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358A - 전기 전도성 파이프 클립 또는 케이블 클립 - Google Patents

전기 전도성 파이프 클립 또는 케이블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358A
KR20010087358A KR1020017003357A KR20017003357A KR20010087358A KR 20010087358 A KR20010087358 A KR 20010087358A KR 1020017003357 A KR1020017003357 A KR 1020017003357A KR 20017003357 A KR20017003357 A KR 20017003357A KR 20010087358 A KR20010087358 A KR 20010087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ructure
contact element
contact
edges
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리타 다우메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카린 다우메 마쉬넨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카린 다우메 마쉬넨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riority claimed from PCT/EP1999/006748 external-priority patent/WO2000015996A1/de
Publication of KR20010087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35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01R4/646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for cables or flexible cylindrical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Wire Bond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전도 방식으로 파이프와 접촉하기 위한 장치(2)에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접촉되는 몸체(42)에 배치하기 위한 베이스 몸체(4)를 포함하고, 조립되었을 때 접촉되는 몸체를 향하고 있는 베이스 몸체(4)의 베이스 몸체(4)의 한쪽 면에 고정된 접촉 요소(40)를 가진다. 상기 접촉 요소는 접촉될 몸체(42)와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 장치는 베이스 몸체(4)의 가장자리에 대해 접촉 요소(4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 전도성 파이프 클립 또는 케이블 클립{ELECTRICALLY CONDUCTIVE PIPE CLIP OR CABLE CLIP}
이런 종류의 장치는 유럽 특허 0,744,788 A1에 공지되어 있고 연결시키기 위해서 몸체와 전기 전도성 연결하는 접촉 요소 및 접촉되는 몸체에 대해 배치하는 구속 베이스 구조물을 포함하는데, 이 접촉 요소는 조립 위치에서 접촉되는 몸체를 향하고 있는 베이스 구조물의 한쪽 면에 부착된다. 공지된 장치에서, 베이스 구조물은 탄성재에 끼워진 띠 모양의 금속 클램프를 포함하고, 접촉 면은 조립 위치에서 접촉되는 몸체를 향하고 있는 면에서 접촉 요소를 수용하도록 자유롭게 남겨진다. 공지된 장치의 접촉 요소는 구리 끈 밴드이고 접착제를 사용해 수동 부착되거나 베이스 구조물의 접촉면과 점 용접된다. 상측면에서 보았을 때, 접촉 요소는 직사각형이고, 바람직한 부착 위치에서 종방향 가장자리는 베이스 구조물의 인접한가장자리와 평행하게 뻗어있다.
공지된 장치의 단점에 의하면 접촉 요소는 부착하는 동안 미끄러질 수 있고 베이스 구조물 상의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는데 여기에서 종방향 가장자리는 평행을 이루지 않고 베이스 구조물의 가장자리에 대해 비스듬하게 뻗어있으며 결과적으로 접촉 요소는 베이스 구조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당해 분야의 장치를 조립할 때, 접촉되는 몸체와 접촉 요소 사이에서 요구되는 접촉은 바람직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경우에 접촉 요소는 베이스 구조물로부터 풀어져야 하고 바람직한 위치에 다시 부착되어야 한다. 이런 재가공에는 많은 시간과 돈이 든다.
본 발명은 케이블이나 파이프 또는 관과 같은 장방형, 실린더형 몸체와 접촉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되는데, 여기에서 "파이프"라는 용어는 "관"의 의미도 포함한다.
이 장치는 금속 파이프 또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 전도체를 접지 케이블에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 은 클램프 형태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접촉 요소 없이 도 1에 도시한 장치의 방사상 내면을 나타낸 도면,
도 3 은 베이스 구조물에 부착된 접촉 요소를 가지는 도 2의 장치를 나타낸 도 2와 유사한 도면,
도 4 는 조립 위치에서 도 3에 나타낸 장치의 Ⅳ-Ⅳ 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도 5 는 조립 위치에서 도 1의 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도 3과 동일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도 3과 동일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도 4와 동일한 도면,
도 9 는 도 8에 나타낸 장치를 관통하는 선 Ⅸ-Ⅸ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도 3과 동일한 도면,
도 11 은 접촉 요소 없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도 3과 동일한 도면,
도 12 는 도 11에서 ⅩⅡ-ⅩⅡ 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도 13 은 접촉 요소가 베이스 구조물에 대해 고정된 도 11에 나타낸 장치를 도시한 도 11과 동일한 도면,
도 14 는 도 13에서 ⅩⅣ-ⅩⅣ 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및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도 12와 동일한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장치의 단점을 극복하고, 즉 바람직한 부착 위치에서 접촉 요소를 베이스 구조물에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 청구항 1항의 서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은 청구항 1항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해소된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베이스 구조물의 가장자리에 대해 접촉 요소의 위치 조절을 허용하는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조시에 접촉 요소를 베이스 구조물에 부착할 때 베이스 구조물의 가장자리 너머로 접촉 요소의 미끄러짐과 돌출은 신뢰성 있게 막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작이 용이해지고 장시간이 걸리고 많은 비용이 드는 정정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단단하고 제작이 간단하며 경제적이다. 또 이것은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조절 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이 조절 장치는 광학 장치로, 예를 들어 베이스 구조물 위에 마킹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부착 모드에서 베이스 구조물에 접촉 요소가 부착되는 리테이닝 표면으로 기울어진 적어도 하나의 레스트 표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 가장자리에 끼워 맞추어질 수 있다. 정지 가장자리 또는 레스트 표면은 베이스 구조물의 가장자리에 대해 이 위치에서 접촉 요소를 조절할 수 있고 원하는 부착 위치에서 보다 쉽게 부착된다.
