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528B1 -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528B1
KR100317528B1 KR1019990068381A KR19990068381A KR100317528B1 KR 100317528 B1 KR100317528 B1 KR 100317528B1 KR 1019990068381 A KR1019990068381 A KR 1019990068381A KR 19990068381 A KR19990068381 A KR 19990068381A KR 100317528 B1 KR100317528 B1 KR 100317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public telephon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device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8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534A (ko
Inventor
예진해
Original Assignee
김기천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천,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기천
Priority to KR1019990068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528B1/ko
Publication of KR20010066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 H04M3/248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for metering arrangements or prepayment telepho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Prepayment Telepho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 설치되어 있는 기존 공중전화기 하드웨어 구조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절차를 간단하게 변경하여,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를 소지한 이용자가 이동지역에서도 공중전화기를 통해 간편하게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동시에 부정사용을 방지하는,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의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기 설치되어 있는 기존 공중전화기 하드웨어 구조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절차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 확장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를 소지한 이용자가 이동지역에서도 공중전화기를 통해 간편하게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이용상의 편리성을 크게 제고 시켰을 뿐만 아니라, 공중전화 부정사용을 이중적으로 방지하며, 막대한 예산을 들여 설치한 공중전화 시설의 활용율을 극대화한다.

Description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A public telephone and a Control method for connecting a hand held information processor}
본 발명은 기존 공중전화기의 용도를 확장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트북 컴퓨터, 팜탑(palmtop)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의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상기 제어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시대의 발전 추세와 더불어, 노트북 컴퓨터 등의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통상적으로 모뎀(MODEM)을 내장하고 있거나 또는 외장형을 별도로 갖추어 사용함)가 널리 보급되어 그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PC통신망이나 또는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정보(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해졌다.
그러나, 종래의 공중전화기는 음성통화 기능만을 지원하고 있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정보처리 기기를 휴대하고 있는 이용자가 자신의 사무실이나 가정이 아닌 곳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자할 경우, 별도로 무선 데이터 통신 수단을 갖추고 있지 않는 한, 반드시 건물 내에 설비되어 있는 일반 전화단자에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정보처리 기기를 접속하여 사용하거나, 네트워크에 연결된 타인의 컴퓨터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즉, 종래에는 정보처리 기기를 휴대하고 있는 이용자라 하더라도 이동 중에 데이터 송수신이 필요한 경우에는 부득이 이용요금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혼신등의 문제가 존재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망(PC통신망, 인터넷망 등)에 접속하거나, 일반 전화단자를 빌리어 쓸 수 있는 곳에 와서야 비로소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이 가능해 지고 원하는 정보(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해 지는 이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중전화 사업자의 입장에서 볼 때, 이동전화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공중전화의 이용 횟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막대한 예산을 들여 우리 나라 전역에 설치되어 있으며 지속적으로 유지보수 하는 데에도 상당한 예산이 소요되는 전체 공중전화 설비의 활용효율이 급격히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존 공중전화 설비의 활용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기 설치되어 있는 기존 공중전화기 하드웨어 구조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절차를 간단하게 변경하여,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를 소지한 이용자가 이동지역에서도 공중전화기를 통해 간편하게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동시에 부정사용을 방지하는,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의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상기 제어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를 접속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중전화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 수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 설명
A : 공중전화기 B :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
10: 제어부 11: 키 입력부
12: 카드리더부 13: 디스플레이부
14: 후크 온/오프 검출부 15: 통화회로부
16: DTMF 톤 검출부 17: 과금신호 검출부
