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300A - 철도 차량용 에너지 소비 부재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용 에너지 소비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300A
KR20010085300A KR1020017000961A KR20017000961A KR20010085300A KR 20010085300 A KR20010085300 A KR 20010085300A KR 1020017000961 A KR1020017000961 A KR 1020017000961A KR 20017000961 A KR20017000961 A KR 20017000961A KR 20010085300 A KR20010085300 A KR 20010085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
housing
fold line
end piec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그하르트 슈나이더
Original Assignee
베르너 엠. 괴를릿츠
지멘스 크라우스-마파이 로코모티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너 엠. 괴를릿츠, 지멘스 크라우스-마파이 로코모티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르너 엠. 괴를릿츠
Publication of KR20010085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30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61D15/06Buffer cars; Arrangements or construction of railway vehicles for protecting them in case of coll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61G11/16Buffers absorbing shocks by permanent deformation of buffer el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차량용으로 구성되고 트리거링 장치(기능 장애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형태로 제조된 에너지 소비 부재(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리거링 장치가 하우징의 한 단부에서 축방향 접힘부로서 구성되고, 인접한 측면에서 접힘부의 진폭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원주 방향에서의 접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접힘부가 형성되는 위치 및 방향이 적절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또한 충돌하는 경우에 차량의 구조가 보다 작은 양의 응력을 받도록 제 1 접힘부를 형성하는 트리거링력을 유리하게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편평한 표면으로부터 이러한 에너지 소비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방법은 완성된 에너지 소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금속 박판 아웃 라인을 절단하는 단계, 금속 박판을 접는 단계, 그리고 용접에 의해 금속 박판을 조립하는 단계와 같은 소수의 제조 단계만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철도 차량용 에너지 소비 부재 {ENERGY-CONSUMING ELEMENT FOR RAILWAY VEHICLES}
통상적인 에너지 소비 부재는 대부분 4-, 6- 또는 8각형 횡단면을 갖는 얇은 벽의 기둥 또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트리거링력의 초과시 이러한 파손 부재는 통상적으로 축방향 접힘부가 붕괴됨으로써 고장난다. 이러한 붕괴는 균일한 접힘부에서 나타나며, 인접 측면은 항상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교대로 접힌다(소위 비대칭형). 예컨대 원통형 관에서 드물게 대칭 형태가 나타나는데, 다시 말해 동시에 한 횡단면의 모든 측면은 외부로 접히고 후속하는 횡단면의 모든 측면이 내부로 접힐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불균일한 힘의 진행 및 적은 고유 안정성을 갖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피해진다. 접힘부가 형성됨으로써 고장나는 에너지 소비 부재의 기본 문제는 제 1 접힘부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높은 트리거링력에 있다. 따라서, 차량 구조는 충돌시 큰 응력을 받는다. 또한 동일한 횡단면에서 제 1 접힘부의 생성 위치는 불확실하다. 왜냐하면, 상기 위치는 이론상으로 볼 때 우연적이고실제로는 불균일한 재료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상기 두 문제점은 통상적으로 소위 트리거(기능 장애 엑츄에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를 위해, 제 1 접힘부가 생성되어야만 하는 소정의 지점에서 커어프(kerf), 주름, 홀 또는 다른 기하학적 장애가 캐리어 내로 제공된다.
DE-PS 196 35 221에는 철도 차량을 위한 하우징 형태로 제조된 에너지 소비 부재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부재는 철도 차량의 주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경우에 따라 충돌 응력을 받을 때 완충 부재로부터 주 프레임 쪽으로 평행하게 접힘부가 생성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 간행물에 트리거링 장치에 대한 부가의 지시는 공지되어 있지 않다.
