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1002A - 섬유 강화 플라스틱 성형품의 고정 지그 - Google Patents

섬유 강화 플라스틱 성형품의 고정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002A
KR20010091002A KR1020000029514A KR20000029514A KR20010091002A KR 20010091002 A KR20010091002 A KR 20010091002A KR 1020000029514 A KR1020000029514 A KR 1020000029514A KR 20000029514 A KR20000029514 A KR 20000029514A KR 20010091002 A KR20010091002 A KR 20010091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p molded
molded article
adhesive
fixing ji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마가와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이마가와 마사히로
이마하루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가와 마사히로, 이마하루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가와 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20010091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00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3Reactive adhesives, e.g. chemically curing adhesives
    • B29C65/4835Heat cur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1Joining tubular articles for forming coaxial connections, i.e. the tubular articles to be joined forming a zero angle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4Endless tubes, e.g. inner tubes for pneumatic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FRP 성형품을 접착제로서 접합하는 접합작업에 있어서, 아직 접착제가 경화하지 않은 접합부에 작업자가 접촉하여도 어긋남을 발생하지 않고 양호한 접합상태를 유지하고, 또 접합작업이 종료한 후 즉시라도 FRP 성형품의 운반을 가능하게 하는 FRP 성형품의 고정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FRP제의 배관(2a, 2b)을 접착제(25)로서 접합하는 접합작업에 이용되는 고정 지그(1)를 한편의 배관(2a)을 유지하는 제1 홀더(3)의 홀딩부재(6a, 6b)와, 다른 편의 배관(2b)을 유지하는 제2 홀더(4)의 홀딩부재(7a, 7b)를 지지축(5)으로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섬유 강화 플라스틱 성형품의 고정 지그{Fixing jig for FRP moldings}
본 발명은 FRP 성형품의 고정 지그, 상세하게는 FRP 성형품을 접착제로서 접합하는 접합작업에 이용되는 FRP 성형품의 고정 지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FRP(섬유강화 플라스틱) 성형품은 가볍고 고강도이기 때문에 각종 구조용 재료로서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FRP 성형품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FRP로서 성형된 각 부재를 접착제로서 양호하게 접합하고 있다.
FRP 로서 성형된 각 부재를 접착제로서 접합하는 경우에는 구조물로서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통상 에폭시계 접착제 등의 열경화성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한편의 부재에 이러한 접착제를 도포하고 다음에 다른 편의 부재를 중합한 후에 접착제를 경화함으로써 이 접착제를 거쳐서 양쪽의 부재를 접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FRP 성형품을 접착제로서 접합하는 경우에는, 접착제를 충분히 경화시키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구조물을 조립할 때에는 작업자가 각 부재를 차례로 접합하여 가는데, 그 작업 중에는 아직 접착제가 경화하지 않은 접합부에 접촉하는 경우도 있고, 그러한 경우에는 접합부에 어긋남을 발생시킨다고 하는 불합리가 있다. 또, 각 부재를 접합한 후에 그 접합된 부재를 운반하는 경우에도 그 접착제의 경화가 종료하기 까지는 운반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기다란 배관을 차례로 접합하여 가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접촉하기 쉽고 또 조금이라고 접촉하면 다른 배관에도 그 흔들림이 전해지기 때문에 상술한 불합리가 현저히 나타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불합리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FRP 성형품을 접착제로서 접합하는 접합작업에서 아직 접착제가 경화하지 않은 접합부에 작업자가 접촉하여도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고 양호한 접합 상태를 유지하고 또 접합 작업이 종료한 후 즉시라도 그 접합된 FRP 성형품의 운반이 가능하게 하는, FRP 성형품의 고정 지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FRP 성형품의 고정 지그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고정 지그의 사용 전의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고정 지그의 지지축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고정 지그로서 고정되는 FRP제의 배관의 요부 단면을 도시하는 일부 단면 측면도.
