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151A - 원통형 지석 - Google Patents

원통형 지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151A
KR20010087151A KR1020010000374A KR20010000374A KR20010087151A KR 20010087151 A KR20010087151 A KR 20010087151A KR 1020010000374 A KR1020010000374 A KR 1020010000374A KR 20010000374 A KR20010000374 A KR 20010000374A KR 20010087151 A KR20010087151 A KR 20010087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stone
grinding
cylindrical
hole
rubb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4835B1 (ko
Inventor
가와사키가쓰히로
가와사키미쓰카즈
Original Assignee
이께우치 마사히코
가부시키가이샤 티. 케이.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께우치 마사히코, 가부시키가이샤 티. 케이.엑스 filed Critical 이께우치 마사히코
Publication of KR20010087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5/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nly by their periphery;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5/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nly by their periphery;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01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supporting member
    • B24D3/002Flexible supporting members, e.g. paper, woven, plas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특히, 폭이 넓은 피연삭(硏削)면을 갖는 물품을 연삭 혹은 연마하는데 적합하며, 또, 물품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하며, 또한, 평판의 레벨링 롤(leveling roll)로서도 겸용이 가능한 원통형 지석(砥石)을 제공한다.
회전이 가능한 원통부재(1)의 외주에 탄성체(2)를 설치하며, 그 탄성체(2)의 외주에 금속선(4)으로 보강된 시트형상의 지지체(3)를 설치하며, 다시 그 지지체(3)의 외주에, 다수의 지석편(6)을 표면에 설치한 고무시트(5)를 지지체(3)의 외주에 감아 붙인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통형 지석{SYLINDRICAL WHETSTONE}
본 발명은 지석(숫돌)에 관한 것이며, 특히 폭이 넓은 피연삭면을 갖는 물품을 연삭, 혹은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원통형 지석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연삭하려고 하는 물품에 대한 적응성을 갖는 링형상의 지석이 사용되어 왔다. 이것은, 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소59-380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차에 결합접촉하는데 적당한 면을 가지며, 금속선으로 보강된 고무제의지지체층 위에 다공성 탄성체층 및 고무시트에 의해 이루어지는 탄성체 보호층을 설치하며, 또한 그 위에 연삭 표면을 갖는 편평한 다수의 지석편을 설치한 구조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어떤 곡률반경을 갖는 물품의 표면을 연삭 혹은 연마(이하, 연삭으로 표기함)하는 경우, 연삭기구를 대상물품, 즉, 피연삭물의 표면을 따라서 곡률을 변화시키지 않고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곡률반경이 작은 곡면을 갖는 물품에 있어서 면의 한결같은 마감연마를 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또, 프린트기판 및 그 관련기재의 연삭 및 레벨링을 실시하는 것으로서는, 종래부터, 소위 무한벨트(와이드벨트)나 부직포롤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실공소59-380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보다 폭이 넓은 피연삭면을 효율좋게 연삭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링형상의 지석을 회전축 방향으로 뻗게 하여 통형상으로 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며, 통형상으로 된 지석을 회전차에 결합고정하는데 적합한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또 폭이 넓은 피연삭면을 연삭하는 경우의 연삭음(硏削音)을 저감시켜 보다 원활한 연삭을 실시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 상기 무한벨트는 비교적 단시간의 사용에 지석입자의 선단이 마모되며, 그 때문에, 연삭력의 저하와 함께 연삭 마감면의 연삭상태에 변화가 발생하므로 균일하게 연삭하기 어렵다. 한편, 부직포 롤은 그 조직구조로 보아, 연속된 마감면을 얻을 수는 있으나, 연삭력에 문제가 있으며, 보다 큰 연삭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에는 부적합하다.
