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705A - 흡수성물품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흡수성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물품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흡수성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705A
KR20010085705A KR1020010010313A KR20010010313A KR20010085705A KR 20010085705 A KR20010085705 A KR 20010085705A KR 1020010010313 A KR1020010010313 A KR 1020010010313A KR 20010010313 A KR20010010313 A KR 20010010313A KR 20010085705 A KR20010085705 A KR 20010085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bsorbent article
layer
absorben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4557B1 (ko
Inventor
다네이치소이치
고모리야스히로
가네다마나부
나가하라신스케
기가타데츠유키
후쿠하라야오이
다나카마사히토
나카니시미노루
Original Assignee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258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574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9423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76126A/ja
Application filed by 가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5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a reinforc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뒤틀림으로부터 회복력이 향상된 흡수성물품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시트는 CD방향(cross direction) 회복력이 0.7cN 이상이고, 압축강도가 100cN 이하이며, 평량이 20g/㎡ 이상이다.

Description

흡수성물품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흡수성물품{Sheet for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흡수성물품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및 실금 패드와 같은 흡수성물품들을 구성하는 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의 것들은 사용중 뒤틀림(distortion)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주고, 몸에 양호한 적합성을 가지며, 새는 것(leakage)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를 이용한 흡수성물품 (absorbent article)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물품의 뒤틀림 방지를 위해서 흡수성물품용으로 여러형태의 시트가 제안되어졌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제 24289/96호에 뒤틀림에 견딜수 있는 흡수성물품을 제공하기 위해 흡수체(absorbent member)를 구성하는 물질로서 특정의평균지름을 갖는 중공(hollow)의 합성섬유를 함유하는 부직포(nonwoven)를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제안된 부직포는 두께방향에 대해 완충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반면, 뒤틀림때문에 생기는 몸에의 적합성 저하 및 샘방지(leakproofness) 저하의 문제를 포함하여 면방향에 대한 뒤틀림에 대한 저항을 향상시키는데 실패하였다.
뒤틀림에 대한 저항 및 샘방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탄성회복성이 있는 직물을 함유하는 부직포의 사용(상기 특개평 2489/96호) 및 표면시트와 흡수체사이에 빠른 흡수속도를 가지는 2중 시트의 배치(일본 특허공개 제 192259/99호)와 같은 다양한 개선법들이 흡수성물품에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에 제안된 어떤 흡수성물품도 사용중 뒤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고, 착용감이 충분하지 않으며, 액체가 새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중 면방향에서 뒤틀리거나 꼬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착용감이 편안하고 착용자에게 잘 맞으며 새는 것을 방지하는 특성을 갖는 흡수성물품용 시트와; 이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흡수성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특정방향에 대해 높은 회복력을 나타내는 시트가 흡수성물품에 사용될때 흡수성물품의 뒤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상기의 발견을 기초로하여 완성된 본 발명은 제 1~제 3발명을 포함한다. 본발명의 제 1발명은 뒤틀림의 회복력이 향상된 흡수성물품을 제공할 수 있는 시트에 관한 것으로, 이 시트는 CD방향(cross direction)의 회복력이 0.7cN 이상이고, 압축강도가 100cN 이하이며, 평량(basis weight)이 20g/㎡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제 2발명은 흡수성물품용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시트는 그들의 교점(intersection)에서 서로 열융착되어 있는 특정의 심초(core-sheath)형 열접착성복합섬유를 70 중량% 이상 함유하는 열융합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수성물품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의 제조공정은 섬유직물(fiber web)의 열처리 단계 및 열처리 전의 섬유직물(a) 또는 열처리후의 열융합 부직포(b)의 두께를 원래 두께의 20~80%가 되도록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발명은 액체유지성(liquid retentive) 흡수층과 액체불투과성 (liquid impermeable) 샘방지층(leakproof layer)을 함유하는 흡수성물품에 관한 것으로, 상기의 흡수층은 상기에서 언급한 시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중 뒤틀림이 없고, 따라서 착용감이 좋으며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흡수성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의 제 4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제 4발명은 실질적으로 세로 모양(longitudinal shape)을 가지고, 액체유지성 흡수층과 액체불투과성 샘방지층을 포함하는 흡수성물품에 관한 것으로, 상기의 흡수층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표면층과 표면층 아래에 0.7cN 이상의 탄성회복력을 가지는 탄성층이 있으며, 흡수성물품은 폭방향(width direction)에서 5% 미만의 압축변형률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발명에 따른 시트는 면방향에 대해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시 편안함을 느끼며 샘방지성(leakproof)이 향상된 흡수성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발명을 구성하는 제 1발명의 시트 제조방법은 롤에서 구부리거나 강성의 감소없이 쉽고 간편하게 상기의 우수성을 가지는 흡수성물품을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3발명과 제 4발명에 따른 흡수성물품은 사용중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착용감이 좋으며, 샘방지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X-X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X-X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발명~제 3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물품용 시트는 흡수성물품의 뒤틀림의 회복력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사용된 "뒤틀림의 회복력"이란 용어는 사용중 외부의 힘에 의해 감기거나, 접히거나, 뒤틀렸을때 초기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흡수성물품의 성질을 의미한다.
흡수성물품용 시트는 CD(Cross direction)방향에서의 회복력이 0.7cN 이상, 바람직하게는 2.0~6.0cN이고, 압축강도가 100cN 이하, 바람직하게는 10~100cN이며, 평량이 20g/㎡ 이상, 바람직하게는 20~50g/㎡, 더 바람직하게는 30~45g/㎡ 이다.
CD방향에서의 회복력이 0.7cN 미만이면, 뒤틀림의 회복력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압축강도가 100cN을 초과하면, 사용중 편안함과 착용감이 저하된다.
상기 평량이 20g/㎡ 미만이면, 뒤틀림의 회복력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다. 생산성과 비용의 관점에서 보면, 평량은 50g/㎡ 미만이 바람직하다.
흡수성물품용 시트는 사용중 편안함과 착용감을 위해서 1.0㎜ 이하, 특히 0.3~0.8㎜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는 CD방향으로의 회복력, 두께 및 압축강도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된다. 여기서 사용된 "CD방향"이란 실질적으로 섬유배향방향(Machine direction:MD)에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시트는 CD방향의 변형에 대해 회복성을 나타낸다.