18: 국선절체부 19: 정보처리기기 접속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의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는, 공지의 과금신호에 따른 과금처리를 포함한 상기 공중전화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국선을 통해 공지의 교환기에 연결되어 송수신 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하에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음성통화로를 제공하거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국선과 정보처리기기 접속 수단간의 연결을 설정하며, DTMF 톤 발생부를 구비하고 있는 통화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인가되는 정보(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수단;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키 값을 상기 제어 수단에 제공하는 키 입력 수단; 카드의 투입여부 및 기록된 정보를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갱신하는 카드 리더 수단; 상기 통화 수단에 의해 상기 국선과의 연결이 절체되며, 상기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포트가 구비된 상기 정보처리기기 접속 수단; 상기 통화 수단과 연결되는 공지의 송수화기의 후크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제공하는 후크 온/오프 검출 수단; 국선을 통해 전송되어 오는 상기 교환기로부터의 과금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제공하는 과금신호 검출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서 공중전화 부정사용으로 판단 시 그 제어에 따라 상기 국선의 연결을 개방하는 국선 절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의 접속이 가능한 상기 공중전화장치는, 국선을 통해 상기 교환기 측으로 송출되는 DTMF 톤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제공에 제공함으로써 공중전화 부정사용 시도를초기에 차단하는 DTMF 톤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를 접속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중전화 제어 방법은, 후크 스위치의 상태와 카드투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후크 스위치가 오프(OFF)인 상태에서 동전이나 카드가 투입되면, 공지의 음성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상기 후크 스위치가 온(ON)인 상태에서 카드가 투입되면, 국선과 정보처리 기기 접속부 간의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 송수신 모드를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국선 연결을 해제하고 투입되어 있던 미사용 주화나 카드를 배출하여 음성통화나 데이터 송수신 수행을 종료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 3 단계가, 상기 투입된 카드의 정보를 판독하여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국선과 상기 정보처리기기 접속부 간의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 통신경로를 제공하고, 모뎀 연결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 6 단계; 모뎀이 연결된 후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면서, 교환기 측으로부터 인가되는 과금신호에 따라 카드의 잔액을 감산하여 기록하는 제 7 단계; 및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교환기 측으로부터 과금신호가 인가되는지 여부와, 데이터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 4 단계로의 진행여부를 결정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편, 본 발명은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를 접속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한 공중전화장치에, 후크 스위치의 상태와 카드투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기능; 상기 후크 스위치가 오프(OFF)인 상태에서 동전이나 카드가 투입되면, 공지의 음성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제 2 기능; 상기 후크 스위치가 온(ON)인 상태에서 카드가 투입되면, 국선과 정보처리 기기 접속부 간의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 송수신 모드를 수행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국선 연결을 해제하고 투입되어 있던 미사용 주화나 카드를 배출하여 음성통화나 데이터 송수신 수행을 종료하는 제 4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되, 상기 제 3 기능은, 상기 투입된 카드의 정보를 판독하여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제 5 기능; 상기 국선과 상기 정보처리기기 접속부 간의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 통신경로를 제공하고, 모뎀 연결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 6 기능; 모뎀이 연결된 후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면서, 교환기 측으로부터 인가되는 과금신호에 따라 카드의 잔액을 감산하여 기록하는 제 7 기능; 및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교환기 측으로부터 과금신호가 인가되는지 여부와, 데이터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 4 기능으로의 진행여부를 결정하는 제 8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면에서, A는 공중전화기, B는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이며, 10은 제어부, 11은 키 입력부, 12는 카드리더부, 13은 디스플레이부, 14는 후크 온/오프 검출부, 15는 통화회로부, 16은 DTMF 톤 검출부, 17은 과금신호 검출부, 18은 국선절체부, 19는 정보처리기기 접속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에서, 제어부(10)는 공지의 과금신호에 따른 과금처리를 포함하여 공중전화장치 내의 제반 기능부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화회로부(15)는 국선을 통해 공지의 교환기에 연결되고 공중전화기에 구비되는 송수화기(도시되지 않음)와도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음성통화로를 제공하거나, 또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국선과 정보처리기기 접속부 간의 연결을 설정한다. 또한 상기 통화회로부에는 DTMF 톤 발생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키 입력부(1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다이얼 번호와, 기타 기능키 값 등을 상기 제어부에 제공한다.
카드리더부(12)는 상기 공중전화장치에 카드(현재는 주로 선불카드를 사용하고 있으나, 공중전화장치의 기종에 따라서는 신용카드 또는 IC 카드 등이 사용되기도 함)의 투입여부 및 기록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갱신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그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정보(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며, LCD 등의 표시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후크 온/오프 검출부(14)는 상기 통화회로부와 연결되는 송수화기의 후크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한다.
DTMF 톤 검출부(16)는 국선을 통해 상기 교환기 측으로 송출되는 DTMF 톤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함으로써, 공중전화 부정사용 시도를 초기 다이얼링 시에 인지하고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과금신호 검출부(17)는 국선을 통해 전송되어 오는 교환기로부터의 과금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제공하여 과금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이 지나도록 과금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공중전화 부정사용으로 판단하여 국선연결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국선절체부(18)는 상기 제어부에서 공중전화 부정사용으로 판단 시 그 제어에 따라 국선의 연결을 해제하여 통화를 단절하도록 한다.
