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1483A -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결정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483A
KR20010091483A KR1020000013225A KR20000013225A KR20010091483A KR 20010091483 A KR20010091483 A KR 20010091483A KR 1020000013225 A KR1020000013225 A KR 1020000013225A KR 20000013225 A KR20000013225 A KR 20000013225A KR 20010091483 A KR20010091483 A KR 20010091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ime
terminal
mobile terminal
cal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혁
Original Assignee
김종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혁 filed Critical 김종혁
Priority to KR1020000013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1483A/ko
Publication of KR20010091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48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35Time or frequency of notifications, e.g. Advice of Charge [A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2Count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에서 상대방측 단말의 호접속이 이루어지는 실제적인 통화시점으로부터 통화시간의 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결정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화시간 결정방법은, 소정의 상대방측 단말과의 호접속에 의한 음성통화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소정의 상대방측 단말에 대한 호접속 시도가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대방측 단말의 호출응답에 따라 호접속이 이루어지면, 그 호접속이 이루어지는 시점으로부터 통화시간의 산정을 개시하는 단계 및, 음성통화기능이 종료되면, 그 통화종료시점까지 산정된 통화시간을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결정방법{Method For Determinating Duration Of Call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의 음성통화에 따른 통화시간이 실제적인 호접속이 이루어진 이후부터 산정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공중전화망(PSTN)과 연계하여 사용자가 위치를 이동하면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대방측과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바, 그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로는 휴대가 간편하면서 RF신호의 송/수신감도가 우수한 이동 단말기가 채용되고 있다.
또한, 그러한 이동단말기가 소정의 지역으로부터 여타의 지역으로 수시로 이동하면서 정상적인 음성통화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지역마다 신호의 송/수신을 관할하는 기지국이 구축되어야 하고, 그러한 각 지역마다의 기지국은 교환기와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 제어기의 제어를 받게 된다.
한편, 그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소정 이동 단말기가 소정의 유선 가입자 또는 무선 가입자와 진행되는 음성통화에 대한 통화시간을 산정하고, 그 산정된통화시간에 기초하여 통화요금을 부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음성통화시의 통화시간 산정은 해당 이동 단말기가 소정의 상대방측 단말과의 통화접속에 의해 음성통화가 이루어진 이후에, 정상적으로 통화종료가 이루어졌다는 정보를 그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후에야 비로소 그동안 사용한 통화시간을 산정하여 통화요금을 부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소정의 이동 단말기가 상대방측 단말과의 음성통화를 위해 호출하고자 하는 상대방측의 전화번호를 송출하게 되면, 그 호접속 시도가 이루어지는 비통화시점으로부터 통화시간이 산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측에서는 실제적으로 음성통화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음성통화를 진행하는데 따라 부과되어야 할 통화요금이 정확하게 부가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서 상대방측 단말의 호접속이 이루어지는 실제적인 통화시점으로부터 통화시간의 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결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의 호접속이 이루어지는 실제적인 통화시점으로부터 통화시간을 산정하고, 그 실제적인 통화시간의 정보를 이동 단말기측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결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시간 결정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루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실제적인 통화시간이 호접속 이후에 산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이동 단말기, 12:기지국,
14:기지국 제어기, 16:교환기,
18:통화시간 카운터, 20:과금정보 처리부,
22:인증센터, 24:가입자위치 저장부,
30:RF신호 처리부, 32:베이스밴드 변환부,
38:디지털신호 처리부, 40:키패드,
42:표시부, 44:프로그램 메모리,
46:정보 메모리, 48:데이터 메모리,
