device for three-stage atrial cardioversion therapy
US7890182B2 (en) * 2008-05-15 2011-02-15 Boston Scientific Neuromodulation Corporation Current steering for an implantable stimulator device involving fractionalized stimulation pulses
US7996085B2 (en) * 2008-11-12 2011-08-09 Biosense Webster, Inc. Isolation of sensing circuit from pace generator
US8644927B2 (en) * 2009-04-21 2014-02-04 Incube Lab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etection and treatment of atrial fibrillation
WO2011092710A2 (en) 2010-02-01 2011-08-04 Metacure Limited Gastrointestinal electrical therapy
US8473051B1 (en) 2010-12-29 2013-06-25 Cardialen, Inc. Low-energy atrial cardioversion therapy with controllable pulse-shaped waveforms
US10905884B2 (en) 2012-07-20 2021-02-02 Cardialen, Inc. Multi-stage atrial cardioversion therapy leads
US8868178B2 (en) 2012-12-11 2014-10-21 Galvani, Ltd. Arrhythmia electrotherapy device and method with provisions for mitigating patient discomfort
US10940318B2 (en) 2014-06-17 2021-03-09 Morton M. Mower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al current therapy of biological tissue
RU2609276C2 (ru) * 2015-11-06 2017-02-0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Лаборатория медицинской электроники "Биоток"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импульсног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оля для безболевой эндокардиальной кардиоверсии
JP6645914B2 (ja) * 2016-06-15 2020-02-1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JP6646177B2 (ja) * 2019-07-25 2020-02-1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59397A (en) 1973-03-22 1976-12-22 Biopulse Co Ltd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sms by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hereto
US3924641A (en) 1974-08-19 1975-12-09 Axotronics Inc Bi-phasic current stimulation system
US4343312A (en) 1979-04-16 1982-08-10 Vitafin N.V. Pacemaker output circuit
US4402322A (en) 1981-03-25 1983-09-06 Medtronic, Inc. Pacer output circuit
DE3207006A1 (de) 1982-02-26 1983-09-0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Av-sequenzieller herzschrittmacher
US4498478A (en) 1982-09-13 1985-02-12 Medtronic, Inc. Apparatus for reducing polarization potentials in a pacemaker
DE3246266A1 (de) 1982-12-14 1984-06-1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einrichtung zur desinfektion von wasserwegen in medizinischen, insbesondere zahnmedizinischen, geraeten
US4539991A (en) 1983-02-11 1985-09-10 Vitafin N.V. Dual chamber pacemaker
US4569350A (en) 1984-12-05 1986-02-11 Cordis Corporation System for detecting pacer mediated tachycardia
US5111811A (en) 1985-06-20 1992-05-12 Medtronic, Inc. Cardioversion and defibrillation lead system with electrode extension into the coronary sinus and great vein
US4903700A (en) 1986-08-01 1990-02-27 Telectronics N.V. Pacing pulse compensation
US5163429A (en) 1987-10-06 1992-11-17 Leonard Bloom Hemodynamically responsive system for treating a malfunctioning heart
US5027815A (en) 1987-11-25 1991-07-02 Medtronic, Inc. Dual chamber pacemaker with adaptive atrial escape interval
US4940054A (en) 1988-04-29 1990-07-10 Telectronic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sensitivities in arrhythmia control system including post therapy packing delay
US4944298A (en) 1989-05-23 1990-07-31 Siemens-Pacesetter, Inc. Atrial rate based programmable pacemaker with automatic mode switching means
EP0491649B1 (en) 1990-12-18 1996-09-25 Ventritex Apparatus for producing configurable biphasic defibrillation waveforms
EP0594620A4 (en) 1991-07-15 1994-11-02 Zmd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UTANEOUS CARDIAC STIMULATION.
US5213098A (en) 1991-07-26 1993-05-25 Medtronic, Inc. Post-extrasystolic potentiation stimulation with physiologic sensor feedback
US5193535A (en) 1991-08-27 1993-03-16 Medtron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on of ventricular tachycardia from ventricular fibrillation and for treatment thereof
US5215083A (en) 1991-10-07 1993-06-01 Telectronics Pacing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rrhythmia induction in arrhythmia control system
US5181511A (en) 1991-10-21 1993-01-26 Telectronics Pacing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ntitachycardia pacing using a virtual electrode
US5224475A (en) 1991-11-20 1993-07-06 Medtron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tion of ventricular tachycardia and ventricular fibrillation
US5534015A (en) 1992-02-18 1996-07-09 Ange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biphasic waveforms in an implantable defibrillator
US5334220A (en) 1992-11-13 1994-08-02 Siemens Pacesetter, Inc. Dual-chamber implantable pacemaker having an adaptive AV interval that prevents ventricular fusion beat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5391185A (en) 1993-02-22 1995-02-21 Angeion Corporation Atrial cardioverter with ventricular protection
US5411547A (en) 1993-08-09 1995-05-02 Pacesetter, Inc. Implantable cardioversion-defibrillation patch electrodes having means for passive multiplexing of discharge pulses
US5421830A (en) 1993-08-27 1995-06-06 Pacesetter, Inc. Programming system having means for recording and analyzing a patient's cardiac signal
FR2718036B1 (fr) 1994-04-05 1996-08-30 Ela Medical Sa Procédé de commande d'un stimulateur cardiaque auriculaire double du type triple chambre.