정보처리기기 접속부(19)는 상기 통화회로부에 의해 상기 국선과의 연결이 절체되며 상기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포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접속되는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가 데이터 통신용 모뎀(MODEM)을 구비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 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내부의 상기 포트에 연결되도록 모뎀(MODEM)을 더 구비시킬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기 설치되어 있는 기존 공중전화기 하드웨어 구조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절차를간단하게 변경함으로써 기능 확장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한다.
이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중전화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를 접속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중전화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 수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해당 공중전화 초기화 과정에서 상기 공중전화장치 각 기능부의 파라미터 및 타이머 값 등이 설정되게 된다(201).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공중전화장치가 이용되는 경우라면, 이용자가 송수화기(도시되지 않음, 일명 '핸드셋'이라고도 함)를 들고나서 동전이나 카드를 투입하여 음성통화를 시도하거나, 또는 상기 송수화기를 후크 스위치 상에 그대로 올려놓아 둔 채로 카드를 투입하여 데이터 통신을 시도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는 후크 스위치의 상태와 카드투입(또는 동전투입) 여부를 판단하여(202, 203, 211), 상기 후크 스위치가 오프(OFF)인 상태에서 동전이나 카드가 투입되면(203), 공지의 음성통화 모드를 수행하고(204 내지 207), 상기 후크 스위치가 온(ON)인 상태에서 카드가 투입되면, 국선과 정보처리 기기 접속부 간의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 송수신 모드를 수행하고 나서(213 내지 255), 상기 국선 연결을 해제하고(257) 투입되어 있던 미사용 주화나 카드를 배출하여(209 또는 261) 음성통화나 데이터 송수신 수행을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통화 모드의 수행과정은 이미 당해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공지기술에 불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드의 수행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후크 스위치가 온(ON)인 상태에서 카드가 투입되면(211), 상기 제어부(10)는 투입된 카드의 정보를 판독하여(213) 정상여부를 판단하고(215) 비정상 카드이면 그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표시한 후(217) 해당 카드를 배출한다(229). 한편, 정상적인 카드로 판단되면, 상기 국선과 상기 정보처리기기 접속부(19) 간의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 통신경로를 제공하고(219), 카드잔액 표시 및 모뎀 연결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다(221).
소정 시간동안 상기 정보 처리 기기에 구비된 모뎀이 상기 정보처리기기 접속부(19)에 연결되기를 기다려 보고(223), 정해진 시간 내에 연결되지 않으면 시간초과 안내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출력한 후(227) 카드를 배출한다(229). 만일, 상기 모뎀이 정해진 시간 내에 연결되면 상기 DTMF 톤 검출부(16)를 이용하여 국선을 통해 상기 교환기 측으로 송출되는 DTMF 톤을 검출하여(231, 233) 상기 제어부로 제공함으로써 현재의 공중전화 과금 체계에서 허용된 디지트가 인지 확인하여 그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235) 공중전화 부정사용 시도로 판단되면 국선 연결을 해제하여(257) 조기에 통신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디지트 확인은 처음의 4자리 이내에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송출되는 DTMF 톤이 정상이면(235),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면서(237), 교환기 측으로부터 인가되는 과금신호에 따라 카드의 잔액을 감산하여 기록하고(239, 243), 만일 소정 시간이 초과될 때까지 규정된 과금신호가수신되지 않으면(241) 부정한 방법으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국선 연결을 해제함으로써(257) 더 이상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통신로를 차단한다. 즉, 교환기에서는 시내통화, 시외통화, 및 국제통화 등의 요율에 따라 정해진 일정시간마다 과금신호를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정해진 시간 내에 합당한 과금신호가 상기 공중전화장치에 수신되지 아니하면 공중전화 부정사용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될 때까지(245) 카드 잔액을 확인하면서(247) 송수신 동작을 지속하고, 만일 카드 잔액이 차기 과금처리에 소요될 금액보다 적은 경우는 그 사실을 경고하고 수행을 종료하거나, 또는 카드 교체를 경고하고(247) 교체되는 카드의 정상여부를 판단한 후(251, 253), 카드잔액을 표시하면서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지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255, 237 내지 245).