CD방향의 회복력 측정:
시트에서 CD방향과 일치하는 조각의 폭방향(width direction)으로 폭 45㎜, 길이 145㎜ 조각을 자른다. 그 길이방향이 원통의 원주(peripheral)방향이 되도록 조각을 말아 지름 40㎜인 원통을 제조한다. 겹쳐진 부분은 서로 10㎜간격으로 세점에서 스테이플로 고정한다.
원통형 시험 시편을 Toyo Baldwin제인 압축시험기 RTM-100위에 놓고(초기 표본높이:45㎜), 원통의 축방향에서 압축속도 50㎜/min으로 압축판에서 압축한다(하향운동). 시편을 하향운동으로 15㎜ 압축한 후, 압축판을 45㎜의 초기 표본높이로 이동한다(상향운동). 상하 왕복운동에서 하중 대 압축거리가 기록되고, 상향운동에서 하중이 0이 되는 거리 2㎜전에서 하중이 기록되며, 이것이 CD방향으로의 회복력이 된다.
두께의 측정:
시트의 두께는 0.36kPa 일정하중하에서 두께측정기(Techloc제, 일정압력두께측정기 PG-11)로 측정한다.
압축강도의 측정: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원통형 시험시편을 압축시험기(초기 표본높이: 45㎜)위에 놓는다. 시편은 압축속도 50㎜/min으로 압축판에서 압축하여, 최대로 적용되는 하중을 측정한다.
상기의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시트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기에 기재된 부직포 A와 부직포 B를 포함한다.
부직포 A:
이 시트는 그들의 교점에서 서로 열융착하고 있는 심초(core-sheath)형 열접착성복합섬유을 70 중량% 이상 함유하는 열융합 부직포로서, 상기의 심(core)부는 올레핀 고분자,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초(sheath)부는 (1)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 (2)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 또는 (3)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부직포 B:
이 시트는 그들의 교점에서 서로 열융착하고있는 심초(core-sheath)형 열접착성복합섬유을 70 중량% 이상 함유하는 열융합 부직포로서, 상기의 심(core)부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초(sheath)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며, 복합섬유는 6.6~22dtex의 평균 섬도(fineness)를 갖는다.
부직포 A 및 B는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다. 우선, 부직포 A를 설명한다. 부직포 A를 이루는 심초형의 열접착성섬유의 심부로 사용될 수 있는 올레핀고분자는 프로필렌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소수 성분으로 에틸렌 또는 다른 α-올렌핀을 함유하며, 40% 이상의 결정화도를 갖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부직포 A를 이루는 심초형의 열접착성섬유의 심부로 사용될수 있는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디메틸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피발로락톤 t 및 이런 단독중합체들을 구성하는 단량체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이런 폴리에스테르 수지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 A를 이루는 열접착성섬유의 심부로 사용될 수 있는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2, 나일론 3, 나일론 4, 나일론 7,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10 및 이런 단독중합체들을 구성하는 단량체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런 폴리아미드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초부(sheath)는 상기의 중합체 (1)~(3)중에서 각각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α-올렌핀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혼합물들이 유용하다.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공중합체(1)는 각각 80~98중량%의 프로필렌과 2~20중량%의 에틸렌을 가지고 있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1-프로필렌 3원 공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이 프로필렌 공중합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공중합체(2)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70~95중량%의 에틸렌 함유량 및 5~30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함유량을 가지는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 에틸렌 공중합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3)은 고압중합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단일점 촉매(single site catalyst)를 사용하여 중합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단일점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되고, 0.85~0.94g/㎤의 밀도, 바람직하게는 0.86~0.89/㎤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 A를 이루는 심초형 열접착성복합섬유는 심부와 초부의 부피비가 바람직하게 1:0.25~4, 더 바람직하게는 1:0.5~1.5이고, 섬도는 바람직하게 0.5~25dtex, 더 바람직하게는 2~15dtex이다.
다음으로, 부직포 B를 설명할 것이다. 부직포 B를 이루는 심초형 열접착성복합섬유 심부로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디메틸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피발로락톤 t 및 이 단독중합체들을 구성하는 단량체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이런 폴리에스테르 수지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 B를 이루는 열접착성섬유의 심부로 사용될 수 있는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2, 나일론 3, 나일론 4, 나일론 7,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10 및 이 단독중합체들을 구성하는 단량체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런 폴리아미드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초부로 사용될 수 있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20g/10min 이상, 바람직하게는 25~50g/10min의 용해 속도(melt flow rate) 및 0.92~0.97g/㎤의 밀도를 갖는다.
부직포 B를 이루는 심초형 열접착성복합섬유는 평균섬도 6.6~25dtex, 바람직하게는 8~15dtex를 갖는다.
부직포 A와 B는 각각 심초형 열접착성복합섬유가 그들의 교점에서 열융착된 열접착성 부직포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복합섬유의 초부가 교점에서 서로 열융착되어 일체화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물품용 시트는 예를 들면 흡수성물품의 흡수층의 일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시트가 흡수성물품에 사용될 때 사용중 면방향에서 뒤틀리거나 꼬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착용자에게 좋은 착용감을 주고, 새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흡수성물품의 흡수층에 사용될 때, 시트는 MD(섬유배향 방향) 또는 흡수층의 길이방향인 CD방향에 놓인다. 생산성을 고려하면, 시트가 흡수층(흡수체)의 길이방향이 MD방향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수성물품용 시트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을 부직포 A 또는 B를 함유하는 시트를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시트는 섬유직물의 열처리 단계 및 열처리전의 섬유직물(a) 또는 열처리한 후 얻어진 열융합 부직포(b)의 두께를 원래두께의 20~80%로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생산될 수 있다. 압축 정도가 20%미만이면, 회복력 향상의 효과가 없다. 만약 80%를 초과하면, 흡수성물품에 사용될때, 시트가 마치 필름처럼되어 착용감도 나쁘고 사용중 불편할 것이다.
상기 열처리 단계는 통상 열융착 부직포의 제조에서 사용되는 에어-쓰로우( air-through)법으로 시행한다.
상기 압축 단계(하기에 때때로 두께조절단계라함)는 열처리전의 섬유직물 (a) 또는 예를 들면, 에어-쓰로우법으로 섬유직물을 열융착시켜 얻은 시트(b)에 적용한다. 두께조절공정은 부직포의 압축에 통상 사용되는 엠보싱 롤(embossing roll)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하여 섬유직물(a) 또는 열융착 시트(b)를 압축한다. 엠보싱롤의 돌출 형상()은 한정적이지 않다.
