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214A -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 - Google Patents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214A
KR20010087214A KR1020010010086A KR20010010086A KR20010087214A KR 20010087214 A KR20010087214 A KR 20010087214A KR 1020010010086 A KR1020010010086 A KR 1020010010086A KR 20010010086 A KR20010010086 A KR 20010010086A KR 20010087214 A KR20010087214 A KR 20010087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assage
passage output
fluid
main body
outpu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0655B1 (ko
Inventor
후카노요시히로
우치노다다시
Original Assignee
다까다 요시유끼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다 요시유끼,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다 요시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87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6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1/00Spindle sealings
    • F16K41/10Spindle sealings with diaphragm, e.g. shaped as bellows or tube
    • F16K41/12Spindle sealings with diaphragm, e.g. shaped as bellows or tube with approximately flat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Sliding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수지재료로 구성되고, 유체가 유통되는 유체통로(16)가 형성된 제 1 밸브본체(18),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밸브본체(18)와는 별개로 실질적으로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수나사부(32)에 의해 상기 제 1 밸브본체(18)의 홀부(44) 내에 나입되는 유체통로 출입부재(12a, 12b, 122a, 122b, 132a, 132b)를 포함하며, 그 결합부분에는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 122a, 122b, 132a, 132b)의 축과 교차하는 1차 시일부(52), 상기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2차 시일부(54)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Structure of fluid passage output port of fluid-operated apparatus}
본 발명은 유체를 도입 및 도출하는 유체통로에 연통하는 유체통로 출력포트가 형성된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밸브나 펌프 등의 유체기기에 예를 들어, 관조인트 등을 사용하여 관을 접속함으로써 유체압력 회로를 구축하고 있다. 상기 유체기기의 내부에는 유체가 유통하기 위한 유체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체통로에 연통하는 유체통로 출력포트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체통로 출력포트에 관을 직접적으로 접속하거나, 또는 관조인트 등에 의해 관을 접속함에 따라 유체기기의 유체통로와 다른 유체기기의 유체통로가 연통접속된다.
도 7에 종래기술에 의한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7로부터 명백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체기기(1)는 내부에 유체통로(2)가 형성된 본체부(3)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3)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바깥쪽으로 동축상에 돌출하는 한 쌍의 유체통로 출력포트(4a, 4b)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유체통로 출력포트(4a, 4b)는 본체부(3)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5)의 측면에 형성된 홀(6)내에 관형상으로 형성된 유체통로 출력포트(7a, 7b)의 일단부를 삽입되고, 상기 유체통로 출력포트(7a, 7b)의 삽입부분과 본체부(5)와의 사이를 수지용접하여 수지용접부(8)를 형성함에 따라 양자를 연결하는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에서는 본체부(3)과 유체통로 출력포트(4a, 4b)가 절삭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절삭가공시에 발생하는 버어(분쇄물)이 떨어져서 먼지 등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절삭가공된 가공면의 표면조도가 저하되어 액체가 고이는 요부가 형성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절삭가공으로 인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체부(3)와 유체통로 출력포트(4a, 4b)를 금형을 사용하여 수지성형함으로써 일체로 제조하는 방법이 고안되었으나, 유체통로 출력포트(4a, 4b)가 길기때문에 금형의 제조가 곤란하며, 수지로 성형된 유체통로 출력포트(4a, 4b)가 변형되어 크기정밀도가 열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에서는 수지용접부(8)가 유체통로를 유통하는 유체의 누수방지 기능과 유체통로 출력포트(7a, 7b)의 이탈방지 기능을 하기 때문에, 상기 수지용접부(8)에 부하가 집중되어 접속강도가 떨어지고, 내구성이 열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기구에 의해 먼지나 액체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충분한 접속강도를 가지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가 적용된 온/오프 밸브의 축방향 종단면도,
도 2는 온/오프 밸브를 구성하는 유체통로 출력부재를 나타낸 일부생략 확대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오프상태로부터 다이아프램이 상승하여 온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
도 4는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에 관조인트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가 적용된 유체통로 출력부재를 도시한 일부생략 확대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가 적용된 유체통로 출력부재를 도시한 일부생략 확대 종단면도,
도 7은 종래기술에 의한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를 도시한 일부 종단면도,
도 8은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를 도시한 일부 종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지재료로 구성되고, 유체가 유통하는 유체통로가 형성된 본체, 및 수지재료에 의해 상기 본체와는 별개로 실질적으로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나사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홀 내에 나입되는 유체통로 출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홀 내벽면과 상기 본체의 상기 홀 내부에 나입되는 유체통로 출력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의 축과 교차하는 1차 시일부,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의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2차 시일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의 외주면과 본체와의 사이에 수지 재료가 용착된 수지용접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본체의 환상돌기부를 가압하여 유체통로 출력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코오킹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기기의 본체와는 별개로 유체통로 출력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를 상기 본체의 홀부내에 나입하여 나사체결함에 따라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의 축과 교차하는 1차 시일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2차 시일부에 의해 그 결합부위가 확실히 시일된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에 대해서 적당한 실시예를 들어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에서, 참조번호(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가 적용된 온/오프 밸브를 나타낸다.