원칙적으로 조절 장치는 단 하나의 정지 가장자리 또는 정기 면에 끼워 맞추어질 수 있어서 접촉 요소는 정지 가장자리 또는 정지 면에 대해 가장자리의 한 세그먼트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유리한 실시 방법에서, 적어도 두 개의 상호 이격된 정지 가장자리 또는 정지 면은 가장자리의 상호 이격된 영역에서 접촉 요소를 유지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예로 상측면이 직사각형인 접촉 요소에 대해, 서로 평행을 이루고 이격 배치된 두 개의 정지 가장자리가 사용될 수 있고, 부착 위치에서 접촉 요소는 각각의 경우에 정지 가장자리에 대해 가장자리의 영역과 반대쪽에 놓인다. 또 그 사이의 각에 대(對)하고 있는 정지 가장자리는 직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접촉 요소는 정지 가장자리에 대해 가장자리의 영역을 접하게 함으로써 정지할 것이다. 4개의 정지 가장자리가 사용될 수 있고 이것은 가장자리의 대향한 영역에서 접촉 요소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조절 장치는 베이스 구조물의 대향한 가장자리 사이에서 접촉 요소를 중심에 두기 위한 센터링 장치이다. 이런 식으로 접촉 요소는 베이스-구조물 가장자리 사이에서 중심에 배치되고 접촉-요소 위치 조절은보다 간단해진다.
전술한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서, 상기 센터링 장치는 베이스 구조물의 인접한 가장자리 및 서로 평행을 이루는 상호 이격 배치된 정지 가장자리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 변형예에서, 상측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인 접촉 요소는 베이스-구조물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제자리에 고정되어 중심에 배치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센터링 장치는 부착 위치에 있을 때 부착 요소를 지지하고 베이스 구조물의 원주 방향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상호 이격되어 있고 기울어진 정지 면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바람직한 방식으로 접촉 요소는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레스트 표면은 서로에 대해 떨어져 기울어져 있다. 이런 식으로 정지 면은 접촉 요소를 수용하는 트로프(trough)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레스트 표면은 다른 변형예의 방식으로 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질 수도 있다. 이 변형예에서, 레스트 표면은 접촉 요소의 상호 대향한 가장자리에 걸쳐져 있다.
정지 가장자리 또는 표면의 형태, 크기 및 수는 넓은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적절히 각각의 정지 가장자리 또는 표면은 하나의 돌출부에서 형성되고, 특히 스터드 또는 리브는 베이스 구조물에 형성된다. 이 변형예는 간단하고 경제적이다.
원칙적으로 각각의 스터드 또는 리브는 베이스 구조물에 연결된 분리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한 변형예에서, 베이스 구조물은 각각의 스터드나 리브를 통합하는 탄성재, 선호적으로 엘라스토머(elastomer)로 만들어진다. 각각의 스터드 또는 리브는 베이스 구조물의 일부분과 일체형을 이룬다. 이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작을 간단하게 한다. 만일, 이 변형예에서, 두 개의 상호 이격 배치된 정지 가장자리가 제공된다면, 접촉 요소의 정지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선택했을 때, 상기 접촉 요소는 탄성 변형 정지 가장자리 사이에서 고정되고 탄성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촉 요소를 유지하는 부가 접착 수단, 예를 들어 접착제나 용접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 구조물은 리세스에 끼워 맞추어지는데 이 리세스의 가장자리는 각각의 정지 가장자리를 구성하고 경사면은 각각의 레스트 표면을 구성한다. 이 실시예는 접촉 요소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또 이 실시예는 간단하고 경제적인 제작을 허용한다.
