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922A - 인몰드성형용 라벨 - Google Patents

인몰드성형용 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922A
KR20010085922A KR1020017004720A KR20017004720A KR20010085922A KR 20010085922 A KR20010085922 A KR 20010085922A KR 1020017004720 A KR1020017004720 A KR 1020017004720A KR 20017004720 A KR20017004720 A KR 20017004720A KR 20010085922 A KR20010085922 A KR 20010085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layer
resin
weigh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8026B1 (ko
Inventor
니시자와타카토시
시이나마사키
타니구치히로노부
Original Assignee
우쯔기 미쯔루
유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쯔기 미쯔루, 유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우쯔기 미쯔루
Publication of KR20010085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4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to be fastened or secured by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e.g. by thermo-adhe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4Labels, badges, e.g. marker slee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4Transfer or decalcoman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4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with heat sealable or heat releasable adhesiv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2With component specified as adhesive or bonding agent
    • Y10T428/249983As outermost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2With component specified as adhesive or bonding agent
    • Y10T428/249985Composition of adhesive or bonding component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2Glass or ceramic [i.e., fired or glazed clay, cement, etc.] [porcelain, quartz,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10T428/257Iron oxide or aluminum 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8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13Heat or solvent activated or sealable
    • Y10T428/2817Heat sealable
    • Y10T428/2826Synthetic resin or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07Of polycarbo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9Nylon type
    • Y10T428/31743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9Nylon type
    • Y10T428/31743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746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5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5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757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5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8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열가소성 수지필름 기재층 (Ⅰ) 의 이면에 열융착성 수지층 (Ⅱ) 를 형성한 인몰드성형용 라벨로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이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ⅰ) 분자량이 300 이상의 지방산아미드류 및 (ⅱ)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두께보다 평균입경이 큰 유기 또는 무기 미세분말의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인몰드성형용 라벨이다. 이 인몰드성형용 라벨은 인쇄가공시의 급배지성이나 단재에서의 작업성이 우수하고, 인몰드성형시의 금형으로의 삽입이 용이하고, 블리스터의 발생이 없으며, 용기와 라벨의 융착력이 높은 라벨 부착 용기를 부여한다.

Description

인몰드성형용 라벨 {LABEL FOR IN-MOLD MOLDING}
종래, 라벨이 부착된 수지성형용기를 일체성형하기 위해서는, 금형내에 미리 블랭크 또는 라벨을 인서트하고, 이어서 사출성형, 중공성형, 차압성형, 발포성형 등에 의해 그 금형내에서 용기를 성형하고, 용기에 그림을 넣는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69015 호, 유럽 공개특허 제 254923 호 명세서 참조). 이러한 인몰드성형용 라벨로는, 그라비어 인쇄된 수지 필름, 옵셋 다색인쇄된 합성지 (예컨대, 일본 특허공보 평2-7814 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84319 호 참조), 또는 알루미늄 호일의 이면 (裏面) 에 고압법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라미네이트하고, 그 호일의 표면에 그라비어 인쇄한 알루미늄 라벨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인몰드성형용 라벨이나 블랭크를 사용하고, 인몰드성형에 의해 라벨로 장식된 라벨이 부착된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특히 하절기의 고온시에는, 라벨의 접착층 성분이 점착성을 띄기 때문에, 라벨의 제조공정에서의 필름이나 합성지에의 인쇄가공, 특히 낱장으로의 옵셋 인쇄를 실시할 때, 종이끼리의 분리나 슬라이딩성이 악화되어, 라벨 제조기의 정지, 재시작의 반복이 강요되는 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또한, 롤에 의해 그라비어 인쇄, 플렉소 인쇄 등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인쇄후의 시팅 (단재 (斷裁)) 공정에서 슬라이딩성이 나쁘기 때문에, 종이가 흐트러져 단재를 중단해야 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 그렇게 하여 인쇄되거나, 블랭크된 라벨을 포장하여 운송하고 있는 과정에서, 마찬가지로 고온환경에서는, 라벨끼리 접착, 즉 블로킹되기 쉬워져, 인몰드성형시에 자동 라벨 공급장치를 사용하여 금형내에 라벨을 공급할 때, 라벨이 2 장 또는 그 이상이 동시에 금형내에 공급되고, 정규가 아닌 위치에 라벨이 부착된 용기 (불량품) 가 발생하거나, 라벨이 유효하게 이용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하절기의 고온환경에서도 라벨의 블로킹성이 우수하고, 인쇄가공시의 작업성도 양호하며, 라벨의 용기에의 융착강도가 높은 용기를 제공하는 인몰드 라벨 성형용 라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 기재층 (I) 의 이면에,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을 형성한 인몰드성형용 라벨로써,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수지기재가,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i) 분자량이 300 이상인 지방산 아미드류 및 (ⅱ)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두께보다 평균입경이 큰 유기 또는 무기 미세분말의, 적어도 하나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성형용 라벨이다.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상기 특정 지방산 아미드류 및 특정 유기 또는 무기 미세분말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시킴으로써, 라벨의 인쇄가공시의 급배지성이나 단재시의 종이의 정돈을 양호하게 하고, 라벨의 금형에의 삽입시의 미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서는 인몰드성형후의 용기 본체에의 라벨의 융착을 강고하게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인몰드성형용 라벨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인몰드성형용 라벨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인몰드성형용 라벨의 구조):
본 발명의 인몰드성형용 라벨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중공 성형용 라벨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면 중, 1 은 인몰드성형용 라벨, 2 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 기재층 (Ⅰ), 3 은 인쇄, 4 는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이다.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은, 필요에 따라 표면에 엠보스가공을 실시하고, 그로 인해 라벨이 부착된 용기의 라벨의 블리스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8431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260689호 참조).
도 2 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 기재층 (Ⅰ) 으로 표면층 (B), 코어층 (A), 이면층 (C) 을 갖는 것을 사용하고, 열융착층에 엠보스를 실시한 다른 양태의 인몰드성형용 라벨의 단면 부분확대도이다.
(기재층 (Ⅰ)):
인몰드성형용 라벨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 기재층 (Ⅰ) 의 소재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에틸렌계 수지, 또는 프로필렌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틸-1-벤텐, 에틸렌-고리형올레핀공중합체,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10, 나일론-6,12, 나일론-6, T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지방족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신디옥타틱폴리스티렌 (syndiotactic polystyrene), 폴리페닐렌술피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은 135 내지 280℃ 의 범위이며, 이들 수지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열가소성 수지 필름 기재층 (Ⅰ) 을 구성하는 주성분의 열가소성 수지가,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융점보다 15℃ 이상 높은 융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중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중에서도, 프로필렌계 수지가, 내약품성, 비용면 등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로필렌계 수지로는, 아이소택틱 내지는 신디오택틱 및 다양한 입체규칙성을 나타내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며,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것과, 에틸렌, 부텐-1, 헥센-1, 헵텐-1, 4-메틸벤텐-1 등의 α- 올레핀과의 공중합체가 사용된다. 이 공중합체는, 2 원계이어도 3 원계이어도 4 원계이어도 되고,또 랜덤공중합체이어도 블록공중합체이어도 된다.