상기 온/오프 밸브(10)는 동축상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가 각각 나사체결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한 쌍의 유체통로 출력부재의 통로(14)를 각각 연통시키는 유체통로(16)가 형성된 제 1 밸브본체(18); 환상의 제 1 시일부재(20)에 의해 상기 제 1 밸브본체(18)의 상부에 기밀하게 연결되고, 소정 간격을 두고 있는 한 쌍의 압력유체 출입포트(22a, 22b)가 형성된 제 2 밸브본체(24); 및 환상의 제 2 시일부재(27)에 의해 상기 제 2 밸브본체(24)의 상부에 기밀하게 장착된 커버부재(2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는 제 1 밸브본체(18)와는 별개로 각각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밸브본체(18)에 착탈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밸브본체(18), 제 2 밸브본체(24) 및 커버부재(26)를 플루오르수지로 각각 형성하고,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를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원통상을 이루며,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통로(14)의 일단부에는 유체통로 출력포트로서 기능을 하는 포트(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a)의 일단부에는 외부로 팽출하는 환상철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상철부(3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나사부(32)에 근접하는 부위에는 환상단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상단부(34)에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반원상인 환상 돌기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환상 돌기부(36)를 유체통로 출력부재(12a)의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다수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유체통로 출력포트부재(12a)의 축방향에 따른 일단면에는 반경 안쪽으로 개구부의 구경이 서서히 축소하도록 형성된 테이퍼면(38)과, 연직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 1 환상 평면부(40)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밸브본체(18)는 서로 대향하는 각 측면에,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a)의 수나사부(32)에 나합하는 암나사부(42)가 내주면에 형성된 홀(44); 상기 홀(44)에 연속하고, 반경 안쪽으로 소정 길이만큼 팽출하여 형성된 환상단부(46); 상기 환상단부(46)에 연결되고,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a)의 제 1 환상 평면부(40)와 소정의 틈새를 두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형성된 제 2 환상 평면부(48); 및 상기 제 2 환상 평면부(48)에 연속하고,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a)의 축과 교차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50)을 갖는다.
수나사부(32)와 암나사부(42)와의 나합작용하에 제 1 밸브본체(18)의 홀부(44) 내에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가 나사체결되면, 제 1 밸브본체(18)의 경사면(50)과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의 테이퍼면(38)이 압접되어 1차 시일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밸브본체(18)의 환상단부(46)의 벽면에 대하여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의 환상돌기부(36)의 상부가 압접됨에 따라 2차 시일부(54)가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상기 1차 시일부(52)는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의 축에대해 소정 각도로 교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2차 시일부(54)는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의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1차 시일부(52)와 2차 시일부(54)와의 공동작용에 따라 유체통로(16)를 유통하는 압력유체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밸브본체(18)의 저면부에는 경량화하기 위한 다수개의 절단부(56: cutouts)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밸브본체(18)와 제 2 밸브본체(24)의 사이에 다이아프램(58)이 개재되고, 상기 다이아프램(58)은 실질적으로 원형상의 중심부 에 형성된 두꺼운 부분(60, 이하 후벽부라 함), 상기 후벽부(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얇은 부분(62, 이하 박벽부라 함), 및 상기 후벽부(60)의 상부에 돌출되고 포올(pawl)에 의해 피스톤(64)에 연결되는 돌기부(66)로 구성된다.
제 1 밸브본체(18)의 실질적인 중앙부에는 상기 다이아프램(58)의 후벽부(60)의 하면이 착지되는 착지부(6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지부(68)의 하방측에는 하방측으로 서서히 직경이 줄어드는 홀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58)의 박벽부(62)의 상면부에는 예를 들어, 고무 재료로 형성된 링모양의 탄성부재(72)가 체결되도록 설치된다.