두께조절공정에서 섬유직물이나 열융착 시트를 플랫롤(flat roll)로 압축하는 경우, 선형압력은 5~80cN/cm이 바람직하다. 엠보싱 롤을 사용하여 압축하는 경우, 선형압력은 100~500cN/cm이 바람직하다.
엠보싱 롤을 사용하여 (T-80)℃〈Tr℃〈T℃ 온도 범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Tr은 엠보싱 롤의 표면온도이고, T는 심초형 열접착성복합섬유에서초부의 융점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발명, 즉 흡수성물품인 팬티 라이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서 나타낸 팬티 라이너 1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모양을 가지고 있고, 액체유지성 흡수층 2와 액체불투과성 샘방지층 3을 함유하며, 상기 흡수층 2는 본 발명의 흡수성물품용 시트인 시트 23을 갖는다.
시트 23은 팬티 라이너 1의 피부접촉면 24를 형성하는 표면층 아래에 놓인다. 자세히 설명하면, 흡수층 2는 액체투과성 표면시트 21, 액체유지성 흡수체 22 및 표면시트 21과 흡수체 22사이에 있는 시트 23을 함유한다. 샘방지층 3은 습기를 투과시킬 수 있고, 액체는 불투과성 후면시트 31을 함유한다. 표면시트 21은 그것의 주변부(periphery)에서 후면시트 31에 고정되어 흡수층 2와 샘방지층 3이 함께 고정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사용중 속옷에 팬티 라이너 1을 부착시키기 위해 감압접착제가 샘방지층 3의 후면측에 도포되어 있다.
팬티 라이너 1의 표면시트 21, 후면시트 31 및 흡수체 22는 통상 일반 생리용 냅킨과 동일한 형성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팬티 라이너 1은 일반적인 팬티 라이너와 마찬가지로 속옷에 부착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사용중 상기 구성을 갖는 팬티라이너 1은 뒤틀림을 방지하여 착용자에게 좋은 착용감을 주고 새는것을 방지한다.
팬티라이너 1은 일반적인 팬티라이너와 같은 방식으로 후면시트 31, 흡수체22, 시트 23 및 표면시트 21순으로 적층하고, 열봉합으로 표면시트 21과 후면시트 31의 주변부를 접착하는것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물품의 또 다른 실시예(제 4발명)인 팬티라이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과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팬티 라이너 101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고, 액체유지성 흡수층 102와 액체불투과성 샘방지층 103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흡수층 102는 팬티 라이너 101의 피부접촉면 124를 형성하는 표면층 아래에 놓인 탄성층 123을 함유한다.
탄성층 123은 탄성회복력이 0.7cN 이상, 바람직하게는 0.8~4cN, 더 바람직하게는 1~2cN이고, 팬티라이너 101은 폭방향 압축 변형률이 5% 미만, 바람직하게는 1~4%이다. 탄성층의 탄성회복력이 0.7cN 미만이면, 흡수성물품은 착용자의 외형과 맞지 않아 나쁜 착용감을 주게된다. 흡수성물품의 폭방향 압축 변형률이 5%를 초과하면, 뒤틀림 상태에서 많은 접힘이 생기고 거의 원상태로 회복될 수 없다.
탄성회복력과 폭방향 압축 변형률은 하기에서와 같이 측정한다.
탄성회복력의 측정:
조각의 길이 방향과 흡수성물품의 길이 방향이 일치하게 흡수성물품의 탄성층을 폭 45㎜, 길이 140㎜의 조각으로 자른다. 시료물품의 한정된 크기때문에, 조각의 길이방향 단부는 반원형이나 사변형의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조각은 약 폭 5㎜의 겹친 부분(lap)을 가진 원통을 만들기위해 길이 방향이 원주 방향이 되도록 감는다. 겹친 부분은 원주 방향과 평행하게 스테이플(Max Co.제, No 10-1M)로 각각10㎜씩 떨어진 세 위치에서 고정한다.
원통형 시편(초기높이:45㎜)을 텐실로 압축시험기(Toyo Baldwin제, RTM-25)위에 놓고, 시편보다 약간 높게(약 47㎜의 높이) 설정된 압축판을 사용하여 원통의 축방향에서 압축속도 50㎜/min으로 압축한다. 시편을 30㎜의 높이로 압축한 후에(하향운동), 압축판은 시편이 높이를 원상태로 회복하도록 동일한 속도로 초기의 높이로 이동시킨다(상향운동). 상하 왕복운동이 한번 측정이 되는 것이다. 측정은 최소한 시료당 2개의 시편으로 실행한다. 상향운동에서 높이 40㎜에서 응력이 기록되고, 2개이상의 시편에서 얻어진 결과의 평균을 탄성회복력이라한다.
폭방향에서 압축 변형률의 측정:
조각의 길이 방향과 흡수성물품의 길이 방향이 일치하게 폭 45㎜, 길이 140㎜ 조각을 흡수성물품에서 잘라 탄성회복력 측정과 마찬가지로 원통형 시편을 만든다. 시편은 같은 방식으로 압축의 상하운동이 가해지고, 왕복운동시 시편의 응력 대 판의 위치가 기록되 차트를 만든다. 하향운동시 압축 시작 높이(45㎜)와 상향운동시 응력이완 높이(시료의 응력이 0이 되는 위치)의 차이를 차트로부터 읽을 수 있다. 측정은 시료당 최소 2개 이상의 시편을 가지고 실행하고, 측정값의 평균(㎜)값이 폭방향 압축변형률을 얻는 하기의 식에 적용된다.
착용자가 향상된 착용감을 얻기위해서는 탄성회복력이 4cN 이상, 바람직하게는 9cN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2cN 이상을 갖는 팬티라이너 101이 흡수성물품으로바람직하다. 흡수성물품의 탄성회복력은 하기에서 제품 탄성회복력으로 언급된다. 제품 탄성회복력은 하기에서와 같이 측정된다.
