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1627A -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1627A
KR20010081627A KR1020000007538A KR20000007538A KR20010081627A KR 20010081627 A KR20010081627 A KR 20010081627A KR 1020000007538 A KR1020000007538 A KR 1020000007538A KR 20000007538 A KR20000007538 A KR 20000007538A KR 20010081627 A KR20010081627 A KR 20010081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ata
cal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원
강병훈
이승하
Original Assignee
강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원 filed Critical 강경원
Priority to KR102000000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1627A/ko
Publication of KR20010081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62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e.g. aerofoil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1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B2260/503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B2260/504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flat or V-belts and pulle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통화하는 경우 음성을 주고 받아 통화할 수는 있으나, 해당 음성 통화하는 중에 음성 이외의 다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음성통화를 하는 중에 원하는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케 하므로,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Metho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hen Voice Communic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음성통화를 하는 중에 원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룰라 이동전화 서비스 또는 개인 휴대 통신 서비스(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해당 통신시스템에서 통신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여야 한다. 이와같은 이동통신단말기간에 통신하는 경우, 각 이동통신단말기는 해당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기지국에 무선 접속되어 통신하는데, 해당 무선 기지국과 이동통신교환국을 경유하여 통화채널이 연결되어 통신한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통화하는 경우 음성을 주고 받아 통화할 수는 있으나, 해당 음성 통화하는 중에 음성 이외의 다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음성통화를 하는 중에 원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서 송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에서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RF처리부 2 : 모뎀부
3: 프로세서 4 : 표시부
5: 코덱부 6 : 키패드부
7 : 메모리부 8 : DTMF 발생부
ANT : 안테나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제1 이동통신단말기와 제2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중에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가 통화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제2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중에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가 제1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제1 이동통신단말기가 제2 이동통신단말기 측과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중에 통화음성 이외의 데이터 전송 시작을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시작 코드를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전송 시작 코드를 전송한후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후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가 데이터의 전송 종료를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종료 코드를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제1 이동통신단말기가 제2 이동통신단말기 측과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중에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통화음성 이외의 데이터 전송 시작을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시작 코드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전송 시작 코드를수신한후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가 제1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지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후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가 제1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데이터의 전송 종료를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종료 코드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RF처리부(1), 모뎀부(2), 프로세서(3), 표시부(4), 코덱부(5), 키패드부(6), 메모리부(7),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발생부(8) 및, 안테나(ANT)를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RF처리부(1)는 안테나(ANT)를 통해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안테나(ANT)로부터 인입되는RF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변환해서 모뎀부(2)측에 출력하며, 모뎀부(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주파수 변환한후 RF신호로 변환해서 안테나(ANT)를 통해 송출한다. 모뎀부(2)는 프로세서(3)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와 DTMF발생부(8)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변조하여 RF처리부(1)측에 출력하며, RF처리부(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프로세서(3)측에 출력한다. 또한, 프로세서(3)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코덱부(5)로부터 인가되는 코딩된 음성신호를 모뎀부(2)측에 인가하고, 모뎀부(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 중에서 코딩된 음성신호를 코덱부(5)측에 인가하고, 키패드부(6)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메모리부(7)에 저장하고, 키패드부(7)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DTMF발생부(8)측에 출력하며, 표시부(4)의 정보 표시 동작을 제어한다. DTMF발생부(8)는 프로세서(3)로부터 인가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DTMF신호를 발생하여 모뎀부(2)측에 출력하고, 메모리부(7)는 프로세서(3)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통신시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표시부(4)는 프로세서(3)의 제어에 따라 표시 동작을 수행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운용시에 발생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또한, 코덱부(5)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데,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코딩하여 프로세서(3)측에 인가하고, 프로세서(3)로부터 인가되는 코딩된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스피커(SPK)측에 출력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에서는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대편 이동통신단말기측과 음성 통화하는 중에 상대편 단말기측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3)가 키패드부(6)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를 메모리부(7)에 저장하였다가 키패드부(6)를 통한 전송 지시에 따라 해당 정보를 메모리부(7)로부터 읽어내어 모뎀부(2), RF처리부(1) 및 안테나(ANT)를 경유하여 상대편 이동통신단말기측에 전송하며, 상대편 이동통신단말기측과 음성 통화하는 중에 상대편 단말기측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3)가 안테나(ANT), RF처리부(1) 및, 모뎀부(2)를 경유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부(7)에 저장하였다가 읽어내어 사용케 한다. 그런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와같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를 DTMF신호 타입으로 송수신하거나 0과 1형태의 디지털 데이터 타입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10)에서 모뎀부(2)의 출력은 디지털 형태이므로, 음성 통화중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모뎀부(2)의 출력이 음성인지 데이터 인지를구별해 줄 필요가 있는데, 이는 미리 약속된 소정의 코드에 의해 구별한다. 이와같은 코드에 의해 구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는, 음성이 아닌 데이터의 시작임을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시작 코드를 전송하여 상대편 이동통신단말기에게 데이터의 전송 시작을 알려주고,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송한후, 데이터의 종료를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종료 코드를 전송하여 상대편 이동통신단말기에게 데이터의 전송 종료를 알려주는 방안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대편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전송을 구분하기 위한 코드는 프로세서(3)에 의해서 소프트웨어적인 처리에 의해 검출하거나, 모뎀부(2)와 프로세서(3) 사이에 별도의 하드웨어적인 검출수단을 설치하여 검출하면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는 음성 통화중에 상대편 이동통신단말기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한다.