상기 과정을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되면(245), 국선 연결을 해제하고(257), 카드를 배출하여 데이터 송수신 모드의 수행을 종료한다(261).
한편, 상기 데이터 송수신 과정이 완료된 후(245), 국선 연결을 해제하고 나서(257) 재발신 키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259), 재발신 키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국선과 상기 정보처리기기 접속부(19) 간의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 통신경로를 제공하는(219) 과정부터 반복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 설치되어 있는 기존 공중전화기 하드웨어 구조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절차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 확장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를 소지한 이용자가 이동지역에서도 공중전화기를 통해 간편하게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이용상의 편리성을 크게 제고 시켰을 뿐만 아니라, 공중전화 부정사용을 이중적으로 방지하며, 막대한 예산을 들여 설치한 공중전화 시설의 활용율을 극대화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를 접속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공중전화장치에 있어서,
    공지의 과금신호에 따른 과금처리를 포함한 상기 공중전화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국선을 통해 공지의 교환기에 연결되어 송수신 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하에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음성통화로를 제공하거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국선과 정보처리기기 접속 수단간의 연결을 설정하며, DTMF 톤 발생부를 구비하고 있는 통화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인가되는 정보(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수단;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키 값을 상기 제어 수단에 제공하는 키 입력 수단;
    카드의 투입여부 및 기록된 정보를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갱신하는 카드 리더 수단;
    상기 통화 수단에 의해 상기 국선과의 연결이 절체되며, 상기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포트가 구비된 상기 정보처리기기 접속 수단;
    상기 통화 수단과 연결되는 공지의 송수화기의 후크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제공하는 후크 온/오프 검출 수단;
    국선을 통해 전송되어 오는 상기 교환기로부터의 과금신호를 검출하여 상기제어 수단으로 제공하는 과금신호 검출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서 공중전화 부정사용으로 판단 시 그 제어에 따라 상기 국선의 연결을 개방하는 국선 절체 수단
    을 포함하는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국선을 통해 상기 교환기 측으로 송출되는 DTMF 톤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제공에 제공함으로써, 공중전화 부정사용 시도를 초기에 차단하는 DTMF 톤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가 데이터 통신용 모뎀(MODEM)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기기 접속 수단이 상기 포트에 연결된 데이터 통신용모뎀(MODEM)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5.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를 접속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중전화 제어 방법에 있어서,
    후크 스위치의 상태와 카드투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후크 스위치가 오프(OFF)인 상태에서 동전이나 카드가 투입되면, 공지의 음성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상기 후크 스위치가 온(ON)인 상태에서 카드가 투입되면, 국선과 정보처리 기기 접속부 간의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 송수신 모드를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국선 연결을 해제하고 투입되어 있던 미사용 주화나 카드를 배출하여 음성통화나 데이터 송수신 수행을 종료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투입된 카드의 정보를 판독하여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국선과 상기 정보처리기기 접속부 간의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 통신경로를 제공하고, 모뎀 연결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 6 단계;
    모뎀이 연결된 후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면서, 교환기 측으로부터 인가되는 과금신호에 따라 카드의 잔액을 감산하여 기록하는 제 7 단계; 및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교환기 측으로부터 과금신호가 인가되는지 여부와, 데이터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 4 단계로의 진행여부를 결정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 수행 후, 국선을 통해 상기 교환기 측으로 송출되는 DTMF 톤을 검출하여 정상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공중전화 부정사용 시도를 초기에 차단하는 제 9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제어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는,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10 단계;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교환기 측으로부터 과금신호가 인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카드잔액을 감산하거나, 상기 제 4 단계로의 진행여부를 결정하는 제 11 단계;
    데이터 송수신 동작의 완료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 4 단계로의 진행여부를결정하는 제 12 단계; 및
    카드잔액을 확인하여 그 잔액이 차기 과금정산액 이상이면 상기 제 10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고, 그 잔액이 차기 과금정산액 미만이면 상기 제 4 단계로 진행하는 제 1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제어 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는,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10 단계;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교환기 측으로부터 과금신호가 인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카드잔액을 감산하거나, 상기 제 4 단계로의 진행여부를 결정하는 제 11 단계;
    데이터 송수신 동작의 완료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 4 단계로의 진행여부를 결정하는 제 12 단계;
    카드잔액을 확인하여 그 잔액이 차기 과금정산액 이상이면 상기 제 10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고, 그 잔액이 차기 과금정산액 미만이면 지정된 시간 내에 카드를 교체할 것을 경고하는 제 13 단계; 및
    카드가 교체되면 그 정성여부를 판단하고 잔액을 표시한 후 상기 제 10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고, 카드가 지정된 시간 내에 교체되지 않거나 교체된 카드가 비정상이면 상기 제 4 단계로 진행하는 제 14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제어 방법.