제품 탄성회복력의 측정:
시편은 폭방향 압축 변형률의 측정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하고, 왕복운동시 시편의 응력 대 판의 위치의 차트를 만들기위해 상하왕복 압축운동이 가해진다. 상향운동시 높이 40㎜에서 응력이 기록된다. 측정은 시료당 최소 2개의 응력을 가지고 하며, 측정된 값의 평균을 제품 탄성회복력이라 한다. 흡수성물품이 하기의 실시예에서처럼 압축부(compressed part)를 갖는 경우, 흡수성물품의 폭방향에서 압축 변형률 및 제품 탄성회복력 측정은 압축부를 갖는 시편들에서 이루어지고, 하기에서 언급한 탄성층의 탄성회복력과 좌굴강도(buckling strength)는 가능한 압축부가 없는 시편들로 측정한다.
팬티라이너 101에서, 흡수층 102는 표면층을 형성하는 액체투과성 표면시트 121, 액체유지성 흡수체 122 및 표면시트 121과 흡수체 122사이에 있는 탄성층 123을 함유한다. 표면시트 121과 흡수체 122 사이에 있는 탄성층 123은 향상된 감촉과 완충성질(cushioning properties)을 가져온다. 샘방지층 103은 액체불투과성 후면시트 131을 함유한다. 표면시트 121은 그것의 주변부에서 표면시트 131에 고정되어서 흡수층 102와 샘방지층 103이 함께 고정된다. 흡수체 122는 표면시트 121과 후면시트 131이 팬티 라이너 101의 주위에 흡수체 122가 없는 주변부(peripheral portion) 105를 형성하기위해 직접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체 122는 표면시트 121보다 약간 작게 만들어진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속옷에 팬티 라이너 101을 고정시키기 위해 감압접착제는 샘방지층 103의 후면측에 도포되어 있다.
탄성층 123이 상기 특정의 탄성회복력을 갖기 위해서 및/또는 팬티 라이너 101이 상기 특정의 폭방향 압축 변형률을 갖기 위해서 탄성층 123을 발포성 물질, 건조 가공된 펄프 시트(dry processed pulp sheet), 부직포 등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탄성층으로 사용되는 부직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및 폴리아미드와 같은 공지의 섬유들을 1종이상 혼합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공정 측면에서, 열융합 부직포, 방적(spun bounded) 부직포, 니들 펀치된 부직포와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섬도가 1~10dtex, 바람직하게는 3~7dtex인 복합 섬유들을 함유한 열융합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탄성층 123으로 사용되는 부직포는 하기의 방법 (ⅰ)~(ⅳ)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에 의해 증가된 탄성 및/또는 증가된 강성(stifness)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강성"은 탄성 및/또는 강성을 의미한다.
ⅰ) 섬유의 탄성/강성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과 같은 높은 탄성/강성을 갖는 수지의 섬유들을 향상된 탄성/강성을 얻기위해 사용한다(섬유에 의한 효과).
ⅱ) 섬유배향의 균일화
부직포의 탄성/강성은 구성 섬유의 배향 방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탄성/강성은 구성 섬유의 배향에 의해 모든 방향에서 향상될 수 있다(시트 구조에 의한 효과).
ⅲ)망상구조(network structure)의 회복
섬유의 접촉교점 주위의 망상구조들은 강화 및/또는 고정화하여 접촉교점 사이에서 자유부분(free portion)의 회복성을 향상시켜 탄성/강성을 향상시킨다(시트 구조에 의한 효과).
ⅳ)시트의 치밀화(densifying)
시트는 3차 구조를 가지는 주름진 섬유(crimped fiber)를 사용하고 섬유배향을 균일하게 하며 접촉하는 섬유교점을 증가시킴으로서 치밀화되고 탄성/강성을 향상시킨다(섬유에 의한 효과).
(ⅰ)~(ⅳ) 방법 중 하나가 탄성층의 상기 특정 탄성회복성을 실현시킬 수 있지만 특히 섬유에 의한 효과를 모두 발휘하는 (ⅰ)과 (ⅲ)의 조합, (ⅰ)과 (ⅳ)의 조합 혹은 (ⅱ)와 (ⅳ)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층 123으로 사용하는 부직포는 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부직포는 미리 친수성 윤활제로 처리된 섬유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섬유를 형성하는 수지에 친수성 윤활제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윤활제가 밖으로 나옴), 친수성 윤활제로 부직포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친수성 부직포는 표면에 대한 이온교환수의 접촉각이 70°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접촉각의 측정:
측정은 접촉각계(Kyowa Kaimen Kagaku K.K제, CA-S 마이크론 2)를 사용하여 섬유법(300 배율)으로 이루어진다. 카메라(Nicon F80)를 소정의 방식으로 측정기 위에 놓고 시료섬유에 촛점을 맞춘다. 물을 섬유에 뿌린다. 5초후에, ASA 100 필름으로 섬유 사진을 찍는다. 접촉각은 명확하게 물방울이 보이는 5개 부위(물방울의 양끝이 명확하다)를 선택해서 측정하고 평균값을 얻는다.
방법 (ⅱ) 단독 또는 다른 방법과의 조합에 의해 향상된 탄성/강성을 갖는 부직포가 탄성층 123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경우, 부직포의 CD방향(이하에 "CD 좌굴강도"라 일컬음)과 MD방향(이하에 "MD 좌굴강도"라 일컬음)의 좌굴강도비가 0.4~2.5, 특히 0.8~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의 배향상태를 예를들면 배향계로 측정하는 경우 부직포는 일반적으로 구성섬유의 배향방향에서 높은 굽힘저항성(bending resistance)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의 CD/MD 좌굴강도비는 본 발명에서 섬유배향방향의 지표로 사용된다. 좌굴강도는 탄성층의 굽힘저항성을 나타내는 정량값이다. 좌굴강도는 아래와 같이 측정한다.
좌굴강도의 측정:
상기의 탄성층의 탄성회복력 측정에서, 하향운동에서 도달된 평균 최대강도가 CD 좌굴강도가 된다. MD 좌굴강도는 부직포를 흡수성물품의 폭방향과 일치하는 길이가 140㎜이고, 흡수성물품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는 폭이 45㎜인 조각을 자르는 것을 제외하고는 CD 좌굴강도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한다.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층 102는 표면시트 121, 흡수체 122 및 탄성층 123을 일체화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탄성층 123을 압축함으로서 피부접촉면 124에 형성된 복수의 압축부 104를 갖는다. 압축부 104는 탄성층 123의 액체끌림성의 저하 방지에 효과적이다. 압축부 104는 향상된 액체끌림성 뿐만 아니라 흡수체로의 고점성 물질의 끌림을 용이하게 한다.