원칙적으로 접촉 요소는 정지 가장자리 또는 레스트 표면에 대해 가장자리의 세그먼트에 의해 정지되기에 충분하다. 특히 유리한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접촉 요소가 리세스 안에 고정되도록 접촉 요소 형태와 일치한다. 이 변형예에서, 상기 접촉 요소는 신뢰성 있게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베이스 구조물의 재료는 넓은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 베이스 구조물은 또한 여러 가지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구조물은 띠 모양의 금속 부분을 포함한다. 베이스 구조물의 치수 안정성은 띠-모양의 금속 부분에 의해 향상된다. 상기 실시예에 대해, 리세스는 조립 위치에 있을 때 접촉되는 몸체를 향하고 있는 금속 부분의 측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금속 부분은 판금으로 만들어지고 리세스는 엠보스 가공되어서, 제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리세스는 비드나 리세스가 있는 영역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는 임의의 형태와 사이즈로 베이스 구조물의 금속 부분으로 엠보싱 공구에 의해 엠보스 가공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베이스 구조물은 띠 모양의 금속 부분을 구성하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탄성 부분으로 이루어진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금속 부분은 조립된 위치에서 접촉되는 몸체를 향하고 있는 측면 상에서 탄성재로 일부 코팅되거나 금속 부분은 탄성재 안으로 끼워 넣어지고, 접촉 영역은 조립 위치에서 접촉되는 몸체를 향하고 있는 금속 부분의 측면에서 자유롭게 남겨진다. 탄성재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시각적으로 훌륭하게 만들거나 주위 인자에 반해 금속 부분을 보호하거나 금속 부분을 전기 절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접촉 요소의 모양과 크기는 넓은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적절하게 접촉 요소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꼬여있는 밴드나 평면 밴드 또는 평면 스트랜드 와이어에 의해 형성된다. 이 접촉 요소는 쉽고 경제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베이스 구조물의 모양과 크기는 넓은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베이스 구조물은 평면 몸체와 접촉하는 판이거나 곡선 또는 구부려진 몸체와 접촉하도록 곡선형으로 만들어지거나 구부려질 수 있다.
임의의 횡단면 모양을 가지는 접촉 파이프 또는 케이블에 대한 유리한 실시예는, 조립 위치에 있을 때 환상으로 또는 부시(bush)와 같은 방식으로 접촉되는몸체를 둘러싸는 베이스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구조물은 접촉되는 몸체에 대해 신뢰성 있게 유지된다.
원칙적으로 베이스 몸체는 강성일 수도 있다. 그러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가요성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것이다.
베이스 구조물은 다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질 것이다. 파이프와 접촉하도록 디자인 된 장치는 다수의 세그먼트, 예를 들어 두 개의 반원 세그먼트로 구성되는데 이것은 접촉되는 파이프의 원주를 따라 연속적이다. 그러나 이 베이스 구조물은 일체 성형되어 있고 원주 방향으로 개방되며 스크류나 클램프를 사용해, 조립 위치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브래킷과 자유 단부에 끼워 맞추어질 수 있다. 본원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구조물의 일체형 구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조립은 간단하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서, 베이스 몸체는 접촉되는 몸체 둘레에서 꽉 죄어질 수 있는 스트랩 형태이다. 이런 특징은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정지 가장자리 또는 표면에 끼워 맞추어진 다수의 스터드 또는 리브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대해, 모든 스터드 또는 리브는 베이스 구조물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다른 쪽 가장자리까지 뻗어있다. 유리한 변형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 또는 리브는 두 개의 상호 대향한 가장자리 영역에서 하나의 가장자리로부터 다른 가장자리를 향하여 뻗어있고 부착 위치에서, 접촉 요소는 스터드 또는 리브에 대해 가장자리의 두 대향한 영역에 의해 정지될 것이다. 변형예에서 접촉 요소는 스터드 또는 리브 사이에서 중심에 배치된다.
스터드나 리브를 사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서, 베이스 구조물의 길이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는 스터드 또는 리브는 베이스 구조물의 원주 방향으로 뻗어있는 다른 라인에 제공되거나 베이스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다른 라인에 제공된다. 이 변형예에서, 베이스 구조물의 길이 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는 스터드 또는 리브는 가장자리의 대향한 영역에서 접촉 요소를 유지하여서 중심에 둘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스터드 또는 리브는 베이스 구조물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라인을 따라 장착되거나 축 방향으로 뻗어있는 라인에 장착된다. 이 실시예에서 접촉 요소는 센터링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스터드나 리브에 대해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가장자리 영역에 의해 정지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조립 위치에서 접촉 요소를 유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스터드 또는 리브는 언더컷(undercuts)에 끼워 맞추어져서 정지 면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져 있고 이것에 의해 부착 위치에서, 스터드 또는 리브는 접촉 요소의 상호 대향한 가장자리 영역과 겹쳐진다. 이 실시예에서 접촉 요소는 스터드나 리브의 정지 면에 의해 기하학적으로 고정되게 유지되고 접착제와 같은 추가 유지 수단은 필요하지 않다. 이런 특징은 제작을 간단하게 하고 비용을 낮춘다.
