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298B1 - 인몰드 라벨지용 접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인몰드 라벨지 - Google Patents

인몰드 라벨지용 접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인몰드 라벨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298B1
KR102123298B1 KR1020180054651A KR20180054651A KR102123298B1 KR 102123298 B1 KR102123298 B1 KR 102123298B1 KR 1020180054651 A KR1020180054651 A KR 1020180054651A KR 20180054651 A KR20180054651 A KR 20180054651A KR 102123298 B1 KR102123298 B1 KR 102123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ld
adhesive layer
label paper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242A (ko
Inventor
주재근
Original Assignee
주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근 filed Critical 주재근
Priority to KR1020180054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29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4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a labe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력과 유연성이 뛰어나며 사용에도 용이한 인몰드 라벨지용 접착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용기를 인몰드 성형하는 과정에서 함께 부착되는 인몰드 라벨지에 사용되는 접착조성물로서, 폴리에스터 레진(Polyester Resins) 30~40 중량%;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 20~30 중량%; 톨루엔(Toluene) 20~30 중량%;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ster polyol) 5~10 중량%;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3~5 중량%; 폴리에틸렌 왁스(PolyEthylene Wax) 1~5 중량%; 및 실리카(SiO2) 0.1~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착조성물은, 접착력과 유연성이 뛰어나면서도 인몰드 공정 온도 미만에서는 고체 상태이기 때문에, 이형지를 부착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으며, 라벨지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일부분에만 접착층을 형성하여 접착면적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접착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라벨지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몰드 라벨지용 접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인몰드 라벨지{ADHESIVE COMPOSITION FOR IN-MOLD MOLDING LABEL AND IN-MOLD MOLDING LABEL}
본 발명은 플라스틱 용기의 표면에 부착되는 라벨지에 사용되는 접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인몰드 성형으로 부착되는 라벨지에 사용되는 접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산업용품 또는 생활용품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 용기는 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제작되며, 이러한 플라스틱 용기에는 내용물의 설명 및 광고 등의 목적으로 각종 라벨 등이 인쇄되어 점착되거나 감싸지는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용기에 직접 인쇄하는 실크 스크린 인쇄법의 경우, 인쇄 색상의 수 별로 추가 비용이 발생되므로 경제적인 면을 고려하여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여 제품 생산자가 표현하고 싶은 디자인을 다 표현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용기 표면에 라벨을 부착하는 경우, 인쇄된 라벨을 용기에 부착하기 위해 운송하거나 보관하는 과정에서 라벨끼리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형지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야 하고, 접착용기 성형공정 후에 라벨을 별도로 부착해야 하므로 용기 이동에 필요한 적재 공간과 운송비용이 추가될 뿐만 아니라, 라벨을 부착하는 비용이 추가로 발생되고, 용기에 접착되는 라벨의 가장자리에 때가 끼거나 라벨 부착이 완벽하지 못하여 유통 중에 라벨이 떨어지는 외관 품질상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최근에는 금형 내에 라벨지를 삽입하여 용기 성형과 동시에 라벨지를 부착하는 인몰드 라벨링(In-Mold Labelling) 성형 시스템이 개발되어 제품에 적용되고 있으나, 라벨지의 유연성과 열 부착성이 떨어져 성형시 라벨지 부착 불량이 다량 발생되고 있으며 성형조건이 맞지 않은 경우 라벨지가 완벽하게 부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4130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4802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착력과 유연성이 뛰어나며 사용에도 용이한 인몰드 라벨지용 접착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인몰드 라벨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인몰드 라벨지용 접착조성물은, 용기를 인몰드 성형하는 과정에서 함께 부착되는 인몰드 라벨지에 사용되는 접착조성물로서, 폴리에스터 레진(Polyester Resins) 30~40 중량%;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 20~30 중량%; 톨루엔(Toluene) 20~30 중량%;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ster polyol) 5~10 중량%;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3~5 중량%; 폴리에틸렌 왁스(PolyEthylene Wax) 1~5 중량%; 및 실리카(SiO2) 0.1~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인몰드 공정의 온도의 하한 값인 50℃ 미만의 온도 범위에서 점착특성이 없는 고체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착조성물은, 접착력과 유연성이 뛰어나면서도 인몰드 공정 온도 미만에서는 고체 상태이기 때문에, 이형지를 부착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인몰드 라벨지는, 용기를 인몰드 성형하는 과정에서 함께 부착되는 인몰드 