먼저, 이동통신단말기(10)의 프로세서(3)는 상대편 이동통신단말기와의 통화채널이 연결되어 음성통화를 시작한 상태에서(스텝 S10), 키패드부(6)를 통해 데이터 전송 모드로의 진입을 지시하는 기능키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스텝 S11). 이때, 프로세서(3)는 키패드부(6)로부터 해당 기능키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음성통화를 계속적으로 진행하고(스텝 S12), 키패드부(6)로부터 해당 기능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키패드부(6)를 통해 입력되는 전송할 데이터를 메모리부(7)에 저장한다(스텝 S13). 프로세서(3)는 이 스텝 S13의 동작을 수행하여 전송할 데이터를 메모리부(7)에 모두 저장하고 난후, 키패드부(6)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지시하는 전송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스텝 S14), 해당 전송키가 입력되는 경우에 메모리부(7)에 저장된 데이터를 DTMF발생부(8)에 의해 DTMF신호 타입으로 변환하여 전송하거나 그대로 0과 1형태의 디지털 데이터 타입으로 전송하되 모뎀부(2), RF처리부(1) 및 안테나(ANT)를 경유하여 상대편 이동통신단말기측으로 전송한후(스텝 S15), 음성 통화를 계속 진행한다. 이 스텝 S15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프로세서(3)는 데이터의 시작임을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시작 코드를 먼저 전송하여 상대편 이동통신단말기에게 데이터의 전송 시작을 알려주고,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상대편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전송한후, 데이터의 종료를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종료 코드를 전송하여 상대편 이동통신단말기에게 데이터의 전송 종료를 알려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는 음성 통화중에 상대편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한다.
먼저, 이동통신단말기(10)의 프로세서(3)는 상대편 이동통신단말기와의 통화채널이 연결되어 음성통화를 시작한 상태에서(스텝 S20), 상대편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안테나(ANT), RF처리부(1) 및 모뎀부(2)를 경유하여 데이터 전송 시작 코드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한다(스텝 S21). 이때, 프로세서(3)는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전송 시작 코드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음성 통화를 계속적으로 진행하고(스텝 S22),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전송 시작 코드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됨을 인지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메모리부(7)에 저장한다(스텝 S23). 그리고, 프로세서(3)는 이 스텝 S23의 동작을 수행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메모리부(7)에 저장하면서 상대편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전송 종료 코드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스텝 S24), 데이터 전송 종료 코드가 수신되면 데이터 수신을 종료하고 음성 통화를 계속 진행한다.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가 수신하여 메모리부(7)에 저장한 데이터는 이후에 키패드부(6)의 조작에 의해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예를들어 전화번호와 같은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부(7)에 저장한 경우에는 프로세서(3)가 키패드부(6)의 조작에 의해 메모리부(7)의 해당 전화번호를 인출해내어 DTMF발생부(8)에 인가해서 대응되는 DTMF신호를 송출함으로써 해당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전화를 걸 수 있게 되며, 예를들어 그외의 문자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부(7)에 저장한 경우에는 프로세서(3)가 키패드부(6)의 조작에 의해 메모리부(7)의 해당 문자정보를 인출해내어 표시부(4)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송신측 이동통신단말기가 음성통화 중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키패드부(6)를 통해 입력하여 메모리부(7)에 저장하였다가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메모리부(7)에 저장되어 관리되고 있는 전자수첩의 정보를 인출해내어 전송하여도 된다.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음성통화를 하는 중에 원하는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케 하므로,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8)

  1. 제1 이동통신단말기와 제2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중에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가 통화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제2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중에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가 제1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가 통화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구분하여 수신케 하기 위한 코드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가 통화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경우, 키입력수단으로 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수단에 저장하였다가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가 통화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경우, 메모리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가 통화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를 메모리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가 제2 이동통신단말에게 통화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DTMF신호 타입이나 디지털 데이터 타입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7. 제1 이동통신단말기가 제2 이동통신단말기 측과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중에 통화음성 이외의 데이터 전송 시작을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시작 코드를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전송 시작 코드를 전송한후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후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가 데이터의 전송 종료를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종료 코드를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8. 