50: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상대방측 단말과의 호접속에 의한 음성통화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소정의 상대방측 단말에 대한 호접속 시도가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대방측 단말의 호출응답에 따라 호접속이 이루어지면, 그 호접속이 이루어지는 시점으로부터 통화시간의 산정을 개시하는 단계 및, 음성통화기능이 종료되면, 그 통화종료시점까지 산정된 통화시간을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결정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상대방측 단말과의 호접속에 의한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에서 상대방측 단말에 대한 호접속 시도가 있게 되면 그 상대방측 단말을 호출하는 단계와, 상대방측 단말의 호출응답에 따라 호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면, 그 호접속이 이루어지는 시점으로부터 통화시간의 산정을 개시하는 단계, 음성통화의 진행중에 산정되는 통화시간의 카운트치를 이동 단말기에 일정기간 단위로 전송하는 단계 및, 통화가 종료되면, 통화종료시까지 산정된 총통화시간에 따라 통화요금을 산출하고, 상기 총통화시간의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결정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서 소정의 상대방측 단말에 대한 호접속 시도가 수행되고 나서 그 상대방측 단말의 호출응답에 따라 호접속이 이루어지면, 그 호접속이 이루어지는 시점으로부터 실제적인 통화시간을 산정하고, 그 산정된 실제적인 통화시간에 기초하여 통화요금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실제적인 통화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화요금의 부가가 실제적인 음성통화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시간 결정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단말기(10)와, 기지국(12), 기지국 제어기(14), 교환기(16), 인증센터(22) 및, 가입자위치 저장부(24)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지국(12)은 각각의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위치를 검색하여 파악하고, 그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RF신호의 송/수신과 통신 프로토콜의 변환 및 데이터의 코딩/디코딩(Coding/Decoding)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14)는 각각의 기지국(12)을 관리하면서 상기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통신채널의 할당제어와 핸드오버(Hand Over)의 결정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교환기(16)는 공중전화망(PSTN) 및 종합정보통신망(ISDN)과 유선으로 접속되어, 유선가입자와 무선가입자 또는 무선 가입자간의 전화교환 및 데이터교환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바, 그 교환기(16)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음성통화 사용에 대한 통화시간을 카운팅하는 통화시간 카운터(18)와, 그 통화시간 카운터(18)에 의해 카운팅된 통화시간에 기초하여 통화요금을 산정하여 부가하는 과금정보 처리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화시간 카운터(18)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소정의 상대방측 단말에 대한 호접속 시도가 이루어지고, 그 상대방측 단말의 호출응답에 따라 호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호접속이 이루어진 이후부터의 실제적인 통화시점으로부터 통화시간을 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금정보 처리부(20)는 상기 통화시간 카운터(18)에 의해 카운팅되는 실제적인 통화시간에 따라 해당되는 이동 단말기(10)의 통화요금을 산출하게 된다.
상기 교환기(16)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화시간 카운터(18)로부터 제공되는 실제적인 통화시간의 카운트치를 상기 이동 단말기(10)측으로 일정시간 단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이동 단말기(10)의 통화종료가 이루어지면 상기 통화시간 카운터(18)에 의해 최종적으로 카운팅된 총통화시간의 카운트치를 상기 이동 단말기(10)측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인증센터(22)는 상기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고유번호에 의해 상기 교환기(16)에서 해당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사용허가 상태를 인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가입자위치 저장부(24)는 기등록된 이동 단말기(10)의 등록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도 2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루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는, RF신호 처리부(30)와, 베이스밴드 변환부(32), 스피커(34), 마이크로폰(36), 디지털신호 처리부(38)(Digital Signal Processor; DSP)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키패드(40)와, 표시부(42), 프로그램 메모리(44), 정보 메모리(46), 데이터 메모리(48)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5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RF신호 처리부(3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신호를 복조 및 증폭함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32)로부터의 전송 대상의 IQ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32)는 상기 RF신호 처리부(30)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디지털변환함과 더불어,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38)로부터의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변환하고, 상기 스피커(34)와 마이크로폰(36)에 각각 송/수신되는 신호를 디지털변환 및 아날로그변환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32)에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코딩(Coding) 및 디코딩(Decoding)처리를 수행하고, 다중경로 잡음 제거를 위한 이퀄라이징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키패드(40)는 음성통화할 전화번호의 입력이라던지, 통화동작의 개시 및 종료기능의 입력과, 해당 이동 단말기에 부여된 다양한 기능동작의 실행입력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를 갖추고 있다.