장르별 잡지 ZEV+DET Glas.Ann(1997) Nr. 12 Dezember, 609 내지 611 페이지에는 트리거링 장치를 갖는 상이한 에너지 소비 부재가 기술되어 있다. 특히 강철 하우징은 흡수 장치로서 기술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하우징 길이에 걸쳐 분포된 리지(ridge)가 배치된다고 나타난다. 이러한 트리거링 장치를 갖는 에너지 소비 부재의 단점은 한편으로는 상기 하우징에 리지를 제공하는데 드는 제조 기술적 비용에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진행되는 접힘이 어느 정도까지 리지에 의해 지지되고 또는 오히려 방해되는지가 분명치 않다는데 있다. 이러한 접힘부는 리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다음에 형성되는 접힘부에 상응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서문에 따른 트리거링을 갖는 특히 철도 차량을 위한 하우징 형태로 제조된 에너지 소비 부재 및 상기 에너지 소비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직육면체 에너지 소비 부재,
도 2는 도 1에 따른 에너지 소비 부재의 절반의 전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에너지 소비 부재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에너지 소비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원추형(오벨리스크 형의) 에너지 소비 부재,
도 6은 도 5에 따른 에너지 소비 부재의 절반의 전개도,
도 7은 도 5에 따른 에너지 소비 부재의 절반의 측면도, 및
도 8은 도 5에 따른 에너지 소비 부재의 사시도.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간단하게 제조되고 제 1 접힘부가 형성되는 위치및 부가의 접힘부가 형성되는 방향이 미리 제공됨으로써, 부가로 형성되는 접힘부가 방해받지 않고 정해진 대로 진행할 수 있는, 트리거링 장치를 갖는 하우징 형태로 제조된 에너지 소비 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을 갖는 에너지 소비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에너지 소비 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 제 2항 내지 7항에 나타난다. 제조 방법은 청구항 제 8항의 특징을 갖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 제 9항 내지 13항에 나타난다.
접힘부가 형성되는 위치 및 방향을 적합한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해, 하우징의 단부에 제공된 축방향 접힘부의 핸디캡은, 회전 방향으로 제공된 접힘부가 인접한 측면에서 접힘부의 진폭이 대향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는 특징이 나타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바람직하게 또한 제 1 접힘부를 형성하기 위한 트리거링력이 감소됨으로써, 차량 구조는 충돌시 더 적은 응력을 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소비 부재의 간단한 형성에 의해, 비교적 간단하고 철도 차량 구조에 사용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왜냐하면, 평평한 표면으로부터 시작하여 단지 소수의 제조 단계만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즉, 금속 박판 아웃 라인을 절단하는 단계, 금속 박판을 접는 단계 및 용접 결합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청구항 제 2항에 따른 접힘부는 이 영역에서 변형 파장의 절반 보다 더 작고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파장의 4분의 1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제 4항에 따른 에너지 소비 부재의 원추형 형성에 의해, 부가로 측력과 모멘트에 대한, 그리고 편심 종단력에 대한 부가의 높은 안정성이 장점으로제공된다. 바로 에지 영역이 강도에 대해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접힘부가 형성되는 것을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 에지에는 리세스가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 이 영역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형태 차이는 제 1 접힘부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트리거링력을 감소하는데 기여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도 1 내지 8과 관련하여 더 자세히 설명된다.
제 1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직육면체 에너지 소비 부재가 도 1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따르면 직육면체 에너지 소비 부재(1)는 고유의 직육면체(2) 및 상부 단부에는 트리거링으로서 축방향 접힘부(5)를 갖는다. 상기 직육면체의 전방의 측면 부분(3)에 연결된 접힘부의 단부 피이스(6)는 도시된 예에서 직육면체 내부의 방향으로 꺾어지며, 상기 직육면체(2)의 오른쪽 측면부(4)에 연결된축방향 접힘부(5)의 단부 피이스(7)는 직육면체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꺾어진다. 상기 에너지 소비 부재(1)의 횡단면을 축방향 접힘부(5)의 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플랜지(8)가 축방향 접힘부(5)에 고정된다. 상기 직육면체이 직육면체 측면 중 하나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평면에 따른 종단면에 의해 분리될 경우, 예컨대 측면 부분(4)에 수직으로 놓여있고 선(9)에서 직육면체(2) 내로 삽입되는 평면에 따라 중앙을 분리시킬 경우, 에너지 소비 부재는 두 개의 절반으로 분리되며, 상기 두 개의 절반은 각각 하나의 평면쪽으로 펼쳐짐으로써 그 다음의 제조를 위한 표면의 외부 아웃 라인이 제공된다.