금속 부분에 관련된 실시예에 대해, 변형예는 탄성재를 통과하도록 접촉 요소의 각 측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멍에 금속 부분을 끼워 맞추어서 금속 부분을 향하고 있는 금속 부분의 측부에서 탄성재는 접촉 요소로부터 떨어져 금속 부분의측면에서 탄성재와 결합된다. 이런 식으로 접촉 요소를 향하고 있는 금속 부분의 측부에서 탄성재는 상기 금속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접촉 요소가 금속 부분에서 탄성재에 의해서만 유지될 때 분리되면 접촉 요소와 금속 부분 사이의 전기 접촉부를 손상시킬 수 있다.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성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 번호로 나타내었다.
도 1은 클램프 형태의 가요성 베이스 구조물(4)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2)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 실시예에서 일체형이고 원주 방향을 따라 개방되며 자유 단부와 직각을 이루는 브래킷(6,8)에 끼워 맞추어지는데, 상기 브래킷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방식으로 조립 위치에 있을 때 연결 가능하다.
베이스 구조물(4)은 밴드 모양의 금속 부분(10)을 포함하고 탄성 부분(12)과 금속 부분(10)을 연결하고 축 방향 가장자리에 금속 부분(10)을 끼워 넣은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진 탄성 부분(12)을 포함한다(도 4).
상기 탄성 부분(12)은 씨일링 립(14,16)의 축 방향 바깥쪽으로 추가 씨일링 립(18,20)과 조립 위치에서 접촉되는 몸체를 향하고 있는 측면에 씨일링 립(14,16)을 형성한다. 이 조립 위치에서 베이스 구조물(4)은 접촉될 몸체의 바깥쪽 면에 대해 밀폐되게 씨일링 립(14,16)과 추가 씨일링 립(18,20)에 의해 정지되고 결과적으로 베이스 구조물(4) 및 접촉되는 몸체 사이에서 조립 위치에 형성된 공간은 공기 및 수분의 유입에 반해 밀폐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2)는 접촉되는 몸체와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구성하기 위해서 도 1에서 생략된 접촉 요소를 포함하는데, 이 생략된 접촉 요소는 조립 위치에 있을 때 조립 위치에서 접촉될 몸체를 향하고 있는 측면에 고정되고, 즉 도 1의 실시예에 대해, 리테이닝 영역을 형성하는 베이스 구조물(4)의 방사상 내면(22)에 고정된다.
상기 장치(2)는 탄성 부분(12)의 씨일링 립(14,16)으로 통합된 스터드(34,36,38)에 형성된 정지 가장자리(28,30,32)에 의해 구성되고 베이스 구조물(4)의 축 방향 가장자리(24,26)에 대해 그 위치에서 접촉 요소를 조절하는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스터드(34,36)는 베이스 구조물(4)의 축 방향 가장자리(26)로부터 축 방향 안쪽으로 뻗어있고 스터드(38)는 대향한 축 방향 가장자리로부터 축 방향으로 안쪽으로 뻗어있으며, 상기 스터드(34,36)는 원주 라인(33)에 구성되고 스터드(38)는 원주 라인(33)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갈라진 원주 라인(35)에 구성된다.
