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074A - 5방향 키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5방향 키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6074A
KR20010086074A KR1020017006833A KR20017006833A KR20010086074A KR 20010086074 A KR20010086074 A KR 20010086074A KR 1020017006833 A KR1020017006833 A KR 1020017006833A KR 20017006833 A KR20017006833 A KR 20017006833A KR 20010086074 A KR20010086074 A KR 20010086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iaphragm
contact
way
push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3139B1 (ko
Inventor
스스무 오츠키
마모루 요시다
테루오 난모쿠
토시야스 기타무라
아키노리 오히라
고이치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8174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340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1740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34082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10086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06Force iso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2Actuators integral with membr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2Joy stick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24Packing between substrate and membr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2Telephone hand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5개의 다이아프램을 하나의 버튼 키로 조작 가능한 5방향 키 조작 장치에 있어서, 5방향 키에 대응하여 십자 형상으로 설치되는 다이아프램(4)이 배치되는 개개의 다이아프램 접점을 제 1 접점(1)과, 제 1 접점(1)을 둘러싸고 제 1 접점의 반대측에 스트립 형상 접점부(3a∼3b)를 연장한 제 2 접점(2)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 및 배치에 의하여, 다이아프램 접점의 설치 공간의 감소, 장치 전체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키 베이스(127)의 프린트 기판 상의 5개의 다이아프램에 대향하는 키 코어면에 5개의 푸셔부(126)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5방향 키 조작 장치{5-Directional key operation device}
종래에,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5방향 키 조작 장치가 알려져 있다. 휴대 전화기의 본체(500)에서,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표시부(501)와 각종 키가 배열된 조작부(502)가 설치된다. 조작부(502)는 커서 이동키(503) 및 엔터키(504)로 이루어진 제 1부분과, 숫자키(ten key), 메뉴키 및 그 외 키(505)로 이루어진 제 2부분으로 구성된다. 그 중에서, 제 1 부분이 5방향 키 조작 장치를 구성한다.
5방향은 상하좌우의 각 방향(도17에서 삼각 화살표 참조)과 중앙 방향을 의미한다. 통상, 커서는 전후좌우의 각 방향 키, 즉 커서 이동키(503)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표시부(501) 상의 지시 표시 사이에서 이동되고, 커서가 이동되는 지시 표시는 중앙 방향키, 즉 엔터키(504)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종래의 5방향 키 조작 장치에서, 4개의 커서 이동키(503)와 1개의 엔터키(504)는 독립적으로 배치되고, 따라서 상당히 큰 공간이 이러한 키들을 설치하는데 요구되며, 더욱이 키가 실제로 조작되는데 있어서, 특정 손가락의 이동 범위가 넓게 되어 조작에 대한 시간 주기가 상대적으로 길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 등은 실리콘 고무 등으로 만들어진 키 시트(630)에 숫자키(631) 등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조립체가 커버(610)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장착되어 프린트 기판(640)에 설치된 다이어프램(604)에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한 휴대 전화기에서, 5방향 키 조작 장치는 키 시트(630)에 세워지는 가장 큰 키인 5방향 키(606)와 그것에 대응하는 십자 형상으로 배열된 다이어프램(604)으로 구성된다.
이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에 의한 설계에서, 5방향 키(606)에 대응하여 십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다이어프램(604)이 배치되는 접점과 같이, 도 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도넛 형상의 접점, 즉 제 1 접점(601)과 제 2 접점(602)이 프린트 기판(640)에 배치되고, 미리 결정된 다이어프램(604)이 설치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에서, 다이어프램 접점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은 제 2 접점(602)이 서로 접촉되지 않는 한도에서 보다 접근시켜 설치하는 것으로 최소한의 공간을 만드는 것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프린트 기판 상에 배치된 다이어프램 접점의 구조가 5개의 다이어프램을 최소한의 영역에 배치할 수 있도록 향상되고, 5개의 다이어프램이 1개의 버튼 키에 의하여 조작할 수 있는 5방향 키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조작 스페이스가 감소되고, 오조작 없이 원활한 키 조작에 의하여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중의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는 5방향 키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기 등의 5방향 키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프린트 기판 상에 설치된 다이어프램 접점의 구조가 다이어프램을 최소한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도록 향상되며, 동일한 버튼 키로 5방향 (상하좌우+중앙) 키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구성에 관한 것이며, 더욱이, 키 코어면의 고무 베이스가 5방향 (상하좌우+중앙) 키 조작을 동일한 조작 버튼으로 오조작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A-A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십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다이어프램 접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다이어프램 접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과 동일하고 본 발명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a는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b는 키 시트를 아래에서 본 도면.