라벨지로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인몰드 성형 온도 미만의 범위에서 점착성이 없는 고체 상태인 하부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접착층이 상기한 인몰드 라벨용 접착조성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기재층이 Co-PET 재질인 경우에, 접착조성물과 기재층의 접착성과 밀착성이 뛰어나서, 라벨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접착층만 용기에 잔류하는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하부접착층이 기재층의 전면에 형성되지 않고, 적어도 일부의 기재층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부접착층은 인몰드 성형 온도 미만의 범위에서 점착성이 없는 고체 상태이기 때문에, 기재층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일부분에만 하부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접착층의 면적, 즉 라벨지가 용기에 접착되는 면적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접착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라벨지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재층 끝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에 하부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아서 기재층이 노출된 분리 시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에서 도출되며 하부에 하부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한 인몰드 라벨지의 제조방법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접착층을 포함하는 인몰드 라벨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부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상기한 인몰드 라벨용 접착조성물을 도포한 뒤에 건조하여, 인몰드 성형 온도 미만의 범위에서 점착성이 없는 고체 상태인 하부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층의 하부에 본 발명의 인몰드 라벨용 접착조성물을 사용하여 하부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제외하고, 일반적인 라벨지 제조방법에서 적용되는 공정을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다.
하부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적어도 일부의 기재층이 노출되도록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적으로 인몰드 라벨용 접착조성물을 도포한 뒤에 건조하거나, 하부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을 부분에 마스크를 위치시킨 뒤에 인몰드 라벨용 접착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한 다음 마스크를 제거하는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기재층에서 도출되며 하부에 하부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손잡이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 자체에 돌출된 손잡이가 형성되도록 기재층을 재단할 수도 있고, 별도의 손잡이를 추가로 부착할 수도 있다. 별도의 손잡이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손잡이의 하부에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하부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손잡이를 부착할 수도 있고, 먼저 손잡이를 부착한 뒤에 손잡이의 하부에는 인몰드 라벨용 접착조성물이 도포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접착력과 유연성이 뛰어나면서도 인몰드 공정 온도 미만에서는 고체 상태이기 때문에, 이형지를 부착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인몰드 라벨용 접착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몰드 라벨용 접착조성물은 인몰드 공정 온도 미만에서는 고체 상태이기 때문에, 라벨지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일부분에만 접착층을 형성하여 접착면적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접착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라벨지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인몰드 라벨용 접착조성물은 기재층과의 접착성과 밀착성이 뛰어나서, 라벨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접착층만 용기에 잔류하는 문제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라벨지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접착력 조절용 공백부를 형성한 라벨지의 저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접착력 조절용 공백부를 형성한 라벨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부분적으로 하부접착층을 형성한 라벨지의 저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부분적으로 하부접착층을 형성한 라벨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분리 시작부를 형성한 라벨지의 저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분리 시작부를 형성한 라벨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손잡이를 형성한 라벨지의 저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폴리에스터 레진(Polyester Resins)은 본 접착제 조성물에서 접착력을 부여하는 주요물질이며, 열에 의해서 유리되어 피착물에의 접착성을 부여한다.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은 MEK라고 약칭하며, 방향이 있는 액체로서 끓는점이 79.6℃이고, 본 접착제 조성물에서 폴리에스터 레진을 녹이는 주용제로서 사용된다.
톨루엔(Toluene)은 벤젠의 수소원자 1개를 메틸기(基)로 치환한 화합물로 메틸벤젠이라고도 하며, 특이한 냄새가 나는 무색의 액체이고, 끓는점은 110.8℃이다. 본 접착제 조성물에서 폴리에스터 레진을 녹이는 조용제로서 사용되어 라벨지 제조과정에서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할 때에 점도를 조절한다.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ster polyol)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는 우레탄 반응을 일으켜 라벨지의 기재층과의 접착성 및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이소시아네이트는 내열성과 내약품성을 향상시킨다.