도 2는 장치(2)의 방사상 내면(22)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이 실시예에서 전기 전도성 그래파이트로 만들어지고 상측면에서 직사각형인 고정된 접촉 요소(40)를 가지는 장치(2)를 나타낸다. 상기 접촉 요소(40)는 베이스 구조물(4)의 방사상 내면(22)과 접착제로 결합된다.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접촉 요소는 베이스 구조물(4)의 상호 대향한 축 방향 가장자리(24,26) 사이에서 접촉 요소(40)를 중심에 두도록 센터링 장치를 형성하는 스터드(34,36,38)의 정지 가장자리(28,30,32)에 대해 가장자리의 상호 대향한 영역에 의해 정지한다. 상기 정지 가장자리(28,30,32)는, 베이스 구조물에 대해 바람직한 위치에서 유지되고 횡방향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보장하는데, 종방향 측부는 베이스 구조물(4)의 축 방향 가장자리(24,26)와 평행하게 뻗어있다. 이런 식으로 접촉 요소(40)가 더 이상 바람직한 부착 위치에 있지 않다면 요구되는,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재가공 작업은 피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을 따라서 본 조립 위치에서 장치(2)를 나타낸 단면도인데 상기 베이스 구조물(4)은 접촉되는 몸체에 대해 씨일링 립(14,16)과 추가 씨일링 립(18,20)에 의해 정지되는데 이것은 도 4에서 동축 케이블이다. 접촉 영역(46)에서 동축 케이블(42)의 외부 전도체(44)와 접촉하도록, 상기 접촉 요소(40)는 동축 케이블(42)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너무 많이 돌출해 있어서 이것은 씨일링 립(14,16,18,20)이 동축 케이블의 외장(48)에 대해 배치될 때 외부 전도체(44)에 대해 놓여서, 이것은 외부 전도체와 전기 전도 연결한다.
도 4는, 접촉 요소(40)가 스터드(34,38)에 의해 가장자리의 상호 대향한 영역에서 유지되고 바람직한 부착 위치에서 베이스 구조물(4)의 축방향 가장자리(24,26) 사이에서 중심에 배치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5는 조립 위치에서 도 1의 장치(2)를 나타내는데 베이스 구조물(4)은 부시(bush)처럼 접촉되는 동축 케이블(42)을 둘러싼다. 상기 장치(2)를 동축 케이블(42)에 부착하기 위해서, 클램프 형태인 베이스 구조물은, 브래킷에서 보어 구멍을 통과하고 브래킷(6)에 형성된 나사산이 있는 보어 구멍과 맞물리는 금속 스크류(50,52)에 의해, 접촉되는 동축 케이블(42) 둘레에서 인장된다. 베이스 구조물(4)을 팽팽하게 죄었을 때, 씨일링 립(14,16)과 추가 씨일링 립(18,20)은 동축 케이블(42)의 외장(48)에 대해 밀폐되게 놓이고 결과적으로 이것은 공기 및 수분의 유입에 반해 동축 케이블(42)과 베이스 구조물(4) 사이의 조립 위치에 형성된 공간을 밀폐한다.
베이스 구조물(4)을 팽팽하게 죄었을 때, 접촉 요소(40)는 동축 케이블(42)의 외부 전도체(44)에 대해 놓여서 접촉 요소(40)는 베이스 구조물(4)의 금속 부분(10)과 외부 전도체(44) 사이에서 전기 전도 연결한다. 브래킷(6,8) 안까지 뻗어있는 금속 부분(10), 스크류(50,52)는 도 5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접지 케이블(54)과 같은 전도체와 전기 전도성 연결한다. 이 목적으로 접지 케이블(54)은 스크류(50)와 연결 그로밋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기 전도성 연결부는 동축 케이블(42)의 외부 전도체(44)와 접지 케이블(54) 사이에서 바람직한 방식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외부 전도체(44)는 접지된다.
도 6은, 베이스 구조물(4)의 인접한 축 방향 가장자리(24,26)와 평행하게 뻗어있는 리브(56,58)에 정지 가장자리(28,32)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5의 실시예와 다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치(2)를 나타낸다. 탄성 부분(12)은 리브(56,58)를 형성하도록 베이스 구조물(4)의 축방향 가장자리(24,26)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접촉 요소(40)는 리브(56,58)에 대해 가장자리의 상호 대향한 영역에 의해 전체 길이를 따라 놓여서 베이스 구조물(4)의 축방향 가장자리(24,26) 사이에서 중심에 배치된다.
도 7은, U형의 상측면을 가지는 리브(60)가 베이스 구조물(4)의 방사상내면(22)에서 브래킷(6) 영역에 형성되고 접촉 요소(40)를 향하고 있는 리브 표면이 조립 위치에서 접촉 요소(40)를 지지하는 정지 가장자리(62,64,66)를 형성하며 상기 접촉 요소(40)는 베이스 구조물(4)의 상호 대향한 원주 가장자리(68,70)와 상호 대향한 축 방향 가장자리(24,26) 사이에서 중심에 놓인다는 점에서 도 6의 실시예와 다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치(2)를 나타낸다.