제1 이동통신단말기가 제2 이동통신단말기 측과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중에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통화음성 이외의 데이터 전송 시작을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시작 코드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전송 시작 코드를 수신한후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가 제1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지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후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가 제1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데이터의 전송 종료를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종료 코드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20000007538A 2000-02-17 2000-02-17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0100816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538A KR20010081627A (ko) 2000-02-17 2000-02-17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538A KR20010081627A (ko) 2000-02-17 2000-02-17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627A true KR20010081627A (ko) 2001-08-29

Family

ID=1964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538A KR20010081627A (ko) 2000-02-17 2000-02-17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1627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221A (ko) * 2001-10-09 2003-04-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30095000A (ko) * 2002-06-11 2003-12-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 중 점 대 점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그 방법과 단말기
KR20040033700A (ko) * 2002-10-15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KR20050011785A (ko) * 2003-07-23 2005-01-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전송을 통한 정보시각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486534B1 (ko) * 2002-10-02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0724997B1 (ko) * 2005-08-02 2007-06-0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장치 및 방법
KR100776031B1 (ko) * 2007-08-10 2007-11-15 (주)무한비트 통화중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394983B1 (ko) * 2009-11-25 2014-05-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Dtmf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221A (ko) * 2001-10-09 2003-04-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30095000A (ko) * 2002-06-11 2003-12-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 중 점 대 점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그 방법과 단말기
KR100486534B1 (ko) * 2002-10-02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040033700A (ko) * 2002-10-15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KR20050011785A (ko) * 2003-07-23 2005-01-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전송을 통한 정보시각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24997B1 (ko) * 2005-08-02 2007-06-0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장치 및 방법
KR100776031B1 (ko) * 2007-08-10 2007-11-15 (주)무한비트 통화중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394983B1 (ko) * 2009-11-25 2014-05-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Dtmf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48576A (ko) 디지털 무선 전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와 그 제공 방법
KR2001008162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6061569A (en) Free channel double checking protocol and systems
JP2737672B2 (ja) 携帯情報通信装置
US6580922B1 (en) Method of transmitting telephone number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KR920009152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KR100606127B1 (ko) 무선 휴대 전화기의 디티엠에프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송/수신장치 및 방법
JP3194181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管理システム
KR100229021B1 (ko) 전화기에서 라인상태 알림 음성메시지 송출방법
KR0148811B1 (ko) 주파수 공용 통신시스템의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42430B1 (ko) 차세대 디지털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기지국 스캔방법
KR100229863B1 (ko) 전화기의 음성안내 방법
KR20000041982A (ko) 이동전화에서의 음성인식에 의한 텔레비전 리모콘 기능 구현 방법
KR0136732B1 (ko) 다수개의 휴대장치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의 국선 전환 방법
KR100291474B1 (ko) 차세대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등록모드에따른자동링크설정방법
KR100576022B1 (ko) 사설 교환기에서 이동성을 갖는 복합단말 장치
KR97000867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로 비접속요인 출력방법 및 장치
KR0167378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KR20060020504A (ko) 단말기에서 통화중 숫자메세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20090798A (ko) 문자메시지확인기능이 구비된 무선전화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H08294164A (ja) 無線電話機
JPH10155032A (ja) 通信端末装置
JPH11275641A (ja) 自営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JPH09149150A (ja) 携帯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