제 2 밸브본체(24)의 실질적인 중앙부에는 한 쌍의 압력유체 출입 포트(22a, 22b)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공급된 압력유체의 작용하에 상기 제 2 밸브본체(24)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섭동변위하는 피스톤(6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64)의 상부에는 반경 외측으로 직경이 늘어나는 플랜지부(74)가 형성되어 있고,상기 플랜지부(74)의 외주면에는 피스톤 패킹(76)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64)의 로드부(78)의 외주면에는 링모양의 한 쌍의 시일부재(80a, 80b)가 환상 홈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64)의 플랜지부(74)의 상부에는 커버부재(26)에 의해 폐쇄된 제 1 챔버(8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챔버(82)는 한쪽의 압력유체 출입포트(22a)에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74)와 커버부재(62)와의 사이에는 직경이 각각 다른 한 쌍의 스프링부재(84a, 84b)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부재(84a, 84b)의 탄력에 의해 피스톤(64)이 항상 착지부(68)에 착지되도록 하방측으로 압압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26)의 하면부에는 피스톤(64)이 상승할 때 플랜지부(74)에 당접하는 철부(86)가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를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74)의 하부에는 제 2 밸브본체(24)의 내벽면을 따라 폐쇄된 제 2 챔버(8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챔버(88)는 타방의 압력유체 출입포트(22b)에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밸브본체(24)의 내벽면에는 피스톤(64)이 하강할 때 플랜지부(74)에 당접하여 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부재(90)가 장착되어 있다.
피스톤(64)의 하단부에는 나팔모양으로 직경이 확대되는 지지부재(92)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92)는 탄성부재(72)의 상면에 체결되어 다이아프램(58)의 박벽부(62)에 탄성부재(72)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 2 밸브본체(24)의 내부에는 상기 제 2 밸브본체(24)의 내벽면과 다이아프램(58)에 의해 폐쇄된 제 3 챔버(9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챔버(94)는 통로를 통해 공급배출포트(96)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다이아프램(58)이 피스톤(64)과 일체로 상하방향으로 변위할 때, 제 3 챔버(94) 내의 공기가 공급배출포트(96)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기되거나, 또는 외부의 공기가 제 3 챔버(94) 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가 적용된 온/오프 밸브(10)는 기본적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되며, 이어서 그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배관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밸브본체(18)의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홀부(44)에 각각 상기 제 1 밸브본체(18)와 별개로 형성된 한 쌍의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를 나사 체결한다. 이 경우 수나사부(32)와 암나사부(42)와의 나합작용하에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의 테이퍼면(38)이 제 1 밸브본체(18)의 경사면(50)에 압접될때까지 나입한다.
따라서, 제 1 밸브본체(18)의 경사면(50)과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의 테이퍼면(38)이 압접되어 1차 시일부(52)가 형성되며, 제 1 밸브본체(18)의 환상단부(46)와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의 환상돌기부(36)가 압접되어 2차 시일부(54)가 형성되고, 상기 1차 시일부(52) 및 2차 시일부(54)의 공동작용하에 시일기능이 발휘된다. 이 시일기능에 의해 유체통로(16)를 유통하는 압력유체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또한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는 수나사부(32)와 암나사부(42)가 감합하여 강력하게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에 부하가 가해진 경우라도 접합강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이어서,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의 포트(28)에 미도시된 지그(jig)로 관조인트(98)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관조인트(9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통로로서 기능하는 관통홀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외주면에 수나사부(100)가 형성된 조인트본체(102); 내주면에 형성된 미도시된 암나사부를 상기 수나사부(100)에 나합시켜 상기 조인트본체(102)의 일단부에 감합함에 따라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를 상기 조인트본체(102)에 지지하는 너트부재(104); 및 유체통로 출력부재(12a)의 포트(28)에 일부가 삽입되는 인서어트부시(106: insert bush)를 갖는다.
상기 인서어트부시(106)는 외주방면으로 팽창함에 따라 단면이 산형상을 나타내는 환상으로 형성되고, 유체통로 출력부재(12a)의 포트(28) 내에 삽입된 삽입부(108)와, 상기 삽입부(108)와 일체로 형성되고 유체통로 출력부재(12a)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환상의 팽창부(110)를 포함한다.
유체통로 출력부재(12a)에 관조인트(98)를 삽입하는 경우, 우선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a)의 포트(28) 내에 인서어트부시(106)의 삽입부(108)를 미도시된 지그를 사용하여 압입한다. 그 결과, 유체통로 출력부재(12a)의 단부가 삽입부(108)의 형상을 따라 확경되고, 유체통로 출력부재(12a)의 내주면과 삽입부(108)의 외주면이 액밀하게 유지된다.