이런 실시예에서, 각각 풀잎모양을 갖는 압축부 104는 흡수층 102의 전체 두께가 압축되도록 표면 124로부터 팬티라이너 101을 압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장식적인 효과도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증가된 밀도는 액체끌림성을 증가시키지만, 흡수된 액체가 저층으로 통과하는 액체투과성은 감소시킨다. 따라서, 최소한 압축부 104의 표면시트 121은 우수한 흡수성을 나타내기 위해 구멍이 뚫려진것이 바람직하다. 이 특별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것처럼, 표면시트 121의 주변부 105를 제외하고는 전체 면에 걸쳐 다수의 통액공(through-holes) 125가 뚫려있다.
압축부 104는 주변부 105를 제외하고는 착용자의 피부접촉면 124의 전체 면적에 대해 전체면적이 5~50%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이상에서는 액체끌림성 향상이 액체가 표면에 남아있는 것을 방지한다. 50% 이하에서는 액체투과성과 완충성의 저하를 최소화된다.
압축부 104는 0.5~50㎟의 저면(base area;하기에 정의)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0.5㎟ 이상에서, 액체끌림성 효과가 효율적으로 나타난다. 50㎟ 미만에서는, 액체투과성에의 장애가 최소화된다. 여기서 사용된 "저면"이란 용어는 압축부의 가장 깊은 곳의 면적, 즉 요철()부분의 바닥부분의 면적을 의미한다.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압축부 104는 팬티 라이너 101의 좌우양측에 만들어지고, 예를 들면 엠보싱에 의한 점무늬로 전체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전체 표면에 걸쳐 압축부 104를 형성하는 것은 액체끌림에 장점이 있고,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측면부분에 압축부가 위치한 것은 측면부분에서 액체끌림성과 중간부분에서의 완충성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소망하는 효과는 흡수성물품의 두께가 4㎜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인 경우에 발견된다. 4㎜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종래의 흡수성물품은 사용중 뒤틀리거나 꼬이기 쉽다. 본 발명에서, 상기한 구성은 두께가 감소되는 경우에도 그런 뒤틀림을 방지한다. 게다가, 얇은 흡수성물품은 착용자에게 편안함을 주어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팬티 라이너 101의 표면시트 121, 후면시트 131 및 흡수체 122는 일반적인 생리용 냅킨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팬티 라이너 101은 일반적은 팬티 라이너와 같은 방식으로 속옷에 부착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중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팬티라이너 101은 탄성층의 역활로 뒤틀림이 방지되고, 착용자에게 좋은 착용감을 주며 사용하는 동안 새는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팬티 라이너 101은 탄성층 123위에 표면시트 121을 겹치게 놓고, 소정 형상의 압축부 104를 형성하기 위해 표면시트 121면으로부터 소정 형상으로 부분적으로 열 압축하여 적층체(laminate)를 만들고, 후면시트 131 위에 흡수체 122 및 열 압축된 적층체를 겹치게 놓고, 열 봉합으로 둘레를 표면시트 121과 후면시트 131을 주변부에서 고정시킴으로 생산한다.
본 발명은 특별히 제 1발명~제 4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런 실시예에 의해 발명의 제한이 있다고 생각되어서는 안되고,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그 안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들면, 본 발명은 팬티 라이너뿐만 아니라 생리용냅킨,기저귀 및 성인용 실금패드에 적용된다. 착용자 피부에 접촉하는 표면 24 혹은 124를 형성하지만 않는다면 흡수층 2 또는 102에서 시트 23 또는 탄성층 123의 각각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적이지 않다. 즉, 시트 23 혹은 탄성층 123은 흡수층 2 또는 102에서 최하위층이 될 수 있다. 게다가, 흡수체 22 또는 122 및 시트 23(다른 시트의 뒤에 있을 수 있는) 또는 탄성층 123의 적층체는 모서리에서 볼때 길이 방향에서 역 "V" 모양을 만들 수 있게 길이 방향으로 구부리고, 역 "V" 모양 적층체 주변부는 단면이 역 "V" 모양을 갖는 생리용냅킨을 만들기 위해 평평한(flat) 후면시트 31 또는 131과 접합한다. 상기의 실시예들의 내용들은 서로 교환가능하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나, 본 발명이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으로써 구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 1~3발명의 실시예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
표 1에 나타낸 섬유 조성을 갖는 섬유직물을 하기 표 1의 가열 온도에서 에어-쓰로우(air-through)법으로 열접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도 1에 나타낸 흡수성물품은 시트 23으로 상기에서 제조한 부직포를 사용하여 제조하고, 관능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4의 흡수성물품들은 사용중 뒤틀리거나 꼬임이 없고, 좋은 착용감 또는 편안함을 주며, 우수한 샘방지성을 가지고 있었다. 반대로, 비교예 1의 제품은 사용중 뒤틀림이 생겨서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었다.
실시예 5
하기 표 1에 나타낸 섬유조성을 갖는 섬유직물을 하기 표 1의 열처리온도에서 에어-쓰로우법으로 열접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최종 시트는 흡수성물품용 시트로서의 부직포를 제조하기위해 40g/cm의 선형압력하에서 플랫롤로 50% 압축하였다.
도 1의 흡수성물품은 상기한 시트를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관능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 뒤틀리거나 꼬임이 없고 좋은 착용감 또는 편안함을 주며 우수한 샘방지성을 가지고 있었다.
표 1에 사용된 약자들은 하기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E-P: 95.5 중량%의 프로필렌 함유량과 4.5 중량%의 에틸렌 함유량을 갖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EEA: 80중량%의 에틸렌 함유량과 20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함유량을 갖는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PP: 폴리프로필렌
VLOPE: 단일점 촉매(single site catalyst)를 사용하여 얻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 혼합물.
PE20: 20g/10min의 MFR을 갖는 폴리에틸렌
PE12: 12g/10min의 MFR을 갖는 폴리에틸렌
제 4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6~11 및 비교예 2~4.
