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997B1 -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997B1
KR100724997B1 KR1020050070714A KR20050070714A KR100724997B1 KR 100724997 B1 KR100724997 B1 KR 100724997B1 KR 1020050070714 A KR1020050070714 A KR 1020050070714A KR 20050070714 A KR20050070714 A KR 20050070714A KR 100724997 B1 KR100724997 B1 KR 100724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call
terminal
voic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5989A (ko
Inventor
허태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70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997B1/ko
Publication of KR20070015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따른 장치는 대체단말 관리기, 세션 관리기 및 호 연결/변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대체단말 관리기는 착신 이동 단말기를 대체하여 발신측이동 단말기와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수행하는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를 등록 관리한다. 상기 세션 관리기는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비 음성호를 이용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을 수신 받아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통신모드 변경수락을 요청하고, 상기 등록된 통신 식별자를 이용하여 통신모드 변경을 수락한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상기 등록된 대체 단말기 간의 호 연결 설정을 제어하고 통신 세션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호 연결/변환기는 상기 세션 관리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체 단말기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 사이에 호 연결을 설정하고 비 음성호를 이용한 통신을 중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환경에서 커뮤니케이션의 단절을 해소할 수 있고 커뮤니케이션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communication based on voice signal into communication based on non-voice signal}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이 구현되는 통신망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에 탑재되는 통신모드 전환 프로그램의 모듈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드 전환방법이 구현되는 과정을 도시한 호 처리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드 전환방법이 구현되는 과정을 도시한 호 처리도이다.
도5는 도4의 예에서 음성인식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드 전환방법이 구현되는 과정 을 도시한 호 처리도이다.
도7은 도6의 예에서 음성인식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드 전환방법이 구현되는 과정을 도시한 호 처리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에 음성호가 착신되었을 때 음성호에 의한 통신 방식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 방식으로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의 진화가 거듭됨에 따라 단순한 음성통화 서비스 이외에도 다양한 데이터 패킷 서비스가 상용화되어 서비스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패킷 서비스에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멀티미디어의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무선 채팅 서비스, 단문문자 메시지 서비스(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등이 있다.
그런데 과거에는 음성호에 의한 전화 통화 서비스와 상기한 바와 같은 데이터 패킷 서비스가 상호 배타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즉 전화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데이터 패킷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전화 통화 서비스의 이용 상태를 해제해야 했다. 또 그 반대로 데이터 패킷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전화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데이터 패킷 서비스의 이용 상태를 해제해야 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SVD(Simultaneous Voice and Data), Multi-Call, Multi-RAB(Radio Access Bearer)와 같은 새로운 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음성호에 의한 전화 통화 서비스와 데이터 패킷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단말기에서 여러 개의 통화 및/또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실행도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전화 통화를 하는 중에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검색한다든지 특정 상대방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의 듀얼 모드 서비스가 가능해 졌고, 한 번에 여러 사람과 통화를 하거나 통화 도중에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 졌다.
한편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 되어 있거나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면 발신 측 이용자는 음성 사서함에 통화하려는 내용을 일방적으로 남길 수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 발신 측 이용자와 착신 측 이용자 간의 즉시적인 커뮤니케이션이 단절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커뮤니케이션의 단절은 착신측 이용자가 개인 사정으로 인해 전화 통화를 하기 곤란한 상황에 처해 있거나, 착신측이나 발신측 사용자의 일방 또는 쌍방이 언어 장애 또는 청각 장애를 겪고 있는 경우에도 발생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부재중에 걸려온 전화 번호나 통화 중에 걸려온 전화번호를 단문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사후적으로 통보해 주는 서비스가 상용화되어 있으나 즉시적인 커뮤니케이션의 단절을 회복하는 데는 원천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SVD, Multi-Call, Multi-RAB 등 기 개발된 이동통신 서비스 기술을 이용하여, 착신측 사용자가 음성에 의한 전화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에 있거나 착신측 또는 발신측 사용자가 음성에 의한 메시지 전달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더라도 발신측 이용자와 착신측 이용자 간의 즉시적인 커뮤니케이션 단절을 회복시켜 주며, 획일적인 전화 통화 방식에서 벗어나 커뮤니케이션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는, 이동통신 환경에서 음성호의 착신 시 착신 이동 단말기를 대체하여 발신측이동 단말기와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수행할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를 등록 관리하는 대체단말 관리기;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비 음성호를 이용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을 수신 받아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통신모드 변경수락을 요청하고, 상기 등록된 통신 식별자를 이용하여 통신모드 변경을 수락한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상기 등록된 대체 단말기 간의 호 연결 설정을 제어하고 통신 세션을 모니터링하는 세션 관리기; 및 상기 세션 관리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체 단말기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 사이에 호 연결을 설정하고 비 음성호를 이용한 통신을 중계하는 호 연결/변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는, 이동통신 환경에서 음성호가 착신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착신측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와 비 음성호를 이용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을 수신한 후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통신모드 변경을 요청하고, 상기 통신 식별자를 이용하여 통신모드 변경을 허락한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상기 대체 단말기와의 사이에 호 연결 설정을 제어하고 통신 세션을 모니터링 하는 세션 관리기; 및 상기 세션 관리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체 단말기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 사이에 호 연결을 설정하고 비 음성호를 이용한 통신을 중계하는 호 연결/변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가 데이터호 - 데이터호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이다. 이러한 경우,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에는 호 연결 시 실행되어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데이터 통신 도구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호 연결/변환기는 발신측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된 데이터 통신 도구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에서 실행된 데이터 통신 도구 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가 음성호 - 데이터호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드로의 변경 요청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에는 호 연결 시 실행되어 문자를 입/출력할 수 있는 문자 입/출력 도구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호 연결/변환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음성호를 수신 받아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 하여 상기 문자 입/출력 도구로 출력하고, 상기 문자 입/출력 도구로부터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수신 받아 음성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가 음성호 - 데이터호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드로의 변경 요청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에는 상기 호 연결/변환기의 통신 중계에 따라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호를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 측으로 전송되는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음성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인식기가 탑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가 데이터호 - 음성호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드로의 변경 요청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에는 호 연결 시 실행되어 음성을 입/출력할 수 있는 음성 입/출력 도구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에는 호 연결 시 실행되어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입/출력할 수 있는 문자 입/출력 도구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호 연결/변환기는 상기 문자 입/출력 도구로부터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수신 받아 음성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 입/출력 도구로 출력하고, 상기 음성 입/출력 도구로부터 음성호를 수신 받아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문자 입/출력 도구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가 데이터호 - 음성호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드로의 변경 요청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에는 호 연결 시 실행되어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입/출력할 수 있는 문자 입/출력 도구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에는 상기 호 연결/변환기의 통신 중계에 따라 상기 문자 입/출력 도구로부터 수신 되는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음성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 측으로 전송되는 음성호를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인식기가 