이어서, 인서어트부시(106)가 압입된 유체통로 출력부재(12a)의 단부를 조인트본체(102)의 개구부(112)를 따라 삽입하고, 동시에 유체통로 출력부재(12a)에 느슨하게 조립되어 있는 너트부재(104)의 암나사부(미도시)를 조인트본체(102)의 수나사부(100)를 따라 회전시켜 상기 너트부재(104)를 조임에 따라 유체통로 출력부재(12a)의 단부에 관조인트(98)가 접속된다.
또한 상기 관조인트(98)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동일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일본국 특개평 10-267176호 공보를 참조할 수 있다.
이어서, 온/오프 밸브(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압력유체 출입포트(22b)로부터 압력유체(예를 들어, 압축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압력유체를 플랜지부(74)의 하부측에 배설된 제 2 챔버(88)에 도입한다. 이 경우, 제 1 압력유체 출입포트(22a)는 대기에 연통된 상태에 있다.
제 2 챔버(88)에 도입된 압력유체의 작용하에 피스톤(64)이 상방으로 압압되고, 상기 피스톤(64)은 스프링부재(84a, 84b)의 탄력에 저항하여 상승한다. 따라서, 피스톤(64)의 하단부에 연결된 다이아프램(58)이 상기 피스톤(64)과 일체로 상승하고, 상기 다이아프램(58)이 착지부(68)로부터 분리되어 온상태가 된다. 그 결과 다이아프램(58)과 착지부(68)와의 사이의 간격을 통해서 압력유체가 유체통로(16)를 따라 유통한다.
또한 압력유체의 공급을 절환하여 압력유체를 플랜지부(74)의 상부측에 배설된 제 1 챔버(82)로 공급하면 스프링부재(84a, 84b)의 탄력작용하에 피스톤(64) 및 다이아프램(58)이 일체로 하강하고, 상기 다이아프램(58)이 착지부(68)에 착지됨으로써 오프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를 제 1 밸 본체(18)와 별개로 형성하고,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를 제 1 밸브본체(18)의 홀부(44)에 나사체결함으로써 착탈자재하게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절삭가공작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버어(burr) 등이 발생하지 않고 표면조도에 따라 액체가 고이게 되는 요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밸브본체(18)의 홀부(44)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42)와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의 수나사부(32)를 나합시켜 나사체결함으로써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를 지지하기 때문에, 접속강도가 부족하거나 내구성이 열화된다는 문제점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전술한 관조인트(98)를 접속할 때, 예를 들어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의 포트(28)에 인서어트부시(106)를 삽입할 때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의 단부가 변형되거나, 손상된 경우라도 유체기기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없고, 새로운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만을 교환하면 되기 때문에 교환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효율을 향상시켜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를 도 5 및 도 6에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 구조에서는 유체통로 출력부재(122a, 122b)의 환상철부(30)와 제 1 밸브본체(18)를 수지 재료로 용착함으로써 수지용접부(124)를 형성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 구조에서는 유체통로 출력부재(132a, 132b)를 제 1 밸브본체(18)의 홀부(44)에 나사체결하고 제 1 밸브본체(18)의 환상돌기부(130)를 가압하여 유체통로 출력부재(132a, 132b)의 외주면을 코오킹하는 코오킹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지용접부(124) 또는 코오킹부(134)를 형성함에 따라 나사체결된 유체통로 출력부재(122a, 122b, 132a, 132b)의 나사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3차 시일부로서 시일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유체통로 출력부재(122a, 122b, 132a, 132b)에 부하가 가해진 경우, 상기 부하가 나사부와 수지용접부(124: 또는 코오킹부(134))에 분산되기 때문에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2a, 122b, 132a, 132b)의 변형에 의한 구열이나 파손 등의 우려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통로 출력부재를 본체와는 별개로 형성하고,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를 본체의 홀부에 나사체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절삭가공 작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버어 등이 발생하지 않고, 표면조도에 의해 액체가 고이는 요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본체와 유체통로 출력부재를 나합시켜서 나사체결함에 따라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를 지지하기 때문에, 접속강도가 부족하거나 내구성이 열화되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Claims (6)