무기 미세분말을 첨가할 경우는, 입경이 통상 0.01 내지 15 ㎛,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 인 것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중질탄산칼슘, 경질탄산칼슘, 소성점토, 실리카, 규조토, 탈크, 산화티탄, 황산바륨, 알루미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필러를 첨가할 경우는, 주성분인 열가소성 수지와는 상이한 종류의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인 경우에는, 유기 필러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T, 고리형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중합체이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융점보다도 높은 융점 (예컨대 170 내지 300℃) 내지 유리전이온도 (예컨대 170 내지 280℃) 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안정제를 첨가할 경우는, 통상 0.001 내지 1중량% 의 범위내에서 첨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입체장해페놀계, 인계, 아민계의 안정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안정제를 첨가할 경우는, 통상 0.001 내지 1중량% 의 범위내에서 첨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입체장해아민계,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의 광안정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분산제 또는 윤활제는, 예컨대 무기 미세분말을 분산시킬 목적으로 사용한다. 사용량은 통상 0.01 내지 4중량% 의 범위내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실란 커플링제, 올레산 또는 스테아르산 등의 고급지방산, 금속비누, 폴리아크릴산,폴리메타크릴산 및 이들 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성형방법은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공지의 방법중에서 적당하게 선택하여 성형할 수 있다. 예컨대, 스크루형 압출기에 접속된 단층 또는 다층의 T 다이 및 I 다이를 사용하여 용융수지를 시트형으로 압출하는 캐스트성형, 캘린더성형, 압연성형, 인플레이션성형, 열가소성 수지와 유기 용매나 오일과의 혼합물을 캐스트성형 또는 캘린더성형한 후에 용매나 오일을 제거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성형할 수 있다.
지지체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연신한 것일 수도 있다. 연신은 통상 사용되고 있는 각종 방법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연신의 온도는, 비결정수지의 경우는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전이점온도 이상, 결정성 수지의 경우에는 비결정부분의 유리전이점온도 이상 ∼ 결정부의 융점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에 적합한 공지의 온도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신온도는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보다 2 ∼ 60℃ 낮은 온도가 바람직하고, 수지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융점 155 ∼ 167℃) 일 때는 140 ∼ 164℃, 고밀도 폴리에틸렌 (융점 121 ∼ 134℃) 일 때는 110 ∼ 12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융점 246 ∼ 252℃) 일 때는 104 ∼ 115℃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연신속도는 20 ∼ 350 m/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방법으로는, 롤군의 원주속차를 이용한 종연신, 텐터오븐 (tenter oven) 을 사용한 횡연신, 압연, 텐터오븐과 리니어모터의 조합에 의한 동시이축연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연신배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한다.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로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내지는 그 공중합체를 사용할 때는, 일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우는 약 1.2 ∼ 12 배, 바람직하게는 2 ∼ 10 배이고, 이축연신의 경우는 면적배율로 1.5 ∼ 60 배, 바람직하게는 10 ∼ 50 배이다. 기타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때는, 일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우는 1.2 ∼ 10 배, 바람직하게는 2 ∼ 5 배이고, 이축연신의 경우에는 면적배율로 1.5 ∼ 20 배, 바람직하게는 4 ∼ 12 배이다.
이들 중에서도 인쇄성, 라벨의 금형내로의 공급성, 열수축방지성 등의 면에서, 기재층 (I) 으로는 무기 미세분말을 5 ∼ 30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3 ∼ 20중량% 및 프로필렌계 수지를 92 ∼ 50중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의 이축연신 필름코어층 (A) 의 한면에, 무기 미세분말을 35 ∼ 65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0 ∼ 10중량% 및 프로필렌계 수지를 55 ∼ 35중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의 일축연신 필름의 표면층 (B) 을, 이 표면층 (B) 과는 반대의 코어층 (A) 의 한면에 무기 미세분말을 35 ∼ 65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0 ∼ 10중량% 및 프로필렌계 수지를 55 ∼ 35중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의 일축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이면층 (C) 이 부착된 미다공성 수지 연신필름 (도 2 참조) 이 바람직하다.
또, 기재층 (I) 의 밀도 조정을 위해, 상기 코어층 (A) 과 표면층 (B) 의 사이에 밀도 조정용 층을 형성한 다음과 같은 기재층 필름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무기 미세분말을 5 ∼ 30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3 ∼ 20중량%및 프로필렌계 수지를 92 ∼ 50중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의 이축연신 필름 코어층 (A) 의 한면에, 무기 미세분말을 35 ∼ 65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0 ∼ 10중량% 및 프로필렌계 수지를 55 ∼ 35중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의 일축연신 필름의 이면층 (C) 을, 이 이면층 (C) 과는 반대의 코어층 (A) 의 한면에 무기 미세분말을 35 ∼ 65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를 0 ∼ 10중량% 및 프로필렌계 수지를 55 ∼ 35중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의 일축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D) 과, 무기 미세분말을 35 ∼ 65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0 ∼ 10중량% 및 프로필렌계 수지를 55 ∼ 35중량% 의 비율로 함유하고, 또 중간층 (D) 과는 무기 미세분말의 함유율이 상이한 수지조성물의 일축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 (B) 이 부착된 미다공성 수지 연신필름이다. 이들 미다공성 수지 연신필름 (I) 에서는, 인쇄는 표면층 (B) 측에 형성하고,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은 이면층 (C) 측에 형성된다.
또, 인쇄방식이 그라비어 인쇄 및, 레터프레스 인쇄, 플렉소 인쇄 등과 같은 경우에는 무기 또는 유기 미세분말을 5 ∼ 30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3 ∼ 20중량% 및 프로필렌계 수지를 92 ∼ 50중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의 미다공성 이축연신 필름 기재층 (I) 의 한면에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을 적층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미다공성 수지 연신필름은, 다음식으로 나타내는 공공율 (空孔率) 이 5 ∼ 60%, 바람직하게는 8 ∼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40% 이다. 5% 미만에서는 경량화가 측정도되기 어렵고, 6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라벨로서의 강도에난점이 발생되기 쉽다.