도 7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키 조작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a는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b는 보스가 수직으로 세워진 경우에 키 시트를 아래에서 본 도면.
도 12c는 리브가 세워진 경우에 키 시트를 아래에서 본 도면.
도 13a는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b는 스커트부의 폭이 상하좌우 방향에는 넓게, 45°로 기울어진 방향에는 좁게 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c는 스커트부의 두께가 상하좌우 방향에는 얇게, 45°로 기울어진 방향에는 두껍게 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a는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b는 키 스커트부가 보다 적은 굴곡을 가지는 형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c는 키 스커트부가 증가된 굴곡을 가지는 형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a는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5b는 키 스커트부가 시작되는 위치가 옮겨진 형상의 제 1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c는 키 스커트부가 시작되는 위치가 옮겨진 형상의 제 2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다이어프램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종래의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 및 도 5와 유사하고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도 18의 5방향 키 조작 장치에서 십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다이어프램 접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 1 목적에 관한 5방향 키 조작 장치는 5방향 각각에 대응되는 다이어프램이 십자 형상으로 근접 배열되고, 다이어프램에 대향되는 키 코어면에 5방향에 대응되는 푸셔(pusher)를 포함하며, 하나의 키로 5방향 키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한 5방향 키 조작 장치이고, 다이어프램에 대향되는 프린트 기판 상에 배치된 각 다이어프램 접점이 제 1 접점 및 제 1 접점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점을 가지는 구조로 되며, 제 1 점점측과 반대측에 제 2 접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형상(strip-like) 접점부가 제 2 접점에 배치되며, 다이어프램 접점이 5방향에 대응되고 다이어프램 접점의 스트립 형상 접점부를 수직 및 수평 방향에 대하여 약 45°로 기울어져서 프린트 기판에 십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이다.
바람직하게, 스트립 형상 접점부는 제 1 접점의 중앙에 대하여 팬(fan) 형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스트립 형상 접점부는 직사각형일 수도 있다.
제 2 목적에 관한 본 발명의 5방향 키 조작 장치는 5개의 다이어프램이 십자 형상으로 근접 배열되고, 푸셔부가 다이어프램에 대향되는 키 코어면에 배치되며, 중앙 푸셔부의 구조가 중앙 푸셔부를 둘러싸는 푸셔부의 구조와 다른 것에 의하여 5방향 조작을 하나의 키로 오조작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방향 키 조작 장치에서, 다이어프램으로부터의 중앙 푸셔부의 높이는 개개의 다이어프램으로부터의 주위 푸셔부의 높이와 다르게 될 수도 있는 것에 의하여 방향 조작을 하나의 키로 오조작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5방향 키 조작 장치에서, 중앙 푸셔부의 형상이 주위 푸셔부의 형상과 다르게 될 수도 있는 것에 의하여 5방향 조작을 하나의 키로 오조작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5방향 키 조작 장치에서, 중앙 푸셔부의 단면 지름이 주위 푸셔부의 단면 지름과 다른 것에 의하여 5방향 조작을 하나의 키로 오조작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5방향 키 조작 장치에서, 리브(rib) 및 보스(boss) 중의 하나는 푸셔부가 존재하는 키 코어면의 임의의 위치에 세워질 