도 8은, 조절 장치가 베이스 구조물(4)의 원주 방향으로 뻗어있는 비드(72)의 경사면(74,76)으로 구성된 레스트 표면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위의 실시예와 상이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2)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비드(72)의 상호 대향한 경사면(74,76)이 접촉 요소(40)에 대한 정지 면을 구성하고 베이스 구조물(4)의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서 접촉 요소(40)는 경사면(74,76)에 대해 꽉 조여서 놓이고 이런 식으로 접촉 요소는 베이스 구조물(4)의 축 방향 가장자리(24,26) 사이에서 중심에 배치된다. 접촉 요소(40)와 일치하는 형태를 가지는 오목한 영역은 비드(72)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접촉 요소(40)는 리세스에서 가장자리에 의해 단단히 수용되어서 중심에 놓인다.
도 10은, 접촉 요소가 배치되는 레스트(rest) 가장자리를 가지는 리브(56)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6의 실시예와 상이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장치(2)를 나타낸다. 이것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접촉 요소(40)는 도 10에서 대시 선(77)에 의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접착제 선형 용착으로 리브(56)로부터 베이스 구조물(4)의 방사상 내면까지 가장자리 영역에서 결합될 수 있다. 선형 접착제 결합 대신에, 하나 이상의 접착제 스폿(spot)이 결합 장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1은, 두 개의 스터드(80,78)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스터드(80)는 베이스 구조물(4)의 축 방향 가장자리(26)로부터 반대쪽의 축 방향 가장자리(24)까지 뻗어있고 상기 스터드(78)는 축 방향 가장자리로부터 반대쪽 가장자리(26)까지 뻗어있다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상이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장치(2)를 나타낸다. 이 스터드(80,78)는 베이스 구조물(4)의 축 방향으로 뻗어있는 하나의 선을 따라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부착 위치에 있을 때 스터드가 도 13 및 14에 나타낸 것처럼 접촉 요소(40) 가장자리의 상호 대향한 영역(88,90)과 겹쳐지게 하는 스터드(80,78) 상에 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진 레스트 표면(84,86)이 형성되도록 스터드(80,78)는 언더컷(81,82)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평평하고, 신축성이 있으며, 금속 브레이드(braid)인 접촉 요소(40)를 베이스 구조물(4)에 부착하도록, 이 구조물은 가장자리(88,90)에 의해 삽입되고 언더컷(81,82)의 영역으로 스터드(80,78)를 탄성 변형하는데, 여기에서 스터드(80,78)는 접촉 요소(40)의 가장자리(88,90)와 겹쳐지고, 레스트 표면(84,86)은 접촉 요소(40)에 대해 정지하게 된다. 이런 식으로 접촉 요소(40)는 베이스 구조물(4)에서 접착제와 같은 추가 보지 수단 없이 신뢰성이세 고정되고 베이스 구조물(4)의 축 방향 가장자리(24,26) 사이에서 중심에 배치된다.
도 15는, 접촉 요소(40)를 향하고 있는 금속 부분(10)의 측면에서 탄성재가 접촉 요소(40)와 이격되어 금속 부분(10)의 측면에서 탄성재와 결합되도록 접촉 요소(40)의 양면에서 금속 부분(10)이 탄성재가 통과하는 구멍(88,90)을 포함한다는점에서 도 12의 장치와 상이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다. 이런 식으로 추가 보지 수단 없이 접촉 요소가 금속 부분(10)에 고정될 때에도 금속 부분(10)과 접촉 요소(40) 사이에서 영구 전기 전도성 연결이 보장된다.

Claims (25)

  1. 접촉되는 몸체(42)에 대해 배치되는 베이스 구조물(4)과, 접촉되는 몸체(42)와 전기 전도 연결하기 위해서 접촉되는 몸체(42)를 향하고 있는 베이스 구조물(4)의 측면에 고정된 접촉 요소(40)로 이루어진, 파이프 또는 케이블과 같은 장방형의 실린더형 몸체와 전기 전도 접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구조물(4)의 가장자리(24,26)에 대한 그 위치에서 접촉 요소(40)를 조절하는 조절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장치는 접촉 요소(40)가 베이스 구조물(4)에 유지되는 고정 면에 대해 기울어진 하나 이상의 표면(84,86) 또는 하나 이상의 레스트 가장자리(28,30,32)를 포함하고, 접촉 요소(40)는 하나 이상의 레스트 가장자리 또는 하나 이상의 레스트 표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과 2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상호 이격 배치된 레스트 가장자리(28,30,32) 또는 레스트 표면(84,86)이 사용되고 이 표면에 대해 접촉 요소(40)는 가장자리의 상호 분리 영역에 의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조절 장치는 베이스 구조물(4)의 상호 대향한 가장자리(24,26) 사이에서 접촉 요소(40)를 중심에 두는 센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센터링 장치는 베이스 구조물(4)의 인접한 가장자리(24,26) 및 서로 평행하게 뻗어있는 상호 이격 배치된 레스트 가장자리(28,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장치는 상호 이격 배치된 레스트 표면(84,86)을 포함하는데 이 표면은 서로에 대해 기울어져 있고 베이스 구조물(4)의 원주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으며 부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표면에 대해 접촉 요소(4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레스트 표면은 서로에 대해 떨어져 기울어져 있거나 레스트 표면(84,86)은 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상기 청구항 중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레스트 가장자리(28,30,32) 또는 레스트 표면(84,86)은 돌출부, 특히 스터드(34,36,38)나 베이스 구조물(4)에 존재하는 리브(56,58,6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베이스 구조물(4)은 탄성재, 특히 각각의 스터드(34,36,38)나 각각의 리브(56,58;60)와 통합된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진부분(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상기 청구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구조물(4)은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의 가장자리나 각각의 레스트 가장자리(28,30,32) 또는 그 경사부는 각각의 레스트 표면(62,64,6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40)가 