하기 표 2 및 하기에서 언급한 요소들을 표면시트, 탄성층 및 흡수체 (실시예 6 ~11과 비교예 2~4) 또는 표면시트 및 흡수체(비교예 3)의 순서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겹쳐놓았다. 통기성 및 샘방지용 시트(Mitsubishi Chemical Corp.제, KTF-37)는 흡수체 아래에 배치하였다. 각각의 구성재료들을 도 3에 나타낸 형상을 갖는폭 57㎜, 길이 140㎜ 흡수성물품을 만들기 위해서 5g/㎡ 의 열-융해 접착제를 나선형으로(나선형식으로 박리성 기판에 적용된 열-용해 접착제는 전달될 수 있다)고정하였다. 실시예 8~11의 흡수성물품들은 실시예 8, 9 및 11의 각각 압축부들이 원형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실시예 10의 각각의 압축부는 나뭇잎모양을 가지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부 104를 가지고 있다. 피부접촉면의 전체 면적에 대한 압축부의 전체면적의 비율을 구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흡수성물품에 사용되는 구성재료들:
표면시트 1: 시판되고 있는 팬티 라이너의 표면시트로 사용되는 재료로, 25g/㎡의 평량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 섬유를 함유하는 부직포(Kao Corp.제, Lorie 팬티라이너(무향의 형태)).
표면시트 2: 시판되고 있는 부직포(Unitika제, CotAce C03OS/A25)
탄성층 1: 40g/㎡의 평량을 갖는 Daiwabo Co., Ltd제 직물 NBF(SH)을 148℃의 열처리온도에서 에어-쓰로우법으로 열융착시키고, 일본 특허공개 제 309111/93에 따라 친수성 윤활제로 처리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최종 부직포(탄성층 1)는 0.57㎜의 두께와 0.78cN의 탄성회복력 및 0.29의 CD/MD 좌굴강도율을 갖는다. 부직포는 상기 (ⅰ)방법에 의해 탄성/강성이 향상되었다.
탄성층 2: 40g/㎡의 평량을 갖는 NBF(SP)의 직물(섬도:4.4dtex, 평균길이:51㎜을 갖는 Daiwabo Co., Ltd제)의 사용을 제외하고는 탄성층 1과 같은 방식으로 부직포를 제조한다. 부직포(탄성층 2)는 0.55㎜의 두께, 1.18cN의 탄성회복력 및 0.30의 CD/MD 좌굴강도율을 갖는다. 탄성층 2는 상기의 (ⅰ)와 (ⅲ)방법에 의해 탄성/강성이 향상되었다.
탄성층 3: 부직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10g/㎡의 평량을 갖는 섬유 NBF(SH)의 직물(Daiwabo Co., Ltd제, 섬도 2.2dtex, 평균길이 51㎜)과 20g/㎡의 평량을 갖는 섬유 NBF(SP)의 직물(Daiwabo Co., Ltd제, 섬도 4.4dtex, 평균길이 51㎜)을 30g/㎡의 평량을 갖는 적층 직물을 만들기 위해 서로 겹쳤다. 적층직물은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해 148℃의 온도에서 에어-쓰로우법으로 열접착하고, 탄성층 1과 같은 방식으로 친수성 윤활제로 처리하였다. 탄성층 3은 0.48㎜의 두께, 0.88cN의 탄성회복력 및 0.34의 CD방향/MD방향 좌굴강도율을 가지고 있다. 탄성층 3은 상기의 (ⅰ)와 (ⅲ)방법에 의해 탄성/강성이 향상되었다.
탄성층 4: 부직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10g/㎡의 평량을 갖는 섬유 NBF(SH)의 직물(Daiwabo Co., Ltd제, 섬도 2.2dtex, 평균길이 51㎜ )과 30g/㎡의 평량을 갖는 NBF(SH)의 직물(Daiwabo Co., Ltd제, 섬도 2.2dtex, 평균길이 51㎜, 3차원적 주름섬유)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테토론(Teijin Ltd.제; 섬도 2.2dtex, 평균길이 51㎜임)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섬유직물을 40g/㎡의 평량을 갖는 적층 직물을 제조하기 위해 서로 겹쳤다. 적층 직물을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해 148℃의 열처리온도에서 에어-쓰로우법으로 열접착하였고, 탄성층 1과 같은 방식으로 친수성 윤활제로 처리하였다. 탄성층 4는 0.65㎜의 두께, 1.76cN의 탄성회복력 및 1.06의 CD/MD 좌굴강도율을 가지고 있다. 탄성층 4는 상기의 (ⅰ)와 (ⅳ)방법에 의해 탄성/강성이 향상되었다.
탄성층 5: 148℃의 온도에서 에어-쓰로우법으로 25g/㎡의 평량을 갖는 NBF(SH)의 직물(Daiwabo Co., Ltd제, 섬도 2.2dtex, 평균길이 51㎜)을 열융착시키고, 탄성층 1과 같은 방식으로 친수성 윤활제로 처리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탄성층 5는 0.26㎜의 두께, 0.2cN의 탄성회복력 및 0.29의 CD/MD 좌굴강도율을 가지고 있다.
흡수체 1: 16g/㎡의 평량 및 10%의 크래핑(craping)율을 갖는 종이.
흡수체 2: 45g/㎡의 평량을 갖는 건식공정의 펄프 시트 (J Soft K.K.제, JS45HD-W).
흡수체 3: 35g/㎡의 평량을 갖고, 크래핑율 20%인 종이를 겹친 2겹종이(30㎜ ×120㎜).
흡수체 4: 10g/㎡의 고흡수성의 고분자입자들(Nippon Shokubai Co., Ltd.제, Aquaric CAW-4)이 분산되어 있는 한쌍의 펄프웹(pulp webs)으로 제조되고, 50g/㎡의 평량을 갖는 적층 시트.
탄성층 1~4는 각각 50°~ 60°사이의 접촉각을 가지고 있다. 탄성층 1~5의 두께 및 최종 제품(흡수성물품)의 두께는 지름 30㎜의 측정부가 부착된 두께 가우지(thickness gauge) ID-C112CB(Mitsutoyo K.K제)로 약 10cN의 하중을 주어 측정하였다.