수도 있는 것에 의하여 5방향 조작을 하나의 키로 오조작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5방향 키 조작 장치에서, 5개의 다이어프램이 십자 형상으로 근접 배열되고, 다이어프램에 대향되는 키 코어면의 주위에 형성되는 키 스커트(skirt)부의 구조가변경될 수도 있는 것에 의하여 5방향 조작을 하나의 키로 오조작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5방향 키 조작 장치에서, 키 스커트부의 폭 및 두께가 변경될 수도 있는 것에 의하여 5방향 조작을 하나의 키로 오조작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5방향 키 조작 장치에서, 키 스커트부의 형상이 변경될 수도 있는 것에 의하여 5방향 조작을 하나의 키로 오조작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5방향 키 조작 장치에서, 5방향 조작에 각각 대응되는 다이어프램이 십자 형상으로 근접 배열되고, 다이어프램의 하중이 주위 다이어프램의 하중으로 변경될 수도 있는 것에 의하여 5방향 조작을 하나의 키로 오조작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5방향 키 조작 장치에서, 5개의 다이어프램이 십자 형상으로 근접 배열되고, 중앙 다이어프램의 하중이 주위 다이어프램의 하중으로 변경되며, 푸셔부가 다이어프램에 대향되는 키 코어면에 배치되며, 중앙 푸셔부의 구조가 중앙 푸셔부를 둘러싸는 푸셔부의 구조와 다르게 될 수도 있는 것에 의하여 5방향 조작을 하나의 키로 오조작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5방향 키 조작 장치에서, 5개의 다이어프램이 십자 형상으로 근접 배열되고, 중앙 다이어프램의 하중이 주위 다이어프램의 하중으로 변경되며, 다이어프램에 대향되는 키 코어면의 주위에 형성되는 키 스커트부의 구조가 변경될 수도 있는 것에 의하여 5방향 조작을 하나의 키로 오조작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5방향 키 조작 장치에서, 5개의 다이어프램이 십자 형상으로 근접 배열되고,중앙 다이어프램의 하중이 주위 다이어프램의 하중으로 변경되며, 푸셔부가 다이어프램에 대향되는 키 코어면에 배치되며, 중앙 푸셔부의 구조가 중앙 푸셔부를 둘러싸는 푸셔부의 구조와 다르게 되며, 다이어프램에 대향되는 키 코어면의 주위에 형성되는 키 스커트부의 구조가 변경될 수도 있는 것에 의하여 5방향 조작을 하나의 키로 오조작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이고 휴대 전화기 등에 삽입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8과 유사하다. 도 2는 휴대 전화기로 조립된 후에 도 1의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 휴대 전화기 등에서, 숫자키(31)는 실리콘 고무 등으로 만들어진 키 시트(30)에 일체 형성되고, 조립체가 커버(10)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장착되며, 프린트 기판(40)에 배치된 다이어프램(4)에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5방향 키 조작 장치는 키 시트(30)에 세워지는 가장 큰 키인 5방향 키(6)와 그에 대응되는 십자 형상으로 배열된 다이어프램(4)으로 구성된다.
도 2는 휴대 전화기로 조립된 후에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 실시예의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3개의 다이어프램(4)이 프린트 기판(40)에 도시되고, 3개의 푸셔(34)는 다이어프램에 대향된 5방향 키(6)의 코어면 및 키 베이스(32)에 배치된다. 중앙 푸셔의 형상(단면의 형상은 삼각형이지만, 중앙 푸셔는 실제 사각 피라미드 형상을 가진다)은 좌우의 푸셔의 형상(단면의 형상은 사다리꼴이지만, 좌우 푸셔는 실제 원기둥 형상을 가진다)과 다르도록 설정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설계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 다이어프램 접점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보다 더 감소되고 제 2 접점이 고안되는 것에 의하여 전체 장치가 소형화 및 경량화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다이어프램 접점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다이어프램 접점은 제 1 접점인 원형 접점(1)을 가지고, 제 1 접점의 중앙에 대하여 팬 형상으로 연장되는 스트립 형상 접점부(3a∼3d)는 제 2 접점(2) 및 제 1 접점(1)측과 반대측에 배치된다.