리세스 안에 고정되도록 리세스의 형태는 접촉 요소(40)의 형태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0 항과 11항에 있어서, 베이스 구조물(4)은 밴드 모양의 금속 부분(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금속 부분(10)의 측면에 형성되는데 상기 금속 부분은 조립 위치에 있을 때 접촉되는 몸체(42)를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리세스는 비드(68) 또는 오목한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2항 내지 1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금속 부분(10)은 특히 조립 위치에있을 때 접촉되는 몸체(42)로부터 이격되어 측면 상에서, 탄성재로 코팅되고, 상기 금속 부분(10)은 탄성재 속에 삽입되며, 접촉 요소(40)를 위한 접촉 영역은 조립 위치에 있을 때 접촉되는 몸체(42)를 향하고 있는 금속 부분(10)의 측면에서 자유롭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상기 청구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40)는 평면 스트랜드 와이어나 평면 밴드 또는 금속의 꼰 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상기 청구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조립 위치에 있을 때 접촉되도록 환상으로 또는 부시와 비슷한 방식으로 둘러싸게 베이스 구조물(4)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상기 청구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구조물(4)은 가요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상기 청구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구조물(4)은 일체 구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개방되며 자유 단부에 브래킷(6,8)을 포함하는데 이 브래킷은 조립 위치에서 스크류나 클램프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상기 청구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구조물(4)은 클램프이고 이 클램프는 접촉되는 몸체 둘레에서 장력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8항 내지 2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조립 위치에 있을 때 접촉 요소가 스터드(34,36,38)에 반해 가장자리의 두 대향한 영역(88,90)에 의해 정지하게 하나 이상의 스터드(34,36;38)는 다른 가장자리(26;24)를 향하여 베이스 구조물의 상호 대향한 두 가장자리(24;26)의 영역으로부터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8항 내지 2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구조물(4)의 원주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스터드(34,36,38)는 다른 원주 라인(33,35)에 또는 베이스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다른 라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1항 또는 22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스터드(76,78)는 베이스 구조물(4)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라인에 장착되거나 축 방향으로 하나의 라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1항 내지 2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조립 위치에 있을 때 가장자리의 상호 대향한 영역(88,90)에 의해 접촉 요소(40)가 정지하는 둘 이상의 스터드(76,78)는 언더컷을 포함하여서 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진 레스트 표면(84,86)은 적절한 스터드(76,78)에서 형성되는데 이를 수단으로 조립 위치에 있을 때 스터드(76,78)는 접촉 요소(40) 가장자리의 대향한 영역(88,90)과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12항 내지 2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40)를 향하고 있는 금속 부분(10)의 측면에서 탄성재는 접촉 요소(40)로부터 이격되어 금속 부분(10)의 측면에서 탄성재와 결합되게 금속 부분은 하나 이상의 구멍(88), 특히 접촉 요소(40)의 두 면에서 탄성재에 의해 교차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88,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17003357A 1998-09-15 1999-09-13 전기 전도성 파이프 클립 또는 케이블 클립 KR200100873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816332.2 1998-09-15
DE29816332 1998-09-15
EP99109808.8 1999-05-19
EP99109808A EP0987483B1 (de) 1998-09-15 1999-05-19 Elektrisch leitende Rohr- oder Kabelschelle
PCT/EP1999/006748 WO2000015996A1 (de) 1998-09-15 1999-09-13 Elektrisch leitende rohr- oder kabelschel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358A true KR20010087358A (ko) 2001-09-15

Family

ID=8062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357A KR20010087358A (ko) 1998-09-15 1999-09-13 전기 전도성 파이프 클립 또는 케이블 클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987483B1 (ko)
KR (1) KR20010087358A (ko)
AT (1) ATE200817T1 (ko)
DE (2) DE19922856A1 (ko)
ES (1) ES2156454T3 (ko)
ZA (1) ZA2001014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729A (ko) * 2020-10-30 2022-05-0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와이어링 정리 클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31101A1 (de) * 2000-06-30 2002-01-24 Daume Karin Maschinenteile Einrichtung zum elektrisch leitenden Kontaktieren eines elektrisch leitenden Teiles eines insbesondere länglichen, beispielsweise im wesentlichen Zylindrischen Körpers, beispielsweise eines Rohres oder eines Kabels
ES2211576T3 (es) 2000-02-03 2004-07-16 DAUME PATENTBESITZGESELLSCHAFT MBH & CO. KG Brida electroconductora para tubos o cables.