실시예 6~11과 비교예 2~4에서 얻어진 흡수성물품의 폭방향 압축변형률 및 제품탄성회복력은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게다가, 흡수성물품은 하기의 시험방법으로 뒤틀림의 어려움성 및 흡수성을 평가하였다. 측정 및 평가의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뒤틀림의 어려움성 평가:
10명의 패널에게 실시예 6~11과 비교예 2~4(시험 시료) 및 기준 시료로 로레야 팬티 라이너(Kao Corp. 1999년 7월제, 무향 "non-distortion stitches")를 사용하도록 하고, 시험 시료 및 기준 시료가 뒤틀림에 덜 영향을 받는지를 하기의 A~E 등급으로 평가하였다. 각 패널은 시료당 2제품을 사용하였다.
A: 시험 시료가 뒤틀리기 어렵다.
B: 시험 시료는 조금 뒤틀리기 어렵다.
C: 시험 시료와 기준 시료는 뒤틀림의 정도가 동등하다.
D: 기준 시료가 뒤틀리기 어렵다.
E: 기준 시료는 조금 뒤틀리기 어렵다.
A 또는 B로 등급을 매긴 패널들의 수(시험 시료를 지지하는 패널들의 수) 및 D 또는 E로 등급을 매긴 패널들의 수(기준 시료를 지지하는 패널들의 수)(전자-후자)의 차이가 뒤틀림의 어려움성 판단지표가 된다. 지표가 5이상이면 "매우 좋음"으로, 3~4이면 "좋음"으로, 1~2이면 "보통"으로, 0 이하이면 "나쁨"으로 매겨졌다.
흡수성의 평가:
표면시트/(탄성층)/흡수체/후면시트의 적층 구조(이하 A형이라함) 및 A형에서 흡수체만 제거되고 같은 구조(이하 B형이라함)를 갖는 실시예 6~11과 비교예 2~4의 흡수성물품들을 하기의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0.5중량%의 식용청색 1호 (Aizen K.K제)가 첨가된 65중량%의 글리세롤 용액 5방울을 10㎜ 높이에서 시험시료 표면시트의 같은지점에 적가하였다. 적가완료 5분후, 퍼진 청색용액의 위치를 표시하고, 광원(LPL제, Sunlight SL-230K2), 스탠드(LPL제, 복사스탠드 CS-5), 렌즈(24㎜/F2.8 니코 렌즈), CCD 카메라(Hitachi Electronics Ltd.제; HVD-37: 렌즈는 F-고정 컨넥터에 접속되었음) 및 비디오 보드(Canopus Co., Ltd.제, 스펙트라 3200)로 구성된 스캐닝시스템으로 주사하였다. 얻어진 디지탈 영상 정보를 퍼짐면적을 얻기위해 NEXUS제영상 분석 소프트웨어(ver. 3.08)로 분석하였다.
시료 B형의 퍼짐면적에 대응하는 시료 A형 퍼짐면적 비를 얻었다. 0.8 이하의 비율이면 "좋음", 0.8~0.9비율이면 "보통", 0.91 이상이면 "나쁨"으로 매겨졌다.
실시예 6~11에서, 탄성층의 탄성회복력 및 팬티 라이너의 폭방향 압축변형률은 각각 본 발명에서의 특정범위안에 있어서 사용중 흡수성물품들은 뒤틀림에 대해 만족스러운 저항력을 보인다. 특히, 실시예 8~10의 흡수성물품들은 압축부 및 표면시트의 효과때문에 폭방향 압축 변형률이 3% 미만을 가지고 있고, 사용자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게다가, 압축부를 가지고 있는 실시예 8~11은 만족할만한 흡수성을 보였다.
반면에, 탄성층이 낮은 탄성회복력을 갖는 비교예 2 및 탄성층이 없는 비교예 3은 사용자들에게 뒤틀림의 경향이 쉽다고 평가받았다. 또한 폭방향 압축변형률이 큰 비교예 4의 흡수성물품은 큰 지지를 받지 못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그런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spirit) 및 범주(scope)로부터 벗어난 것이 아니며, 당분야의 사람들에게 명백한 그러한 변형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내에 포함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를 사용한 흡수성물품은 사용중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아 착용감이 좋고 샘방지성이 있다.

Claims (9)

  1. 뒤틀림으로부터 회복력이 향상된 흡수성물품을 제공하는 시트에 있어서, CD방향(cross direction)에서의 회복력이 0.7cN 이상이고, 압축강도가 100cN 이하이며, 평량이 20g/㎡ 이상인 흡수성물품용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그들의 교점에서 서로 열접착된 심초(core-sheath)형 열접착성복합섬유를 70중량% 이상으로 함유하는 열융합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심부(core)는 올레핀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초부(sheath)는 주성분이 프로필렌인 공중합체, 주성분이 에틸렌인 공중합체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 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그들의 교점에서 서로 열접착된 심초(core-sheath)형 열접착성복합섬유를 70중량% 이상으로 함유하는 열융합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심부(core)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초부(sheath)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합섬유는 6.6~22dtex의 평균 섬도를 갖는 시트.
  4. 섬유직물을 열처리 단계; 및
    열처리전의 섬유(a) 또는 열처리한 열융합 부직포 섬유(b)의 두께를 압축하여 상기 섬유직물(a) 또는 열융합부직포(b)의 두께를 원래두께의 20~80%로 감소시키는 압축단계를 포함하는 제 2항의 흡수성물품용 시트의 제조방법.
  5. 액체유지성 흡수층과 액체불투과성 샘방지층을 함유하고, 상기 흡수층은 제 1항의 흡수성물품용 시트를 갖는 흡수성물품.
  6. 실질적으로 세로 모양(longitudinal shape)을 가지고, 액체유지성 흡수층과 액체불투과성 샘방지층을 함유하는 흡수성물품에 있어서, 상기의 흡수층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표면층과 표면층 아래에 0.7cN 이상의 탄성회복력을 갖는 탄성층이 있고, 폭방향(width direction)에서 5% 미만의 압축변형률을 갖는 흡수성물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이 표면층을 형성하는 액체투과성 표면시트, 액체유지성 흡수체 및 상기의 표면시트와 상기 흡수체사이에 있는 탄성층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물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상기 표면층의 측면에 다수의 압축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의 압축부는 적어도 상기 탄성층을 압축하고 상기 표면시트, 상기 흡수체 및 상기 탄성층을 일체화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물품.
  9. 제 6항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두께가 4㎜ 이하인 흡수성물품.