구체적으로는 부직포 롤에 의해 레벨링을 실시할 경우, 연삭력이 작기 때문에, 연삭력을 크게 하려고 하면 아무래도 연삭압을 크게 하게 된다. 그 때문에, 미소한 오목부에도 부직포 섬유가 쉽게 적응하여, 목적하는 최적의 레벨링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 밖에, 지석과 같은 강체(剛體), 또는 그것과 가까운 것을 롤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레벨링을 실시하게 되면, 소위 채터마크(chatter mark)가 생기며, 또 프린트기판의 큰 기복(waviness)을 추수(追隨)하는 일을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특히 폭이 넓은 피연삭면을 가진 물품을 연삭 또는 연마하는데 적합하며, 또 물품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하며, 또한 평판의 레벨링 롤로서도 겸용 가능한 원통형 지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통형 지석의 1실시예의 측면 가로단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원통형 지석의 확대 부분단면도.
도 3은 지석편의 배치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의 원통형 지석을 연삭장치에 조립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세로단면도.
도 5는 기판에 동박(銅箔)을 덮고, 관통구멍을 천공하는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기판 위의 요철 및 버(burr)를 제거하는 실험결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관통구멍을 갖는 동박기판을 도금하고, 다시 연삭하는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관통구멍을 갖는 동박기판에 첨가도금(additive plating)을 실시하는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금 후의 기판의 레벨링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통부재 2 ; 탄성체
3 ; 지지체 4 ; 금속선
5 ; 고무시트 6 ; 지석편(砥石片)
7 ; 축 8 ; 플랜지
9 ; 링 10 ; 축받이
11 ; 기대(基臺) 12 ; 프린트기판
21 ; 기판 22 ; 동박
23 ; 요철(凹凸) 24 ; 관통구멍
25 ; 동도금층 26 ; 미소볼록부
27 ; 버(burr) 28 ; 섬유질재료
29 ; 마킹(marking) 30 ; 수지
31, 33 ; 오목부 32 ; 코너슬로프(corner slop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회전이 가능한 원통부재의 외주에 탄성체를 설치하며, 그 탄성체의 외주에 금속선으로 보강된 시트형상의 지지체를 설치하며, 다시 그 지지체의 외주에 다수의 지석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다수의 지석편을 띠형상의 고무시트의 표면에 설치하며, 그 고무시트를 상기 지지체의 외주에 감아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지석편의 연삭변(硏削邊)의 각각이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거의 동시에 피연삭물에 도달하지 않도록, 그 각 연삭변과 상기 원통부재의 회전축 방향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통형 지석의 1실시예의 측면 가로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1은 원통형 지석(G)의 전체를 지지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원통부재이다. 이것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지관(紙管)에 페놀수지를 함침시켜서 굳힌, 소위 페놀관 등, 가벼우면서도 강성이 우수한 것이 사용된다. 또, 원통부재(1)의 외주에는 탄성체(2)가 적어도 1개층 설치되어 있다. 이것의 재질로서는 탄력성이 있는 다공질 합성수지가 가장 적절하다. 구체적으로는 스펀지형상의 초산비닐 등, 경시변화에 강하고 내부의 가스가 빠지지 않으며, 게다가 가벼운 것이 사용된다. 탄성체(2)의 외주에는 탄성체(2)를 보호하는 지지체(3)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튼튼한 연질고무 시트의 외측에, 놋쇠도금을 실시한 단선 혹은 엮은 선의 피아노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선(4)을 감아 붙이고, 다시 외측으로부터 동일한 재질의 상기 시트로 끼워서 접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금속선(4)은 원통형 지석(G)의 회전축 방향(도면의 지면에 수직방향)을 향해서 나선형상으로 감아지고 있으며, 적어도 원통형 지석(G)의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 파괴에 견딜 수 있는 권수(卷數)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지체(3)의 외주에는 고무시트가 접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띠형상의 고무시트(5)의 표면에 지석편(6)을 접착시키고, 그 면을 외측으로 하여, 이 고무시트(5)를 지지체(3)의 외주에, 원통형 지석(G)의 회전축 방향을 향하여 나선형상으로 감아 붙이고 접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지석편(6)은 도 2에 원통형 지석(G)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단면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간의 간극(예를 들면, 1∼1.8mm)을 설치하여 고무시트(5)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지석편(6)의 높이는 8∼12mm정도, 폭 및 안쪽길이는 10∼16mm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폭(후술하는 연삭변 측의 길이)쪽이 안쪽길이보다 약간 긴 편인 것이 좋다. 