펼쳐진 상태에서 직육면체의 각각의 절반은 도 2에 따른 오른쪽 에지를 생성한다. 그 다음의 실시예는, 에너지 소비 부재의 절단은 측면으로 볼 때 중앙에서 이루어짐으로써, 각각 두 개의 절반의 측면 부분을 갖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생성된다는 사실로부터 출발해야만 한다. 결과적으로, 도 2에 따르면 직육면체형의 에너지 소비 부재의 펼쳐진 절반은 완성된 에너지 소비 부재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L) 및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폭(B)과 각각 S/2의 폭을 갖는 두 개의 절반의 측면부(왼쪽 및 오른쪽)로 이루어지는 폭(B+S)의 오른쪽 에지로 이루어진다. 하부 또는 상부의 표면(F1) 및 절반의 측면부의 표면(F2및F3)에는 접힘부를 위해 제공된 단부 피이스(F4,F5및F6)가 연결된다. 상기 단부 피이스의 길이(l)는 접힌 후의 단부 피이스가 대칭 표면의 l의 돌출부에서 이 영역에서 대략 변형 파장의 4 분의 1로 제조되도록 설계된다. 그 다음의 접힘부를 제공하기 위한 단부 피이스(F4내지F6)를 접힘선(a, b, c) 만큼 꺾이도록 하기 위해, 선(X1Y1및X2Y2)을 따라 금속 박판이 절단된다. 절반의 측면부는 접힘선(d, e)에 따라 꺾어진다. 단부 피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평평한 금속 박판 내로 절단될 만큼 각도(Г)를 설계함에 따라, 단부 피이스(F5)는 (더 큰 각도) 또는 (더 작은 각도)로 위쪽으로 꺾어진다. 이에 상응하여 측면 단부 피이스(F4및 F6)는 더 큰 각도 또는 더 작은 각도로 바깥쪽으로(완성된 하우징에서) 꺾어진다. 하부 및 상부의 금속 박판 셸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진행된다. 즉,
- 변수 (L×(B+S))의 평평한 금속 박판을 제조하고;
- 선(X1Y1및 X2Y2)에 따라 평평한 금속 박판을 절단하며;
- 상기 F4및 F6가 에지(a, c)를 통해서 아래쪽으로 구부려지고 F5는 에지(b)를 통해서 위쪽으로 구부려지며;
- F2및 F3는 에지(b)를 통해서 위쪽으로 구부려지고;
- 구부려진 단면(F4,F5,F6)을 재차 접촉되는 선(X1Y1및 X2Y2)에 용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두 개의 하우징 절반(상단부 및 하단부)은 상하로 겹쳐지고 접촉선에서 순환하면서 서로 용접된다. 접힘부의 단부에 횡단면을 고정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 플랜지가 제공된다.