도 5는 도 1과는 다른 실시 형태의 고정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고정 지그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고정 지그 2a,2b:배관
3:제1 홀더 4:제2 홀더
5:지지축 6a,6b,7a,7b:홀딩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항에 기재된 발명은, 2개의 FRP 성형품을 접착제로서 접합하는 접합작업에 이용되는 FRP 성형품의 고정 지그에 있어서, 한편의 FRP 성형품을 유지하는 제1 유지부재와, 다른 편의 FRP 성형품을 유지하는 제2 유지부재와, 상기 제1 유지부재와 상기 제2 유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의 FRP 성형품과 다른 편의 FRP 성형품을 접착제로서 접합한 후 그 접착제의 경화가 종료하기까지의 사이에 이 고정 지그를 이용하여 한편의 FRP 성형품을 제1 유지부재로서 유지하며 동시에 다른 편의 FRP 성형품을 제2 유지부재로서 유지하면, 제1 유지부재와 제2 유지부재가 연결부재로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의 FRP 성형품의 접합부를 그대로의 상태로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작업자가 접합부에 접촉하여도 그 접합부에 어긋남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고, 또 접합 작업이 종료한 후 고정 지그를 부착하면 즉시라도 FRP 성형품을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부재 및 제2 유지부재는 FRP 성형품을 그 사이에 끼우기 위한 2개의 홀딩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홀딩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고정 지그를 이용하여 FRP 성형품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제1 유지부재의 2개의 홀딩부재에 의하여 한편의 FRP 성형품을 끼울 수가 있으며 동시에 제2 유지부재의 2개의 홀딩부재에 의하여 다른 편의 FRP 성형품을 끼울 수가 있다. 그 때문에 각 FRP 성형품을 간편한 작업에 의해 확실히 고정할 수 있고, 더구나 FRP 성형품의 접합부를 그대로의 상태로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항 또는 2항의 발명에 있어서, FRP 성형품이 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RP 성형품이 배관이면 길게 연장하기 때문에 접착제의 경화가 종료하지 않은 접합부를 갖는 배관에 작업자가 접촉하기 쉽고 또 조금만 접촉하면 다른 배관에도 그 흔들림이 전해지기 때문에 각 접합부의 어긋남이 일어나기 쉬운데, 본 발명의 고정 지그를 이용하면 각 접합부를 확실히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불합리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FRP 성형품의 고정 지그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그 사용 전의 상태에 있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이 고정 지그(1)는 FRP제의 배관(2a, 2b)을 접착제로서 접합하는 접합 작업에 이용되고, 한편의 배관(2a)을 유지하는 제1 유지부재로서의 제1 홀더(3)와, 다른 편의 배관(2b)을 유지하는 제2 유지부재로서의 제2 홀더(4)와, 이들 제1 홀더(3) 및 제2 홀더(4)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의 지지축(5)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홀더(3)는 배관(2a)을 유지하기 위해서 지지축(5)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2개의 홀딩부재(6a, 6b)를 구비한다. 이들 홀딩부재(6a, 6b)는 판 모양으로 되고, 배관(2a)의 외경을 따르도록 원호상의 만곡부(8a, 8b)와, 그 만곡부(8a, 8b)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평탄한 모양의 고정부(9a, 9b)를 가지며, 또 만곡부(8a, 8b)의 기단부에는 지지축(5)을 삽입할 수있는 힌지부(10a, 10b)가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8a, 8b)에는 배관(2a)에 접촉하는 탄성재료로서 이루어진 패드부(11a, 11b)가 설치되어 있다. 