공공율 (%) = (( ρ0- ρ) / ρ0) ×100
ρ0: 연신 전의 수지필름의 밀도
ρ: 연신 후의 수지필름의 밀도
미다공성 수지 연신필름의 밀도는 0.65 ~ 1.02 g/㎤ 의 범위이다.
기재층 (Ⅰ) 의 두께는 20 ~ 200 ㎛, 바람직하게는 40 ~ 150 ㎛ 의 범위이다.
(열융착성 수지층 (Ⅱ)):
(1) 구성성분
① 폴리에틸렌계 수지
① 성분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로는, 밀도가 0.900 ~ 0.935 g/㎤ 인 저밀도 내지 중밀도의 고압법 폴리에틸렌, 밀도가 0.880 ~ 0.940 g/㎤ 인 직쇄선형 폴리에틸렌, 에틸렌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ㆍ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ㆍ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ㆍ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알킬기의 탄소수는 1 ~ 8), 에틸렌ㆍ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금속염 (Zn, Al, Li, K, Na 등)등의 융점이 80 ~ 130℃ 의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결정화도 (X 선법) 가 10 ~ 60%,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 40,000 의 고압법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선형 폴리에틸렌이 좋다. 그중에서도, 용기에 대한 접착성 면에서 에틸렌 40 ~ 98중량% 와, 탄소수가 3 ~ 30 인 α- 올레핀 60 ~ 2중량% 를, 메탈로센 촉매, 특히 메탈로센ㆍ알모크산 촉매 (metalloceneㆍalumoxane catalyst), 또는 예컨대 국제 공개 팜플렛 WO 92/01723 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메탈로센 화합물과, 메탈로센 화합물과 반응시켜 안정된 음이온을 형성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촉매를 사용하여, 공중합체화함으로써 얻어지는 직쇄선형 폴리에틸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단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이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융점은, 상기 기재층 (Ⅰ) 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보다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 90℃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융점의 차이가 15℃ 미만인 경우에는, 제조시의 시트롤 감기 중에 시트 표리면이 쉽게 융착되어 작업성이 나쁘다.
② 지방산아미드류
상기 수지성분중에 배합되는 지방산아미드로는, 하기에 나타낸 특정 지방산아미드를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고, 압출기 또는 니더 등에 의하여 혼합반죽하여 얻어지는 혼합물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방산아미드로는, 지방산아미드, 불포화 지방산아미드, 포화 지방산 치환 아미드, 불포화 지방산 치환 아미드, 포화 지방산 비스아미드, 불포화 지방산 비스아미드 등의, 분자량이 3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 ~ 1000 인 것이 사용된다. 분자량이 300 미만인 경우에는, 이 인몰드성형용 라벨의 제조시에서의 가열, 연신 시에 지방산아미드가 필름 표면에서 이탈되어 목적하는 슬라이딩성이나 블록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 분자량이 1000 을 초과하면, 지방산아미드가 표면에 프리드 아웃 되지 않아 목적하는 슬라이딩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 이들 지방산아미드의 융점은 60 ~ 16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60℃ 미만인 경우에는, 인몰드성형용 라벨 제조시에서의 가열, 연신 시에 지방산아미드가 필름 표면에서 이탈되어 목적하는 슬라이딩성 또는 블록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 160℃ 를 초과하면, 지방산아미드가 표면에 프리드 아웃되지 않아 목적하는 슬라이딩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지방산아미드류로는, 베헨산아미드, 메틸렌비스스테아르산아미드, 에틸렌비스라우르산아미드, 에틸렌비스스테아르산아미드, 에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에틸렌비스엘신산아미드, N-스테아릴에루크아미드, N-스테아릴올레일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지방산아미드류는, 열융착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 중에 바람직하게는 0.05 ~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5중량% 의 비율로 배합된다.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목적하는 슬라이딩성 또는 블록킹성이 부족하고, 또 너무 많으면 인몰드성형시의 블리스터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또한 병과의 밀착강도가 저하되어 상품가치가 없는 인몰드성형품으로 된다.
③ 미세분말
상기 수지성분중에 배합되는 미세분말로서는, 하기에 나타낸 유기 또는 무기의 미세분말을 단독으로 혹은 2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압출기나 니더 등에 의해 혼합반죽함으로써 얻어지는 혼합물이 사용된다.
(a) 유기 미세분말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배합되는 유기 미세분말로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립자,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립자, 가교 폴리스티렌 미립자, 실리콘수지 미립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립자, 실리콘수지 미립자가 폴리에틸렌계 수지와의 혼합반죽성이나 내열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b) 무기 미세분말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배합되는 무기 미세분말로서는, 중질탄산칼슘, 경질탄산칼슘, 점토,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소듐칼슘알루미노실리케이트, 실리카, 소다석탄유리, 탈크, 산화티탄, 황산바륨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열융착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소량의 배합으로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점에서 필러입경의 애스펙트비가 작은 구형 또는 입방체에 가까운 것이나 입도분포가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④ 임의성분
본 발명의 열융착성 수지층 (Ⅱ) 성분에는, 상기 열융착성 수지층의 요구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다른 수지용 첨가제를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서는 염료, 핵제, 가소제, 이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2) 두께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8 ㎛ 의 범위이다.
이 두께는, 중공성형시에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필름이 패리슨 등의 용융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의 열에 의해 용해되어 성형품의 용기와 라벨이 강고하게 융착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1 ㎛ 이상 필요하고, 또한 10 ㎛ 를 넘으면 라벨이 말려 오프셋인쇄가 어려워지거나 라벨을 금형에 고정하기가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들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두께와, 상기 미세분말의 입경 및 함유량이 목적으로 하는 라벨을 얻기 위해서는 중요하다. 즉, 미세분말의 입경이 열융착성 수지층의 두께보다 작으면, 미세분말이 층내부에 파묻혀서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슬라이딩성이나 블로킹 방지성이 발현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는 미세분말의 평균입경은 적어도 열융착성 수지층의 두께보다 클 필요가 있다.
또한, 미세분말의 입경의 상한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평균입경이 2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경이 20 ㎛ 를 넘으면 열융착성 수지층에서 탈락하기 쉽고, 입자 자체 혹은 이들이 응집되어 라벨인쇄의 외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이상과 같은 평균입경이 열융착성 수지층의 두께보다 큰 유기 또는 무기 미세분말의 함유량은 0.03 ∼ 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 10중량% 이다.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목적으로 하는 슬라이딩성, 블로킹 방지성이 발현되지 않고, 또한 너무 많으면 라벨의 열융착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라벨의 열융착성과 슬라이딩성, 블로킹 방지성을 균형있게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미세분말의 입도분포가 좁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벨의 열융착성 수지층에는 중공성형시의 블리스터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84319 호, 공개특허공보 평3-260689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엠보스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그 엠보스 모양은 예컨대 2.54 ㎝ 당 5 ∼ 25 선의 엠보스가공으로서, 이 엠보스가공의 골의 깊이가 1 ∼ 8 ㎛ (미크론) 이며 또한 열융착성 수지층의 두께의 1/3 이상이다. 엠보스가공은 사출성형용 라벨에는 필요가 없다.