팬 형상이 이용되므로, 제 2 접점(2)의 금속 패턴 부분의 면적은 제 1 접점(1)의 중앙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크게 된다. 다이어프램(4)의 외부 표면의 형상이 생산의 불규칙한 특성에 의하여 다소 기복이 있게 되어 질 때라도, 다이어프램의 외부 표면이 다수의 스트립 중의 임의의 하나와 접촉되어 전도가 확보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5개의 다이어프램 접점은 스트립 형상 접점부(3a, 3c) 및 스트립 형상 접점부(3b, 3d)가 수직 및 수평 방향에 대하여 약 45°로 기울어지기 위하여 십자 형상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2 접점(실제는 스트립 형상 접점부(3):2)이 서로 접촉될 우려가 있는 곳들은 약 45°로 형성된다. 따라서, 다이어프램(4)은 서로 접근하여 배열될 수 있고, 다이어프램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다이어프램 접점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다이어프램 접점은 제 1 점점인 원형 접점(1)을 가지고, 직사각형이고 제 2 접점(2)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립 형상 접점부(3a’∼3d’)는 제 2 접점(2) 및 제 1 접점(1)측 반대측에 배치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5개의 다이어프램 접점은 스트립 형상 접점부(3a’,3c’) 및 스트립 형상 접점부(3b’,3d’)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에 대하여 약 45°로 기울어지도록 십자 형상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2 접점(실제는 스트립 형상 접점부(3):2)이 서로 접촉될 우려가 있는 곳들은 약 45°로 형성된다. 따라서, 다이어프램(4)이 서로 접근 배열될 수 있고, 다이어프램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제 2 접점을 단일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였다. 이와 달리, 장치는 각 다이어프램에 복수의 도넛 형상을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5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이고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기 등에 삽입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 및 도 18과 동일하다. 도 6 내지 15는 휴대 전화기로 조립된 후에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상 PHS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기에서, 숫자키(122) 등은 실리콘 고무 등으로 만들어진 키 시트(121)에 일체 형성되고, 조립체는 커버(110)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장착되며, 프린트 기판(124)에 배치된 다이어프램(123)에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5방향 키 조작 장치는 키 시트(121)에 세워지는 가장 큰 키와 그에 대응되는 십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다이어프램(123)으로 구성된다.
도 6a는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에서, 5개의 다이어프램(123)이 프린트 기판(124)에 도시되고, 5개의 푸셔부(126)은 5개의 다이어프램(123)에 대향된 키 코어면 및 키 베이스(127)에 배치된다. 키 시트(121)를 아래 방향에서 본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푸셔부(126b)는 중앙의 푸셔부(126)를 중앙으로 하여 상하좌우에 설치된다. 중앙 푸셔부의 높이는 상하좌우의 푸셔부의 높이보다 높게 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에서, 비록 하나의 키 탑(125)이 배치되지만, 중앙 푸셔부의 높이는 주위 푸셔부의 높이와 다르다. 따라서, 중앙의 푸셔부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은 상하좌우 푸셔부 중의 하나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과 다르다. 그 결과, 키 조작은 오조작 없이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개념은 도 6a의 개념과 유사하지만, 도 6a와 달리, 상하좌우 푸셔부의 높이는 중앙 푸셔부의 높이보다 높게 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에서, 비록 하나의 키 탑(125)이 배치되지만, 중앙 푸셔부의 높이는 주위 푸셔부의 높이와 다르다. 따라서, 중앙 푸셔부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은 상하좌우의 푸셔부 중의 하나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과 다르다. 그 결과, 키 조작은 오조작 없이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하좌우의 푸셔부의 형상(도 6a 및 도 7과 동일하거나 사다리꼴)은 중앙 푸셔부의 형상(도 6a 및 도 7과 달리 원호)과 다르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에서, 비록 하나의 키 탑(125)이 배치되지만, 중앙 푸셔부의 형상은 주위 푸셔부의 형상과 다르다. 따라서, 중앙 푸셔부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은 상하좌우의 푸셔부 중의 하나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과 다르다. 그 결과, 키 조작은 오조작 없이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다.
도 9는 도 5의 A-A선을 따라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조립된 다른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과 달리, 중앙 푸셔부의 형상은 아치 형상에서 삼각 형상으로 변경된다. 다른 구성 요소는 도 8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은 중앙 푸셔부의 형상이 도 8의 중앙 푸셔부의 형상과 다르므로, 비록 누르는 감각이 도 8의 누르는 감각과 다르지만, 도 8의 구성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0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다리꼴인 중앙 푸셔부의 단면 지름이 도 6a 및 도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다리꼴인 상하좌우 푸셔부의 단면 지름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에서, 비록 하나의 키 탑(125)이 배치되지만, 중앙 푸셔부의 단면 지름은 주위 푸셔부의 단면 지름과 다르다. 따라서, 중앙 푸셔부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은 상하좌우 푸셔부 중의 하나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과 다르다. 그 결과, 키 조작은 오조작 없이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다.