  1. 수지재료로 구성되고, 유체가 유통하는 유체통로(16)가 형성된 본체(18), 및 수지재료에 의해 상기 본체(18)와는 별개로 실질적으로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나사부(32)에 의해 상기 본체(18)의 홀부(44) 내에 나입되는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 122a, 122b, 132a, 132b)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8)의 홀(44) 내벽면과 상기 본체(18)의 상기 홀(44) 내부에 나입되는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 122a, 122b, 132a, 132b)의 일단부에는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 122a, 122b, 132a, 132b)의 축과 교차하는 1차 시일부(52),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 122a, 122b, 132a, 132b)의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2차 시일부(5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2a, 122b)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18)와의 사이에는 수지 재료가 용착된 수지용접부(1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8)의 환상 돌기부(13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32a, 132b)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코오킹부(1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8)의 홀(44) 내에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 122a, 122b, 132a, 132b)가 나사체결될 때, 상기 본체(18)의 홀(44)의 환형 경사면(50)과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 122a, 122b, 132a, 132b)의 테이퍼면(38)이 서로 압접됨에 따라 1차 시일부(5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8)의 홀(44) 내에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 122a, 122b, 132a, 133b)가 나사체결될 때, 상기 본체(18)의 홀(44)의 환상 단부(46)의 벽면에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 122a, 122b, 132a, 133b)의 환상돌기부(36)의 상부가 압접됨에 따라 2차 시일부(5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 122a, 122b, 132a, 133b)의 일단부에 관조인트(98)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관조인트(98)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00)를 갖는 조인트부(102),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관조인트(98)의 나사부(100)에 나합되는 나사부를 갖는 너트부재(104), 및 상기 유체통로 출력부재(12a, 12b, 122a, 122b, 132a, 133b)의 일단부에 형성된 포트(28)에 견고하게 삽입된 인서어트부시(1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
KR10-2001-0010086A 2000-03-03 2001-02-27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 KR100420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59475 2000-03-03
JP2000059475A JP4632162B2 (ja) 2000-03-03 2000-03-03 流体機器の流体通路取り出し口の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214A true KR20010087214A (ko) 2001-09-15
KR100420655B1 KR100420655B1 (ko) 2004-03-02

Family

ID=1857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086A KR100420655B1 (ko) 2000-03-03 2001-02-27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36810B2 (ko)
EP (1) EP1130297B1 (ko)
JP (1) JP4632162B2 (ko)
KR (1) KR100420655B1 (ko)
DE (1) DE60111097T2 (ko)
TW (1) TW5911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2370B2 (ja) * 2001-11-01 2009-06-03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体の流路接続部における部品間接合構造
JP2004092824A (ja) * 2002-09-02 2004-03-25 Fujikin Inc 流体制御器
US6854705B2 (en) * 2002-09-05 2005-02-15 Cito Products, Inc. Flow control valve that may be used for mold temperature control systems
JP2005351309A (ja) * 2004-06-08 2005-12-22 Surpass Kogyo Kk バルブのボディおよびこれを備えたバルブ
JP4813047B2 (ja) * 2004-11-29 2011-11-09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ダイアフラム弁
CN101365904A (zh) * 2006-01-06 2009-02-11 安格斯公司 焊接式隔膜阀
KR200440765Y1 (ko) * 2007-05-18 2008-07-01 조운제 압축에어 공급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JP4640551B2 (ja) * 2007-12-04 2011-03-02 Smc株式会社 流体圧機器の製造方法
US20090146095A1 (en) * 2007-12-11 2009-06-11 Marc Baril Drainable radial diaphragm valve
JP2011033074A (ja) * 2009-07-30 2011-02-17 Asahi Sunac Corp ダイヤフラムバルブ
JP4848467B2 (ja) * 2010-08-16 2011-12-28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フランジ配管と流体機器との接続構造
JP5561492B2 (ja) * 2011-11-04 2014-07-30 Smc株式会社 チェック弁
JP5642760B2 (ja) * 2011-12-02 2014-12-17 Ckd株式会社 流体制御弁
CN102705559B (zh) * 2012-06-25 2014-02-05 戴正华 气动管道切断阀
JP6404610B2 (ja) * 2014-06-20 2018-10-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管継手