도 3은 선(18)을 따라 서로 용접된 상부 금속 박판 셸(16) 및 하부 금속 박판 셸(17)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에너지 소비 부재(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단부피이스(15)(접힘부 피이스)는 점선을 따라 금속 박판 표면으로부터 나와 측면 부(11, 12)에 대항해서 꺾어진다. 도 4에 따른 사시도에서 상단부(10)는 금속 박판 표면에 놓여있고 상부 단부 피이스(14)(접힘부 피이스)는 점선을 지나서 아래로 금속 박판 표면 내로 꺾어진다. 하단부의 경우 하부 단부 피이스(14)(접힘부 피이스)는 금속 박판 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진하게 표시된 위치에서 상단부 및 하단부의 단부 피이스(14)는 측면부의 단부 피이스(15)와 일치한다. 또한 두 개의 절반 하우징 또는 금속 박판 셸은 결합된 상태에서 B×S의 횡단면을 갖는 직육면체 하우징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횡단면은 접힘부에 놓여있고 물론 두 개의 측면이 구부려지고(S') 두 개의 측면이 기본형에 대해 연장된다(B'). 그 밖에 휨 절단은 전문가의 범주에서는 또한 다른 순서로 실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오벨리스크형)으로 형성된 에너지 소비 부재(19)를 도시하며, 상기 에너지 소비 부재(19)는 철도 차량에 있는 하나의 캐리어 또는 프레임 부분(31)에 고정된다. 상기 에너지 소비 부재는 하우징(20)(오베리스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20)에는 철도 차량의 방향으로 축방향 접힘부(트리거링 장치)(21)가 연결된다. 상기 에너지 소비 부재의 상부측(24) 및 하부측(26)은 도시된 예에서 측면부(25, 27) 보다 더 넓게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하우징(19)의 직사각형 횡단면이 생겨난다. 축방향 접힘부(21)에서 상부(14) 및 하부 단부 피이스(14)는 안쪽으로 쉽게 꺾어지는 반면, 측면 단부 피이스(접힘부 피이스)(22, 23)는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구부려진다. 상기 축방향 접힘부(21)의 연장부에는 에너지 소비 부재의 횡단면을 이 영역에 고정시키기위해, 플랜지(8)가 제공된다. 상기 플랜지(8)는 중앙 플랜지 버퍼를 하우징 내로 삽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원형 리세스(28)를 가짐으로써, 단지 버퍼 슬라이드는 외부로 돌출한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에너지 소비 부재의 절반(16 또는 17)의 전개도이며, 상기 절반(16 또는 17)은 대칭 표면의 종단면에 의해 에너지 소비 부재의 중앙에서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소비 부재(19)의 제조시 출발점은 도 6에 따른 에너지 소비 부재의 펼쳐진 절반에 따른 아웃 라인, 다시 말해 하기의 표면 부재를 갖는 평평한 금속 박판을 제조하는 것이다. 즉,
F1= 기본선(B, b) 및 측선(d, e)을 갖는 2등변 사다리꼴이며, d는 e와 동일하고 하단부 또는 상단부와 측면부 사이의 접힘선에 상응하며;
F2= F3= 기본선(S/2, a 또는 c) 및 측선(d, e)을 갖는 2등변 사다리꼴의 절반이며, d=e 이고 앞서 말한 접힘선에 상응하고;
F4+ F5+ F6= 길이(l)의 펼쳐진 접힘부이며, l은 대칭 표면에서 접힌 상태로 l이 돌출할 때 이 영역에서 변형 파장의 4분의 1의 길이에 상응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우선 평평한 금속 박판(또는 상단부 및 하단부를 위한 두 개의 평평한 금속 박판)은 표면(F1내지 F6)을 합한 것과 같은 아웃 라인으로 제조된다. 이어서, 선(X1Y1및 X2Y2)을 따라 절단된 단면이 평평한 금속 박판 내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평평한 금속 박판은 접힘부를 위해 제공된 단부 피이스(F4,F5,F6)의 접힘선을 절단한 지점의 영역에서 원형 리세스(29, 30)를 갖는다. 또한 단부 피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평평한 금속 박판을 절단할만큼 각도(Γ)를 설계함에 따라 단부 피이스(F5)는 더 (큰 각도) 또는 더 (작은 각도)로 위쪽으로 꺾어진다. 