이것에 의하여, 지석편(6)이 접착되는 원통면으로부터의 떠오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삭음(硏削音)도 그다지 크게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금속선(4)을 감아 붙인 위에, 지석편(6)을 접착시킨 고무시트(5)를 직접 감아서 접착시키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게되면, 나선형상으로 감아 붙인 고무시트(5)끼리의 간극에서 아무래도 금속선(4)이 엿보이게 되며, 이 부분의 커버가 불충분하게 되어 손상이 빨라지며, 결국 파단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금속선(4)을 커버하는 시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로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석편(6)으로서는, 예를 들면 영 계수(Young's modulus)가 낮은 PVA(폴리비닐알코올)수지에 SiC 지립(砥粒)을 혼련하여, 타일형상으로 마감형성한 것이 사용된다. 혹은, 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판형상의 지석을 고무시트(5)에 접착시킨 후에 절단하는 것으로, 지석편(6)을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원통형 지석(G)의 구성에 있어서, 주로 고무로 이루어지는 지지체(3) 및 고무시트(5)가, 탄성체(2)의 탄력을 지석편(6)으로 직접 전달하기 때문에, 지석편(6)은 각각 독립적으로 피연삭물의 곡면을 따라서 움직이므로, 적응성이 우수한 연삭을실시할 수 있다.
또한, 지석의 영 계수는, 레벨링용으로 최적의 값으로서는 크리프시험(creep test)에 의한 영 계수(크리프 영 계수)로 100∼300kg/mm2이다. 이것이 500kg/mm2이상으로 되면, 기판에 스크래치가 들어가서, 실용상 사용불능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지석의 크리프 영 계수는 85∼350kg/mm2로 되어 있으며, 거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연삭지석인 소위 레지노이드 지석 및 비트리파이드 지석의 영 계수는 각각 1040∼1200kg/mm2, 3000∼3500kg/mm2로 되어 있으며, 레벨링용으로는 부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지석편(6)의 배치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원통형 지석(G)에 있어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3)에 나선형상으로 감겨진 띠형상의 고무시트(5)위에, 주로 대략 직방체 형상을 한 지석편(6)이 다수 배치되어 있다. 실제에 있어서는 고무시트(5)위의 전체면에 지석편(6)이 배치되어 있으나, 이 도면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여기에서, 원통형 지석(G)이 회전축(X)의 둘레로 회전하며, 회전축(X)과 직각을 이루는 화살표(A)로 나타내는 연삭방향으로, 피연삭물(도시생략)을 지석편(6)에 의해 연삭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때, 각 지석(6)에 있어서, 최초로 피연삭물에 도달하는 연삭변(6a)의 방향이, 화살표(B)로 나타내는 회전축(X)의 축 방향에 대하여, 예를 들면 평행에 가까우면, 연삭변(6a)은 전체길이에 걸쳐서 피연삭물에 거의 동시에 도달하게 되며, 연삭음, 나아가서는 진동이 크게 되어, 원활한 연삭을 실시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B)로 나타내는 회전축(X)의 축 방향과 연삭변(6a)이 이루는 각(θ)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연삭음을 방지하여 원활한 연삭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θ를 7°∼12°정도로 설정함으로써, 양호한 연삭결과를 얻고 있다. 참고로, 고무시트(5)의 지지체(3)로의 감는 각도(α)는 7∼16°정도로 하고 있다. 또, 지지체(3)의 외경은 130mm정도, 전체길이(즉, 원통형 지석(G)의 전체길이)는 300∼800mm정도로 되어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원통형 지석을 연삭장치에 조립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의 세로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 지석(G)에는 원통부재(1)의 내부에 축(7)이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축(7)이 관통하는 2개의 플랜지(8)에 의해, 원통부재(1)가 양단에서 끼워지는 것으로, 원통형 지석(G)이 축(7)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축(7)이 관통하는 링(9)이 원통부재(1)의 내부 중앙부근에서 끼워 결합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원통형 지석(G)이 연삭시에 받는 힘으로 인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축(7)은 그 양단부근을 기대(11)에서 뻗는 축받이(10)에 의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로, 도시하지 않는 모터의 회전에 연동하여, 축(7)이 회전축(X)의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원통형 지석(G)도 회전하여, 피연삭물의 연삭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속회전하는 원통형 지석(G)과 기대(11)의 사이에, 배선용의 동도금을 실시한 프린트기판(12)을통과하게 하여 연삭을 실시하며, 또 프린트기판(12)에 천공되어 있는 구멍주변의 버(burr)제거를 실시함과 동시에, 레벨링 롤로서 바우(bow)를 수정하는 기능도 하고 있다.