폴리에틸렌 왁스(PolyEthylene Wax)는 왁스 상태의 겉모양을 나타내는 저분자량의 폴리에틸렌이며,
실리카(SiO2)는 라벨지 제조과정에서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할 때에 뒤붙음(blocking)을 방지하고 슬립성과 인쇄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접착조성물은 인몰드 성형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점착성이 없는 고체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인몰드 라벨지에 적용하여도 별도의 이형지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조성물은 라벨지의 기재층과의 접찹성 및 밀착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어, 용기에서 라벨지를 분리하여 제거할 때에 접착조성물로 구성된 접착층이 기재층에서 분리되어 용기에 잔류하는 문제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라벨지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라벨지는 기재층(100)과 하부접착층(200) 및 인쇄프라이머층(300)을 포함한다.
기재층(100)은 라벨지의 기본 몸체가 되어 전체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다양한 수지재료가 적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열가소성 수지인 PE 또는 PET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용기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기재층(100)을 적용하는 것이 재활용에 유리하지만, 본 실시예의 인몰드 라벨지는 폐용기에서 쉽게 분리하여 폐용기만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기재층(100)에 용기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Co-PET 재질을 적용하는 경우에 폐용기를 수거하여 NaOH 용액에 침지하는 경우에 용기만 수축하고 라벨지는 수축하지 않음으로 인해서, 매우 쉽게 인몰드 라벨지를 용기에서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Co-PET 재질을 적용하는 경우, 접착조성물과 기재층(100)의 접찹성 및 밀착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라벨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하부접착층(200)과 기재층(100)이 분리되어 하부접착층(200)만 용기에 잔류하는 문제가 크게 감소된다.
인쇄프라이머층(300)은 기재층(100)에 인쇄를 용이하게 하도록 형성된 층으로서,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기재층(100)의 재질에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고, 기재층의 하부에 프라이머를 형성하는 등 다른 형태의 인쇄프라이머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하부접착층(200)은 용기의 인몰드 성형과정에서 몰드의 열에 의해서 라벨지를 용기 표면에 부착하는 접착력을 부여하는 층이다. 본 실시예서는 앞서 살펴본 조성의 인몰드 라벨지용 접착 조성물을 사용하여 하부접착층(200)을 형성하며, 하부접착층(200)은 인몰드 성형 조건에서 유리화되어 접착성을 나타내지만, 일반적인 상온 상태에서는 점착특성이 없는 고체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용기에 대한 인몰드 성형공정이 50~70℃ 범위에서 진행되는 경우, 이러한 온도 범위 이하에서는 점착특성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상온에서는 고체 상태이며, 인몰드 성형공정 과정에서는 온도의 상승과 함께 유리화되어 점착성을 나타내고 성형과정에서 가해지는 약 30bar의 압력에 의해서 용기의 표면에 압착되어 부착된다. 이에 따라서, 인몰드 공정에 적용하기 전까지 하부접착층(200)을 보호하는 이형지를 적용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하부접착층(200)은 인몰드 성형 온도 범위 미만에서 점착성이 없는 고체 상태이기 때문에, 하부접착층(200)의 표면에 인쇄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하부접착층(200)의 표면에 수행되는 인쇄는, 라벨지가 투명한 용기에 적용되는 경우에 문자를 인쇄하여 정보를 전달하거나 그림을 인쇄하여 투명한 용기를 통해서 보이는 라벨지 뒷면의 미감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접착층(200)을 구성한 본 발명의 인몰드 라벨지용 접착조성물은 무색 투명한 재질이지만, 도면에서는 하부접착층(200)이 형성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무늬를 넣어서 표시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접착조성물을 사용한 하부접착층(200)은 인몰드 성형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점착성이 없는 고체 상태를 유지하므로, 기재층(100)의 전체 면에 하부접착층(200)을 형성하지 않고, 일부 영역에만 하부접착층(20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부 영역에만 하부접착층(200)을 형성하는 방법은, 하부접착층을 형성하지 않을 위치에 마스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접착조성물을 도포하고 도포된 접착조성물을 건조하여 고체화시킨 이후에 마스크를 제거하거나, 필요한 위치에만 접착조성물을 도포한 뒤에 건조하여 고체화함으로써 가능하다.