이들 인몰드성형용 라벨은 필요하다면 코로나방전가공 등에 의해 기재층 (Ⅰ) 표면의 인쇄성을 개선해 둘 수 있다.
인쇄는 그라비어 인쇄, 오프셋 인쇄, 플렉소 인쇄, 스크린 인쇄 등의 인쇄를 실시하고 바코드, 제조원, 판매 회사명, 캐릭터, 상품명, 사용 방법 등이 인쇄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인쇄된 라벨 (1) 은 펀칭 가공에 의해 필요한 형상 치수의 라벨로 분리된다. 이 인몰드성형용 라벨은 용기 표면의 일부에 점착된 부분적인 것이라도 되지만, 통상은 컵형 용기의 측면을 둘러싼 블랭크로서 중공 성형에서는 병형 용기의 표면측 및/또는 이면측에 점착되는 라벨로서 제조된다.
(인몰드성형)
이 인몰드성형용 라벨은 상기 라벨을 차압 성형 금형의 하부 암금형 (female metal mold) 의 캐비티 내에, 라벨의 인쇄측이 금형의 캐비티면에 접하도록 설치한 후, 금형 흡인에 의해 금형 내벽에 고정되고, 이어서 용기 성형 재료 수지 시트의용융물이 하부 암금형의 상방으로 유도되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차압 성형되고 라벨이 용기 외벽에 일체로 용착된 라벨이 부착된 용기가 성형된다.
차압 성형은 진공성형, 압축공기성형 모두 채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양자를 병용하고, 또한 플러그 어시스트를 이용한 차압 성형이 바람직하다. 또, 이 라벨은 용융 수지 패리슨을 압축공기에 의해 금형 내벽에 압착하는 중공 성형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라벨이 부착된 용기는 라벨 (1) 이 금형 내에서 고정된 후에 라벨과 수지 용기가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라벨 (1) 의 변형도 없으며 용기 본체와 라벨 (1) 의 밀착 강도가 강고하여 블리스터도 없이 라벨에 의해 가식된 외관이 양호한 용기가 된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Ⅰ] 물성의 측정 방법과 평가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물성의 측정과 평가는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따라서 실시한다.
(1) 물성의 측정 :
(a) MFR : JIS-K-7210 에 준거
(b) 밀도 : JIS-K-7112 에 준거
(c) 마찰계수 : JIS-K-7125 에 준거하여 인쇄를 실시하기 전의 표면층 (B) 과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마찰계수 (정마찰계수, 동마찰계수) 를 측정한다.
(2) 인몰드성형 :
(d) 라벨의 금형 내로의 삽입 적성
가로 60 mm, 세로 110 mm 의 치수로 펀칭 가공한 라벨을 라벨 매거진에 세트하여 30℃, 상대 습도 50% 의 환경 하, 펜테르 (주) 제조의 자동 라벨 공급 장치로 100 장 연속하여 플로 성형용 분할형으로 공급을 실시하고, 성형을 실시하였을 때의 미스 (2 장 삽입이나 금형에서 라벨이 낙하하는 것, 또는 소정의 위치에 라벨이 융착하지 않는 것) 의 회수를 계측한다.
O : 1 회도 미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 : 1 ∼ 5 장 미스가 발생한다.
× : 6 장 이상 미스가 발생한다.
(e) 라벨의 용기로의 융착 강도 :
용기에 점착된 라벨을 15 mm 폭으로 잘라내어 라벨과 용기 사이의 접착 강도를 시마즈 세이사꾸쇼 제조의 인장 시험기 「오토그래프 AGS-D 형」 를 사용하여 30 mm/분 의 인장 속도로 T 자 박리시킴으로써 구한다.
라벨 사용상의 판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400 (g/15 mm) 이상 : 실용상 전혀 문제가 없다.
200 ∼ 400 (g/15 mm) : 조금 점착성이 약하지만 실용상 문제가 없다.
200 (g/15 mm) 이하 : 실용상 문제이다.
(3) 오프셋 인쇄에서의 급지성
미쯔비시 쥬고오 (주) 제조 다이어-Ⅱ 형 인쇄기를 사용하여 국반절판 (636 mm ∼ 470 mm) 의 종이 사이즈로 7000 장/시 의 속도로 1000 장 연속 인쇄한다.이 때에 시트 공급 장치에서의 트러블 (2 장 삽입이나 종이 어긋남) 에 의해 기계가 정지한 회수를 이하의 기준에 의해 판단한다.
O : 1 회도 기계가 정지하지 않는다.
△ : 1 ∼ 3 회 기계가 정지한다.
× : 4 회 이상 기계가 정지한다.
라벨의 제조예
(실시예 1)
(1) 닛뽕 폴리켐 (주) 제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인 "노바테크 PP, MA-8" (상품명, 융점 164℃) 67 중량부, 닛뽕 폴리켐 (주) 제조 고밀도 폴리에틸렌 "노바테크 HD, HJ580" (상품명, 융점 134℃, 밀도 0.960 g/㎤) 10 중량부 및 입경 1.5 ㎛ 의 탄산칼슘 분말 2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수지조성물 (A) 을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혼합반죽한 후, 다이로부터 250℃ 의 온도로 시트형으로 압출하여 약 50℃ 의 온도가 될 때까지 이 시트를 냉각한다.
이어서, 이 시트를 약 153℃ 로 가열한 후 롤군의 원주속도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4 배 연신하고 일축 연신 필름을 얻는다.
(2) 별도로, 닛뽕 폴리켐 (주) 제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노바테크 PP, MA-3" (상품명, 융점 165℃) 51.5 중량부, 밀도 0.950 g/㎤ 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HJ580" 3.5 중량부, 입경 1.5 ㎛ 의 탄산칼슘 분말 42 중량부, 입경 0.8 ㎛ 의 산화티탄 분말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B) 을 다른 압출기를 이용하여 240℃ 로 용융 혼합반죽하고, 이것을 상기 수직 연신 필름의 표면에 다이로부터 필름형으로 압출하여 적층 (B/A) 하고 표면층/코어층의 적층체를 얻는다.