이하, 프린트기판에 있어서의 연삭 및 레벨링의 실시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도 5는 기판에 동박을 덮고, 관통구멍을 천공하는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21은 예를 들면, 유리에폭시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판, 22는 기판(21)의 표면에 덮인 동박, 23은 동박(22)위에 생긴 요철, 24는 관통구멍이다. 도 5의 (a)는 기판(21)만의 상태, (b)는 기판(21)표면에 압착 등에 의해 동박(22)이 덮인 상태(이하, 동박기판이라고 함), (c)는 다시 기판(21)에 관통구멍이 천공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관통구멍(24)의 둘레테두리에는, 천공에 의한 이른바, 버(27)가 발생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도면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판에 있어서의 상기 요철(23) 및 버(27)를 종래의 부직포롤 및 본 발명의 원통형 지석(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시생략)에 의해 제거하는 실험을 실시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종래의 부직포롤을 사용한 경우.
(1) 부직포중의 섬유질의 재료가 관통구멍 내에 잔류하여, 기판이 불량품으로 되었다.
(2) 관통구멍의 단부가 코너슬로프(구멍코너슬로프)되는 결과가 되며, 관통구멍의 주위에 덮인 동박이 얇게 되어, 이 부분에 있어서의 패턴배선이 단선될 가능성이 발생하였다.
2. 본 발명의 원통형 지석을 사용한 경우.
(1) 관통구멍의 구멍막힘은 발생하지 않았다.
(2) 관통구멍의 단부는 코너슬로프없이, 균일한 레벨링을 실시할 수 있었다.
도 6은 이상과 같은 요철 및 버를 제거하는 실험의 결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도면의 (a)는 종래의 부직포롤을 사용한 경우, (b)는 본 발명의 원통형 지석을 사용한 경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기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부직포롤을 사용한 경우는 부직포중의 섬유질재료(28)가 관통구멍(24)내에 잔류하여, 기판(21)이 불량품으로 되었다.
또, 관통구멍(24)의 단부(24a)가 코너슬로프(깎이는)되는 결과가 되며, 관통구멍(24)의 둘레에 덮인 동박(22)이 얇게 되어, 이 부분에 있어서의 패턴배선이 단선이 될 가능성이 발생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원통형 지석을 사용한 경우는 상기 도면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24)의 구멍막힘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 관통구멍(24)의 단부(24a)는 코너슬로프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균일한 레벨링을 실시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프린트기판에는 상기의 관통구멍 이외에, 위치결정을 위한 센서구멍이 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센서구멍의 단부가 코너슬로프되거나, 구멍막힘이 발생하면, 제조라인 상에서의 프린트기판의 위치결정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게 한다. 이 의미에 있어서도, 구멍의 코너슬로프나 구멍막힘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프린트기판의 연삭 및 레벨링을 실시한다는 것은 중요하다.