DE10004671B4 (de) * 2000-02-03 2007-07-19 Karin Daume Maschinenteile Gmbh & Co. Kg Einrichtung zum elektrisch leitenden Kontaktieren eines elektrisch leitenden Teiles eines insbesondere länglichen, beispielsweise im wesentlichen zylindrischen Körpers, beispielsweise eines Rohres oder eines Kabels
EP1295362B1 (de) * 2000-06-30 2010-10-13 Daume Patentbesitzgesellschaft mbH & Co. KG Elektrisch leitende rohr- oder kabelschelle
DE20113219U1 (de) * 2001-08-16 2003-01-02 Daume Karin Einrichtung zum elektrisch leitenden Kontaktieren eines abschnittsweise abisolierten Außenleiters eines Koaxialkabels
DE102013107430A1 (de) 2013-07-12 2015-01-29 Quesy Gmbh & Co. Kg Einrichtung zum elektrisch leitenden Kontaktier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2492A (en) * 1942-05-09 1947-12-09 Tinnerman Products Inc Combined nut fastener and grounding member
US3891291A (en) * 1974-02-05 1975-06-24 Wiggins Inc E B Tubing coupling incorporating bridging conductor
US3999825A (en) * 1975-12-17 1976-12-28 De Laval Turbine Inc. Tubing coupling with electrical bonding
GB2158173B (en) * 1984-05-05 1987-10-28 Glynwed Consumer & Building Pipe-joints - electrical continuity
ES2134534T3 (es) * 1995-05-20 1999-10-01 Cit Alcatel Dispositivo para establecer contacto electrico con conducto metalic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729A (ko) * 2020-10-30 2022-05-0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와이어링 정리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900076D1 (de) 2001-05-31
EP0987483B1 (de) 2001-04-25
DE19922856A1 (de) 2000-03-16
ES2156454T3 (es) 2001-06-16
EP0987483A1 (de) 2000-03-22
ZA200101401B (en) 2001-09-19
ATE200817T1 (de)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4679C2 (ru) Электропроводящий хомут для крепления трубчатой проводки или кабеля
US20020058430A1 (en) Device for contacting in particular elongated, illustratively substantially cylindrical bodies such as cables or pipes/tubes
US4886228A (en) Adjustable mounting bracket
JPH11315962A (ja) 導電性バ―通し装置
KR20010087358A (ko) 전기 전도성 파이프 클립 또는 케이블 클립
RU2003102628A (ru) Электропроводящий хомут для крепления трубчатой проводки или кабеля
EP0779958B1 (en) Device for coupling pipe sections
US6441303B1 (en) Device for electrically contacting and sealing a tubular member
US6943299B1 (en) Electroconductive pipe or cable clamp
ES2154080T3 (es) Abrazadera de apriete conductiva para tubos o cables.
KR20010072955A (ko) 파이프 또는 튜브와 같이 연장된 원통형 몸체를 접촉하기위한 장치
US6290380B1 (en) Vehicle lamp unit
JP2000312421A (ja) 止め具
EP0669476A1 (en) Protective bellows
RU2001110167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 проводящего контакт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 проводящей части, в частности, удлиненного, например, по существу цилиндрического тела, например, трубы или кабеля
KR100240807B1 (ko) 가스 백 안전 장치용 조립체
JP2021023053A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21013253A (ja) グロメット、グロメット止水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3148019B2 (ja) 電気融着継手
US20040261880A1 (en) Tubing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KR100757616B1 (ko) 케이블용 다중 리드 관통 플랜지
JP2023143821A (ja) アンテナ封止プラグおよび車両用アンテナ装置
MXPA01002010A (en) Device for electroconductively contacting an electroconductive part of an especiallylongish, for example essentially cylindrical body, for example a tube or a cable
GB2317998A (en) Marker ball for high voltage cables
JPH0682886U (ja) ワイヤー引き出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