JP6441672B2 (ja) 2014-12-26 2018-12-19 旭有機材株式会社 バルブ
JP6057233B1 (ja) * 2016-03-31 2017-01-11 株式会社隆起工業 配管継手、溶接方法、高圧ガス用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高圧ガス用装置
CN107956894A (zh) * 2017-11-27 2018-04-24 荔浦县冠升塑料制品厂 一种具有阀门的水管接头
CN110735930A (zh) * 2018-07-18 2020-01-31 北京七星华创流量计有限公司 气体流量调节装置及质量流量控制器
KR20200091770A (ko) * 2019-01-23 2020-07-31 이상선 플라스틱 밸브
US11835142B2 (en) * 2022-04-27 2023-12-05 Bueno Technology Co., Ltd. Buffer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362A (en) * 1933-04-12 1935-10-15 Edmund Rogers Hose coupling
US2258066A (en) * 1940-03-11 1941-10-07 Youngstown Sheet And Tube Co Pipe joint
GB2113334B (en) * 1982-01-18 1985-11-13 Hunting Oilfield Services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ipe connectors
JPS6335873U (ko) * 1986-08-22 1988-03-08
JP2536903B2 (ja) * 1988-06-29 1996-09-25 三菱電機株式会社 ねじ抜け防止装置
JPH0452556Y2 (ko) * 1988-10-26 1992-12-10
JPH04248095A (ja) * 1991-01-24 1992-09-03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流体機器の管継手構造
DE4304866C2 (de) * 1992-02-25 1995-08-17 Hitachi Metals Ltd Rohrverbindung zum Herstellen eines strömungsmitteldichten Anschlußes an ein Rohr
JP2562781B2 (ja) * 1992-10-02 1996-12-11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チューブの接続構造
JPH08145277A (ja) * 1994-11-22 1996-06-0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流体輸送用ホースの接続構造
JPH08247128A (ja) * 1995-01-13 1996-09-24 Kayaba Ind Co Ltd ねじ緩み止め装置およびねじ緩み止め方法
EP0786324A1 (de) * 1996-01-24 1997-07-30 B. Braun Melsungen Ag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medizinischen Schlauchs an einem Adapter aus Kunststoff
JP3701367B2 (ja) * 1996-02-22 2005-09-28 Smc株式会社 ポペット弁
US5769465A (en) * 1996-07-23 1998-06-23 Bridge Products, Inc. System for connecting a housing to a tube
JP3144772B2 (ja) 1997-01-24 2001-03-12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管継手
JP3644786B2 (ja) * 1997-04-14 2005-05-11 Smc株式会社 管継手
AR016813A1 (es) * 1997-08-11 2001-08-01 Fishing Tools Specialty L P D B A Curley S Fishp Ing Tools Specialty Inc And Curley S Machine Sho Conexion tubular y metodo de montaje de la misma
JP4277241B2 (ja) * 1998-12-24 2009-06-10 Smc株式会社 流体圧機器の管体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48780A (ja) 2001-09-14
US20010019116A1 (en) 2001-09-06
DE60111097D1 (de) 2005-07-07
TW591186B (en) 2004-06-11
EP1130297A2 (en) 2001-09-05
EP1130297B1 (en) 2005-06-01
JP4632162B2 (ja) 2011-02-16
US6536810B2 (en) 2003-03-25
DE60111097T2 (de) 2006-05-04
EP1130297A3 (en) 2002-08-07
KR100420655B1 (ko) 2004-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655B1 (ko) 유체기기의 유체통로 출력포트의 구조
US20010037834A1 (en) Accumulator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20010015048A (ko) 관 조인트
RU2418228C2 (ru) Герметичное фланцев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каналов газа высокой чистоты и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JP2000193155A (ja) 流体圧機器の管体接続構造
KR20050101562A (ko) 직선형 나사 조절가능한 포트 단부
US5370507A (en) Reciprocating chemical pumps
KR100567142B1 (ko) 배관 이음용 연결관
JPS58200889A (ja) 流体システムでの、測定装置等を接続するための逆止弁を内蔵した弁座装置
KR100605095B1 (ko) 퀵 커플러 장치
JP3947746B2 (ja) 管継手構造を有する流体機器
US20060103132A1 (en) Tube seal
KR20040050707A (ko) 펌프
JP2005016722A (ja) 管体の接続構造
CN211118245U (zh) 一种用于流道的密封装置及流体设备
JP2003502601A (ja) 油圧アキュムレータ、特別には油圧ダンパー
WO2004027305A1 (en) Integral end connection for tube fitting
KR200346950Y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547283B1 (ko) 가스켓
CN219734964U (zh) 一种用于黄油枪的密封结构
CN215635527U (zh) 一种大型全通径管道快速连接头
JP6300067B2 (ja) 管継手
JPH03234328A (ja) 薄肉鋼管の拡管装置
CN220779323U (zh) 一种过滤器及过滤系统
KR200269987Y1 (ko) 관 이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