도 11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과 달리, 중앙 푸셔부의 단면 지름은 상하좌우 푸셔부의 단면 지름보다 작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중앙 푸셔부의 단면 지름이 주위 푸셔부의 단면 지름과 다르므로, 도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앙 푸셔부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은 상하좌우 푸셔부 중의 하나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과 다르다. 그 결과, 키 조작은 오조작 없이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다.
도 12a는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비록 푸셔부(126)의 형상은 도 6a 및 도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다리꼴이지만, 리브 및 보스(128)는 푸셔부(126) 사이에 세워진다. 도 1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보스(128a)는 상하좌우에 설치되는 4개의 푸셔부(126b) 사이에 배치되거나, 도 12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28b)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앙 푸셔부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은 상하좌우 푸셔부 중의 하나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과 다르게 된다.
도 13a는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비록 푸셔부(126)의 형상이 도 6a, 도 7 및 도 12a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다리꼴이지만, 도 13b의 예에서 스커트부의 폭은 상하좌우 방향에서 보다 넓게, 45°로 기울어진 방향에서 보다 좁게 한다. 이와 달리, 도 13c의 예에서, 스커트부의 두께는 상하좌우 방향에서 보다 얇게, 45°로 기울어진 방향에서 보다 두껍게 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서, 키 베이스(127)에 배치된 키 스커트부(129)의 구조, 특히 키 스커트부(129)의 폭 또는 두께가 조정되어 중앙 푸셔부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은 상하좌우 푸셔부 중의 하나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과 다르게 된다.
도 14a 및 도 15a는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비록 푸셔부(126)의 형상은 도 6a, 도 7 및 도 12a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다리꼴이지만, 키 베이스(127)에 배치된 스커트부(129)의 형상이 조정되어 중앙 푸셔부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은 상하좌우 푸셔부 중의 하나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과 다르게 된다.
특히 스커트부(129)의 형상에 대하여, 키 스커트부가 도 1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적은 굴곡을 가지고 도 14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된 굴곡을 가지는 부분은 도 13b 및 13c의 경우에서와 같이 상하좌우 방향 및 45°로 기울어진 방향에서 다른 방법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앙 푸셔부를 누를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은 상하좌우 푸셔부 중의 하나를 누를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과 다르게 될 수 있다.
스커트부(129)의 형상에 대하여, 도 15b 및 15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스커트부가 시작되는 위치를 옮긴 형상은 상하좌우 방향과 45°로 기울어진 방향에서 다른 방법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앙 푸셔부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은 상하좌우 푸셔부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과 다르게 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조립된 5방향 키 조작 장치의 다이어프램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5개의 다이어프램(123)이 십자 형상으로 근접 배열되고, 중앙 다이어프램의 하중이 상하좌우 다이어프램의 하중으로부터 변경되기 위하여 구성된다. 도 16의 경우에서, 중앙 다이어프램의 하중은 2.5N으로 설정되고, 상하좌우 다이어프램의 하중은 1.6N으로 설정하여 그 차는 0.9N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앙 푸셔부를 눌렀을 때 느끼는 누르는 감각은 상하좌우 푸셔부 중의 하나를 눌렀을 때 느끼는 감각과 다르게 될 수 있다.
하중이 설정되는 값은 실제로 설정하고 나서 설정된 하중으로 키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16의 값은 고정 값이 아니다.