KR1020010010313A 2000-02-28 2001-02-28 흡수성물품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흡수성물품 KR100714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52587A JP3957439B2 (ja) 2000-02-28 2000-02-28 吸収性物品用シート
JP2000-52587 2000-02-28
JP2000-94230 2000-03-30
JP2000094230A JP2001276126A (ja) 2000-03-30 2000-03-30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705A true KR20010085705A (ko) 2001-09-07
KR100714557B1 KR100714557B1 (ko) 2007-05-07

Family

ID=2658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313A KR100714557B1 (ko) 2000-02-28 2001-02-28 흡수성물품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흡수성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44481B2 (ko)
EP (1) EP1127563B1 (ko)
KR (1) KR100714557B1 (ko)
CN (1) CN1273105C (ko)
DE (1) DE60110290T2 (ko)
TW (1) TW5299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71362B (zh) * 2003-04-10 2011-12-07 花王株式会社 纤维片材及其制造方法、以及含有该纤维片材的吸收性物品
JP4562481B2 (ja) * 2003-12-01 2010-10-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TWI358284B (en) * 2003-12-09 2012-02-21 Uni Charm Corp Interlabial pad
US20050137555A1 (en) * 2003-12-09 2005-06-23 Uni-Charm Corporation Individual wrapping container
JP4173844B2 (ja) * 2004-08-19 2008-10-2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260808B2 (en) 2009-12-21 2016-02-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coform nonwoven web
US20110152808A1 (en) 2009-12-21 2011-06-23 Jackson David M Resilient absorbent coform nonwoven web
JP5701027B2 (ja) * 2010-11-30 2015-04-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5848957B2 (ja) * 2011-11-11 2016-01-27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CN107072852B (zh) * 2014-10-20 2020-12-22 卓德嘉薄膜制品有限责任公司 具有用于液体分配的具有三维膜的吸收制品
AU2015395524B2 (en) * 2015-05-15 2020-08-20 Kimberle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ontoured fit
JP6726135B2 (ja) * 2017-06-15 2020-07-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0046A (en) * 1967-08-04 1973-09-18 Avisun Corp Process for producing a composite yarn which is bulky, slip-resistant and of high strength
US4794038A (en) * 1985-05-15 1988-12-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ester fiberfill
US4648876A (en) * 1982-09-24 1987-03-10 Personal Products Company Breathable panty liner
US4623340A (en) * 1983-09-16 1986-11-18 Personal Products Company Absorbent product with color contrasted cover pattern
US5169580A (en) * 1985-05-15 1992-12-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onded non-woven polyester fiber structures
JPS63117753A (ja) 1986-11-05 1988-05-2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5167765A (en) * 1990-07-02 1992-12-01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Wet laid bonded fibrous web containing bicomponent fibers including lldpe
US5591150A (en) * 1991-07-23 1997-01-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having a resilient body-conforming portion
JP3261728B2 (ja) * 1992-02-18 2002-03-04 チッソ株式会社 熱接着性繊維シート
US5336552A (en) * 1992-08-26 1994-08-09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made with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blend of polyolefin and ethylene alkyl acrylate copolymer
US5405682A (en) * 1992-08-26 1995-04-11 Kimberly 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made with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blend of polyolefin and elastomeric thermoplastic material
US5324561A (en) 1992-10-02 1994-06-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of bonded absorbent particles surface crosslinked with cationic amino-epichlorohydrin adducts
NZ250875A (en) 1993-02-22 1997-10-24 Mcneil Ppc Inc Absorbent pad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which contacts and follows the contour of recess(s) in the garment side surface of the pad
JP3200673B2 (ja) 1994-07-12 2001-08-20 小林製薬株式会社 体液吸収用当て材
US5804286A (en) * 1995-11-22 1998-09-08 Fiberweb North America, Inc. Extensible composite nonwoven fabrics
US6156024A (en) 1996-12-03 2000-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lotioned leg cuffs
US5913850A (en) * 1994-12-01 1999-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TW266281B (en) 1995-08-21 1995-12-21 Macronix Int Co Ltd Programmable instruction and executing device thereof
US5989688A (en) * 1995-10-11 1999-11-23 Jacob Holm Industries (France) Sas Composite nonwovens and method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3658884B2 (ja) 1996-09-11 2005-06-08 チッソ株式会社 複合長繊維不織布の製造方法
DE69704938T2 (de) * 1996-12-25 2001-11-15 Chisso Corp Heisssiegelbare verbundfaser und daraus hergestellter vliesstoff
JP3544091B2 (ja) 1997-02-06 2004-07-2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5876840A (en) * 1997-09-30 1999-03-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rimp enhancement additive for multicomponent filaments
JPH11192259A (ja) 1998-01-05 1999-07-21 Oji Paper Co Ltd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3105C (zh) 2006-09-06
KR100714557B1 (ko) 2007-05-07
EP1127563A2 (en) 2001-08-29
US6844481B2 (en) 2005-01-18
EP1127563A3 (en) 2001-11-21
TW529938B (en) 2003-05-01
US20010031953A1 (en) 2001-10-18
DE60110290D1 (de) 2005-06-02
DE60110290T2 (de) 2005-10-06
CN1310989A (zh) 2001-09-05
EP1127563B1 (en)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7721A (en) Non-woven fabric for sanitary napkin
US7534928B2 (en) Topsheet for absorbent article
US4480000A (en) Absorbent article
US5273596A (en) Nonwoven fabric for diaper top shee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681577A (en) Disposable urinary and fecal waste containment product
JP3408078B2 (ja) 吸収性物品
JP4979423B2 (ja) 吸収性物品
EP0783877A2 (en) Absorbent article
JP2875504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CA1233952A (en) Disposable urinary pad
EP0858791B1 (en) Absorbent article
JP2003024372A (ja) 吸収性物品
JPS5939136B2 (ja) 生理用ナプキン
CN102355878A (zh) 吸收性物品
US6452062B1 (en) Composite nonwoven material and its application to any absorbent article of hygiene
JPH09117470A (ja) 吸収性物品
KR100714557B1 (ko) 흡수성물품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흡수성물품
EP0521016A1 (en) NONWOVEN MATERIAL FOR UPPER LAYER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JP4275128B2 (ja) 吸収性物品
JP6053123B2 (ja) 吸収性物品
JP2002526279A (ja) 層を結合するための少なくとも一つの熱可塑性成分を含む吸収製品
JP5094173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11135A (ja) 吸収性物品
JP2647858B2 (ja) 吸収性物品
JP3806669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