탑재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는 유무선 인터넷 상에 개설된 메시지 저장소의 접속 경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에는 상기 호 연결/변환기로부터 상기 접속 경로를 제공 받아 상기 메시지 저장소에 접속하는 브라우저 도구가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시지 저장소는 게시판, 방명록, 원격 파일 저장소 또는 블로그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는,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의 각 대체 단말기에 대한 통신 식별자를 등록 관리하는 대체단말 관리기;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 간의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와 발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의 변경요청을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아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통신모드 변경을 요청하고,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신모드 변경이 허락되면 발신측 및 착신측 대체 단말기의 각 통신 식별자를 이용하여 대체 단말기 간 호 연결을 제어하고 통신 세션을 모니터링하는 세션 관리기; 및 상기 세션 관리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대체 단말기 사이에 호 연결을 설정하고 통신을 중계하는 호 연결/변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는,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의 각 대체 단말기에 대한 통신 식별자를 등록 관리하는 대체단말 관리기;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 간의 음성호에 의한 제1통신과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와 발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비 음성호에 의한 제2통신이 결합된 형태로의 통신모드 변경요청을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아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통신모드 변경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신모드 변경이 허락되면 대응하는 단말기 간에 상기 제1 및 제2통신을 위한 호 연결을 각각 제어하고 제1 및 제2통신의 세션을 모니터링하는 세션 관리기; 및 상기 세션 관리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음성호에 의한 통신, 그리고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대체 단말기 사이의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중계하는 호 연결/변환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체 단말기는 IP에 의한 유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기기이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기기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또는 PDA 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통신 도구는 문자 채팅 프로그램, P to P 형태의 자료 교환 프로그램, 화상 채팅 프로그램 또는 그래픽 채팅 프로그램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통신은 데이터호 데이터호에 의한 데이터 통신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세션 관리기와 연동하여 비 음성호를 이용한 통신모드로의 전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를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 변경할 조건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통신모드 조건설정 관리모듈; 및 상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 음성호의 착신 시 자동으로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을 상기 세션 관리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드 변경요청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모드 전환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건은 통신모드를 변경해야 할 시간 대, 통신모드를 변경해야 할 특정 발신자 번호 또는 통신모드를 변경해야 할 발신자 번호의 패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세션 관리기와 연동하여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전환 기능을 구비하는 단말기로서, 음성호의 착신 시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을 선택 입력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통신모드 변경요청에 따라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을 상기 세션 관리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드 변경요청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모드 전환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를 구비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착신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를 입력 받아 등록하는 단계; 음성호를 착신 한 이동 단말기로부터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을 수신 받는 단 계;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 변경에 대한 수락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통신 식별자를 이용하여 통신모드 변경을 수락한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상기 대체 단말기 간에 호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 사이의 비 음성호를 이용한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식별자는 미리 등록 받지 않고 통신모드의 변경요청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입력 받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데이터호 데이터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호 연결 설정에 따라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에서 실행된 데이터 통신 도구 간의 데이터 통신을 상호 중계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음성호 데이터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호를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한 후 상기 호 연결 설정에 따라 상기 대체 단말기에서 실행된 문자 입/출력 도구로 출력하고, 상기 문자 입/출력 도구에서 입력되는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음성호로 변환한 후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데이터호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 청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호 연결 설정에 따라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된 문자 입/출력 도구로부터 전송되는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음성호로 변환하여 상기 호 연결 설정에 따라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에서 실행된 음성 입/출력 도구로 출력하고, 상기 음성 입/출력 도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호를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문자 입/출력 도구로 출력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는 유무선 인터넷 상에 개설된 메시지 저장소의 접속 경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호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경로를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경로 전송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구동된 브라우저 수단과 상기 메시지 저장소의 접속을 매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브라우저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나 파일을 상기 메시지 저장소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시지 저장소는 게시판, 방명록, 원격 파일 저장소 또는 블로그이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각 대체 단말기에 대한 통신 식별자를 입력 받아 등록하는 단계; 음성호를 착신한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 드 변경에 대한 수락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의 수락이 있으면, 상기 발신측 대체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비 음성호에 의한 호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측 대체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대체 단말기에 대한 각각의 통신 식별자를 입력 받아 등록하는 단계; 음성호를 착신한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 변경에 대한 수락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의 수락이 있으면,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 간의 음성호에 의한 제1통신과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와 발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비 음성호에 의한 제2통신을 위한 각각의 호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와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 변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 변경에 대한 수락을 요청하고 통신모드 변경수락 및 발신측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대체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비 음성호에 의한 호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측 대체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와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 변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 변경에 대한 수락을 요청하고 통신모드 변경수락 및 발신측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 간의 음성호에 의한 제1통신과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와 발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비 음성호에 의한 제2통신을 위한 각각의 호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체 단말기는 IP에 의한 유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기기이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기기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또는 PDA 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은 발신측 및 착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데이터호 데이터호에 의한 통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이 구현되는 통신망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통신망을 참조하면, 무선망 교환기 시스템(10)을 통해 무선망(20A)과 무선망(20B)이 상호 연계되어 있다. 상기 무선망(20A, 20B)은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며, 공지의 SVD(Simultaneous Voice and Data), Multi-Call, Multi-RAB 기술이 적용됨으로써 음성호 서비스와 비 음성호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고, 다중 음성호 및/또는 다중 비 음성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 음성호 서비스는 데이터호(패킷) 서비스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비 음성호 서비스는 데이터호 서비스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망(20A, 20B)은 CDMA 2000 1x, CDMA 2000 EV-DO, WCDMA 또는 IMT 2000망일 수 있으며, 이러한 망과 관련된 기술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무선망 교환기 시스템(10)은 적어도 발신측 교환기(10A)와 착신측 교환기(10B)를 포함한다. 상기 발신측 교환기(10A)와 착신측 교환기(10B)는 발신측 이 동 단말기(30)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40) 간의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중계하는 공지의 이동통신 장비이다.
상기 통신망은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대체단말 관리기(50), 세션 관리기(60) 및 호 연결/변환기(70)를 포함한다.