또한, 도 16의 하중 값이 도6a 내지 15a의 구성과의 조합에 따라서 변경된다. 이러한 점에서, 하중 값은 고정 값이 아니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5방향 각각에 대응되는 다이어프램이 십자 형상으로 근접 배열되고, 다이어프램에 대향되는 키 코어면에 5방향에 대응되는 푸셔를 포함하며, 하나의 키로 5방향의 키 조작을 행할 수 있는 5방향 키 조작 장치이며, 다이어프램에 대향되는 프린트 기판 상에 배치된 각 다이어프램 접점이 제 1 접점 및 제 1 접점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점을 가지는 구조로 되고, 제 1 접점측과 반대측에 각 제 2 접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형상 접점부가 제 2 접점부에 배치되며, 다이어프램 접점은 5방향에 대응되고, 다이어프램 접점의 스트립 형상 접점부가 수직 및 수평 방향에 대하여 약 45°로 기울어져서 프린트 기판에 십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이어프램이 최소한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동일한 버튼 키로 5방향(상하좌우+중앙)의 키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5방향 키 조작 장치는 조작 공간이 감소되고, 오조작 없이 원활한 키 조작으로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 중의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는 5방향 키 조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6)

  1. 5방향 각각에 대응되는 다이어프램이 십자 형상으로 근접 배열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에 대향되는 키 코어면에 상기 5방향에 대응되는 푸셔를 포함하며, 하나의 키로 5방향의 키 조작을 행할 수 있는 5방향 키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에 대향되는 프린트 기판 상에 배치된 각 다이어프램 접점은 제 1 접점 및 상기 제 1 접점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점을 가지는 구조로 되고, 상기 제 1 접점측과 반대측에 상기 각 제 2 접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형상 점점부가 상기 제 2 접점에 배치되며, 상기 다이어프램 접점은 상기 5방향에 대응되고, 상기 다이어프램 접점의 상기 스트립 형상 접점부가 수직 및 수평 방향에 대햐여 약 45°로 기울어져서 십자 형상으로 상기 프린트 기판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형상 접점부가 상기 제 1 접점의 중앙에 대하여 팬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형상 접점부가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
  4. 5개의 다이어프램은 십자 형상으로 근접 배열되고, 푸셔부는 상기 다이어프램에 대향되는 키 코어면에 배치되며, 중앙 푸셔부의 구조는 상기 중앙 푸셔부를 둘러싸는 푸셔부의 구조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의 상기 중앙 푸셔부의 높이가 상기 개개의 다이어프램으로부터의 상기 주위 푸셔부의 높이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푸셔부의 형상이 상기 주위 푸셔부의 형상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의 단면 지름이 상기 주위 푸셔부의 단면 지름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리브 및 보스 중의 하나는 상기 푸셔부를 포함하는 상기 키 코어면의 임의의 위치에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
  9. 5개의 다이어프램이 십자 형상으로 근접 배열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에 대향되는 키 코어면의 주위에 형성되는 키 스커트부의 구조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키 스커트부의 폭 및 두께 중의 하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키 스커트부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
  12. 5개의 다이어프램이 십자 형상으로 근접 배열되고, 중앙 다이어프램의 하중이 주위 다이어프램의 하중으로부터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푸셔부는 상기 다이어프램에 대향되는 키 코어면에 배치되고, 중앙 상기 푸셔부의 구조가 상기 중앙 푸셔부를 둘러싸는 푸셔부의 구조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리브 및 보스 중의 하나는 상기 푸셔부가 있는 키 코어면의 임의의 위치에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에 대향되는 키 코어면의 주위에 형성되는 상기 키 스커트부의 구조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푸셔부는 상기 다이어프램에 대향되는 키 코어면에 배치되고, 중앙 푸셔부의 구조는 상기 중앙 푸셔부를 둘러싸는 푸셔부의 구조와 다르며, 상기 다이어프램에 대향되는 키 코어면의 주위에 형성되는 상기 키 스커트부의 구조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방향 키 조작 장치.