또, 고정부(9a, 9b)에는 볼트(12)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구멍(13a, 13b)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홀더(4)도 제1 홀더(3)와 동일한 모양으로, 배관(2b)을 유지하기 위해 지지축(5)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2개의 홀딩부재(7a, 7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홀딩부재(7a, 7b)는 판 모양으로 되고, 배관(2b)의 외경을 따르도록 원호상의 만곡부(14a, 14b)와, 그 만곡부(14a, 14b)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평탄한 모양의 고정부(15a, 15b)를 가지며, 또 만곡부(14a, 14b)의 기단부에는 지지축(5)을 삽입할 수 있는 힌지부(16a, 16b)가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14a, 14b)에는 배관(2b)에 접촉하는 탄성재료로서 이루어진 패드부(17a, 17b)가 설치되어 있다. 또, 고정부(15a, 15b)에는 볼트(12)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구멍(18a, 18b)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5)은 머리부(19) 및 축부(20)를 구비하고, 그 축부(20)를 제1 홀더(3)의 각 홀딩부재(6a, 6b)의 각 힌지부(10a, 10b)와, 제2 홀더(4)의 각 홀딩부재(7a, 7b)의 각 힌지부(16a, 16b)에 삽입한 상태에서 선단부에 형성되는 나사에 너트(21)를 조임으로써 이들 제1 홀더(3)의 각 홀딩부재(6a, 6b)와, 제2 홀더(4)의 각 홀딩부재(7a, 7b)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 축부(20)에는 각 홀딩부재(6a, 6b)의 각 힌지부(10a, 10b)와, 제2 홀더(4)의 각 홀딩부재(7a, 7b)의 각 힌지부(16a, 16b) 사이에 통 모양의 스페이서(22)가 삽입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22)가 각 홀딩부재(6a, 6b)의 각 힌지부(10a, 10b)와, 각 홀딩부재(7a, 7b)의 각 힌지부(16a, 16b) 사이에 끼워 설치됨으로써 제1 홀더(3)와 제2 홀더(4)가 항상 일정한 간격을 둔 상태에서 배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 지그(1)는 FRP제의 배관(2a, 2b)을 접착제로서 접합하는 접합 작업에서 이용된다.
즉, 이 배관(2a, 2b)의 접합은 도 4에도 나타난 바와 같이, 한편의 배관(2a)의 단부의 외주면(23)을 선단을 향하여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으로서 형성함과 함께, 다른 편의 배관(2b)의 단부의 내주면(24)을 그 외주면(23)을 수용하도록 선단을 향하여 점차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배관(2a)의 외주면(23) 또는 배관(2b)의 내주면(24) 중 적어도 어느 한편에 접착제(25)를 도포한 후 한편의 배관(2a)의 단부의 외주면(23)을 다른 편의 배관(2b)의 단부의 내주면(24)에 삽입하여서 접착제(25)를 경화시킴으로써 접합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2a)의 단부의 외주면(23)과 배관(2b)의 단부의 내주면(24) 사이에 접착제(25)의 층이 개재된다. 접착제(25)로서는 구조용 접착제 즉, 에폭시계접착제나 우레탄계 접착제 등의 열경화성 접착제가 이용되고, 그 경화시간이 수시간 이상 통상 1 ~ 24시간 정도 걸리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한편의 배관(2a)의 단부의 외주면(23)을 다른 편의 배관(2b)의 단부의 내주면(24)에 삽입한 후 접착제(25)의 경화가 종료하기 까지의 사이에 이들 배관(2a, 2b)의 접합부를 이 고정 지그(1)를 이용하여 임시로 고정하여 둔다.