상기 대체단말 관리기(50)는 착신측 이동 단말기(40)를 대체하여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와 데이터호에 의한 통신을 수행할 착신측 대체 단말기(80)에 대한 통신 식별자를 등록 및 관리한다. 대체 단말기(80)로는 유선 인터넷(20C)에 접속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또는 노트북(80A), 무선 인터넷(20D) 접속이 가능한 노트북(80B) 또는 PDA(80C) 등이 채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므로 데이터호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대체 단말기(80)로 채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식별자는 착신측 이동 단말기(40)의 소유자가 상기 대체단말 관리기(50)가 제공하는 유무선 사이트에 접속하여 등록한다. 이 때 착신측 이동 단말기(40)의 소유자는 통신 식별자와 함께 자신이 소지한 이동 단말기(40)의 식별정보(ESN 또는 전화번호)를 함께 등록한다. 상기 통신 식별자는 대체 단말기(80)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대체 단말기(80)에 부여된 IP 주소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통신 식별자는 유무선 인터넷(20C, 20D) 상에 설치된 서버(80D)에 마련된 메시지 저장소(M)의 URL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시지 저장소(M)를 제공하는 서버(80D)가 상기 대체 단말기(80)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메시 지 저장소(M)는 게시판, 방명록, 원격파일 저장소(웹 하드) 또는 블로그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체 단말기(80)에는 상기 IP 주소가 유동적으로 변경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IP 주소가 변동될 때마다 변동된 IP 주소를 상기 대체단말 관리기(50)에 통보하는 IP 주소 갱신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P 주소 갱신 프로그램은 IP 주소가 변동되면 적어도 변동된 IP 주소, 그리고 사용자가 IP 주소 갱신 프로그램에 등록하여 둔 착신측 이동 단말기(4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대체단말 관리기(50)에 전송한다.
상기 세션 관리기(60)는 음성호가 착신된 착신측 이동 단말기(40)로부터 통신모드 변경 요청이 이루어지는 경우 대체 단말기(80)를 이용한 통신모드로의 전환을 처리한다. 통신모드의 변경은 다음과 같은 예가 가능하다.
<제1방식>: 대체 단말기(데이터호) ↔ 발신측 이동 단말기(데이터호)
<제2방식>: 대체 단말기(데이터호) ↔ 발신측 이동 단말기(음성호)
<제3방식>: 대체 단말기(음성 데이터호) ↔ 발신측 이동 단말기(데이터호)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대체단말 관리기(50)는 착신측 이동 단말기(40)의 대체 단말기(80)뿐만 아니라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에 대한 대체 단말기(이하, 도면번호 80번을 부여함)의 통신 식별자도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모든 이동 단말기는 착신측이 될 수도 있고 발신측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세션 관리기(60)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도 통신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제4방식>: 착신측 대체 단말기(데이터호) ↔ 발신측 대체 단말기(데이터호)
<제5방식>: {착신측 대체 단말기(데이터호) ↔ 발신측 대체 단말기(데이터호)} + {착신측 이동 단말기(음성호) ↔ 발신측 이동 단말기(음성호)}
상기 제1방식은 예컨대 착신측과 발신측이 이동통신 환경에서 쌍방이 음성에 의한 통화를 하는 것이 아니라, 착신측은 유무선 인터넷(20C, 20D)에 접속된 대체 단말기(80)를 발신측은 이동 단말기(30)를 이용하여 채팅이나 P to P 자료 교환과 같은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 또는 발신측 이동 단말기(40)가 유무선 인터넷(20C, 20D)을 통해 메시지 저장소(M)를 제공하는 서버(80D: 대체 단말기에 해당된다)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에 의해 메시지나 자료를 남기는 경우에 해당된다. 제1방식은 착신측의 사용자가 음성통화를 하기 곤란한 상황에 처해 있거나 언어 장애가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제1방식이 구현되려면, 대체 단말기(80)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40)에 일종의 응용 프로그램인 데이터 통신 도구가 탑재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 도구의 대표적인 예로는 채팅과 자료교환 기능이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 카메라를 이용한 화상채팅 프로그램 또는 전자 펜을 이용한 그래픽 방식의 채팅 프로그램 등을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방식은 예컨대 착신측과 발신측이 이동통신 환경에서 쌍방이 음성에 의한 통화를 하는 것이 아니라, 착신측은 유무선 인터넷(20C, 20D)에 접속된 대체 단말기(80)를 이용하여 통화 내용을 문자로 입력하고 발신측은 이동 단말기(30)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통화 내용을 입력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음성은 텍스트로, 텍스트는 음성으로 변환해 주는 음성인식기(90)가 필요하 다. 착신측 사용자가 시각 장애가 있으면 상기 대체 단말기(80)에는 점자 자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성 인식기(90)는 후술하는 호 연결/변환기(70)와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제2방식은 제1방식과 마찬가지로 착신측의 사용자가 음성통화를 하기 곤란한 상황에 처해 있거나 언어 장애나 시각 장애가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제3방식은 예컨대 착신측과 발신측이 이동통신 환경에서 쌍방이 음성에 의한 통화를 하는 것이 아니라, 착신측은 대체 단말기(80)에 구비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통화 내용을 음성으로 입력하고 발신측은 이동 단말기(30)를 이용하여 통화 내용을 문자로 입력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제2방식과 마찬가지로 음성은 텍스트로, 텍스트는 음성으로 변환해 주는 음성인식기(90)가 필요하다. 대체 단말기(80)를 통해 입력된 음성은 VOIP 기술에 의해 데이터 패킷화된 후 음성인식기(90)에 입력되어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된다. 제3방식은 발신측의 사용자가 음성통화를 하기 곤란한 상황에 처해 있거나 언어 장애가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상기 제4방식은 예컨대 착신측과 발신측이 이동통신 환경에서 음성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양측이 모두 대체 단말기로 전환하여 데이터호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이다. 제4방식은 착신측과 발신측 모두가 음성통화를 하기 곤란한 상황에 처해 있거나 언어 장애가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제4방식의 경우 발신측과 착신측의 대체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호에 의한 통신이 개시되면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40) 사이의 음성호에 의한 통신 연결은 해제된 다. 데이터호에 의한 통신을 위해 착신측 및 발신측의 대체 단말기에는 데이터 통신 도구가 탑재되는데, 데이터 통신 도구에 대한 예시는 이미 상술한 바 있다.