이에 상응하여 측면 단부 피이스(F4,F6)는 더 크거나 더 작게 바깥쪽으로(완성된 하우징) 꺾어진다. 각도(Γ)가 크면 클수록, 이 영역에서 에너지 소비 부재는 더욱 약화된다. 왜냐하면, 상기 단부 피이스(F5)는 더욱 강하게 안쪽으로 꺾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각도(Γ)의 조절에 의해 트리거링력이 접힘부를 형성하기 위해 조절될 수 있다. 각도(λ,δ)는 다음 하우징의 횡단면이 하우징의 충돌측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어떻게 일정하게 확대되어야만 하는지에 따라 좌우된다. 예컨대 δ=90°일 경우, 하부 및 상부 측면 부분의 사다리형의 횡단면은 확대된다. δ가 90°보다 작고 λ가 90°보다 작을 경우 도 5에 도시된 에너지 소비 부재(원추형 또는 오벨리스크형)의 형태가 나타난다. 하부 및 상부 금속 박판 셸의 부가 제조는 직육면체 에너지 소비 부재에서와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즉,
- F5및 F6는 에지(a 또는 c)를 통해서 아래쪽으로 구부려지고 F5는 에지(b) 를 통해서 위쪽으로 구부려지며;
- F2및 F3은 에지(d, e)를 통해서 위쪽으로 구부려지고;
- 구부려진 단면(F4,F5,F6)이
- 재차 접촉되는 선(X1Y1및 X2Y2)에 용접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하우징 절반(상단부 및 하단부)은 상하로 겹쳐지고 순환하면서 접촉선에 용접된다. 상기 접힘부의 단부에 횡단면을 고정시키기 위해 플랜지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원추형 에너지 소비 부재(1)의 절반의 측면도, 하부 또는 상부 금속 박판 셸(16 또는 17)이 도시된다. 단부 피이스(15)(접힘부 피이스)는 점선을 따라 금속 박판 표면으로부터 나와 측면부(12 또는 11)에 대해 꺾어진다. 도 8에 따른 사시도에서 상단부(10)는 금속 박판 표면에 놓이고 상부의 단부 피이스(14)(접힘부 피이스)는 점선을 지나 아래쪽으로 금속 박판 표면 내로 꺾어진다. 하단부의 경우 하부의 단부 피이스(14)(접힘부 피이스)는 금속 박판 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측면으로 볼 때 중앙을 절단한 상부 및 하부 금속 박판 셸을 제조하는 대신에, 에너지 소비 부재는 또한 왼쪽 및 오른쪽 금속 박판 셸로 분리된다(미리 언급된 단면에 대해 직각인 단면).
개구(28) 대신에 플랜지(8)는 또한 폐쇄되도록 형성되고 그 위에 표준 버퍼가 고정될 수 있다.

Claims (13)

  1. 트리거링 장치를 갖는, 바람직하게 철도 차량용 하우징 형태로 제조된 에너지 소비 부재에 있어서,
    트리거링 장치가 축방향 접힘부로서 하우징의 한 단부에 형성되고, 및 원주 방향으로 제공된 접힘부는 인접 측면에서 접힘부의 진폭이 대향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가 변형 파장의 절반 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장의 4분의 1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 부재.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4-, 6- 또는 8각형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 부재.
  4. 제 3항에 있어서,
    횡단면 형태가 하우징의 충돌측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일정하게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 부재.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트리거된 단부에 상기 횡단면을 고정시키는 부재, 예컨대 플랜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 부재.
  6.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충돌측 단부에 중앙 플랜지 버퍼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 부재.
  7. 제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제공된 접힘부가 상기 하우징 에지내에 리세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 부재.