고정 지그(1)를 이용하여 배관(2a, 2b)의 접합부를 임시로 고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1 홀더(3)의 각 홀딩부재(6a, 6b)와, 제2 홀더(4)의 각 홀딩부재(7a, 7b)를 개방한 상태로 한 후에 제1 홀더(3)의 각 홀딩부재(6a, 6b) 사이에 한편의 배관(2a)을 배치하며 동시에, 제2 홀더(4)의 각 홀딩부재(7a, 7b) 사이에 다른 편의 배관(2b)을 배치한다. 이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홀더(3)의 각 홀딩부재(6a, 6b)를 지지축(5)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시켜서 만곡부(8a, 8,b)에 의하여 배관(2a)의 외주를 둘러싸며 동시에 제2 홀더(4)의 각 홀딩부재(7a, 7b)를 지지축(5)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시켜서 만곡부(14a, 14b)에 의해 배관(2b)의 외주를 둘러싼다. 그렇게 하면, 제1 홀더(3)에서 각 홀딩부재(6a, 6b)의 각 고정부(9a, 9b)가 중합되는 상태로 되므로 각 고정부(9a, 9b)의 관통구멍(13a, 13b)에 볼트(12)를 삽입하고, 그 볼트(12)에 너트(26)를 조임으로써 제1 홀더(3)로서 한편의 배관(2a)을 확실히 유지한다. 또한, 제2 홀더(4)에서 각 홀딩부재(7a, 7b)의 각 고정부(15a, 15b)도 중합되는 상태로 되므로 각 고정부(15a, 15b)의 관통구멍(18a, 18b)에 볼트(12)를 삽입하고, 그 볼트(12)에 너트(26)를 조임으로써 제2 홀더(4)로서 한편의 배관(2b)을 확실히 유지한다.
이렇게 하여 제1 홀더(3)로서 한편의 배관(2a)을 유지하며 동시에 제2 홀더(4)로서 다른 편의 배관(2b)을 유지하면, 제1 홀더(3)와 제2 홀더(4)가 지지축(5)에 의해 연결되므로 배관(2a, 2b)의 접합부를 간편한 작업으로서 그대로의 상태에서 양호하게 임시로 고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작업자가 배관(2a, 2b)의 접합부에 접촉하여도 그 접합부에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고 또 접합작업이 종료한 후 고정 지그(1)를 부착하면 즉시라도 배관(2a, 2b)을 가지고 운반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배관(2a, 2b)은 통상 복수개의 배관을 몇개의 접합부에서 이어서 합하여 접속하므로 접합 작업 중에서는 접착제(25)의 경화가 종료하지 않는 곳이 많이 발생하고, 작업자가 그중 하나의 배관에 살짝 접촉하면 다른 배관에도 그 흔들림이 전해지므로 각 접합부의 어긋남이 생기기 쉽지만, 이 고정 지그(1)를 이용하여 각 접합부를 임시로 고정하여 두면 각 접합부를 그대로의 상태로 보유할 수 있고, 그러한 불합리가 발생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 배관(2a, 2b)의 접합은 1곳만을 나타내고 있는데, 예를 들면 배관(2a) 또는 배관(2b) 중 어느 한편을 비교적 짧은 커플링용의 배관으로서 이용하고, 그 커플링용 배관으로서 다른 편의 배관을 차례로 접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배관(2a, 2b)의 접합은 배관(2a)의 외주면(23) 또는 배관(2b)의 내주면(24) 중 적어도 어느 한편에 접착제(25)를 도포한 후 한편의 배관(2a)의 단부의 외주면(23)을 다른 편의 배관(2b)의 단부의 내주면(24)에 삽입하고 있는 데 이러한 접합방법에 한하지 않고 공지된 어느 접합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이 실시 형태에서는 배관(2a)이 배관(2b) 보다도 직경이 작게 되어 있는데, 배관(2a, 2b)의 직경의 크기는 전혀 한정되지 않으며 배관(2a) 및 배관(2b)은 동일한 직경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 지그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것이라도 좋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고정 지그(31)에서는, 제1 홀더(3)의 각 홀딩부재(6a, 6b)의 만곡부(8a, 8b)와, 제2 홀더(4)의 각 홀딩부재(7a, 7b)의 만곡부(14a, 14b)가 FRP제의 플랜지부(32a, 32b)로서 이루어지는 접합부를 끼울 수 있도록 각 만곡부의 중앙이 평탄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고정 지그(31)는 만곡부의 형상 이외는 상기한 고정 지그(1)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다.