상기 제5방식은 예컨대 착신측과 발신측이 이동통신 환경에서 음성으로 통신을 수행함과 동시에 각 측이 등록한 대체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호에 의한 통신도 함께 수행하는 경우이다. 제5방식은 착신측과 발신측이 상호 음성 통화를 수행하면서 동시에 채팅, P to P 자료교환, 화상 채팅, 그래픽에 의한 채팅 등을 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한편 상술한 통신모드는 착신측 이동 단말기(30)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제1이동단말기)가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수행하는 도중 다른 발신측 이동 단말기(제2이동 단말기)에 의한 음성호가 다시 착신되는 경우, 착신측 이동 단말기와 제2이동 단말기와의 관계에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착신측은 제1이동 단말기와는 음성통화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면서 제2이동 단말기와는 상기 제1방식을 적용하여 대체 단말기(80)를 이용한 채팅에 의해 상호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세션 관리기(60)는 착신측 이동 단말기(40)로부터 통신모드 변경요청이 수신되면, 무선망 교환기 시스템(10)을 통해 발신측 이동 단말기(30)로 통신모드 변경에 대한 허락을 요청한다. 변경될 통신모드의 구체적 종류는 상술한 바 있다. 그런 다음 발신측 이동 단말기(30)로부터 통신모드 변경에 대한 수락이 이루어지면, 호 연결/변환기(70)를 제어하여 통신모드를 해당하는 모드(제1 내지 제5방식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한다. 이 때, 상기 세션 관리기(60)는 대체단말 관리기(50)로 대체 단말기(80)의 통신 식별자를 질의하여 획득한 후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의 식별정보(예컨대 ESN: 이하 동일)와 함께 상기 호 연결/변환기(70)로 제공해 준다. 한편, 상기 세션 관리기(60)는 변경된 통신모드에 의한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통신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상기 호 연결/변환기(70)는 상기 세션 관리기(60)의 제어 하에 대체 단말기(80)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와의 상호 간 통신을 중계한다. 이를 위해 상기 호 연결/변환기(70)는 무선망 교환기 시스템(10)과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호 연결/변환기(70)는 유무선 인터넷(20C, 20D)을 통해 대체 단말기(80)로부터 수신한 호는 발신측 교환기(10A) 측으로 라우팅 한다. 그리고 무선망 교환기 시스템(10)을 통해 발신측 이동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되는 호는 대체 단말기(80) 측으로 라우팅 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30, 40)는 음성호와 데이터호 서비스를 동시에 오픈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다수의 음성호 및/또는 다수의 서비스호를 동시에 오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단말기이다.
나아가, 상기 이동 단말기(30, 4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모드 변경조건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메모리에 등록/수정/삭제하는 통신모드 변경조건 관리 모듈(100A)과, 음성호의 착신 시 상기 통신모드 변경조건에 해당하면 통신모드 변경요청을 이동통신망을 통해 세션 관리기(60)로 전송하는 통신모드 변경요청 모듈(100B)을 포함하는 통신모드 전환 프로그램(100)을 탑재하고 있다.
상기 통신모드 변경조건은 통신모드를 변경해야 할 시간 대, 통신모드를 변 경해야 할 발신자의 번호 또는 통신모드를 변경해야 할 발신자 번호의 특정 패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드 변경조건 관리모듈(100A)은 상기 조건에 해당하는 음성호의 착신 시 변경해야 할 통신모드의 종류(상기 제1 내지 제5방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미리 지정 받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드 전환 프로그램(100)은 이동 단말기(30, 40)에 음성호가 착신되었을 때 통신모드를 변경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질의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10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신모드 변경조건을 설정하여 두고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음성호가 착신되었을 때 자동으로 통신모드 변경요청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지만(소위 자동 방식), 이러한 자동적 방식을 배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100C)이 제공하는 통신모드 변경요청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통신모드 변경요청을 할 수도 있다(소위 수동 방식).
도3은 착신측 이동 단말기(40)에 음성호가 착신되었을 때 대체 단말기(80)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30) 간의 데이터 통신으로 통신모드가 전환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면,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에서 착신측 이동 단말기(40) 측으로 전화 통화가 시도되면 무선망(20A)과 무선망 교환기 시스템(10)을 통해 음성호가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40)에 착신된다(S10). 그러면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4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통신모드 변경요청 메시지를 세션 관리기 (50)로 전송한다(S20).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 메시지는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의 식별정보(예컨대 ESN: 이하 동일)와 통신모드 변경요청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 메시지는 무선망(20B)과 무선망 기지국 시스템(10)을 통해 세션 관리기(60)로 전달된다.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세션 관리기(60)는 대체단말 관리기(50)로 착신측 이동 단말기(40)의 대체 단말기(80)에 대한 통신 식별자를 질의하여 획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 식별자는 대체단말 관리기(50)에 착신측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 둔 대체 단말기(80)의 IP 주소이다. 그런 다음, 세션 관리기(60)는 통신모드 변경수락 요청을 무선망 교환기 시스템(10)을 통해 발신측 이동 단말기(30)로 전송한다(S40).
바람직하게, 상기 세션 관리기(60)는 대체 단말기(80)의 IP 주소를 획득한 다음 대체 단말기(80)의 통신 상태를 점검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세션 관리기(60)는 획득한 IP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 응답 패킷을 유무선 인터넷(20C, 20D)을 통해 대체 단말기(80) 측으로 전송한다. 그 결과 대체 단말기(80)로부터 미리 약속된 응답 패킷이 전송되면 세션 관리기(60)는 대체 단말기(80)와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본다. 이러한 통신 상태 점검은 S40 단계를 진행하기 전에 선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40 단계에서 통신모드 변경수락 요청이 발신측 이동 단말기(30)로 전송되면,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에 탑재된 통신모드 전환 프로그램(100)은 통신모드 전환을 수락할 것인지를 발신측 사용자에게 질의한다. 이에 응답하여 발신측 사용자 가 통신모드의 변경을 수락하면, 통신모드 변경수락 코드가 세션 관리기(60)로 전송된다(S50).
통신모드 변경수락 코드를 전송 받은 세션 관리기(60)는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의 식별정보와 대체 단말기(80)의 IP 주소를 호 연결/변환기(70)에 제공하고 대체 단말기(80)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30) 간의 데이터호 연결 설정과 통신 중계를 요청한다(S60).
그러면, 상기 호 연결/변환기(70)는 대체 단말기(80)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측에 데이터 통신 도구의 실행을 요청한다(S65). 그 결과로서 데이터 통신 도구의 실행이 완료되면 대체 단말기(80)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30)는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Ⅰ참조). 여기서, 데이터 통신이라 함은 채팅, P to P 방식의 자료 교환, 화상 채팅, 그래픽에 의한 채팅 등을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세션 관리기(60)는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와 대체 단말기(80) 간의 데이터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호 연결/변환기(70)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이에 따라 발신측 또는 착신측 일방이 통신 상태를 해제할 때까지 착신측 대체 단말기(80)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30) 간의 데이터호에 의한 통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발신측 이동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호는 무선망(20A)과 무선망 교환기 시스템(10)의 발신측 교환기(10A)를 거쳐 호 연결/변환기(70)로 전송된다. 그러면 호 연결/변환기(70)는 대체 단말기(80)의 IP 주소를 참조하여 전송된 데이 터호를 유무선 인터넷(20C, 20D)을 통해 대체 단말기(80)로 전송한다.