KR1020017006833A 1999-10-01 2000-09-28 5방향 키 조작 장치 KR100743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174199A JP4334083B2 (ja) 1999-10-01 1999-10-01 5方向キー操作装置
JP1999-281741 1999-10-01
JP1999-281740 1999-10-01
JP28174099A JP4334082B2 (ja) 1999-10-01 1999-10-01 5方向キー操作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074A true KR20010086074A (ko) 2001-09-07
KR100743139B1 KR100743139B1 (ko) 2007-07-27

Family

ID=2655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833A KR100743139B1 (ko) 1999-10-01 2000-09-28 5방향 키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46323B1 (ko)
EP (1) EP1146531B1 (ko)
KR (1) KR100743139B1 (ko)
CN (2) CN100474476C (ko)
DE (1) DE60022472T2 (ko)
WO (1) WO20010261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0246A (ko) * 1999-09-03 2001-04-16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촉감이 향상된 다방향 록커 버튼을 구비한 키이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71276A1 (fr) * 2001-06-26 2003-01-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ositif de commande d'un appareil électronique
US7333092B2 (en) 2002-02-25 2008-02-19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GB2404788B (en) 2003-08-07 2006-08-23 Research In Motion Ltd Printed circuit board for a mobile device
KR100573768B1 (ko) * 2003-09-24 2006-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190460A (ja) 2003-12-04 2005-07-14 Ntt Docomo Inc 入力キー及び入力装置
US8022935B2 (en) 2006-07-06 2011-09-20 Apple Inc. Capacitance sensing electrode with integrated I/O mechanism
US8274479B2 (en) 2006-10-11 2012-09-25 Apple Inc. Gimballed scroll wheel
US8206589B2 (en) 2008-09-24 2012-06-26 Poseidon Resources Ip Llc Desalin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treatment of brackish concentrate and seawater
US8696908B2 (en) * 2009-05-13 2014-04-15 Poseidon Resources Ip Llc Desalination system and method of wastewater treatmen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4787A (en) * 1977-03-11 1978-11-07 Atari, Inc. Joystick controller mechanism operating one or plural switches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JPH042424U (ko) 1990-04-19 1992-01-10
JPH04315717A (ja) * 1991-04-12 1992-11-06 Mitsumi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JP2549784Y2 (ja) * 1991-07-01 1997-09-3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素子
US5691517A (en) * 1993-11-19 1997-11-2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Multidirectional lever switch device
JP3261885B2 (ja) 1994-09-28 2002-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H08241647A (ja) * 1995-03-03 1996-09-17 Mitsumi Electric Co Ltd メンブレンシート
US5687080A (en) * 1995-06-20 1997-11-11 Ziba Design, Inc. Multiple axis data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5889242A (en) 1996-10-17 1999-03-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and multidirectional oper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GB2321134A (en) * 1996-12-24 1998-07-15 Nokia Mobile Phones Ltd An assembly for a keypad
JPH11111120A (ja) * 1997-09-30 1999-04-23 Kokusai Electric Co Ltd 小型携帯電子機器のキー構造
JP4464471B2 (ja) * 1997-10-23 2010-05-19 富士通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H11149848A (ja) 1997-11-13 1999-06-02 Smk Corp スイッチ
GB2335822B (en) * 1998-03-25 2003-09-10 Nokia Mobile Phones Ltd Context sensitive pop-up window for a portable phone
JP2000156133A (ja) * 1998-11-19 2000-06-06 Fujitsu Ltd 携帯端末用マルチキー装置
US6587094B2 (en) * 1999-07-27 2003-07-01 Gateway, Inc. Two-sided input device for a computer-related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0246A (ko) * 1999-09-03 2001-04-16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촉감이 향상된 다방향 록커 버튼을 구비한 키이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46531A1 (en) 2001-10-17
WO2001026126A1 (fr) 2001-04-12
DE60022472D1 (de) 2005-10-13
US7746323B1 (en) 2010-06-29
CN1571094A (zh) 2005-01-26
EP1146531B1 (en) 2005-09-07
DE60022472T2 (de) 2006-01-26
KR100743139B1 (ko) 2007-07-27
CN1327606A (zh) 2001-12-19
CN1183567C (zh) 2005-01-05
EP1146531A4 (en) 2003-09-24
CN100474476C (zh)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9707B2 (en) Push switch
US7094979B2 (en) Switch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EP1503277B1 (en) Coordinate input device
CN102163966B (zh) 开关机构以及输入装置
US8618429B2 (en) Keypad assembly, and image forming device and data processor incorporating the same
KR100743139B1 (ko) 5방향 키 조작 장치
EP1241694B1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switched via two movable contacts
JP2003031077A (ja) 多段多方向キー及びこれを用いた多段多方向キースイッチ
EP1168393A2 (en) A key assembly
EP1986207B1 (en) Switch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same
WO2011136046A1 (ja) 操作入力装置
JP3931479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複合スイッチ
JP4334083B2 (ja) 5方向キー操作装置
US7663070B2 (en) Four-way rocker switch with display
JP2878532B2 (ja) 操縦杆式入力装置
KR200229591Y1 (ko) 다방향 택트스위치
JP2010080330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1312944A (ja) キー操作装置と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及び電子機器
JPH08297537A (ja) ジョイステイック装置
GB2322008A (en) Switch
JP4334082B2 (ja) 5方向キー操作装置
JP3939098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2000057904A (ja) 多方向スイッチ
KR20080002152U (ko) 다축 다중 버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