이러한 고정 지그(31)를 이용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FRP제의 패널(33a, 33b)의 접합부를 임시로 고정할 수 있다. 즉, FRP제의 패널(33a, 33b)을 접합하는 경우에는 각 패널(33a, 33b)의 단부에 플랜지(32a, 32b)를 형성하여 이들 플랜지부(32a, 32b)를 접착제(25)를 거쳐서 접합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고정 지그(31)를 이용하면 이들 플랜지부(32a, 32b)로서 이루어지는 접합부를 임시로 고정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고정 지그(1) 및 고정 지그(31)의 지지축(5)은 1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접합부가 큰 경우에는 복수개로 구성하여도 좋고, 또 축방향을 보강하는 부재를 별도로 설치하여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FRP 성형품의 접합 작업이 종료한 후 고정 지그를 부착하면 작업자가 접촉하여도 어긋남을 발생하는 일이 없고, 또 즉시라도 그 FRP 성형품을 운반할 수 있다.
청구항 2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각 FRP 성형품을 간편한 작업에 의해 확실히 고정할 수 있고, 더구나 FRP 성형품의 접합부를 그대로의 상태에서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3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FRP 성형품이 배관이면, 그 배관에 작업자가 접촉하기 쉬워서 각 접합부의 어긋남을 발생하기 쉬운데, 본 발명의 고정 지그를 이용하면 그러한 불합리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2개의 FRP 성형품을 접착제로서 접합하는 접합작업에 이용되는 FRP 성형품의 고정 지그에 있어서,
    한편의 FRP 성형품을 유지하는 제1 유지부재와,
    다른 편의 FRP 성형품을 유지하는 제2 유지부재와,
    상기 제1 유지부재와 상기 제2 유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 성형품의 고정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부재 및 제2 유지부재는 FRP 성형품을 그 사이에 끼우기 위한 2개의 홀딩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홀딩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 성형품의 고정 지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FRP 성형품이 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 성형품의 고정 지그.
KR1020000029514A 2000-04-07 2000-05-31 섬유 강화 플라스틱 성형품의 고정 지그 KR200100910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06165A JP2001287270A (ja) 2000-04-07 2000-04-07 Frp成形品の固定治具
JP2000-106165 2000-04-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002A true KR20010091002A (ko) 2001-10-22

Family

ID=1861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514A KR20010091002A (ko) 2000-04-07 2000-05-31 섬유 강화 플라스틱 성형품의 고정 지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287270A (ko)
KR (1) KR200100910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312B1 (ko) * 2015-05-01 2016-10-11 주식회사 세전더블유엠에스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접합 공구의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87270A (ja) 2001-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9020B2 (en) Geometric end effector system
JP3577587B2 (ja) 剪断リングを利用した鋼材の接合構造並びにその鋼材の接合工法
US20030207715A1 (en) Coupling member of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6719865B2 (en) Method for producing stiffened hollow structure composed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KR20010091002A (ko) 섬유 강화 플라스틱 성형품의 고정 지그
US20030025329A1 (en) Spacer-less type pipe joint and packing ring used for the same
JPH08291623A (ja) コンクリート成形用型枠材連結具
JP3727719B2 (ja) 杭の継手構造
JP2002250487A (ja) 管体の結合構造及び結合方法
JPH0649913A (ja) 摩擦ボルト接合部の接合補助部材
JPH07156276A (ja) 管材の接続方法および管材の接続装置ならびに配管材
JP3134671B2 (ja) 接続穴合わせ用治具
JPS62119810A (ja) 船舶推進器のトルク伝達用絶縁フランジ継手
CN215788230U (zh) 一种装夹定位工装
EP1382870A3 (de) Elastische Kupplung
JPH0544574Y2 (ko)
JP3413617B2 (ja) 可撓性管継手用の相フランジ構造
JP6869083B2 (ja) Frp緊張材の定着装置
JPH0640332Y2 (ja) ハイブリッドボルト
JPH09242957A (ja) 分割型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複合材製ダクトの長手継手の締結構造およびその締結方法
JPH06257607A (ja) 繊維強化樹脂製管体の接合方法
JPH0419492A (ja) 熱硬化性樹脂管の接続方法
JPS63199914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ツク製プロペラシヤフトの継手接合方法
JPH01158207A (ja) ボルトナット
JPH05124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