반대로, 대체 단말기(8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호는 유무선 인터넷(20C, 20D)을 통해 호 연결/변환기(70)로 전송된 후, 무선망 교환기 시스템(10)의 발신측 교환기(10A)와 무선망(20A)을 거쳐 발신측 이동 단말기(30)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대체 단말기(80)는 게시판, 방명록, 원격 저장소(웹 하드), 블로그 등의 메시지 저장소(M)를 제공하는 유무선 인터넷(20C, 20D) 상의 서버(80D)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세션 관리기(60)가 S30 단계에서 획득하는 통신 식별자는 상기 서버(80D)에 탑재된 메시지 저장소(M)의 URL이 된다. 그리고 전환될 통신모드는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와 상기 메시지 저장소(M)를 제공하는 서버(80D)와의 데이터 통신이 된다.
상기 데이터 통신의 구현을 위해 상기 세션 관리기(60)는 S60 단계에서 호 연결/변환기(70)로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의 식별정보와 상기 메시지 저장소(M)의 URL을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호 연결/변환기(70)는 상기 URL을 무선망 교환기 시스템(10)과 무선망(20A)을 통해 발신측 이동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이처럼 URL이 전송되면, 이동 단말기(30)에 탑재된 통신모드 전환 프로그램(100)은 상기 메시지 저장소(M)에 접근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URL에 의해 이동 단말기(30)를 메시지 저장소(M)에 접속시킨다. 이로써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에서 데이터호에 의한 통신모드로 전환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제공된 URL에 의해 상기 메시지 저장소(M)에 접속할 수 있는 왑 브라우저일 수 있다.
위와 같이 발신측 이동 단말기(30)가 메시지 저장소(M)에 접속되면, 발신측 사용자는 착신측 사용자에게 남길 메시지나 파일 형태의 자료를 메시지 저장소(M)에 업로드 한다. 그러면 업로드 되는 메시지나 파일 형태의 자료는 무선망(20A)과 무선망 교환기 시스템(10)의 발신측 교환기(10A)를 통해 호 연결/변환기(70)로 전송된다. 그리고 전송된 메시지나 파일 형태의 자료는 호 연결/변환기(70)에 의해 메시지 저장소(M)가 탑재된 서버(80D)로 전송된다. 이 때 메시지 저장소(M)의 URL이 참조됨은 물론이다. 그러면 서버(80D)는 전송된 메시지나 파일 형태의 자료를 메시지 저장소(M)에 저장한다.
위와 같은 예는 발신측이 착신측 사용자가 운용하는 메시지 저장소(M)에 접근하고자 할 때 비록 상기 메시지 저장소(M)에 접근하기 위한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착신측 사용자의 전화번호만 알고 있으면 쉽게 상기 메시지 저장소(M)에 접근하여 메시지나 자료를 남길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4는 착신측의 이동 단말기(40)에 음성호가 착신되었을 때 착신측은 대체 단말기(80)를 이용하여 문자로, 발신측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30)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통신하는 통신모드로 전환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4에 도시된 예는 착신측 사용자가 음성에 의한 통신이 어려운 상황에 있거나 언어 장애를 겪고 있는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1 및 도4를 참조하면, S10 단계 내지 S50 단계는 도3에 도시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도4의 예에서 S20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은 이동 단말기(30)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착신측은 대체 단말기(80)를 이용하여 문자로 통신을 하는 방식으로의 통신모드 변경요청이다.
그러면 이하 S50 단계 이후의 과정을 설명한다. 발신측 이동 단말기(30)로부터 통신모드 변경수락 코드가 전송되면, 세션 관리기(60)는 호 연결/변환기(70)로 착신측 대체 단말기(80)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30) 간의 호 연결 설정과 통신 중계를 요청한다. 이를 위해 세션 관리기(60)는 대체 단말기(80)의 IP 주소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의 식별정보를 호 연결/변환기(7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호 연결/변환기(70)는 대체 단말기(80)로 문자 입/출력 도구(도5의110 참조)의 실행을 요청한다(S80). 그러면 대체 단말기(80)에서는 문자 입/출력 도구(110)에 해당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됨과 동시에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음이 호 연결/변환기(70)에 통보된다(S90).
이어서 호 연결/변환기(70)는 통신모드가 변경되었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에 전송하여 준다(S100).
S100 단계가 진행된 이후에는 음성인식 기술에 의해 발신측 사용자와 착신측 사용자 간에 통신이 이루어진다(Ⅱ).
보다 구체적으로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발신측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30)를 통하여 입력하는 음성호는 무선망(20A)과 무선망 교환기 시스템(10)을 통해 호 연결/변환기(70)에 입력된다. 그러면 호 연결/변환기(70)와 연동하는 음성인식기(90)가 음성호를 문자로 된 메시지로 변환한다. 변환이 완료되면, 호 연결/변환기(70)는 대체 단말기(80)에서 실행 중인 문자 입/출력 도구(110)로 변환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대체 단말기(80)의 IP 주소가 참조된다. 그러면 착신측 사용 자는 발신측 사용자가 음성으로 입력한 메시지 내용을 상기 문자 입/출력 도구(110) 상에서 문자로 된 메시지로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착신측 사용자는 발신측 사용자에게 전달한 메시지를 문자 입/출력 도구(110)를 활용하여 문자로 작성한다. 이 때 착신측 사용자가 시각 장애를 가지고 있으면 대체 단말기에 점자 자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작성된 메시지는 유무선 인터넷(20C, 20D)을 통해 호 연결/변환기(70)로 전송된다. 이어서 호 연결/변환기(70)는 음성인식기(90)로 전송된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입력한다. 그러면 음성인식기(90)는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컴퓨터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호 연결/변환기(70)는 음성으로 변환된 메시지를 무선망 교환기 시스템(10)과 무선망(20A)을 통해 발신측 이동 단말기(30)로 전송한다. 그러면 발신측 사용자는 착신측 사용자가 대체 단말기(80) 상에서 입력한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컴퓨터 음성으로 변환된 형태로 들을 수 있게 된다.
도6은 도4에 도시된 예의 변형 예를 도시한다. 도4에 도시된 예는 발신측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30)를 이용하여 문자로 메시지를 입력하고 착신측 사용자는 대체 단말기(80)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메시지를 입력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6에 도시된 예는 발신측 사용자가 음성에 의한 통신이 어려운 상황에 있거나 언어 장애를 겪고 있고, 착신측 사용자의 경우도 이동 단말기(40)에 의한 통신 보다는 대체 단말기(80)를 이용한 통신이 보다 바람직한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1 및 도6을 참조하면, S10 단계 내지 S50 단계는 도3에 도시된 예와 실질 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도6의 예에서 S20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은 이동 단말기(30)를 이용하여 문자로, 착신측은 대체 단말기(80)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통신을 하는 방식으로의 통신모드 변경요청이다.