  8. 제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너지 소비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 측면으로 볼 때 -이론상 또는 모형으로 제조된- 하우징의 종단면에 의해 생성된 상부 및 하부 금속 박판 셸이 펼쳐되고 이러한 전개가 각각 상부 및 하부 금속 박판 셸을 위한 금속 박판의 아웃 라인을 생성할 정도로, 아웃 라인이 절단된 평평한 금속 박판이 제공되는 단계;
    - 하기의 접힘선이 마킹되는 단계:
    - 금속 박판 셸의 측면부를 접기 위한 각각의 접힘선, 및
    - 접힘부를 위해 하우징의 한 단부에 제공된 단부 피이스를 접기 위한 접힘선;
    - 중앙 단부 피이스의 접힘선과 단부 피이스의 에지로부터 측면 단부 피이스의 접힘선의 절단 지점까지 접힘부를 위해 제공된 단부 피이스 내로 단면을 제공하는 단계;
    - 마킹된 접힘선에 의해 하부 또는 상부쪽으로, 상기 접힘선이 모든 접는 단계가 종료한 이후 접촉되고 관련 접힘선 위에서 상부쪽으로 측면부를 비스듬히 자를 정도의 각도 만큼 단부 피이스를 비스듬히 자르는 단계;
    - 상부 및 하부 금속 박판 셸 쪽으로 제조된, 단면에 접촉된 단부 피이스를 용접하는 단계; 및
    - 상부 및 하부 금속 박판 셸이 용접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 소비 부재의 제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펼쳐진 금속 박판 셸이 직사각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 부재의 제조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오벨리스크의 형태에 따른 원추형 형태를 갖고 펼쳐진 금속 박판 셸은 각각
    - 사다리꼴 각도(λ)를 갖는 사다리형태의 중간 부분,
    - 그것의 측선에 의해 중간 사다리꼴의 측선에 연결되고 사다리꼴 각도(δ)를 갖는, 절반의 사다리꼴을 형성하는 두 개의 측면부, 및
    - 트리거링 접힘부를 위한 사다리꼴의 좁거나 넓은 기본선에 인접한 단부 피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 부재의 제조 방법.
  11. 제 8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평한 금속 박판 내에 측면 단부 피이스의 접힘선과 중앙 단부 피이스의 접힘선과의 절단 지점 영역에서 바람직하게 원추형 리세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 부재의 제조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를 비스듬히 자르기 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 부재의 제조 방법.
  13. 제 8항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접힘부에 축 방향으로 하우징의 횡단면을 이 영역에 고정시키는 부재, 예컨대 하나의 플랜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017000961A 1998-07-23 1999-07-21 철도 차량용 에너지 소비 부재 KR200100853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33250A DE19833250C2 (de) 1998-07-23 1998-07-23 Energieverzehrelement für Schienenfahrzeug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nergieverzehrelements
DE19833250.5 1998-07-23
PCT/EP1999/005188 WO2000005119A1 (de) 1998-07-23 1999-07-21 Energieverzehrelement für schienenfahrzeu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300A true KR20010085300A (ko) 2001-09-07

Family

ID=787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961A KR20010085300A (ko) 1998-07-23 1999-07-21 철도 차량용 에너지 소비 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098802B1 (ko)
KR (1) KR20010085300A (ko)
AT (1) ATE219431T1 (ko)
DE (2) DE19833250C2 (ko)
ES (1) ES2180313T3 (ko)
PT (1) PT1098802E (ko)
WO (1) WO20000051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6000A1 (de) * 2002-11-30 2004-06-09 Adam Opel Ag Vorrichtung zur Stoßenergieaufnahme
DE102004016216A1 (de) * 2004-04-01 2005-10-20 Siemens Ag Wagenkasten eines Schienenfahrzeuges mit einer Vorrichtung zur gezielten Absorption von Kollisionsenergie
DE102004045737B4 (de) * 2004-09-21 2015-07-16 Sieghard Schneider Deformierbare Pufferkonsole mit innenliegender Führung und Auslösung
PL1914144T3 (pl) * 2006-10-19 2010-01-29 Voith Turbo Scharfenberg Gmbh & Co Kg Urządzenie rozpraszające energię dla pojazdów wieloczłonowych