도 7은 관통구멍을 갖는 동박기판을 도금하고, 다시 연삭하는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도면의 (a)는 기판(21)표면에 동박(22)이 덮이며, 관통구멍이 천공되는 것에, 동도금이 실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동도금층(25)의 표면 및 관통구멍(24)의 둘레테두리에, 도금 실시때에 발생한 미소볼록부(26)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술한 관통구멍(24) 둘레테두리의 버(27)는 도금하기 전에 미리 제거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도면의 (b)는 관통구멍(24)에 수지(30)가 매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관통구멍(24)의 측벽(24b)에 실시된 동도금층(25)이 연삭공정을 실시할 때 깎이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의 (c)는 종래의 부직포롤을 사용하여 연삭한 상태, (d)는 본 발명의 원통형 지석을 사용하여 연삭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기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직포롤에 의해 연삭하는 경우는 관통구멍(24)의 둘레테두리가 화살표(C)로 나타내는 연삭방향에서 이 부직포롤에 의해 연삭되어, 여기에 오목부(31)가 발생한다. 그 결과, 관통구멍(24)의 둘레에 실시된 동도금층(25)이 얇게 되며, 이 부분에 있어서의 패턴배선이 단선될 가능성이 발생한다.
또, 동도금층(25)표면의 상기 미소볼록부(26)가 이 부직포 롤에 의해 패어져서 오목부(26a)로서 잔존한다. 그 결과, 이 부분에 있어서의 패턴배선이 단선될 가능성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도면(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통형 지석에 의해 연삭하는 경우는 관통구멍(24)의 둘레테두리에 오목부가 발생하지 않으며, 또 미소볼록부(26)도 패이지 않으므로, 평탄한 연삭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24)에 매입되어 있는 수지(30)는 연삭공정 후에, 약품 등에 의한 용해에 의해제거된다. 혹은, 예를 들면 도전성 수지를 매입한 채 그대로 두는 경우도 있다.
도 8은 관통구멍을 갖는 동박기판에, 이른바 첨가도금(additive planting)을 행하는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도면의 (a)는 기판(21)표면에 압착 등에 의해 동박(22)이 덮인 상태, (b)는 그 기판(21)에 관통구멍(24)을 천공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관통구멍(24)의 둘레테두리에는 천공에 의한 이른바 버(27)가 발생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도면의 (c)는 마킹(29)을 실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동박(22)상의 동도금을 필요로 하지 않는 부분에 마킹(29)을 실시한 것이며, 이것에 의해 기판(21)상의 소망하는 개소에만 동도금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관통구멍(24) 둘레테두리의 버(27)는 마킹을 하기 전에 미리 제거되어 있다. 또, 동박(22)의 마킹(29)이 실시된 부분은, 동도금을 한 후의 공정에서 마킹(29)을 제거한 후, 에칭에 의해 제거된다.
다시, 상기 도면의 (d)는 마킹 후에 동도금을 실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기판(21)상의 마킹(29)이 실시된 부분외에 동도금층(25)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도면의 (e)는 상기 도면(d)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에워싸인 D부분의 확대도면이며, 동도금층(25)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킹(29)사이에 형성된 동도금층(25)의 상면에는 도금시의 표면장력 등의 영향에 의하여 오목부(25a)가 발생한다. 그 밖에, 상술한 미소볼록부와 같은 요철부도 발생한다. 이들을 평탄하게 하기 위하여 레벨링 처리를 할 필요가 있다.
도 9는 도금 후의 기판의 레벨링 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는 기판(21)의 도면 중의 하면에 실시된 마킹은 도시생략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도면의 (a)는 레벨링을 실시할 목표를 나타낸 것이며, 1예로서 상기 오목부(25a)의 저부에 대응하는 파선으로 나타낸 면(b)까지 레벨링을 실시하면, 동도금층(25)을 평탄하게 할 수 있다. 이때의 동도금층(25)의 두께를 (a)로 나타낸다.
또, 상기 도면의 (b)는 종래의 부직포롤을 사용하여 레벨링을 한 상태, 같은 도면의 (c)는 본 발명의 원통형 지석을 사용하여 레벨링을 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같은 도면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직포롤에 의하여 레벨링하는 경우는 관통구멍(24)의 둘레테두리가 이 부직포롤에 의해 깎이고, 코너슬로프(32)가 발생한다. 그 결과, 관통구멍(24)의 둘레에 실시된 동도금층(25)이 얇게 되어, 이 부분(코너(c))에 있어서의 패턴배선이 단선될 가능성이 생긴다.