(3)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에틸렌과 1-헥센을 공중합시켜 얻은 MFR 이 18 g/10 분, 밀도가 0.898 g/㎤ 인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1-헥센 함량 22중량%, 결정화도 30, 수평균 분자량 23,000, 융점 90℃) 80 중량부, MFR 이 4 g/10 분, 밀도가 0.92 g/㎤ 인 고압법저밀도 폴리에틸렌 19 중량부, 에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1 중량부를 이축 압출기를 이용해 200℃ 에서 용융 혼합반죽하여 다이로부터 스트랜드형으로 압출하고 커팅하여 열융착성 수지층용 팰릿 (Ⅱ) 을 얻는다.
(4)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MA-3" 51.5 중량부, 고밀도 폴리에틸렌 "HJ580" 3.5 중량부, 입경 1.5 ㎛ 인 탄산칼슘 분말 42 중량부 및 입경 0.8 ㎛ 인 산화티탄 분말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C) 과, 상기 열융착성 수지층용 팰릿 (Ⅱ) 을 각각 다른 압출기를 이용하여 230℃ 에서 용융 혼합반죽하고 한 대의 공압출 다이에 공급하여 그 다이 내에서 적층한 후, 이 적층물을 다이로부터 230℃ 에서 필름형으로 압출하여 상기 표면층/코어층용 적층체 (B/A) 의 A 층측에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이 외측이 되도록 압출하여 이것을 적층한다.
이 4 층 필름 (B/A/C/Ⅱ) 을 텐터오븐에 넣어 155℃ 로 가열한 후 텐터를 이용하여 횡방향으로 7 배 연신하고, 이어서 164℃ 에서 열 세트한 다음, 다시 표면층 (B 층) 측에 70 W/㎡/분의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한 후, 55℃ 까지 냉각하고 트리밍 가공하여 밀도 0.790 g/㎤, 두께가 100 ㎛ (B/A/C/Ⅱ = 30/40/25/5 ㎛) 인 4 층 구조의 미다공성 수지 연신 필름을 얻는다.
이 4 층 구조의 적층 연신 수지 필름의 표면층 (B) 측에 27℃, 상대습도 60% 인 환경으로 옵셋 인쇄를 한다. 이렇게 하여 얻은 인몰드성형용 라벨용지는 종이 분리나 슬라이딩성이 양호하며 정전기의 발생도 적고 인쇄의 급배지가 원활하며 도중에 정지하는 일도 없었다.
이어서, 이것을 재단 및 펀칭 가공하여 인몰드성형용 라벨 (1 ; 가로 60 ㎜, 세로 110 ㎜) 을 얻는다.
이들 인몰드성형용 라벨 (1) 을 30℃, 상대습도 50% 의 환경으로 100 장 겹쳐 자동 라벨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블로우 성형용 분할형의 한 쪽에 진공을 이용하여 인쇄면측이 금형과 접하도록 고정한 후, 고밀도 폴리에틸렌 (융점 134℃) 의 패리슨을 200℃ 에서 용융압출하고 이어서 분할형을 서로 맞춘 후 4.2 ㎏/㎠ 의 압축공기를 패리슨 내에 공급하여 패리슨을 팽창시켜 형에 밀착시키고 용기형으로 한다. 동시에 인몰드용 라벨과 융착시키고, 이어서 그 형을 냉각한 후 형을 열어 라벨이 부착된 중공용기를 꺼낸다. 이 때 라벨의 금형 내로의 삽입적성, 블리스터 발생 유무, 라벨의 밀착강도를 표 1 에 나타낸다.
이 라벨 부착 중공용기는 인쇄의 퇴색도 없고 라벨의 위치 어긋남이나 블리스터 발생도 없다. 용기와 라벨의 융착강도는 590 g/15 ㎜ 폭이다. 이것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1) 닛뽕 폴리켐 (주) 제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인 "노바테크 PP, MA-8" (상품명, 융점 164℃) 67 중량부, 닛뽕 폴리켐 (주) 제조, 고밀도 폴리에틸렌 "노바테크 HD, HJ580" (상품명, 융점 134℃, 밀도 0.960 g/㎤) 10 중량부 및 입경 1.5 ㎛ 의 탄산칼슘분말 2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수지조성물 (A) 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혼합반죽한 후, 다이로부터 250℃ 의 온도에서 시트형으로 압출하고, 약 50℃ 의 온도가 될때까지 이 시트를 냉각한다.
이어서, 이 시트를 약 153℃ 로 가열한 후, 롤 군의 원주속도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4 배 연신하여 일축 연신필름을 얻는다.
(2) 이 일축 연신필름의 한면에 상기 (3) 에서 얻어진 열융착성 수지팰릿 (Ⅱ) 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200℃ 에서 용융혼합반죽하고, 다이로부터 필름형으로 압출하여 적층 (A/Ⅱ) 한다.
(3) 이 이층필름 (A/Ⅱ) 을 텐터오븐에 안내하고, 153℃ 로 가열한 후 텐터를 사용하여 횡방향으로 7 배로 연신하고, 이어서 160℃ 에서 열세트하고, 추가로 인쇄면 (A 층) 측에 70 W/㎠/분의 코로나방전처리를 한 후, 55℃ 까지 냉각하고, 트리밍 가공하여 밀도 0.720 g/㎤, 두께가 100 ㎛ (A/Ⅱ = 95/5 ㎛) 의 이층구조의 미다공성 수지 연신필름을 얻는다. 이것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 실시예 8, 비교예 1 ∼ 비교예 4)
실시예 1 에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배합을 표 1 에 기재한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인몰드성형용 라벨을 얻는다. 이것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9)
(1) 닛뽕 폴리켐 (주) 제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인 "노바테크 PP, MA-8" (상품명, 융점 164℃) 67 중량부, 닛뽕 폴리켐 (주) 제조 고밀도 폴리에틸렌 "노바테크 HD, HJ580" (상품명, 융점 134℃, 밀도 0.960 g/㎤) 10 중량부 및 입경 1.5 ㎛ 의 탄산칼슘분말 2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수지조성물 (A) 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혼합반죽한 후, 다이로부터 250℃ 의 온도에서 시트형으로 압출하고, 약 50℃ 의 온도가 될때까지 이 시트를 냉각한다.
이어서, 이 시트를 약 153℃ 로 가열한 후, 롤 군의 원주속도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4 배 연신하여 일축 연신필름을 얻는다.