  10. 휴대형 정보 처리 기기를 접속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한 공중전화장치에,
    후크 스위치의 상태와 카드투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기능;
    상기 후크 스위치가 오프(OFF)인 상태에서 동전이나 카드가 투입되면, 공지의 음성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제 2 기능;
    상기 후크 스위치가 온(ON)인 상태에서 카드가 투입되면, 국선과 정보처리 기기 접속부 간의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 송수신 모드를 수행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국선 연결을 해제하고 투입되어 있던 미사용 주화나 카드를 배출하여 음성통화나 데이터 송수신 수행을 종료하는 제 4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되,
    상기 제 3 기능은,
    상기 투입된 카드의 정보를 판독하여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제 5 기능;
    상기 국선과 상기 정보처리기기 접속부 간의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 통신경로를 제공하고, 모뎀 연결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 6 기능;
    모뎀이 연결된 후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면서, 교환기 측으로부터 인가되는 과금신호에 따라 카드의 잔액을 감산하여 기록하는 제 7 기능; 및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교환기 측으로부터 과금신호가 인가되는지 여부와, 데이터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는지 여부를확인하여, 상기 제 4 기능으로의 진행여부를 결정하는 제 8 기능
    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90068381A 1999-12-31 1999-12-31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317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381A KR100317528B1 (ko) 1999-12-31 1999-12-31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및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381A KR100317528B1 (ko) 1999-12-31 1999-12-31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534A KR20010066534A (ko) 2001-07-11
KR100317528B1 true KR100317528B1 (ko) 2001-12-24

Family

ID=1963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8381A KR100317528B1 (ko) 1999-12-31 1999-12-31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75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995A (ko) * 1998-01-15 1998-11-25 김학수 디스플레이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KR19990016717A (ko) * 1997-08-19 1999-03-15 윤종용 인터넷 공중 전화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19990053184A (ko) * 1997-12-23 1999-07-15 서평원 공중전화망용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717A (ko) * 1997-08-19 1999-03-15 윤종용 인터넷 공중 전화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19990053184A (ko) * 1997-12-23 1999-07-15 서평원 공중전화망용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9980081995A (ko) * 1998-01-15 1998-11-25 김학수 디스플레이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534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7565C (en) Call screening in a public telephone station
CA1288152C (en) Fraud prevention in a public telephone station
US6301472B1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GB2365663A (en) Packet communication charge pre-notification system
US5991384A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making of a calling card telephone call
KR100317528B1 (ko)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1284144B1 (ko) 가입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수행 방법 및 이를위한 통신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KR200203361Y1 (ko) 발신자 표시 및 자동 다이얼 기능을 갖는 단말기
KR100293848B1 (ko) 공중전화기 부정사용 방지 장치
JP2000253191A (ja) 電話機、通信制御装置及び発呼規制解除方法
KR100354446B1 (ko) 디지털 전화기의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JP3367032B2 (ja) 料金徴収式電話機
KR20040095621A (ko) 휴대전화의 유선전화망 접속시스템
KR0133220B1 (ko) 무선공중전화기의 ic카드 접속방법 및 그 장치
KR100473640B1 (ko) 복수의 카드를 사용하는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EP0910915B1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of the individual handsets
KR20000006885A (ko) 캐릭터를 통한 이동단말기의 통화량상태 표시방법 및 그장치
KR970008173B1 (ko) Ic 카드 및 마그네틱 카드겸용 이동 무선 공중전화기
KR200352437Y1 (ko) 유선전화망 자동접속 휴대전화
WO2000016535A2 (en) Public telephone having portable computer interface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1009148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59053B1 (ko)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등록및 인증 방법
JP2920777B2 (ja) 公衆電話機
JPH08214048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10210145A (ja) 通話規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