하부접착층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라벨지가 용기에 접착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라벨지의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접착력 조절용 공백부를 형성한 라벨지의 저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접착력 조절용 공백부를 형성한 라벨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접착력 조절용 공백부(220)는 점착조성물이 도포되지 않아서 하부접착층이 형성되지 않고 기재층(100)이 노출된 부분이며, 인몰드 성형 공정을 수행하여도 용기에 접착되지 않음으로써 라벨지의 접착력을 조절한다. 이러한 접착력 조절용 공백부(200)는 하부접착층(200)의 안쪽에 형성되며, 1개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부분적으로 하부접착층을 형성한 라벨지의 저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부분적으로 하부접착층을 형성한 라벨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기재층(100)의 일부에만 점착조성물을 도포하지 않는 것과는 달리, 도 4와 도 5에는 기재층(100)의 일부에만 점착조성물을 도포하는 방식으로 하부접착층(200)을 형성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하부접차층(200)이 형성되는 부분의 면적과 간격 등을 조절하여 라벨지의 접착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6은 분리 시작부를 형성한 라벨지의 저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분리 시작부를 형성한 라벨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접착조성물을 사용한 하부접착층(200)은 인몰드 성형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점착성이 없는 고체 상태를 유지하므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재층(100)의 모서리 일부 범위에 하부접착층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이 부분을 잡고 라벨지를 제거하도록 하는 분리 시작부(24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시작부(240)도 하부접착층을 형성하지 않을 위치에 마스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접착조성물을 도포하고, 도포된 접착조성물을 건조하여 고체화시킨 이후에 마스크를 제거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때, 분리 시작부(240)의 크기가 너무 큰 경우에는 라벨지가 용기에 접착되지 않은 부분이 너무 넓어서 라벨지가 들뜬 것과 같은 상태가 되고, 분리 시작부(240)의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분리하기에 어려워지므로, 적절한 크기로 형성하여야한다. 또한 분리 시작부(240)의 형태를 다양하게 하여, 라벨지가 용기에 들뜨는 현상은 줄이면서 분리는 용이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8은 손잡이를 형성한 라벨지의 저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접착조성물이 도포되지 않은 영역으로 분리 시작부를 형성하는 것과 달리, 라벨지에서 돌출되며 인몰드 성형 공정에서 용기에 접착되지 않는 손잡이(400)를 별도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손잡이(400)는 라벨지의 기재층(100)이 부분적으로 돌출된 것일 수도 있고, 별도의 부분을 추가로 부착한 것일 수도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400)를 잡고 라벨지를 제거하는 경우, 라벨지의 제거가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손잡이(400)는 전체 면적에 하부접착층(200)이 형성된 도 8의 경우 이외에, 부분적으로 하부접착층이 형성되거나 내부에 공백부가 형성된 도 2와 도 4의 경우에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기재층
200: 하부접착층
220: 접착력 조절용 공백부
240: 분리 시작부
300: 인쇄프라이머층
400: 손잡이

Claims (10)

  1. 용기를 인몰드 성형하는 과정에서 함께 부착되는 인몰드 라벨지로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인몰드 성형 온도 미만의 범위에서 점착성이 없는 고체 상태인 하부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접착층이 폴리에스터 레진(Polyester Resins) 30~40 중량%,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 20~30 중량%, 톨루엔(Toluene) 20~30 중량%,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ster polyol) 5~10 중량%,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3~5 중량%, 폴리에틸렌 왁스(PolyEthylene Wax) 1~5 중량% 및 실리카(SiO2) 0.1~1 중량%를 포함하는 접착조성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라벨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조성물은 50℃ 미만의 온도 범위에서 점착특성이 없는 고체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라벨지.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Co-PET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라벨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접착층이 상기 기재층의 전면에 형성되지 않고, 적어도 일부의 기재층이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라벨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끝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에 상기 하부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아서 상기 기재층이 노출된 분리 시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라벨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에서 도출되며 하부에 상기 하부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라벨지.