또, 마킹(29)사이의 동도금층(25)의 표면이, 이 부직포롤에 의해 패어서, 오목부(33)가 생긴다. 이와 같이, 부직포롤에 의한 레벨링에서는, 동도금층(25)을 평탄하게 할 수 없다. 한편, 상기 도면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통형 지석에 의하여 레벨링을 실시하는 경우는 관통구멍(24)의 둘레테두리에 코너슬로프가 발생하지 않으며, 또, 마킹(29)사이의 동도금층(25)표면도 패이지 않기 때문에, 평탄한 레벨링을 실시할 수 있으며, 도금부분을 균일한 두께로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폭이 넓은 피연삭면을 갖는 물품을 연삭 혹은 연마하는데 적합하며, 또 물품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하며, 또한 평판의 레벨링 롤로서도 겸용이 가능한 원통형 지석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원통형 지석은 배선용 동도금을 실시한 프린트기판 위의 요철의 제거 및 레벨링용으로서도 대단히 적당하다.

Claims (5)

  1. 회전이 가능한 원통부재의 외주에 탄성체를 설치하며, 그 탄성체의 외주에 금속선으로 보강된 시트형상의 지지체를 설치하며, 다시 그 지지체의 외주에 다수의 지석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지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석편을 띠형상의 고무시트의 표면에 설치하며, 그 고무시트를 상기 지지체의 외주에 감아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지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석편의 연삭변(硏削邊)의 각각이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거의 동시에 피연삭물에 도달하지 않도록, 그 각 연삭변과 상기 원통부재의 회전축 방향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지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7∼12도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지석.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석편의 높이는 8∼12mm의 범위내이며, 폭 및 안쪽길이는 각각10∼16mm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지석.
KR10-2001-0000374A 2000-03-03 2001-01-04 원통형 지석 KR100444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63297 2000-03-03
JP2000063297 2000-03-03
JP2000231488A JP3445229B2 (ja) 2000-03-03 2000-07-31 筒状砥石
JP2000-231488 2000-07-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796A Division KR100444837B1 (ko) 2000-03-03 2004-04-12 원통형 지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151A true KR20010087151A (ko) 2001-09-15
KR100444835B1 KR100444835B1 (ko) 2004-08-18

Family

ID=265870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374A KR100444835B1 (ko) 2000-03-03 2001-01-04 원통형 지석
KR10-2004-0024796A KR100444837B1 (ko) 2000-03-03 2004-04-12 원통형 지석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796A KR100444837B1 (ko) 2000-03-03 2004-04-12 원통형 지석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445229B2 (ko)
KR (2) KR100444835B1 (ko)
CN (1) CN1261281C (ko)
TW (1) TW50688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213B1 (ko) * 2006-05-02 2008-02-11 손종철 초경질 소결체와 탄성재를 이용한 성형공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3308A1 (de) * 2003-11-10 2005-06-09 Gebr. Schmid Gmbh & Co. Schleifwalze mit Bezug
JP2005230988A (ja) * 2004-02-20 2005-09-02 Sankyo Rikagaku Co Ltd 回転砥石
ITMI20050483A1 (it) * 2005-03-23 2006-09-24 Olimpia 80 Srl Ruota lamellare in particolare ruota lemallare per impianti di satinatura tubi e motodo per produrla