그러면 이하 S50 단계 이후의 과정을 설명한다. 발신측 이동 단말기(30)로부터 통신모드 변경수락 코드가 전송되면, 세션 관리기(60)는 호 연결/변환기(70)로 착신측 대체 단말기(80)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30) 간의 호 연결 설정과 통신 중계를 요청한다(S110). 이를 위해 세션 관리기(60)는 대체 단말기(80)의 IP 주소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의 식별정보를 호 연결/변환기(7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호 연결/변환기(70)는 대체 단말기(80)로 음성 입/출력 도구(도7의120 참조)의 실행을 요청한다(S120). 그러면 대체 단말기(80)에서는 음성 입/출력 도구(120)에 해당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됨과 동시에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이 완료되었음이 호 연결/변환기(70)에 통보된다(S130).
이어서 호 연결/변환기(70)는 통신모드가 변경되었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에 전송하여 줌과 동시에 문자 입/출력 도구(도7의 130 참조)의 실행을 요청한다(S140). 그러면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에서는 문자 입/출력 도구(130)가 실행됨과 동시에 착신측 대체 단말기(80)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S140 단계가 진행된 이후에는 음성인식 기술에 의해 발신측 사용자와 착신측 사용자 간에 통신이 이루어진다(Ⅲ).
보다 구체적으로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발신측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 (30)에서 실행된 문자 입/출력 도구(130)를 통하여 입력하는 문자 메시지는 무선망(20A)과 무선망 교환기 시스템(10)을 통해 호 연결/변환기(70)로 전송된다. 이 때 발신측 사용자가 시각 장애를 겪고 있으면, 이동 단말기(30)에 점자 자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호 연결/변환기(70)와 연동하는 음성인식기(90)가 문자로 된 메시지를 컴퓨터 음성으로 변환한다. 변환이 완료되면, 호 연결/변환기(70)는 대체 단말기(80)에서 실행 중인 음성 입/출력 도구(120)로 변환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대체 단말기(80)의 IP 주소가 참조되며, 음성 메시지는 VOIP 기술에 의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착신측 사용자는 발신측 사용자가 문자로 입력한 메시지 내용을 음성 메시지의 형태로 청취할 수 있다.
반면 착신측 사용자는 음성 입/출력 도구(120)를 이용하여 발신측 사용자에게 전달할 메시지를 음성으로 입력한다. 그러면 입력된 음성 메시지는 유무선 인터넷(20C, 20D)을 통해 호 연결/변환기(70)로 전송된다. 이 때, 음성 메시지는 VOIP 기술에 의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호 연결/변환기(70)는 음성인식기(90)로 전송된 음성 메시지를 입력한다. 그러면 음성인식기(90)는 음성 메시지를 인식하여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호 연결/변환기(70)는 문자로 변환된 메시지를 무선망 교환기 시스템(10)과 무선망(20A)을 통해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에서 구동 중인 문자 입/출력 도구(130)로 전송하여 준다. 그러면 발신측 사용자는 착신측 사용자가 대체 단말기(80)에서 음성으로 입력한 메시지를 문자 메시지의 형태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4 및 도6에 도시된 예에서 음성인식기(90)는 호 연결/변환기(70) 측 에 구비되지 않고 대체 단말기(80) 측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음성 메시지를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의 작용은 대체 단말기(80)에서 이루어진다.
도8은 발신측 사용자와 착신측 사용자 모두가 대체 단말기(80)를 등록하고 착신측 이동 단말기(40)에 음성호가 착신되었을 때 통신모드를 발신측 대체 단말기(80A)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80B) 간의 데이터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8을 참조하면, S10 단계 내지 S50 단계는 도3에 도시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도8의 예에서 S20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40) 간의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를, 발신측 대체 단말기(80A)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80B) 간의 데이터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이다. 그리고 S30 단계에서 세션관리기(70)는 대체단말 단말기(50)로부터 발신측 및 착신측 대체 단말기(80A, 80B)의 통신 식별자 모두를 질의하여 획득한다.
그러면 이하 S50 단계 이후의 과정을 설명한다. 발신측 이동 단말기(30)로부터 통신모드 변경수락 코드가 전송되면, 세션 관리기(60)는 호 연결/변환기(70)로 발신측 대체 단말기(80A)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80B) 간의 호 연결 설정과 통신 중계를 요청한다(S150). 이를 위해 세션 관리기(60)는 발신측과 착신측 대체 단말기(80A, 80B)의 각 IP 주소를 호 연결/변환기(7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호 연결/변환기(70)는 유무선 인터넷(20C, 20D)을 통해 착신측 대 체 단말기(80B)로 데이터 통신 도구의 실행을 요청한다(S160). 이와 동시에 호 연결/변환기(70)는 발신측 대체 단말기(80A)에도 데이터 통신 도구의 실행을 요청한다(S170). 상기 데이터 통신 도구는 문자 채팅 프로그램, P to P 방식의 자료 교환 프로그램, 화상 채팅 프로그램 또는 그래픽 채팅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발신측 및 착신측 대체 단말기(80A, 80B)에서 데이터 통신 도구의 실행이 완료되면, 발신측 대체 단말기(80A)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80B)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Ⅳ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발신측 사용자와 착신측 사용자는 호 연결/변환기(70)의 중계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의 데이터 통신은 채팅, P to P 에 의한 자료 교환, 화상 채팅, 그래픽 채팅 등을 들 수 있는 있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발신측 대체 단말기(80A)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80B) 간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착신측 이동 단말기(40)로의 음성호 착신 시도는 중단될 수 있다.