DE102006058604B4 (de) * 2006-12-11 2008-11-27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Crashbox
DE102006062163A1 (de) * 2006-12-22 2008-06-26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toßfänger
DE102007005421A1 (de) * 2007-01-30 2008-08-07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Stoßenergieverzehrelement für ein Fahrzeug
JP4852624B2 (ja) * 2009-03-31 2012-0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衝突緩和装置を備えた軌条車輌
SE534925C2 (sv) * 2010-06-23 2012-02-21 Ego Int Bv Energiupptagande draginrättning
SE534926C2 (sv) 2010-06-23 2012-02-21 Ego Int Bv Energiupptagande koppelhuvud för en draginrättning
CN102372009B (zh) * 2011-08-29 2015-02-04 南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列车防爬吸能结构装置
DE102012224193A1 (de) 2012-12-21 2014-06-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Aufkletterschutz
DE102014209561A1 (de) * 2014-05-20 2015-11-26 Zf Friedrichshafen Ag Aufpralldämpfer, insbesondere für ein Schienenfahrzeug
CN113460109B (zh) * 2021-07-13 2022-11-22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吸能外罩、车厢及轨道车辆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65703A (de) * 1948-03-03 1949-12-15 Schweiz Wagons Aufzuegefab Puffer an Schienenfahrzeugen.
US3308908A (en) * 1965-01-11 1967-03-14 Lockheed Aircraft Corp Energy absorber
EP0009654B1 (en) * 1978-09-27 1983-02-23 H.H. Robertson Company Blast-resistant barrier
DE9311041U1 (de) * 1992-07-28 1993-11-04 Ckd Lokomotivka A S Schutzblock gegen Längsstöße
DE19635221C1 (de) * 1996-08-30 1998-04-02 Krauss Maffei Verkehrstechnik Aufprallschutzvorrichtung für Schienenfahrzeuge
DE19638739C2 (de) * 1996-09-10 2000-07-13 Dwa Deutsche Waggonbau Gmbh Deformations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98802B1 (de) 2002-06-19
DE59901814D1 (de) 2002-07-25
ES2180313T3 (es) 2003-02-01
PT1098802E (pt) 2002-11-29
ATE219431T1 (de) 2002-07-15
DE19833250C2 (de) 2002-11-07
EP1098802A1 (de) 2001-05-16
DE19833250A1 (de) 2000-01-27
WO2000005119A1 (de) 200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5224B2 (ja) 三次元連結構造
KR20010085300A (ko) 철도 차량용 에너지 소비 부재
JP5647482B2 (ja) 車両用バンパービ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527421A5 (ko)
JP4587782B2 (ja) 隔壁部材
US5829219A (en) Frame forming member
KR100487596B1 (ko) 마찰 교반접합 방법
KR102197807B1 (ko) 차량 범퍼
WO2015053075A1 (ja) クラッシュボック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61627A (ja) 自動車用ドアガ−ドバ−
JP2003237507A (ja) バンパ補強材
WO1997024221A1 (fr) Structure pliee en carton-fibre ondule
KR19990044428A (ko)
JP2011051473A (ja) 車両用衝撃吸収部材
JP2010076540A (ja) 中空スタビライザ
JP2005528268A (ja) ビークルの支持フレーム用のy形ガセット構造
US6332302B1 (en) Impact ba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H1177149A (ja) バンパー補強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842461B (zh) 立体框架结构形式的汽车的承载结构
JP2784279B2 (ja) 軽合金押出形材を用いた構体構造
US6435556B1 (en) Subframe for suspension
CN111183298B (zh) 用于机动车辆的金属冲击吸收元件以及相关生产方法
KR100258461B1 (ko) 자동차 범퍼용 보강빔과 그 제작방법
KR100269775B1 (ko) 테일러드 용접 블랭크를 사용한 자동차용 범퍼 빔 및 그 제조방법
JPS63948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