  8.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접착층을 포함하는 인몰드 라벨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하부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폴리에스터 레진(Polyester Resins) 30~40 중량%,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 20~30 중량%, 톨루엔(Toluene) 20~30 중량%,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ster polyol) 5~10 중량%,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3~5 중량%, 폴리에틸렌 왁스(PolyEthylene Wax) 1~5 중량% 및 실리카(SiO2) 0.1~1 중량%를 포함하는 접착조성물을 도포한 뒤에 건조하여, 인몰드 성형 온도 미만의 범위에서 점착성이 없는 고체 상태인 하부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라벨지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하부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적어도 일부의 기재층이 노출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라벨지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기재층에서 도출되며 하부에 하부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손잡이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라벨지의 제조방법.
KR1020180054651A 2018-05-14 2018-05-14 인몰드 라벨지용 접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인몰드 라벨지 KR102123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651A KR102123298B1 (ko) 2018-05-14 2018-05-14 인몰드 라벨지용 접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인몰드 라벨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651A KR102123298B1 (ko) 2018-05-14 2018-05-14 인몰드 라벨지용 접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인몰드 라벨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242A KR20190130242A (ko) 2019-11-22
KR102123298B1 true KR102123298B1 (ko) 2020-06-17

Family

ID=6873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651A KR102123298B1 (ko) 2018-05-14 2018-05-14 인몰드 라벨지용 접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인몰드 라벨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4915B1 (ko) 2022-09-06 2024-08-13 이승현 점착 강도의 선택적 조절을 통하여 팩 용기의 실링 조절이 가능한 패키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5599A (ja) * 2012-12-27 2014-07-07 Unitika Ltd 易接着層形成用水性接着剤
JP2015038162A (ja) * 2010-04-20 2015-02-26 日本ビー・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その用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026B1 (ko) 1998-10-15 2006-11-23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인몰드성형용 라벨
KR20040041303A (ko) 2002-11-11 2004-05-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몰드 성형용 라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8162A (ja) * 2010-04-20 2015-02-26 日本ビー・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その用途
JP2014125599A (ja) * 2012-12-27 2014-07-07 Unitika Ltd 易接着層形成用水性接着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4915B1 (ko) 2022-09-06 2024-08-13 이승현 점착 강도의 선택적 조절을 통하여 팩 용기의 실링 조절이 가능한 패키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242A (ko)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900B1 (ko) 재활용성이 개선된 인몰드 라벨지 및 그 제조방법
JP4233605B2 (ja) ラベル付き返却可能プラスチッククレート
JP2000515256A (ja) ポリエステルインキ層を含む熱転写ラベル
JP2011118340A (ja) 水溶性接着剤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ラベル
KR102123298B1 (ko) 인몰드 라벨지용 접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인몰드 라벨지
EP3774250B1 (de) Verfahren zur nachhaltigen und energiesparenden herstellung eines recycelbaren, mit einem etikett versehenen kunststoffbehälters
KR20210143711A (ko) 연질 상품을 위한 디지털 인쇄 열 전사 그래픽
JP5607996B2 (ja) ラベル貼付け領域形成用粘着シートおよびラベル貼付け領域を有する容器
JP4255936B2 (ja) パッケージ用ラベル、ラベル用印刷シート、及びこれらの製作方法
WO1998007635A1 (en) Label, tape and container carrier
JP4505875B2 (ja) 印刷のみにより形成されたラベルを施した合成樹脂成形品
GB2414979A (en) Label treated with adhesive modifying agent
WO2000020229A1 (en) Substrates for heat transfer labels
JP2003177673A (ja) リサイクル対応ラベル
JP2006267990A (ja) 再剥離可能な紙ラベル並びに再剥離可能な紙ラベル付き容器
JP5695353B2 (ja) コーティング剤および該コーティング剤を適用した梱包資材、並びに該梱包資材からなる通箱
KR102681267B1 (ko) 분리가 용이한 인몰드 라벨 및 라벨분리방법
KR100910406B1 (ko) 수축라벨
JP2004256165A (ja) 同時成型容器の剥離ラベル
NL1010809C2 (nl) Kleefbare bedrukte folie.
KR20240140275A (ko) Pet 병용 접착식 라벨 및 그 부착방법
KR20220145015A (ko) 제거가 용이하고 접착제 잔류물이 남지 않는 pet 용기 라벨
WO2023209276A1 (en) Heat-removable label
KR20230156852A (ko) 라벨, 그 제조 방법 및 그 제거 방법
KR0125096Y1 (ko) 스티카 인쇄용 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