하지만 발신측 대체 단말기(80A)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80B) 간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과는 별도로 발신측 이동 단말기(30)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40) 간에 음성호에 의한 전화통화가 동시에 개시될 수도 있다. 그러면 발신측 사용자와 착신측 사용자는 전화를 통해 음성호에 의해 메시지를 서로 교환하면서 동시에 각자의 대체 단말기(80A, 80B)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대체 단말기(80A, 80B)의 통신 식별자는 유무선 인터넷(20C, 20D)을 통해 미리 대체단말 관리기(50)에 등록되어 관리된다. 하지만 착신측 이동 단말기(40)로부터 통신모드의 변경요청이 세션 관리기(60)로 전송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직접 대체 단말기(80A, 80B)의 통신 식별자를 입력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위와 같은 경우 편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이동 단말기(40)에 구비된 통신모드 전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미리 대체 단말기(80A, 80B)의 통신 식별자를 메모리에 등록하여 두고 통신모드 변경요청을 세션 관리기(60)로 전송할 때 메모리에 수록된 대체 단말기(80A, 80B)의 통신 식별자가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세션 관리기(60)가 대체단말 관리기(50)에 대체 단말기(80A, 80B)의 통신 식별자를 질의하는 단계는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신모드 전환 방법은 착신자가 제1발신자와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수행하는 도중 제2발신자로부터 음성호가 착신되는 경우 착신자와 제2발신자의 관계에서도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신측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하기 곤란한 상황에 있더라도 대체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로의 통신모드 전환이 가능하므로 커뮤니케이션의 단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음성호에 의한 통신 서비스와 데이터호에 의한 통신 서비스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커뮤니케이션의 질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호 기반의 통신 모드를 텍스트 기반의 통신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청각 장애인이나 언어 장애가 있는 사용자의 경우도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5)

  1. 이동통신 환경에서 음성호의 착신 시 착신 이동 단말기를 대체하여 발신측이동 단말기와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수행할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를 등록 관리하는 대체단말 관리기;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비 음성호를 이용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을 수신 받아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통신모드 변경수락을 요청하고, 상기 등록된 통신 식별자를 이용하여 통신모드 변경을 수락한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상기 등록된 대체 단말기 간의 호 연결 설정을 제어하고 통신 세션을 모니터링하는 세션 관리기; 및
    상기 세션 관리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체 단말기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 사이에 호 연결을 설정하고 비 음성호를 이용한 통신을 중계하는 호 연결/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
  2. 이동통신 환경에서 음성호가 착신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착신측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와 비 음성호를 이용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을 수신한 후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통신모드 변경을 요청하고, 상기 통신 식별자를 이용하여 통신모드 변경을 허락한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상기 대체 단말기와의 사이에 호 연결 설정을 제어하고 통신 세션을 모니터링 하는 세션 관리기; 및
    상기 세션 관리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체 단말기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 사이에 호 연결을 설정하고 비 음성호를 이용한 통신을 중계하는 호 연결/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단말기는 IP에 의한 유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기기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기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또는 PDA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가 데이터호 - 데이터호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이고,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에는 호 연결 시 실행되어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데이터 통신 도구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호 연결/변환기는 발신측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된 데이터 통신 도구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에서 실행된 데이터 통신 도구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가 음성호 - 데이터호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드로의 변경 요청이고,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에는 호 연결 시 실행되어 문자를 입/출력할 수 있는 문자 입/출력 도구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호 연결/변환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음성호를 수신 받아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문자 입/출력 도구로 출력하고, 상기 문자 입/출력 도구로부터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수신 받아 음성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가 음성호 - 데이터호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드로의 변경 요청이고,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에는 상기 호 연결/변환기의 통신 중계에 따라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호를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 측으로 전송되는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음성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인식기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가 데이터호 - 음성호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드로의 변경 요청이고,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에는 호 연결 시 실행되어 음성을 입/출력할 수 있는 음성 입/출력 도구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에는 호 연결 시 실행되어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입/출력할 수 있는 문자 입/출력 도구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호 연결/변환기는 상기 문자 입/출력 도구로부터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수신 받아 음성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 입/출력 도구로 출력하고, 상기 음성 입/출력 도구로부터 음성호를 수신 받아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문자 입/출력 도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가 데이터호 - 음성호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드로의 변경 요청이고,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에는 호 연결 시 실행되어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입/출력할 수 있는 문자 입/출력 도구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에는 상기 호 연결/변환기의 통신 중계에 따라 상기 문자 입/출력 도구로부터 수신 되는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음성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 측으로 전송되는 음성호를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인식기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는 유무선 인터넷 상에 개설된 메시지 저장소의 접속 경로이고,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는 상기 호 연결/변환기로부터 상기 접속 경로를 제공 받아 상기 메시지 저장소에 접속하는 브라우저 도구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저장소는 게시판, 방명록, 원격 파일 저장소 또는 블로그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
  12.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의 각 대체 단말기에 대한 통신 식별자를 등록 관리하는 대체단말 관리기;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 간의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와 발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의 변경요청을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아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통신모드 변경을 요청하고,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신모드 변경이 허락되면 발신측 및 착신측 대체 단말기의 각 통신 식별자를 이용하여 대체 단말기 간 호 연결을 제어하고 통신 세션을 모니터링하는 세션 관리기; 및
    상기 세션 관리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대체 단말기 사이에 호 연결을 설정하고 통신을 중계하는 호 연결/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
  13.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의 각 대체 단말기에 대한 통신 식별자를 등록 관리하는 대체단말 관리기;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 간의 음성호에 의한 제1통신과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와 발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비 음성호에 의한 제2통신이 결합된 형태로의 통신모드 변경요청을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아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통신모드 변경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신모드 변경이 허락되면 대응하는 단말기 간에 상기 제1 및 제2통신을 위한 호 연결을 각각 제어하고 제1 및 제2통신의 세션을 모니터링하는 세션 관리기; 및
    상기 세션 관리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음성호에 의한 통신, 그리고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대체 단말기 사이의 비 음성호 에 의한 통신을 중계하는 호 연결/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단말기는 IP에 의한 유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기기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기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또는 PDA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은 데이터호 데이터호에 의한 데이터 통신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장치.