US5562708A (en) 1994-04-21 1996-10-08 Medtron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atrial fibrillation
US5735876A (en) * 1994-05-31 1998-04-07 Galvani Ltd. Electrical cardiac output for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trial defibrillator
US5601615A (en) * 1994-08-16 1997-02-11 Medtronic, Inc. Atrial and ventricular capture detection and threshold-seeking pacemaker
US5522858A (en) 1994-10-26 1996-06-04 Vitatron Medical, B.V. Pacemaker with improved reaction to stable first degree atrio-ventricular block
US5480413A (en) 1994-11-30 1996-01-02 Telectronics Pacing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the ventricular rate of a heart during atrial fibrillation
US5601608A (en) 1995-02-02 1997-02-11 Pacesetter,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ying charge-balanced antiarrhythmia shocks
SE9500620D0 (sv) 1995-02-20 1995-02-20 Pacesetter Ab Anordning för hjärtstimulering
US5620471A (en) 1995-06-16 1997-04-15 Pacesetter,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between atrial and ventricular arrhythmias and for applying cardiac therapy therefor
ATE290905T1 (de) 1996-01-08 2005-04-15 Impulse Dynamics Nv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herzaktivität unter verwendung von nicht-erregender vorstimulation
US5713929A (en) 1996-05-03 1998-02-03 Medtronic, Inc. Arrhythmia and fibrillation prevention pacemaker using ratchet up and decay modes of operation
US5800465A (en) 1996-06-18 1998-09-01 Medtronic,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site steering of cardiac stimuli
US5871506A (en) 1996-08-19 1999-02-16 Mower; Morton M. Augmentation of electrical conduction and contractility by biphasic cardiac pacing
US5814079A (en) 1996-10-04 1998-09-29 Medtronic, Inc. Cardiac arrhythmia management by application of adnodal stimulation for hyperpolarization of myocardial cells
US5855592A (en) * 1997-04-24 1999-01-05 Ep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site cardiac defibrillation using multiple electrode structures
FR2763247B1 (fr) 1997-05-16 2000-02-18 Ela Medical Sa Dispositif medical implantable actif, notamment stimulateur cardiaque, defibrillateur et/ou cardioverteur a reduction des episodes d'arythmie, notamment d'arythmie auriculaire
US5855594A (en) * 1997-08-08 1999-01-05 Cardiac Pacemakers, Inc. Self-calibration system for capture verification in pac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44260A (en) 2006-10-05
BR0007477A (pt) 2003-02-25
EE200100365A (et) 2002-10-15
ATE288300T1 (de) 2005-02-15
AU769602B2 (en) 2004-01-29
NO20013446L (no) 2001-09-10
IL144260A0 (en) 2002-05-23
NO20013446D0 (no) 2001-07-11
DE60017873T2 (de) 2006-05-18
HUP0105060A2 (hu) 2002-04-29
WO2000041765A1 (en) 2000-07-20
WO2000041765A8 (en) 2000-08-31
ZA200105918B (en) 2002-07-18
AP2001002229A0 (en) 2001-09-30
DE60017873D1 (de) 2005-03-10
CA2359285A1 (en) 2000-07-20
JP2002534232A (ja) 2002-10-15
NZ513225A (en) 2003-11-28
US6178351B1 (en) 2001-01-23
MXPA01007040A (es) 2003-07-21
EP1150744A1 (en) 2001-11-07
PT1150744E (pt) 2005-05-31
ES2237412T3 (es) 2005-08-01
EP1150744B1 (en) 2005-02-02
TR200102710T2 (tr) 2002-03-21
EA005662B1 (ru) 2005-04-28
PL366287A1 (en) 2005-01-24
AU3345800A (en) 2000-08-01
KR100517078B1 (ko) 2005-09-26
CZ20012532A3 (cs) 2002-01-16
SK9952001A3 (en) 2002-01-07
CA2359285C (en) 2008-08-19
EA200100763A1 (ru) 200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92468A (ko) 심장 부정 박동의 감지 및 조절 방법 및 장치
KR20010089640A (ko) 이식가능한 심박 자극장치 및 그 방법
US6337995B1 (en) Atrial sensing and multiple site stimulation as intervention for atrial fibrillation
US72035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capture using a coronary vein electrode
US7328067B2 (en) Cardiac rhythm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69151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nd adjusting a bipolar stimulation configuration
JP4865713B2 (ja) 頻拍性不整脈のためのatp治療
JP2520355B2 (ja) オペアンプ出力回路を有する医療用刺激器
US6625489B2 (en) Dynamic non-competitive atrial pacing
JPH06190066A (ja) 心刺激装置
JP2002500938A (ja) ニヤフィールドt波検知を用いた頻拍誘発システム
JPH08511717A (ja) 適応不応周期を利用する植え込み可能なカージオバータ‐デフィブリレータ
US67661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natural electrical coherence within the heart and for administering therapy based thereon
JPS5982831A (ja) 心臓活動を感知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プローブおよび回路組合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