상기 표시부(42)는 상기 키패드(40)의 기능키 입력에 따른 결과 표시와 더불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여된 다양한 기능동작의 수행결과를 표시하기 위해 예컨대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LCD)와 같은 박형의 표시장치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42)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0)의 제어에 의해 상대방측 단말과의 실제적인 음성통화가 진행되는데 따른 통화시간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44)는 해당 이동 단말기에 갖추어진 다양한 기능동작의 수행을 위한 제어프로그램 데이터와, 네트워크상에서 송수신되는 음성 및 문자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소프트웨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보 메모리(46)는 해당 이동 단말기의 고유정보와 더불어, 사용자에 의해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각종의 사용자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데이터 메모리(48)는 네트워크상에서의 음성통화와 문자메시지의 처리에 따른 관련 데이터와 음성통화시에 산정되는 통화시간의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0)는 해당 이동 단말기에 부여된 다양한 기능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게 되는 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상기 키패드(40)의 키조작에 따라 입력된 전화번호나 상기 정보 메모리(46)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호출하여 호접속 시도가 이루어진 이후에, 상대방측 단말과의 호접속이 이루어지고 실제적인 음성통화가 진행되는 시점으로부터 통화시간을 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기(16)로부터 전송되는 실제적인 통화시간의 카운트치를 수신받아서 그 통화시간의 카운트치에 의거하여 통화시간을 산정하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해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이동 단말기(10)의 전원이 온되어 기지국(12)으로부터 해당 이동 단말기(10)의 위치가 검색된 상태에서, 그 이동 단말기(1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50)는 정보 메모리(46)에 저장된 단말기 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게 되고, 기지국 제어기(14)는 기지국(12)을 통해 수신받은 해당 이동 단말기(10)의 단말기 정보를 교환기(16)를 통해서 인증센터(22)로 송신한다. 그에 따라, 상기 인증센터(22)에서는 수신받은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적법한 등록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적법하게 등록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기지국 제어기(14)는 기지국(12)을 통해서 암호화코드를 송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사용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등록처리한다. 그러한 등록처리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통화대기상태로 돌입한다(단계 S10).
그 상태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50)는 키패드(40)의 키조작에 의해 소정 전화번호가 키입력되거나, 정보 메모리(46)에 저장된 소정의 전화번호를 지정하여 통화키를 키조작함에 의해, 상대방측 단말에 대한 호접속을 시도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
상기 판단 결과, 소정의 상대방측 단말에 대한 호접속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0)는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측 단말의전화번호를 송출하고 나서 호접속이 이루어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
상기 판단 결과, 소정의 상대방측 단말이 호출응답을 수행하지 않게 되면서 호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키패드(40)의 호출종료키가 조작되거나 해당 이동 단말기(10)의 플립이 폐쇄되면서 호출종료가 이루어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
상기 단계 S13의 판단 결과에서 호출종료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 S10으로 복귀하여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단계 S12의 판단 결과에서, 소망하는 상대방측 단말측에서 호출응답이 있게 됨에 따라 호접속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0)는 그 호접속이 이루어지는 시점으로부터 실제적인 통화시간의 산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산정되는 통화시간을 표시부(42)에 가시적으로 표시한다(단계 S14).
그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0)는 상대방측 단말에서 통화종료를 위한 조작을 수행하거나, 해당 이동 단말기(10)에서 통화종료기능을 수행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
상기 판단 결과, 상대방측 단말이나 해당 이동 단말기(10)에서 통화를 종료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그 음성통화기간까지 산정되는 통화시간을 데이터 메모리(48)에 저장하게 된다(단계 S16).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호접속 시도가 이루어지는 비통화시간에 대해서는 통화시간으로서 카운트되지 않고, 실제적인 음성통화가 진행되는 시점으로부터 통화시간을 산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해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이동 단말기(10)의 통화대기상태에서(단계 S20), 기지국 제어기(14)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소정의 상대방측 단말에 대한 전화번호가 송출되어 호접속 시도가 이루어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1).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동 단말기(10)에 의해 소정의 상대방측 단말에 대한 호접속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기지국 제어기(14)는 교환기(16)에서 목적하는 상대방측 단말에 대한 호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단계 S22).
그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14)는 상대방측 단말의 호출응답에 의해 호접속이 이루어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3).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상대방측 단말과 호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면, 그 이동 단말기(10)가 호출을 종료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24), 호출을 종료시키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 S20으로 복귀하여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단계 S23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호접속 시도에 대해 상대방측 단말에서 호출응답을 수행하여 호접속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교환기(16)의 통화시간 카운터(18)는 상기한 바와 같이 호접속이 이루어져서 실제적인 음성통화가 진행되는 시점으로부터 통화시간의 카운팅이 진행되고, 상기 통화시간 카운터(18)에서 카운팅되는 통화시간의 정보를 일정시간 단위로기지국 제어기(14)의 제어에 의해 이동 단말기(10)측으로 전송하게 된다(단계 S25).