JP2008221430A (ja) * 2007-03-14 2008-09-25 Noritake Co Ltd 円筒状樹脂砥石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32382B1 (ko) * 2009-09-22 2009-12-16 주식회사 와이제이씨 원통형 연마브러쉬
CN102554738A (zh) * 2010-12-07 2012-07-11 达航工业股份有限公司 研磨刷轮的制造方法
CN102240991A (zh) * 2011-06-29 2011-11-16 常州市大明纸管机械有限公司 金刚砂弹性砂抛光辊
CN103707206B (zh) * 2013-02-24 2016-03-30 长沙理工大学 一种复合材料纤维微刃的螺旋砂轮
CN104476421B (zh) * 2014-11-21 2017-08-11 南京三超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固着金刚石抛光轮
CN106181795B (zh) * 2015-04-29 2020-09-11 薛民开 一种能磨削不规则弧形刀具的磨石带
CN104816258A (zh) * 2015-05-29 2015-08-05 广州金谷钻石工具有限公司 一种钢塑覆合钻石磨边砂轮
CN105881168A (zh) * 2016-04-11 2016-08-24 钱淦 一种石材和瓷砖的表面磨抛加工方法及装置
CN105881187A (zh) * 2016-04-11 2016-08-24 钱淦 一种高效滚筒
CN105751087B (zh) * 2016-05-05 2019-04-05 珠海市巨海科技有限公司 陶瓷金属结合剂磨具及其制造方法
US20190283205A1 (en) * 2016-10-31 2019-09-19 Nitta Haas Incorporated Polishing roll
CN107081652A (zh) * 2017-06-30 2017-08-22 马鞍山方圆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叶轮去毛刺装置
CN110405643B (zh) * 2019-06-17 2020-09-29 深圳市浩泰兴机电有限公司 一种发泡陶瓷磨刷及其制备方法
AT522810B1 (de) * 2019-07-16 2023-02-15 Tyrolit Schleifmittelwerke Swarovski Kg Schleifsegment für eine Schleifwalze
CN111644926B (zh) * 2020-05-19 2022-01-14 太原日德泰兴精密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超薄带钢的高效打磨方法
CN112247716A (zh) * 2020-08-27 2021-01-22 南京涵铭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端盖去毛刺清洗机以及清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803Y2 (ja) * 1981-06-04 1984-02-02 東邦窯業株式会社 リング状砥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213B1 (ko) * 2006-05-02 2008-02-11 손종철 초경질 소결체와 탄성재를 이용한 성형공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4837B1 (ko) 2004-08-21
TW506881B (en) 2002-10-21
JP2001315064A (ja) 2001-11-13
CN1261281C (zh) 2006-06-28
JP3445229B2 (ja) 2003-09-08
CN1311081A (zh) 2001-09-05
KR20040036891A (ko) 2004-05-03
KR100444835B1 (ko)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4835B1 (ko) 원통형 지석
KR100882045B1 (ko) 그루브형 서브패드를 구비한 폴리싱 장치
US5944593A (en) Retainer ring for polishing head of chemical-mechanical polish machines
KR100862130B1 (ko) 연마 패드, 연마 방법 및 연마 장치
JP3872081B2 (ja) 研磨用パッド
JP3843933B2 (ja) 研磨パッド、研磨装置および研磨方法
US6254456B1 (en) Modifying contact areas of a polishing pad to promote uniform removal rates
JP5701211B2 (ja) 研磨剤を含浸する電鋳製薄型カッティングソー及びコアドリル
TW200305480A (en) Backside polishing method of semiconductor wafer
JP3966815B2 (ja) 研削装置
KR102546459B1 (ko) 절삭 블레이드 및 절삭 블레이드의 장착 기구
CN100377841C (zh) 研磨用砂轮
JP6846669B2 (ja) ブレード固定装置及びダイシング装置
JP2000301470A (ja) 研磨ホイール
JP2005329518A (ja) 研磨方法及び研磨用砥石
JP7285552B2 (ja) 溝研磨体
JP2000042910A (ja) 研磨用被加工物保持具
TWI845333B (zh) 用於cmp的保持環
JP2004050400A (ja) 研磨用砥石
JP2003163190A (ja) Cmp研磨用研磨パッドおよびcmp研磨方法
JP3405710B2 (ja) フラップ形状の繊維性研磨材
JP2001277138A (ja) 研磨ホイールとその製造方法
TW202337637A (zh) 工具組件、加工裝置以及玻璃板的製造方法
JP2006321032A (ja) 研磨砥石、及び該研磨砥石の製造方法
JPS62157778A (ja) 研削砥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