(2) 따로, 닛뽕 폴리켐 (주) 제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노바테크 PP, MA-3" (상품명 ; 융점 165℃) 51.5 중량부, 밀도 0.950 g/㎤ 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HJ580" 3.5 중량부, 입경 1.5 ㎛ 의 탄산칼슘분말 42 중량부, 입경 0.8 ㎛ 의 산화티탄분말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B) 을 다른 압출기를 사용하여 240℃ 에서 용융혼합반죽하고, 이것을 상기 종연신 필름의 표면에 다이로부터 필름형으로 압출하고, 적층 (B/A) 하여 표면층/코어층의 적층체를 얻는다.
(3)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1-헥센을 공중합시켜 얻은 MFR 이 18 g/10 분, 밀도가 0.898 g/㎤ 인 에틸렌ㆍ1-헥센 공중합체 (1-헥센함량 22중량%, 결정화도 30, 수평균분자량 23,000, 융점 90℃) 80 중량부와, MFR 이 4 g/10 분, 밀도가 0.92 g/㎤ 의 고압법저밀도 폴리에틸렌 19 중량부와, (주) 닛뽕 쇼꾸바이 제조의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립자 "에포스타 MA1010" (평균입경 10 ㎛)1 중량부를 이축 압출기에 의해 200℃ 에서 용융혼합반죽하고, 다이로부터 스트랜드형으로 압출하고 커팅하여 열융착성 수지층용 팰릿 (Ⅱ) 을 얻었다.
(4)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MA-3" 51.5 중량부, 고밀도 폴리에틸렌 "HJ580" 3.5 중량부, 입경 1.5 ㎛ 의 탄산칼슘분말 42 중량부 및 입경 0.8 ㎛ 의 산화티탄분말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C) 과, 상기 열융착성 수지층용 팰릿 (Ⅱ) 을 각각 다른 압출기를 사용하여 230℃ 에서 용융 혼합반죽하고, 한 대의 공용 압출 다이에 공급하여 이 다이 안에서 적층한 후, 이 적층물을 다이에서 230℃ 에서 필름형상으로 압출하여 상기 표면층/코어층용 적층체 (B/A) 의 A 층측에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이 바깥쪽이 되도록 압출하고 이것을 적층한다.
상기 4 층 필름 (B/A/C/Ⅱ) 을 텐터오븐에 유도하고, 155℃ 로 가열한 후 텐터를 사용하여 횡방향으로 7 배 연신하고, 이어서 164℃ 에서 열세팅하고, 추가로 표면층 (B 층) 측에 70 W / ㎡ / 분의 코로나 방전처리를 한 후, 55℃ 까지 냉각시키고, 트리밍 가공하여 밀도 0.790 g/㎤, 두께가 100 ㎛ (B/A/C/Ⅱ = 30/40/25/5 ㎛) 의 4 층 구조의 미다공성 수지 연신필름을 얻는다.
상기 4 층 구조의 적층연신수지필름의 표면층 (B) 측에 27℃, 상대습도 60% 의 환경에서 옵셋인쇄를 실시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인몰드성형용 라벨용지는 용지 떨어짐이나 슬라이딩성이 양호하고, 정전기의 발생도 적어 인쇄의 급배지가 원활하여 도중에서 정지하는 경우도 없다.
이어서, 이것을 단재 및 펀칭 가공하여 인몰드성형용 라벨 (1) (가로 60 ㎜, 세로 110 ㎜) 을 얻는다.
이들 인몰드성형용 라벨 (1) 을 30℃, 상대습도 50% 의 환경에서 100 장 쌓고, 자동라벨공급장치를 사용하여 블로성형용 분할형의 일방에 진공을 이용하여 인쇄면측이 금형과 접하도록 고정시킨 후, 고밀도 폴리에틸렌 (융점 134℃) 의 패리슨을 200℃ 에서 용융압출하고, 이어서 분할형을 형체한 후, 4.2 ㎏/㎠ 의 압축공기를 패리슨내에 공급하여 패리슨을 팽창시켜 형에 밀착시켜 용기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인몰드용 라벨과 융착시키고, 이어서 이 형을 냉각시킨 후, 형을 열어 라벨이 접착된 중공용기를 꺼낸다. 이 때의 라벨의 금형 안으로의 삽입적성, 블리스터의 발생유무, 라벨의 밀착강도를 표 2 에 나타낸다.
상기 라벨 부착 중공용기는 인쇄의 퇴색도 없으며, 라벨의 위치 어긋남이나 블리스터의 발생도 관찰되지 않는다. 용기와 라벨의 융착강도는 740 g / 15 ㎜ 폭이다. 이 것의 평가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비교예 5, 6)
실시예 9 에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고압법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포스타 MA1010”의 조성을 표 2 에 기재된 함유량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몰드성형용 라벨을 얻는다. 이 것의 평가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실시예 9 에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조성을 표 2 에 기재된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몰드성형용 라벨을 얻는다. 이것의 평가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실시예 9 에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유기 미세분말로서 (주) 닛뽕 쇼꾸바이 제조의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립자 “에포스타 MA1013”(평균입경 13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몰드성형용 라벨을 얻는다. 이것의 평가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실시예 9 에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유기 미세분말로서 (주) 네가미고오교 (주) 제조의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립자 “아트펄 G400”(평균입경 10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몰드성형용 라벨을 얻는다. 이것의 평가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실시예 9 에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유기 미세분말로서 (주) 도시바 실리콘 (주) 제조의 실리콘 수지 미립자 “토스펄 3120”(평균입경 12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몰드성형용 라벨을 얻는다. 이것의 평가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실시예 9 에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유기 미세분말로서 소오껭가카꾸 (주) 제조의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립자 “MX-1000”(평균입경 10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몰드성형용 라벨을 얻는다. 이것의 평가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7)
실시예 9 에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유기 미세분말로서 네가미 고오교 (주) 제조의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립자 "아트펄 F-4P" (평균입경 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몰드성형용 라벨을 얻는다. 이것의 평가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8)
실시예 9 에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유기 미세분말로서 도시바 실리콘 (주) 제조의 실리콘 수지 미립자 "토스펄 145" (평균입경 4.5㎛)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몰드성형용 라벨을 얻는다. 이것의 평가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6)
실시예 9 에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고압법저밀도 폴리에틸렌을 18 중량부, 무기 미세분말로서 마루오 칼슘 (주) 제조의 중질탄산칼슘 분말 "수퍼S" (평균입경 7㎛) 2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몰드성형용 라벨을 얻는다. 이것의 평가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실시예 16 에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고압법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수퍼S" 의 조성을 표 2 에 기재된 함유량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몰드성형용 라벨을 얻는다. 이것의 평가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8)
실시예 16 에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무기 미세분말로서 미즈자와 가가꾸 고오교 (주) 제조의 소듐칼슘알루미노실리케이트 미립자 "실톤 JC-70" (평균입경 7㎛)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몰드성형용 라벨을 얻는다. 이것의 평가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9)
실시예 16 에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무기 미세분말로서 미즈자와 가가꾸 고오교 (주) 제조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미립자 "실톤 AMT-100" (평균입경 7㎛)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몰드성형용 라벨을 얻는다. 이것의 평가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9)
실시예 16 에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무기 미세분말로서 마루오 칼슘 (주) 제조의 중질탄산칼슘 분말 "수퍼#1500" (평균입경 2㎛)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몰드성형용 라벨을 얻는다. 이것의 평가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본 발명은, 라벨을 미리 금형내에 그 라벨이 인쇄되어 있는 표면측이 금형벽면에 접하도록 세팅하여, 금형내에 용융한 열가소성 수지의 패리슨을 유도하여 중공성형하고, 또는 용융한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진공성형 또는 압축공기성형하여 라벨이 부착된 용기를 제조하는 인몰드성형에 사용하는 라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몰드성형용 라벨은 인쇄 가공할 때 급배지성이나 단재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우수하여 인몰드성형시 금형으로의 삽입이 쉽고 블리스터 발생이 없으며 용기와 라벨의 융착력이 높은 라벨이 부착된 용기를 부여한다.