  17. 이동통신 환경에서 제1항, 제2항, 제12항 또는 제13항의 세션 관리기와 연동하여 비 음성호를 이용한 통신모드로의 전환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로서,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를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 변경할 조건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통신모드 조건설정 관리모듈; 및
    상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 음성호의 착신 시 자동으로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을 상기 세션 관리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드 변경요청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모드 전환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통신모드를 변경해야 할 시간 대, 통신모드를 변경해야 할 특정 발신자 번호 또는 통신모드를 변경해야 할 발신자 번호의 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이동통신 환경에서 제1항, 제2항, 제12항 또는 제13항의 세션 관리기와 연동하여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전환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로서,
    음성호의 착신 시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을 선택 입력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통신모드 변경요청에 따라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을 상기 세션 관리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드 변경요청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모드 전환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a) 대체단말 관리기가 착신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단계;
    (b) 세션 관리기가 음성호를 착신 한 이동 단말기로부터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을 수신 받는 단계;
    (c) 상기 세션 관리기가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 변경에 대한 수락을 요청하는 단계;
    (d) 호 연결/변환기가 상기 등록된 통신 식별자를 이용하여 통신모드 변경을 수락한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상기 대체 단말기 간에 호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호 연결/변환기가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 사이의 비 음성호를 이용한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
  21. (a) 세션 관리기가 착신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와 함께 비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세션 관리기가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 변경에 대한 수락을 요청하는 단계;
    (c) 호 연결/변환기가 상기 통신 식별자를 이용하여 통신모드 변경을 수락한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상기 대체 단말기 간에 호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호 연결/변환기가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 사이의 비 음성호를 이용한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단말기는 IP에 의한 유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기기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기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또는 PDA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
  24.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데이터호 - 데이터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이고,
    상기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호 연결/변환기가 상기 호 연결 설정에 따라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에서 실행된 데이터 통신 도구 간의 데이터 통신을 상호 중계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
  25.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음성호 - 데이터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이고,
    상기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호 연결/변환기가,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호를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한 후 상기 호 연결 설정에 따라 상기 대체 단말기에서 실행된 문자 입/출력 도구로 출력하고,
    상기 문자 입/출력 도구에서 입력되는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음성호로 변환한 후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
  26.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드 변경요청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데이터호 -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이고,
    상기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호 연결/변환기가, 상기 호 연결 설정에 따라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된 문자 입/출력 도구로부터 전송되는 문자 형태의 메시지를 음성호로 변환하여 상기 호 연결 설정에 따라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에서 실행된 음성 입/출력 도구로 출력하고,
    상기 음성 입/출력 도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호를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문자 입/출력 도구로 출력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
  27.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는 유무선 인터넷 상에 개설된 메시지 저장소의 접속 경로이고,
    상기 호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호 연결/변환기가 상기 접속 경로를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호 연결/변환기가 상기 접속 경로 전송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구동된 브라우저 수단과 상기 메시지 저장소의 접속을 매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호 연결/변환기가 상기 브라우저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나 파일을 상기 메시지 저장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저장소는 게시판, 방명록, 원격 파일 저장소 또는 블로그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
  29. (a) 대체단말 관리기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각 대체 단말기에 대한 통신 식별자를 입력 받아 등록하는 단계;
    (b) 세션 관리기가 음성호를 착신한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세션 관리기가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 변경에 대한 수락을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의 수락이 있으면, 호 연결/변환기가 상기 발신측 대체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비 음성호에 의한 호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호 연결/변환기가 상기 발신측 대체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
  30. (a) 대체단말 관리기가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대체 단말기에 대한 각각의 통신 식별자를 입력 받아 등록하는 단계;
    (b) 세션 관리기가 음성호를 착신한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로의 변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세션 관리기가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 변경에 대한 수락을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의 수락이 있으면, 호 연결/변환기가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 간의 음성호에 의한 제1통신과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와 발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비 음성호에 의한 제2통신을 위한 각각의 호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호 연결/변환기가 상기 제1 및 제2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
  31. (a) 세션 관리기가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와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 변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세션 관리기가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 변경에 대한 수락을 요청하고 통신모드 변경수락 및 발신측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c) 호 연결/변환기가 상기 발신측 대체 단말기와 착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비 음성호에 의한 호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호 연결/변환기가 상기 발신측 대체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
  32. (a) 세션 관리기가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와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 변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세션 관리기가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모드 변경에 대한 수락을 요청하고 통신모드 변경수락 및 발신측 대체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c) 호 연결/변환기가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와 발신측 이동 단말기 간의 음성호에 의한 제1통신과 상기 착신측 대체 단말기와 발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비 음성호에 의한 제2통신을 위한 각각의 호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호 연결/변환기가 상기 제1 및 제2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
  33. 제2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단말기는 IP에 의한 유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기기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기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또는 PDA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
  35. 제2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은 발신측 및 착신측 대체 단말기 간의 데이터호 - 데이터호에 의한 통신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 방법.
KR1020050070714A 2005-08-02 2005-08-02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장치 및 방법 KR100724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714A KR100724997B1 (ko) 2005-08-02 2005-08-02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714A KR100724997B1 (ko) 2005-08-02 2005-08-02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989A KR20070015989A (ko) 2007-02-07
KR100724997B1 true KR100724997B1 (ko) 2007-06-04

Family

ID=43650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714A KR100724997B1 (ko) 2005-08-02 2005-08-02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99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7901A (ja) 1999-10-27 2001-05-11 Fujitsu I-Network Systems Ltd 接続端末−isdn電話機間通信方法
KR20010081627A (ko) * 2000-02-17 2001-08-29 강경원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0313855B1 (ko) * 1998-06-13 2001-12-12 윤종용 음성통화도중의1:1데이터통신접속장치및방법
JP2002044285A (ja) 2000-07-28 2002-02-08 Seiko Instruments Inc 移動体通信端末装置および携帯表示端末装置
KR20020049818A (ko) * 2000-12-20 2002-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시 서비스 방법
KR20050053950A (ko) * 2003-12-03 2005-06-10 주식회사 휴림인터랙티브 동기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 영상 전송 서비스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855B1 (ko) * 1998-06-13 2001-12-12 윤종용 음성통화도중의1:1데이터통신접속장치및방법
JP2001127901A (ja) 1999-10-27 2001-05-11 Fujitsu I-Network Systems Ltd 接続端末−isdn電話機間通信方法
KR20010081627A (ko) * 2000-02-17 2001-08-29 강경원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JP2002044285A (ja) 2000-07-28 2002-02-08 Seiko Instruments Inc 移動体通信端末装置および携帯表示端末装置
KR20020049818A (ko) * 2000-12-20 2002-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시 서비스 방법
KR20050053950A (ko) * 2003-12-03 2005-06-10 주식회사 휴림인터랙티브 동기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 영상 전송 서비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989A (ko) 200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9901B (zh) 发起会议的方法、短信应用业务代理、会议服务器及系统
US20090003585A1 (en)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cheduling Communication Service
JP4967475B2 (ja) グループ通信切り替え方法
JP2008523662A (ja) 画像ベースのプッシュ・ツー・トーク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向き画像交換方法
CN103517266B (zh) 移动网络侧激活移动终端的方法和移动网关系统
CN101103598A (zh) 在通信网络中实现组合服务
KR20160014112A (ko) 전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CN1889611B (zh) 实时语音通信的方法及实时语音通信系统
CN101217600A (zh) 询问转接业务方法和装置
JP4920516B2 (ja) 電話システムおよび代理応答電話機
CN101426246A (zh) 可视电话和语音电话的切换方法和装置
CN101159702B (zh) 电话用户与pc用户进行语音沟通的方法、系统及设备
US745056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using internet phones and system therefor
JP5176302B2 (ja) 通信メディア自動変換システム
KR100677506B1 (ko) Ptt 서비스 예약 방법
CN105578438A (zh) 一种固定电话的共享方法及相关设备
WO2010044082A3 (en) A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JP4573333B2 (ja) グループ通信におけるサービス切替方法、サーバ、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482309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無線端末呼び出し方法、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2008067083A (ja) グループ通話制御システム、グループ通話制御方法および移動通信端末
JP2007013616A (ja) プレゼンスサーバ、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KR100724997B1 (ko) 음성호에 의한 통신을 비 음성호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는장치 및 방법
AU20032008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ulsively receiving multi-calls over internet protocol phones in internet protocol telephony system
JP5233714B2 (ja) 通信メディア変換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297186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a communication between pa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