그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50)에서는 상기 교환기(16)에 의해 카운팅되는 실제적인 통화시간의 정보를 일정시간 단위마다 수시로 수신받고, 그 통화시간의 정보를 기초로 통화시간을 산정하여 표시부(42)에 가시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그 다음에, 상기 교환기(16)는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통화종료기능을 수행하거나, 상대방측 단말에서 통화종료를 위한 기능동작을 수행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6).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통화종료 기능을 수행하거나, 상대방측 단말에서 통화종료를 위한 기능동작을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교환기(16)는 통화시간 카운터(18)에 의해 카운팅된 실제적인 총통화시간의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10)측에 전송함과 아울러, 과금정보 처리부(20)에서 상기 통화시간카운터(18)에서 산정된 총통화시간에 따라 통화요금을 부가하도록 한다(단계 27).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10)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기(16)로부터 전송되는 실제적인 총통화시간의 정보를 수신받아 정보 메모리(46)에 저장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호접속 시도가 이루어지는 비통화시간을 제외하고 실제적으로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는 시점으로부터 통화시간을산정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실제적인 음성통화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통화요금을 관리하는 교환기측의 과금시스템에서 실제적인 통화시간에 기초하여 통화요금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소정의 상대방측 단말과의 호접속에 의한 음성통화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소정의 상대방측 단말에 대한 호접속 시도가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대방측 단말의 호출응답에 따라 호접속이 이루어지면, 그 호접속이 이루어지는 시점으로부터 통화시간의 산정을 개시하는 단계 및,
    음성통화기능이 종료되면, 그 통화종료시점까지 산정된 통화시간을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결정방법.
  2.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상대방측 단말과의 호접속에 의한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에서 상대방측 단말에 대한 호접속 시도가 있게 되면 그 상대방측 단말을 호출하는 단계와,
    상대방측 단말의 호출응답에 따라 호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면, 그 호접속이 이루어지는 시점으로부터 통화시간의 산정을 개시하는 단계,
    음성통화의 진행중에 산정되는 통화시간의 카운트치를 이동 단말기에 일정기간 단위로 전송하는 단계 및,
    통화가 종료되면, 통화종료시까지 산정된 총통화시간에 따라 통화요금을 산출하고, 상기 총통화시간의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결정방법.
KR1020000013225A 2000-03-15 2000-03-15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결정방법 KR20010091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225A KR20010091483A (ko) 2000-03-15 2000-03-15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225A KR20010091483A (ko) 2000-03-15 2000-03-15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결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483A true KR20010091483A (ko) 2001-10-23

Family

ID=1965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225A KR20010091483A (ko) 2000-03-15 2000-03-15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14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415B1 (ko) * 2001-11-23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인터넷의 온라인 시간정보표시 방법
KR100934182B1 (ko) * 2003-04-23 2009-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수신 시점 통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415B1 (ko) * 2001-11-23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인터넷의 온라인 시간정보표시 방법
KR100934182B1 (ko) * 2003-04-23 2009-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수신 시점 통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8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착 발신 전환에 따른 과금 처리 방법
JPS63316942A (ja) 無線電話装置
KR19980086974A (ko) 이동 전화기 혹은 무선 가입자망 전화기의 통화요금 확인 장치 및 방법
US20040096062A1 (en) Method of ciphering data and/or voice call to be transferre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deactivating the ciphering
KR20010091483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결정방법
JPH0486035A (ja) 移動無線電話装置
KR2001008162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010091482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시간 산정방법
JP2001320764A (ja) クローン端末検知システムおよびクローン端末検知方法
KR100751082B1 (ko)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이동 통신교환국 그리고 그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받아처리하는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594010B1 (ko) 쇼트메시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잠금 제어장치 및 방법
JP3745792B2 (ja) 無線電話機
KR2001009148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18398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드방법
JP2000253191A (ja) 電話機、通信制御装置及び発呼規制解除方法
KR100427495B1 (ko)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외부전화기와 통화를 이룬 유선전화기의 과금시스템 및 그방법
JP4068112B2 (ja) 電話装置
JP3372920B2 (ja) 携帯電話機の固定電話機への接続システム、方法及び携帯電話機から固定電話機への接続時の課金システム
KR100259053B1 (ko)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등록및 인증 방법
KR100317528B1 (ko)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및 그제어방법
JP2002077466A (ja) 通信端末
KR0165614B1 (ko) 특정 시간대의 통화에 대한 예측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및 그 특정 시간대의 통화 예측 방법
JP3808617B2 (ja) 電話装置
KR0179596B1 (ko) 단위시간당 위치 보고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JPH0918947A (ja) 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