Claims (8)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기재층 (I) 의 이면에,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을 형성한 인몰드성형용 라벨로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이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i) 분자량이 300 이상인 지방산 아미드류 및 (ii)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두께보다 평균입경이 큰 유기 또는 무기 미세분말의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인몰드성형용 라벨.
  2. 제 1 항에 있어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이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대해서 분자량이 300 이상이고 융점이 100℃ 이상인 지방산 아미드류를 0.1 ∼ 5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성형용 라벨.
  3. 제 1 항에 있어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이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대해서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의 두께보다 평균입경이 큰 유기 또는 무기 미세분말을 0.05 ∼ 1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성형용 라벨.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필름 기재층 (I) 표면에 인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성형용 라벨.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필름 기재층 (I) 이 무기 미세분말을 함유한 미세다공성 수지 연신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인몰드성형용 라벨.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필름 기재층 (Ⅰ) 을 구성하는 주성분의 열가소성 수지가,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융점보다 15℃ 이상 높은 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성형용 라벨.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결정화도 10 ∼ 60%,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 40,000, 융점이 80 ∼ 1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성형용 라벨.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필름 기재층 (I) 이 무기 미세분말을 2 ∼ 30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3 ∼ 20중량% 및 프로필렌계 수지를 95 ∼ 50중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의 이축연신필름 기재층 (A) 의 한면에, 무기 미세분말을 35 ∼ 65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0 ∼ 10중량% 및 프로필렌계 수지를 55 ∼ 35중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의 일축연신필름의 종이형 층 (B) 이 점착되고, 이 종이형 층 (B) 과는 반대인 기재층 (A) 의 한면에는 무기 미세분말을 35 ∼ 65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0 ∼ 10중량% 및 프로필렌계 수지를 55 ∼ 35중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의 일축연신필름의 종이형 층 (C) 이 점착된 미세다공성 적층수지필름으로, 종이형 층 (B) 측에 인쇄가되어 열융착성 수지층 (Ⅱ) 이 종이형 층 (C)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성형용 라벨.
KR1020017004720A 1998-10-15 1999-10-13 인몰드성형용 라벨 KR100648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293129 1998-10-15
JP29312998 1998-10-15
JP31742298 1998-11-09
JP1998-317422 1998-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922A true KR20010085922A (ko) 2001-09-07
KR100648026B1 KR100648026B1 (ko) 2006-11-23

Family

ID=2655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720A KR100648026B1 (ko) 1998-10-15 1999-10-13 인몰드성형용 라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20473B2 (ko)
EP (1) EP1122704A4 (ko)
JP (1) JP5043177B2 (ko)
KR (1) KR100648026B1 (ko)
TW (1) TW491766B (ko)
WO (1) WO20000226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7435A (ko) * 2015-02-16 2017-10-23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인몰드 성형용 라벨 그리고 라벨이 부착된 플라스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592301A (en) * 2000-07-24 2002-01-31 Yupo Corporation Label for in-mold decorating and labeled resin molded article
DE20014501U1 (de) * 2000-08-22 2002-01-17 Pacimex Verpackungen Gmbh Informationsträger
KR100858041B1 (ko) * 2000-10-03 2008-09-10 오지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성형가공 원지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성형가공된 종이용기
JP4822589B2 (ja) * 2000-12-26 2011-11-24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
CN1181360C (zh) * 2000-12-28 2004-12-22 王子油化合成纸株式会社 光半透过反射体
US6758000B2 (en) 2001-01-10 2004-07-06 Avery Dennison Corporation Livestock security tag assembly
JP4963756B2 (ja) 2001-02-09 2012-06-27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ボイド含有熱可塑性樹脂延伸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369220A4 (en) * 2001-02-22 2004-04-21 Yupo Corp TOOL MANUFACTURING LABEL
US7128970B2 (en) * 2001-05-22 2006-10-31 Michael J. Stevenson Graphics transfers for use in rotational molding
US6773653B2 (en) 2001-10-05 2004-08-10 Avery Dennison Corporation In-mold labeling method
AU2003208103A1 (en) * 2002-02-04 2003-09-02 Yupo Corporation Label for in-mold molding
US6716501B2 (en) 2002-07-18 2004-04-06 Avery Dennison Corporation Multilayered film
US7399509B2 (en) * 2003-12-23 2008-07-15 Kari Virtanen Thin polyethylene pressure sensitive labels
WO2005114620A1 (ja) * 2004-05-21 2005-12-01 Yupo Corporation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およびラベル付き樹脂成形品
WO2006029295A1 (en) * 2004-09-09 2006-03-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jectable moldable thermoplastic compositions
JP4565939B2 (ja) * 2004-09-10 2010-10-20 ロンシール工業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多層シート及び成型品
US20060068183A1 (en) * 2004-09-29 2006-03-30 Curwood, Inc. Packaging laminates containing anti-block particles
US20080280111A1 (en) * 2004-11-10 2008-11-13 Avery Dennison Corporation In-Mold Labels and Uses Thereof
US8182902B2 (en) * 2004-11-18 2012-05-22 Yupo Corporation Labeled in-mold shaped article, and in-mold label
EP1865482A4 (en) * 2005-03-30 2012-03-07 Yupo Corp MOLDING LABEL IN MOLD AND MOLDING PRODUCT USING SAME
CA2649258C (en) * 2006-04-19 2015-05-26 Toray Industries, Inc.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molded part
US8263213B2 (en) * 2006-12-19 2012-09-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ainted composite thermoplastic articles
US20080176079A1 (en) * 2006-12-19 2008-07-24 Elia Andri E Process for coating vehicle exterior parts made from thermoplastic composite articles
US20080176090A1 (en) * 2006-12-19 2008-07-24 Elia Andri E Composite thermoplastic articles
US20080220224A1 (en) * 2007-03-06 2008-09-11 Naoki Tokumoto Decorative Material
EP2181843A1 (en) * 2008-10-30 2010-05-05 Taghleef Industries SPA Multilayered film and in-mold label obtained from said film
KR101394622B1 (ko) * 2009-04-06 2014-05-2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물성과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다층 미세다공막
US20110113732A1 (en) * 2009-11-13 2011-05-19 The Coca-Cola Company Method of isolating column loading and mitigating deformation of shaped metal vessels
JP5790095B2 (ja) 2011-04-01 2015-10-07 ソニー株式会社 薄膜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4077956B (zh) * 2013-03-28 2017-05-17 优泊公司 模内成型用标签及使用其的带标签的塑料容器
ITMO20130338A1 (it) * 2013-12-12 2015-06-13 Isi Plast S P A Procedimento e macchina per il riconoscimento di etichette
CN105102224B (zh) * 2014-03-03 2017-08-29 优泊公司 薄膜及带标签塑料容器
EP3151218B1 (en) 2014-05-29 2019-02-20 Yupo Corporation Label, method for manufacturing label, method for using label, and body with label
JP5753937B1 (ja) * 2014-11-28 2015-07-22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インモールドラベル及びラベル付きプラスチック容器
WO2018005512A1 (en) 2016-06-28 2018-01-04 Yupo Corporation Labeled molded container having light contrast at three-dimensional end portion
CN107103836A (zh) * 2017-07-04 2017-08-29 东莞市安德标签材料有限公司 模内标签材料及其应用方法
WO2019189782A1 (ja) * 2018-03-30 2019-10-03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積層体、インモールドラベル、ラベル付き成形体、ロール状インモールドラベルおよびインモールドラベル積み上げ物
KR102110900B1 (ko) 2018-04-13 2020-05-15 주재근 재활용성이 개선된 인몰드 라벨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123298B1 (ko) 2018-05-14 2020-06-17 주재근 인몰드 라벨지용 접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인몰드 라벨지
WO2021193861A1 (ja) * 2020-03-27 2021-09-30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感熱ラベル及び感熱ラベルの製造方法
AU2022201184A1 (en) 2021-02-23 2022-09-08 Taghleef Industries Inc. Multilayer Film with Increased Surface Roughnes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40794B1 (ko) * 1968-03-26 1971-12-02
NZ213356A (en) * 1984-11-14 1989-01-06 Mobil Oil Corp Oriented multi-layer film containing polyprolylene
JPS62164777A (ja) * 1986-01-14 1987-07-21 Mitsubishi Paper Mills Ltd 感熱性粘着組成物
US4758462A (en) * 1986-08-29 1988-07-19 Mobil Oil Corporation Opaque film composites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CA1340219C (en) * 1988-04-06 1998-12-15 Tadahiko Katsura Labelled vessel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JPH0429184A (ja) * 1990-05-24 1992-01-31 Oji Yuka Synthetic Paper Co Ltd ラベル
US5049436A (en) * 1990-06-11 1991-09-17 Mobil Oil Corporation Broad sealing multi-layered opp films which yield hermetic seals
JP3145132B2 (ja) * 1991-02-04 2001-03-12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滑り性の良好なインモールド用ラベル
JP3230698B2 (ja) * 1992-09-25 2001-11-19 東洋紡績株式会社 半調印刷性包装材料
DE4306153A1 (de) * 1993-02-27 1994-09-01 Hoechst Ag Siegelfähige orientierte Polyolefin-Mehrschicht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3920373B2 (ja) * 1996-02-02 2007-05-30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
JPH09221644A (ja) * 1996-02-16 1997-08-26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ディレードタック型粘着シート
US5662985A (en) * 1996-05-21 1997-09-02 Mobil Oil Corporation Two-side coated label facestock
JPH1095448A (ja) * 1996-09-18 1998-04-1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キャリアテープ用蓋材
GB2321875A (en) * 1997-02-08 1998-08-12 Hoechst Trespaphan Gmbh Polymeric films having voided core layer
ATE315819T1 (de) * 1998-04-06 2006-02-15 Yupo Corp In eine form einzulegendes etikett
KR100547027B1 (ko) * 1998-09-22 2006-01-26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투명라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7435A (ko) * 2015-02-16 2017-10-23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인몰드 성형용 라벨 그리고 라벨이 부착된 플라스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20473B2 (en) 2003-09-16
KR100648026B1 (ko) 2006-11-23
EP1122704A1 (en) 2001-08-08
US20010028952A1 (en) 2001-10-11
JP2011081404A (ja) 2011-04-21
TW491766B (en) 2002-06-21
WO2000022601A1 (fr) 2000-04-20
EP1122704A4 (en) 2009-01-28
JP5043177B2 (ja)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8026B1 (ko) 인몰드성형용 라벨
JP4524043B2 (ja) ラベル
EP0960020B1 (en) In-mold labels and uses thereof
US8187692B2 (en) In-mold label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TWI681001B (zh) 熱塑性樹脂膜及其製造方法、模內成形用標籤與附設標籤的塑膠容器及其製造方法
JP4516214B2 (ja) 透明ラベル
US8920890B2 (en) Label for in-mold forming and resin container with the label
US7807243B2 (en) Label for in-mold forming having excellent delabeling property, and container with the label
WO2001098059A1 (fr) Etiquette pour decoration dans le moule et pieces moulees en resine enneigee comportant ladite etiquette
US8097338B2 (en) In-mold label, and labeled resin-labeled article
JP5492547B2 (ja) ラベル付き容器とその製造方法
JP2002036345A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および該ラベル付き樹脂成形品
US20070054091A1 (en) Label for in-mold molding and resin container decorated with the same
JP2001030342A (ja) ポリオレフィン製延伸ブロー成形用インモールドラベル及びそのラベルを熱融着させた成形体
JP2001353770A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および該ラベル付き樹脂成形品
WO2005120963A1 (ja) ラベル付き樹脂容器
JP3768447B2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
WO2022210896A1 (ja) 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7289011B2 (ja) 感熱ラベル及び感熱ラベ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